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8:31:59

세게르세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집트 <colbgcolor=#fff,#1f2023>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페르
제7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4세 소베크네페루
제13왕조 소베크호테프 1세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이푸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소베크호테프 2세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왕조 하르시에세 A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1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세소스트리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대통령
}}}}}}}}}}}}}}}

이집트 중왕국 누비아왕조 파라오
세게르세니
Segerseni
파일:Inscription_Segerseni_Gauthier.png
세게르세니의 이름이 새겨진 비문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세게르세니(Segerseni)[1]
부왕 불명
선대 불명
후대 불명
묘지 불명
재위 이집트 파라오
기원전 20세기 초
1. 개요2. 증명3. 즉위명4. 왕명표에서의 위치5. 재위 시기6. 누비아와의 연관성7. 다른 누비아 왕조 파라오와의 관계

[clearfix]

1. 개요

누비아 왕조의 파라오이다.

2. 증명

세게르세니는 고대 이집트 제1중간기 말기에서 중왕국 초기 사이에 활동했을 가능성이 거론되는 인물이다. 이 인물의 존재가 명확히 확인된 자료는 누비아 하부 지역[2] 움바라캅(Umbarakab)[3]에서 발견된 바위 비문 한두 점뿐이며, 아직까지 추가적인 유물이나 기록은 보고되지 않았다.

3. 즉위명

세게르세니의 즉위명(왕호)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 발견된 비문이 조각 상태가 좋지 않고 풍화가 심해 정확한 판독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는 이즉위명을 멘크카레(Menkhkare)로 추정하고 있으며, 다른 견해에서는 와지카레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멘크카레가 좀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지는 추세이다. 비문 중 하나는 ‘페르센베트(Persenbet)’라는 아직 정체가 불분명한 지역에서 발생한 전투 혹은 전쟁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지역이 어디를 가리키는지는 확실치 않으며, 구체적인 전투 상황도 확인되지 않았다.

4. 왕명표에서의 위치

세게르세니는 고대 이집트의 공식 왕명표[4] 어디에도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이는 세게르세니가 이집트 본토에서 통용되는 정통 왕위 계승권을 인정받지 못했거나, 이집트 외곽 지역에서만 활동한 소위 지방 군벌 혹은 군주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가 실제로 파라오로 즉위했는지, 또는 누비아 지역에서만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고 있었는지는 현재로서 불분명하다.

5. 재위 시기

세게르세니의 활동 시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학계 일부에서는 제1중간기 초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제2중간기 시기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한다. 또 다른 주장은 제11왕조멘투호테프 4세 ~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재위 전후라는 설을 제시한다. 이 설에 따르면, 멘투호테프 4세와 아메넴헤트 1세 모두 정통성 문제로 인해 국내에서 완전한 지지를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어, 세게르세니를 비롯한 군벌 또는 지방 세력이 혼란을 틈타 등장했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6. 누비아와의 연관성

문헌에 따르면, 아메넴헤트 1세는 오릭스 놈[5]노마치였던 크눔호테프 1세를 파견하여 누비아 지역의 반란을 평정하려 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세력이 저항을 주도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아, 세게르세니가 해당 저항의 지도자였다는 설은 아직 가설 단계에 머무른다. 또한 누비아는 제1중간기에 사실상 독립 상태였던 시기가 있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가 군사 작전을 벌여 재통합을 시도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세게르세니의 활동이 그로부터 약 40여 년 후로 추정된다는 연구가 있으며, 이를 통해 누비아 지역이 여전히 독자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7. 다른 누비아 왕조 파라오와의 관계

세게르세니 외에도 같은 시기 혹은 비슷한 시점에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등 누비아 중심의 소규모 군주들이 존재했다는 가설이 있다. 이들 역시 이집트 왕위에 도전했는지, 혹은 독립된 누비아 국가를 세우려 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세게르세니가 실제로 이들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는 알려진 내용이 적으며, 동시다발적으로 독립 세력들이 난립한 지역적 혼란의 산물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1] Sekherseni라고도 부른다[2] 오늘날 수단 북부 인근[3] 일명 코르-데흐밋(Khor-Dehmit) 지역[4] 아비도스 파라오 목록, 토리노 파피루스 등[5] 상이집트의 16번 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