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6:37:24

익안대군

이방의에서 넘어옴
익안대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태조)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1등)
김사형 이거이 이무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이애 이화
조박 조영무 조준 하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정사이등공신 (2등)
김로 민무구 민무질 박포
신극례 심종 이복근 이숙번
이양우 이지란 이천우 장담
장사길 장사정 장철 정탁
조온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0%,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제국 태조의 황자
익안대군 | 益安大君
조선 개국공신
마한얀양공 | 馬韓安襄公
}}}}}}}}}
파일:nSzUNEE.jpg
익안대군 영정[1]
출생 1360년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이성계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사망 1404년 10월 29일 (향년 44세)
묘소 경기도 개풍군 봉덕면 백전리
재위기간 조선 익안군
1392년 8월 25일 ~ 1398년 10월 10일
조선 익안공
1398년 10월 10일 ~ 1401년 2월 8일
조선 익안대군
1401년 2월 8일 ~ 1404년 10월 2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방의(芳毅)
부모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형제자매 부황 기준 8남 5녀 중 3남
모후 기준 6남 2녀 중 3남
배우자
2명 [ 펼치기 · 접기 ]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
(三韓國大夫人 東州 崔氏)
측부인 부부인 고성 이씨
(府夫人 固城 李氏)
자녀
2남 2녀 [ 펼치기 · 접기 ]
[ 동주 최씨 소생 - 1남 2녀 ]
장남 - 익평부원군 이석근(益平府院君 李石根)
장녀 - 회인현주 이씨(懷仁縣主 李氏)[2]
차녀 - 한가경(韓可敬)의 처
[ 고성 이씨 소생 - 1남 1녀 ]
차남 - 영가정 이승(永可正 李昇, 1390 ~ 1445)
종교 불교유교 (성리학)
태관(太寬)
군호 익안군(益安君)
→ 익안공(益安公)
익안대군(益安大君)
시호 공정공(恭靖公)
→ 마한공정공(馬韓恭靖公)
→ 마한안양공(馬韓安襄公)[3]
}}}}}}}}} ||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초기의 왕족. 태조 이성계의 3남이며 정종의 동생이고 태종 이방원의 셋째 형이다. 왕자 가운데 야심이 적어 동생 이방간(李芳幹)(1364 ~ 1421)[4]과 이방원의 왕위 계승 싸움에 중립을 지키고 평소에 시사를 말하지 않았다. 독특한 자기관리 방식으로 당시에도 매우 유명했는데, 술자리에서라도 정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입을 닫아버린 것.[5] 그 덕분에 왕자로서 부귀를 누리며 천수를 다할 수 있었다. 지병이 있어 그리 장수하지는 못하였지만, 당대에는 지병까지 가지고 40대 초중반까지 살았으면 평균 수명은 채우고 갔다고 볼 수 있다.

2. 생애

1392년(태조 원년) 조선이 개창되어 태조가 즉위하자 이방의는 익안군(益安君)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년) 8월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 1등에 봉해지고 공신전 200결을 받았으며 12월에 이방원, 이방간과 함께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되어 다시 공신전 200결을 받았다. 이때 중군절제사가 되어 이방원, 이방간과 함께 중앙군의 병전을 분장하고 1399년(정종 1년) 경기도충청도의 지방군을 관장하였다. 1400년(정종 2년) 2월에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병으로 집에 있다가 소식을 듣고 이방간의 모반을 개탄하면서 절제사직을 사임하여 이방원을 간접적으로 도왔다.

1401년(태종 1년) 익안대군(益安大君)으로 봉해졌으며[6] 이후 병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태종은 크게 슬퍼하며 조회를 정지하고 직접 형의 장례식에 문상을 와서 형의 장례식에 후한 부조금과 지원을 해줬다.[7] 시호 안양(安襄)을 받았으며, 정종 사후에는 정종의 배향공신으로 신주가 종묘에 모셔졌다.

3. 여담

4. 대중매체에서

왕이 된 적도 없고 정쟁에 뛰어들거나 휘말려 죽지도 않았고 핵심 인물도 아니었기 때문에 등장하는 작품이 별로 없고, 등장하더라도 비중이 작다.


[1] 이 영정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9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주 이씨 문중에서 소유하고 있었으나, 2000년 1월 도난을 당했다가 그해 4월 회수에 성공하여 보관 하던 중, 2009년에 재 도난을 당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2018년 10월 환수했다. 관련 기사문화재청의 발표 정종태종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 귀한 영정이다.[2] 사후 선혜옹주(善惠翁主)로 추증.[3] 정종의 시호인 공정(恭靖)을 피휘.[4] 태조의 4남. 박포의 거짓 밀고를 믿고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자 유배되었으며 1421년 사망하였다.[5] 단 자신의 가족들과 관련된 정사에는 참여했는데 1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의 편에 서서 참가한 것이 바로 그 사례다.[6] 덕분에 이성계의 아들 중 제대로 살아서 대군에 봉해진 아들이다. 정종과 태종은 세자 책봉 및 왕으로 즉위한지라 이전 호칭은 '군' 혹은 '공'이며 나머지는 사후에 '대군'으로 봉해졌다.[7] 일반적으로 대신이나 종친이 사망하면 왕이 부조금으로 종이를 전달하고 조회를 3일 정도 정지하지만 이렇게 왕이 직접 문상을 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필시 본디 서열로 보면 정종 시절 왕위 승계 1순위이고 적통인 아들까지 있었음에도 그냥 한참 동생인 태종에게 왕위계승을 양보한 것에 대한 보답이리라.[8] 공교롭게도 해당 배우는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 익안대군의 숙부인 의안대군 이화를 맡았다.[9] 정종 같은 경우 본작에서는 익안군 이상으로 소탈한 성품으로 묘사되는데다, 훗날 자신이 세자로 책봉되었을 때 사색이 되는 것으로 그려지는 데에서도 볼 수 있듯 세자 자리에 전혀 욕심이 없었기에 의안군이 세자가 된 것에도 딱히 불만을 품는 모습이 없었다.[10] 회안군과 정안군은 어디서 정도전 따위가 왕자들에게 명령을 내리냐며 반발하여 나가지 않았으며, 이에 이들의 집사가 대신 곤장을 맞게 된다.[11] 태조가 태종을 친히 제거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화해를 하는 환영연이 베풀어진 이후 태조와 정종 내외가 따로 만나는 장면이 있는데, 생물학적으로는 아들이지만 상왕인 만큼 존대를 하며 예를 갖추던 태조가 익안군이 자리보전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듣자 "뭐라고...? 익안이 중병에 걸렸다고...?" 라며 자신도 모르게 말을 놓는 대목도 있다.[12] 그런데 회안군이야 원래부터 야망이 컸던 인물인지라 넘어간다 쳐도, 이지란의 아들 이화상에게까지 얕보이는 등의 굴욕도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