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총무수석비서관 (1980~1998) | ||||||||
초대 전석영 | 제2대 이재식 | 초대 임재길 | 제2대 김재열 | ||||||
총무비서관으로 격하 | |||||||||
초대 홍인길 | 제2대 유도재 | 제3대 류재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총무비서관 (1998~2009, 2011) | |||||
초대 박금옥 | 초대 최도술 | 제2대 정상문 | 초대 김백준 | 제2대 신학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총무기획관 (2009~2013) | |||
초대 김백준 | 제2대 장다사로 | ||||||||
총무1비서관 (2011~2013) | 총무2비서관 (2011~2013) | ||||||||
초대 김오진 | 초대 제승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총무비서관 (2013~현재) | ||||||
초대 이재만 | 초대 이정도 | 초대 윤재순 | }}}}}}}}}}}}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박근혜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총무비서관 이재만 Lee Jae-man | |
출생 | 1966년 ([age(1966-01-01)]세) |
경기도 화성군 (現 경기도 화성시) | |
본관 | 경주 이씨 |
학력 | 구로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 / 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1]·박사[2]) |
경력 | 박근혜 국회의원 보좌관 대통령비서실 총무비서관 (박근혜 정부)[3]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별정직 공무원.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사건과 관련해서 문고리 3인방 중 1인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두 사람은 안봉근, 정호성이다. 다른 문고리 3인방처럼 정윤회의 추천으로 들어왔다는 얘기가 있다.박지원이 주장한 문고리 권력 3인방을 뜻하는 소위 만만회[4]의 1인.
대구광역시 동구청장을 지낸 이재만(1959)과는 동명이인인데, 대구 동구청장의 경우 출신 지역이 지역이고, 더군다나 둘 다 친박계라서 2명의 안상수만큼 혼동이 심하다.
2. 생애
1966년 경기도 화성군에서 태어났다. 구로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과 1999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각각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부터 보좌관을 지냈다. 1999년 말엽에 당시 박근혜의 보좌관으로 있던 양모씨가 업무 시작 1년 반 쯤 뒤에 관두면서[5]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후배인 이재만을 소개했다고 한다. 당시 박사 학위를 막 취득한 이재만은 결혼해서 아이까지 있었지만, 일자리를 잡지 못 해[6] 고민하던 차였다.
안봉근과 정호성이 이미 1998년도부터 박근혜의 비서관으로 일했던 것을 감안하면, 문고리 3인방 가운데 의원실 진입 서열로 가장 막내라고 할 수 있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논문 지도교수였던 예종석 교수는 이재만에 대해 “시키는 일 외에 다른 것을 할 줄 모르는 모범생이었다”고 말했다.[7]
이후 박근혜의 보좌관으로 활동하다가 2012년 12월 박근혜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 2013년 2월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에 입성했다. 청와대의 인사와 살림살이(재무)를 총괄하는 총무비서관[8]의 직책을 맡았다.
2015년 초까지 청와대 인사위원회의 정식 참석 멤버였기 때문에, 이른바 ‘최순실 인사’에 협력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한 관계자는 “힘이 셌다는 비서실장인 김기춘마저 인사위에서 이재만의 눈치를 봤다. 김기춘은 이재만에게 ‘여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라고 묻고는 했다”고 증언했다.#
대통령의 측근으로 워낙에 잘 알려져 있다 보니, 이재만 비서관을 사칭한 인사 청탁 사건이 있었다는 보도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개인정보유출에 관여했던 사람도 이재만 비서관 지휘 아래 있는 총무비서관실 소속의 행정관이어서 논란이 된 바 있었다.#
2014년,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에 따르면 "서류를 잔뜩 싸들고 밤에 외출"을 자주했다고 한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열린 현재에서 보면, 최순실에게 전달한 것으로 의혹을 받고 있다.
2016년 11월 14일 11시 25분 쯤 검찰에 출두했다. 한 마디하라는 기자들에게
2019년 6월 23일, 1년 6개월의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였다.[9] #
2020년 3월 2일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에서 이만희의 대통령 시계 건이 논란이 되자 소셜미디어에 입장을 올렸다.#
2.1. 체포
2017년 10월 31일 안봉근과 함께 청와대 국정원 상납 의혹으로 인해 체포되었다. 청문회와 재판 출석도 거부하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달라는 변호인단의 부탁도 거절한 채 제 한 몸 지키기 급급했지만 결국 이런 식으로 귀결되었다.그리고 11월 2일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국정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았다."고 자백했다고 한다. 채널A 보도 어디에 어떻게 썼는지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공금인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박근혜 전 대통령 측이 비자금으로 빼돌려 유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20년 세월 동안 박 전 대통령을 모신 최측근의 이런 폭탄 발언에 권력 무상이 느껴진다는 평이 많다. 법조계에서는 공직자는 이유를 막론하고 금품을 받으면 뇌물로 처리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10] 만약에 법원이 진짜로 뇌물로 판단하면 액수가 1억을 넘어 최소 징역 10년에서 최대 무기징역이기 때문에 때문에 이재만이 자기가 받게 될 형량을 낮추기 위해
11월 3일 안봉근과 마찬가지로 구속되었다.
2.2. 재판
자세한 내용은 국정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재판/이재만·안봉근·정호성 문서 참고하십시오.2.3. 복권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으로 복권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면을 결정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문재인 정부 시절 윤석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 한동훈 서울중앙지방검찰청 3차장을 맡아 당사자를 감옥으로 보냈던 사람들이다.3. 둘러보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인물 및 단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박근혜 측근 / 대리인 | 김기춘 · 우병우 · †이춘상 · 정호성 · 이재만 · 안봉근 · 박지만 · 박근령 · 신동욱 / 이중환 · 손범규 · 채명성 · 서성건 · 서석구 · 전병관 · 이상용 · 황성욱 · 배진혁[1] 유영하 · 이동흡 · 김평우 · 정기승 · 조원룡 · 이동찬 · 도태우 | |||
최순실 측근 / 변호인 | †최태민 · †임선이 · 최순득 · 정윤회 · 정유라 · 장시호 최재석 · †조순제 · 고영태 · 차은택 · 윤영식 / 이경재 · 맹준호 · 정준길 | ||||
정부 관계자 | 청와대 | 안종범 · 현기환 · 김한수 김상률 · 조원동 윤전추 · 이영선 · †김영한 | 행정부 | 황교안 · 문형표 · 김종덕 · 조윤선 김종 · 송성각 · 유진룡 · 여명숙 | |
국정원·국군·경찰 | 국정원·국군 | 추명호 · 조현천 | 경찰 | †최경락 · 박관천 · 백승석 · 이철성 | |
재단 · 협회 | 전경련 | 이승철 | 미르 · K스포츠 | 정현식 · 정동춘 · 이성한 노승일 · 박헌영 | |
국민연금 · 삼성그룹 승마협회 관련 | 문형표 · 홍완선 이재용 · 김재열 최지성 · 장충기 · 박상진 | 의료 논란 | 김영재 · 김상만 · 주사 아줌마 이선우 · 조여옥 · 신보라 · 이슬비 이임순 · 서창석 · 박채윤 | ||
이화여대 입시부정 및 특혜 | 김장자 · 최경희 · 김경숙 남궁곤 · 류철균 · 이인성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 김기춘 · 조윤선 · 김희범 · 김소영 정관주 · 신동철 · 모철민 · 송광용 | ||
정치인 | 이완영 · 이정현 · 김진태 · 이만희 · 유정복 | 기타 | †이상달 · 김해호 · 김현승 · 조한규 · 정규재 최순천 · 정우식 · 신주평 정원 · 이영복 · 린다 김 · 임애순 · 이정국 | ||
헌법재판관 | 박한철[2] · 이정미[3] · 김이수 · 이진성 · 김창종 · 안창호 · 강일원 · 서기석 · 조용호 | ||||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 박영수 · 이규철 · 박충근 · 이용복 · 양재식 · 윤석열 · 어방용 | ||||
사법부 | 한정석 · 조의연 | ||||
국회 탄핵심판 소추위원 / 대리인 | 권성동 · 장제원 · 윤한홍 · 박범계 · 이춘석 · 박주민 · 김관영 · 손금주 · 이정미 / 이명웅[4] · 황정근[5] · 최규진[6] · 문상식[7] · 김현수[8] · 임종욱[9] | ||||
관련 단체 | |||||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 · 친박 · 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 · 더블루K · 비덱 ·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 전경련 · 삼성그룹(삼성전자 승마단) · 국민연금공단 · 이화여자대학교 · 한독 경제인회 · 차병원그룹 | |||||
기타 | |||||
†박정희 · 영세교 · JTBC · 조선일보 · 한겨레 · 박사모 ·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 · 일베저장소 · 워마드 · 주식 갤러리 · 길라임 · 고령향우회 · 팔선녀 · 알자회 · 회오리축구단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 아프리카 TV | |||||
밑줄은 혐의를 주도한 핵심인물이고, 기울기는 내부고발자 및 피해자이며, 위첨자 †은 게이트 사건이 드러난 시점에 사망한 사람을 뜻합니다. |
[1] 2016년 12월 30일 박진현(여·32·변시2) 변호사가 사임하고 배진혁 변호사(37·사법연수원 43기)가 합류하였다.[2] 제5기 헌법재판소 소장. 2017년 1월 31일 퇴임[3] 헌법재판소 소장 권한대행, 2017년 3월 13일 퇴임[4] 헌법재판소 부장연구관 출신, 연수원 21기.[5] 판사 출신, 연수원 15기.[6] 판사 출신, 연수원 36기.[7] 검사 출신, 연수원 33기.[8] 검사 출신, 연수원 36기.[9] 로스쿨 출신, 변시 4회.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 주요 관련 인물 | <colbgcolor=#191919> 박근혜 측 | <colbgcolor=#fff,#1f2023>김기춘 · 우병우 · 안종범 · 문고리 3인방 · 조윤선 · 이재용 · 문형표 · 추명호 | ||||
최순실 측 | 정윤회 · 정유라 · 장시호 · 고영태 · 차은택 · 김종 | ||||||
관련 사건 | 전개 | 사건의 배경 · 타임라인 · 나비효과 · 박근혜의 해명 | |||||
주요 내용 | 문제점 · 국정 개입 · 인사 개입 · 재단 활동 · 의료 논란 · 세월호 7시간 | ||||||
수사·재판 | 검찰수사 · 특별검사 · 국정조사 · 재판 · 탄핵 · 구속 | ||||||
기타 | 언론 · 반응 ·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 ·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 박근혜 석방 집회(2017년, 2018년, 2019년) · 탄핵 부정 세력(영국과 일본의 정치학자들) ·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관련 인물 및 단체 | 관련 문화 및 여담 | 관련 사건 | 관련 집회 |
문고리 3인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안봉근 | 이재만 | 정호성 | }}}}}}}}} |
4. 관련 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 消費者의 關與度와 製品情報端緖가 商標忠誠度에 미치는 影響(소비자의 관여도와 제품정보단서가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2] 박사 학위 논문 : 최적자극수준, 사회적 적합성향, 그리고 사회 연계망이 혁신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3] 2016년 10월 30일 사표가 수리되었다.[4] 이재만, 박지만, 정윤회. 다만 실상은 조금 달랐다. 박지만 曰: 피보다 진한 물이 있습니다.[5] 최순실과 업무상 가끔 부딪치는데다가 보좌관이 적성에 안 맞았다고 한다.[6] 당시는 외환위기로 나라 상황이 좋지 못 해서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같은 좋은 학벌이었음에도 구직이 어려웠다.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어도 시기가 시기인 만큼 대학들도 채용을 안 하는 바람에(단국대가 부도난 것이 1997년이다.) 교수 임용도 어려운 상황이었다.[7] 예종석 교수는 한 때 공화당에 있다가 1969년부터 재야 정치인으로 활동한 예춘호의 아들이다. 이후 예종석 교수는 19대 대선에서 더문캠 홍보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지도교수와 대학원생이 정치 성향이 상반된 탓에 의외라고 할 수 있는데, 생각보다 이런 경우는 많다. 게다가 대학원생 이재만이 이런 길을 갈 것이라고 아무도 예상한 사람이 없었을 것이기도 하고.[8] 청와대 내 대통령 보좌진의 수장역할을 하는 자리[9] 당시 대법원 판단이 나오지 않은 상태였지만, 이후 대법원이 상고를 모두 기각하여 형이 확정되었다.[10] 커피 한 잔 얻어먹고 징계 먹은 경찰관이나 소방관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