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00:34:56

전함/배수량별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함
군함/배수량별 목록
수상전투함 배수량별 목록
초계함,경비함,고속함/배수량별 목록 호위함/배수량별 목록 구축함/배수량별 목록 순양함/배수량별 목록 전함/배수량별 목록

1. 개요2. 1500년 ~ 1860년 이전
2.1. 500톤 이상 ~ 3,000톤 미만2.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2.3. 5,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3. 1860년 ~ 1914년
3.1. 500톤 이상 ~ 3,000톤 미만3.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3.3. 5,000톤 이상 ~ 1만톤 미만3.4. 1만톤 이상 ~ 2만톤 미만3.5. 2만톤 이상 ~ 3만톤 미만
4. 1914년 ~ 1949년
4.1. 2만톤 이상 ~ 3만톤 미만4.2. 3만톤 이상 ~ 4만톤 미만4.3. 4만톤 이상 ~ 5만톤 미만4.4. 5만톤 이상 ~ 6만톤 미만4.5. 6만톤 이상 ~ 7만톤 미만4.6. 7만톤 이상 ~ 15만톤 미만
5. 1950년 ~ 현대
5.1. 8만톤 이상 ~ 9만톤 미만
6. 외부 링크7. 관련 문서

1. 개요

이 항목은 각국에서 건조한 전함(Battleship)을 배수량 순과 시기별로 기재하는 하는 항목이다.

전함은 시기별로 지칭하는 함종이 다르다. 1860년 이전에는 주로 전열함(ship of the line)의 준말로 등장하여 혼용하여 언급했다. 1800년대 후반기에는 장갑전함(ironclad warship)이 출현했으며 그 이후에 중무장과 중장갑을 보유하면서도 일단 원양항해가 가능하게 된 군함인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전노급)이 탄생한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도래하기 전에 드레드노트급 전함(노급)이라는 것이 탄생했다. 이와 동시에 기존에 전함으로 불렸던 군함들은 드레드노트급의 성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군함이라는 이유로 인해 전(前)드레드노트급 전함이라고 명칭이 변경된다. 그 외에 준드레드노트급 전함 (semi-dreadnought battleship) 이라는 명칭으로 신규 개발해서 기존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보다는 우세하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여전히 드레드노트급의 성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군함이라는 명칭이 생기기도 했다.

그 이후에는 기존의 주포 구경인 12인치 (305mm)를 능가하는 주포를 보유하고 종합전투력이 드레드노트급 전함보다 우월한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이 영국의 오라이언급 전함을 시작으로 등장하면서 건함 경쟁이 가속화된다.

이렇게 발전하던 전함들은 1차대전 후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비롯한 군축조약으로 주력함의 1척당 기준배수량 3만5천롱톤과 주포 구경 16인치 (406mm) 이하 제한 및 각국별로 정해진 주력함 총합 배수량 쿼터등의 제한으로 인해 해군의 휴일을 맞으면서 대형화가 정지되고 한동안 신규 전함이 만들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다가 1937년에 해군조약들이 붕괴되면서 다시 건함 경쟁이 시작되고 제2차 세계 대전에 이르러서야 현대에도 1급 전함이라 생각하는 배수량 5만톤 전후의 군함이 탄생한다.

2. 1500년 ~ 1860년 이전

전투용 범선의 최고봉이었던 전열함의 시대를 말한다.

2.1. 500톤 이상 ~ 3,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rincess_charlotte.jpg
1838년 그림, HMS Princess Charlotte (1825)
프린세스 샤를로트급 104문형 1급 전열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프랑스 테레즈 3급 전열함(1665년) 900톤 1665년 진수
프랑스 솔레이유로얄 1급 전열함(1670년) 1,630톤 1671년
프랑스 도팽로얄 1급 전열함(1668년) 1,800톤 1668년
영국 프린세스 샤를로트급 104문형 1급 전열함[1] 2,446톤 1825년 9월 14일
프랑스 테메레르급 3급 전열함 2,900톤 1783년 7월

2.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breton_engraving-16.jpg
19세기, 프랑스의 Jean Bart(1852)
수프렌급 90문형 전열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프랑스 수프렌급 90문형 전열함[2] 4,070톤 1831년 3월
프랑스 에큘르급 100문형 전열함[3] 4,440톤 1836년 진수
영국 빅토리아급 121문형 1급 전열함[4] 4,236톤 1860년 3월 7일 진수

2.3. 5,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Duke_of_Wellington_at_Keyham.jpg
1870년대
듀크 오브 웰링턴급 131문형 1급 전열함(1852년)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프랑스 나폴레옹급 전열함(1850년)[5] 5,120톤 1852년 5월 1일
영국 듀크 오브 웰링턴급 131문형 1급 전열함(1852년)[6] 5,892톤 ~ 6,071톤 1852년

3. 1860년 ~ 1914년

철갑선이 본격적으로 출현한 시기인 1860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는 시점인 1914년 7월 28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해당 기간 안에 철갑선이 발전하여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을 거쳐서 드레드노트급 전함이 출현한 후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까지 등장한 시기를 말한다.

3.1. 500톤 이상 ~ 3,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nitor_model.jpg
1862년
미국의 USS 모니터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미국(북군) USS 모니터[7]
(모니터함/철갑선)
1,003톤 1862년 2월 25일

3.2.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SS_Virginia%2C_wash_drawing_by_Clary_Ray_%28Photo_-_NH_57830%29.jpg
1898년
아메리카 연합국의 CSS 버지니아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아메리카 연합국[8](남군) CSS 버지니아 장갑전함[9]
(장갑전함/철갑선)
4,100톤 1862년 2월 17일

3.3. 5,000톤 이상 ~ 1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MS_Tegetthoff.png
오스트리아-헝가리
SMS 테게트호프 장갑전함(1878년)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미국 USS 텍사스[10]
(전드레드노트급 전함)[11]
6,417톤 1895년 8월 1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SMS 테게토프 장갑전함(1878년)[12]
(중앙포곽함,장갑함)
7,390톤 1882년 8월 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합스부르크급 전함[13]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8,364톤 1902년 12월 31일
러시아 시소이 벨리키 전함[14]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9,748톤 1896년 8월 30일

3.4. 1만톤 이상 ~ 2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Nebraska_BB-14.jpg
1910년 7월 22일
미국의 USS Nebraska (BB-14)/버지니아급 전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독일 브란덴부르크급 전함[15]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0,013톤 1893년 10월 31일
프랑스 데바스타시옹급 장갑전함[16]
(중앙포곽함[17],장갑함)
10,090톤 9,659톤 1882년 7월 15일
러시아 나바린급 전함[18]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0,370톤 1896년 6월
미국 키어사지급 전함[19]
(전드레드노트급 전함)[20]
10,470톤 1900년 2월 20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에르츠헤르초그 카를급 전함[21]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0,472톤 1906년 6월 17일
러시아 로스티슬라브급 전함[22]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0,689톤 1900년 3월
영국 센추리온급 전함[23]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0,805톤 1894년 2월 14일
독일 카이저 프리드리히3세급 전함[24]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1,599톤 10,790톤 1898년 10월 7일
러시아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전함[25]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1,536톤 ~ 12,032톤 1897년
미국 인디아나급 전함[26]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1,876톤 10,453톤 1895년 11월 20일
미국 일리노이급 전함[27]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2,450톤 11,751톤 1900년 10월 16일
독일 비텔스바흐급 전함[28]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2,798톤 1902년 10월 1일
미국 아이오와(BB-4)[29]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2,850톤 11,590톤 1897년 6월 16일
러시아 레트비잔 전함[30]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2,912톤 1902년
러시아 에프스타피급 전함[31]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2,942톤 1911년 4월 1일
미국 키어사지급 전함[32]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060톤 11,730톤 1900년 2월 20일
영국 HMS 리나운 (1895)[33]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071톤 1897년 6월 8일
러시아 체자레비치 전함[34]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105톤 1903년
러시아 포템킨 전함[35]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107톤 1905년
러시아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전함[36]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532톤 1896년 중반
미국 메인급 전함[37]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900톤 13,052톤 1902년 12월 29일
이탈리아 레지나 엘레나급 전함[38]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029톤 12,691톤 1907년 9월 11일
독일 도이칠란트급 전함[39]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218톤 13,200톤 1906년 8월 3일
이탈리아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전함[40]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319톤 13,472톤 1904년 4월 14일
독일 브라운슈바이크급 전함[41]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394톤 1904년 10월 15일
영국 카노푸스급 전함[42]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500톤 1899년 12월 5일
러시아 페레스베트급 전함[43]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3,534톤 ~ 14,639톤 1901년
러시아 보로디노급 전함[44]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317톤 ~ 14,646톤 1904년
미국 미시시피급 전함[45]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697톤 13,209톤 1908년 2월 1일
영국 카노푸스급 전함[46]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500톤 1899년 12월 5일
영국 로열 소버린급 전함[47]
(전드레드노트급 전함)[48]
15,838톤 15,020톤 1892년 5월 3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라데츠키급 전함[49]
(준드레드노트급 전함)
15,847톤 14,508톤 1910년 6월 5일
영국 마제스틱급 전함[50]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6,320톤 1895년 12월 12일
미국 버지니아급 전함[51]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6,352톤 15,188톤 1906년 2월 19일
스페인 에스파냐급 전함[52]
(드레드노트급 전함)[53]
16,450톤 15,700톤 1913년 10월 23일
미국 코네티컷급 전함[54]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7,666톤 16,000톤 1906년 6월 2일
미국 미시시피급 전함[55]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4,697톤 13,209톤 1908년 2월 1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급 전함 [56]
(드레드노트급 전함)
17,900톤 16,300톤 1910년 3월 1일
영국 로드 넬슨급 전함[57]
(준드레드노트급 전함)[58]
18,106톤 15,604톤 1911년
러시아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전함[59]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18,880톤 17,600톤 1911년
프랑스 당통급 전함[60]
(준드레드노트급 전함)
19,451톤 18,458톤 1911년 7월 24일

3.5. 2만톤 이상 ~ 3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MS_Kronprinz_Wilhelm_in_Scapa_Flow.jpg
1919년
독일의 SMS Kronprinz(쾨니히급 전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deep load 기준배수량/배수량 취역
일본 사쓰마급 전함[61]
(준드레드노트급 전함)
20,423톤 19,683톤 1910년 3월 25일
독일 나사우급 전함[62]
(드레드노트급 전함)
21,000톤 18,570톤 1909년 10월 1일
영국 드레드노트[63]
(드레드노트급 전함)
21,160톤 18,410톤 1906년 12월 2일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급 전함[64]
(드레드노트급 전함)
21,200톤 19,281톤 1910년 1월
이탈리아 단테 알리기에리[65]
(드레드노트급 전함)
21,600톤 19,500톤 1913년 1월 1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테게토프급 전함[66]
(드레드노트급 전함)
21,689톤 20,013톤 1912년 12월 5일
일본 카와치급 전함[67]
(준드레드노트급 전함)[68]
21,787톤 21,157톤 1912년 3월 31일
영국 벨레로폰급 전함[69]
(드레드노트급 전함)
22,102톤 18,800톤 1909년
미국 델라웨어급 전함 [70]
(드레드노트급 전함)
22,759톤 20,707톤 1910년 4월 4일
영국 세인트 빈센트급 전함[71]
(드레드노트급 전함)
23,030톤 19,560톤 1910년
미국 플로리다급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
23,403톤 22,175톤 1911년 8월 31일
독일 헬골란트급 전함[72]
(드레드노트급 전함)
24,700톤 22,808톤 1911년 8월 1일
프랑스 쿠르베급 전함[73]
(드레드노트급 전함)
25,579톤 23,475톤 1913년 6월 5일
독일 카이저급 전함[74]
(드레드노트급 전함)
27,000톤 24,724톤 1912년 8월 1일
미국 와이오밍급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
27,680톤 26,000톤 1912년 9월 17일
독일 쾨니히급 전함[75]
(드레드노트급 전함)
28,600톤 25,796톤 1913년 8월 9일
미국 뉴욕급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76]
28,822톤 27,433톤 1914년 3월 12일
독일/네덜란드 1913년 전함 계획[77]
(드레드노트급 전함)
29,598톤 27,122톤 취소

4. 1914년 ~ 1949년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진 1914년 7월 28일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1945년 8월 15일에 끝난 후 기존의 건함 계획에 따라 건조하던 군함들이 완성되거나 건조 중지된 후 스크랩되거나 아예 처음부터 취소되거나 하는 과정이 대부분 완료되는 1949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해당 기간 중에는 고속전함이 전함의 목표로 확정되었으며 군축조약을 준수하는 조약형 전함과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의 에스컬레이터 규정을 준수하는 전함 및 군축조약에서 탈퇴하여 제한없이 만들어진 탈조약 전함이 존재했다.

군축조약으로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의 대다수와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상당수가 퇴역 및 해체당했으나 남아있는 기존의 전함들도 근대화개장을 통해서 성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해체된 전함의 부품은 다른 군함의 수리용이나 교체용으로 사용했으며 주포와 주포탑은 용도를 변환하고 어느 정도는 개조한 후에 해안포요새포로 재활용했다.

4.1. 2만톤 이상 ~ 3만톤 미만

파일:attachment/image_213.jpg
소련의 강구트급 전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러시아[78]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전함[79]
(드레드노트급 전함)
25,039톤 23,789톤 1915년 10월 18일
프랑스 브르타뉴급 전함[80]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26,000톤 23,936톤 1916년 2월 10일
소련 강구트급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
27,300톤 24,800톤 1915년 1월 11일
미국 네바다급 전함
(표준형 전함)
28,900톤 27,900톤 1916년 3월 11일
칠레 알미란테 라토레[81]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29,059톤 25,000톤 1920년 8월 1일
이탈리아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82]
(고속전함)[83]
29,600톤 27,600톤 1937년 6월[84]
이탈리아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85]
(고속전함)[86]
29,863톤 29,345톤 1940년 4월[87]
프랑스 됭케르크급 전함
(고속전함)
26,500 ~ 30,100톤 29,326 ~ 34,700톤 1915년 11월 8일

4.2. 3만톤 이상 ~ 4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Royal_Sovereign_FL18403.jpg
1943년 9월
영국리벤지급 전함/HMS Royal Sovereign (05)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미국/아르헨티나 리바다비아급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
30,100톤 27,500톤 1914년 8월 27일
영국 애진코트
(드레드노트급 전함)[88]
30,860톤 27,850톤 1914년 8월 20일
독일 바이에른급 전함[89]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32,200톤 28,530톤 1916년 7월 15일
미국 펜실베이니아급 전함
(표준형 전함)
32,429톤 29,626톤 1916년 6월 12일
영국 리벤지급 전함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33,500톤 29,150톤 1916년 1월
미국 뉴멕시코급 전함
(표준형 전함)
33,530톤 32,514톤[90] 1917년 12월 18일
미국 테네시급 전함
(표준형 전함)
33,723톤 32,818톤 1920년 6월 3일
미국 콜로라도급 전함
(표준형 전함)
34,130톤 33,218톤 1921년 7월 21일
영국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고속전함)
36,500톤 27,500톤 1915년 5월 29일
일본 후소급 전함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30,600 ~ 39,154톤 29,326 ~ 34,700톤 1915년 11월 8일
일본 이세급 전함
(항공전함)
32,062 ~ 40,169톤 29,900 ~ 36,000톤 1917년 12월 15일

4.3. 4만톤 이상 ~ 5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apanese_Battleship_Nagato_1944.jpg
1944년 10월 21일 동남아시아브루나이 근해
일본나가토급 전함/Nagato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영국 넬슨급 전함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41,250톤 33,950톤 1927년 8월 15일
영국 라이온급 전함
(고속전함)
42,550톤 취소
영국 킹 조지 5세급 전함(1939년)
(고속전함)
42,237 ~ 44,460톤 38,031톤 1940년 12월 11일
미국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고속전함)
44,519톤 35,000톤 1942년 3월 20일
일본 나가토급 전함
(고속전함)
44,672톤[91] 39,130톤 1920년 11월 25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고속전함)
45,500톤 36,000톤 1941년 4월 9일
이탈리아 리토리오급 전함
(고속전함)
45,963톤 41,377톤 1940년 4월 28일
프랑스 리슐리외급 전함
(고속전함)
47,728톤 43,957톤 1943년 10월 10일

4.4. 5만톤 이상 ~ 6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93-04-1-26%2C_Schlachtschiff_Bismarck.jpg
1949년
나치 독일의 Bismarck(비스마르크급 전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영국 뱅가드급 전함
(고속전함)
52,250톤 45,200톤 1946년 5월 12일
독일 비스마르크급 전함
(고속전함)
50,300 ~ 52,600톤 41,700 ~ 42,900톤[92] 1940년 8월 24일
미국 아이오와급 전함
(고속전함)
57,000톤[93] 45,000톤 1943년 1월 22일

4.5. 6만톤 이상 ~ 7만톤 미만

파일:external/www.korabli.eu/shema-sovetskiy-soyuz.png
소련페이퍼 플랜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Project 23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개발
독일 H-39[94]
(고속전함)
63,600톤[95] 1939년 9월 30일 취소
소련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Project 23)[96]
(고속전함)
65,150톤[97] 59,150톤 1941년 7월 10일 취소

4.6. 7만톤 이상 ~ 15만톤 미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amato_Trial_1941.jpg
1941년 10월 20일
일본야마토급 전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미국 몬태나급 전함
(고속전함)
72,104톤 취소
미국 최대 전함[98]
(고속전함)
57,600 ~ 72,600톤[99] 취소
일본 야마토급 전함
(고속전함)
73,000톤[100] 71,111톤 1941년 12월 16일
독일 H-41
(고속전함)
76,003톤[101] 취소
독일 H-42
(고속전함)
98,104톤[102] 취소
일본 A-150 전함
(고속전함)
100,000톤[103] 80,000톤 취소
독일 H-43
(고속전함)
120,010톤[104] 취소
독일 H-44
(고속전함)
141,507톤[105] 취소

5. 1950년 ~ 현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훈으로 전함의 공격, 방어, 주행의 전반적인 면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전함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들이 많아져서 전함의 황혼 시대가 도래했다.

그래서 추축국은 전쟁에서 패배해서 건함 계획이 사라졌고 연합국과 기타 국가들도 기존의 건함 계획을 취소하였으며 전쟁 중에 건조가 개시되어 완성직전이기에 포기하지 못하고 완성된 영국의 뱅가드와 미완성 상태로 진수된 후 항해는 가능한 리슐리외급 전함 2번함 장 바르만 완성되었다.

하지만 전쟁 후의 군비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현역 전함들이 함령도 제대로 못채우고 퇴역한 후 해체당하거나 모스볼 처리된 후 1960년대 이후에 더 이상 전함을 동원한 함포사격전이 일어날 수 없다고 판단해서 대부분 해체되거나 기념함이 된다.

유일하게 소련만 전함과 순양전함의 건함계획을 유지하였으나 이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고집에 따른 것으로 1953년스탈린이 사망한 후에 니키타 흐루쇼프 정권이 들어서자마자 소련 해군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취소된다.

미국의 아이오와급 전함은 육상포격지원용으로 재취역과 퇴역을 반복하다가 2011년에 4척 모두 기념함이 되면서 전함은 완전하게 퇴역하고 전함의 시대는 막을 내린다.

5.1. 8만톤 이상 ~ 9만톤 미만

파일:external/i234.photobucket.com/Project24_final_small.jpg
소련페이퍼 플랜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개량형(Project 24)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배수량 기준배수량 취역
소련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개량형
(Project 24)[106]
(고속전함)
81,150톤 72,950톤 취소

6. 외부 링크

(영어 위키백과)전함 목록
(영어 위키백과)Ship of the line
(영어 위키백과)List of ships of the line of the Royal Navy

7. 관련 문서



[1] 프린세스 샤를로트급 104문형 1급 전열함[2] 수프렌급 90문형 전열함[3] 에큘르급 100문형 전열함[4] 빅토리아급 1급 전열함[5] 나폴레옹급 전열함(1850년)[6] 듀크 오브 웰링턴급 131문형 1급 전열함(1852년)[7] USS 모니터[8] 아메리카 연합국[9] CSS 버지니아 장갑전함[10] USS 텍사스 (1892)[11] 미국 최초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12] SMS 테게토프 장갑함(1878년)[13] 합스부르크급 전함[14] 시소이 벨리키 전함[15] 브란덴부르크급 전함[16] 데바스타시옹급 장갑전함[17] 중앙포곽함[18] 나바린급 전함[19] 키어사지급 전함[20] 전드레드노트급 전함[21] 에르츠헤르초그 카를급 전함[22] 로스티슬라브급 전함[23] 센추리온급 전함[24] 카이저 프리드리히3세급 전함[25]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전함[26] 인디아나급 전함[27] 일리노이급 전함[28] 비텔스바흐급 전함[29] 아이오와(BB-4)[30] 레트비잔 전함[31] 에프스타피급 전함[32] 키어사지급 전함[33] HMS 리나운 (1895)[34] 체자레비치 전함[35] 포템킨 전함[36]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전함[37] 메인급 전함[38] 레지나 엘레나급 전함[39] 도이칠란트급 전함[40]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전함[41] 브라운슈바이크급 전함[42] 카노푸스급 전함[43] 페레스베트급 전함[44] 보로디노급 전함[45] 미시시피급 전함[46] 카노푸스급 전함[47] 로열 소버린급 전함[48] 영국 최초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49] 라데츠키급 전함[50] 마제스틱급 전함[51] 버지니아급 전함[52] 에스파냐급 전함[53] 스페인의 재정부족 문제로 인해 배수량 축소 및 꼭 필요한 기능만 달아서 드레드노트급 전함중 가장 작은 전함으로 만들어짐[54] 코네티컷급 전함[55] 미시시피급 전함[56] 사우스캐롤라이나급 전함[57] 로드 넬슨급 전함[58] 드레드노트가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든 영국 최후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겸 유일무이한 준드레드노트급 전함[59]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전함[60] 당통급 전함[61] 사쓰마급 전함[62] 나사우급 전함[63] HMS 드레드노트[64] 미나스제라이스급 전함[65] 단테 알리기에리[66] 테게토프급 전함[67] 카와치급 전함[68] 주포 구경은 12인치 (305mm)로 동일하나 주포 구경장을 45구경장과 50구경장을 혼용해서 탄도 차이로 인해 협차사격이 불가능함[69] 벨레로폰급 전함[70] 델라웨어급 전함[71] 세인트 빈센트급 전함[72] 헬골란트급 전함[73] 쿠르베급 전함[74] 카이저급 전함[75] 쾨니히급 전함[76] 14인치 (356mm) 주포 10문을 보유했으나 미국식 분류로는 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77] 1913년 전함 계획[78] 소련은 침몰한 전함의 파괴된 잔해만 입수했고 복구가 불가능해서 스크랩했다.[79] 임페라트리차 마리야급 전함[80] 브르타뉴급 전함[81] 알미란테 라토레 전함[82]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83] 재건조급 근대화개장으로 군함의 특성이 완전히 달라짐[84] 재건조 완료 기준[85]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86] 재건조급 근대화개장으로 군함의 특성이 완전히 달라짐[87] 재건조 완료 기준[88] 오스만 제국에 수출할 전함을 윈스턴 처칠이 강탈한 관계로 주포가 12인치 (305mm) 14문이다.[89] 바이에른급 전함[90] 관련 링크[91] 나가토급 만재 배수량 정보 - 독일어[92] 비스마르크급 배수량 정보[9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배수량[94] H급 전함[95] H급 전함 배수량 정보[96] http://en.wikipedia.org/wiki/Sovetsky_Soyuz-class_battleship[97] 초기 계획은 13만 톤급이었지만 축소했다고 한다.[98] 영어명이 Maximum Battleship이다. 설계자 명을 따서 Tillman Battleship이라고도 불리는 듯.[99] 설계안에 따른 차이가 있다.[100] 야마토급 배수량 정보[101] Gröner, Erich (1990). German Warships: 1815–1945. Annapolis: Naval Institute Press. ISBN 978-0-87021-790-6. OCLC 22101769/Gröner, pp. 35–37.[102] Gröner, Erich (1990), p. 38[103] 초야마토급 배수량 정보[104] Gröner, Erich (1990), p. 38[105] Gröner, Erich (1990), p. 38[106]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