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3:35:27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경상북도 봉화군\}}}에 대한 내용은 [[BYC(지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YC(지명)#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YC(지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경상북도 봉화군\: }}}[[BYC(지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YC(지명)#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YC(지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d71820><colcolor=#fff> 정식명칭 주식회사 비와이씨 영문명칭 BYC Co., Ltd. 창립일 1946년 8월 15일 설립일 1955년 5월 13일 설립자 한영대 대표이사 김대환 업종명 속옷 및 잠옷 제조업 상장유무 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75년 ~ 현재) 종목코드 001460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디지털로 38길 27 BYC 본사 (대림동 ) 하이시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 1로 131 BYC 하이시티 (가산동 ) 자본금 42억원 (2020) 매출액 1,609억 1천만원 (2020) 영업이익 225억 7천만원 (2020) 당기순이익 177억 5천만원 (2020) 직원 수 553명 (2021.09.30) 링크 |
1 . 개요2 . 역사3 . 지배구조4 . 역대 임원5 . 특징6 . 브랜드 목록7 . 계열사 목록
대한민국 의 내의류 제조사로, 라이벌 쌍방울 처럼 전라북도 지역을 연고로 한다. 원래 사명은 주식회사 백양(白羊) 이었으나 BYC 브랜드 출시로 인기를 얻으면서 1996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바꾸었다. 1946년 8월, 미군정 조선 전라북도 정읍군 에서 한영대(1923~2022) 창업주가 백부의 양말공장을 인수해서 '한흥메리야스공장'을 세운 게 기원이다. 8.15 광복 직후 물자 부족이 심화된 터라 속옷 을 입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는데, 한영대 사장은 충청남도 대전 의 수동 양말기 제작소에 양말기를 개량토록 하여 5달 만에 국내 최초의 메리야스 편직기를 만들어 대량생산을 달성했다. 1950년 6.25 전쟁 으로 내장산 , 덕유산 에서 빨치산 들이 출몰해서 사업이 어려워지자 전쟁의 화가 미치지 않은 전주시 로 내려가서 기존의 공장 건물을 인수한 후, 고향 정읍에 있던 설비를 그대로 옮겼다. 1955년 '한흥산업'으로 법인화하여 서울 창경원 에서 열린 '해방 10주년 기념 산업박람회'에 출품한 후 산업박람회장(국회의장 )상을 받아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1957년 '백양(白羊)# ' 상표를 처음 썼다.1960년 '한흥물산'으로 사명을 바꾸고 1967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도림동 1002번지에 새 공장을 차렸고, 1970년 국세청 으로부터 성실신고법인으로 지정됐다. 1975년 속옷업계 최초로 기업공개 를 단행한 뒤 1977년 국제양모사무국으로부터 울 마크를 획득했고, 1979년 사명도 아예 상표명인 '백양'으로 변경한 후 전라북도 전주시 팔복동 에 새 공장을 세워 영등포공장 생산라인을 그쪽으로 통합시켰다. 1984년 산업체 부설학교 인 정명여자상업고등학교를 개교하고 1985년 에 학교법인 안세학원을 인수했고, 같은 해에는 전라북도 익산군 에 편직공장을 세우며 독자 브랜드 'BYC'를 런칭해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고, 란제리 브랜드 '아미에'를 런칭했다. 1986년 서울 구로공단 유영섬유 공장 터에 란제리류 생산공장(현 BYC 가산동 하이시티 및 BYC 직영 가산점)을, 1987년 전주 스타킹 제조공장을 각각 세웠다. 한동안 섬유/내의 분야에만 한 우물을 파 오다가 1990년대 들어 사업다각화를 시도, 1995년 에는 광고기획사 바이콤광고를 세운 뒤 본사가 출자한 전북 지역보험사 한신생명의 대주주 로 등극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 상하이 에 첫 해외법인을 세웠다. 1996년 현 명칭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7년 에 1998 프랑스 월드컵 공식 상품화권자로 지정됐고, 같은 해엔 한영대 회장의 차남 한석범이 대표이사가 되면서 2세 경영체제가 수립됐다. 2017년 부터 지수 와 크리샤 츄 를 광고 모델로 섭외한 후에는 B eyond Y our C lothes라는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하고 있다.3. 지배구조2021년 9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한에디피스 18.4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승홀딩스 10.55%(보통주 ) 0.03%(우선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한학원 5.0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원기업 0.2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일관 3.0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화상품 0.9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백양 0.0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석범 8.05%(보통주) 0.03%(우선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지형 0.67%(보통주) 0.07%(우선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장은숙 3.6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지원 4.4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서원 3.3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승우 3.5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상훈 0.0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대환 0.07%(보통주) 0.02%(우선주)
4. 역대 임원대표이사 사장 한영대 (1955~1975) 김학래 (1975~1977) 김종기 (1977~1979) 김성남 (1979~1982) 서태원 (1982~1994) 황창익 (1994~1997) 한석범 (1997~2004) 고진석 (1997~2006) 한남용 (2005~2010) 김병석 (2010~2016) 유중화 (2016~2019) 고윤성 (2019~2021) 김대환 (2021~) 왠지 아줌마 , 아저씨 내복 이나 런닝 , 흰색 삼각팬티 만 찍어낼 거 같은 보수적인 느낌이지만, 나름대로 브랜드 내의인 스콜피오가 이 회사에서 나오며, 뜻밖에 양말 이나 기타 겉옷 류의 의류 도 생산, 판매하고 있다. 1970년대 초반생들까지는 쌍방울 , 태창 등처럼 메리야스 전문 메이커로 알려졌으며, 2001년 경에 땀냄새 제거 기능을 갖춘 속옷인 '데오니아'를 출시한 바가 있다. 여름 용 내의인 '모시메리'도 나름 유명한 제품. 창업 이후 일찌감치 독자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한 기업으로 높은 품질로 해외에서 점차 인정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1985년 부터 BYC라는 수출용 브랜드를 런칭하여 호조를 띠자, 1991년 부터 국내에서 CF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심으려고 노력을 많이 하였다. 1980년대 초반에는 배우 조경환 이 전속모델로 활약했고, 1988년 ~1993년 에는 유인촌 , 1994년 ~1995년 에는 김영철 -이문희 부부가 있었다. 상당수 광고들은 계열사인 바이콤광고가 기획한다. ▲ 유인촌이 출연한 1992년 작 BYC CF. CF에 나오는 로고송은 BYC 대표 로고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상당히 유명하다. 14초 쯤에서 이광기 의 모습도 잠깐 보인다. 오른쪽 CF에는 이미연 도 나온다. ▲ 위 CF와 동일한 시기에 방송된 라디오 광고 에서는 릭 애스틀리 의 Never Gonna Give You Up 을 BGM으로 사용했다. ▲ 태조 왕건 의 궁예 , 4딸라 (...)로 유명한 배우 김영철 이 출연한 1994년 작 CF로, 부인 이문희와 동반 출연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 2020년 부터는 걸그룹 오마이걸 의 멤버 아린 을 새로운 광고 모델로 섭외하면서 중장년층을 위한 브랜드라는 편견을 깨고 젊은 소비자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이에 대한 반응은 아저씨들이나 입을 법한 올드한 느낌이었다가 이제 신선해진것 같다며 호평 일색이다.2025년 부터는 광고 모델이 츄 로 바뀐다. # 본사와 공장 모두 서울 영등포구 대림2동에 있으나 1990년대 후반이나 2000년대 초반 이후로 대림동 공장 시설은 가동이 중지된 상태. 2012년 9월 기준으로 본사건물 뒤편에 있던 생산시설은 철거된 상태. 원래 원단 공장으로 운영되었던 전주공장은 얼마전까지는 완제품까지 생산했으나 2012년 이후에는 인도네시아 로 상당부분 생산기능을 이전해서 원단 및 재단물만 만들다가 2017년 부터 생산 자체를 중단하면서 점차 폐건물이 되어 주변 미관상 장애 요인이 됐고, 재개발 얘기가 나오지만 뾰족한 대안이 안 나오고 있다. 한때 일부 제품은 개성공단 입주자회사인 개성제일상품 등지에서 생산되었으나 TRY 제품과 달리 북한산 으로 표기되지 않고 한국산 으로 표기되었다. 본사 바로 옆에 직영매장이 있는데 BYC 제품을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 가능하다. 2006년 까지는 가리봉 수출의 다리 주변에도 구로공장이 있었으나 이후에 철거되어 'BYC 하이시티'라는 아파트형 공장 및 사무용 건물로 재건축되었다. 대림동 부지 재개발 문제는 지역사회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떡밥이지만 2012년 이후 기준으로도 구체적인 얘기는 아직 없는 모양. 다만 건물, 시설 자체가 워낙 낡았기에 앞으로 재개발될 가능성이 좀 있다. 현재는 대림동 직영매장터를 갈아엎고 새 본사 건물을 지어 2023년 하반기에 준공되었다. 매우 인접한 주상복합 아파트 1층에 임시매장을 운영했다가 신사옥 1층에 직영 매장을 다시 열었다. 신사옥 준공으로 구사옥 마당은 유료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회사 이름조차 여러 번 바뀌었던 쌍방울 과 다르게 BYC는 무리한 사업확장을 하지 않아서 그런지 IMF 사태 이후에도 회사 자체는 큰 굴곡 없이 운영해오고 있는 모양이다. 다만 1998년 까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BYC 생명'이라는 사명으로 생명보험사를 운영했던 흑역사는 있었다. 옛 구로공장(란제리류 생산) 터를 갈아엎어 BYC 하이시티라는 오피스텔 을 짓는 등 은근히 소규모 부동산업에도 손을 대는 듯. 실제로 가맹점 을 제외하고 BYC 직영점 점포들을 보면 대다수가 BYC가 소유한 건물이다. 즉, 건물주 가 직접 점포를 운영하는 형태. 보통 1층에 BYC 매장이 있고 매장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상가나 사무실등으로 임차를 줘 수익을 올리는데, 건물들이 목좋은 자리에 많아서 전국적으로 벌어들이는 임대료 수익이 쏠쏠하다고 한다. 직영매장 한 구석에 BYC 회원 한정으로 떨이상품을 판매하는 코너가 있다. 어느 정도의 떨이판매이냐면, 정가로 15000원에 가까운 3개입 1세트 남성용 삼각팬티 가 한 장에 1~2천원에 파는 수준. 특히 서울 대림동에 있는 직영점은 할인상품 코너가 전국 직영점 중 가장 큰 편이었다. 예전엔 사이즈를 105호까지만 제작하였는데, 그 이상의 체격을 가진 사람들도 예전보다는 늘어나서인지 요샌 110호 이상도 나오고 있긴 하다. 백화점 고급 브랜드 반팔런닝도 110호 사이즈가 나오고 쌍방울 트라이는 115호까지 나오는데 비해 아쉬웠던 부분이 개선된 셈이다. 일부 직영매장에서는 115호 이상 사이즈의 속옷을 판매하기도 한다. 경기도 평택시 에 있는 신한중학교 , 신한고등학교 가 계열 재단인 학교법인 신한학원 산하다. 오너 일가 3세의 국적이 대한민국 이 아니라 캐나다 이다. 관련 기사 #1 , #2 주주행동주의 펀드로 유명한 '트러스톤자산운용'이 2021년 들어서 꾸준히 주식을 사모으더니 지분 8%를 넘긴 12월 22일 경영참여를 공식선언하였다.기사 2022년 한영대 창업주 사후 부인 김금순 여사와 장녀 한지형이 차남 한석범 회장, 삼남 한기성 한흥물산 대표 등을 상대로 유류분권 청구 소송을 제기한 상태며# 2025년 2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화해 권고를 내렸으나, 차남 한 회장 등이 이의 제기하면서 3월 14일 변론기일 예정.# 6. 브랜드 목록7. 계열사 목록국내법인 한승홀딩스: 2021년 신한방에서 분할된 투자법인. 신한방: 구 제일섬유. 방직업 및 '퍼즈카페' 체인 운영. 남호섬유 삼화공업 한영봉제 신한봉제 창성상품 제일상품 한경섬유: 한영대 창업주의 3남 한기성의 몫이다. 경동흥업 신한에디피스 BYC마트: 구 신한마트. 백양: 구 에스앤디상사. 부동산 임대업체이자 화장품 '코니샤' 등 판매업체로, 한영대 창업주의 딸 한지형의 몫이다. 한정씨앤지 백양네트웍스: 구 한신이엔지. 일관 제원기업: 구 신한제이원. 신한농림 바이콤광고: 인하우스 광고기획사. 학교법인 신한학원 해외법인 BYC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KYDO 인도네시아 개성제일상품: 북한 개성공단 입주법인. 법인은 현존하나 2016년 2월에 공장이 폐쇄되었다. 개성경동흥업: 이하 동일. 개성제일상품과 마찬가지로 법인은 남아 있으나 공장이 폐쇄되었다. 그린바이오: 구 담양바이오랜드. 2014년 청산. 기린섬유: 2017년 창성상품으로 합병. 백양 USA: 미국 현지법인. 2019년 청산. 베비라: 구 진흥섬유. 유아용품 생산/판매업체로 1979년 개인기업으로 창립 시부터 한영대 창업주와 임용빈이 공동으로 운영해왔다가, 1989년 말 경영권 분쟁이 터진 후 사실상 BYC의 관계사로 남아 '한나어패럴', '아이디에프' 등의 자회사를 두다가 1998년 부도 를 맞았고, 그 뒤에도 BYC 계열로 남다가 2002년 회생절차 를 조기 졸업했다. 2005년 비엠에이치코리아로 매각된 후 이듬해 TBK전자로 넘겨져 그쪽으로 역합병 돼 우회상장 됐다가, 2008년 에 후신인 프리네트웍스로부터 분리되어 '올아이원'이란 법인으로 독립한 뒤 BI 변경, '프레비니' 같은 신규 브랜드 출시 등 여러 시도를 했지만 경기침체, 저출산 , 자금 압박 등으로 2011년 에 파산 했다. 이후 '베비라' 브랜드는 2013년 좋은사람들에 넘겨졌고, 대리점 점주들로 구성된 전문점협의회는 같은 해에 '베비라협동조합'을 세워 '꼼바이꼼'의 상표권 을 가져갔다. 삼기: 2003년 청산. 삼주섬유: 2011년 청산. 상해백양유한공사: 중국 상하이 현지법인. 중국의 BYC 현지 직영공장을 관할했다. 중국산 BYC 제품 중 OEM을 제외한 대부분은 여기서 생산했다. 2018년 청산. 상해신한방직품유한공사: 신한방의 중국 상하이 현지법인으로, 1999년 합병. 승명실업: 골판지 박스/포장 제조업체로, 2021년 KTB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 아이비씨: 2004년 계열제외. 아이피피: 지류/펄프 제조회사. 2020년 브레인브릿지에 매각. 인양상사: 간판/광고물 제작사. 인영섬유: 2020년 청산. 전한섬유: 2002년 계열제외. 중앙전관: 2016년 청산. 한나건설개발: 2013년 청산. 한백상사: 이하 동일. 한성생산: 2002년 계열제외. BYC생명: 구 한신생명. 1990년 전북생명으로 설립. BYC의 처음이자 마지막 생명보험사로 1998년 퇴출 후 계약이 교보생명 으로 매각됨. BYC건설: 2012년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