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마자
ISO 기본 로마자 (ISO Basic Latin Alphabet)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0px" | Aa | Bb | Cc | Dd | Ee | Ff | Gg | Hh | Ii |
Jj | Kk | Ll | Mm | Nn | Oo | Pp | Rr | ||
Ss | Tt | Uu | Vv | Ww | Xx | Yy | Zz | | |
확장 문자 | |||||||||
Ææ | Ðđ/ð/ɖ | Łł | Œœ | Øø | ẞß | Iı | Ʒʒ | İi | |
Əə | Ħħ | Ŋŋ | Ŧŧ | IJij | Ŀŀ | Ƕƕ | LJ/Ljlj | NJ/Njnj | |
Ɔɔ | Ȣȣ | Ƿƿ | Þþ | Ƣƣ | Ɯɯ | Ȝȝ | Ꜧꜧ | Ɱɱ | |
Ɛɛ | Ƙƙ | Ɓɓ | Ɗɗ | Ꝇꝇ | Ʞʞ | ꬺ | ꬼ | Ꞃꞃ | |
Ʀʀ | Ꞛꞛ | Ꞝꞝ | Ꞟꞟ | ʭ | ʬ | ʘ | ʗ | Ʌʌ | |
ʖ | ꝳ | ꝴ | ꟿ | Ꝛꝛ | Ꝝꝝ | Ƨƨ | Ꝩꝩ | 다이어크리틱 | |
숫자 | |||||||||
로마 숫자 |
X / x
로마자의 24번째 글자로 그리스 문자 카이(Χ/χ)에서 유래했다.
유래가 된 그리스어에서는 Χ가 고대의 경우 [kʰ](한국어의 거센소리'ㅋ' 발음), 현대의 경우 [x]나 [ç]의 음가를 가지는 반면, 로마자 X에 해당하는 음가 [ks]는 크시Ξ/ξ로 나타낸다.
여기에 사연이 있는데, 고대 그리스는 글꼴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자모가 쓰였다. 아티카를 비롯한 동부에서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Χ가 [kʰ] 음가를 가졌고, [ks] 음가는 페니키아 문자의 사메크(𐤎)를 개조한 Ξ로 나타냈는데, 이 동부식 체계가 훗날 그리스 문자의 표준이 된다. 반면, 그리스 서부 지방에서는 [ks]를 ΧΣ로 풀어쓰다가 나중에는 그냥 Χ로 썼고, [kʰ]는 Χ의 다른 글꼴인 Ψ[1]로 표기했는데, 이 서부식 체계가 이탈리아반도로 전해지면서 이 흔적이 라틴 문자에 남게 된 것이다.
1.1. 발음
원래 라틴어에서는 [ks](크스) 소리를 내는 글자였으며, 보통 유럽 언어에서는 이 소리가 난다. 영어 알파벳의 x도 그 소리가 나지만 어두에서는 음운 제약으로 인해 [z] 발음이 나고[2] 가끔가다 어중에서 exile과 같이 유성음 [ɡz]로 발음될 때가 종종 있다.스페인어에서는 중세에는 [ʃ] 음가였다가 근세에는 (한글로는 'ㅎ' 정도에 대응되는) [x]로 바뀌었다. 그리고 철자법 개정 때 [x] 발음의 x는 모두 j로 바뀌면서 지금의 x는 낱말의 맨 앞에서는 [s]로, 그 밖에는 [ks]로 읽는다.[3] 한편 카스티야-레온 지방에서는 [s]로 발음한다.
포르투갈어, 몰타어, 바스크어에서는 보통 [ʃ] 발음이며, 알바니아어에서는 z와 비슷한 소리인 [dz] 소리가 난다. 이탈리아어에서는 x를 쓰지 않는 대신 s(자음 앞) 혹은 ss로 바꿔 쓴다. 북게르만어군(스웨덴어, 아이슬란드어 제외) 및 슬라브어파는 X를 ks로 바꿔 적는다.
우즈베크어나 소말리어 등 유럽 밖에서 쓰이는 언어에서 x가 보이면 거의 [x]나 이 발음과 비슷하게 'ㅎ'처럼 들리는 [χ], [ħ] 같은 발음들로 발음되지만 '시'처럼 발음되는(xi) 중국어 한어병음이나 ㅆ처럼 발음되는 베트남어 등의 예외도 있다.[4] 비슷하게 로망스어 알파벳에 기반한 나와틀어 같은 언어에서도 x는 [ʃ] 발음이 난다.
언어에 따라서는 x가 흡착음이나 방출음 내지는 성문파열음 같은 아무리 봐도 x와 상관없어 보이는 발음을 적는 데도 쓰이는데 이쪽은 그냥 남는 글자가 x라서 그런 듯하다.
1.2. 용례
1.2.1. 영어에서
Z와 Q에 이은 영어에서 가장 적게 쓰이는 글자 3위. 영어에서 시작하는 단어의 수가 가장 적은 글자다. 두툼한 사전을 다 뒤져보면 1000개 정도는 된다고 하지만 자주 쓰는 단어는 정말 몇 없다. X로 시작하는 단어는 기껏해야 X-ray, X-mas, xylophone, xylitol, xenon, xeno(외계의)정도다. 고유명사까지 합하면 xerox, Xeon, Xbox, Xavier(남자 이름) 정도가 있겠고, 좀 억지스러운 것까지 끼워주면 X-Large, X-File 정도다. 이렇게 단어가 적다보니 각 자모별로 시작하는 단어를 1개씩 적어놓는 표에는 x로 끝나는 말로 대체할 때가 많다.x가 들어가는 단어는 fox, six, fax, tax, fix, taxtox, relax, anxious, exist, exit, exam, expensive, explain, next, example, box, boxing, explorer, proxy, ax, ox, mix, sex, wax, jinx, phoenix, complex, matrix, sphinx, oxygen, Luxembourg, Mexico, galaxy, saxophone, epitaxy[5] 등이 있다. 다만 Z와 Q보다는 사용 빈도가 높은 편인데도 그 두 글자에 비하면 시작하는 단어는 현저히 적어서 라틴 문자에서 가장 적게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ex-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첫음이 x와 비슷하기 때문에 종종 해당 약어로 쓰이기도 한다. 흔한 예시로 경험치(Experience Point)의 약자인 XP가 있다.[6] 전남친(ex-boyfriend), 전여친(ex-girlfriend)을 그냥 '엑스'라고 부르기도 한다.[7] 혹은 멋을 위해 아예 Extreme을 Xtreme처럼 Ex를 X로 치환해서 적는 경우도 있다.
-ics를 -ix로 쓰기도 한다.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약칭이 LX인 것도 Informatics를 Informatix로 표시한 것에서 착안한 것.
cross를 X로 쓰기도 한다. 영어권 교통노면표시에 Xing 이라고 적혀 있으면 Crossing, 즉 횡단보도가 앞에 있음을 의미한다. 해킹 용어인 Cross-site Scripting도 약자는 헷갈리기 쉬운 CSS 말고 XSS로 쓴다. 이는 일종의 훈독이라 할 수 있다. 혼성 종목도 여기서 따와서 한 글자로 줄일 때 X로 쓴다.
x의 경우 그 앞에는 약자나 외국어가 아닌 이상 대부분 모음이 들어가며, 예외가 있다면 Jinx (징크스) 정도다.
x가 들어가는 단어들의 어원을 살펴보면 보통 그리스어나 라틴어 차용어다.
사실 영어에서 ex-[8]로 시작하는 단어들 중 후행하는 자음에 따라 x를 누락시키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educate, eccentric, evaluate, erect, eject..) x의 사용 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1.2.2. 타 언어에서
프랑스어는 -aux, -eux, -oux, -ix 꼴의 단어가 많아서 다른 언어들보다 X를 자주 쓴다. 이때 끝자음 X는 실제로 발음되지 않는 묵음이다.에스페란토에서는 위에 보조 기호 (Supersigno)가 붙은 문자 (Ĉ, Ĝ, Ĥ, Ĵ, Ŝ, Ŭ)의 보조 기호를 표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체 표기법으로 쓰인다. Ĉ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선 Cx라고 표기하는 식.[9] 이는 에스페란토 알파벳에서는 X가 사용되지 않기에 가능한 것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아직까지 흔한 표기법이다. 자세한 것은 에스페란토 문서의 윗부호의 대체 표기 참조.
1.3. 키보드 X키
컴퓨터 키보드에 X키가 있다. 2벌식 한글로는 ㅌ과 대응된다.- 쿼티 기준으로 왼쪽 아래에 있어 누르기 편하기 때문에 게임 단축키로도 자주 활용된다.
- Ctrl + X는 잘라내기 단축키이다. 복사와는 달리 드래그한 내용이 삭제되고 클립보드 영역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삭제 편집이 안 되는 환경에서는 Ctrl + C와 차이가 없다.[10]
콘솔에도 유사한 기호를 쓰는 키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콘솔 X키 문단 참조.
1.4. 여담
- w와 마찬가지로 국명이 x로 시작하는 국가는 없다.
2. 기호
본 문단에는 명백히 로마자 X와 관련이 있거나 주로 로마자 X로 표기되는 것을 모은다. 본래는 모양만 '×'인데 입력 편의상 X로 입력하는 것은 제외한다.2.1. 국제음성기호 [x]
무성 연구개 마찰음(voiceless velar fricative)이다. 스페인어의 j, 중국어 한어병음의 h에 해당하는 소리다.2.2. 수학 - 미지수 X
보통 미지수를 나타낼 때 쓰인다. 수학에서 미지수를 x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17세기의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로 알려져있다.그런데 어째서 X를 쓰게 되었는지는 정설이 딱히 없다고 한다. 잘 쓰이지 않는 철자여서 인쇄소에 활자가 많이 남아돌아서 이걸로 했다는 말도 있다.
Why is '[math(x)]' the unknown?(왜 '[math(x)]'가 미지수인가?) - TED 강연 |
여하간 이유는 불확실하나 굳이 다른 문자로 대체할 필요는 없으니 경로 의존적으로 관습이 유지되고 있다.
보통 실수를 나타낼 때는 소문자로, 평면이나 공간 상의 점을 나타낼 때는 대문자로 쓰며, 계산기나 엑셀 등에서는 실수라도 대문자로 쓰기도 한다. 또한, 숫자나 문자, 식을 치환할 때 대문자를 많이 쓴다. 방정식에 쓸 때는 곱셈 기호 ×와 혼동되지 않도록 [math(x)] 같은 굴곡진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다.
직교좌표계에 쓸 경우는 일반적으로 가로축(횡축)을 지칭할 때 쓴다.
2.3. 기타 용법
- 알 수 없는 존재나 미지의 인물 등을 나타낼 때 쓰인다. 위 수학 미지수 용법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미지의 남성은 미스터 X로 종종 부른다.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인 맬컴 엑스의 '엑스'도 '미지의 성(姓)'을 의미한다. 그의 본래 성은 '리틀'인데, 이는 백인 노예주들이 멋대로 붙인 성이고 원래 아프리카 조상의 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성을 x라 쓴 것이다.
- 프로토타입을 'experiment'(실험적)의 X를 따 X라고 칭하곤 한다.
- 자동차 브랜드의 4륜구동 차량이나 SUV 등에 붙으며, 4륜구동 기술 등을 지칭할 때 쓰이기도 한다. BMW X 모델과 X Drive, 볼보 XC90, 인피니티 QX, 렉서스 RX, 링컨 MKX 등.
- 화학에서는 임의의 할로젠 원소를 뜻하는 원소 기호로 쓰인다.
- 10을 나타내는 로마 숫자. 로마자 중에서 몇 개를 따와 숫자로 쓰는 것으로 보이나 왜 X인지는 확실치 않다. V가 1번 꺾인 모양, X가 교차한 모양이라는 점에서 착안되었을 수도 있다. V가 2개니까 위아래로 합친 게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한편 C(100)나 M(1000)은 라틴어로 100, 1000을 나타내는 어휘의 앞글자를 딴 것으로 보인다.
- 제9행성이 사용했던 가칭
- 업그레이드의 의미로도 쓰인다.
3. X표
로마자 X와는 무관하게 교차시킨 기호 ×를 활용하는 예이다.
로마자 X와 닮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둘은 별개의 기호이므로 섞어서 써서는 곤란하다. 그러나 ×가 특수문자에 실려있긴 해도 입력이 불편하기 때문에 X로 입력할 때가 많고, 경우에 따라 X로 입력하는 게 표준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정은 O로 입력하는 ○도 마찬가지이다. 모양을 비교해보면 ×는 두 선분이 직각으로 만나지만, X는 그렇지 않다. 또한 ×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지만 X는 세로로 조금 더 길다.
한국어 입력기에서는 ㄷ→한자 키→7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고, 일본어 입력기에서는 ばつ(바츠)를 입력하고 변환하면 된다. 미국 국제어 키보드에서는 AltGr(오른쪽 Alt 또는 Ctrl+Alt) + 등호 기호(=)를 입력하면 된다.
3.1. 거부
×의 가장 일반적인 의미. 확인의 ○와 함께 쓰인다. (예: OX퀴즈)다음과 같이 불린다.
- 가새표: 건축의 가새에서 따온 것이다. ‘사각형으로 짠 뼈대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빗댄, 쇠나 나무로 만든 막대’를 가리키며, 두 막대를 교차하며 마치 X 모양이 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가위표: 벌어진 가위의 모양을 연상시킨다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 꼽표: 동남 방언이다. 표준어의 '곱표'에서 온 것인데, 표준어의 '곱표'는 곱셈 부호만을 가리키는 반면 동남 방언에서 '꼽표'는 곱셈 부호가 아닌 X표라는 의미로만 쓰이는 차이가 있다. 부산 출신 교수가 '이 부분에 꼽표 치세요'라고 말한 걸 서울 출신 학생이 '꽃표'로 알아듣고 꽃 모양을 그려놨다는 썰도 있다.
일본어로는 바츠(バツ)라고 읽는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부정(아님), 취소 등의 의미로 쓰인다.
3.2. 확인
서양 쪽에서는 흔히 체크 표시의 의미로 X를 쓰는 경우가 많다. 동아시아에서는 위 '거부' 문단에서 보듯 O에 맞대응되어 거부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좀 생소할 수 있다.- 표에 뭔가를 X로 나타냈으면 이는 그것이 해당된다는 뜻이다.
- iBT 토플 합답형 문제에서도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가 '옳은 것을 모두 X 치시오'가 된다.
- 과학이나 의학 분야 글에서는 X가 긍정을 나타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O는 볼 일이 거의 없다.
- 영국과 멕시코, 독일 등에서 선거에 투표할 때 원하는 후보를 기표할 때 해당 후보가 나오는 란에다가 X표를 긋는다.
다만 이런 의미에서 X표를 쓰는 곳에서도 확인이나 동의의 표시로 ✓가 쓰인 경우에는 X표가 거부의 의미로 쓰인다.
3.3. 숨김표
× 외에는 대개 '○' 가 쓰이며, 드물게 '□', '△', '#', '?', '~', '@', '♡', '☆', '₩', '$' 등 다양한 기호로 표현한다.
3.4. 수학 - 곱셈 기호
사칙연산 중 곱하기를 의미한다.3' × 4' (× 6')처럼 장방형이나 직방체의 치수를 표시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바이(by)'로 읽는다.
곱하는 연산이 워낙 많기 때문에 문자끼리 있을 때는 생략하기도 하고, · 로 간략화하기도 한다. 다만, 벡터에서는 · 으로 쓰는 것과 ×로 쓰는 것도 서로 다른 연산이기 때문에 생략하거나 · 로 대체해서는 안 된다. 덤으로 미분방정식에서는 생략된 것, · 으로 쓰는 것, ×로 쓰는 것 셋 다 따로 존재하며, 의미도 서로 다르다!
3.5. 생물학 - 교배 기호
유전학 계열에서 사용하는 교배 기호. 주로 (수컷의 유전자형) × (암컷의 유전자형)의 형식으로 표기한다. 잡종일 경우에는 학명 표기를 부모의 종명의 둘 사이에 ×를 넣는데, 예를 들면 소메이요시노의 학명은 Prunus × yedoensis이다.3.6. 콜라보레이션
콜라보레이션을 기호 '×'를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00년대 초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브랜드 슈프림과 루이비통의 콜라보레이션을 나타낼 때 [Supreme × Louis Vuitton]처럼 나타내기도 한다. 읽을 때는 바이(by)로 읽는다. Ex) 슈프림 '바이' 루이비통. 위 수학 곱하기 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3.7. 커플링
커플링을 표기할 때 자주 사용되는 문자. 위의 유전학 기호에서 따왔을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NL계에서는 남자×여자, BL/GL계 등에서는 공×수로 표기된다. 조금 더 나아가면 공×수←조연 또는 공×수×공 등의 바리에이션도 있다. 연산의 순서가 정해져있으니 앞뒤를 바꿔 쓰면 의미가 바뀐다. 리버스, 공수, 커플링 문서 참고.
읽을 때는 캐릭터 이름의 앞 1~2글자만 따서 X자는 발음하지 않고 이어서 말한다. 표기할 때도 이렇게 표기하기도 한다.
양덕들은 이 표기를 쓰지 않고 \를 쓴다.
3.8. 서명
서양에서는 글을 쓰지 못하는 사람이 서명 대신 X표를 치기도 한다. 카롤루스 대제가 십자로 서명한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야사에 따르면 유대인들이 X표에서 십자가가 연상된다고 하여 O표로 서명하는 일이 많았고,[12] 여기서 유대인을 비하하는 명칭 중 하나인 'kike'가 나왔다고 한다. 세계인 비하명칭 문서 참고.
3.9. 키스
편지 따위에서 키스를 상징하는 표식이다.[13] 상대방에게 애정을 표할 때 사용한다. 흔히 마지막에 포옹을 뜻하는 O와 같이 "XOXO"라고 쓰거나 3개 혹은 그 이상의 갯수를 사용한다.명탐정 코난 33권의 file. 10 "'X'의 의미"에서 다뤄졌다. 란이 수업시간 때 멍때린 벌로 조디쌤이 칠판에 써있던 이 표시가 무슨 뜻인지 다음 수업까지 알아보라고 시켰다. 후반에 란은 타카기 형사에게서 그 의미를 알아냈고 신이치에게 문자를 보내면서 XXX도 찍는다. 코난은 끝끝내 그 의미를 몰랐지만, 베르무트가 진에게 보내는 편지를 작성하면서 나온다.
3.10. 콘솔 X키
게임기에서는 상하좌우 버튼 중 하나를 X키로 배당한다. 위 컴퓨터 X키와 비슷해보이지만 X 외 다른 키는 플레이스테이션처럼 문자가 아닌 다른 기호(□ 등)을 쓸 때도 있다.오늘날 게임기 버튼은 4개의 주요 버튼으로 되어있는데 주요 기기들의 사용 기호와 순서가 약간씩 차이가 난다. 상단 버튼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적으면 Nintendo Switch는 X(상) - Y(좌) - B(하) - A(우), 엑스박스는 Y(상) - X(좌) - A(하) - B(우), 플레이스테이션은 △(상) - □(좌) - ×(하) - ○(우) 식이다.[14] 게임기는 주로 아래를 잡기 마련이고 게임기 버튼은 주로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15]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좀 더 누르기 편한 하단, 우측 버튼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배치하는 편이다.
이때 ×(하) - ○(우)의 확인/취소를 어디에 배당할지가 문화권 별로 다르다. 위 문단에서 보듯 동아시아에선 ○가 주로 확인의 의미로 쓰이지만 서양에선 ×가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PlayStation 시리즈의 북미판 게임에서는 동양권의 디폴트 세팅과는 반대로 ○는 취소, ×는 선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게임계에서는 X키를 눌러 조의를 표하십시오가 화제를 끌었다.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의 부적절한 QTE가 이슈가 된 것인데, 그때 마침 조작 키가 엑스박스의 X키였다.[16] 이후 게임 방송 또는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무언가를 추모하거나 기릴만한 상황에 쓰이기도 한다. RIP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3.11. 작품 명칭에 포함된 예
작품 명칭에도 ×가 쓰이곤 한다. 대개 콜라보레이션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바이'로 읽는 편이다.- SXSW(South by Southwest): 매년 3월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음악 축제.
-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5인조 아이돌 그룹.
- 헌터×헌터: 토가시 요시히로의 만화. 헌터 바이 헌터로 읽는다.
- RING X RING: 걸그룹 Billlie의 데뷔곡 링 바이 링으로 읽는다.
3.12. 창작물에서
- 만화 원피스에서는 동료의 증표로 사용되었다. 복사복사 열매의 소유자인 봉쿠레를 엿먹이기 위해 이중트릭을 쓸때 나온 것으로 나중에 비비와 헤어질때 밀짚모자 일당이 하는 행동은 원피스의 명장면 중 하나이다.
- 만화적 표현으로 만화 캐릭터의 눈에 X를 표시하여 캐릭터가 죽었거나 기절했음을 표현한다. 혀를 약간 내밀고 있는 표정과 자주 함께 쓰인다. 어이없는 상황에 말이 안 나온다든지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지뢰 찾기의 스마일 아이콘도 패배 시 X자 눈 모양이 된다.
- 말이 안 나오는 상황의 경우 입이나 마스크에 X표시를 하는 경우도 있다. 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종종 말하면 안 되는 단어나 쓸데없는 말을 한 캐릭터, 혹은 시끄러운 캐릭터에게 다른 캐릭터가 해당 캐릭터의 입에 X자 테이핑을 하기도 한다.[17]
- 만화 수호캐릭터에는 X알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마음의 알이 흑화한 것으로, 이때의 X는 "가위표"의 의미이다. 일본어로는 '바츠타마'라고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불알의 '불'을 숨김표 X로 대체한 'X알'이 연상되어 이미지가 묘해졌다.[18]
3.13. 기타
- 일본어에서 이혼 경험이 있는 사람을 바츠이치(バツイチ), 즉 ‘X표 한 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해서 실제로 호적에 X표가 뜨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X표로 표시될 때가 없지는 않으나 볼 일은 별로 없다. 남편 쪽은 애당초 X표를 할 일이 없으며, 부인 쪽도 남편 호적에서 제적된 후 친가 호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X표는 나오지 않는다. 남편 쪽 호적을 이혼 사실까지 포함해 조회할 경우에만 전 부인 이름 옆에 X표가 쳐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마 실제로 확인 가능해서라기보다는 '이혼' 자체를 관념적으로 X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워터파크에서는 슬라이드 아래 쪽에 빨간색 'X' 표시가 뜨면 사람들을 태운 튜브가 내려온다는 뜻이다. 안전요원 옆에 OX 조종 기기가 있는데 출발할 때 안전요원이 'GO' 버튼을 누르면 초록색 O표가 빨간색 X표로 바뀐다. 튜브가 목적지로 내려오면 빨간색 X표는 자동으로 초록색 O표로 바뀐다.
- 브라질 스포츠에서는 점수 표기 시 '-' 대신 쓰는 X를 쓴다. 예를 들어서 Brasil 1 x 7 Alemanha가 있다.
- 조난자들이 방법이 없다는 뜻으로 X를 써서 구조요청하기도 한다.
- 순환선이 아닌 전철 노선도가 2개 이상 생기면 대체로 X자 형을 이루게 된다. 이 교차점에서는 양 노선을 다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체로 도시 중심지에 배치하게 된다. 수도권 전철은 3호선과 4호선이 X자를 이루고 있으며 이 두 노선은 충무로역에서만 만난다.
- 모기 물린 곳에 손톱으로 십자가 모양을 내는 사람들이 많다. 일시적으로 세게 눌러 가려움을 완화시키려는 목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안 좋을 수 있다고 한다. # 이를 두고 십자가를 그리고 신한테 비는 것 아니냐는 농담이 있고, "스님도 모기 물렸을 때 십자 모양을 내나요?" 하는 질문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
4. 동음이의어
4.1. 회사
4.2. 작품/브랜드
- CLAMP의 만화 X(만화)
- 롤러코스터 X²: 과거에는 2 없이 X였다.
- 타이 웨스트의 영화 X(영화)
- 1963년 영화 X
로저 코먼 감독이 만든 영화로 과학자인 주인공이 스스로 자신의 눈에 시각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을 넣었으나 그로 인해 벌어진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결국 주인공은 본의 아니게 살인도 저지르고 약물의 영향으로 눈이 이상하게 변해 괴로워하다 끝내 스스로 자신의 두 눈을 뽑아버렸다. - 캘리포니아 비치의 워터 슬라이드 엑스(캘리포니아 비치)
4.3. 제품 코드
- macOS의 과거 명칭 OS X: 여기서 X은 위의 로마 숫자이기 때문에 '오에스 텐'이라고 읽는다.
- iPhone X - 2017년 출시한 Apple의 스마트폰. 위의 OS X과 마찬가지로 '아이폰 텐'이라고 읽는다.
- LG X 시리즈 - LG전자가 2016년 공개한 스마트폰 라인업 브랜드
- 인텔 코어 X 시리즈 - 인텔이 2017년 발표한 하이엔드급 CPU 라인업 브랜드
- X Window System의 줄임말 X: 유닉스계 운영체제들에서 그래픽 환경을 구현하는 프로그램들의 총칭이다.
- 미국의 실험기들의 형식 번호 X 실험기 시리즈
4.4. 음반/노래
- 터보의 정규 4집 Perfect Love 후속곡 X (The Greatest Love)
- sasakure.UK의 BMS곡 X(BMS)
- BEMANI 시리즈의 악곡 X(BEMANI 시리즈)
- 몬스타엑스의 노래 X(몬스타엑스)
- f(x)의 정규 4집 4 Walls 수록곡 X
- 일본의 메탈 밴드 X JAPAN의 노래 X(X JAPAN)
- EXID의 10주년 기념 앨범 X(EXID)
- pH-1의 믹스테입 X(pH-1)
- 에드 시런의 정규 2집 ×(에드 시런)
- 카일리 미노그의 앨범 X(카일리 미노그)
- 유자의 앨범 유자(래퍼)/디스코그래피 문서의 X 문단
- CNBLUE의 앨범 X(CNBLUE)
- 크리스 브라운의 앨범 X(크리스 브라운)
4.5. 방송/애니메이션
- 가면라이더 X - 일본의 특촬 프로그램 시리즈
- 울트라맨 X - 일본의 특촬 프로그램 시리즈
- 프로듀스 X 101 - 한국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시리즈
4.6. 게임
- 포켓몬스터 X·Y
- 록맨 X 시리즈
- 우주 시뮬레이션 X 시리즈
- 닌텐도에서 게임보이로 1992년에 개발하고 출시한 3D 슈팅 게임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엔진 등급인 X엔진
- X(BEMANI 시리즈)
- Tower Defense X
- 아오오니X
4.7. 인명
4.7.1. 실존인물
4.7.1.1. 개인
- 맬컴 엑스 -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
- 엑스 알비오 - 니지산지 소속 버츄얼 유튜버.
- XXXTENTACION - 국내에서는 텐타시온이나 텐타숑으로 불리지만 영미권에서는 그냥 X로 줄여서 말한다.
4.7.1.2. 단체
- X(밴드) - 미국의 록밴드.
- X JAPAN - 일본의 록밴드. 처음 활동하던 당시(1980년대) 사용할 밴드명이 없어서 그냥 X로 정했다고 한다. 이후 X가 무한의 기호라는 것을 알게 되고 밴드명으로 확고하게 정했다. 1992년 세계 진출 과정에서 미국에 동명의 밴드가 존재했기에 혼란을 피하기 위해 X JAPAN으로 개명했다.
- 디 제네레이션 X - 미국의 프로레슬링 단체 WWE 前 스테이블.
4.7.2. 가상인물
- 가면라이더 X - 가면라이더 X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XANXUS[20]
- 갓 오브 하이스쿨 - X(갓 오브 하이스쿨)
- 공주님 "고문"의 시간입니다 - 엑스(공주님 "고문"의 시간입니다)
- 다이스 - 엑스(다이스)
- 더데빌 - X(더데빌)
- 리버스: 1999 - X(리버스: 1999)
- 록맨 X 시리즈 - 엑스(록맨 X 시리즈)
- 마다가스카의 펭귄 - 요원 X
- 마인탐정 네우로 - 괴도 X
- 마키시의 이웃들 - 엑스(마키시의 이웃들)
- 메트로이드 퓨전에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생물체 X(메트로이드 시리즈)
-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 - 스파이 X
- 바다의 전설 장보고 - X(바다의 전설 장보고)
- 베이블레이드X - 크로스 엑스(가면 X)
- 변신자동차 또봇 - 또봇 X
- 뿌요뿌요 테트리스 - 엑스(뿌요뿌요 테트리스)
- 세미와 매직큐브 - 엑스(세미와 매직큐브)
- 오메가 스트라이커스 - 엑스(오메가 스트라이커스)[21]
- 엑스애쉬 - 엑스(엑스애쉬)
- 울트라맨 X - X(울트라맨 X)
- 유희왕 GX - X(유희왕 GX)
- 전설의 용자 다간 - 다간 X
- 최강의 군단 - X(최강의 군단)
- 캐릭캐릭 체인지 - X알, X캐릭터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 루팡 X&패트렌 X
- 터닝메카드 - 엑스(터닝메카드), 닥터 X
- Battle for Dream Island - X
- Fate 시리즈 - 수수께끼의 히로인 X, 수수께끼의 히로인 X [얼터]
- Lobotomy Corporation - 관리자 X[22]
- Xtale의 등장인물들[23]
- X(BFDI)
[1] 동부에서는 지금처럼 /ps/ 음가를 가진 별개의 문자였다.[2] 우리에게 친숙한 예를 들어보자면 자일리톨(xylitol)과 자일로폰(Xylophone) 정도가 있다.[3] 이 변화의 궤적을 잘 보여주는 예가 멕시코의 스페인어 국호인 México(메히코)인데, 처음에는 나와틀어 지명 Mēxihco([meːˈʃiʔko\], 메시코)의 [ʃ\]를 표기하는 용도로 x를 썼다가 음가가 [x\]로 바뀌었고 지금도 이 발음과 표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4] 베트남어 알파벳은 로망스어(포르투갈어) 알파벳에 기반해 있어서 그렇다. 한어병음의 경우, /x/ 발음을 내는 hi/hü가 구개음화로 xi/xu로 변해서 그렇다.[5] 반도체 박막 공정법인 에피택시. 단결정 위에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기술이다.[6] 윈도우 XP의 유래도 Experience의 XP이다.[7] 경서의 곡이자 앨범인 나의 X에게에서 말하는 X 또한 전남친, 헤어진 연인을 뜻하는 것이다.[8] '밖의'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근이다.[9] 폴란드어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체코어 등 다른 슬라브어에서 š 식으로 적을 때 sz 식으로 z를 더 적는다.[10] 예를 들어 위키 읽기 모드에서 드래그를 한 뒤 Ctrl + X를 해도 정상적으로 복사가 된다.[11] 지금도 아랍어엔 유럽 언어에 없는 소리들이 많고, 로마자로 전사하는 것도 일관적인 규칙이 없는 편이다.[12] 지금도 이스라엘에서는 적십자를 쓰지 않고 적육각성을 쓰거나, 덧셈 +도 ﬩로 대체해서 쓰곤 한다.[13] 일본에서 비슷하게 키스를 뜻하는 은어로는 ABC의 A가 있다.[14] Steam Deck은 엑스박스와 동일하다.[15] 왼쪽에는 보통 방향을 조절하는 키나 조이스틱이 들어간다.[16] 같은 게임의 PC 판은 같은 동작을 F 키로 수행한다.[17] 이 경우 무언의 항의 등의 이유로 자의로 X자 테이핑을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다른 캐릭터에 의해 X자 테이핑을 당한다.[18] 사실 이 점은 일본어로 '불알'을 뜻하는 きんたま도 종종 ○たま로 적기 때문에 문제는 동일하다. 다른 것은 일본에서는 숨김표로 ×보다는 ○를 더 많이 쓴다는 점이다.[19] 스플릿을 뜻한다. 스플릿은 오픈을 범하기 쉽다.[20] 이름에 X자가 2개나 들어간다.[21] 원어명은 'X'[22] 본작의 주인공이다.[23] 작중에서는 X가스터와 X-이벤트를 제외하고는 모두 앞에 붙는 X가 생략되지만 언더벌스 전체의 내용으로 볼 땐 엄연히 X가 붙는다..(예: X메타톤, X아스고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