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4:08:32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사관학교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국군병원 | 근무지원단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해체된 사관학교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국군의 임관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교
<colbgcolor=#1e5099> 생도 사관학교(육군/해군/공군/간호/육군3)
후보생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육군) | 전문사관(의무/수의/법무/군종/과학기술)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폐지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군사영어/육군종합/호국군/육군2/해군2/공군2/해병)
준사관
후보생 기술·행정준사관 | 항공운항준사관(육군/해병) | 항공요격통제준사관(해군) | 항공무기통제준사관(공군)
폐지 통번역준사관
부사관
민간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민간부사관(육군/특전/해군/해병/공군) | 학군부사관
현역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
기타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폐지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둘러보기 :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국군의 입영부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colbgcolor=#001b69> 해군 <colbgcolor=#39f> 공군
육군사관학교 육군3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육군부사관학교 특수전학교 해군기초군사교육단 해병대교육훈련단 공군기본군사훈련단
육군훈련소 신병교육대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명 대학 교육대학
수도권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강원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충청권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경상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라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제주권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
분류 명칭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각종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과학기술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사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그 외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메디컬캠퍼스)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목원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한국침례신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대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003764> 종합대학 국군간호사관학교 가톨릭꽃동네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루터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예수대학교
을지대학교 인제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전문대학 2/3/4년제
광주보건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3/4년제
광양보건대학교 군산간호대학교 기독간호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원격대학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대학원대학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가칭)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3e7f,#bedef5><tablebgcolor=#333e7f,#bedef5>
파일: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UI.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알반대학(32개교)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도서관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도서관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도서관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도서관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도서관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도서관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도서관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도서관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도서관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교육대학(10개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도서관
기타대학(10개교)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도서관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도서관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도서관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도서관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도서관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도서관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도서관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도서관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도서관 }}}}}}}}}
국군간호사관학교
國軍看護士官學校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심볼.svg
국군간호사관학교 심볼
<colbgcolor=#761F41><colcolor=#fff> 교훈 진리의 탐구, 사랑의 실천, 조국의 등불
개교 1951년 1월 6일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종류 국립대학 / 군사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역할 대한민국 국군간호장교 육성
학교장 육군 준장 정경화 (간사 32기)
생도대장 육군 대령 황점숙 (간사 00기)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대
홈페이지 국군간호사관학교

1. 개요2. 상세3. 입시
3.1. 입학 전형 및 임시입학3.2. 남생도 선발
4. 생도 생활
4.1. 학교 생활
4.1.1. 일과시간표
4.2. 학과 교육4.3. 교직과정4.4. 군사훈련
5. 교가6. 국군간호사관학교 구호7. 캐릭터8. 임관 후 진로9. 타국의 사례10. 출신 인물
10.1. 학교장10.2. 장교/부사관10.3. 주요 동문10.4. 가상 인물
11. 기수12. 미디어13. 여담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PRIDE -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 (2021)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제1조(설치의 목적) 군(軍)의 간호장교가 될 사람에게 필요한 교육을 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 소속으로 국군간호사관학교를 둔다.
대한민국 국군 간호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사관학교. 줄여서 '국간사', '간사', 간사교, 간호교 등으로 불린다.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이라는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이다. 고등교육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곳이므로 신입생 모집에 있어 수시모집에서의 지원가능횟수에 포함되지도 않고, 정시모집의 대학군(群)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자운대에 위치하고 있다.

학생 정원은 여학생 76명, 남학생 14명으로 총 90명이다.[1]

2. 상세


6.25 전쟁으로 인해 간호장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시기였던 1951년 1월 6일 육군군의학교(陸軍軍醫學校)에 2년제 간호사관생도 교육과정을 설치한 것이 시초이며 이때 1기 생도 303명을 최초로 선발, 휴전 전인 1953년 4월 3기가 입교하였다.

휴전 이후 1955년 4월부터 군장학생을 선발, 전국의 주요 민간 간호교육기관에 위탁교육을 실시하였으나 시설 및 교수 부족으로 2회만 배출 후 폐지하였고 육군군의학교 간호사관생도 모집은 1957년 10기 입교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1957년 4월 1일 전국의 5개 육군병원 부설 3년제 간호학교를 설치하여 간호사관생도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지만 이 교육과정도 3개 기수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던 1959년 9월 학교 설치법안이 국무회의 심의에서 부결되어 1960년 4월 11일자로 중단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 간호사들의 국외 취업이 늘어나면서 군 간호인력 획득이 어려워졌고 베트남 전쟁 부상 장병들의 귀국이 이어지면서 늘어난 간호장교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게 되자 1967년 8월 15일 대구시 수성구 만촌동에 육군간호학교를 설립하였다. 문제는 이 육군간호학교가 교육법에 의거하여 민간 간호교육기관과 동일한 교육을 해왔음에도, 국군조직법에 의해 설립된 학교라는 이유로 졸업 후 학력이 인정되지 않았다는 것.

이는 1969년 5월 1일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로부터 정규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는 간호교육기관으로 지정받는 것으로 해결하였고 1970년 9월 9일에는 문교부(현 교육부)에서 100명 정원(당시 기준)의 교직과정 설치도 승인받았다.

그러다가 1970년 12월 들어 국방부의 3군 의무부대 통합 운영방침에 따라 육군병원 및 육군간호학교가 육군참모총장 예하부대에서 국방부 직할부대로 지휘감독권이 이양되어 교명도 '국군간호학교'로 개칭되었다.

1974년 3월 문교부의 교육기관 정비계획에 의해 국군간호학교는 전문학교 교과과정으로 개편, 1975년 12월부터 전문학교 학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1979년도부터는 교육법상 전문학교가 전문대학으로 학제가 개편되면서 졸업시 전문대졸 학력이 인정되기 시작했고, 1980년 1월 4일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제정으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으며, 동년 12월부터는 4년제 정규 간호대학 과정으로 학제를 개편하여 3군사관학교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4년제 사관학교의 반열에 올랐다. 첫 4년제 정규과정을 적용받게 된 기수는 23기.

해군 간호장교는 1977년, 공군 간호장교는 1993년에 최초로 임관하였다. 1996년 8월에 대구 수성구 만촌동에서 현 위치인 대전 유성구 추목동 자운대로 이전했다. 1999년, 국방부의 예산 절감 방침으로 인하여 국방부 산하 군 교육기관 통폐합 및 규모 축소가 논의되면서 간호사관학교는 학교 자체를 해체하기 위해 신입생도 모집을 중단하는 흑역사를 맞이하였고 1999년에 입교한 43기가 마지막 기수가 될 뻔했다. 이때 국방부는 굳이 간호사를 한명당 양성비가 비싼 장교로 하는 것보다 외부에서 수급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며 간호사관학교를 해체하고 100% 민간 자원으로 간호장교를 선발하려고 했다.

하지만 졸업 후 취업률이 거의 100%에 가까운 민간 간호사 자원들이 진짜 지방 민간 병원에 비해 급여도 낮고 엄격한 군율 하에 전국 오지의 군부대에 근무해야 하는 군에 굳이 지원할 이유가 없었다.[2] 100% 민간 자원만으로 간호장교를 충원하기 어려운 현실이 어쩔 수 없었는지[3] 2001년 5월 31일 학교 존치가 결정되었고, 2002년 1월 23일 한국군 최초 여성장군인 양승숙 육군준장[4]이 학교장으로 취임하면서 장성급 학교장 체제를 맞이하게 되었다. 결국 2002년 46기가 입교했는데 46기가 입학했을 당시 선배는 4학년이던 43기뿐. 2000년과 2001년에 기수 선발을 하지 않아 44기와 45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국군간호사관학교는 1998년 IMF 경제위기 극복과 군개혁의 일환으로 김대중 정부에 의해 폐교결정이 난 이후 1999년 가을부터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어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법률 제4839호'에 의거 3년연속 신입생을 받지 못하면 자동폐교가 결정된 상태였다. 미국에서 이 소식을 접한 이상원 박사는 간호장교 출신 아내 김영신(26기)에게 선물한 사이트를 중심으로 '국군간호사관학교 폐교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폐교 반대투쟁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5개월간 온·오프라인 상에서 국민들에게 존속의 당위성을 인정 받았다. 2001년 5월 31일, 자동 폐교 3개월을 앞두고 건국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가가 집행한 행정행위를 뒤집고, 새천년 민주당 이해찬 정책위 의장과 한명숙 여성부 장관과의 당정협의회를 통해 존속을 결정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대한민국 여성장교단의 숙원인 여성장군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국군간호사관학교 총동문회는 이 공로를 기려 이상원 박사를 명예동문에 위촉하였다.

2년간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다가 재개되었던 탓에 2002학년도에는 2학년과 3학년이 없어서 1학년과 4학년 사이가 뻥 뚫려 있는 기묘한 상황이 연출되었고, 43기가 졸업한 2003학년도에는 1, 2학년만 존재했다. 이러다 보니 2005년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전체 학년이 채워지고 나서야 다시 정상적인 4년제 대학이 되었다. 2012년에 입교한 56기부터는 남생도를 모집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남생도는 8명이었으나 후술할 일로 인해 1명이 퇴교해 최종 7명이 임관하였다.

3. 입시

경찰대학·사관학교 신입생 선발 과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차 시험 합격 2차 시험
(면접, 체력, 신체 검사 등)
경찰대학 내신 + 수능
사관학교 우선 선발
수능 위주 선발
}}}}}}}}} ||
지원자격
<colbgcolor=#761F41><colcolor=#fff> 학력 입대일자 기준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자 포함)
연령 입시일자 기준 만 18세 이상 21세 이하자
신체 남자 : 161cm이상, 46kg이상
여자 : 152~173cm, 44~70kg
불합격 문신 및 자해로 인한 반흔 등 치유가 안 된 경우
색각검사결과 색맹인 경우
금고형 이상 선고받은 자
기타 장교임용시험에 결격사유가 있는 자

3.1. 입학 전형 및 임시입학

다른 사관학교들과 같이 전형 단계가 많으므로 입시가 일반 대학들보다 일찍 시작된다. 특수대학이라서 수시지원 6회에 해당하지 않으며, 국간사에 합격해도 일반대학에 정시로 지원 가능하다. 1차 시험날짜가 겹치므로 경찰대학과 각 군의 사관학교에 복수지원이 불가능하다. 2017학년도 입시부터 문이과를 구별해서 뽑는다. 2018년 현재 1차 전형은 국어, 영어, 수학각 100점씩, 총 300점 만점의 학과시험을 7월말에 실시하며(4개 사관학교 공동 출제) 정원의 4배수를 선발한다.
2022학년도 이후 1차 시험 출제 범위
<colbgcolor=#761F41><colcolor=#fff> 국어 독서 + 문학
수학 <colbgcolor=#761F41><colcolor=#fff> 공통 수학 Ⅰ + 수학 Ⅱ
선택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영어 고등학교 영어 교과 전범위

1차 합격자를 대상으로 9월중 2박 3일로 학교에서 2차 전형을 실시한다. 첫째날에는 안보관 약술시험, 둘째날은 신체검사와 체력검정, 셋째날에는 면접을 실시한다. 체력검정은 50점 만점이고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오래달리기를 시행한다. 오래달리기에만 과락이 있고,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는 심의 기준이 있어 오래달리기 과락이면 짐싸서 나가야한다. 신체검사는 육군 규정을 적용한다.

1차 시험을 치고 학교당 2인까지 받을 수 있는 학교장추천을 받으면 우선선발 대상자가, 받지 않으면 정시선발 대상자가 된다. 1차 성적과 내신, 2차의 체력, 면접점수를 합산하여 10월 중에 모집정원의 50%(2018년 기준)를 우선선발로 뽑는다. 우선선발 탈락자는 자동으로 정시선발 대상자로 전환되고, 정시선발은 1,2차 점수에 수능성적까지 합산하여 12월 중 발표한다. 2번의 기회가 있는 학교장 추천을 받는 것이 무조건 이득인 셈..

임시입학 전까지 추가 합격자를 선발하고 임시입학 1주차가 지나면 추가 합격자를 선발하지 않는다.[5] 경쟁률은 보통 30~40대 1 정도를 꾸준히 유지(2017년도 경쟁률은 51.7대 1)하고 있으며 입결은 보통 인서울 대학교 간호학과 수준.

다른 사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최종합격자는 고3 겨울방학 기간동안 간호사관학교에서 임시입학 훈련을 받게 되며 임시입학 기간을 무사히 넘겨야 정식 입교하여 신입 생도로 인정받는다. 물론 임시입학 기간에서 중도포기하면 입교한 것이 아니므로 다른 사관학교를 포함한 간부 양성과정 지원에 결격 사유가 되지 않지만 정식 입교 후 중도포기하면 퇴교가 되어 다른 간부 양성과정 지원자격이 상실된다. 단, 질병이나 성적미달로 인한 퇴교는 지원자격을 상실하지 않는다.

생도가 대부분 여성이라 임시입학 보급품에 대해 궁금해할만도 한데 2008년 이전까지는 속옷[6]화장품도 임시입학시 보급을 해줬으나[7] 2009년 이후부터는 속옷과 화장품류는 임시입학시 개인별로 준비하여 들어오고 차후에 피복비(현금)으로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물론 2012학년도부터 입교하는 남생도는 속옷이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3.2. 남생도 선발

본래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입교일 기준 만 17세~22세 사이의 미혼 여성만 지원할 수 있었지만 2012학년도 입시(56기)부터는 남생도도 선발한다(연령과 미혼 제한은 동일). 남생도 선발은 2006년부터 나왔던 이야기지만 국방부가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시행령 개정을 계속 미뤄오다가 2011년에 드디어 개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모집하게 되었다. 물론 다른 사관학교들과 다르게 간호사관학교는 여초인 곳이기에 남자 경쟁률이 여자 경쟁률과 10배 이상 차이난다.

공고상 선발 인원은 한 자리수일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처음에 학교측에서는 남/녀 생도 선발 비율을 공개하지 않았었다. 최초의 남생도는 8명이며 이들은 임시입학 훈련을 거쳐 2012년 2월 23일 정식 입교했으며 관련 기사[8] 57기부터 59기도 역시 기수당 8명씩 입교하였다. 다만, 이들이 최초의 남자간호장교는 아니다. 1974년에 남자간호후보생을 모집하여 5명의 남자간호장교가 최초로 탄생한 바 있다.

남자 생도 선발 1년 만에 동기인 남자 생도와 교제하던 여자 생도가 임신하는 사고가 벌어졌다(...) 당연하지만 둘 다 짤렸다.

4. 생도 생활

4.1. 학교 생활

다른 사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등록금이 없고 의식주 및 생필품, 학용품 일체가 국비로 지원된다. 노트북도 1인당 1대씩 지원되며 매월 65~90만원의 품위 유지비도 나온다. 3금(금주, 금연, 금혼) 제도가 존재하는 것도 다른 사관학교들과 같은 점. 오랫동안 여성 전용 사관학교였던 탓에 피복 규정 등이 여성 위주로 되어 있어, 첫 남생도가 입교한 56기는 여군용 손가방이 지급되는 일[9]도 있었다. 현재 남생도는 대체품인 어깨 가방이 따로 나온다.

2학년 2학기 중에 다른 대학 간호학과들과 마찬가지로 나이팅게일 선서식을 하게 되며, 이때 2학년 생도들은 나이팅게일 선서를 한다. 그외 대부분의 학교 생활은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와 같으나 남녀 비율이 바뀌어 있다.

매년 가을 다른 대학교들과 다름 없이 학교 축제 기간을 갖는데, 축제 이름은 백합제이다. 백합제가 열리는 기간은 평소와 달리 민간인에게도 교내가 일부 개방된다.

4.1.1. 일과시간표

<rowcolor=#fff><colbgcolor=#761F41><colcolor=#fff> 시간 일과내용
06:20 - 06:30 기상 및 아침점호 준비
06:30 - 06:40 아침점호
06:40 - 07:00 청소
07:00 - 07:40 아침식사
08:00 - 08:30 오전학과 출장
08:30 - 12:20 오전 학과
12:20 - 13:00 점심식사
13:00 - 13:30 오후학과 출장
13:30 - 17:20 오후 학과
17:40 - 18:20 체력단련
18:20 - 20:00 저녁식사 및 개인정비
20:00 - 21:20 자율학습
21:20 - 21:40 저녁점호 준비
21:40 - 21:50 저녁점호
21:50 - 22:30 개인정비 및 취침준비
22:30 - 06:30 취침

4.2. 학과 교육

간호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므로 간호학과 단일 전공만 있다는 점이 여러 전공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다른 사관학교들과 다른 점이며, 간호사장교의 기본 자질을 동시에 갖추도록 교육한다.

교양과정 외 전공과정은 간호학과의 전공과정 그대로이며 3학년 1학기에 있는 나이팅게일선서식 이후부터 3학년은 국군수도병원, 4학년은 국군대전병원에서 실습 및 민간 병원에서 본격적으로 임상실습을 하게 된다. 간호사를 양성하는 학교인 만큼 졸업 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하며, 매년 탈락자 없이 100%의 국가고시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시에 합격하지 못하면 강제유급을 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졸업을 못하므로 당연히 임관이 안 된다. 참고로 강제유급은 여기뿐 아니라 대부분 간호학과에서 시행중이다.

국가고시까지 합격하면 간호학사와 군사학사가 동시에 수여되며, 졸업 및 임관을 하게 된다.

다른 사관학교와 마찬가지로 무감독 시험인 명예시험의 전통이 있고, 물론 시험 부정행위자는 훈육심의위원회에 회부되어 징계를 받는다.

4.3. 교직과정

대한민국사관학교 중 유일하게 교직과정이 개설되어 있다는 점도 특이한 점이며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 간호학과 교직이수자와 마찬가지로 4학년 1학기에 교육실습도 나간다('학교현장실습'이라 함).

2008년 이후 입학자를 기준으로 정원의 10%가 교직 이수자로 선발되는데[10] 전공이 간호학이므로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졸업시 보건교사 자격증이 나온다. 간호사 국시만 합격하면 자동으로 보건교사 자격증이 나와서 임용시험을 볼 수 있었던 2001년 이전 입학자는 교직을 이수하면 교련과 교원 자격증이 나왔으며 실제로 여성 교련교사는 국간사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실제로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교육과(현 보건관리학과)와 함께 단 둘뿐인 교련과 2급 정교사 자격증 발급 과정이었다.

4.4. 군사훈련

간호사관학교도 군 장교를 양성하는 사관학교다 보니 하계/동계 휴가를 전후하여 군사훈련을 실시한다. 다른 사관학교와의 다른 점은, 간호장교 양성에 특화된 교육과정 특성 때문에 일반 군사훈련이 특성화되어있다. 각 군별/상황별 간호 실습을 추가로 한다는 점(임상실습과는 별도). 유격 훈련은 1주간 받으며 원래 화산유격장을 사용했으나 2013년부터 육군학생군사학교 유격장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11]

일반 군사훈련은 육군3사관학교에 위탁하여 실시하며 3학년 때는 항공/해양간호훈련을, 4학년 때는 야전간호훈련을 실시하는데 이는 육/해/공 3군 어디로 가더라도 각 군 특성에 맞는 군진간호임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항공간호훈련은 공군 항공우주의료원에서, 해양간호훈련은 진해에 있는 해군 해군해양의료원에서 실시하며 해양간호훈련 중에는 해군사관학교에서 숙영하면서 해사 생도와도 교류한다.

5. 교가

국군간호사관학교 교가
드높은 하늘이고 솟은 멧부리
골짝 물이 모여흘러 한들 열었네
의젓한 배움 동산 영화로와라
지덕체 갈고닦아 온누리 밝히세
아아 당당하게 피어나는 백합 봉오리
갸륵하다 나이팅게일 겨레의 빛이로세

6. 국군간호사관학교 구호

육사의 무락카와 비슷하게 국간사에도 구호가 있다.
국군간호사관학교 홍보영상

구호 준비!(어이!)
진리를! 탐구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하나! 둘! 셋! 넷!
살려라 국! 지켜라 간!
조국의 등불 국간사! 국간사! 국간사!
오! 카프나(KAFNA)
We'll be there
살려라 악! 지켜라 악!
프리메로 국간사 화이팅!

7. 캐릭터

파일:국간사캐릭터.gif
이름은 한나예다. 한국의 나이팅게일의 후예라는 뜻이라고 한다. 군 관련 기관 마스코트 캐릭터들 중 가장 예쁘다는 평을 듣는데, 국간사가 대중적으로 덜 알려져서 존재감이 낮은 게 문제다. 당시 3학년이었던 한 재교생도가 만들었다고 한다.

사관학교 캐릭터들 중에서 유일한 인간이다![12]

파일:국간사_캐릭터.jpg
남생도가 입교하게 되면서 남자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이름표에 있는 이름은 한나예로 똑같다. 한나후로 해도 될거같은데

8. 임관 후 진로

9. 타국의 사례

간호사관학교를 따로 두지는 않았지만 미군의 경우 국방의학전문대학원에서 간호장교 일부를 양성한다. 일본 역시 방위의과대학교에 과거에는 고등간호학원을 두어 부사관 간호사[14]를 양성했고 2014년부터는 간호학과 학생을 받아 이들이 졸업하는 2018년부터는 간호장교를 신규로 배치하였다.

10. 출신 인물

10.1. 학교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761F41><tablebgcolor=#761F41>
파일:KAFNAtitle.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761F41><tablebgcolor=#761F41>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Brigadier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B6C1,#003318>
초대

김남희 ||<width=20%>
제2대

태숙화 ||<width=20%>
제3대

조병숙 ||<width=20%>
제4대

이종수 ||<width=20%>
제5대

김광임 ||
제6대

이영실
제7대

정숙
제8대

유경자
제9대

최광자
제10대

윤영애
제11대

김순규
제12대

손귀례
제13대

김기순
제14대

최영희
제15대

백혜경
제16대

양승숙
제17대

신숙호
제18대

양승숙
제19대

이재순
제20대

윤종필
제21대

박순화
제22대

신혜경
제23대

박명화
제24대

최경혜
제25대

윤원숙
제26대

권명옥
제27대

정의숙
제28대

강점숙
제29대

정경화
※ 초대~2대: 육군간호학교장, 2대~6대: 국군간호학교장, 6대~현임: 국군간호사관학교장
※ 초대~2대: 중령, 3대~17대: 대령, 18대~현임: 준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역대 국군간호사관학교장
<rowcolor=#ffffff> 이름 계급 임관 기간
1 김남희 중령 1967년 08월 15일 ~ 1970년 10월 28일
2 태숙화 1970년 10월 28일 ~ 1972년 07월 12일
3 조병숙 대령 1972년 07월 12일 ~ 1973년 10월 06일
4 이종수 1973년 10월 11일 ~ 1977년 11월 25일
5 김광임 1977년 11월 26일 ~ 1979년 08월 16일
6 이영실 1979년 08월 13일 ~ 1981년 11월 30일
7 정숙 1981년 11월 30일 ~ 1983년 08월 22일
8 유경자 1983년 08월 22일 ~ 1985년 08월 20일
9 최광자 1985년 08월 20일 ~ 1987년 08월 20일
10 윤영애 1987년 08월 20일 ~ 1989년 08월 19일
11 김순규 1989년 08월 19일 ~ 1991년 08월 17일
12 손귀례 1991년 08월 17일 ~ 1993년 08월 19일
13 김기순 1993년 08월 19일 ~ 1995년 08월 18일
14 최영희 1995년 08월 18일 ~ 1997년 08월 14일
15 백혜경 1997년 08월 14일 ~ 1999년 08월 08일
16 양승숙 간호후보 29기 1999년 08월 09일 ~ 2001년 08월 10일
17 신숙호 간사 16기 2001년 08월 10일 ~ 2002년 01월 23일
18 양승숙[15] 육군 준장 간호후보 29기 2002년 01월 24일 ~ 2004년 01월 08일
19 이재순 간사 16기 2004년 01월 09일 ~ 2005년 12월 01일
20 윤종필 간사 17기 2005년 12월 01일 ~ 2007년 12월 21일
21 박순화 간사 19기 2007년 12월 21일 ~ 2009년 12월 17일
22 신혜경 간사 20기 2009년 12월 17일 ~ 2011년 12월 09일
23 박명화 간사 21기 2011년 12월 09일 ~ 2013년 \월 \
24 최경혜 간사 22기 2013년 \월 \일 ~ 2015년 12월 \__일
25 윤원숙 간사 23기 2015년 12월 \__일 ~ 2017년 12월 28일
26 권명옥 간사 27기 2017년 12월 28일 ~ 2020년 01월 02일
27 정의숙 간사 28기 2020년 01월 02일 ~ 2021년 12월 31일
28 강점숙 간사 29기 2022년 01월 01일 ~ 2023년 12월 31일
29 정경화 간사 32기 2024년 01월 01일 ~ 현재

간호라는 것이 과거에는 여성의 전유물, 지금도 여초 병과이다 보니, 사실상 여군으로서 육군 간호장교로 임관하면 장군이 될 수 있는 유일한 보직이었다. 해공군은 간호에서 장군이나 제독은커녕 대령도 힘들다.

10.2. 장교/부사관

10.3. 주요 동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군간호사관학교/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4. 가상 인물

11. 기수

1기부터 10기까지는 1951년부터 1957년까지 모집했다. 그 후로는 한동안 간호사관후보생으로 민간 모집을 하다가 1967년에 11기부터 모집을 재개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1950년대에 모으던 기수를 합산하지 않았다. 그래서 1995년에 임관한 35기의 경우엔 당시의 기사에선 25기였다. 2003년 11월 1일 기수 연결식을 치러 현행 통합 기수 체제가 확립되었고 이에 따라 생도 선발 중단 시기에 해당해 결번 처리된 34기와 35기는 44기와 45기, 생도 선발 재개 후 입학했던 36기[16]와 37기는 각각 46기와 47기가 되었다.

[목록 펼치기 · 접기]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761F41><rowbgcolor=#761F41><rowcolor=#fff><colbgcolor=#761F41><colcolor=#fff> 기수 || 입교년도 || 임관년도 ||
1기 1951[17] 1953
2기 1952 1953[18]
3기 1953 1953[19]
4기 없음[20]
5기 1954 (1월)[21] 1954
6기 1954 (5월) 1955
7기 1954 (12월) 1955
8기 1955 1956
9기 1956 1957
10기 1957 1958, 1960[22]
11기 1967 1970
12기 1968 1971
13기 1969 1972
14기 1970 1973
15기 1971 1974
16기 1972 1975
17기 1973 1976
18기[23] 1974 1977
19기 1975 1978
20기 1976 1979
21기 1977 1980
22기 1978 1981
23기[24] 1979 1983
24기 1980 1984
25기 1981 1985
26기 1982 1986
27기 1983 1987
28기 1984 1988
29기 1985 1989
30기 1986 1990
31기 1987 1991
32기 1988 1992
33기[25] 1989 1993
34기 1990 1994
35기 1991 1995
36기 1992 1996
37기 1993 1997
38기 1994 1998
39기 1995 1999
40기 1996 2000
41기 1997 2001
42기 1998 2002
43기 1999 2003
44기 없음
45기
46기[26] 2002 2006
47기 2003 2007
48기 2004 2008
49기 2005 2009
50기 2006 2010
51기 2007 2011
52기 2008 2012
53기 2009 2013
54기 2010 2014
55기 2011 2015
56기[27] 2012 2016
57기 2013 2017
58기 2014 2018
59기 2015 2019
60기 2016 2020
61기 2017 2021#
62기 2018 2022
63기 2019 2023
64기 2020 2024
65기 2021 2025
66기 2022 2026
67기 2023 2027
68기 2024 2028

12. 미디어




13. 여담

14. 관련 문서


[1] 사관학교 중 유일하게 여성 정원이 더 많다.[2] 이는 현 군의관들에게도 해당되는데 군의관들도 고급인력으로써 대우받으며 군복무를 수행하기 위해 오는 것이지 대학병원이나 중견급 병원에서 일하는 연봉보다 낮아도 한참낮은 월급을 받으며 일하기는 꺼리기에 소령까지만 찍고 제대하는 이들이 많다.[3] 물론 여기에는 당시 현역 및 예비역 간호장교와 여성계의 노력도 있었다.[4] 여군 및 간호병과 최초의 장성이다. 이전까지는 대령이 학교장이었으며 전투병과 최초의 여군 장성은 2010년 진급한 송명순 육군준장.[5] 예외적으로 2023년에 입학한 67기에서 3주차가 지나고 나서 추가 합격자가 선발되었다.[6] 브래지어, 여성용 팬티[7] 사제 물품을 구매해서 보급했고 정식 입교 후부터는 현금 지급[8] 사진 속 56기 땐 남생도에 대한 피복 규정 정비가 제대로 안 되어 있어 여성용 핸드백을 보급받았다. 현재는 남자 생도는 별도의 가방을 받는다.[9] 임시입학시 피복 지급을 감독하며 고성을 지르던 상급생에게 한 남생도가 용기를 내어 손들고 "저희도 핸드백 듭니까?"라고 묻자, 잠시 당황하던 상급생 여생도가 "남생도는 안 들어도 된다."고 자의적으로 지시했다고 한다.[10] 2002년 이전 입학자는 정원의 30%였으나 이후 줄었다. 간사 뿐만 아니라 모든 비사대 교직이수가 교직 정원을 최대 10%로 감축하고 있다. 교사 과잉 공급 문제가 심해지고 있어서이다.[11] 이때마다 핸드폰 자체를 못쓰기에 카톡 상태메세지에 1주일간 연락 못받는다는 것이 종종 올라오기도 한다[12] 나머지 사관학교의 마스코트 캐릭터는 모두 동물이다. 육군사관학교의 마스코트 '화랑이'는 사자, 해군사관학교의 마스코트 '샤키 & 샤니'는 상어, 공군사관학교의 마스코트 '마하수리'는 독수리, 육군3사관학교의 마스코트 '호국이'는 호랑이다.[13] 1990년까지는 여군은 단일 병과로서 사실상 타자수 역할을 했다. 1940년대 미 육군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14] 진급하면 장교가 될 수도 있다.[15] 학교장 2번 역임[16] 존치 결정 후 나온 선발 공고 때는 34기로 나왔다.[17] 3월과 6월 2번에 걸쳐 입교[18] 실습교육 1년 후에 임관부터 시키고, 2년 과정을 마친 후 졸업을 시켰다. 따라서 졸업은 1954년.[19] 입교 5개월 만에 전원 임관. 졸업은 1955년.[20] 4기가 없는 것은 기록의 누락이 아니라 '죽을 사'를 기피하는 전시 풍토 때문에 의도적으로 건너뛴 것. 군의학교 군의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도 4기가 없다.[21] 휴전으로 인해 귀향이 이루어진 1954년에는 모집인원의 확보가 어려워 3차례에 걸쳐서 모집이 이루어졌다. 5기부터 10기까지는 입교 10개월 교육이수 후 임관됨.[22] 10기는 군의학교 간호사관생도(2년제)로 입교하여 1958년 임관한 38명과 육군병원 부설 간호사관생도(3년제)로 입교하여 1960년 임관한 131명이 혼재되어 있다. 전후 사관생도 지원자가 크게 줄어 5기부터는 50명도 채 안되었다. 타개책으로 민간학교 위탁교육을 실시하였으나 이것도 2년만에 폐지되고, 5개 육군병원에 3년제의 간호사관생도교육대를 설치하여 1957년 1기, 1958년 2기, 1959년 3기가 입교하였다. 그런데 1959년 국무회의에서 학교설치법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력 인정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제도가 폐지되고 만다. 1, 2학년에 재학 중이던 2기와 3기생은 민간 간호교육기관에 위탁되어 해당 학교의 졸업 자격을 얻었고, 3년 과정을 마친 1기생은 간호사 검정고시와 군의학교 교육을 거쳐 임관함으로써 국군간호사관학교 10기생으로 인정되었다.[23] 대한민국 해군에 처음으로 간호사를 공급한 기수이다.[24] 1980년 법령개정으로 4년제가 된 첫 기수.[25] 대한민국 공군에 처음으로 간호사를 공급한 기수이다.[26] 국군간호사관학교 존치 결정 후 입학한 첫 기수이며 현행 기수 체제 확립 후 졸업한 첫 기수이다.[27] 처음으로 남자생도들이 들어온 기수이다.[28] 육, 해, 공 3군 사관학교의 설치만을 규정하고 있다.[29] 법률 제16357호, 2019. 4. 23., 일부개정[30] 법률 제17995호, 2021. 4. 13., 일부개정[31] 영부인이 임석상관으로 최초 참석한 임관식은 권양숙 여사가 참석한 제46회 임관식(2006년 3월)이었다. 임관식 당시 학교 시설을 둘러보면서 느낀 점을 윤광웅 당시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에게 이야기했고 국방부 장관 지휘서신에서 '(영부인의 말씀을 듣고)부끄러웠다'라는 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