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3:00:28

한국기독교장로회

기독교장로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파일:십자가_투명.png
나무위키 등재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파 교단
감리회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 · 파일:예수교대한감리회 상징.svg 예수교대한감리회
구세군 파일:구세군 방패(국문).svg 구세군대한본영
그리스도의 교회 파일: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 상징.png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
루터교회 파일:기독교한국루터회 엠블럼.svg 기독교한국루터회
복음교회 파일:기독교대한복음총회 로고.png 기독교대한복음교회
성공회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대한성공회
성결교회 파일:기독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파일:나사렛교회 로고.svg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 파일:예수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오순절교회 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엠블럼.svg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 파일: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로고.png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 2.jpg (개혁)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고신)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신) ·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대신석수)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백석)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교단심볼.svg (백석대신) · 파일:순장.png (순장)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중앙) 상징.svg (중앙)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통합)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합동)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png (합동개혁) · 파일:합동총신측고화질.jpg (합동총신측)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합신)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한영) 상징.jpg (한영) · 파일: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_로고_2.png 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 ·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재림교회 파일: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심볼.svg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침례회 파일:기독교한국침례회 상징.svg 기독교한국침례회
초교파 파일: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로고.svg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
· 이단성 논란이 있는 교단은 기울임체로 표시한다.
}}}}}}}}} ||
<rowcolor=#fff>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韓國基督敎長老會總會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colbgcolor=#7d5095><colcolor=#fff> 표어 교회여, 다시 생명을 살리고 평화를 노래하자
(에스겔 47:8-12, 요한복음 14:6-7, 로마서 8:18-25, 시편 23:1-6)
약칭 기장
설립연도 1953년 6월 10일 ([age(1953-06-10)]주년)
소속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총회장 박상규 목사[1]
부회장 이종화 목사[2], 김재현 장로
총무 이훈삼 목사[3]
교인 수 193,221명(국민일보, 2023년#)
성향 진보주의, 신정통주의, (일부)자유주의
'''
교회협의체
'''
국내:
국제: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김상옥로 30, 4층 (연지동)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교육원

1. 개요2. 타 교단에 비해 강한 교회의 독립성3. 역사
3.1. 역대 총회장
4. 지역별 교세분포5. 노회 목록6. 소속 교회7. 비판
7.1. 일제강점기 시절
7.1.1. 교단차원의 공식 회개성명을 발표한 유일한 교단
7.2. 군사정권시절의 기장
7.2.1. 반론
7.3. 대북 행보
7.3.1. 반론
8. 기타9. 해외 협력 교단10.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한국기독교장로회(韓國基督教長老會)는 한국의 개신교장로회의 한 분파에 속한다. 약자로 기장(基長)이라고 부른다.[4] 한국교회사에서 역사가 매우 긴 교단 중 하나다.

한국에서 대한성공회와 함께 가장 대표적인 진보 정통교단들 중 하나로, 신정통주의포스트모던 신학을 받아들인 교단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대한성공회정의구현사제단보다도 진보적인 성향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5] 교단을 대표하는 경동교회향린교회의 이미지가 커서, 다른 교회들도 동성애를 목회의 영역으로 인정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실제 교단내에는 반동성애 입장을 견지하는 보수성향의 교회와 목회자, 성도들도 상당수 있어서 내부 갈등이 만만치 않은 편이다.

어쨌든 대외적으로는 진보 교단의 색채를 띄고 있으며 한국에서 진보적인 신학과 교회 일치 운동에 한국기독교장로회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장 교단 내에서 보수적인 성향을 띄는 '성풍회'의 경우도 오순절교회의 영향을 받은, 은사주의를 기반으로 한 교회 일치 운동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선교 중심의 교회로 유명한 전주안디옥교회와 복음주의적 성향의 한신교회도 기장 교단 소속이다. 실제로 기장은 미국 장로교단 중 가장 진보적인 그리스도연합교회를 포한한 여러 해외교단들과 교류하고 있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속해 있는 반면 극우적인 색채를 가진 개신교 교회 연합체에 일절 가입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산하 신학교는 한신대학교가 있다. 대학교 과정은 경기도 오산시에서, 신학대학원 과정은 서울특별시 수유동에서 담당한다.

2. 타 교단에 비해 강한 교회의 독립성

2015년 기준으로 예장에서 가장 큰 교단인 통합과 합동 교회에 출석하는 교인 수가 각각 279만명과 270만명으로 도합 약 550만에 육박하는 반면, 기장 교단의 교인 수는 약 26만 명 정도이다. 이렇듯 규모는 작지만, 교회의 의견을 존중하는 경향이 커서 총회의 결정을 일원화하는 강제성이 다른 교단에 비해 옅은 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동성애에 대한 견해 차이를 인정하는 점인데, 총회 입장에서는 총회 안에서 동성애 진영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막지 않으며, 과거 표결 결과 동성애에 대한 판단을 유예한 적이 있을 정도로 자유도가 높다.[6]그러나, 결혼을 남녀의 결합으로 규정하는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신앙고백을 강조하며 107회 총회가 2022년 결의하고 성소수자목회위원회를 해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이처럼 기장에는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공존한다. 그러나 입장이 다를 지라도 서로의 목소리를 존중하며 총회적인 결정을 하고 있다.

총회 산하 신학교인 한신대학교의 경우 교회 일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진보적인 주제를 다루는 기관과의 교류도 타 교단에 비해 적극적으로 하는 편이다. 학생회 역시 진보적 색채를 띄고, 교육 과정에서도 기독교 교리에 대해 개혁교회전통에 선 진보적인 스탠스를 취한다. 확실히 이런 성향은 각 교단별 총회에 소속된 다른 신학교들과 구별되며, 위에도 언급한 것처럼 한국기독교장로회는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하는 편이기 때문에 총회 안에서의 회의에서도 건설적인 토론이 가능한 것이다.

기장교단은 타 개신교교단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스스로의 과거를 성찰하고 돌이키는 총회적 결정을 한 바 있다. 대표적인 예제가 바로 신사 참배 문제인데, 많은 내홍을 겪긴 했으나 2007년 총회 결의를 통해 공식적으로 교단 차원에서 공식회개 성명을 내고 2007년과 2008년에 한 번씩 '신사참배 회개주일'을 특별 진행한 역사가 있다.[7]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로회/대한민국/분열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로회/대한민국/분열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로회/대한민국/분열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독립 이후 하나의 교단으로 이어져오던 한국의 장로회는 1950년대에 신학적 문제로 기장과 예장으로 분리되었으며, 1960년대 예장 내에서 WCC (세계교회협의회)가입 문제로 통합과 합동으로 분리된다. 1952년까지의 기장 역사는 한국의 주요 장로교인 예장 통합 및 예장 합동과 공유한다.

기장은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와 관련이 깊다.[8] 구한말 '선교지 분할 협정(Commity Agreements)'으로 캐나다 선교부가 간도 및 함경남북도를 관할하게 됐고, 기장 교단을 세운 김재준 목사가 용정 은진학교 교목을 역임하며 문익환, 문동환 목사 등을 제자로 삼기도 했기 때문이다. 일본 패망 이후 만주를 장악한 소련에 의해 탄압을 받아 남한으로 내려온 일군의 목회자들이 남북의 통일을 염원하는 개신교 세력이 된 것도 역설적이다. 관련된 내용은 2019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북간도의 십자가'에 간략히 소개되기도 했다.

두개로 갈라진 예장 교단들 중 예장통합과는 2016년 화해를 하였으나 분리된 역사가 오래되어 교단통합까지는 논의가 진전되지 않는다.

조선신학교에서 모더니즘신정통주의(좀 더 정확히는 성서비평학)을 받아들이는 문제로 장로회 내부의 갈등이 벌어진 끝에 결국 김재준 목사가 면직 처분되었고, 결국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갈라서게 된다. 오늘날 예장(통합) 계열 신학교에서도 카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인 상황이라는 점에서, 50년대의 기장-예장 분열은 안타까운 지점이 많다. 예장 측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자신들의 결정을 반성하며 김재준목사에 대한 면직 결의를 2016년 철회하였다. [9][10][11]

본래 조선신학교가 분단 이후 대한민국의 유일한 개신교 신학교였던 만큼 조선신학교를 기반으로 둔 기장은 초창기에는 그 교세가 예장과 큰 차이가 없었는데, 예장 교단이 기장과의 분리 이후 복음주의적 입장에서 복음 전파나 한국 복음화에 초점을 두고 사역하며 교세가 크게 증가한 반면, 기장 교단은 군사 독재 시절 반독재 민주화 투쟁이나 사회적 약자 보호 등 사회 구원에 주력하면서 교세 증가 면에서 예장 교단에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2]

1990년대 이후로는 기장 교단에서도 사회 구원과 함께 신앙공동체와 개인의 영성과 신앙수련에 초점을 두고 주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6년 10월, 예장(통합)[13] 측에서 총회장을 비롯한 임원진이 기장 총회를 방문하여 고 김재준 목사의 면직 결의를 철회하는 공문을 공식적으로 전달하며 사과했다.[14] #

2025년에는 한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개신교 교단 '한국기독교장로회'와 가장 보수적인 교단 중 하나인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이 서로 화해를 선언했다. https://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44512

3.1. 역대 총회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663399, #7d5095 20%, #7d5095 80%, #66339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조선예수교장로회
<rowcolor=#fff,#fff> 1회 2회 3회 4회 5회
<rowcolor=#fff,#fff> 6회 7회 8회 9회 10회
김선두
이기풍
<rowcolor=#fff,#ff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김성택
이자익
임택권
<rowcolor=#fff,#ff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김영훈
염봉남
차재명
홍종필
장규명
<rowcolor=#fff,#ff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남궁혁
장홍범
이인식
이승길
<rowcolor=#fff,#ff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이문주
홍택기
윤하영
곽진근
최지화
<rowcolor=#fff,#fff> 31회
김응순
남부 총회
<rowcolor=#fff,#fff> 제1회
(32회)
제2회[1]
(33회)
이자익
조선예수교장로회
<rowcolor=#fff,#fff> 33회[2] 34회 35회[3]
이자익
이자익
최재화
대한예수교장로회
<rowcolor=#fff,#fff> 35회[4] 36회 37회
최재화
권연호
김재석
한국기독교장로회
<rowcolor=#fff,#fff>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김세열
박용희
박용희
구연직
<rowcolor=#fff,#fff> 43회 44회 45회 46회 47회
강홍수
길진경
조승제
정규태
<rowcolor=#fff,#fff>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장하원
이해영
최문환
<rowcolor=#fff,#fff> 53회 54회 55회 56회 57회
서정태
배성근
황희섭
조향록
박재석
<rowcolor=#fff,#fff>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이준묵
인광식
은명기
권영진
조덕현
<rowcolor=#fff,#fff> 63회 64회 65회 66회 67회
윤재현
이국선
강신정
강명찬
<rowcolor=#fff,#fff>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송상규
이영찬
한상면
유병찬
기원형
<rowcolor=#fff,#fff> 73회 74회 75회 76회 77회
박봉양
윤기석
최희섭
김수배
<rowcolor=#fff,#fff> 78회 79회 80회 81회 82회
김정현
배야섭
유재천
백형기
서정기
<rowcolor=#fff,#fff> 83회 84회 85회 86회 87회
강만원
이중표
김경식
윤기석
전병금
<rowcolor=#fff,#fff> 88회 89회 90회 91회 92회
김옥남
김동원
박원근
양태윤
임명규
<rowcolor=#fff,#fff> 93회 94회 95회 96회 97회
서재일
김현배
김종성
유정성
나홍균
<rowcolor=#fff,#fff> 98회 99회 100회 101회 102회
박동일
황용대
최부용
권오륜
윤세관
<rowcolor=#fff,#fff> 103회 104회 105회 106회 107회
김충섭
육순종
이건희
김은경
강연홍
<rowcolor=#fff,#fff> 108회 109회
전상건
박상규

[1]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재건 결의[2]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재건함.[3] 교단 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변경할 것을 결의[4] 교단 명칭을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변경함.
}}}}}}}}}}}}

4. 지역별 교세분포

현재 기장 교단 소속의 교회들은 수도권보다는 상대적으로 전라도충청도의 농촌 지역에 더 많이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장 교단만을 놓고 보았을 때 어느 지역에 더 교회/교인이 많냐는 놓고 하는 이야기이다. 전라도, 특히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기장 교회가 전국에서 가장 많고 비율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함에도 전체 개신교 교회 및 교인 수를 놓고 보면 통합, 합동 등 예장 교단이 압도적으로 많다.[15] 예외적으로 전북 임실군만 기장 교단이 압도적이다. 따라서 이곳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지역을 놓고 보았을 때 그 지역에서 기장이 가장 높은 신자화율을 기록하는 경우는 없다. 대부분의 전라북도 지역에서 이 교단은 어느 정도 선방을 한다 할지라도 임실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도 기장은 소수교단으로 위치한다.[16]

경상도 지역 농촌에는 구미, 김천을 빼면 기장이 자리잡지 못한 모습이다. 대신 고신, 합동, 통합 등 예수교장로회 계열 교단이 주로 분포한다. 충청도 지역 역시 통합, 합동, 백석 등 예장 교단과 감리회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대전의 경우 다른 충청지역에 비해 기장의 교세가 약한 편이다.출처

5. 노회 목록

6. 소속 교회

장로회/대한민국/교단 목록 문서 참조

7. 비판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BrainyEarthyPanoramicTrousers|토론]]을 통해 각 항목별로 비판과 반론 문단을 철저히 독립 유지하고 각주 등을 통해 서로 토를 달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BrainyEarthyPanoramicTrousers|토론]] - 각 항목별로 비판과 반론 문단을 철저히 독립 유지하고 각주 등을 통해 서로 토를 달지 않기'''
----
'''[[https://namu.wiki/thread/BrainyEarthyPanoramicTrousers|토론]] - 양측 무관 증거를 제시하지 않은 서술은 제거할 수 있기'''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7.1.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신학교의 설립자인 김재준 목사는 후에 기독교 장로회 교단 성립에서 큰 역할을 한다. (김재준 목사의 친일 논란에 대해서는 에큐메니안 칼럼 참조). 김재준과 같은 신정통주의자였던 칼 바르트는 같은 제국주의 치하에서도 디트리히 본회퍼와 함께 바르멘 신학 선언을 작성하며 반나치 활동을 벌였다는 점에서, 김재준의 행보는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 또한 1941년 일본 제국을 찬양하는 기념사를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서 발표한 조승제 목사(근거:뉴스엔조이 칼럼)를 기장 총회장으로 선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기장 교단은 과거의 역사를 성찰하고 총회적으로 회개의 선언을 하게 된다. 2007년 총회 결의를 통해 공식적으로 교단 차원에서 공식회개 성명을 내고 2007년과 2008년에 '신사참배 회개주일'을 진행한 역사것이다. 교단에 속한 모든 교회가 참회의 주일을 기억하고 지키며 회개와 성찰의 범 교단적인 움직임을 가진 것은 개신교 교단 가운데 유일하다. 반면 친일역사에 대하여 예장에서는 1954년 총회장에 선임된 한경직 목사가 신사참배 가담을 이유로 사임하였고 1992년 템플턴 상을 받았을 때 일제강점기 당시의 친일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과하면서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죄의 뜻을 밝힌것에 그쳤다.

7.1.1. 교단차원의 공식 회개성명을 발표한 유일한 교단

다만, 기장과 예장의 분리는 1950년대 이후의 일로, 일제강점기에 친일했다는 비판의 1차적인 타겟은 조선신학교 계열 장로교 전체에 가해질 수 있다. 윗 문단의 비판의 대부분은 예장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특히 1930년대 이후 언더우드[17]가 신사참배에 대해 국가의례라는 입장을 표출해왔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예장(통합)에서 오늘날까지 언더우드를 숭상하며 이에 대한 비판이 없었다는 점은 주지할 만하다.[18](안종철, 2008) 이는 위에서 인용된 바와 같이 기장 내 친일행위에 대한 비판이 기장 교단과의 연관성이 높은 에큐메니안과 뉴스엔조이에서 나온다는 점과 대조된다.

당시 장로교 신학교는 조선신학교과 평양신학교 두 군데였는데, 그중 조선신학교는 일제에 순응한 장로회 교인들의 구심점이었던 반면 평양신학교는 신사참배에 강력하게 저항한 학교였다. 예장과 기장 전 계열을 떠나서 당시 신사참배와 친일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곳은, 주기철 목사 등 신사참배 거부로 투옥된 목사들이 광복 이후 조직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재건) 등의 '출옥성도파' 극히 일부뿐이다.[19]

일단 기장 분립 이전 형식적으로나마 참회는 없이 취소 결의는 있었다. 1946년 단일 총회에서 신사참배 취소 결의가 있었고, 1947년과 1948년에 반복 확인되었다. 이 부분은 예장과 기장 공통의 역사이다.

7.2. 군사정권시절의 기장

군사독재시절 기장교단에 소속된 목사와 교인 상당수가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사회적 약자와 고난받는 사람들이 있는 곳에 함께 하는 것이 이 시대 예수의 길을 따르는 것이라는 고백으로, 기장교단이 출발할 때 선언했던 신앙과 삶을 일치시키려는 신앙의 걸음을 이어갔다. 군사정권으로 부터 무수한 핍박을 받았지만 그 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기장의 민중교회운동은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 하는 신앙과 삶이 드러난 대표적인 형태이다.

하지만 일부 교단의 지도자들이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여한 사실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전두환 시기 국가조찬기도회에 참여하지 않은 교단은 고신과 대한성공회 정도밖에 안 되므로 국가조찬기도회 참여와 관련된 사항은 기독교 전체에 대한 성찰과 비판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7.2.1. 반론

이에 대한 반론은, 성경에서 예수가 말한 바와 같이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주라는 것이다. 교단 내 다수 목사들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더라도 사회의 일원인 개신교 주요 교단으로서, 교단 지도부는 국가행사 참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전두환 정권 시기 조찬기도회에는 예장 측의 한경직 목사 등 역시 같은 이유로 참여했고, 또한 기장측 총회 안에서 조찬기도회 참석 문제로 소수 의견이나마 반대 의견이 나온 적도 있다.

그러므로 조찬기도회에 참석하며 군부독재의 정당화에 기여한 바가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고는 해도, 그것이 기장 산하 모든 교회가 일괄적으로 군부독재를 옹호했다는 결론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기장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과정 중에 대한성공회천주교와 더불어 기독교 교단 중 민주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곳이다. 이는 6.10 항쟁에서 향린교회서울주교좌성당명동성당과 함께 보여준 기여와 희생에서도 잘 드러난다. 대표적인 예제로, 6월 항쟁을 제일 잘 묘사했다고 평가받는 영화인 1987에 나오는 '향림교회'가 향린교회를 모티브로 한 교회라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비판 측에서 예장고신 측이 전두환 정권 조찬기도회에 참여한 적이 없다고 서술하였는데, 군부독재 기간 중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이후로는 대부분의 조찬기도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비판 측의 이야기가 정확한 근거 자료로 작용하려면, 군부독재 기간 종료 직후 조찬기도회 폐지를 건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어야 하는데 그런 정황은 발견되지 않는다.[20]

7.3. 대북 행보

문익환 목사는 대표적인 기장의 통일운동가이다. 그는 노태우 정부 시절 무단 방북 후 직접 김일성과 합의문을 만들었던 전적이 있다. 문익환 목사의 통일 관련행보는 당시 어떤 정치와 관습을 뛰어넘는 과감하고 놀라운 걸음이었다. 그가 가졌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상상력과 꿈은 많은 이들에게 지금도 영감을 주고 있다. 문익환 목사는 북한 체제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성서가 가르치고 있는 평화를 위해 헌신했던 통일운동가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삶 또한 자녀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는 청빈하고 모범적인 삶이었기에 한국사에에서 기억되고 존경받을만한 분이며 구약성서신학자로서의 학문적 업적도 상당하다.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는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과 관련해서 논평을 통해“북측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하나님의 위로가 북녘 동포들에게 함께 하기를 기도하며, 북측이 하루 속히 큰 슬픔을 이기고 안정을 되찾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밝혔다. 기사 이는 북한이 독재정권임을 알지만 단순히 인간적 측면에서 애도[21]를 한 것이다.

7.3.1. 반론

앞선 모든 문단들에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교단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개별 목사에 대한 비판은 핀트에 어긋난 것으로 보인다. 개별 목사의 행보는 교단차원에서 완전히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개인에 대한 비판으로 그쳐야한다. 무엇보다 교단 지도부를 맹목적으로 우상화하는 일부교단과 달리 기장에서는 교단내부의 문제나 사회적인 이슈에 관해서 신학생들이나 일선 목사들이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학교에 대자보가 붙는 경우도 많다. 결정적으로 이러한 개별 목사들의 친일 혹은 친군사정권 팩트로서 비판 측이 인용하는 칼럼이 어느 언론사에 실린 것인가를 살펴보면, 기장측 언론인 에큐메니언, 뉴스엔조이다.[22] 교단차원에서의 내부비판은 반성의 단초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목사에 대한 비난이 교단의 성격을 기술하는데 얼마나 유의미한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친북 논란에 휩싸인 목사는 기장의 일부 목사들에 해당한다. 그들이 비판에서 말하는 '네임드 목사'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친북 활동을 해서 논란과 물의를 일으키고 언론에서 자주 호명되기 때문에 '네임드'로 인식되는 것인지 잘 생각해봐야 한다. 본 문서의 다른 부분에서도 나와있듯이, 기장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고 다양한 교회와 다양한 목사가 있다. 만약 기장이 포용성이 없다면 보수주의 드라이브를 거는 목사 교회를 내치거나 친북적인 목사를 내치거나 둘중 하나를 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친북논란에 휩싸이게 된 까닭은 다름 아닌 기장의 포용성에서 그 이유를 찾는 게 옳다.


마지막으로, 문익환 목사의 비서였던 하태경에 의하면 문익환 목사는 말년에 범민련을 해체하고 새로운 통일 운동 기구를 만들고자 시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범민련 내부의 사람들과 의견대립이 있기도 하였다. 인터뷰 자료. 그러나 문익환 목사는 통일운동과 평화운동을 펼치는 일에서 교회가 종북으로 몰리는 것이 두려워 통일운동과 평화운동자체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8. 기타

9. 해외 협력 교단

10.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세계 교회 협의회 원형 로고.svg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감리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교회 기독교 감리교 감독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감리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회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아르헨티나 복음주의 감리회 통가 자유 웨슬리안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영국 감리회 가나 감리회 브라질 감리회
피지와 로투마 감리회 인도 감리회 인도네시아 감리회 아일랜드 감리회
케냐 감리회 말레이시아 감리회 싱가포르 감리회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감리회
짐바브웨 감리회 나이지리아 감리회 칠레 감리회 멕시코 감리회
뉴질랜드 감리회 페루 감리회 푸에르토리코 감리회 사모아 감리회
남부아프리카 감리회 토고 감리회 우루과이 감리회 시에라리온 감리회
스리랑카 감리회 상(上)미얀마 감리회 베냉 개신교 감리회 연합감리교회
코트디부아르 감리회
개혁교회
아프리카 개신교회 부르키나파소 복음주의 개혁교회 협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 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마다가스카르 예수 그리스도 교회
북인도 교회 파키스탄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남인도 교회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투발루 회중 기독교 교회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동자바 기독교 교회 리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바리아와 북서부 독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가봉 복음주의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 교회와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이집트 복음주의 장로회 나일강 시노드 이란 복음주의 장로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마오히 개신교회 마라 복음주의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파순단 기독교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캐나다 장로교회 르완다 장로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카메룬 장로회EPC 콜롬비아 장로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가나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라이베리아 장로회 모잠비크 장로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남수단 장로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웨일스 장로회 미국 장로교(PCUSA)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신교회 티모르 로로사에 개신교회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알제리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미국 개혁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잠비아 개혁교회 짐바브웨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개혁 그리스도의 교회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항의 형제단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교회
동방정교회
키프로스 교회 그리스 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구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예루살렘 총대주교구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교회 아메리카 정교회
일본 정교회 체코 땅과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 폴란드 독립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세르비아 정교회
루터교회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기독교 개신교 앙콜라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개신교회
노르웨이 교회 스웨덴 교회 중부 독일 복음주의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이에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브런즈윅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북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올덴부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작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샴부르크-리페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에티오피아 복음주의 교회 메카네 예수스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브라질 루터교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미국복음주의루터교회 캐나다복음주의루터교회 칠레 복음주의 루터교회
콩고 복음주의 루터교회 덴마크 복음주의 루터교회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요르단과 성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남부아프리카 복음주의 루터교회 탄자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짐바브웨 복음주의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가나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파푸아뉴기니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케냐 복음주의 루터교회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이베리아 루터교회 말라가시 루터교회
니아스 기독교 개신교회 개신교 기독교 바탁 교회 사바 개신교회 엘살바도르 루터교회 시노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마르 토마 교회
말라바르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모라비아 교회와 역사적 평화 교회
독일 메노나이트 회중 협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캐나다 연례 모임(퀘이커)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메노나이트 공동체 형제단 교회
나이지리아 형제단 교회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동·서인도 제도 지방 모라비아 교회 미국 모라비아 교회
자메이카 모라비아 교회 니카라과 모라비아 교회 남아프리카 모라비아 교회 수리남 모라비아 교회
탄자니아 모라비아 교회 서유럽 모라비아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폴란드 전국 가톨릭교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총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연합 모임
복고 가톨릭교회
독일 복고 가톨릭 교구 오스트리아 복고 가톨릭교회 네덜란드 복고 가톨릭교회 스위스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 마리아비테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의 폴란드 가톨릭교회
복음주의 교회
남수단과 수단의 아프리카 내륙 교회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성공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와 폴리네시아 성공회 일본성공회 호주 성공회 부룬디 성공회
캐나다 성공회 케냐 성공회 대한성공회 남아메리카 성공회
남아프리카 성공회 탄자니아 성공회 웨일스 교회 실론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성공회 공동체 잉글랜드 국교회 아일랜드 교회 멜라네시아 교회
나이지리아 교회 중앙아프리카관구 교회 미얀마 교구 교회 인도양 교구 교회
서아프리카 교구 교회 우간다 교회 브라질 성공회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필리핀 성공회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교회 르완다 성공회 교구 남수단 성공회 교구
수단 성공회 교구 스코틀랜드 성공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알렉산드리아 성공회 교구
미국성공회
아시리아 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프리카 토착교회
아프리카 형제단 교회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 & 학교 성령의 아프리카 교회 아프리카 이스라엘 니느웨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 해리스 선교(해리스 교회) 성령의 빛 그리스도의 교회 남부아프리카 아프리카 토착교회 협의회 아프리카 교회
전세계 주의 교회(기도 동역회) 제일 아프리카 교회 선교
연합교회
중국기독교협의회 방글라데시 교회 브레멘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실레시아 오버라우지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덴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라인란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안할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쿠르헤센-발데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팔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헤센과 나사우 개신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독일 복음주의교회
공동체 교회 국제 협의회 알자스와 로렌 연합 개신교회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웨일스 독립 연합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일본기독교단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짐바브웨 그리스도연합교회 잠비아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퀴라소 연합개신교회 프랑스연합개신교회
호주 연합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발도파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킬리키아 성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성지 에치미아진의 모교구) 콥트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교회 협회 기독교 성경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오순절 선교 칠레 자유 오순절 선교 교회
국제 복음주의 교회 칠레 오순절교회 오순절 선교 교회 남아프리카 사도적 믿음 선교
제자회 / 그리스도의 교회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캐나다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미국 뉴질랜드 크리스천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제자회 공동체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아르헨티나 제자회 복음주의 교회 연합개혁교회
침례회
미국 침례회 르완다 침례회 협회 방글라데시 침례회 상가 엘살바도르 침례회 협회
아이티 침례회 총회 니카라과 침례회 총회 덴마크 침례회 연합 영국 침례회 연합
헝가리 침례회 연합 뉴질랜드 침례회 연합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신교 침례회 / 아프리카 감독제 침례회 공동체
중앙아프리카 침례회 공동체 필리핀 침례회 총회 북동 인도 침례회 협의회 앙골라 복음주의 침례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 자메이카 침례회 연합 미얀마 침례회 전국침례교총회(NBCA)
전국침례교총회(NBCUSA) 카메룬 원주민 침례회 나이지리아 침례회 총회 진보전국침례교총회
텔루구 침례회 사마베삼 카메룬 침례회 연합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WCRC 엠블럼.png세계개혁교회커뮤니온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프리카
알제리 개혁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보츠와나 네덜란드 개혁교회
부르키나파소 개혁 복음주의 교회 협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카메룬 장로회(EPC)
아프리카 개신교회 왕이신 그리스도의 개신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아프리카 믿음 있는 자들의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장로교인들의 개혁 공동체(CPRA)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혁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동카사이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카탕가 개신교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장로교인들의 개혁 공동체(CRP) 이집트 복음주의 교회 나일강 시노드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에티오피아 복음주의 교회 메카네 예수스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가나 장로회
삼위일체 신학교* 동아프리카 개혁교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은코마 시노드 모리셔스 장로회 모로코 복음주의 교회
모잠비크 그리스도의 복음주의 교회 모잠비크 장로회 모잠비크 개혁교회 모잠비크 그리스도연합교회
니제르 공화국 복음주의 교회 나이지리아 기독교 개혁교회 그리스도의 복음주의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그리스도의 개혁교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나이지리아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의 국제 개혁교회 르완다 장로회
세네갈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아프리카 네덜란드 개혁교회 아프리카 화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그리스도의 마라나타 개혁교회 아프리카 인민교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프리카 개혁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수단 아프리카 내륙 교회 수단 개혁교회 수단과 남수단 장로회 스와질란드 개혁교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동아프리카 기독교 개혁교회 우간다 개혁 장로회 아프리카 개혁 장로회(우간다)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잠비아 시노드 잠비아 개혁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하라레 시노드 짐바브웨 개혁교회
아시아
방글라데시 교회 방글라데시 복음주의 개혁 장로회 중국기독교협의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동티모르 기독교 교회 북인도 교회 남인도 교회 인도 회중교회(마랄랜드)
복음주의 교회 협회 마랄랜드 복음주의 교회 북동 인도 개혁 장로회 인도 장로교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루욱 방가이 기독교 교회 남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남수마트라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마마사 교회 동자바 기독교 교회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볼라앙 몽곤도우 복음주의 교회 인도네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노드 부올 톨리톨리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고론탈로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동갈라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파순단 기독교 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서인도네시아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일본그리스도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말레이시아 장로회
미얀마 기독교 개혁교회 미얀마 복음주의 장로회 미얀마 독립 장로회 마라 복음주의 교회
미얀마 개혁 장로회 미얀마 장로회 파키스탄 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필리핀 기독교 개혁교회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의 연합 복음주의 교회 싱가포르 장로교회
스리랑카 기독교 개혁교회 랑카 노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태국그리스도교회
베트남 장로회
카리브해
쿠바 모라비아 교회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도미니카 공화국 기독교 개혁교회 도미니카 복음주의 교회
그레나다 장로회 가이아나 회중 연합 가이아나 장로회(GPC) 가이아나 장로회(PCG)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유럽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불가리아 복음주의 회중교회 연합 크로아티아 개혁 기독교 칼뱅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덴마크 개혁교회 프랑스 말라가시 개신교회 프랑스 개신교 개혁 복음주의 교회 전국연합
프랑스연합개신교회 알자스와 로렌 개신교회 연합 리페 교회 복음주의 개혁교회
저(低)작센 복음주의 구 개혁교회 개혁 연맹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발도파 복음주의 교회 라트비아 개혁교회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개혁교회 룩셈부르크 개신교 개혁교회
네덜란드 자유 복음주의 교회 언약 항의 형제단 네덜란드 개신교회 폴란드 개혁 복음주의 교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트란실바니아 개혁교회 지구 세르비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베니아 개혁 기독교 교회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아일랜드 장로회 웨일스 장로회
웨일스 독립 연합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연합개혁교회
라틴아메리카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복음주의 회중교회 아르헨티나 개혁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장로회
브라질 복음주의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칠레 복음주의 장로회
칠레 장로회 콜롬비아 장로회 코스타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엘살바도르 개혁 칼뱅주의 교회
과테말라 전국 복음주의 장로회 온두라스 기독교 개혁교회 멕시코 연합 개혁 장로회 개혁 장로회 멕시코 커뮤니온
멕시코민족장로교회 멕시코 장로교개혁교회 리버 플레이트 발도파 복음주의 교회 베네수엘라 장로회
중동
이란 복음주의 교회 바라카 장로회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연합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북아메리카
캐나다 장로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북미주 개혁교회 컴벌랜드 장로회
ECO 복음장로교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해외한인장로회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개혁교회 미국장로교 미국 개혁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태평양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호주 연합교회 호주와 뉴질랜드 회중 연합 마오히 개신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개혁 회중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투발루 기독교 교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국제 교단
제자회 세계 친교회** 국제개혁신학연구소* 아프리카 회중신학 네트워크*
* : 제휴 회원
** : 준회원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로고.png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회원교단, 회원기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교단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및
폴리네시아 성공회
뉴질랜드 기독교 교회
뉴질랜드 감리회
파일:Presbyterian_Church_of_Aotearoa_New_Zealand.png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친구의 종교 사회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호주 성공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호주 및 뉴질랜드 교구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콥트 정교회
시드니와 부속 지역 및
동남아시아 교구
파일:호주 연합교회 상징.svg 호주 연합교회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침례회 친교
방글라데시 승가 침례회
방글라데시 교회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파일:홍콩 성공회 로고.png 홍콩성공회
홍콩 감리회
파일:구세군 홍콩 및 마카오 사령부 로고.png 구세군 홍콩 및 마카오 사령부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북인도 교회 상징.jpg 북인도 교회
파일:남인도 교회 상징.png 남인도 교회
인도 북동부 침례회 협의회
힌두스탄 언약 교회
자코바트 시리아 정교회
말라바르 독립 시리아 교회
파일:Malankara_Orthodox_Syrian_Church_logo.png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파일: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png 말랑카라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인도 감리회
파일:인도 장로교회 상징.png 인도 장로교회
사마베삼 텔루구 침례회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니아스 개신교 기독교 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예수 그리스도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동부 자바 기독교 교회
파순단 기독교 교회
앙콜라 개신교 교회
발리 개신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 기독교 교회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감리회
볼랑 몽곤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
술라웨시 남동부 개신교 교회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몰루카스 개신교 교회
토라자 교회
바탁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개신교 교회 밀도
인도네시아 무리아 기독교 교회 협회
자바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오이쿠메네 기독교 교회 총회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란 아르메니아 정교회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재일대한기독교회 상징(한국어).jpg 재일대한기독교회
파일:일본기독교단 로고.png 일본기독교단
파일:Anglican-Church-Japan-emblem.jpg 일본성공회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대한성공회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파일:구세군 방패(국문).svg 구세군대한본영
파일:기독교대한복음총회 로고.png 기독교대한복음교회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동남아시아 관구 교회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복음주의 루터교회
말레이시아 감리회
'''[[미얀마|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MBV_logo.jpg 미얀마 침례회
미얀마 관구 교회
미얀마 독립 장로회
마라 복음주의 교회
하부 미얀마 감리회
상부 미얀마 감리회
미얀마 장로회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키스탄 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필리핀 침례회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에큐메니컬 연합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사도 가톨릭 교회
필리핀 성공회
필리핀 루터교회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교회
필리핀 연합 감리회
필리핀 구세군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스리랑카 산가마야 침례회
실론 교회
스리랑카 감리회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만성공회.png 대만성공회
중화민국 감리회
파일:대만기독장로교회 상징.svg 대만기독장로교회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태국그리스도교회
'''[[동티모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티모르 로로 새 개신교 교회
회원기관 마오리 교회 협의회
호주 국립 교회 협의회
방글라데시 전국 교회 협의회
부탄 국립 기독교 협의회
홍콩 기독교 협의회
인도 교회 협의회
인도네시아 교회 친교
일본 기독교 전국 협의회
캄보디아 기독교 협의회
파일: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_로고.png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말레이시아 교회 협의회
미얀마 교회 협의회
네팔 교회 협의회
필리핀 전국 교회 협의회
스리랑카 전국 기독교 협의회
대만 전국 교회 협의회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_로고.png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회원 교단, 연합 기관, 유관 기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회원 교단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파일:구세군 방패(국문).svg 구세군대한본영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대한성공회 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엠블럼.svg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신]
파일:기독교대한복음총회 로고.png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파일:한국 정교회 대교구.png 한국정교회 파일:기독교한국루터회 엠블럼.svg 기독교한국루터회
연합 기관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기독교방송 파일:대한기독교서회 로고.webp 대한기독교서회 파일: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로고.jpg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파일:한국YMCA전국연맹 약식 로고.svg파일:한국YMCA전국연맹 약식 로고(흰색).svg 기독교청년회 파일:한국YWCA 로고.png 기독교여자청년회
유관 기관
파일:한국기독교가정생활협회 로고(원형).png 한국기독교가정생활협회 한국교회 인권센터 기독교환경운동연대
파일:세계 교회 협의회 원형 로고(흑백).svg 사단법인 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

}}}}}}}}} ||

파일:한장총 로고.png 한국장로교총연합회(CPCK)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pn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개혁)[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동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기독)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합복)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선교)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한영) 상징.jpg 대한예수교장로회(한영)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해외)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장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 2.jp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개신)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대한예수교장로회(웨신)
한국장로교총연합회 홈페이지의 회원교단 순서를 따름.

[1] 이전 서술;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한국장로교총연합회 홈페이지에는 아직 수정되지 않았지만, 개혁 교단이 교단 통합 이전 상태로 복구(예장합동개혁과 예장개혁으로 분리)됨. 합동개혁 교단은 교단 통합 이전에도 한장총에서 활동하였으므로, 개혁 교단의 회원 기록은 합동개혁 측이 물려받을 것으로 추정.(마찬가지로, 한교총 회원 기록은 분리된 개혁 측이 물려받았다.)
}}}}}}}}} ||

대한민국 교세순 10대 개신교 교단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합동
2,250,530명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통합
2,207,982명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백석
2,000,037명
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엠블럼.svg
기하성
1,600,000명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감
1,133,837명
파일:기독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기성
380,150명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고신
378,376명
파일:기독교한국침례회 상징.svg
기침
328,553명
파일: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한국연합회) 로고.svg
재림
267,517명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기장
193,221명
{{{-2 ※교인 수는 교단별로 출처가 확인되는 가장 최근의 통계를 사용한 것으로, 2021~2024년까지 최대 4년 차이가 날 수 있다.

[1] 광주 성광교회 담임목사.[2] 보령 초대교회 담임목사.[3] 성남 주민교회 담임목사 역임[4] 이와 대비되는 의미로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예장이라고 부르는데, 보통 길거리에 보이는 대부분의 장로회 교회가 예장에 속한다.[5] 2차대전 이전의 자유주의는 모더니즘 사조와 연관이 깊고, 반대로 2차대전 이후의 자유주의는 신정통주의와 함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된다.[6] 다른 개신교 교단에서는 이런 식으로 총회의 '주류 흐름'에 대해 반발하는 목소리를 내기가 어렵다.[7] 2번만 하고 말았던 이유는, 그것이 연례행사가 될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해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2010년에 낸 논평을 보면, 당시의 진보주의 개신교 교단의 전반적인 입장을 확인해볼 수 있다.[8] 여담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은 "캐나다 장로교회"의 영향을 받았다. 캐나다 장로교회는 캐나다 개신교회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결과 캐나다연합교회가 성립될 때 합류하지 않고 지속을 택한 교회들이 유지한 교단이다. 공교롭게도 대신은 기장과 완전히 정반대 성향을 띄고 있다. 또한, 신사참배에 거부한 출옥성도 교단 셋 중 하나[31]인 대한예수교장로회(순장)측도 캐나다장로교회 선교사의 영향을 받은 함경도 출신 이계실 목사를 중심으로 분립되어 이어진다.[9] 지역적으로는 함경도 출신의 목회자들이 기장 측을 많이 선택했고 평안도황해도 출신(서북 지역) 목회자들이 예장을 많이 선택했는데, 이는 함경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캐나다 선교사들과 일본의 신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반면, 서북 지역 목회자들은 보수 신학이 강한 미국북장로회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있다.[10] 이외에 서북 세력이 주류를 이루던 예장 교단에 대항하여 경기도충청도 등 기호지역의 상당수 목회자들 역시 기장 교단에 가담하였다. 현재는 수도권이나 충청도 장로교회들도 예장 교단 소속이 대다수이다.[11]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들이 선교를 맡았던 전라도 출신 목회자들은 예장과 기장 양측에 모두 많았고, 호주 선교사들(주로 부울경)과 미국 북장로회의 선교 지역이었던 경상도 지역 목회자들은 주로 예장 교단에 참여하였다.[12] 가령 보수 개신교계 최대 교단 중 하나인 예장 합동의 경우 기장 목사에 대해 동성애 허용여부 관련 이단 검증에 나서는 등 갈등이 빈번히 빚어지고 있다. #[13] 현재 한국의 개신교 교단들 중 최대 교단으로, 그 다음으로 대규모 교단인 예장(합동)과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가입 문제로 갈라졌다.[14] 2016년 9월 이루어진 예장(통합) 101회 총회 결정 사안.[15] 전라도 지역 예장 교단들의 교인 수는 100만명 이상이나, 기장 교인 수는 10만 남짓으로 10:1의 비율이다.[16] 전라북도에서 대대로 살아온 익산군(현재의 익산시 시내 지역) 일대에서 살아온 사람에 의하면, 기장 교단은 그래도 전라북도 지역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통합, 합동과 더불어 전라북도의 메이저 교단이라고 직접 말해 주기도 하였다.[17] 널리 알려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한국명 원두우)가 아닌 그의 아들 호러스 호톤 언더우드(한국명 원한경)이다.[18] 언더우드가 신사참배를 국가의례라고 주장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사는 미국의 "무명용사의 묘 또는 링컨 기념관과 같은 성격”의 것이다. 둘째, 참배 의식에는 간단한 묵례만 있고, “궤배(跪拜, genuflection)와 부복(俯伏, prostration)”은 없으므로 “예배행위”가 아니다.[19] 예장(고신)의 경우 1938년 이루어진 신사참배 요구와 그로 인한 평양신학교의 폐교, 이어진 조선예수교장로회(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의 신사참배 결의에 항거하여 빠져나온 목사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교단이다.[20] 최초의 공식 채널을 통한 조찬기도회 폐지 청원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한 2018년의 시도였다. 그것도 개신교 쪽과 아무 상관 없는, 오히려 반기독교에 가까운 성향의 청원이었다.[21] 애초에 원수도 사랑하라는 예수님 말씀을 따르는 교회인데 잘죽었다고 논평을 내는게 이상하다[22] 다만 뉴스앤조이가 단순히 '기장측' 언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목소리를 많이 내고 있으나 신학적으로는 강한 보수성을 띄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종 고신, 합동 등 보수 교단들 내 자성의 목소리를 내는 신학자들도 인터뷰한다.[23] 성소수자만 있지 않기 때문에 성소수자 교회라는 표현은 애초에 잘못된 표현이다. 성소수자 목회를 중심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교회로는 예장통합 출신 박진영 목사가 시무했던 독립교회인 로뎀나무그늘교회가 유일하다.[24] 보수 교단 측에서 임보라 목사가 이단으로 의심된다는 근거로 드는 것이 퀴어 신학이라는 성소수자에게 포용적인 신학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성애에 대한 찬반을 뒤고 하고라도, 이 문제를 가지고 신학적으로 이단이라 규정하는 게 맞는 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 같다. 기독교의 이단 판정은 그 교회의 신자가 구원을 받을 수 있느냐 없는냐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성소수자에게 포용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단으로 지목하게 된다면, 이는 국내 기독교계에서도 판정 결과를 놓고 내홍이 있을 것이고, 미국이나 유럽의 많은 기독교 교단들과도 적지 않은 마찰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25] 원래는 불교에서 사용하는 법구로,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북한 지역의 사찰에서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남한 사찰들이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는 편이지만, 불교용품 판매점이나 사이트에서 꾸준히 판매할 정도 수요는 나온다. 일본 애니메이션 등에서 '띵' 소리 나는 게 바로 이것이다. 같은 진보 계열인 성공회에서는 감사성찬례 때 종 대신 사용하며, 한국 천주교 역시 미사 때 좌종을 사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인도네팔, 티베트 등지에도 좌종이 있지만 우리나라 좌종과는 모양과 소리가 약간 다르다. 좌종을 영어로는 싱잉 볼(singing bowl)이라고 부른다.[26] 반대로 보수적인 교단에도 진보적인 성도가 다니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명성교회 신도이지만 차별금지법 제정에 호의적인 진선미가 그 예.[27] 대표적으로 서울 구로구의 ㄱ교회, 강서구의 ㅂ교회, 전북 전주시의 ㅇ교회 등.[28] 특히 기장과 포지션이 가장 가까운 예장통합과의 교류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예장백석, 예장합동 등과의 교류도 부분적으로 있는 편이다.[29] 2022년 6월 목사고시 합격 후, 12월 목사 안수 받음.[30] 대한제국의 판사, 검사를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