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2:18:02

카타르

까타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독교의 종파에 대한 내용은 카타리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단검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자마다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8d1b3d> 상징 국가 · 카타르/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사니 가문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카타르 리얄
국방 카타르군
교통 도하 국제공항 ·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관광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걸프 방언) · 카타르 그랑프리
인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지리 걸프만 · 도하 · 루사일 · 알라이얀 · 알호르 · 앗다키라
민족 걸프 아랍인
기타 카타르/외국인 노동자 문제
}}}}}}}}}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근대 현대
헤자즈 오스만 튀르크 제국 사우드 왕조 알리 왕조 메카 샤리프 헤자즈 왕국 헤자즈
- 네지드 왕국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colbgcolor=#000> 네지드 사우드 왕조 와하비 운동 네지드 토후국 라시드 (하일)
(자발 샤마르)
바레인
쿠웨이트
나디르 샤 아부 샤흐르 칼리파 왕조 <colbgcolor=#800080> 바레인
쿠웨이트 셰흐국
오스만 영국령 걸프 쿠웨이트 왕국
바레인 왕국
카타르 할리드
우트반
오스만 카타르
UAE 토후 알 사이드 왕조 트루셜 스테이트 아랍 토후국 연합
오만 나디르 샤 알 사이드 왕가
오만 술탄국
예멘 자이디 이맘 하심 왕조 오스만 무타와킬 왕국 북 예멘 예멘 공화국 최고정치위원회
라헤즈 영국령 아덴 남아라비아 남예멘 대통령지도위원회
알루아키 술탄
※ 연두색은 아랍계 왕조, 조금 진한 초록색은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연한 빨강은 토착 예멘계 왕조
}}}}}}}}} ||

파일:westernasia.png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그리스[1] 튀르키예[A] 압하지야[B] 남오세티야[B] 조지아[B]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키프로스[A] 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png[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쿠웨이트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집트[11]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A]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캅카스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B] [B] [A] [A] [A] [B] [B] [11]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

셈족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예멘 흑인(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 무어인(하라틴인)
남셈족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아랍 연맹|
파일:아랍 연맹 휘장.svg
아랍 연맹
جامعة الدول العربية | League of Arab Stat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참관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38E3B><tablealign=center>
파일:걸프협력회의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카타르 오만 바레인
}}}}}}}}} ||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가나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가나가봉그리스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베트남벨기에왈롱-브뤼셀 연방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르비아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랍에미리트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공화국지부티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퀘벡 주기.svg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뉴브런즈윅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토고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대한민국도미니카 공화국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멕시코모잠비크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루이지애나파일:미국 원형 국기.sv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아르헨티나아일랜드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파일:온타리오 주기.svg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우루과이온타리오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체코코스타리카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폴란드헝가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상하이협력기구 로고.svg 상하이 협력 기구 (SC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지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참관국
파일:몽골 국기.svg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몽골아프가니스탄
대화 동반자
파일:스리랑카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스리랑카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캄보디아
파일:네팔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
네팔이집트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파일:몰디브 국기.svg파일:미얀마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바레인 국기.svg
몰디브미얀마아랍에미리트바레인
초청국 및 기구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파일:ASEAN 깃발.svg파일:UN기.svg
투르크메니스탄독립국가연합ASEANUN
가입 신청국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시리아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
방글라데시라오스알제리시리아이라크}}}}}}}}}}}}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알제리차드이집트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말레이시아말리모리타니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파키스탄팔레스타인사우디아라비아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수단튀니지튀르키예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가봉감비아기니비사우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카메룬코모로이라크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베냉브루나이나이지리아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수리남토고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중앙아프리카 공화국북키프로스태국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브라질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인도케냐라이베리아모리셔스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세르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
카타르국
دولة قطر | State of Qatar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장.svg
국기[1] 국장
الله الوطن الأمير
신, 국가, 아미르
상징
국가 아미르에게 평화를
국화 카타프[2]
국수 아라비아오릭스
역사
1878년 12월 18일 카타르 통합
1971년 9월 3일 대영제국으로부터 독립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면적 11,581 km² / 세계 158위[3]
수도
최대 도시
도하
내수면 비율 0.8%
접경국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
인문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인구 2,710,938명(2023년)[4] | 세계 143위
인구밀도 176명/km²(2020년) / 세계 76위
민족 구성 아랍인 40%, 인도인 18%, 파키스탄인 18%, 이란인 10%, 기타 14% 등[5]
출산율 세게은행 자료 1.80명(2020년)[6]
CIA 자료 1.90명(2022년)[7]
HDI 0.848(2019년) / 세계 45위
공용 언어 아랍어
공용 문자 아랍 문자
종교 이슬람교(65.5%), 힌두교(15.1%), 그리스도교(14.2%), 불교(3.3%), 기타(1.9%)
군대 카타르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방 자치체 7개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체제 입헌군주제(사실상 전제군주제)
민주주의 지수 3.65점, 권위주의 (2022년)
(167개국 중 114위)
아미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Tamim bin Hamad Al Thani / تميم بن حمد بن خليفة آل ثاني)
총리 칼리드 빈 할리파 빈 압둘아지즈 알사니
(Khalid bin Khalifa bin Abdul Aziz Al Thani)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체제 시장경제
GDP 명목 GDP $2,362억 5,700만(2022년) / 세계 56위
GDP(PPP) $3,152억 9,900만(2022년) / 세계 51위
1인당 GDP 명목 GDP $84,514(2022년) / 세계 6위
GDP(PPP) $112,789(2022년) / 세계 4위
국부 $4,450억(2021년) / 세계 56위
신용 등급 S&P : AA- ,무디스 : Aa3 ,피치 : AA-
통화 카타르 리얄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간대 UTC+3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74년 4월 18일 수교
북한: 1993년 1월 11일 수교
무비자 입국 30일간 무비자 입국 가능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48 }}}}}}}}}
ccTLD
.qa, قطر.
국가 코드
634, QAT, QA
국제전화 코드
+974
여행경보
없음
위치

1. 개요2. 역사3. 상징
3.1. 국기3.2. 국장
4. 자연환경
4.1. 지리4.2. 기후
5. 정치6. 외교7. 경제8. 문화9. 군사10. 기타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중동에 있는 왕국이다. 정식 국명은 카타르국(دولة قطر, Dawlat Qaṭar)[8]

수도도하(الدوحة)는 2006년 아시안 게임, 2030년 아시안 게임의 개최지이자 2022년 월드컵의 개최지이다. 풍부한 석유천연가스가 자랑. 1인당 GDP가 IMF, CIA 월드 팩트북 기준으로 세계 1-3위권을 넘나든다. 대략 9만 달러.[9] 매우 부유한 나라이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같은 다른 중동 쪽 석유 부국들과 비교해 봐도 특출난 수준이다.

다만 처음부터 잘산 건 아니었고, 석기시대 때 사람이 살았다는 증거가 발견되기는 했지만 이미 기원전부터 사막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소수의 무역상이나 유목민들을 제외하면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한때 페르시아 만을 공략하고 일부 지역을 지배했던 포르투갈[10]조차도 공격하지 않았을 정도로 황량했던 지역이다. 카타르의 수도인 도하도 중요한 무역항이 아니었다. 18세기 중반 나라가 세워진 이후, 진주 채취업이나 무역업으로 근근히 먹고 살다가 1930-40년대 당시에는 진주 채취업이 사양길로 접어들며 2만 명조차 못 먹여 살릴 정도로 경제력이 좋지 않았는데, 1950년대에 본격적인 채굴이 시작되면서 역전되었고 1970년대에 독립하자마자 곧바로 오일쇼크가 터지며 세계적인 부자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우방인 미국에 의해 폭격을 맞을 뻔한 적도 있었다.[11] 그로 인해 미국에 대한 감정이 점차 안 좋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엔 전 세계에서 인구 대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진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였는데, 무려 인구의 4%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았었다. 참고로 그 당시에 그 심각한 미국과 브라질이 약 2%. 한국은 0.03%였다. 이후 10월에 바레인과 안도라의 인구 대비 확진자 비율이 카타르를 앞섰다. 2021년초에 가장 전염이 심각한 미국이 아예 10%를 넘겨버리면서 카타르는 제일 심각한 나라에서는 멀어졌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징

3.1. 국기

국기가 여러모로 독특하다. 색상은 원래 적색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타 국기들에서 찾아보기 힘든 적갈색[12]을 사용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카타르가 자주색 염료 산지라는 점을 반영한 것이리는 설이 있는가 하면, 본래 깃발에 사용된 염료의 붉은 빛이 햇빛에 바래 갈색이 되는 현상 때문에 아예 빛바랜 색을 표준으로 정했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28:11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2배를 넘는다.

3.2.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자연환경

4.1. 지리

삼면이 페르시아 만에 닿아 있는 카타르 반도에 있으며 남쪽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있다. 사우디 외에도 서쪽에 바레인과 가깝고, 동쪽에는 아랍 에미리트, 북쪽에 또다른 중동의 대국 이란, 서북쪽에 쿠웨이트, 이라크 등이 카타르의 주변국들이다.

지리부도 사이즈의 지도로 보면 워낙 작아서 국명을 쓴 글씨가 국토보다 더 크다. 중동에서 4번째[13]로 작은 나라다.

4.2. 기후

전 국토가 사막기후에 속하기에 환장할 정도로 덥다.[14] 한여름철 습구온도(이슬점)가 30~35˚를 넘나드는 수준이라, 더위에 약하거나 일사병 취약한 사람에게는 생지옥 그 자체. 카타르 항공의 승무원으로 일하는 한국인이 쓴 책에도 환장하게 덥다고 적혀있다. 일년 사시사철 폭염열대야가 지속되며 실내야 에어컨을 켜면 되지만, 빨래라도 하려고 물을 틀어 놓으면 태양열로 가열된 뜨거운 물이 펑펑 쏟아져 나온다고 한다. 때문에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온수 사용을 위해 기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겨울이 없기 때문에 기름 보일러를 가동시킬 필요가 없다.[15] 물이 상당히 뜨거워서 대낮에는 화상을 입을 정도고, 밤 12시를 넘기거나 새벽에 해야지 그나마 미지근한 물을 받을 수 있을 정도[16]라고 한다. 참고로 더운 기온 때문에 카타르 유일의 워터파크인 아쿠아랜드 카타르는 낮보다도 저녁에 이용객이 많다고 한다. 심지어 이런 기후로 인해 운동량이 줄어[17] 야외에서의 일상 생활 자체가 굉장히 힘들어 비만인 인구가 카타르 인구의 40% 이상이라고 한다.

카타르 스타스 리그를 보러간 한 블로거도 더위 때문에 리그 진행에 골치를 겪는다고 서술했다. 더운 날씨로 인해 선수들은 대부분 해가 진 뒤에 훈련을 한다. 정우영의 알 사드 홈구장인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은 그라운드에서 에어컨이 나오는 것으로 유명하다. A보드에 큰 구멍을 내고 그곳을 통해 에어컨을 트는 방식이다.

여름 낮의 최고 기온은 40˚를 조금 넘는 정도인데다가 바다가 가까워 습도까지 높다. 체감온도로는 무려 50˚에 육박한다고. 밤에도 기온이 30˚ 정도에 습도가 90% 정도라 상시적으로 열대야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동의 더위는 고온다습 특성을 띄는 우리나라나 일본의 더위와는 달리, 초고온 직사광선에 의한 건조한 더위이기 때문에 기온이 50도에 육박하는 한여름에도 그늘에 들어가 있으면 그럭저럭 버틸 만하다. 그러나 카타르는 3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이에 습도까지 더해져 지역 전체가 한증막 수준이 되는 것이다.

국토 전역이 그냥 사막 그 자체이다.

이 때문에 2022 카타르 월드컵은 월드컵 사상 최초로 겨울(11월 20일~12월 18일)에 개최되었다.[18] 결승전 날짜가 크리스마스 1주일 전, 그리고 카타르 국경일과 중복되었다.

5. 정치

서아시아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그리스 i 남오세티야 ii, iii 레바논 바레인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북키프로스 ii, iii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아르메니아 iii 아제르바이잔 iii 압하지야 ii, iii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iv 조지아 iii 카타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쿠웨이트 키프로스iii 튀르키예iii 팔레스타인
i: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 분류 될 때도 있다.
iv: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

카타르는 국왕의 권한이 강한데다 총리직을 왕족이 독점하기에 사실상 전제군주제라고 볼 수 있다. 첫 국회의원 총선거는 2013년 예정이었으나 계속 미루어지다가 2021년에 치러졌다.[19] 카타르의 입헌군주제는 사실상 헌법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하는 것이, 이웃나라 사우디아라비아 국회와 같이 정당도 없으며 따라서 다수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는 시스템이 아니고 의원의 1/3은 에미르가 임명하는 자문 기관일 뿐이다. 선거권도 1930년 당시 카타르인의 후손으로 제한되었고, 상술하였다시피 정당이 금지되어 있어 의원 전원이 무소속이다. 그래서 영국식 의회제 입헌군주국을 생각하면 곤란하다. 그나마 2024년에 국민투표를 통해 총선을 폐지함으로서 완벽한 국왕 독재국가로 돌아깄다.#

사우디아라비아도 그렇지만 1990년대 초반 기준으로 이 나라의 통치가문인 사니 가문(House of Thani)의 구성원은 6천 명이나 된다. 카타르 군주가 왕보다 낮은 에미르 칭호를 쓰고 있어 사니 가문의 일족은 프린스/프린세스가 아닌 셰이크/셰이카(Sheikh(a)) 칭호를 쓴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보수적인 성향이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판박이일 정도로 극단적인 와하비즘과 일부 왕족에게만 부가 집중되고 서민은 빈곤층인 상황이었으나[20] 1993년에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가 집권하면서 정치적으로 온건해지고, 왕족들의 개인 소유였던 국부(원유, 천연가스)를 국유화한 뒤 이를 바탕으로 국민들에 대한 복지 정책을 펼쳐 지금에 이르렀다. 중동 아랍 왕국답게 현재도 전제군주제이며, 기초의원을 투표로 선출하여 의회를 운영하려는 시도가 무색하게 2024년 전제국가로 돌아갔다.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는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서 2013년 6월 25일 넷째 아들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21]에게 전격 왕위를 이양했다. 선대 국왕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가 매우 높았다.[22]

6.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카타르에서는 현지인들에 한정해 수도, 전기가 완전 무료다. 또한 QNB와 바르와[23] 은행 등지에서 현지인들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외국인의 경우 수도세, 전기세가 나오나 저렴하다.

카타르의 국적법은 부계혈통주의로 아버지가 카타르 국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한해 카타르 국적이 부여된다.

2022년 10월 쓰하이(四海, 2019년 7월 26일생, 아랍어 이름은 소라야)와 징징(京京, 2018년 9월 19일생, 아랍어 이름은 수하일)을 임대받으면서 중동에서 최초로 판다를 임대받은 국가가 되었다. 이에 카타르는 판다를 동원해 월드컵 경기 결과를 예측하는 이벤트까지 했다. 카타르에서는 판다의 먹이인 대나무가 자생하지 않아 정기적으로 중국으로부터 대나무를 공수받는다.[24]

아제르바이잔어로 Qatar[25]는 기차를 뜻한다.[26]

11. 관련 문서



[1] 바레인 국기와 비슷하다.[2] 카타르 해안에서 자생하는 핑크색 혹은 자줏빛의 라일락 꽃의 한 품종이다.[3] 한국 수도권보다 조금 작다.[4] 실제 카타르 국적자는 인구의 11%인 32만 명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외국인이다.[5] 인도인과 파키스탄인들은 대부분 이주 노동자들이다.[6] 출처[7] 출처[8] 카자흐스탄이 로마자 국명을 'Kazakhstan'에서 'Qazaqstan'으로 바꾸기 전까지는 자국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Q로 시작하는 유일한 나라가 카타르였다. 무척 까다로운 아랍어 자음로마자로 옮긴 것이다.[9] 물론 GDP와 근로소득은 다른 개념이므로 '태어나자마자 연봉 1억' 같은 것은 아니다.[10] 16세기 당시 포르투갈이 한창 전성기를 맞을 때 해군력을 이용해 페르시아 만 유역을 공격, 오만과 호르무즈 일대를 150년이나 지배했다. 포르투갈이 쇠퇴하면서 이들 지역이 다시 독립하기 시작했다.[11] 알 자지라 참고[12] 오히려 자주색에 더 가깝다[13] 바레인, 팔레스타인, 레바논, 카타르 순.[14] 대한민국장마 이후 찾아오는 폭염이 매우 무덥긴 하지만 카타르의 더위엔 전혀 비교할 바가 아니다.[15] 대신 냉수 사용을 위해 전기를 엄청나게 써야 한다.[16] 2016년 라디오스타에 게스트로 출연한 김수용이 카타르 이민을 생각하고, 직접 현지 답사 차원으로 갔었다. 허나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민을 포기했다는 일화를 소개한 바 있으며, 추가적으로 언급한 것이 카타르에서는 냉수가 나오는 집이 굉장히 잘 사는 집안이라고 소개하기까지 했다.[17] 습구온도(이슬점)가 높을수록, 으로 배출할 수 있는 신체의 냉각 효율이 줄어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체온 조절을 위해 땀으로 식힐 수 있는 습구온도가 35°C인데, 습구온도가 이보다 높아지면 땀이 줄줄 나도 체온 조절이 불가능해진다. 즉 사람이 집 안에서 버틸 수 있는 최고 습구온도는 35°C이다. 헌데 카타르의 여름철은 최고 습구온도를 압도하는 혹독한 더위를 자랑한다.[18] 카타르의 겨울철은 사람의 활동에 최적화된 기온인 30˚선을 밑도는 상당히 서늘한 날이 많은데, 열대 기후 국가 치고는 상당히 서늘한 기온이다. 최저 기온은 20˚선이 흔하지만 드물게 20˚선 이하(18~19°C)로 내려가기도 한다. 대한민국기준으로 4월이나 10월 경의 기온이지만 카타르는 한겨울 기온이 저 지경이다.[19] 후보자 자격은 만 30세 이상 카타르 출신이어야 한다.[20] 당시 필리핀 엔지니어 밑에서 카타르인 잡부가 땅파는 일도 비일비재했다.[21] 파리 생제르맹 FC 구단주다. 영어를 프리토킹할 정도로 굉장히 잘하는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했을때도 통역을 쓰지않고 했다.#[22] 즉 권위주의라고 볼 수 있다.[23] 현재 이름은 Dukhan Bank[24] 이는 유럽과 미국도 마찬가지라 이들 국가에서 사육하는 판다들은 정기적으로 중국으로부터 대나무를 공수해 온다. 그나마 한국과 일본의 판다들은 자국에서 대나무가 자생하기 때문에 사정이 나은 편.[25] '가타르'라고 읽는다.[26] 카타르를 뜻하는 단어는 Qətər(개태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