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1:11:08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이름을 딴 미 해군 구축함에 대한 내용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합중국 태평양함대.svg
미합중국 태평양함대 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illiam T. Swinburne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Uriel Sebree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Giles B. Harber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illiam H. H. Southerland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alter C. Cowles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Thomas B. Howard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Cameron M. Winslow
William B. Caperton Hugh Rodman Edward W. Eberle
전투함대 총사령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Edward W. Eberle Samuel S. Robison Charles F. Hughes Richard H. Jackson Louis R. de Steiguer
제16대 제17대 제18대
William V. Pratt Louis M. Nulton Frank H. Schofield
함대전투사령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Frank H. Schofield Richard H. Leigh Luke McNamee William H. Standley Joseph M. Reeves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Frank H. Brumby Harris Laning 윌리엄 리히 Claude C. Bloch Edward C. Kalbfus
제29대
제임스 O. 리처드슨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허즈번드 킴멜 체스터 니미츠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존 H. 타워스 루이스 덴펠드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드위트 클린턴 램지 아서 래드포드 Felix B. Stump Maurice E. Curts Herbert G. Hopwood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John H. Sides U.S. Grant Sharp Jr. Thomas H. Moorer Roy L. Johnson John J. Hyland Jr.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Bernard A. Clarey Maurice F. Weisner Thomas B. Hayward Donald C. Davis James D. Watkins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Sylvester R. Foley Jr. James A. Lyons Jr. David E. Jeremiah Charles R. Larson Robert J. Kelly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Ronald J. Zlatoper Archie Clemins Thomas B. Fargo Walter F. Doran
태평양함대 사령관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Walter F. Doran 개리 러프헤드 로버트 윌러드 Patrick M. Walsh 세실 헤이니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해리 해리스 스콧 스위프트 존 아킬리노 새뮤얼 파파로 스티븐 쾰러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us_army_ww2.png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장성급 지휘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 더글러스 맥아더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헨리 아놀드AAF
해군
원수
윌리엄 리히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윌리엄 홀시
대장
General / Admiral
육군
대장
오마 브래들리 | 조지 S. 패튼 | 칼 스파츠AAF | 조나단 웨인라이트 | 조지프 스틸웰 | 월터 크루거 | 조지 케니AAF | 코트니 호지스 | 마크 클라크 | 레너드 T. 게로 | 말린 크레이그 | 브레혼 소머벨 | 존 헐
해군
대장
마크 미처 | 토머스 킨케이드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 로열 잉거솔 | 홀랜드 스미스M |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M | 리치먼드 K. 터너 | 제임스 O. 리처드슨 | 해럴드 스타크 | 헨리 켄트 휴이트 | 토머스 홀컴M | 조나스 H. 잉그램 | 러셀 R. 웨이시C 전
중장
Lieutenant general / Vice Admiral
육군
중장
레슬리 맥네어 | 존 리드 하지 | 앨버트 웨드마이어 | 매튜 B. 리지웨이 | 사이먼 B. 버크너 | 월튼 워커 | 로버트 리처드슨 | 루시안 트러스콧 | 호이트 반덴버그AAF | 루이스 H. 브레레턴AAF | 존 C. H. 리 | 윌리엄 H. 심슨 | 알렉산더 패치 | 제이콥 데버스 | 프랭크 맥스웰 앤드루스AAF| 로이드 프레덴달 | 밀러드 하먼AAF†| 델로스 에먼스AAF | 월터 베델 스미스 | 리처드 서덜랜드 | 조지 H. 브렛AAF | 트로이 H. 미들턴 | 아이라 이커AAF | 에니스 화이트헤드AAF | 조지 스트레이트마이어AAF | 존 드위트 | 휴 알로이시우스 드럼 | 해럴드 L. 조지AAF | 바니 M. 자일스AAF | 휴버트 R. 하먼AAF | 토머스 D. 화이트AAF | 네이선 트와이닝AAF | 웨이드 H. 헤이즐립 | 윌리스 D. 크리텐버거 | 제프리 키스 | 에드먼드 B. 그레고리 | 존 K. 캐넌AAF | 오스카 그리스월드 | 벤 리어 | 찰스 P. 홀 | 레이먼드 S. 매클레인 N 전
해군
중장
프랭크 잭 플레처 | 제시 올덴도르프 | 윌리스 리 | 존 매케인 시니어 | 존 H. 타워스 | 줄리안 C. 스미스M| 로이 가이거M | 앨런 H. 터니지M | 드위트 클린턴 램지 | 프레더릭 C. 셔먼 | 찰스 록우드 | 로버트 C. 기펜 | 로버트 곰리 | 루이스 덴펠드 | 찰스 M. 쿠크 주니어
소장
Major General / Rear Admiral
육군
소장
제임스 밴 플리트 | 모리스 로즈 | 커티스 르메이AAF | 맥스웰 테일러 | 레슬리 그로브스 | 윌리엄 F. 딘 | 클레어 셰놀트AAF·전 | 랄프 스미스 | 월터 쇼트 | J. 로턴 콜린스 | 로버트 올즈AAF | 리먼 렘니처 | 호바트 R. 게이 | 로스코 B. 우드러프 | 에드윈 F. 하딩 | 스태퍼드 리로이 어윈 | 윌리엄 J. 도너번 | 존 P. 루카스 | 에드윈 D. 패트릭| 클래런스 L. 팅커AAF† | 로버트 아이첼버거 | 찰스 윌로비 | 윌리엄 B. 킨 | 핸퍼드 맥나이더 | 폴 뉴가든 | 프랭크 캐들 마힌 | 폴 J. 뮐러 | 노먼 코타 | 어니스트 N. 하먼 | 찰스 H. 게르하르트 | 앤드루 데이비스 브루스 | 로버트 W. 해즈브룩 | 제임스 로턴 콜린스 | 존 B. 콜터 | 패트릭 헐리 | 프랭크 W. 밀번 | 앨버트 W. 월드론 | 클로비스 E. 바이어스 | 윌리엄 W. 이글스 | 윌리엄 F. 샤프 | 프랭클린 C. 시버트 | 아이작 D. 화이트 | 조지 데커 | 카터 매그루더 | 로버트 B. 매클러 | 클라크 L. 러프너 | 앤서니 맥콜리프 | 레이먼드 바턴 | 로버트 N. 영 | 윌리엄 M. 호그 | 제임스 L. 브래들리 | 클래런스 R. 휴브너 | 윌러드 G. 와이먼 | 루이스 A. 크레이그 | 찰스 H. 콜렛 | 에드워드 H. 브룩스 | 가이 V. 헨리 주니어 | 앨버트 E. 브라운 | 월터 M. 로버트슨 | 새뮤얼 E. 앤더슨 AAF | 도널드 윌슨 AAF | 테리 앨런 | 도일 히키 | 길버트 R. 쿡 | 제임스 E. 채니 | 데이비드 바 | 에드워드 알몬드 | 에드워드 P. 킹 | 조지 M. 파커 | 조지 F. 무어 | 토머스 B. 라킨 | 러셀 P. 하틀 | 프랭크 오드리스콜 헌터 AAF 전 | 헨리 오랜드 | 찰스 W. 라이더 | 아처 L. 러치 | 찰스 L. 볼트 | 알프레드 그루엔터 | 로리스 노스타드 |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 레이 바커 | 에드윈 P. 파커 주니어 | 해리 J. 맬로니 | 찰스 L. 스콧 | 브루스 매그루더 | 올랜도 워드 | 존 밀리킨 | 존 W. 레너드 | 제임스 개러시 오드 | 제이 L. 베네딕트 | 로버트 S. 바이틀러N | 레너드 F. 윙N | 존 달퀴스트 | 프레드 L. 워커 | 어니스트 J. 돌리 | 유진 M. 랜드럼
해군
소장
허즈번드 킴멜 | 아이작 C. 키드 | 노먼 스콧 | 대니얼 J. 캘러헌 | 해리 슈미트M | 윌리엄 H. P. 블랜디 | 존 W. 윌콕스 주니어 | 찰스 P. 세실 | 로버트 H. 잉글리시 | 그레이브스 B. 어스킨M| 돈 P. 문 | 클리프턴 스프레이그 | 시어도어 E. 챈들러| 리틀턴 월러 주니어M | 찰스 D. 바렛M | 아서 D. 스트러블 | 르무엘 셰퍼드M | 시어도어 스타크 윌킨슨 | 윌리엄 P. 업셔M | 패트릭 N. L. 벨린저 | 제임스 H. 도일 | 헨리 M. 뮬리닉스 | 포레스트 셔먼 | 윌리엄 H. 루퍼터스M | 칼튼 H. 라이트 | 말론 티스데일 | 클리프턴 B. 케이츠M | 칼 헨리 존스 | 프랜시스 W. 록웰 | C. 터너 조이 | 윌리엄 페치텔러 | 올리버 스미스 M | 새뮤얼 L. 하워드M | 아서 래드포드 | 로버트 웹스터 캐리 | 클로드 A. 존스 | 로버트 카니
준장
Brigadier general / Rear admiral (lower half)
육군
준장
마크 클라크 | 돈 프랫 | 케네스 N. 워커 | 프레더릭 워커 캐슬AAF† | 네이선 베드퍼드 포레스트 3세AAF†| 제임스 돌턴 2세 | 스톤월 잭슨 | 가이 포트| 클로디어스 이즐리 | 허버트 다그AAF| 제임스 둘리틀AAF | 찰스 키런스 주니어 | 앨런 C. 맥브라이드 | 제임스 로이 앤더슨AAF | 브라이언트 무어 |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 | 제임스 에드워드 워튼 | 로렌스 B. 카이저 | 노먼 슈워츠코프 시니어 | 리 S. 게로 | 찰스 H. 바스 주니어 | 하워드 녹스 래미AAF† | 헤이우드 핸셀AAF | 로버트 싱크 | 조지 A. 테일러 | 존 H. 처치 | 찰스 D. 파머 | 윌리스턴 B. 파머 | 윌리엄 H. 윌버 | 에드윈 L. 시버트 | 해럴드 휴스턴 조지AAF† | 에밋 오도넬 주니어 AAF |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 | 앨버트 M. 존스 | 프랜시스 윌리엄 패럴 | 윌리엄 E. 브라우어 | 루서 R. 스티븐스 | 클리퍼드 블루멀 | 클린턴 A. 피어스 | 루이스 C. 비비 | 브래드퍼드 G. 시노웨스 | 찰스 C. 드레이크 | 칼 H. 실즈 | 제임스 R. N. 위버 | 케네스 로열 | 벤저민 O. 데이비스 시니어 | 러셀 A. 윌슨AAF 전 † | 넬슨 메이시 워커 | 에드먼드 윌슨 서비전 † | 데이비스 던바 그레이브스AAF 전 † | 클라이드 D. 에들먼 | 브루스 C. 클라크 | 제이 W. 매켈비 | 아서 트루도
해군
준장
알레이 버크 | 해리 W. 힐 | 로렌스 A. 애버크롬비 | 메리트 에드슨M | 레이 A. 로빈슨M
AAF:육군 항공대, M: 해병대, N: 주방위군 C: 해안경비대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윗 첨자 : 전사
※ 윗 첨자 : 전시 계급
}}}}}}}}}
<colbgcolor=#003458><colcolor=#fff> 미합중국 제32대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Raymond Spruanc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ay_Spruance.jpg
본명 레이먼드 에임스 스프루언스
Raymond Ames Spruance
출생 1886년 7월 3일
메릴랜드 볼티모어
사망 1969년 12월 13일 (향년 83세)
캘리포니아 버블 비치
묘소 골든게이트 국립묘지
재임기간 제32대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1945년 11월 24일 ~ 1946년 2월 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458><colcolor=#fff> 복무 미합중국 해군
1907년 ~ 1948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해군)
주요 보직 제5함대 사령관
미국 해군대학교장
필리핀 대사
주요 참전 미드웨이 해전
필리핀 해 해전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
주요 서훈 육군수훈근무훈장
해군십자장
해군수훈근무훈장 (3회)
}}}}}}}}}

1. 개요2. 생애3. 평가4. 스프루언스 제독과 관련된 일화

[clearfix]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제독으로 최종 계급은 대장. 미드웨이필리핀 해의 승장으로 유명하다. 한때 미국 해군이 운용했던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은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다.

계산이 빠르고 촉이 좋던 두뇌형 명장이다. 정확한 계산과 판단으로 일본 해군을 여러 차례 엿먹였다. 손해볼 일은 피하고 이기는 게임만 하려는 자세로 미군에게 여러번 큰 이득을 줬다. 그는 앞선 전투들에서 대패한 일본군이 유인계로 손해를 만회하려 덫을 놓아도 걸려들지 않았다. 오히려 지혜롭게 전투를 회피해 결국 일본군이 만회는 못하고 계속 엄청난 손해만 보도록 이끌었다.

그러나 정치질에는 소질이 없었던 탓에 홀시 제독처럼 언플과 인맥관리는 잘 못했다. 게다가 부하들이 공적을 과도하게 부풀린다는 편견 때문에 그들의 업적을 심하게 깎아 내리는 등 자기 편을 많이 만들기는 힘들었다. 확률이 낮은 게임을 피하는 성격상 항공모함을 추격하지 않고 보내줬다가 미국 내에서 가루가 되도록 까인 일도 있다.[1] 그 때문인지 눈부신 전공에도 5성 제독을 달지 못했으며[2] 생전에는 업적에 비해 다소 저평가됐다. 현재 그는 태평양 전쟁 최고의 제독으로 점차 재평가되고 있다.

2. 생애

태평양 전쟁 동안 일선에서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부대를 지휘했던 제독들은 대개 전간기에 조종사 교육을 받고 해군 항공 특기로 빠졌던 소위 '개척자'들이었다. 하지만 스프루언스는 구축함, 전함 함장을 거쳐 제독으로 승진한 이후에는 윌리엄 홀시 제독 휘하에서 소장 계급을 달고 순양전대장을 맡았던 정통파 수상함대 사령관 출신이었다.

그런 스프루언스 제독이 태평양 함대의 핵심 인물로 대두된 시기가 바로 미드웨이 해전이었다. 진주만 공습으로 전함 전력을 모조리 상실한 태평양 함대의 주력은 항공모함 위주로 편성된 태스크 포스였고 이 부대를 총괄하던 인물이 바로 홀시 중장이었다. 하지만 우연히도 홀시 제독이 대상포진으로 입원을 하게 되는 바람에 전투 지휘가 불가능해지자 스프루언스가 홀시의 후임으로 엔터프라이즈 중심의 항공모함 부대 TF 16의 지휘관으로 임명됐다. 비록 항공 쪽 출신이 아니라는 약점이 있긴 했으나 오랜 기간 홀시의 휘하에서 순양전대장으로 근무했고, 기존 홀시의 참모진과도 손발을 맞춘 경력 덕분에 추천을 받은 것.

미드웨이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당시 스프루언스 제독이 미군 부대를 지휘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는데, 사실 스프루언스는 TF 16을 지휘한 하위 제대의 지휘관이었다. 그러나 스프루언스가 지휘한 TF 16은 미드웨이 해전 당시 미 함대의 핵심 전력이었다. 실제 미드웨이에 투입된 미군 요격 부대는 스프루언스의 선임자였던 프랭크 플레처 제독이 지휘했다. 미드웨이 해전 중 플레처 제독은 일본군의 전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스프루언스에게 휘하 부대를 분리시키도록 지시했고, 이후 요크타운이 피격당하여 전투 불능 상태에 빠지자 사실상 작전의 지휘권을 스프루언스 제독에게 넘겨줬다. 요크타운이 격침되어가고 엔터프라이즈와 호넷이 건재한 상황에서 플레처 제독은 아직 멀쩡한 두 항모의 지휘권을 가지고 있는 스프루언스가 남은 전투에서 보다 적임자임을 인정하고 사실상 모든 지휘권을 스프루언스에게 위임하는 훌륭한 행동을 취했다. 그래서 미드웨이 해전 후반부에는 사실상 스프루언스 제독이 미 함대를 지휘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미드웨이 전투가 끝난 후에는 체스터 니미츠 제독이 태평양 함대 참모장으로 지명하면서 잠시 함대 지휘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시기 종합적인 근무 평가를 통해 중장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니미츠 제독이 1943년 태평양 함대에 소속된 전투 부대를 총망라해 5함대를 편성하면서 초대 사령관으로 지명받아 다시 함대 지휘관으로 일선에 복귀했다. 이후 필리핀 상륙 작전 직전까지 일본함대를 상대로 굵직한 공적을 세우면서 대장으로 승진했다. 그리고 필리핀 해 해전에서 일본 해군 항공대를 재기불능으로 만드는 엄청난 승전을 거둔다.

1944년부터 미 해군은 3함대 사령관 홀시 제독과 1년마다 교대로 함대를 지휘하는 독특한 정책을 세웠다. 함대 사령관과 참모진은 둘인데 함대는 하나였기 때문. 그래서 잠시 진주만으로 복귀하여 휴식을 취했고, 일본 본토 침공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다시 함대 지휘를 맡았다. 이 시기 이오지마오키나와 상륙작전을 지휘했으며 전함 야마토급 전함을 격침시키는 실적을 올렸다.

종전 후에는 주일 미 해군 사령관으로 임명됐고, 1945년 9월 15일 와키야마에 도착하여 17일에 요코하마로 넘어가 본국으로 귀국하는 홀시를 환송했다. 11월에 제5함대 사령관 지위를 존 H. 타워스 중장에게 넘긴 스프루언스는 니미츠의 후임으로 태평양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12월에 홀시는 2차대전 참전 제독들 중 네 번째이자 현재까지 최후의 미 해군 원수가 되었지만 스프루언스는 홀시의 후원자였던 칼 빈슨 하원의원의 압력으로 원수 계급장을 달지 못했다. 대신 죽을 때까지 해군 대장의 급여를 온전히 지급받는 특례를 인정받았다.[3]

두 달 후에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서 물러난 스프루언스는 1946년 2월 1일부터 해군대학의 교장으로 재임하다 1948년 7월 1일에 퇴역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주의 페블 비치에서 아내와 함께 은퇴 생활을 즐겼지만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지명으로 1952년 1월에 필리핀 대사로 임명되어 다시 공직에 복귀했다. 원래 1953년에 임기를 마쳤으나 다시 차기 대통령이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유임시켰기에 1955년까지 대사직을 수행했다.

이후 캘리포니아로 돌아와 다시 은퇴 생활을 즐기던 스프루언스는 1966년에 탈장백내장에 시달리다가 동맥경화증이 악화되었다. 1969년에는 장남 에드워드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4] 정신적으로 이상을 느끼는 지적인지증까지 시달리던 스프루언스는 1969년 12월 13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해군에 의해 장례가 진행되어 샌프란시스코 골든게이트 국립묘지에 체스터 니미츠, 리치먼드 K. 터너, 찰스 록우드 제독의 묘 옆에 나란히 안장되었다.[5]

3. 평가

"난 미 해군에서 제일 똑똑하다. 스프루언스만 빼고 말이다."
- 미합중국 함대 총사령관 겸 해군참모총장, 어니스트 킹(Ernest Joseph King)[6][7]

사실 태평양 전쟁 내내 미 해군 내에서 평가가 좋지 못했던 제독이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연합함대의 주력 항공모함 4척을 박살냈음에도 밤에 계속 도망만 쳤다는 점, 마리아나 해협에서 일본 해군 함대의 전술에 말려들지 않고 오로지 적기 요격에만 전념했다는 점으로 인해 상당한 비난을 받았다. 요격에 전념하여 일본 함재기 세력은 전멸시키고 잠수함으로 일본의 정규 항모 2척을 격침시켰지만, 그 외 대부분의 주력함은 살려 보냈기 때문에 비판받았다. 당장 "항공 쪽 경험도 없는 놈이 지휘했기 때문에 일본 해군을 골로 보낼 기회를 번번이 무산시켰다."란 소리를 들었을 정도. 윌리엄 홀시와 달리 원수 계급으로 승진하지 못하고, 미국 정부가 스프루언스를 승진시키려고 해도 미국 의회에서 제동을 걸어서 결국 연금이나 기타 예전 등을 원수급에 맞추는 꼼수를 쓴 것도 이렇게 박한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후 일본 측 자료를 열람한 결과 당시 스프루언스 제독의 판단이 매번 옳았음이 증명되었다. 미드웨이와 마리아나에서 패전한 일본군이 야간전을 시도하거나,[8] 미 해군이 쫒아오면 매복했다가 요격할 태세[9]를 갖추었지만 스프루언스가 전혀 넘어가지 않아[10] 그냥 무산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만약, 일본군의 의도에 그대로 호응했다면 미드웨이 해전에서 그나마 겨우 남은 항모 부대가 일본군의 전함에게 도륙당해[11] 이후의 반격이 불투명해졌을 것이며, 필리핀 해 해전은 레이테 만 해전에 맞먹는 난타전이 되면서 미군의 피해도 만만찮았을 테고 최악의 경우, 사이판 상륙 및 괌 탈환 작전 자체가 크게 흔들렸을 것이다. 그 때문에 전후에는 전술적인 식견이 아주 높은 인물이란 재평가를 받았지만, 이 재평가가 이뤄질 때엔 스프루언스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물론 스프루언스 제독이 항상 정확한 결정만을 하는 것은 아니었다. 마셜 제도 상륙작전(부싯돌 작전)에서 니미츠 제독은 마셜 제도의 주요 일본군 기지가 있는 콰잘린, 윗제, 말로에라프, 잴루잇, 밀리 환초 중 외곽의 기지들을 지나쳐 콰잘린 환초를 기습점령한 뒤 콰잘린 환초의 비행장을 기점으로 나머지 환초의 보급선을 끊고 말려죽인다는 매우 과감한 전략을 입안했다. 휘하의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제독(5함대 사령관), 리치먼드 켈리 터너 제독(상륙함대 지휘관), 해병대 홀랜드 스미스 장군(상륙부대 지휘관) 등은 이 작전안이 너무 위험하다며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작전회의가 끝나고 나서도 니미츠 제독을 설득해 보려고 했으나 요지부동이었고 니미츠 제독에게는 세 장성을 모두 해임해 버릴 수 있는 권한이 있었으므로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역사는 니미츠 제독이 옳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콰잘린 환초를 점령함으로서 마셜 제도 전체를 제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니미츠 제독도 휘하 제독들이 잘 해주어서[12] 본인이 크게 터치하지 않던 것과 별개로, 태평양해역군 사령관으로서 그 예리하다는 스프루언스 제독에 비해 손색이 없는 판단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입증한 사례이다.

한 마디로 정의하면 '불패의 제독'. 참전한 전투 중 아무리 전력차가 심하게 벌어졌어도 패한 전투는 한 번도 없었고, 그가 거둔 승리 또한 전과 확대에 욕심을 부리는 일 없이 성급하게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는 것을 자제함으로써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군의 피해를 극대화시키는 지휘관으로서의 역량이 탁월하다는 점 등에서 현대 해전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특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 스프루언스 제독과 관련된 일화


[1] 단, 현대의 평가에 따르면 일본군은 당시 퇴각하는 척 하면서 잔여 함대들을 배치해 두고 재반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스프루언스의 판단이 미국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일본의 손실을 극대화하는 가장 정확한 판단이었다.[2] 그를 싫어하던 칼 빈슨 상원의원이 작심하고 훼방을 놨다고 한다. 칼 빈슨은 홀시의 정치적 후원자기도 했다.[3] 구글링으로 알게된 내용엔 특례 대상자는 스프루언스 외에도 육군의 오마 브래들리와 공군의 칼 스파츠, 해병대의 알렉산더 밴디그리프트 장군, 해안 경비대의 러셀 웨쉐 제독으로 미국 의회에서 군종별 4성 장성 중 각 1명씩 선정해서 그들의 전시 대장 계급을 정규 계급으로 인정해주고 퇴역 후에도 현역 급여를 연금으로 받을 수 있게한 미국 의회 제80회 회기의 제791번 공법안에 근거한다. 다만 오마 브래들리는 이후에 원수 계급장을 받았다.[4] 아들또한 2차대전 당시 해군장교로 복무하였고 발라오급 잠수함 USS Lionfish 함장으로 근무했었다. 적지않은 전공을 세워 은성무공훈장을 수여받기도 했다.[5] 태평양 전쟁을 같이 이끌어온 이 네명은 살아있을때 "죽어서는 서로의 옆에 묻히자"고 약속을 했었고, 이 약속이 이행된것이다. 니미츠 제독은 말할 것도 없이 태평양해역군 총사령관이었고, 나머지 세 제독은 니미츠 휘하의 태평양함대에서 각각 수상작전(스프루언스), 상륙작전(터너), 잠수함작전(록우드)을 대표하는 인물들이었다. 개인적인 친분도 두터운 사이였다.[6] 킹은 스프루언스를 해군에서 가장 똑똑한(intelligent) 장교로 평했다. Wayne P. Hughes Jr., Naval War College Review, Volume 62 Number 4 Autumn, 2009.[7] 어니스트 킹은 자존심이 세고 건방진 성격파탄자로 유명했지만 인정할 건 인정하는 편이었는데 그가 자신보다 뛰어나다고 평가한 인물 중 하나가 스프루언스였다. 니미츠와 더불어서 스프루언스의 능력을 잘 알고 있었고, 그를 적극 비호했다. 필리핀 해 해전에서 스프루언스에게 항공모함을 놓쳤다는 비판이 쏟아지자, 킹은 스프루언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스프루언스, 자네는 (필리핀해 해전에서) 존나 잘했네.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하건, 자네의 판단이 정확했네."(Spruance, you did a damn fine job there. No matter what other people tell you, your decision was correct.)[8] 미드웨이 해전에서는 일본군이 항공전에서의 대패 후 전함을 동원해서 포격전을 하려고 미 함대를 밤새 쫓아가고 있었다.[9] 필리핀 해 해전 당시, 일본 함대의 지휘관이었던 오자와 지사부로는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미군 항모 부대를 대비한 미끼로 함대의 일부를 전방에 배치하였다.[10] 미드웨이에서는 밤 동안에 일본 함대를 쫓지 않고 되려 거리를 벌리며 도망갔고, 마리아나에서는 작정하고 수비에만 전념하여 일본군이 기껏 던져둔 미끼가 무용지물이 되었다.[11]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아직 미국 함선에 고성능 수상레이더가 본격화되지 못했고 전력도 일본에 비해서 나은 것이 없던 상황에서 일본 해군 최강의 조함 및 수뢰전 전문가인 나구모가 지휘하는 야간 어뢰전에라도 휘말렸다가는 사보섬 해전 시즌2가 되어서 기껏 항모를 잡아서 얻은 이득을 모두 토해냈을 것이다.[12] 정확히는 그들이 알아서 잘 하도록, 사령부의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서[13] 그나마 포틀랜드급 중순양함은 건조 당시부터 함대 기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14] 5함대 참모장의 침실은 하필이면 연돌 바로 옆에 위치해 있어서 한낮이면 온도가 무려 38도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 참모장이 매우 고역을 치렀다고 한다.[15] 특히 위의 비행단장을 상당히 신임했었기 때문에 쉴드 쳐 주려고 은폐했다.[16] 그런데 필리핀 해에서도 스프루언스 제독의 판단이 옳았다는 것이 문제다. 필리핀 해에서도 기동부대가 상륙 전단을 엄호하고 있었는데 스프루언스 제독은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했다. 당시 기동부대의 임무는 어디까지나 상륙 전단의 엄호지 적극적으로 적을 찾아 격멸하는 것은 아니었다. 홀시 제독의 공격 정신은 인정할 만 하지만 그로 인해 주 임무와 상황이 받쳐주면 노려볼만한 부차적인 목표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그 단적인 사례가 레이테 만 해전이었고 필리핀에서도 공격에 나섰다면 그에 대비 중이던 오자와 제독의 방공망에 걸려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었다.[17] 당시나 지금이나 타임지 표지에 실린다는 건 해당 인물이 유명세와 영향력을 동시에 가졌다는 의미이다. 부정적인 일로 실린 게 아니라면 개인에게 있어서는 큰 영예인 셈.[18] 사실 스프루언스 제독은 폭뢰를 함미에 떨궈버렸다는 보고를 받고서 한 말이 "흠. 그럼 그거 주워서 원래 있던 곳에 다시 집어넣지?"라고 명령한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감정표현을 하지 않는 편이었다.[19] 다른 걸로는 미드웨이 해전 때 밤동안 일본 함대를 피해 움직일 때 미상의 함대 발견 보고를 듣고는 "확인 후 이상 없으면 원래 항로로 변침하도록"이라고 말하고는 다시 자러 갔다.[20] Robert Gandt, The Twilight Warriors, 2010[21] 해당 발언은 '나는 흡연이나 음주를 안하고 싸우는 남자는 절대 신뢰 안한다'는 뜻이다. 듣기에 따라 좀 예의없는 발언 같은 느낌은 있다. 다만 스프루언스와 홀시가 갈등했다는 특별한 증거는 없다. 농담을 좋아하던 홀시가 악의없이 던진 말로 보는게 적절할 것이다. 사실 술담배를 해야 사교계에 낄 수 있는 시대에서 능력만으로 장성들에게 얼굴을 알린 건 대단한 점이다.[22] 홀시는 전쟁이 길어질수록 다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스프루언스와 안 좋게 비교되는 모습도 여러 번 나타냈다. 일례로 니미츠가 보낸 메시지를 과대해석해 울부짖고 욕설하다 부하에게 한소리 들은 일은 유명하다. 과달카날에서 적의 유인책에 당해 함대를 위험에 빠뜨리거나 수많은 함조원을 태풍에 전진시켜 막대한 사망자를 내고 군법회의에 회부되기도 했다. 전후 각종 TV 쇼에서는 과거 실책들을 해명하면서 동료들을 멋대로 언급하는 등 구설수가 많았다. 이런 점이 스프루언스의 진중함과 비교되는 경우가 꽤 있다. 물론 스프루언스도 부하들의 전공을 마구 깎는 등 결점이 없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