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0:28:43

문남숙

{{{#!wiki style="margin: -6px -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5183c> 파일:MBC 성우극회 로고.png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년도 성우
<colbgcolor=#15183c> 제1기(1961) <colbgcolor=#ffffff,#191919> 남 김현직†, 정승현, 최응찬†, 이묵원, 맹관영
김석옥, 정소희†, 김영옥, 나문희, 백수련, 최선자
제2기(1965) 최병학, 황일청, 전운†, 이영달†, 변희봉†, 김성겸, 홍성민
유명옥†, 이수나, 김희숙, 김유선
제3기(1968) 한규희†, 김용건, 신충식, 나성균
김은영, 박소현, 안정현, 우문희, 정희선
제4기(1970) 김기현, 박영지, 박일†, 한상혁, 윤지하, 이규연†, 강성욱
서영애, 송도영, 최방란, 한영숙
제5기(1972) 김용식, 김태훈, 박태호, 전국근, 한인수
강미, 이명숙, 전임복, 홍승옥, 최은숙
제6기(1974) 김명수, 이도련†, 이성, 탁재인
김성란, 김진숙, 양윤선
제7기(1976) 권혁수, 이인성, 이종오, 최상기
기경옥, 김순선, 김윤정, 박인숙†, 최성우
제8기(1982) 곽대홍, 박기량, 신성호
박영희, 오혜숙, 윤소라, 이미자, 이선주, 홍혜정
제9기(1983) 김관철, 박영화, 이우신, 이윤연, 이종혁, 황윤걸
김정신, 김혜경, 이선호, 조향이
제10기(1985) 김강산, 김동현, 김영훈, 손원일, 이승환
정미연, 황미영, 성유진
제11기(1993) 신경택, 안장혁, 안지환, 양희문, 최원형
배주영, 우정신, 이승현, 정소영, 조예신, 주현영
제12기(1994) 박조호, 변종필, 안종덕, 윤복성, 이진홍, 전수빈
강수진, 유은숙, 이영란, 임유진
제13기(1996) 김영선, 김호성†, 엄태국, 이철용, 장성호, 최석필
박소라, 엄현정, 윤성혜, 정남
제14기(1997) 김기철, 김민성,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김아영, 박선영, 오주연, 최수진, 한수림
제15기(1999.11) 고성일, 노계현, 이상훈, 최한, 표영재
김서영, 김지영, 배정민, 이자옥, 채의진
제16기(2002)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문남숙, 박신희, 조현정
제17기(2004) 김두희, 류승곤, 양준건
유상우, 이민하, 한경화
CM 1기(1973) 정명옥
김순자, 정부용, 최정양, 한순자
CM 2기(1976) 박기량, 한대수
정숙경, 차영주, 문병례
CM 3기(1979) 권영운, 신현식
김수희, 김춘방
CM 4기(1983) 박홍식, 민응식, 김주형
박혜경
CM 5기(1984)
송은주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KBS · PBC
※ 제명 및 소속을 옮기거나 은퇴 또는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최고령 성우는 굵게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표시함.
}}}}}}}}} ||

<colbgcolor=skyblue><colcolor=#000000> MBC 성우극회 16기 성우
문남숙
文男叔 | Moon Nam-sook
파일:우리의 영원한 도라에몽, 로이드 문남숙 성우님.jpg
출생 1976년 10월 17일 ([age(1976-10-17)]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2cm, 41kg, O형
학력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학사)
종교 개신교[1]
소속 MBC 성우극회 16기 (프리랜서)
활동 시기 전속: 2002년 ~ 2004년
프리랜서: 2005년 2월 ~ 현재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연기3. 활동4. 여담5. 출연작
5.1. 애니메이션5.2. 외화5.3. 특촬물5.4. 게임5.5. 노래5.6. 드라마5.7. 광고5.8. ​기타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2002년 MBC 성우극회 16기로 입사했으며 2005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박신희, 조현정와 동기.

2. 연기


주로 맡는 배역은 소심하거나 밝고 씩씩한 소녀 계열 등이지만, 소년 역과 성인 여성 역에서도 폭 넓고 안정적인 연기를 보여주는 성우. 외화에서의 연기력도 상당히 좋다.[2]

가장 유명한 대표작은 도라에몽의 도라에몽으로 도라에몽 더빙판 중 성대결절로 성우 활동을 잠깐 쉰 김서영의 대타로 도라에몽 역을 맡게 되었다.[3] 싱크로율과 연기력이 좋았는지 이후로도 정식으로 계속 도라에몽 역할을 맡게 되면서 지금은 아예 성우 문남숙하면 바로 떠오르는 대표 배역이 되었다. 도라에몽 특유의 "진구야아아~!!"는 일품. 도라에몽 이전엔 주로 오는 배역은 여자 배역이였지만 도라에몽을 맡은 이후론 남아 역이 많이 들어온다고 한다. 그 밖에도 김서영이 성대결절이 오기전에 맡았던 다른 배역도 맡았었다. 대표적인 예시로 포켓몬스터 AG정인이 있다. 그 외에도 묘하게 김서영과 함께 출연했거나 엮인 작품들이 많다.(☆)

3. 활동

도라에몽이 대표 배역이긴 하지만 또 다른 대표작을 꼽으면 단연 현재 방영중인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 타요썬더일레븐 GO천마루, 레고 닌자고로이드 가마돈. 즉 한국과 일본, 미국의 국민 캐릭터를 모두 맡아본 성우.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타블로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목소리로나마 등장하였는데, 하루가 꼬마버스 타요에 나오는 '라니'를 찾길래 '라니는 저녁 먹으러 갔는데...'라고 한다. 그리고 닌자고의 로이드 가마돈으로 등장하여 성우장난을 시전하였다.[4]

5월 5일 어린이날 '박경림의 두시의 데이트'에 로기와 함께 출연하여 성우 장난을 시전하였다.링크

2016년 3월, 10년 동안 맡아온 도라에몽 배역에서 하차하게 되었다. 도라에몽 배역은 대원 3기 후배 성우인 채민지가 이어받게 되었다. 그리고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카이바 모쿠바곽규미가 대신 맡았다. 두 가지 배역에서 연달아 하차해서 무슨 일이 생긴 것인지에 대해 우려가 있었는데 2020년 이용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변성을 많이 해야 하고 체력적으로 힘들어서 도라에몽에서 하차하였다고 언급했다.[5]

도라에몽이 13기 방영을 시작하면서 성우가 다시 채민지에서 윤아영으로 교체되었는데, 이에 후배 성우를 응원하는 영상 메세지를 보냈다. # 도라에몽에서 하차한 이후 꽤 오랜만에 영상 매체에 출연했다.

기기괴괴 성형수의 주인공 예지를 맡으면서 성인 팬들에게도 은근 어필을 했다. 본래 살쪘을 당시의 목소리와 성형으로 예뻐진 후의 목소리의 변화를 분명히 줬으며, 타락 후의 연기도 무척 인상적이었다는 평이 많다.

4. 여담

5. 출연작

5.1. 애니메이션

5.2. 외화

5.3. 특촬물

5.4. 게임

5.5. 노래

5.6. 드라마

5.7. 광고

5.8. ​기타

6. 관련 문서



[1] 교회 추수감사절 예배 등장인물의 성우를 맡았다.[2] 이 성우의 연기폭을 잘 보여주는 역할이 투 러브 트러블룬 엘시 쥬얼리아, 렌 엘시 쥬얼리아로 다른 성별의 다른 목소리를 모두 훌륭하게 연기해냈다.[3] 사실 이때 당시만 해도 본인은 도라에몽이라는 캐릭터를 아예 몰랐다고 한다. 그냥 '아, 그런 캐릭터가 있구나...' 하는 정도였다고 하며 애초에 애니메이션이란 분야 자체가 생소했던 것으로 보인다.[4] 닌자고의 로이드 가마돈과 타요는 모두 문남숙이 맡았다.[5] 애초에 원판에서 26년 동안 담당했던 오오야마 노부요의 원래 목소리 자체가 다른사람들이 따라하기 무지 어렵고 힘든 특유의 걸걸한 목소리이며, 짱구와 달리 당연히 이 목소리를 유지하는 것도 상당한 고난이도이다. 20년도 넘게 같은 배역을 한 박영남을 비롯한 대부분 짱구에서 나오는 주요 캐릭터 성우는 대부분 유지된 것도 애매한 케이스(단, 짱구아빠였던 오세홍 성우는 2015년 타계하면서 이 이후로는 김환진 성우로 교체) 원판 짱구인 야지마 아키코 역시 2018년 26년 만에 하차하면서 코바야시 유미코로 교체되었고, 짱구아빠인 후지와라 케이지 역시 2016년 24년 만에 하차 후 모리카와 토시유키로 교체되면서 2020년 4월 타계했다.[6]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출신이라고 한다. 공교롭게도 같은 성씨를 가진 선배 성우인 문선희와 동문(단 문선희는 사회학과 출신.)이다.[7] 이때 성우는 송도영. 참고로 이 영화는 국내에서 KBS와 SBS에서 방영되었는데, 송도영은 두 방송사 버전 모두 맡았다.[8] 아버지도 원래 방송 쪽에 뜻을 두었던 분이었다고.[9] 참고로 장은숙도 동안으로 유명하다.[10] 제니 말고도 마마무 솔라, 박정현, 이하늬 등이 있다. 이용신의 띵소리에서 이용신이 귀띔해 줬다.[11] 17기부터. 이전 담당 성우는 정혜옥.[12] 2013년 재더빙판.[13] 역대 더빙판 도라에몽 성우 중에서 도라에몽을 연기한 기간이 10년으로 가장 길고, 평가도 가장 좋다. 공교롭게도, 후임 성우 채민지, 윤아영과의 성우 경력 차이도 10년으로 똑같다.[14] 레고 닌자고 무비와 닌자고 시즌 8 이후로는 남도형이 맡았다.[15] 시즌 1에서는 소연이 성우를 맡았다.[16] 2기부터는 박소라가 맡게 되었다.[17] 노진구 성우인 김정아와 동반 출연.[18] DP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맡은 배역이다.[19] KBS 방영판에서는 배정미, SBS 방영판에서는 우정신.[20] KBS 방영판에서는 차명화, SBS 방영판에서는 강희선.[21] 작품이 나온지 15년이 지났기에 성인 여성의 목소리로 연기한다.[22] 트위터에 한 팬이 질문했는데, 자청비 외에 몇 개 캐릭터를 더 녹음했는데, 기억나는 캐릭터는 락필여캐(멜포메네)밖에는 없다고 한다.[23] 그 유명한 "마이 턴!", ''이럴수가~!, 더블!, 나이스!, '"랜드마크 건설!", 포츈카드!, "도시가 인수되었어요!"''' 등의 목소리가 바로 이 성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