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Serious物개그물과는 반대되는, 흔히 진지하고 엄숙한 내용으로 흐르는 장르를 뜻한다.
물론 개그씬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스토리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건 아니고 제3자나 지나가는 캐릭터 위주로만 개그씬이 있다.
주인공이 처해있는 상황부터가 가혹하며, 악당 캐릭터들도 처음에는 나쁜 악당이기만 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슬픈 과거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1] 결말 역시 대부분 새드 엔딩으로 끝나며, 좋아야 달콤씁쓸 엔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인공의 시점에서 보면 평범한 작품이지만 다른 캐릭터의 시점에서 보거나 뒷이야기나 설정을 알면 시리어스해지는 작품도 있다.(★)
2. 목록
2.1. 만화/애니메이션
우츠아니메, 하트풀봇코 참조.- 강철의 연금술사★
- 게게게의 키타로★
원작의 제목이 원래 '묘지'에서 '게게게'로 대체되기 이전까지는 키타로의 성향도 완벽하게 선량한 캐릭터도 아니었을 정도로 전연령층한테 적절한 분위기의 만화가 아니었다. 특히 아래에 후술한 키타로 애니메이션 6기는 여태것 기존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보다 한층 더 무겁고 어두워지고 진지해졌다. - 건담 시리즈
- 꽃의 아이 룬룬★
- 꾸러기 수비대★
- 나루타루★
- 닌자고 마스터즈
- 데빌맨
- 데스노트
- 드래곤볼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2010년대 이후 다크 판타지 마법소녀물을 대중화시킨 장본인. 근데 정작 이 만화의 2차 창작 만화는 장르가 개그+일상물이다. - 마법소녀대 아루스★
-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초반에는 개그씬이 제법 있고 일상편도 존재하지만 중후반에는 매우 진지하고 다크한 분위기로 흘러간다. - 몬스터
- 무적초인 점보트3★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추억편
- 배틀스피리츠 애니메이션 시리즈
- 배틀 스피리츠 소년돌파 바신★[2]
- 배틀 스피리츠 코어의 광주들[3]
- 배틀스피리츠 WEB 애니메이션 시리즈
- 베르세르크
- 불새★
- 블랙 잭
- 소닉 X
- 신세기 에반게리온
- 아바타 아앙의 전설★
- 약속의 네버랜드
- 요괴워치 섀도사이드
- 용자 시리즈
- 우리들의
- 유희왕 시리즈
- 은혼★
- 은혼/홍앵편★
- 은혼/진선조 동란편★
- 은혼/요시와라 염상편★
- 은혼/붉은거미편★
- 은혼/사천왕편★
- 은혼/바라가키편★
- 은혼/일국경성편★
- 은혼/항도관편★
- 은혼/사신편★
- 은혼/장군 암살편★
- 은혼/안녕 진선조편★
- 은혼/낙양결전편★
- 은혼/최종장 -은빛 영혼편-★
- 명탐정 코난 - 가벼운 일부 일상 에피소드 제외.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애니 구작 한정, 가벼운 일상에피는 제외. - 프리큐어 시리즈
- 프리티 리듬(프리즘스톤) 시리즈★
본래 모든 시리즈들의 시작이 코믹한 요소도 약간씩 있는 가벼운 일상물같은 시작이나 후반부로 갈수록 분위기가 심각해지는 시리어스한 요소가 많아지며 초반부의 가볍고 코믹한 요소들은 다 어디갔나 안보인다. 오로라 드림의 아마미야 리즈무의 어두운 과거가 밝혀지며 흑화한다던지... 레인보우 라이브의 린네와 쥬네의 결전으로 인한 타격 등[10]... 다만 후속작 프리파라, 프리채널은 타깃연령층을 낮게 잡아서인지 그러한 요소가 많이 덜어졌다. - 디지몬 시리즈★
밝고 희망과 용기있고, 모험심과 어느 정도 유머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묘티스몬 에피소드를 비롯한, 어둠의 사천왕, 디지몬 테이머즈/디지몬 어드벤처 tri.에서부터 스토리가 진지해진다. - 연애 플롭스★
당초에는 전형적인 러브 코미디였지만, 7화 막판에서 차원붕괴의 영향으로 8화에서 현실세계로 돌아온 주인공 카시와기 아사히가 요시노 파인만의 영향으로 약혼녀 5명의 진실을 알게 된 이후로는 시리어스물로 전환되었다. 다만, 최종화 막판에서야 밝은 코미디로 회귀한다. - 용의 전설 레전더★
초중반에는 개그 기믹이 강했지만 후반부(34화~마지막화), 율 헵번의 계략이 실행되면서 시리어스물로 바뀐다. 물론 중간중간 개그씬이 있지만 스토리에 치명적인 걸림돌은 없다. - 전설거신 이데온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중간중간 개그씬이 있거나 아예 개그 에피소드도 있긴 하지만 2, 4부를 제외하면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밝지만은 않다. 특히 1부와 6부는 개그씬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 - 쥬얼펫 애니메이션 시리즈
- 지옥소녀
- 진격의 거인
- 진정한 안식은 이 세상에 없다 -신 가면라이더 SHOCKER SIDE-
- 철완 아톰★
- 츠바사 크로니클★
- 카우보이 비밥
- 클레이모어
- 키바
- 트랜스포머 시리즈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헤봇!★
2쿨부터 1쿨 때의 코믹했던 전개와 다르게 분위기가 무겁고 진지해졌다. - AVENGER
- MADLAX
- MAO
- NOIR
- PLUTO
- Skibidi Toilet
2.2. 게임
- Pocket Mirror★
- 디지몬 서바이브
- 록맨 제로 시리즈
- 마리오 시리즈★
- 메이플스토리
- 별의 커비 시리즈★[13]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R-TYPE 시리즈
- 언더테일 - 몰살 엔딩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킹덤 하츠 시리즈★
- 이외 게임들
2.3. 영화
- DC 확장 유니버스의 초창기 영화 대부분
- GODZILLA 시리즈
- 가면라이더 극장판
- 다크 크리스탈
- 도라에몽 극장판
-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 썸머타임
- 수퍼 소닉 시리즈
- 쉰들러 리스트
- 슈렉 시리즈
-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
- 쥬라기 공원 영화 시리즈
-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 어른제국의 역습★
기본적으로 이 영화 속에 옛날의 찬란했던 인간 사회와 현대 인간 사회에 대한 고찰과 과거와 미래를 소재를 삼은 심오하고 철학적인 담론이 담아져 있다. 심지어 모든 어른들[14]이 켄이 주도한 '추억의 냄새'로 인해 유아퇴행해버리고 그들의 성격이 갑작스럽게 바꿔지는 등, 섬뜩하고 긴장감이 넘치는 심각한 분위기가 벌어진다.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원래 주역 중 한명인 비룡은 전투 초반에 죽을 운명이었다. 그러나 짱구의 가족의 등장으로 그 시기가 늦춰졌을 뿐 죽을 운명 자체는 그대로 존재해 전투에서 이기고 돌아갈 무렵 누군가가 쏜 총에 맞아 죽는다. -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본래 로봇 신형만은 진짜의 기억을 카피해 만든 로봇으로 진짜 신형만이 등장하자 잠시동안 큰 혼란에 빠지나 이후 진짜 신형만을 돕기로 한다. 그리고 아빠 최고 동맹의 총수 텟켄치 토카츠(한국명: 황고집)는 원래 로봇으로 진짜 배후는 쿠로이와 진타로(한국명: 나허세)인 남카스카베의 경찰서장이었다. 그리고 겉으로는 가부장적으로 행동했지만 사실 그 역시 가정 내에서 소외된 불쌍한 가장으로 아내와 딸이 자신을 아예 사람취급 하지 않는 것에 속이 상해 이 일을 꾸민 것. - 치킨 런 시리즈
- 카 시리즈
- 카 2★
- 쿵푸팬더 시리즈
- 토마스와 친구들 극장판
- 토마스와 친구들: 수수께끼 해적선과 보물찾기★
- 토이 스토리 시리즈
2.4. 드라마/특촬물
- GARO 시리즈의 모든 TVA 드라마들
2.5. 소설/라이트 노벨
3. 관련 문서
[1] 이 경우엔 이 녀석도 사실은 좋은 녀석이었어, 이 녀석도 사실은 불쌍한 녀석이었어, 커서 보면 불쌍한 캐릭터와 엮이기도 한다.[2] 후반부 한정.[3] 배틀스피리츠 WEB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TVA로 재편집한 애니메이션.[4] 프리큐어 시리즈 중 최초로 시리어스 장르이다. 조연이지만 요정이 죽는 장면(소멸)이 나왔고 또 프리큐어 멤버 중 하나는 눈앞에서 최종보스에 의해 아버지를 잃는 등 시리어스한 장면이 있었다.[5] 39화가 가장 절정이다. 또한 주연 캐릭터의 죽은 눈 장면이 20화, 22화와 39화에서 나왔다.[6] 이지메 문제 같이 현실의 어두운 부분을 설명하고 이야기 배경 설정에 어두운 부분이 많다.[7] 37화, 40화, 47화, 48화.[8] 다만 스토리의 텐션이 전반적으로 낮아서 실감하기 어렵다. 힐링굿의 스토리는 극히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하면 느긋하고 지루한 이야기 구성을 갖고 있다.[9] 초반에는 밝은 분위기이고 몇몇장면에서 흑막 모습이 나타나기 했지만 29화부터 본격적으로 악의 조직이 등장하면서 인간과 동물간에 대립전개가 시작되면서 진지하게 바뀌게 된다.[10] 프리즘쇼 불가나 린네나 프리즘월드로 돌아가서 못 돌아오는 등.[11] 23~26화, 36~38화, 47~51화.[12] 후반부.[13] 단, 초대 디렉터인 사쿠라이 마사히로가 담당했던 본가 시리즈및 대부분 외전작들은 분위기및 스토리가 가볍고 밝은편에 속한다.[14] 그 외에도 미성년자인 청소년들도 포함한다.[15] 기본적으로 이 작품의 스토리가 너무 가볍지도, 그렇다고 너무 무겁지도 않은 채로 시리어스함과 코믹함이 공존하고 있다.[16] 중반부부터는 스토리의 여러 떡밥들이 밝혀지면서 등장인물들의 밝은 모습은 전혀 찾아 볼 수 없으며 매우 심각해진다.[17] 애초부터 이 작품의 메인 주제가 인간 비판을 다루는 것 만큼이나 몇몇 에피소드의 중간중간에 무거운 소재를 다루기도 한다.[18] 초반부의 11화부터 이 기점으로 지나치게 밝은 분위기가 배제되고 무겁고 진지해졌다. 그러나 본작 특유의 밝은 분위기는 본작이 완결될 때까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19] 아예 레이와 라이더를 포함해서 헤이세이 라이더 중후반을 살펴봐도 분위기 환기의 요소를 가진 작품들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단, 극장판은 이 영화의 감독 특유의 개그적인 연출에 의해 예외다.[20] 중반부부터 후반부까지 한정. 그러나 이 스토리 아크의 한정된 분위기에서 본작 특유의 밝고 가벼운 분위기는 배제하지 않은 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38화 이후로 다시 원래의 밝은 분위기의 스토리로 전환된다.[21] 오죽하면 첫 시사회 상영 때, 본작이 아침 드라마인데도 전연령판 가면라이더 아마존즈같다는 평가가 존재할 정도다.[22] 평소 분위기는 비교적 밝지만, 주인공인 칸도 쟝의 과거는 꽤나 진지하다.[23] 최후반부 한정. 그 이후로, 원래의 밝은 분위기로 돌아갔다.[24] 최후반부 한정.[25] 중반부부터.[26] 리메이크된 본작의 모티브가 된 코미디 원작 전대물과 다르게 분위기가 무겁고 진지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