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1:22:46

거창군

아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42b17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42b178>
파일:거창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거창읍
가북면 가조면 고제면 남상면
남하면 마리면 북상면 신원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웅양면 위천면 주상면 }}}
}}}}}}}}} ||
경상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居昌郡
Geochang County
}}}
<colbgcolor=#009a5c><colcolor=#fff> 군청 소재지 거창읍 중앙로 103 (상림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1
면적 803.31㎢
인구 59,720명[1]
인구밀도 74.34명/㎢[2]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구인모 (재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석[3]

파일:zsdkl3gasdg.svg
2석[4]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신성범
지역번호 055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shinailbo.co.kr/339133_183735_618.jpg
거창군청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승격 추진3.2. 생활권
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관광8. 교육9. 생활문화
9.1. 의료기관9.2. 종교
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 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 부울경 최대도시인 부산광역시경남 최대도시인 창원시, 경남도청 기준으로 제일 먼 동네이다.

2. 역사

신라시대에 거열군(居烈郡)이라 불렀고, 거타, 거열 등의 이름이 음운상 유사성이 있어 자타국이라는 나라가 여기 있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 757년(경덕왕 16) 한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거열군을 거창군으로 개칭했고, 거창군의 속현이자 가조면을 중심으로 한 가소현(加召縣)을 함음현(咸陰縣)으로, 역시 거창군의 속현이자 위천면 일대에 있던 남내현(南內縣)을 여선현(餘善縣)으로, 강양군(현 합천군)의 속현이자 대병면 일대에 있던 삼지현(三支縣)을 삼기현(三岐縣)으로, 천령군(현 함양군)의 속현이자 안의면 일대에 있던 마리현(馬利縣)을 이안현(利安縣)으로 개칭했다.

고려 시대인 940년(태조 23)에 여선현을 감음현(感陰縣)으로 개칭했고, 함음현을 가소현으로 환원했다. 1018년(현종 9) 강양군이 합주로 승격하면서 거창군이 가소현, 감음현, 삼기현, 이안현과 함께 합주에 소속되면서 거창현으로 강등되었다. 1161년(의종 15) 감음현에서 발생한 무고 사건으로 인해 감음현을 감음 부곡으로 강등했다. 1172년(명종 2)에 거창현에 감무를 두었다. 1271년(원종 12) 삼별초의 난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한 해방(海防) 정책으로 인해 거제현의 치소가 가소현으로 이동하면서 가소현이 거제현에 소속되었다. 거제현의 속현인 송변현과 아주현 또한 거창현으로 치소를 옮겼다.[6] 1373년(공민왕 22)에 삼기현에 감무가 파견되었고, 1390년(공양왕 2)에 감음 부곡에도 감무가 파견되어 감음현으로 복현되면서 이안현을 속현으로 삼았다.

조선 시대인 1392년(태조 1) 왕사(王師) 자초(自超)의 고향이라는 이유로 삼기현이 삼기군으로 승격했다가 1401년(태종 1)에 삼기현으로 강등했고, 1414년(태종 14)에 삼기현이 가수현(嘉樹縣)과 통합하여 삼가현(三嘉縣)으로 개칭했다. 같은 해 거창현과 거제현을 병합하여 제창현으로 개칭했다가, 이듬해인 1415년(태종 15)에 제창현을 혁파하면서 거제현이 거창현과 분리되면서 다시 거창현으로 개칭했고, 거제에 소속된 가소현은 그대로 거창현의 직촌이 되었다. 1417년(태종 17)에 감음현이 이안현과 통합하여 안음현(安陰縣)으로 개칭했다. 1422년(세종 4)에 거제현 및 송변현, 아주현의 치소가 거제도로 되돌아갔다. 1495년(연산군 1)에 거창현이 왕비 신씨의 관향이라는 이유로 왕비의 본관인 지역을 승격하는 관례에 따라 거창군으로 승격하였으나,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신씨 또한 폐비되면서 1506년(중종 1년) 다시 거창현으로 강등했다. 1658년(효종 9)에 노비가 주인을 살해했다는 이유로 거창현을 폐현하고 안음현에 소속시켰다가 1660년(현종 1)에 거창현을 복구했다. 1729년(영조 5) 이인좌의 난에 안음 출신 인물인 정희량이 가담했다는 이유로 안음현을 폐현하고 절반을 거창현에, 절반을 함양도호부에 소속시켰다가 1736년(영조 12)에 안음현을 복구했다. 1739년(영조 15) 중종반정으로 폐비된 중종비 신씨가 단경왕후로 복권되면서 단경왕후의 관향인 거창현이 거창도호부로 승격했다.[7] 1767년(영조 43) 종단 사건으로 인해 안음현이 안의현(安義縣)으로 개칭했다.[8] 1895년 5월 26일 23부제 시행으로 거창도호부와 삼가현, 안의현이 진주부에 소속되어 각각 거창군과 삼가군, 안의군이 되었으나, 이듬해인 1896년 23부제가 폐지되면서 경상남도에 소속되어 각각 거창군, 삼가군, 안의군이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거창군 내 22면을 10면으로 통폐합했고, 안의군 마리면(동리면, 남리면 합면), 위천면(고현면, 북하면 합면), 북상면과 구 삼기 지역인 삼가군(현 합천군 남부) 신원면(신지면, 율원면 합면)을 편입했다.[9] 1928년 가동면과 가서면을 가조면으로 합면했다. 1937년 거창면을 거창읍으로 승격했다.
6.25 전쟁 당시 거창 양민 학살사건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거창군에는 거창사건추모공원이 존재한다. 추모공원 홈페이지 1957년 월천면이 거창읍에 편입되었고, 1972년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 춘전리를 남상면으로 편입했다.

3. 지리

경상남도 서북부의 백두대간 자락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산에 둘러싸인 산간분지 지역이며 동쪽으로 합천군, 북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성주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남쪽으로 산청군, 서쪽으로 함양군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과 연결된다. 역사적으로는 신라, 백제, 가야 세 나라의 접경지역이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뺏고 뺏기는 전투가 삼국 통일 전까지 계속해서 있었다. 이후에도 김천, 대구, 함양전북특별자치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라는 장점이 있었으나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함양으로 그러한 이점이 많이 넘어간 상태이다.
경상도 내륙 산간지여서 기온의 연교차가 대체로 심한 편이다. 8월 평균기온 24.0℃, 1월 평균기온 -1.8℃로(평년값 기준), 여름철에 덥고 겨울철에 추운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최한월 0℃ 기준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나타낸다. 일교차 또한 상당한 편으로 봄, 가을에는 아침에 영하인데 낮에 20도를 찍는 경우도 있다. 경상남도의 기상청 공식 관측지점 중에서는 가장 기온이 낮다. 또한 도 경남 치고는 많이 오는 곳이며, 가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고제면정도까지 가면 눈을 쉽게 볼 수 있다. 경상남도지만 4월에 눈이 오는 경우도 있다. 연강수량은 1,265.8mm이다.
거창군은 산청군, 함양군과 함께 경상남도에서는 화이트 어린이날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이다.

3.1. 승격 추진

거창읍에 인구가 많아 거창시 승격을 추진한 적이 있다. 이미 1980년대에 3만 명대 후반에 도달하여 조만간 시로 승격될 것으로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1995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까지만 해도 읍내 인구가 5만 명을 넘으면 군과 분리되어 거창시/거창군으로 분리가 가능했다. 그런데 읍의 인구는 그때부터 30년이 지난 현재 변화가 없다.
사실 읍에 4만 명이 조금 넘는 인구가 거주 중이어서 인구가 5만 명이 되면 도농복합시로 승격은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대형공공기관이 이전하지 않는 이상 시 승격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정작 10만 명이 넘던 군 전체의 인구는 변두리 면들의 인구 감소로 6만 명대로 크게 줄어들어버렸다. 때문에 거창읍의 인구 비중은 크게 높아져서 이제 군 인구의 2/3 가량이 읍에 몰려 있다.

거창군과 함양군, 합천군을 통합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다. 하지만 합천읍이나 가야면의 인구가 적고, 세 지역을 합쳐도 인구가 15만 명 이하이기 때문에 시 승격을 할 수 없으므로 현재는 이런 이야기가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3.2. 생활권

경남이지만 부산, 창원, 진주보다 대구와의 교류가 더 많다. 거창은 거리상으로 김천, 대구와 가깝기 때문.[10]

한편으로 케이블 방송업체는 함양군, 산청군에서 쓰는 진주시 소재 SCS서경방송이 아니라 밀양시, 창녕군, 양산시, 합천군과 같이 김해시에 위치한 LG헬로비전 가야방송을 사용한다. 즉, 감악산중계소에서 직접 송수신하는 지역에는 KBS진주방송국 관할 채널이, LG헬로비전 가야방송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KBS창원방송총국 관할 채널이 나온다는 얘기이다.
거창은 원래 경남 서부 내륙지역으로 진주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고, 1970년대부터는 국도가 정비되면서 함양군, 합천군산청군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경남 북서부 지역중심지로 성장했다. 하지만 1984년 88올림픽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대구 쪽과의 교통이 진주 쪽보다 훨씬 편리해져서 대구와의 교류가 더욱 많아졌다. 거창시외버스터미널의 버스 노선도 대구 쪽으로 집중 배차되면서 이전만큼 진주와의 관계의 중요성은 줄어들었다.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과 3번 국도의 개량완료로 인해 진주와의 교통도 편리해져서 이제 진주대구나 시간거리는 비슷해졌는데 2015년광주대구고속도로(구 88올림픽선)의 확장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다시 대구로 가는 시간(약 50분)과 거리가 더 짧아졌다. 시외버스도 대구 쪽 시외버스(평균 약 10~30분 간격)보다 진주 쪽이 배차간격도 길 뿐 아니라, 함양, 산청 등을 경유하는 일반직행 노선의 배차가 더 많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오래 걸려 대중교통으로 이동 시 여전히 대구 쪽이 압도적으로 편하고 빠르다. 소요시간도 그렇지만 애초에 버스요금부터가 과거에는 진주 9300원, 대구 4800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진주도 거의 고속도로 직통 시간대로 바뀌고 시외요금이 낮아져서 대구와의 시간과 요금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 다만 도시 규모로 보면 당연히 대구가 압도적이다 보니 웬만한 일은 다 대구로 간다.
오죽했으면 2016년 2월 경상북도청안동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군청 기준으로 창원경상남도청보다 대구의 경북도청이 가까울 정도였다. 직선 거리상으로나 시간 거리상으로나 모두 경북도청이 가까웠다가 경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하면서 경남도청이 비로소 더 가까워지게 되었다. 전주시에 있는 전북특별자치도청도 경남도청보다 가깝다(차로 한 시간 남짓). 통영대전고속도로새만금포항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전주와의 시간거리가 크게 단축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주와는 교류가 별로 없다. 일단 전주행 버스가 있기는 한데 배차 간격이 길다. 대구서부 출발로 거창을 경유하여 안의, 서상, 장계, 천천, 진안, 고려병원, 안골을 경유해서 전주로 간다. 전북고속 운행. 원래 1일 4회 운행하다가 코로나19로 1일 2회로 감회되어버렸다. 게다가 여러 곳을 경유하여 가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 걸린다.
실제로 대구 달서구 같은 곳에서 라디오를 잘 잡아 보면 거창 감악산 주파수가 나온다.

옛 경남도청이 있던 부산광역시는 상당히 멀어서 차로 2시간 정도(동래구나 강서구, 북구는 가까우나 해운대구나 영도구는 거리도 멀고 시간도 더 걸림) 걸리며 경남에서 부산이 가장 먼 곳이다. 부산광주대구고속도로로 연결되는 광주, 통영대전고속도로[11]로 연결되는 대전보다 거창에서 오히려 더 먼 곳이다[12]. 고속도로 노선만 놓고 보자면, 거창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광주대구고속도로를 타서 함양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갈아탄 다음 진주 분기점에서 남해고속도로로 갈아타는 방법과 광주대구고속도로고령 분기점까지 간 다음 중부내륙고속도로로 갈아타서 칠원 분기점에서 남해고속도로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다. 거리나 시간상으로 후자의 방법이 빠르나 내비게이션이 없거나 연세가 있으신 분들은 여전히 진주를 경유해 가는 경우도 있다.

경남에 속하다 보니 서울과 굉장히 멀 것 같지만 평균 3시간 안팎, 빠르면 2시간 40분만에 서울까지 주파한다. 이는 옆동네 함양도 마찬가지.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시간이 맞지 않으면 버스를 타고 대전역, 동대구역으로 가서 KTX, SRT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지리적인 위치가 이렇기는 해도 경북으로 편입하자는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주민들도 전통적으로 경남 사람이라는 의식이 강하다.[13] 농어촌 버스도 경북 고령군 생활권에 속하는 합천군 야로면, 가야면 지역보다는 묘산면합천읍 내 구간 운행하는 구간이 많고 심지어는 이웃 동네인 함양군 안의면 지역까지 운행하기에 경남이라고 해야 맞는것이다.

이곳에서 군수를 했었던 김태호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한 바 있으며, 후에는 국무총리로도 지명된 바 있고, 김해시를 지역구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다시 경상남도지사에 출마했지만 2위로 낙선했다. 김태호는 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 공천에서 탈락하여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를 하였고 결국 당선되었다.

4. 인구

파일:거창군 CI.svg 경상남도 거창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6,673명
1970년 123,357명
1973년 7월 1일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춘전리 → 거창군 남상면 편입
1975년 123,889명
1980년 102,355명
1985년 91,553명
1990년 77,580명
1995년 70,096명
2000년 65,963명
2005년 60,622명
2010년 63,421명
2015년 63,232명
2020년 61,502명
2024년 10월 59,7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14]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거창읍 39,681명
가조면 3,516명
남상면 2,308명
마리면 1,959명
위천면 1,944명
웅앙면 1,781명
신원면 1,526명
북상면 1,522명
주상면 1,491명
남하면 1,412명
고제면 1,369명
가북면 1,342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총 증감 인구수 -76,822명/총 증감율 -56.21%/연평균 증감율 -1.46%

===# 읍면별 인구 #===
파일:거창군 CI.svg 거창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4,671명
1970년 36,034명
1975년 41,656명
1980년 40,160명
1985년 38,945명
1990년 39,657명
1995년 38,876명
2000년 39,667명
2005년 38,412명
2010년 39,901명
2015년 40,736명
2020년 40,899명
2024년 2월 39,6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거창군 CI.svg 주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53명
1970년 6,096명
1975년 5,733명
1980년 4,726명
1985년 3,640명
1990년 2,789명
1995년 2,428명
2000년 1,978명
2005년 1,660명
2010년 1,763명
2015년 1,640명
2020년 1,527명
2024년 2월 1,4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웅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802명
1970년 7,506명
1975년 7,147명
1980년 5,356명
1985년 4,439명
1990년 3,569명
1995년 2,759명
2000년 2,289명
2005년 1,998명
2010년 2,144명
2015년 2,082명
2020년 1,875명
2024년 2월 1,7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고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61명
1970년 6,166명
1975년 5,608명
1980년 4,137명
1985년 3,240명
1990년 2,264명
1995년 1,779명
2000년 1,516명
2005년 1,276명
2010년 1,489명
2015년 1,535명
2020년 1,416명
2024년 2월 1,3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북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398명
1970년 6,914명
1975년 6,092명
1980년 4,509명
1985년 3,746명
1990년 2,327명
1995년 2,120명
2000년 1,577명
2005년 1,456명
2010년 1,600명
2015년 1,635명
2020년 1,521명
2024년 2월 1,52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위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569명
1970년 7,277명
1975년 6,955명
1980년 5,332명
1985년 4,581명
1990년 3,400명
1995년 3,088명
2000년 2,536명
2005년 2,232명
2010년 2,311명
2015년 2,186명
2020년 1,965명
2024년 2월 1,9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마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745명
1970년 8,184명
1975년 7,785명
1980년 5,712명
1985년 4,753명
1990년 3,616명
1995년 2,745명
2000년 2,624명
2005년 2,251명
2010년 2,238명
2015년 2,163명
2020년 1,987명
2024년 2월 1,9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거창군 CI.svg 남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803명
1970년 9,187명
1973년 7월 1일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춘전리 → 거창군 남상면 편입
1975년 9,343명
1980년 7,116명
1985년 6,585명
1990년 4,393명
1995년 3,675명
2000년 3,191명
2005년 2,659명
2010년 2,678명
2015년 2,605명
2020년 2,341명
2024년 2월 2,3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거창군 CI.svg 남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47명
1970년 7,261명
1975년 6,682명
1980년 4,830명
1985년 4,156명
1990년 2,846명
1995년 2,353명
2000년 1,978명
2005년 1,594명
2010년 1,770명
2015년 1,603명
2020년 1,424명
2024년 2월 1,41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거창군 CI.svg 신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434명
1970년 8,174명
1975년 8,003명
1980년 5,637명
1985년 4,694명
1990년 3,610명
1995년 2,420명
2000년 2,058명
2005년 1,645명
2010년 1,779명
2015년 1,613명
2020년 1,467명
2024년 2월 1,5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거창군 CI.svg 가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524명
1970년 12,572명
1975년 11,988명
1980년 10,034명
1985년 8,921명
1990년 6,642명
1995년 5,920명
2000년 4,885명
2005년 3,969명
2010년 4,292명
2015년 3,993명
2020년 3,732명
2024년 2월 3,5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거창군 CI.svg 가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52명
1970년 7,986명
1975년 6,879명
1980년 4,806명
1985년 3,853명
1990년 2,467명
1995년 1,933명
2000년 1,664명
2005년 1,470명
2010년 1,456명
2015년 1,441명
2020년 1,348명
2024년 2월 1,3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42b17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42b178>
파일:거창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42b178> <colbgcolor=#ffffff,#191919> 가북로 · 가조가야로 · 강남로 · 감악산로 · 강변로 · 거안로 · 거열로 · 거창김천로 · 거창88로 · 거창대학로 · 거창산업로 · 고제로
덕유월성로
밤티재로 · 빼재로
서부로 · 송계로 · 수남로 · 신차로
아림로 · 영서로 · 용암로 · 우두령로 · 웅양로 · 월행로
주곡로 · 중앙로 · 지산로
창동로 · 청수로
황마로
경상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거창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한국 대다수 군지역이 그러하듯 전통적으로 농업이 주산업이 되어왔다. 내륙 산간지역이 많지만 거창읍 일대는 지대가 낮은 편이고 비옥하여 생산이 많다. 특산물로는 사과, 딸기, 한우, 포도가 알려져 있다. 특히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가 심해 사과 맛이 뛰어나다. 그래서 '거창한 사과'라고 홍보한다. 사과 말고도 쌀에도 '거창한 쌀'이라고 붙여서 판매한다.
1차산업 위주의 경제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해 농공단지를 유치하여 소규모 공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서울우유 거창공장이 있다. 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승강기 산업 밸리를 군내에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에 대도시도 없는데다 시설 여건도 부족하여 승강기 관련 업체들의 참여가 지지부진한 상황.전기신문보도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전례없는 '승강기 전문 교육 기관'인 한국승강기대학교는 이 승강기 산업 밸리 사업의 일환이다.
이미 오티스엘리베이터, 미쓰비시엘리베이터는 인천에, 현대엘리베이터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는 충청도에 자리잡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6.2. 상권

거창읍내는 로터리, 법원사거리, 대동로터리 이 3곳의 위치만 제대로 파악하면 길 잃어버릴 일이 없었는데 상동택지지구, 소만택지지구 등 신시가지가 조성되어 시가지 범위가 넓어졌으므로 주요 포인트를 더 숙지해야 한다.

거창읍내의 몇몇 번화가에 PC방, 유흥업소가 집중되어 있으며, 예전에는 거창읍에 영화관으로 제일극장, 한일극장이 존재했다고 한다. 현재는 롯데시네마가 읍내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군 지역으로는 드물게 서브웨이[15], 푸라닭, 버거킹,피자헛,반올림피자, 프랭크버거등 도시권에 주로 분포하는 프렌차이즈들이 읍내에 존재하고 있고 군 단위에서 보기 힘든 KB국민은행[16], 신한은행도 있다.

6.3. 금융

거창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거창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신한은행 (1) 국민은행 (1)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증권사
한화투자증권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거창농협 (4) 거창축협 (3) 남거창농협 (2) 동거창농협 (2)
신원농협 (1) 거창사과원예농협 (3) 북부농협 (3) 수승대농협 (3)
새마을금고
거창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거창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거창군산림조합 (1)

7. 관광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 3대 국립 공원 사이에 자리잡아 자연 경관이 수려하다. 덕유산 국립공원과 가야산 국립공원이 이 군에 걸쳐 있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대부분 무주이기는 하나, 북상면 송계사계곡과 황점마을에 각각 향적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다. 다만 등산로 일부는 이동통신 통화불능 지역이므로, 등산 초보거나 늦은 시간의 입산은 매우 유의하여야 한다. 반면 가야산은 거창 방면에서 정상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없다.

합천군 묘산면을 통해서 차로 1,120m의 오도산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다. 거창에서는 직접 접근하는 길이 없다. 하지만 정상 부분의 절반의 주소지는 거창군 가조면이다.

이외에 수승대, 월성계곡, 금원산 등의 관광지가 있다. 수승대에서 월성계곡 쪽으로 가는 도로 옆으로 보이는 계곡 풍경이 정말 끝내준다. 그 외 덕유산 고로쇠물대한민국의 지리적 표시제를 적용받는 상품이다.

거창 항노화힐링랜드에는 Y자형 출렁다리가 있는데, 해발 620m에 상봉과 마장재로 갈리는 지점에 있다. 깎아지른 협곡을 세 방향으로 연결한 국내 유일의 산악 보도교다. 지상 높이 60m, 총 길이 109m다. 최대 하중 60t, 75kg 어른 800명, 동시 최대 수용 인원은 230명이다. 입장료가 있기는 하나, 입장료의 2/3을 지역사랑상품권으로 환급해준다.

거창창포원은 공원면적 424,823㎡ 규모로 축구장 66배 크기의 대규모 수변생태공원이다.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사계절 관람이 가능한 거창의 새로운 명소이다. 경상남도 지방정원으로 지정되었다.

거창시장 순대골목에는 막창순대를 파는데, 타지 막창순대 식당들에 비해 가성비가 좋다. 강의 남쪽을 따라 추어탕 거리가 조성되어있는데, 제피를 넣은 남도식 추어탕과 어탕국수를 맛볼 수 있다. 남원식 추어탕을 생각하고 갔다가는 놀랄 수 있으니 주의.

의외로 비건 레스토랑이 있다. 위치는 남하면, 비구니가 운영한다.

2018년 거창군에서 배우 하정민 주연의 웹드라마 아림군 아림장을 제작하여 관광홍보에 나섰다.

8. 교육

파일:거창군 CI_White.svg경상남도 거창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가북초등학교 가조초등학교 거창초등학교 고제초등학교 남상초등학교
남하초등학교 마리초등학교 북상초등학교 샛별초등학교 신원초등학교
아림초등학교 웅양초등학교 월천초등학교 위천초등학교 주상초등학교
창남초등학교 창동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거창군 CI_White.svg 경상남도 거창군의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조중학교 거창대성중학교 거창덕유중학교
거창여자중학교 거창중학교 거창중학교 신원분교장
샛별중학교 웅양중학교 혜성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거창군 CI_White.svg 경상남도 거창군의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거창고등학교 거창대성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거창여자고등학교
거창연극고등학교 거창중앙고등학교 대성일고등학교 아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중학교까지는 흔한 군 지역 수준이지만, 중학교 이후로는 거창고등학교, 거창여자고등학교, 거창중앙고등학교, 대성일고등학교, 거창대성고등학교, 아림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등 7개 고등학교가 자리잡은 서북부 경남의 교육 중심지이다.

전국단위로 개방형 자율학교인 거창대성고등학교거창고등학교,거창여자고등학교[20] 는 경남지역 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전체에서도 손에 꼽히는 명문고로, 경남의 대도시 창원[21] 을 비롯해 진주, 김해, 그리고 부산, 대구 등지에서도 인기가 좋다. 이 거창고등학교 재단에서는 군 단위에서는 전국에서 단 두 곳에만 있는 사립초등학교인 샛별초등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나머지 한 곳은 홍성군의 서해삼육초등학교.

이 외에도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인 거창국제학교와 각종 학교인 거창연극고등학교, 초중고등 특수학교인 거창나래학교까지 인구 대비 많은 학교가 위치해 있기도 한다.

농촌 지역임에도 학군이 좋다는 점, 내로라 하는 명문고를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 농어촌 특별전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도시에서 전입해 오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성인교육기관으로는 경남도립거창대학과 함께, 앞서 서술된 '승강기 전문 교육 기관'인 한국승강기대학교가 있다.

9. 생활문화

9.1. 의료기관

1953년 설립된 제창의원과 1954년 설립된 자생의원이 거창 근대의료기관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제창의원은 세브란스 의과 대학을 졸업하신 김태순(1926~2008) 원장께서 위천 보건 진료소 소장을 지낸 후 개원하였으며, 자생의원은 서울대의과대학 제1회 졸업생이신 성수현(1922~2008)[22] 원장께서 한국전쟁 중 부상으로 제대하고 개원하였다. 현재 제창의원 터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으며, 자생의원은 유족들의 기부로 해당 부지를 근대의료박물관으로 이용중이다. 또한 2013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현재 운영중인 의료기관으로는 크게 의료법인아림의료재단 거창한국병원[23]대한적십자사 거창적십자병원이 있다. 한국병원의 경우에는 과거 165병상 규모였던 적도 있고, 중환자실이 있던 적도 있지만, 현재는 두 의료기관 다 100병상 내외의 일반 병원이다. 교통의 발달로 대구나 진주와의 접근성이 좋아졌고[24], 지방 중에서는 인구 감소가 적은 편이기는 하나 인구가 감소하였다는 점이 원인으로 보인다. 즉 거창군 관내에는 종합병원이 없다. 다만 두 병원 다 CTMRI 촬영 및 판독이 가능하고, 대구 내 대학병원과의 접근성이 나쁘지 않은 편이라, 심각한 의료취약지역 까지는 아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까지 자가용으로 40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고[25], 어지간한 시내버스급으로 다니는 시외버스는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까지 50분만에 연결해준다.

거창적십자병원의 300병상 규모 확장이전이 확정되면서, 경남 서북부지역 최초의 종합병원이 탄생할 예정이다.

9.2. 종교

고신대학교로도 유명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세가 가장 큰 곳이다.

그에 따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교세는 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기독교 중 가장 보수적이라고도 불리는 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의 기도원이 위치해있다.

읍에 인구가 몰려있고 기독교 세력이 큰 이유로, 서울 경기 지역 외에는 찾아보기 힘든 종교들도 많이 분포해있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부터 천부교, 천리교, 여호와의 증인, 한국 SGI까지 수많은 종교의 예배당이 자리잡고 있다.

불교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사찰이 대한불교조계종 12교구 해인사 산하에 있다.

천주교의 경우에는 마산교구 소속이나, 거리 면에서나 접근성 면에서나 대구가 훨씬 가깝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거창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12. 여담

13. 출신 인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0월 기준.[3] 거창군 가선거구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김항란, 신중양, 표주숙
거창군 나선거구 (거창읍(상림리 상동),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신재화, 이홍희, 최준규
거창군 다선거구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 박수자, 이재운
거창군 비례대표: 김혜숙
[4] 거창군 가선거구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김홍섭
거창군 비례대표: 신미정
[5] 거창군 제1선거구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박주언 (초선)
거창군 제2선거구 (거창읍(상림리 상동),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 김일수 (재선)
[6] 지금도 남상면 송변리 송변마을과 남하면 양항리 아주마을의 이름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7] 단경왕후의 아버지인 신수근이 연산비 신씨의 오빠이므로 본관이 같다.[8] 사건이 일어난 산음현(山陰縣) 또한 산청현(山淸縣)으로 개칭했다.[9] 안의군 서상면, 서하면, 안의면(현내면, 황곡면, 초점면, 대대면 봉산리 합면), 대지면(대대면 귀곡리와 대대리, 지대면을 합면, 1933년 안의면에 합면.)은 함양군에 편입되었다.[10] 왜관, 성주쪽으로 가서 성서로 연계할 수 있는 것과 달리 고령, 현풍쪽으로 가서 월배와 연계도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11] 간접적으로 함양군서상 나들목, 지곡 나들목 또는 광주대구고속도로를 경유하여 함양 분기점을 이용한다.[12] 광주, 대전에서 거창까지는 대략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며, 거창은 경남의 지자체 중에서 대전과의 직선거리가 가장 가깝기도 하다.[13] 다만 언어나 생활권은 경북에 가깝다.[14] 거창읍 인구비율 표시(인구는 아래 읍면별 변화를 참고)[15] 2017년 까지 전국 군 단위 유일의 서브웨이 매장이었지만 무안군 남악신도시에 서브웨이가 들어왔다.[16] 국민은행은 의성군, 예천군, 울진군에도 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0] 특히 거창고등학교는 직업 10계(스펀지에서 소개됨) 등 독특한 교육방침으로 90년대에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21] 창원은 중학교까지는 전국 과고생 배출 최상위권에 랭크 되어있는 반송중을 비롯해 삼정자중, 반송여중 등 경남 교육의 완전한 중심이지만 고등학교부터는 창원남고를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만한 학교가 아예 없을 정도여서... 사실상 우수한 학생들은 다 밖으로 빠진다.[22] 성상철 前 서울대병원장의 부친이시기도 하다.[23] 舊서경병원[24] 대구광주고속도로 확장 전에는 대구까지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나, 현재는 40분 정도 소요된다[25] 긴급자동차로 구간단속 구간을 고속으로 주파한다면, 30분 미만으로도 갈 수있다[가상] 가상의 설정으로, 리리코를 연기한 김리안은 의정부 출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