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어휘론
1.1. 친족어
1.2. 외래어
2. 어휘 목록
철자는 a-b-d-g-i-j-l-m-n-ñ-ŋ-r-rr-u-w-y 순이다.지르발어 단어 중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añja'밖에 없다. 고유어 단어 중에는 l, rr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으나, 영어에서 유입된 차용어 중에는 존재한다.
약어 | |
<colbgcolor=white> 감 | <colbgcolor=white> 감탄사 |
기 | 기라마이 방언 |
마 | 마무 방언 |
명n | 제n 부류 명사 |
불 | 불변사 |
시 | 시간사 |
영 | 영어 |
자동 | 자동사 |
자부 | 자동성 부사 |
잘 | 잘응우이 |
지 | 지르발 방언 |
차 | 차용어 |
타동 | 타동사 |
타부 | 타동성 부사 |
형 | 형용사 |
W | Whole: 비분리소유의 주체 |
2.1. 잘응우이 목록
2.2. a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añja | 불 | 새로운 주제나 행동 또는 새로운 성질의 등장을 나타냄. |
2.3. b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baba | 형 | 귀가 먼, 귀먹은; 기억을 잃은; 지혜를 잃은, 노망난, 치매에 걸린 | |
babaral | 명4 | 가볍고 빠르게 여성들이 손으로 넓적다리 바깥을 쳐서 내는 소리[1] | |
babi | 명1~2 | 친할머니; (여성 화자의) 친손주 | |
babijirr | 명1~2 | 친할머니와 친손주 쌍 | |
babil | 타동 | 문지르다, 썰다; 껍질을 벗기다 | |
babuligan1 | 명1/차 | 술집 주인 | ←영 pubilcan |
babuligan2 | 명4/차 | 펍, 술집 | ←영 pubilcan |
bada | 명3/차 | 버터 | ←영 butter |
badibadi | 명1 | 남자 이름 | |
bagagay | 자동 | 길을 벗어나 수풀에 들어가다 | |
bagal | 타동 | (뾰족한 것으로) 꿰다 → (뚫다; 파다; (벌이) 쏘다; 바느질하다; (건물) ...의 틀을 짜다; (새가) 둥지를 짓다; 빗질하다; ...에 무릎꿇다 등...) | |
bagalmuŋa | 명4 | 벌 | ←bagal-muŋa |
bagamu | 명2/지·기 | 웜푸과일비둘기(Ptilinopus magnificus); 흰머리비둘기(Columba leucomela)[2] | |
bagur | 명4 | 검 | |
bajal | 타동 | 물다, 물어뜯다, 씹다 | |
bajala1 | 명4/지·마 | 평평한 돌, 반석, 너럭바위 | |
bajala2 | 명4/지 | 대머리 | ←bajala1 diŋgal이 선행하기도 한다. |
bajiy | 자동 | (해, 비, 별똥별이) 떨어지다; (안개가) 내리다; 쓰러지다; (부메랑, 비행기 등이) 땅에 이르다; (무지개가) 사라지다 | |
bajigal | 명2 | 바다거북 | |
bajigay | 자동 | 서둘러 피하다, 도망치다 | |
bajinjila1 | 명1/기 | 바람까마귀과의 한 새(Dicrurus bracteatus) | |
bajinjila2 | 명2/지 | 바람까마귀과의 한 새(Dicrurus bracteatus) | |
bajinjilajila | 명2/마 | 바람까마귀과의 한 새(Dicrurus bracteatus) | |
bajirri | 잘명1/지 ~ 명1/마 | 호주물도마뱀(Physignathus leseurii) | |
bajiy | 자동 | 떨어지다, 벗어나다 | |
bajunday | 자동/지·기 | 멈추지 않고 산길을 가다 | |
balbal | 타동 | 굴리다 | |
balbaliy | 자동 | 구르다 | ←balbal-yirriy? |
balbi | 명4 | 비탈, 산허리 | |
balbulubil | 잘자동 | 구르다, 몸을 뒤집다 | |
balbulumbal | 잘타동 | 강 하류 물로 씻다 | |
balgal | 타동 | (길고 단단한 것으로) 때리다; 죽이다; 억누르다, 억압하다 | |
balgari | 명2 | (결혼할 수 있게) 완전히 성숙한[3] 여성; 처녀 | |
balgirriñ | 형/지·기 | 비열한, 음흉한; 탐욕스러운, 욕심많은 | |
balgun | 형 | 알몸인, 나체의; (가끔씩) 덮이지 않은(집 밖의, 숲을 벗어난) | |
bamara1 | 명4/기 | 평평한 돌, 반석, 너럭바위 | |
bamara2 | 명4/기 | 대머리 | ←bamara1 mugal이 선행하기도 한다. |
balŋgiy | 자동 | 가던 길을 벗어나 다른 길로 가다 | |
bamba | 명4/지·마 | 배, 복부 | |
bambay | 형 | 이유 없는, 모르는 | |
bambu1 | 명1 | 개구리알, 올챙이 | |
bambu2 | 명2 | 알 | |
bambu3 | 명4 | 눈알; 불알; 총알 | |
bambun | 형 | 통통하고 건강한 | |
bamigin | 명3/마차 | 호박 | ←영 pumpkin |
bamiy | 자동/지·기 | (근처에서) 빛나다, 반짝이다 | |
bana | 명2/지·마 | (담수, 해수, 식용수, 술, 나무 수액 등) 물, 액체 | |
banabul | 명3/마차 | 파인애플 | ←영 pineapple |
banagay | 자동/지·기 | 온 곳으로 돌아가다; (집으로) 돌아가다 | |
banal | 타동 | 꺾다, 끊다 | |
bandagay | 시 | 매우 오래 전(100년 이내) | |
banday | 자동 | 터지다, 폭발하다; 물에서 나오다; (감정을) 터뜨리다; (총이) 발사되다 | |
bandubanal | 타동 | ...에 굴복하다, 항복하다 | |
bangin | 명3/지차 | 호박 | ←영 pumpkin |
bangula | 명3 | 하늘타리속의 식물의 열매(Trichosanthes sp.); 그것의 덩굴 | |
baniy | 자동 | (이곳으로) 오다 | |
banjal | 타동 | 따르다 | |
banjarri | 명1/지·기 | '마법적인' 낚싯줄[4] | |
banjul | 불 | 행위의 지속, 계속을 나타냄. | |
bañil | 타동/지·마 | (부드럽거나 벌레를 얻을 수 있는 썩은 나무) ...를 쪼개다 | |
baŋarrmbal | 잘타동 | 묻다 | |
baŋgal | 타동 | 손끝으로 칠하다; 쓰다 | |
baŋganday | 자동 | 아프다, 아파하다; 피곤해 하다 | |
baŋgay | 명2 | 창(槍) | |
baŋgurru | 명2 | 거북(민물에 사는 거북을 더 자주 지칭함.)[5] | |
baŋguy | 명1/지 | 호주청개구리(Litoria caerulea) | |
bara | 명3 | 녹나무과의 나무(Beilschmiedia bancroftii) | |
bara(y) | 형 | 다리 사이에 잡힌, 다리에 끼인 | |
baral | 타동 | 때리다, 후려갈기다; 박다 | |
barbal | 타동/기 | (목적어) ...에게 (여격어/공동격어) ...를 묻다 | |
bariñbariñ | 명1 | 옷깃새매(Accipiter cirrocephalus) | |
barray | 시 | 다음 주 | |
barrayarrañ | 시/마 | 내일, 다음날 | |
barraymbarray1 | 시/마 | 내일 | |
barraymbarray2 | 시/지·기 | 동틀 녘, 여명; 이른 아침 | |
barrgala | 명3/마 | 꽃양하속의 식물(Alpinia caerulea) | |
barrgan | 명1 | 날쌘왈라비(Macropus agilis) | |
barri1 | 명4/지 | 석제 토마호크 | |
barri2 | 명4 | (서양으로부터 유입된) 철제 도끼 | |
barrinaybul | 명3/지·기차 | 파인애플 | ←영 pineapple |
barrmba | 명4/마 | (석영이나 흑요석같이) 무언가를 자를 때 쓸 만한 날카로운 돌 | ↔barrmbiy? |
barrmbiy1 | 자동/지·기 | (먼 거리에서) 빛나다, 반짝이다; (번개가) 천둥도 안 들리게 멀리서 치다 | |
barrmbiy2 | 자동/마 | 빛나다, 반짝이다 | ↔barrmba? |
barrmil | 타동 | 돌아보다 | |
barrmiliy | 자동 | 뒤를 보다 | |
barrŋan[6] | 명1 | 청년, 젊은이 | |
bawalbil | 잘자동 | 가다 | |
bawalmbal | 잘타동 | 이끌다 | |
baya | 명4 | 소유품, 소유물, 물건 | |
bayabay | 잘명1/지·마 | 남자 | |
bayal | 타동 | ([7]) 노래하다 | |
baybu | 명2/차 | 파이프 담배 | ←영 pipe |
baygul | 타동 | 흔들다; 두들기다 | |
bayil | 타동 | 돌리다; 젓다; 비틀다, 쥐어짜다 | |
bayjubil | 잘자동 | 내리다, 내려가다 | |
bayimbam | 명1 | (주로 썩은 나무 밑동에 사는) 유충 | |
bayŋgi | 명4 | 긴 막대; mugarru의 손잡이[8] | |
bayŋgin | 명4/지·마 | 땀 | |
bayŋgurray | 잘타동/지 | ([9]) 노래하다 | |
bayŋgurraymbal | 잘타동/지 | ([10]) 노래하다 | |
bigarram | 명4/마 | 트림 | |
bigay | 명4 | 바구니의 손잡이 | |
bigibigi | 명2/차 | 돼지 | ←영 pig |
bigin | 명2 | 방패 | |
biguñ | 명4 | 손톱; 발톱 | |
bijamal | 타동/마 | 성관계하다 | |
bijil | 타동 | 구체로 때리다, 빗발치듯 퍼붓다 | |
bilal | 타동 | 보내다; 주다, (행동을) 가져다 주다 | |
bilayŋgirr | 명4/차 | 담요 | ←영 blanket |
bilgiy | 자동/기 | (회피격) ...이 두려워 도망치다, 달아나다 | |
biliy | 자동 | (방식에 관계 없이) 나무를 오르다 | |
bilmbal | 타동 | 갑자기 밀치다; 밀어 뒤집다, 쓰러뜨리다 | |
bilmbu | 명1~2 | 홀아비; 홀어미, 과부 | |
bilŋgi1 | 명4 | 사타구니, 가랑이; 장골의 앞부분 | |
bilŋgi2 | 형 | 다리 사이의 | |
bima | 명2 | 데스애더(Acanthophis antarcticus) | |
bimbirrbimbirr1 | 명3/마·기 | 무환자나무아과의 식물(Diploglottis diphyllostegia)[11] | |
bimbirrbimbirr2 | 명4/마 | 정향풀아과의 식물(Cerbera inflata) | |
bimu(ñja) | 명1~2 | 아버지의 형 또는 누나; 남동생의 자녀 | |
binana | 명3/차 | 바나나 | ←영 banana |
binarra | 명3/마차 | 땅콩 | ←영 peanut |
bingay1 | 명2/지·기 | 오스트레일리아느시(Ardeotis australis); 까치기러기(Anseranas semipalmata) | |
bingay2 | 명2/마 | 호주흰따오기(Threskionis molucca); 호주검은머리따오기(Threskionis spinicollis)[12] | |
binirr | 형/지·기 | 끝낸; 전부 없앤 | |
binirrbil | 자동/지 | 남김없이 사라지다 | binirr-bil |
biñjirriñ | 명1/기 | 턱수염도마뱀아과의 도마뱀(Diporiphora bilineata) | |
biŋgir | 형 | 뜨거운; 더운 | |
biŋgu | 명3/마 | 땅콩나무(Sterculia quadrifida) | |
biŋgun | 형 | 피곤한; 기절한, 무의식의 | |
biru | 명4/지·기 | 관목에 사는 작은 암탉이나 칠면조의 배설물 | |
birran | 명4 | 꽃이 핀 wara의 줄기[13] | |
birrgil | 명4 | 서리; 겨울 | |
birri | 불 | ||
birrmay | 자동/마 | 뒤를 보다 | |
biya | 불 | ||
biyilbiyil | 명2 | 까치종다리(Grallina cyanoleuca) | |
biyin | 명3/지·기차 | 콩 | ←영 bean |
buba | 잘명4/지 | 몸 | |
bubil | 타동 | (붙어 있지는 않고 놓여있는 것) ...을 떼다; (질병) ...에 걸리다 | |
bubunba | 명2 | 꿩코칼(Centropus phasianinus)[14] | |
budil | 타동 | 손으로 끌다 | |
buga | 형 | 썩은, 상한; 죽은; 냄새나는 | |
bugabil | 자동 | 죽다 | ←buga-bil |
bugun | 명2 | 샘; bayal을 통해 공급하는 물 | |
buja1 | 시/지·기 | 늦은 오후 해가 지고 이슬이 맺힐 무렵 | |
buja2 | 형 | (주로 마시는 것이) 그다지 달지 않은 | |
bujala | 잘명2/마 | 차우칠라(Orthonyx spaldingii) | |
bujay | 자동/기 | 잠기다 | |
buji1 | 명2 | 방귀 | |
buji2 | 명2/기 | 풀잉어(Megalops cyprinoides) | |
bujigal | 명2/지차 | 고양이 | ← 영 pussycat |
bujigan | 명2/마·기차 | 고양이 | ← 영 pussycat |
bujubuyal | 잘타동/마 | 내뿜다, 불다 | |
bujurr | 명4 | 나무 밑동 | |
bulaygi | 명4/차 | 깃발 | ←영 flag |
bula(y(i)) | 형 | 두 | |
bulbal | 명4/기 | 무겁고 느리게 여성들이 손으로 넓적다리 안쪽을 쳐서 내는 소리[15] | |
bulbu | 형/기 | 뜨겁게 작열하는; 달구어진 | |
bulgan[16] | 형/지·마 | 큰, 커다란; 나이 많은; 많은 | |
bulgay | 타동 | (대체로 고체) ...를 삼키다 | |
bulgu | 명2/지·기 | 아내 | |
bulijiman | 명1/차 | 경찰 | ←영 policeman |
buliman | 명1/차 | 경찰 | ←영 policeman |
bulinu | 명4/지·마 | 콧수염 | |
bulmbabara | 명2/기 | (결혼할 수 있게) 완전히 성숙한[17] 여성; 처녀 | |
bulmbiy | 타동 | (남자가) ...의 아버지가 되다; ...를 양육하다 | |
bulŋgari | 명4/마 | 강한 암내, 곁땀 | |
bulu(ñja) | 명1~2 | 친할아버지, (남성 화자의) 친손주 | |
bulugi | 명1~2/차 | 소, 황소; 소고기 | ←영 flock |
bulurru | 시 | 옛날옛날에 | |
bulwal | 타동 | ... 때문에 헐떡거리다, 숨 가쁘다 | |
bundalay | 자동 | 싸우다 | |
bunday | 자동 | 끊다 | |
bundil | 타동 | 꺼내다; (나무의 껍질을) 벗기다 | |
bundiñ | 명2 | 각시메뚜기아과의 메뚜기류(Valanga) | |
bungil | 자동 | 자려고 눕다; 살다 | |
bunjan | 명3/지·마 | 물에 떨어져 발효된 젖빛의 bara 또는 guway | |
buni | 명2/지·마 | 불 | |
bunibula | 명1/지·마 | 아내가 둘 있는 남자 | ←buni-bula(yi) |
bunjul | 타동 | (길고 잘 휘는 것으로) 때리다 | |
bunmara | 명4/기 | (팔다리 등이) 장시간 눌려서 무감각한 상태 | |
buñjal | 타동 | 들다, 들어올리다 | |
buŋal | 자동 | 내리다, 내려가다 | |
buŋgaymarriy | 자동 | 이름을 부르다 | |
buŋgu | 명4 | 무릎 | |
buŋgurray | 명4 | 코골이 | |
buŋun1 | 명4 | (사람의) 자궁; (유대류의) 육아낭 | |
buŋun2 | 명4/지·마 | 무겁고 느리게 여성들이 손으로 넓적다리 안쪽을 쳐서 내는 소리[18] | [19] |
buradi | 시/마차 | 금요일 | ←영 Friday |
bural | 타동 | 보다, 살피다 | |
burarri | 시/지·기차 | 금요일 | ←영 Friday |
burba | 명2 | 늪 | |
burbi | 형 | 절반의, 중간의, 가운데의 | |
burin | 명3/차 | 빵 | ←영 bread |
burñjal | 타동/기 | (채소류) ...를 먹다 | |
buru | 명4/마·기 | (jindigal로 가는) 황천길 | |
burula | 잘명2 | 싸움터, 격투장 | |
burumba | 명4 | 그루터기 | |
burrbil | 타동 | (과일류) ...를 따다 | |
burrbula | 명1 | 남자 이름 | |
burrgulburrgul | 명1~2 | (전혀 성숙하지 않은) 어린이 | |
burrgurum | 명1 | 잭 점퍼 개미(Myrmecia pilosula) | |
burrirra | 명3/차 | 고구마 | ←영 potato |
burrjal | 타동 | (주로 뜨거운 불, 태양 등이) 비추다; 분명하게 하다 | |
burrjarr | 명4/마 | 열병, 고열 | |
burrmbil | 명2 | 사춘기 이전의 소녀 | |
burrubay | 명1 | 종기, 부스럼 | |
burrugun | 명4 | 꽃양하속의 식물(Alpinia arctiflora)[20] | |
burruñ | 형/지·기 | 바쁜 | |
buwa | 명4/마 | 관목에 사는 암탉이나 칠면조의 배설물 | |
buway | 타동 | ([21]) 말하다, 이야기해 주다 | |
buwu | 명4/차 | 포크 | ←영 fork |
buwuba | 잘명4/지 | 누군가의 죽음을 알리는 소식, 비보 | |
buwuji | 명1/마차 | 보스, 두목, 대장 | ←영 boss |
buwubuwu | 명4/기차 | 파파야 | ←영 pawpaw |
buyal1 | 명2 | 조리 과정에 장시간 물이 필요한 요리에 물을 공급하는 나뭇잎 깔때기 | |
buyal2 | 타동 | 불어넣다, 불다 | |
buybal | 타동/지·마 | 숨기다; 속을 채워 넣다; ...의 귀에 바람을 불다 | |
buyjiy | 자동/기 | (사람, 동물, 물 등이) 빠르게 움직이다; 뛰다; 빠르게 배를 몰다 | |
buyñjul | 명1 | 도마뱀과의 도마뱀(Cryptoblepharus virgatus); (마무 방언) 턱수염도마뱀아과의 도마뱀(Diporiphora bilineata) |
2.4. d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daba | 명3/지·기 | 종려아과의 나무(Ptychosperma elegans)[22] | |
dabajanay | 자동 | 재빨리 몸을 쭈그리다 | |
dabil | 타동 | ...에게 (한 줌 치의) 고체(흙, 견과류 등)를 던지다 | |
daday | 자동 | 강 하류 쪽으로 움직이다 | |
dagarral | 잘타동/지 | 깨다, 부러뜨리다 | |
dagarray | 잘자동 | 깨지다, 부러지다 | |
dagija | 명1/마·기차 | (서양식) 의사 | ← 영 doctor |
dagu | 명1 | 큰꼬리개미때까치(Mackenziaena leachii) | |
dalbi | 형/마 | 내부에서 제일 꼭대기인, 천장의 | |
dali | 명4/차 | 툴리(마을) | ←영 Tully[23] |
daliy | 타동 | 떄려눕히다, 타도하다 | |
daman | 명1~2 | 여성 화자의 자녀 | |
damba | 명3/차 | 댐퍼(빵)[24] | ←영 damper |
dambul | 명4 | 방패 손잡이 뒤쪽의 장식 | |
dambun | 명2 | 담분(신화 속 인물) | |
dandarra | 명4/지·기 | 트림 | |
dandu | 잘명4/지 | 나무, 목재 | |
dangal | 타동 | 강 하류 물로 씻다 | |
dangun | 명4/마 | 발기한 음경 | |
daŋgil | 명4 | 강기슭, 강둑 | |
dara | 명4/마 | 클리토리스 | |
darral | 타부 | (나쁜, 별로인) ...를 하다[25] | |
darrji | 감/지·마 | (분명히 일어난 일에 대해) 잘됐다, 좋네 | |
darrubal | 잘타동 | 물 속에 담그다, 가라앉히다 | |
darrubay | 잘자동 | 목욕하다 | |
dawulubil | 잘자동 | 강 상류 쪽으로 움직이다 | |
dawun | 명4/차 | 마을 | ←영 town |
dayibil | 잘자동 | 오르다, 올라가다 | |
dayibul | 명4/차 | 식탁, 테이블 | ←영 table |
diban | 명4/지·마 | 돌 | |
digirr | 잘명4/마 | 관자놀이 | |
dilbidilbi | 명2/지·기 | 가면물떼새(Vanellus miles)[26] | |
dimbay | 타동 | (손 이외의 수단으로) 나르다 | |
dina | 시/차 | 저녁 시간 | ←영 dinner |
dindal | 잘타동 | 세우다 | |
dinu | 형 | 시원한; (지르발, 마무 방언) 찬, 추운; 차가운 | |
diŋal1 | 잘명2/마 | 알 | |
diŋal2 | 잘명4 | 눈(目) | |
diŋalmali | 잘명3 | 밀가루 | |
diŋgal | 명4/지 | 머리 | |
dirra | 명4 | 치아, 이; 이름 | |
dirranayal | 타동 | 위협하다, 협박하다 | |
diyi | 명4/차 | 차(茶), 찻잎 | ←영 tea |
diyin | 명2/차 | 통조림 | ←영 tin |
dudal | 타동 | 돌로 짓이기다 | |
duguy | 명4 | 카우리나무(Agathis australis) | |
dujul | 명4/지·마 | 정강뼈 | |
dularrmi | 명2/마 | (가슴이 자라기 시작한) 여성[27] | |
dulgubarra | 명4 | 마무 부족의 다섯 무리 중 하나 | |
dulgugayñjal | 자동 | (어린 아이가) 죽다 | *dulgu[28]-gayñjal |
dulubu | 명2/마 | 이른 아침에 떠있는 별 | |
duygiy | 타동/마 | ...를 보면서(찾으면서) 가다; 아래를 보다 | |
dumbal | 타동 | ...의 아픈 곳을 건드리다 | |
dumbul | 명4/지·마 | 질(膣) | |
dundu | 명2/지 | 새[29] | |
duŋanbarra | 명4 | 지명 | |
duŋgarray | 자동 | 울다, 눈물을 흘리다 | |
durrbal | 타동 | (남자) ...가 (여자, 절대격) ...를 손으로 애무하다 | |
durrbarriy | 자동/마·기 | (여자) ...가 (남자, 여격) ...를 성적으로 흥분시키다 | durrba-rriy |
durrbayirríy | 자동/지 | (여자) ...가 (남자, 여격) ...를 성적으로 흥분시키다 | durrba-yirriy |
durrmal | 잘타동/마 | 요리하다; 태우다 | |
duygiy | 타동/마 | 훑어보다, 검토하다 |
2.5. g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gaba | 명4/지·기 | 흰 점토[30] | |
gabal | 명2 | 흑로(Egretta sacra); 쇠백로(E. intermedia); 흰얼굴왜가리(E. novaehollandiae); 대백로(Ardea alba) 중백로(A. garzetta); 서부황로(A. ibis) | |
gabiji | 명3/차 | 양배추 | ←영 cabbage |
gadal1 | 타동/지·기 | 고치다, 더 낫게 만들다; (새가) 둥지를 짓다 | |
gadal2 | 타동/마 | (건축물) ...의 뼈대를 세우다 | |
gadugurru | 명2/마 | (가슴이 자라기 시작한) 여성[31] | |
gagirbil | 잘자동/지 | 자라다 | ←*gagir? |
gagirñja | 명2/지 | (가슴이 자라기 시작한) 여성[32] | ←*gagir? |
gaji | 불 | 권고, ... 해보다 | |
gajin | 명2 | (2~20세의[33]) 소녀 | |
gajiya[34] | 명2 | (가슴이 자라기 시작한) 여성[35] | |
gala | 시/마 | 오늘 일찍, 오늘 아까 | |
galgabu | 감/지·기 | 아깝다, 아쉬워, 너무하네 | |
galgal | 타동 | 떠나다, 버리다; 내버려두다; 뿜다, 배출하다; (사람) ...을 남기고 죽다 | |
galu | 명4/기·마 | 무릎(앉을 때 생기는 무릎 관절 위 넓은 부분) | |
galu madal | 관용구 | (능격) ...이 가부좌를 틀다, 양반다리로 앉다 | |
galu-ŋga ñinay | 관용구 | 가부좌를 틀다, 양반다리로 앉다 | |
gambi | 명4 | 옷 | |
gamu | 명2/기 | (담수, 해수, 식용수, 술, 나무 수액 등) 물, 액체 | |
gamugamu | 명3/지·기 | 술 | ←gamu-gamu |
gana | 형 | 완전하지는 않은, 어중간한, 그냥저냥한 | |
ganagabun(da) | 시 | 한밤에, 오밤중에 | |
ganalin | 시/지·마 | 한밤에, 오밤중에 | |
ganali | 시/기 | 한밤에, 오밤중에 | |
ganday | 타동 | 태우다 | |
gañjargañjar | 형/지·기 | (남자에게) 사냥도 못하면서 남들이 주는 것은 욕심내는; (여자에게) 남자들을 끼고 사는; 너무 성관계를 해대는 | 욕설로도 쓰인다[36] |
gañjarrigan | 형/마 | (남자에게) 사냥도 못하면서 남들이 주는 것은 욕심내는; (여자에게) 남자들을 끼고 사는; 너무 성관계를 해대는 | 욕설로도 쓰인다[37] |
garawal | 명4 | 뱀이 풀 사이로 지나가는 소리 | |
garŋan | 명2/기 | 태평양검둥오리(Anas superciliosa)[38] | |
garul | 명3/기 | guway를 물에 담가 발효시킨 것 | |
garri1 | 명2 | 태양, 해; 햇살; 낮; 날 | |
garri2 | 명2 | 누에나방상과의 나방(Anthela varia)의 애벌레 | ←garri1[39] |
garringuñjil | 타동/지 | (옷) ...을 햇볕 때문에 벗다 | garri1-yanu(-l) |
garriyanu(-l) | 자동/지 | 당일치기로 다녀오다 | garri1-yanu(-l) |
garrja | 형 | 똑바른, 알맞은, 만족스러운; 받아들일 만한; 독성 없는 | |
garrjul | 타부/마·기 | 적절히 ...하다, 알맞게 ...하다 | |
gawar | 명4/지·기 | 췌장 | |
gawurra | 형/지·마 | 짝사랑하는 | |
gayga | 명4 | 눈(目) | |
gaygabalgajiy | 자동/마 | 눈을 깜빡이다 | ←gayga-balgajiy |
gaygabanday | 자동/지·기 | 기절했다가 의식을 차리다 | ←gayga-banday |
gayga W barrmbiy | 관용구 | W ...가 눈을 깜빡이다 | |
gaygabudil | 타동 | 시범을 보이다; 어떻게든 이끌고 가다 | ←gayga-budil |
gaygabil1 | 자동 | (gubi보다는 덜하지만) 안목 있다, 똑똑하다 | ←gayga-bil |
gaygabil2 | 자동/지·기 | 기절했다가 의식을 차리다 | ←gayga-bil |
gaygaganday | 자동 | (남자가) 질투하다, 시샘하다 | ←gayga-banday |
gayga W ganday | 관용구 | (남자인) W ...가 (공동격) ...을 질투하다, 시샘하다 | |
gaygamalgal | 타동/마 | 추파를 던지다 | ←gayga-malgal |
gaygamali | 명3 | 밀가루 | ←gayga-ma-li[40] |
gaygañinay | 자동 | (주로 여자가) 질투하다, 시샘하다 | ←gayga-banday |
gaygañulal | 타동/마 | (절대격) ...과 눈으로 대화하다; 가르치다; (절대격) ...이 (회피격 또는 여격) ...과 바람 피우는 것을 보다 | ←gayga-ñulal |
gaygañunbal | 타동/지·기 | (절대격) ...과 눈으로 대화하다; 가르치다; (절대격) ...이 (회피격 또는 여격) ...과 바람 피우는 것을 보다 | ←gayga-ñunbal |
gayga-ŋgu W(능격) madal | 관용구 | W ...가 눈짓으로 격려하다 | |
gaygawarranmal | 타동 | (절대격) ...에게 최면을 걸어 길을 헤매게 하다 | ←gayga-warra-(n)-mal |
gaygi | 명3/차 | 케이크 | ←영 cake |
gayi | 감 | 야, 이봐, 저기요, 거기, 집중 | |
gayñjal | 자동 | (단단한 것이) 깨지다, 부서지다; (여행이) 끝나다 | |
gigar | 명2/지·기 | 검은목황새(Ephippiorhynchus asiaticus)[41] | |
gijam1 | 명1 | 땅이나 나뭇잎에 사는 사람을 찌르는 작은 검은 개미(?) | ←gijam2 |
gijam2 | 명4 | 손발저림 | |
gilŋañ | 명4/지·기 | 목감기; 가래 | |
gilŋara | 명4/마 | 목감기; 가래 | |
gilu | 시 | 오늘 이따 | |
gindi | 형 | 두려운, 안절부절못하는, 초조한; 민감한; 주의깊은, 조심하는 | |
gindimbal | 타동 | (처격) ...에 대해 경고하다 | gindi-mbal |
girin | 명4/지·기 | muja의 어린 묘목 | |
girman1 | 명4 | 손목; 손목의 뼈 | ↔girman2 |
girman2 | 명4/지·마 | 자뼈 | ↔girman1 |
girmbarra | 명2/지 | 풀잉어(Megalops cyprinoides) | ←girman2?-barra |
girñja | 명2/지·마 | (일반적인) 별 | |
girñjal | 명3/지·기 | 꿀 | |
girŋgir | 명1/기 | 호주청개구리(Litoria caerulea) | |
girral (wundu W) | 타동/마 | (여자) ...가 (W의 성기) ...가 발기되도록 흥분시키다 | |
girrgin | 시 | 아주 잠깐 | |
girrijimayi | 시/차 | 크리스마스 | ←영 christmas |
girrjimi | 시/차 | 크리스마스 | ←영 christmas |
giyarra | 명2 | 뽕잎쐐기나무(Dendrocnide photinophylla) | |
giyarragiyarra | 명3/지·기 | 쐐기풀과의 식물(Pipturus argenteus) | giyarra-giyarra |
gubal | 타동 | 덮다; 묻다(埋); (매우 큰 소리가) 나다; (알을) 품다; nigirri로 요리하다 | |
gubi1 | 명1 | 지르발 신앙에서의 박식한 현자이자 의사[42] | |
gubi2 | 시 | 옛 구비들이 살던 시절 | |
gubimbulu | 명1/지·마 | 다른 gubi보다 더 현명한 gubi | ←gubi-(m)-bulu |
gubungara | 명3 | 알렉산드라야자(Archontophoenix alexandrae)[43] | |
guginan | 명4/기차 | 코코넛 | ←영 coconut |
gugu | 시/기 | 한편 | |
gugula | 명2 |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 | |
gugun | 명2 | 개똥 | |
guguruguy | 감/지·기 | 잘됐네 | |
guguwuy | 감/지·기 | (뒤에 있는 사람에 대한 소리침) 거기 뒤 | |
guguyuwuy | 감/마 | (뒤에 있는 사람에 대한 소리침) 거기 뒤 | |
gulgal | 명4/지 | 무릎(앉을 때 생기는 무릎 관절 위 넓은 부분) | |
guliñ | 형 | (jindigal이 있는) 동쪽 편의 | |
gumbul | 명2/기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여자 | |
gumun1 | 명2/지 | 작은 냇물이 모이는 강 상류 | |
gumun2 | 형 | 막힌, 닫힌 | |
guna | 명2 | (사람이나 동물의 창자; 배설물 | |
guna W gadal | 관용구 | W ...가 변비에 걸리다 | |
gundal | 타동 | (절대격) ...을 (처격) ...에 넣다 | |
gundalmal | 타동 | (절대격) ...에 (여격) ...을 넣다 | |
gundun | 형/지·마 | 짧은 | |
gunga | 형/지·기 | (식물이) 덜익은; (고기가) 날것인; (사람이) 살아있는, 건강한; 머리가 세지 않은 | |
gungamal | 타동/지·기 | (gubi가) 치료하다[44], (구부러진 것) ...을 펴다 | ←gunga-mal |
gunuŋga | 명2/지·마 | 태평양검둥오리(Anas superciliosa)[45]; (마무 방언) (총칭적으로) 오리 | |
guñjal | 타동 | 마시다, 홀짝이다 | |
guñju | 명4/마 | 도금양과의 나무(Uromyrtus metrosideros; Pilidiostigma tetramerum)[46] | |
gurgarri | 명4/지·기 | 두릅나무아과의 나무(Polyscias elegans) | |
guru | 명3/마 | 꿀 | |
guruŋgul | 명1/지·기 | 솔개(Milvus migrans)[47]; (마무 방언) (총칭적으로) 오리 | |
gururr | 명3 | 브롤가(Grus rubicunda)[48] | |
gurrga | 명4/지·마 | 목 | |
gurrijala | 명1 | 쐐기꼬리수리(Aquila audax)[49] | |
gurrŋal | 형 | 좋은 친구나 동료인 | |
gurrudiban | 명4/마 | 치자나무아과의 식물(Atractocarpus sessilis; A. merikin) | |
gurrugu | 명3/지·마차 | 술 | ←영 grog |
gurrul | 형/지·마 | (사람에게만 쓰여) 매우 차가운, 추위에 움츠리다 | |
gurrulbil | 자동/지·마 | 추위에 떨다 | ←gurrul-bil |
guyan | 명2 | 석영, 유리로 만든 것(유리잔 등) | |
guyañgu | 명4/지·기 | 도금양과의 식물(Tristaniopsis exiliflora) | |
guyi | 형 | (사람, 동식물이) 죽은 | |
guyibarra | 명2/지·마 | 부시스톤컬류(Burhinus grallarius); 바다돌물떼새(Esacus gignateus)[50] | |
guyibil | 자동 | 죽다 | ←guyi-bil |
guyil | 명2/기 | 부시스톤컬류(Burhinus grallarius); 바다돌물떼새(Esacus gignateus)[51] | |
guyimal | 타동 | 죽이다 | ←guyi-mal |
guyimbarra | 명1 | 살인자 | ←guyi-m?-barra |
guymiñjibil | 잘자동/지 | 자라다 | |
guwala | 명3/지·기 | 땅콩나무(Sterculia quadrifida); (기라마이 방언) 땅콩 | |
guway | 명3 | 퀸즐랜드 월넛(Endiandra palmerstonii) | |
guwu1 | 명4/지·마 | 코; 콧구멍; → 정점(부리; 뱃머리; 산 정상; 길쭉한 도구의 끝부분; 지나간 흔적) | |
guwu2 | 명4 | 창 끝의 단단한 창촉 | ←guwu1[52] |
guwu jurru | 관용구 | 콧등, 콧날 | |
guwu ŋamun | 관용구 | 젖꼭지 | |
guwugiñju | 명2/지·기 | 호주흰따오기(Threskionis molucca); 호주검은머리따오기(Threskionis spinicollis)[53] |
2.6. j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jaban | 명1/지·마 | 장어 | |
jabir | 명4/지·마 | (석영이나 흑요석같이) 무언가를 자를 때 쓸 만한 날카로운 돌 | |
jagabara | 명3/기 | 그래스트리(Xanthorrhoea johnsonii)[54] | |
jagalŋay | 명4/지·기 | 치자나무아과의 식물(Atractocarpus sessilis; A. merikin) | |
jagalŋgirray | 명1/지 | 턱수염도마뱀아과의 도마뱀(Diporiphora bilineata) | |
jagiñ[55] | 형/기 | 큰, 커다란; 나이 많은; 많은 | |
jaja | 명1~2 | (5살 이하의) 아들; 딸; 아이 | |
jalbar | 명4/지·기 | 턱수염; 더듬이; (기라마이 방언) 콧수염 | |
jalgay | 명4/지·마 | 대머리 | diŋgal[56]이 선행하기도 한다. |
jalmiyuru | 형/지·마 | 보기 좋은(멋있는, 멋진; 예쁜, 아름다운 등...) | |
jamarra | 명4/마 | 요리를 위해 동물 몸속에 넣는 달군 돌; 그것을 사용한 땅속에 판 구덩이 형태의 화덕 | |
jami1 | 명4 | 지방 | |
jami2 | 형 | 뚱뚱한, 살찐 | |
jami3 | 형/마 | 좋은; 만족스러운 | ←jami2 |
jamilayŋgun | 형/지·기 | (비하적으로) 아주 뚱뚱한 | jami-*layŋgun? |
janay | 자동 | 일어서다; 서있다 | |
jandi | 시/차 | 일요일 | ←영 Sunday |
janigin | 명3/지·기차 | 조니케이크 | ←영 johnnycake |
jañja | 시 | 지금 | |
jañjal | 타동/지·기 | 갑자기 홱 당기다 | |
jañjarru | 시/지·기 | 오늘 일찍, 오늘 아까 | |
jaŋgay | 타동 | 먹다[57] | |
jaŋgu | 명4/마 | warrgay로 만든 꿀을 빨아들여 저장하는 재료 | |
jarin | 명1 | baŋgay 창에 뚫린 구멍에 꽂는 우메라 끝에 달린 못 | |
jarirri | 시/차 | 토요일 | ←영 Saturday |
jarjin | 명1/마·기차 | 경사(總警) | ←영 sergeant |
jarrgala | 명3 | 스타애플아과의 나무(Planchonella chartacea)[58] | |
jarrguy | 명2 | 큰부리왜가리(Ardea sumatrana); 군함조(Fregata ariel)[59] | |
jarri | 명4/마 | (볼 수 있게 튀어나온) 나무 뿌리 | ←jina? |
jarrji | 감/기 | (분명히 일어난 일에 대해) 잘됐다, 좋네 | |
jarru | 명3/지·기차 | 타로(Colocasia esculenta) | ←영 taro |
jarrugan | 명2 | 주홍발무덤새(Megapodius reinwardt); 그것의 알[60] | |
jawam | 명3/차 | 잼 | ←영 jam |
jawun | 명4 | 딜리백[61], 망태기 | |
jayiji | 시/지·기차 | 목요일 | ←영 Thursday |
jayji | 시/지·기차 | 목요일 | ←영 Thursday |
jaymbal | 타동/지·기 | 찾다 | |
jayŋul | 타동/지 | (절대격) ...에 관해서 전부 마치다; 해내다[62] | |
jidu | 명2 | 운향과의 나무(Halfordia kendack)[63] | |
jiga | 명3/차 | 시가렛 | ←영 cigar |
jigal | 형/기 | 좋은 | |
jigani | 형/기 | 색이 예쁜 | |
jigil | 형/지마 | 좋은 | |
jigubina | 명1 | 별똥별[64] | |
jijan | 명1/지·기 ~ 잘명1/마 | 호주물도마뱀(Physignathus leseurii) | |
jilbay | 형 | 숙련된, 전문적인; 현명한, 지혜로운 | |
jiman1 | 명2 | (bagu에 수직으로 세워 비벼 불 지피는) 발화봉[65][66] | |
jiman2 | 명2 | 몰리네디아아과의 식물(Steganthera laxiflora)[67][68] | |
jiman3 | 명2/기 | 꼬까도요(Arenaria interpres) | |
jimbur | 명4/지 | (사람이나 동물의) 털 | |
jina | 명4 | (사람이나 동물의) 발; 발자국; (잡는 쪽 반대편의) 부메랑 끝 | |
jinaguda | 명4/지·기 | 두릅나무아과의 나무(Polyscias elegans) | ←jina-guda[69] |
jinaman | 명4/지·기 | 신발 | ←jina? |
jinambarra | 명4/지 | 경련, 쥐(痙) | ←jina-(m)-barra |
jinarri | 명4/지·기 | (볼 수 있게 튀어나온) 나무 뿌리 | ←jina? |
jindi | 명4 | 흉골 위 가슴 부분 | |
jindigal | 명4 | 죽은 영혼들의 고향, 황천, 사후세계 | |
jiŋgaliy | 자동/지·마 | (사람, 동물, 물 등이) 빠르게 움직이다; 뛰다; 빠르게 배를 몰다 | |
jiŋgu | 명4/마 | (사람이나 동물의) 털 | |
jiramburr | 명4/지·마 | (팔다리 등이) 장시간 눌려서 무감각한 상태 | |
jirribi | 명2 | 갈색메추라기(Coturnix ypsilophora); 왕메추리(Synoicus chinensis); 붉은등세가락메추라기(Turnix maculosus)[70] | |
jiwurral | 명4 | 음모(陰毛), 거웃 | |
jiyal | 타동/기 | (부드럽거나 벌레를 얻을 수 있는 썩은 나무) ...를 쪼개다 | |
juba1 | 명4/지·기 | 아직 꽃이 피지 않은 wara의 줄기[71] | |
juba2 | 명4/마 | 창 끝의 단단한 창촉[72] | |
juba3 | 명1/지·마차 | 팜 아일랜드 원주민 정착지 감독관(Superintendent at Palm Island Aboriginal Settlement) | ←영 super(intendent) |
jubayga | 명3/차 | 타바코 | ←영 tobacco |
jubu | 명4/마 | 여성용의 휘두르는 목재 싸움 막대 | |
jubula | 명3 | 나한송과 나무(Prumnopitys amarus)의 열매[73] | |
jubuñ | 형/기 | 삼가 조용한; 미안해서 할 말이 없는 | |
juday | 자동/지·마 | (회피격) ...이 두려워 도망치다, 달아나다 | |
judu | 형/기 | 짧은 | |
juga | 명4/지·마차 | 설탕 | ←영 sugar |
jugagiyan | 명4/지·기차 | 사탕수수 | ←영 sugarcane |
jugan | 명2~4 | 창자루[74] | |
jugumbil | 명2/지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여자 | |
juja | 명4/마·기 | (목 아래부터 허리까지) 등; 등뼈, 척추; 발등; 손등; 방패의 뒷면; 카누의 밑바닥; 뒤편 | |
julbil (wundu P) | 타동/지·기 | (여자) ...가 (P의 성기) ...가 발기되도록 흥분시키다 | |
julbun | 형 | (주로 신혼) 결혼한 | |
julburuy | 형 | (주로 신혼) 결혼한 | |
julŋgu | 명4/기 | 목 | |
jumala | 명1/지·기 | 우메라[75] | |
jumarra | 명3/차 | 토마토 | ←영 tomato |
jumuburu | 명1~2 | 소, 황소; 소고기 | |
jural | 잘자동/지 ~ 자동/마 | 무릎을 꿇고 손을 짚어가며 기다; (뱀이) 움직이다 | |
jurra | 명4/지·기 | 구름; 하늘 | |
jurral | 타동 | 문지르다, 쓰다듬다; 쓸다 | |
jurrgay | 타동 | (주로 창을 쥔 채로) 창으로 찌르다; 쪼개다 | |
jurru1 | 명4 | 산등성이, 능선 | |
jurru2 | 명4 | 위팔, 팔뚝 | ←jurru1 |
jurru jañjal | 관용구/지·기 | 악수하다 | |
juwarra | 형/지·기차 | 욕하는 | ←영 swearing |
juwiji | 시/지·기차 | 화요일 | ←영 Tuesday |
juwiy | 자동/마 | 수영하다, 헤엄치다 | |
juwudi | 시/마차 | 화요일 | ←영 Tuesday |
juwul | 명3/차 | 소금 | ←영 salt |
juwúy | 감/지 | 한 방에 캥거루나 왈라비를 창으로 잡았을 때 내는 소리 | |
juymal | 자동/지·기 | 무릎을 꿇고 손을 짚어가며 기다; (뱀이) 움직이다 |
2.7. l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lada | 명4/차 | 사다리 | ←영 ladder |
landan | 명4/차 | 런던 | ←영 London |
lawamun | 명3/마차 | 레몬 | ←영 lemon |
lawaymun | 명3/지·기차 | 레몬 | ←영 lemon |
2.8. m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mabal | 타동 | ...에 불을 붙이다 | |
mabil | 자동 | (강, 길, 철도 등을) 가로지르다 | |
madal | 타동 | 던지다; (편지를) 부치다 | |
magul | 시/지·마 | 한편 | |
maja | 명1/차 | (주로 남성) 백인 보스, 두목, 대장 | ←영 master |
majila | 명4/마 | 흰 점토[76] | |
mala | 명4 | (인간의) 손; 주(週)[77] | |
malaji | 명3/지·기차 | 당밀 | ←영 molasses |
malgal | 타동 | (절대격) ...에 (능격) ...이 들러붙다 | |
mali | 감/지·기 | (음식이나 음료를 맞아 기쁠 때의 표현) 이야, 기쁘다 | |
mambu | 명4/지 | (목 아래부터 허리까지) 등; 등뼈, 척추; 발등; 손등; 방패의 뒷면; 카누의 밑바닥; 뒤편 | |
mandalay | 자동 | (술래잡기 같은 아이들의 놀이) 놀다 | |
mandi | 시/차 | 월요일 | ←영 Monday |
mangun | 명3/기 | 과일이나 채소, 또는 그것이 나는 식물 | |
mandariñ | 명3/지·마차 | 귤 | ←영 mandarin |
mandirriñ | 명3/기차 | 귤 | ←영 mandarin |
mañjay1 | 자동/지·마 | (도구격) ...를 굶주림을 달래기 위해 많이 먹다 | |
mañjay2 | 형/지·마 | 배부른; 임신한 | |
maŋgal | 타동 | 주워들다, 집다; 모으다 | |
marbu | 명1 | 머릿니(Pediculus humanus) | |
mari | 명4/지·기 | 피 | |
marimbal | 명2/기 | 칼루필룸속의 나무(Caluphyllum sil); 그것의 나무껍질로 만든 물통 | |
marril | 자동 | (여격) ...을 따라오다, 뒤따르다 | |
mawaga | 명4/지·기 | 메시지 스틱[78] | |
mawur | 명4/마 | 경련, 쥐(痙) | |
mayaga | 명4/마 | 메시지 스틱[79] | |
mayi | 감/기 | 들어봐 | |
mayil | 자동 | 밖으로 나가다, 숲을 벗어나다; 나타나다; (은유적으로) 볼일 좀 보러 가다 | |
mayŋgan | 형/기 | 찬, 추운; 차가운 | |
mayŋgu | 명3/차 | 망고 | ←영 mango |
mayŋil | 형/지·기 | 이상하게 생긴, 흉측한, 못생긴, 이상해서 웃기게 생긴 | |
midi | 형 | 작은; 형제 간 어린; 적은 | |
mija | 명4 | 거처[80]; 거주 공동체; (짐승의) 굴 | |
mijul | 타동 | 알아차리지 못하다; 무시하다 | 주로 접사 -gani-가 붙은 채로 사용된다. |
mijurriy | 자동/마·기 | (여격) ...을 기다리다 | miju-rriy[81] |
mijuyirrìy | 자동/지 | (여격) ...을 기다리다 | miju-yirriy[82] |
milaji | 명3/지·기차 | 당밀 | ←영 molasses |
milan | 명3/마차 | 수박 | ←영 (water)melon |
milgi | 명2/지차 | 우유 | ←영 milk |
milin | 명3/지·기차 | 수박 | ←영 (water)melon |
miyanday | 자동 | (여격) ... 때문에 웃다 | |
mugal | 명4/기 | 머리 | |
mugarru | 명4 | (두 손잡이로 여닫을 수 있는) 나비 모양 어망[83] | |
muguy | 시 | 아주 오랜 시간, 무기한 | |
muja | 명3 | 에우포마티아속의 식물(Eupomatia laurina)[84][85] | |
mulgu | 명1~2~4[86] | 웅얼거림, 우물거림; 어쩌구저쩌구 | |
mulgu W wurrbay | 관용구 | W ...가 웅얼거리다, 우물대다, 중얼거리다 | |
mulmay | 자동 | 잠수하다; 물에 잠기다 | |
mulumjaymban | 잘명4/마 | 소식(消息) | |
munay | 자동 | 토하다 | |
mundal | 타동 | 이끌다; 데려가다 | |
muña | 형/지·마 | 끝낸; 전부 없앤 | |
muñabil | 자동/지 | 죽다, 기절하다 | muña-bil |
muñiy | 자동/지·기 | 눈을 깜빡이다 | |
muñju | 형 |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은, 빈손의; 홀아비/어미인; (남성이) 자식 없는 결혼관계의 제약이나 책임이 없는 | muña-bil |
muŋan | 명4 | 산(山) | |
murmu | 명4/마 | 경련, 쥐(痙) | |
murra | 명4 | 정액; 애액 | |
murray | 명4 | (인간의) 머리카락 | |
murraymba | 명1~2/마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murray-(m)-ba |
murraynbila | 명1~2/지·기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murray-(n)-bila |
muymbal | 타동/기 | 숨기다; 속을 채워 넣다; ...의 귀에 바람을 불다 | |
muyŋga | 명4 | 배에 난 흉터; 뱀의 줄무늬[87] | |
muyur | 명3/기 | 물에 떨어져 발효된 젖빛의 bara 또는 guway |
2.9. n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nagay | 자동 | 강둑을 부수다; 산사태를 일으키다 | |
nalŋil | 타동 | 흔들다; 체로 치다 | |
naŋgalnaŋgal | 명1/마·기 | 덫턱개미(Odontomachus sp.) | |
naŋgay | 명4/기 | 돌 | |
nayi[88] | 명2 | (사춘기를 다 마친) 소녀 | |
nayŋul | 잘타동 | 던지다 | |
nigirri | 명4 | 요리를 위해 동물 몸속에 넣는 달군 돌; 그것을 사용한 땅속에 판 구덩이 형태의 화덕 | |
niwan | 명1/지·마 | 서캐, 이(蝨)의 알 | |
niyan | 명1/기 | 서캐, 이(蝨)의 알 | |
nuba1 | 명2/지·기 | 칼루필룸속의 나무(Caluphyllum sil); 그것의 나무껍질로 만든 물통 | |
nuba2 | 명2/마 | 초피나무아과의 나무(Flindersia pimenteliana); 그것의 나무껍질로 만든 물통 | |
nudil | 타동/지·기 | 자르다, 갈라놓다 | |
nuŋgan | 명1 | 사면발니(Pthirus pubis) |
2.10. ñ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ñabu | 시/마·기 | 늦은 오후 해가 지고 이슬이 맺힐 무렵 | |
ñajul | 타동/지·마 | 요리하다; 태우다; 밝히다 | |
ñalbay1 | 명4 | 동명이인, 이름을 딴 것; 누군가오 관련된 장소 | |
ñalbay2 | 자동 | (장소가) 낯설어지다; 영적인 곳에 살다; (사람이) 변하다; (장소에 의해) 압도되다, 고통을 겪다; 길을 잃다 | |
ñalŋgirrgan | 형/지·기 | (사람에게만 쓰여) 가장 보기 좋은(멋있는, 멋진; 예쁜, 아름다운 등...) | |
ñalma1 | 명4/지·기 | 여성용의 휘두르는 목재 싸움 막대 | |
ñalma2 | 시/지·기 | 여명 직전의 이른 아침 | |
ñalmarru | 잘명1~2 | 아이 | |
ñalŋga | 명1~2 | ('어른'이 되지 않은, 즉 아직 성관계를 하지 않은) 아이 | |
ñambal | 타동 | 손바닥으로 칠하거나 문지르다 | |
ñamu | 형 | 조리된, 요리된 | |
ñanbal | 잘타동/마 | 뚫다, 찌르다; 파다, 캐내다 | |
ñara | 명3 | 불꽃, 화염, 밝은 빛 | |
ñarimu | 명1/마 | (공손하게) 보스, 두목, 대장 | |
ñawul | 타동 | 길을 가로막은 것 위로 밟다; 발로 느끼다 | |
ñigila | 형/마 | 뜨거운; 더운 | |
ñimal | 타동 | 붙잡다, 쥐다; 짜다 | |
ñimbar1 | 잘명2/마 | 개; 고양이; 말 | |
ñimbar2 | 명4/기 | (사람이나 동물의) 털 | |
ñimbar3 | 잘명4/마 | 두릅나무아과의 나무(Polyscias elegans) | |
ñinay | 자동 | 앉다; 가만히 있다[89]; 살다 | |
ñingal | 잘형/마 | 짧은 | |
ñiri | 잘명4/마 | 큰창자 | |
ñirral | 타동 | ...에 날카로운 것을 쑤셔 넣다; ...를 고정하다 | |
ñirri | 명4 | 새똥; 너무 가까운 친척과 결혼하는 사람에 대한 욕설 | |
ñiyi | 명2 | 새가 땅 위에 무언가 있는 것을 보고 그것에 대해 내는 소리[90] | |
ñuga | 명3/지 | 무환자나무아과의 식물(Diploglottis diphyllostegia)[91] | |
ñugay | 타동 | 잘게 갈다, 빻다 | |
ñumbul | 명4/마 | 턱수염 | |
ñunarra | 명4/지·기 | 영어 | |
ñungul | 잘형 | 한, 하나의 | |
ñunjal | 타동 | (전통적으로) 지인과 재회할 때 볼에 뽀뽀하다; ...와 키스하다 | |
ñunjuy | 명4/지 | 콧물; 코감기 | |
ñurimal | 잘타동 | 보다, 살피다 | |
ñurrŋu | 형 | 몰입한, 딴 데를 신경 쓰기에는 너무 바쁜 | |
ñurruy | 명4/마 | 콧물; 코감기 | |
ñuyay | 형 | 오래 시간을 쓰는; 게으른; 성가신; 제멋대로 하는, 건방진 |
2.11. ŋ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ŋa | 감 | 응, 네 | |
ŋabal | 타동/지·마 | 물에 담그다, 적시다 | |
ŋabu | 형/마 | (식물이) 덜익은; (고기가) 날것인; (사람이) 살아있는, 건강한; 머리가 세지 않은 | |
ŋambal | 타동 | 듣다; 생각하다; 이해하다; 믿다 | |
ŋambarrìy | 자동/마·기 | 생각하다; 알다; 이해하다 | ŋamba-rriy |
ŋambayirrìy | 자동/지 | 생각하다; 알다; 이해하다 | ŋamba-yirriy |
ŋambiya | 준의문사/지·마 | 그 뭐냐, 뭐더라, 거시기 | |
ŋambiya wurra | 지·마 | 거기를 뭐라고 하더라 | |
ŋamun | 명2 | (여성의) 유방; 젖꼭지; 젖, 모유 | |
ŋanbal | 타동/지·마 | (목적어) ...에게 (여격/공동격어) ...를 묻다(問) | |
ŋañi | 명4 | 얼굴; (차량의) 앞유리창 | |
ŋañum | 감/지·마 | 모르겠어 | |
ŋarrgal | 타동 | (성적으로) 유혹하다, 흥분시키다; 성관계하다 | |
ŋarriñji | 명3/차 | 오렌지 | ←영 orange |
ŋayñil | 타부/지·기 | 최초으로 ...해보다; ...를 시도하다 | |
ŋirriwuŋal | 명2/마 | 웜푸과일비둘기(Ptilinopus magnificus); 흰머리비둘기(Columba leucomela)[92] | |
ŋugurrbal | 명2 | 오스트레일리아사다새(Pelecanus conspicillatus)[93] | |
ŋulbuñ | 명1 | 푸른베짜기개미(Oecophylla smaragdina)[94] | |
ŋulga | 시/지·기 | 내일, 다음날 | |
ŋulmurru | 시 | 짙은 밤[95] | |
ŋumbuga | 시/마 | 어제 | |
ŋumbuŋga | 시/지·기 | 어제 | |
ŋunu | 명3/기 | 물에 떨어져 발효된 젖빛의 bara 또는 guway | |
ŋuŋu | 형 | (아기가) 말을 못하는; (어른이) 멍청한 | |
ŋurayŋuray | 형/마 | (사람이나 건물, 풍경 등에 쓰여) 보기 좋은(멋있는, 멋진; 예쁜, 아름다운 등...) | |
ŋurbay | 자동/마 | 온 곳으로 돌아가다; (집으로) 돌아가다 | |
ŋurgi | 명3/지·기 | 꽃양하속의 식물(Alpinia caerulea) | |
ŋurrugun | 시 | 아주 짙은 밤, 한밤중[96] | |
ŋuwal | 시 | 갓 어둑해진 무렵[97] | |
ŋuwun1 | 명4 | 이마 | |
ŋuwun2 | 명2/기 | 작은 냇물이 모이는 강 상류 | ↔ŋuwun? |
ŋuymal | 타부/지·마 | 적절히 ...하다, 알맞게 ...하다 |
2.12. r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rada | 명4/마차 | 방향타, 키 | ←영 rudder |
rala | 명4 | jaŋala식 노래를 부를 때 사용하는 두 막대 중 작은 막대 | |
raygi | 명4/차 | 누더기, 넝마 | ←영 rag |
rigin | 명4/차 | 삭구(索具) | ←영 rigging |
rirrarr | 명1 | 류마티즘[98]; 치통 | ←영 rigging |
rubiy | 자동 | 고기를 먹다 | |
rudu1 | 명4 | 뒷목; 목젖 | |
rudu2 | 명4/마 | 자궁; 클라토리스 | |
rugal | 타동 | ...가 가는 것을 지켜보다 | |
ruguju | 명2 | 토레시안황제비둘기(Ducula spilorrhoa)[99] | |
rugulu | 시/기 | 다른 날 | |
rugulmba | 시/기 | 내일 | |
rugun[100] | 명1 | 사춘기 이전의 소년 | |
rulbal | 타동 | 토마호크로 쪼개다 | |
rulgal | 타동 | (주로 시야를 벗어날 때까지) ...가 가는 것을 지켜보다 | |
rulgu1 | 명1/기 | 사춘기 이전의 소년 | |
rulgu2 | 명4 | 심장 | |
ruwa | 형 | 서쪽의 | |
ruygiy | 타동/지·기 | ...를 보면서(찾으면서) 가다; 아래를 보다 |
2.13. w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wabal | 타동 | 올려다보다 | |
wagi | 형/차 | 일하는 | ←영 working |
wagibil | 자동 | 일하다 | ←wagi-bil |
waguli | 명4/지·마 | 피 | waguli-bila: 생리하는 |
wajan | 명4/마 | 영어 | |
walgay | 형/마 | 좋지 않은, 나쁜; 늙은; 아픈; 예감이 나쁜 | |
walŋgarray1 | 자동 | (동사의 결과형) ... 하기를 원하다, 바라다; 고르다 | |
walŋgarray2 | 자동 | (여격) (지르발, 기라마이 방언) ...를 걱정하다; (마무 방언) ...와 사랑에 빠지다 | ←walŋgarray1 |
wanda | 명4 | 소식(消息); 메시지 스틱[101] | |
waŋal | 명1/지·마 | 부메랑 | |
wara | 명3/지·마 | 그래스트리(Xanthorrhoea johnsonii)[102] | |
waramu | 명?/지·기 | wara의 수액[103] | ←wara |
warja | 명4/지·기 | (코로보리 구역에서 이뤄지는) 논쟁, 언쟁 | |
warja bajal | 관용구/지·기 | 논쟁하다, 언쟁하다 | |
warraymal | 타동/마 | 찾다 | *warray-mal |
warraymbil | 자동/마 | 나타나다 | *warray-mbil |
warrgay | 명4 | 프린지릴리(Thysanotus tuberosus) | |
warrgiñ | 명1/기 | 부메랑 | |
warriy | 자동/마 | 날다 | |
warrmajurru | 형 | 빨리 달리는 | ←warrman+? |
warrman | 형 | (눈에 안 보일 만큼) 쏜살같이 빠른, 쏜살같다 | |
warrŋgarr | 형/지 | 빈; (이불이) 구멍 뚫린 | |
warru | 형/마 | 빈; (이불이) 구멍 뚫린 | |
waymbay | 자동 | 워커바웃[104]을 떠나다; 여행을 떠나다 | |
wayñjil | 자동 | 오르다, 올라가다 | |
wayŋu | 형/마 | 바쁜 | |
wila | 명3/지·기 | guway로 만든 양념 | |
winjidi | 시/마차 | 수요일 | ←영 wednesday |
wiray | 명3/마 | 데이빗슨 플럼(Davidsonia pruriens) | |
wiyinjiji | 시/지·기차 | 수요일 | ←영 wednesday |
wudu | 명4/기 | 코; 콧구멍; → 정점(부리; 뱃머리; 산 정상; 길쭉한 도구의 끝부분; 지나간 흔적) | |
wudu bajiy | 관용구/지·마 | (임신하거나 늙어서) 가슴이 처지다 | |
wugal | 타동 | ([105]) 주다; 팔다 | |
wulay | 자동 | 사라지다; 잊히다 | gayga-ŋga(눈에서)와 자주 쓰임. |
wulŋgur | 형 | (물, 체온, 공기 등이) 따뜻한 | |
wuluñu | 시/마 | 여명 직전의 이른 아침 | |
wirrañ | 명4/기 | 피 | |
wugayirriy | 자동 | 포기하다 | ←wuga(l)-yirri |
wujiy | 자동/지·마 | 자라다 | → wuji-mal(기르다) |
wuju | 명3 | 과일이나 채소, 또는 그것이 나는 식물 | |
wumbu | 명4/마 | 머리 | |
wumbul | 명4/지·기 | biru를 제외한 나머지 새들의 새똥 | |
wundu | 명4 | 음경 | |
wundu W julbirriy | 관용구/기 | (남성) W ...가 자위하다 | |
wundu W julbiyirríy | 관용구/지 | (남성) W ...가 자위하다 | |
wundu W girrarriy | 관용구/마 | (남성) W ...가 자위하다 | |
wuŋgay | 명3/차 | 위스키 | ←영 whiskey |
wuray | 명3/지·기 | 데이빗슨 플럼(Davidsonia pruriens) | |
wurrabuway | 타동 | ...에게 거짓말하다 | |
wurrbay | 자동 | 이야기하다, 대화하다, 말하다 | |
wurrmburr | 명4 | (총칭) 뼈; (생선의) 가시 | |
wuygi | 형/지·기 | 좋지 않은, 나쁜; 늙은; 아픈; 예감이 나쁜 | |
wuygina | 형 | (wuygi보다도) 매우 나쁜 | |
wuyirriy[106] | 자동/기 | 자라다 | |
wuyulu | 시 | (주로 jubula나 bara의) 야생 과일이 잘 익은 무렵 | |
wuwawuwa[107] | 명4/지·기 | 누군가의 죽음을 알리는 소식, 비보 |
2.14. y
단어 | 부류 | 뜻 | 비고 |
yabala | 명4 | 평지 | |
yabu^1^ | 감/기 | 에끼, 세상에, 맙소사, 무서워 | |
yabu^2^ | 명4 | 큰창자, 대장 | |
yabulga | 명2 | 별; 저녁에 떠있는 별(마무 방언) | |
yabu | 명2 | 어머니; 어머니의 여동생 | |
yabundi | 명2 | (친밀하게) 엄마; 어머니의 여동생 | ←yabu-ndi |
yaburri | 감/지·마 | 에끼, 세상에, 맙소사, 무서워 | ←yabu? |
yadar | 명1 | 노랑가오리(Trygonoptera testacea) | |
yagal | 명4 | 판다누스 | |
yagay | 감 | (결정적인 행동이나 사건에 수반되는 감탄) 이거야; 세상에 | |
yagi | 형 | 부서진, 쪼개진, 찢어진 | |
yagin | 명4 | 관자놀이 | |
yaja | 불 | ||
yalabal | 잘타부/지 ~ 타부/마 | 타동성 직시 부사 | |
yalabay | 잘자부/지 ~ 자부/마 | 자동성 직시 부사 | |
yalamal | 타부/지 ~ 잘타부/마 | 타동성 직시 부사 | |
yalamay | 자부/지 ~ 잘자부/마 | 자동성 직시 부사 | |
yalgay | 명4 | 길, 자국 | |
yalibin | 잘자동 | 오다 | |
yalŋgay | 명1 | (주로 결혼적령기의) 남자 | |
yalŋgayngan | 명2 | (주로 결혼적령기의) 여자 | |
yama | 불 | ||
yamani | 명1/지·마 | 무지개 | |
yamba | 불 | ||
yambi | 명3/지·기 | 도금양과의 나무(Gossia myrsinocarpa)[108] | |
yambil | 자동/지·기 ~ 잘자동/마 | 날다 | |
yanda | 불 | ||
yanu(l) | 자동 | (저기로) 가다 | |
yaŋal | 타동 | 둘러보다; (좋은 샘이나 둘로 갈라진 막대[109], 물고기 등 ...을) 찾다; | |
yaŋgal | 명1 | 장문볼락(Sebastes alutus) | |
yaŋgu(n)bayjigu | 시 | 다음주 | |
yara[110] | 명1 | 남자 | |
yarra | 명1 | 낚싯줄 | |
yarrgan | 형/지·기 | 기억하는, 잊어먹지 않는; 믿을 만한 | |
yarin | 형 | (여자가) 호리호리한, 가녀린, 홀쭉한 | |
yawam | 명3/지·기차 | 자주색참마(Disoscorea alata) | ←영 yam |
yibay | 잘명2 | 불 | |
yibi | 명2/마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여자 | |
yibirray1 | 명4/마 | 꿈 | |
yibirray2 | 타동 | 꿈꾸다 | |
yidir | 명4 | 풀 | |
yiga1 | 명4/지·기 | warrgay로 만든 꿀을 빨아들여 저장하는 재료 | |
yiga2 | 명4 | 동물을 nigirri에 구울 때 동물 속에 채워넣는 재료[111][112] | |
yigam | 잘형/마 | 무서운, 두려운, 겁먹은 | |
yigarra | 명2 | 민물 가재 | |
yijil | 타동/지·마 | (gubi가) 치료하다[113]; (구부러진 것) ...을 펴다 | |
yilgal | 자동 | 거의 도착하다, 거의 다다르다 | |
yilgil | 잘형/마 | 부서진, 쪼개진; 찢어진 | |
yilwul | 잘타동 | 당기다; 꺼내다 | |
yimalimal | 명2 | 환영제비(Hirundo neoxena) | |
yimba | 감/지·마 | 아니; 신경 쓰지마; 그만해 | |
yiñja | 시 | 아직 | |
yiŋarri | 명4/마·기 | 굴, 구멍; 동굴 | |
yiŋgar | 명4 | 주둥이가 원뿔 모양인 긴 바구니 | |
yiŋgurray | 잘타동/지·마 | 꿈꾸다 | |
yirrgal | 형/지·기 | 화난, 성난, 자극받은 | bundin yirrgal: 괴롭히다 |
yirrginjara | 명2/기 | (일반적인) 별 | |
yirrguñjiy | 잘자동 | 웃다 | |
yirriñjila | 명1/지 | 잠자리 | |
yubal | 타동 | 내려놓다 | |
yugaba | 명1 | 안테키누스속 작은 갈색 쥐(Antechinus sp.) | |
yugam | 명4 | 딸꾹질 | |
yugarray | 자동/기 | 수영하다, 헤엄치다 | |
yugarri | 명4/마·기 | 속이 빈 나무 | |
yugiyam | 명2/지·기 | 반딧불이 | |
yugu1 | 명2/기 | 불 | |
yugu2 | 명4 | 나무, 목재; 막대 | |
yugubarra | 명1 | 정신, 영혼 | |
yugur | 명1/마 | 큰입선농어(Lates calcarifer) | |
yulgarra | 형 | 기울어진, 기댄 | |
yulman | 명1/지·마 | 우메라[114] | |
yulmiy | 잘타동 | (주로 고기나 야채 등) ...을 먹다 | |
yulŋiy | 잘자동/마 | 춤추다 | |
yululumbal | 타동 | 어르다, 부둥키다 | |
yumal | 명4 | 몸 | |
yunba | 명2 | 물비단뱀(Liasis fuscus) | |
yuŋarray | 자동/지 | 수영하다, 헤엄치다 | |
yuŋga | 잘명1/지 | 캥거루, 왈라비 | |
yuŋgugan | 형 | 다른 하나의 | |
yuŋgul | 형 | 한, 하나의 | |
yural | 타동 | (창문 등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으로 넘기다 | |
yurrmayurrmay | 자동/지·마 | 집에 가까워지다 | |
yurrmu | 불 | ||
yuray | 형 | 조용한 | |
yuri | 명1 | 동부회색캥거루(Macropus giganteus) | |
yuwurr | 불 | ||
yuwuy | 감 | 그렇지; 역시 |
[1] 코로보리에서 남자들이 준비를 마치고 춤 추러 나오라는 것을 신호함.[2]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bába hm̩ː …\]"[3] 이 무렵부터 가슴이 처진다고 한다.[4] 인육을 낚싯줄에 비빔으로써 '마법적인' 속성을 부여한다. 이 banjarri를 가지기 위해 사람들은 서로 싸우고 죽이기도 한다.[5] 이런 총칭적인 어휘가 존재하는 것은 거북이 죽어서 물밖으로 건져지기 전까지는 종을 알기 힘들기 때문임.[6] 복수형: barrŋanmi[7] 1. (절대격) ...한테 노래하다; 2. (절대격) ... 장르로 노래하다; 3. (절대격) ...을 주제로 (처격) ... 장르로 노래하다[8] jarrgal나 gubar로 만든다.[9] 1. (절대격) ...한테 노래하다; 2. (절대격) ... 장르로 노래하다; 3. (절대격) ...을 주제로 (처격) ... 장르로 노래하다[10] 1. (절대격) ...한테 노래하다; 2. (절대격) ... 장르로 노래하다; 3. (절대격) ...을 주제로 (처격) ... 장르로 노래하다[11] 노랗고 신 열매를 맺으며, 어린이나 jarrugan이 먹는다. 줄기는 ñalma1를 만드는 데에 쓴다.[12]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쉰 목소리로 "gá gá gá …"[13] jugan을 만들거나, 어린이들이 서로를 찌르고 장난칠 때 사용한다.[14]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bú bú bú bú …"[15] 코로보리에서 남자들이 춤을 출 때 박자를 맞추어준다.[16] 복수형: bulgangay[17] 이 무렵부터 가슴이 처진다고 한다.[18] 코로보리에서 남자들이 춤을 출 때 박자를 맞추어준다.[19] buŋun1과는 무관함.[20] 잎은 접시나 지붕의 재료으로 쓴다.[21] 1. (절대격) ...에게 (여격) ...을 말하다; 2. (절대격) ...을 (여격) ...에게 말하다[22] 씨나 열매, 잎은 먹을 수 있다.[23] 퀸즐랜드주의 측량 감독관(Surveyor General of Queensland) 윌리엄 올콕 툴리(William Alcock Tully, 1830~1905)의 이름을 따 지어진 마을 이름[24] 호주 원주민들이 자주 먹던 빵으로, 호주의 대법원장이자 시인이었던 배런 필드(Barron Field, 1786~1846)가 남긴 회고록에 랭커셔 방언으로 그 빵에 대해 "... something that damps the appetite(식욕을 떨구는 것) ..."이라고 표현한 것에서 유래했다.[25] darral jaŋgay : (예를 들면 맛없거나 텁텁하다든지 한) 나쁜 것을 먹다[26]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dílbi dílbi dílbi …"[27] 생리를 할 무렵이며, 성관계를 할 만큼 충분히 나이 들었다고 여긴다.[28] 응아잔 방언에서의 심장. 그 외 방언에서는 rulgu로 나타남.[29] 제2 부류에 속한 새들을 주로 칭하며, 주로 무슨 새인지 알아보기 힘들거나 여러 새들을 아울러 부를 때 사용한다.[30] rirrarr를 치료하기 위해 피부에 바르거나, '속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먹었다.[31] 생리를 할 무렵이며, 성관계를 할 만큼 충분히 나이 들었다고 여긴다.[32] 생리를 할 무렵이며, 성관계를 할 만큼 충분히 나이 들었다고 여긴다.[33] 하지만 주로 사춘기 전을 지칭함.[34] 복수형: gajiyami[35] 생리를 할 무렵이며, 성관계를 할 만큼 충분히 나이 들었다고 여긴다.[36] murra를 앞에 붙이면 더 강조할 수 있다.[37] murra를 앞에 붙이면 더 강조할 수 있다.[38]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kwa kwa kwa …\]"[39] 붉은 색의 가시가 애벌레의 몸에 촘촘하게 있는데, 그 모양새와 찔렸을 때의 따가움에서 비유된 것임.[40] 말그대로 '눈(目)이 되게 만들려고'를 뜻하는데, 이는 damba를 만드는 과정에서 비유된 것이다. 밀가루를 두껍게 펼쳐 놓고 홈을 판 뒤 물을 부어 놓고(이 모습이 눈과 비슷하다) 반죽한다.[41]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õː õː …\]"[42] gubi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피를 마셔야만 한다.[43] 이 나무의 고갱이를 떼어내서 껍질을 벗기면 바로 먹을 수 있지만, 대개는 잘라 목탄에 올려 구워 먹는다. 잎은 mija의 지붕을 이는 데에 썼으며, 줄기는 주름을 잡고 끝을 묶어 물이나 꿀을 나를 때 유용하게 사용했다.[44] 주로 자신의 곁땀을 환자의 환부에 문질러 치료한다.[45]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kwa kwa kwa …\]"[46] 이 두 나무는 단단한 묘목을 가져서 창촉이나 jarin을 만들 때에 쓰인다.[47]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gi …"[48]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gururr gururr gururr …"[49]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ŋana ŋana ŋana …"[50]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한 마디마다 높았다가 낮아지는 것을 반복하며 "guri guri guri …"[51]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한 마디마다 높았다가 낮아지는 것을 반복하며 "guri guri guri …"[52] 기라마이 방언에서 'guwu1'에 대응되는 'wudu'를 쓰지 않는 것이 인상적이다.[53]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쉰 목소리로 "gá gá gá …"[54] 이 나무의 고갱이를 떼어내서 껍질을 벗기면 먹을 수 있다.[55] 복수형: jagiŋgay[56] 마무 방언에서는 wumbu[57] 삼키기까지를 완료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입에 넣고 씹다' 같은 내용만은 지칭할 수 없음.[58] 열매는 주로 새가 먹고, 목재는 창촉이나 부메랑, gugulu를 만들 때에 쓴다.[59]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악어같이' "ŋana ŋana ŋana …"[60] ñuga가 익을 무렵에 알을 낳는다고 한다.[61] 식물로 된 섬유를 짜서 만든, 주로 음식을 나르기 위한 매고 다니는 바구니[62] 나뭇잎을 모두 떼어낸다거나 나무를 다 벤다거나 음식을 다 먹는다든지의 활동[63] 목재가 단단하면서도 잘 휘고 가벼워서 다양한 데에 사용된다. 검이나 창촉, jarin, gugulu, jubu, 낚싯바늘, wilbiñ, 횃불 등등...[64] 세 종류의 별똥별(jigubina, bijibarra, yugubarra) 중 가장 큰 별똥별을 뜻한다.[65] 막대의 발화점 부분은 'guwu(코)'라고 한다.[66] jiman2을 주로 재료로 쓰나, muja도 쓰인다.[67]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jiman1으로서 쓰이고 또한 jugan을 만들 때도 쓴다.[68] 불의 기원에 관한 전설에 따르면 bajinjila가 유일하게 불을 가지고 있었던 '무지개 뱀'에게서 불을 훔쳐 오면서 불을 여러 나무에 쳐댔는데, 이 나무들이 이후 불에 잘 타는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jiman도 그 중 하나이며, 따라서 불과 같이 제2 부류에 속한다.[69] 이파리가 개의 발을 닮았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70]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jírribì jírribì …"[71] jugan을 만들거나, 어린이들이 서로를 찌르고 장난칠 때 사용한다.[72] 일반적으로 gubungara나 jagalŋay, guñju, jarrgala, yambi, daba, jidu로 만든다.[73] 덖고 껍데기를 벗겨서 간 뒤 최소 3시간을 buyal로 물에 불려 놓아야 함.[74] 일반적으로 birran의 줄기로 만들어지지만 jiman으로 만들기도 한다. 또한 가벼운 창을 위해서 muja가 쓰이기도 한다.[75]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투창 시에 사용하는 목제 보조 도구.[76] rirrarr를 치료하기 위해 피부에 바르거나, '속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먹었다.[77] 일주일은 거의 5일만큼 '많기' 때문이다. 이는 넷 이상을 '많다'고 취급하는 지르발어와 그 화자들의 인식과 관련 있을 것이다.[78] Message stick, 인근 부족에게 소식을 전하기 위해 들고 가는 소식이 적힌 나무 조각. 또는 장어의 턱뼈로도 만든다.[79] Message stick, 인근 부족에게 소식을 전하기 위해 들고 가는 소식이 적힌 나무 조각. 또는 장어의 턱뼈로도 만든다.[80] 오두막; 정착지; 야영지, 야영하거나 했던 공간; (하늘, 지하 상관없이) 자연의 어느 공간; 국가; 세상, 세계[81] 말그대로, "B가 A를 알아차리지 못하다"가 재귀문화 된 것이므로, A가 B에 의해서 인지되지 않는 상황을 뜻한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A가 B에 의해 인지되기를 바라면서 기다린다는 의미가 된 것이다.[82] 말그대로, "B가 A를 알아차리지 못하다"가 재귀문화 된 것이므로, A가 B에 의해서 인지되지 않는 상황을 뜻한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A가 B에 의해 인지되기를 바라면서 기다린다는 의미가 된 것이다.[83] bumbil이나 yabulam의 껍질을 꼬아 만든 실로 만든다.[84] 열매는 전통방식으로 nigirri에서 조리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한번에 조금씩만 먹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입을 태워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jiman1이나 jugan을 만들 때 사용한다.[85] 불의 기원에 관한 전설에 따르면 bajinjila가 유일하게 불을 가지고 있었던 '무지개 뱀'에게서 불을 훔쳐 오면서 불을 여러 나무에 쳐댔는데, 이 나무들이 이후 불에 잘 타는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muja도 그 중 하나이다.[86] 목소리의 성별에 따라서 제1~2 명사부류를 받고 파악하지 못한다면 제4 부류를 받는다.[87] 전설에 따르면 이 또한 흉터라고 한다.[88] 복수형: (지르발, 마무 방언) nayinba; (기라마이 방언)nayili[89] 주로 움직이는 동사와 대비되면서 사용된다.[90] 이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ñi ñi ñi …"[91] 노랗고 신 열매를 맺으며, 어린이나 jarrugan이 먹는다. 줄기는 ñalma1를 만드는 데에 쓴다.[92]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bába hm̩ː …\]"[93]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낙담하듯 "wuːː …"[94] 심한 감기에 약효가 있다고 여겨졌는데, 개미한테 직접 물리거나 으꺠서 나온 즙을 재에 섞어 먹는다.[95] 어두움의 정도는 ŋurugun > ŋulmurru > ŋuwal 순이다.[96] 어두움의 정도는 ŋurugun > ŋulmurru > ŋuwal 순이다.[97] 어두움의 정도는 ŋurugun > ŋulmurru > ŋuwal 순이다.[98] 이는 ŋulbuñ이 문 고통이라고 여겨서 노인들은 애초에 물리지 않기 위해 gaba를 몸에 발라두었다.[99] 이들의 울음소리를 묘사하는 의성어는 "[m̩.m̩ː m̩.m̩ː …\]"[100] 복수형: rugunmi[101] Message stick, 인근 부족에게 소식을 전하기 위해 들고 가는 소식이 적힌 나무 조각. 또는 장어의 턱뼈로도 만든다.[102] 이 나무의 고갱이를 떼어내서 껍질을 벗기면 먹을 수 있다.[103] 상처에 바르거나 광택제로 쓰이기도 하나 유독하다.[104]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전통 문화 중 하나로, 먼 오지로 청소년들을 떠돌게 하여 생존하고 돌아오게 하는 의례이다. 이는 일종의 성인식으로, 이를 완수하면 성인의 자격을 받을 수 있다.[105] 제공자는 능격, 제공물은 도구격, 수여자는 주로 소유격을, 또는 절대격이나 여격, 여격형 처격을 받는다.[106] 자주 \[wíːrij\]로 발음된다.[107] 모든 음절에 악센트가 와서 'wúwàwùwà'이다.[108] 우림에 있는 아교목으로, 익었다면 먹을 수 있는 작고 검은 열매를 틔운다.[109] 집을 짓기 위해 사용된다.[110] 복수형이 yararrji로도 나타남.[111] 동물의 장기를 적출해서 이 yiga로 감싼 뒤 다시 몸속에 넣어 굽는다.[112] 이는 warrgay 또는 ŋurgi, burrugun, giyarra의 속껍질, gumul을 마구 비벼서 폭신하게 만든 것이다.[113] 주로 자신의 곁땀을 환자의 환부에 문질러 치료한다.[114]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투창 시에 사용하는 목제 보조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