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대한민국 대통령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5ba6> 명단 | 명단 | |
권한 | 법률안 거부권 | 긴급명령권 | 계엄 선포 | 불소추 특권 | ||
관련 자격 | 국군통수권자 |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 ||
이동수단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헬기 | 대한민국 대통령 의전차량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열차 | ||
기타 |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 청와대 | 대한민국 대통령실 |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대통령실) |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당선인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해외 순방 | 퇴임 후 | 관련 기록 | 인기 순위 | 기념시계 | 각종 분류 | ||
1. 개요
대한민국 대통령의 각종 기록을 정리한 문서.2. 각종 기록
-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이다.
- 제6 공화국 한정, 취임식을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앞마당에서 한 대통령은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로 총 7명이다. 예외적으로 문재인, 이재명은 국회의사당 앞마당이 아닌 로텐더홀에서 취임식을 가졌으며, 타 대통령들에 비해 취임식이 매우 간략하게 치러진 편이다. 그 이유는 문재인과 이재명이 전직 대통령의 파면 직후 당선된 탓에, 궐위로 인한 선거로 당선된 대통령은 인수위 없이 바로 임기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취임식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도 없었던 것도 있고, 혼란스러운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대규모의 축제성 취임식을 개최하는 것은 국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최장기 재임 대통령은 박정희로, 1963년 12월 17일 취임해서 1979년 10월 26일 피살까지 거의 16년 간 집권했다.[1] 2위 장기 임기자는 이승만으로 1948년 7월 24일부터 1960년 4월 27일 사퇴까지 11년 이상 집권했다. 3위 장기임기자는 전두환으로 1980년 8월 27일부터 1988년 2월 24일 퇴임하여 7년 이상 집권했다. 최단기 임기자는 최규하로, 1979년 12월 6일 취임 후 1980년 8월 16일 사퇴하여 8개월 10일간 집권했다. 2위 단기임기자는 윤보선으로 1960년 8월 13일부터 1962년 3월 24일까지 1년 7개월 11일간 집권했다. 3위 단기임기자는 윤석열으로 2022년 5월 10일부터 2025년 4월 4일까지 2년 10개월 26일간 집권했다. 4위 단기임기자는 박근혜로 2013년 2월 25일부터 2017년 3월 10일까지 4년 13일간 집권했다. 나머지 대통령들은 제6공화국 대통령 임기인 5년을 채웠다.
- 공식 취임 당시 기준으로 최연소 대통령은 박정희로, 1963년 취임 당시 46세(1917년생)였다. 최고령 대통령은 김대중으로, 74세(1924년생)였다.[2]
- 사망일 기준으로 최장수 대통령은 윤보선(1990년 92세 사망)이며, 반면 최단명 대통령은 박정희(1979년 61세 사망)이다.[3] 다만 60대에 사망한 박정희와 노무현은 모두 자연사가 아니며, 자연사한 대통령들로만 한정해 보자면 김대중이 만 나이 85세로 가장 단명했다.
- 사망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이승만: 1965년 7월 19일
- 박정희: 1979년 10월 26일
- 윤보선: 1990년 7월 18일
- 최규하: 2006년 10월 22일
- 노무현: 2009년 5월 23일
- 김대중: 2009년 8월 18일
- 김영삼: 2015년 11월 22일
- 노태우: 2021년 10월 26일
- 전두환: 2021년 11월 23일
- 퇴직 과정의 경우 다음과 같다.
- 만기퇴임: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문재인
- 임기 중 사임: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
- 임기 중 파면: 박근혜, 윤석열
- 임기 중 사망: 박정희
- 최초로 시신이 국립묘지 이외 장소에 안장된 대통령은 윤보선이다.
- 대통령 재임시 대통령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
- 개신교: 이승만, 윤보선, 김영삼, 이명박, 이재명
- 천주교: 김대중, 문재인
- 불교: 노태우[6]
- 무종교: 박정희[7], 최규하, 전두환[8], 노무현[9], 박근혜[10], 윤석열[11]
- 정계 입문 전의 출신 직업으로는 사업가&기업인(김대중, 이명박)[12], 법조인(노무현, 문재인, 윤석열, 이재명), 언론인/교육자(이승만), 외교관(최규하, 이승만), 군 장교(박정희, 전두환, 노태우)가 있다. 윤보선[13], 김영삼[14], 박근혜[15]는 사회 진출을 정치로 시작해서 정치로 끝낸 전문 직업 정치인들이다.
- 미혼인 대통령도 박근혜가 유일하며, 나머지는 모두 기혼자이다. 영부인 목록은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문서를 참고할 것.
- 기혼임에도 자식이 없는 대통령은 윤석열이 유일하다.
- 자녀 여부로는 미혼인 박근혜와 기혼임에도 무자녀인 윤석열을 제외한 다른 대통령들은 이승만과 이재명만 유이하게 딸이 전혀 없이 아들만 있으며, 다른 대통령들은 딸과 아들을 1명 이상씩 두었다. 반면 아들 없이 딸만 있는 대통령은 아직도 단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다.
- 대통령 중 자살로 일생을 마친 대통령은 노무현이 유일하다. 더불어 대통령 중 질병이나 노환 외의 사고사 사유로 서거한 대통령은 박정희와 노무현 단 둘 뿐이다. 거기다 60대에 사망한 대통령 역시 박정희와 노무현 단 둘뿐이다. 다만 박정희는 임기 중에 사망했으나, 노무현은 임기 후에 사망한 점이 다른 점이다.
- 대통령 중 재임 이전이나 재임 도중 테러 피해 경험이 있는 인물은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김영삼, 김대중, 박근혜, 이재명이다. 이 중 직접적으로 신체적 상해를 입은 인물은 김대중과 박근혜, 이재명이다.[16]
- 이승만: 1952년 6월 25일,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 박정희: 1974년 8월 15일,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
- 전두환: 1983년 10월 9일,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김영삼: 1969년 6월 20일,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 김대중: 1973년 8월 8일, 김대중 납치 사건
- 박근혜: 2006년 5월 20일, 박근혜 커터칼 피습 사건
- 이재명: 2024년 1월 2일, 이재명 피습 사건
- 대통령 중 북한 또는 적국으로부터 직접적인 암살 시도를 겪은 인물은 박정희, 전두환이 있다.
- 역대 대통령들 중에서 투옥 경험이 있는 대통령은 총 10명이다. 그 중 대통령 취임 전에 투옥되었던 대통령은 이승만[17], 김영삼[18], 김대중[19], 노무현[20], 문재인[21]이 있고, 대통령 퇴임 후에 투옥된 대통령은 전두환, 노태우[22], 이명박[23], 박근혜[24], 윤석열[25]이 있다. 누적 최장 기간 투옥 생활을 한 대통령은 김대중(5년 8개월)이고, 그 뒤로는 이승만(5년 7개월), 이명박 & 박근혜(4년 9개월)[26], 전두환 & 노태우(2년 1개월)[27] 순으로 뒤를 잇는다. 구치소든 교도소든 수감된 적이 전혀 없는 대통령은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이재명 단 넷뿐이다.
- 대통령 재임 도중 북한 또는 외부 세력과 유혈 무력 충돌 또는 전쟁을 겪은 인물은 이승만,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이 있다.[28][29]
- 이승만: 1948년~1949년: 38도선 무력충돌(북한), 1950년~1953년: 한국 전쟁(북한, 중국), 1954년: 독도 대첩(일본)
- 박정희: 1964년: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북한), 1966년~1969년: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북한), 1965년~1973년: 베트남 전쟁(베트남), 1967년: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북한), 1968년: 1.21 사태(북한)-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북한), 1973년: 3.7 완전작전(북한), 1974년: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북한)
- 최규하: 1980년: 3.23 완전작전(북한)
- 전두환: 1983년: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사건(북한), 1984년: 판문점 총격사건(북한)
- 노태우: 1992년: 5.22 완전작전(북한)
- 김영삼: 1995년: 부여 무장간첩 침투사건(북한),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북한), 1997년: 철원 GP 교전(북한)
- 김대중: 1998년: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북한), 1999년: 제1연평해전(북한), 2002년: 제2연평해전(북한)
- 이명박: 2009년: 대청해전(북한), 2010년: 연평도 포격전(북한),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해적)
- 병역 사항은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장교로 복무한 직업군인 출신 대통령은 박정희[30], 전두환[31], 노태우[32]가 있으며, 노무현[33]과 문재인[34]은 대한민국의 병역의무에 따른 일반 사병 출신이다. 김영삼도 병사로 복무한 경험이 있지만, 6.25 전쟁 당시 학도병(육군 정훈병)으로 간 것이므로 엄밀히 따지면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나머지는 전원 군복무를 하지 않았다. 이승만, 윤보선, 김대중, 최규하는 징병제가 아닌 시기에 청년기를 보내서 애초에 해당 사항이 없고, 박근혜는 여성이라 애초에 병역의무가 없었고, 이명박과 윤석열과 이재명은 각각 기관지 확장증, 부동시, 골절 후유증으로 전시근로역 처분을 받았다. 참고로 군복무를 한 경력이 있는 역대 모든 대한민국 대통령 모두 군종은 육군이다.
- 대통령 탄핵 소추를 경험한 대통령은 노무현(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과 박근혜(박근혜 대통령 탄핵), 윤석열(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이 있다. 노무현은 탄핵이 기각되었으며, 박근혜, 윤석열은 탄핵이 인용되어서 공식 파면되었다.
- 정계에 진출해서 대통령이 되기까지 가장 오래 걸린 대통령은 김대중으로, 1954년에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 낙선한 지 43년 후인 1997년 12월 18일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반면 정계에 진출해서 대통령이 되기까지 가장 짧게 걸린 대통령은 전두환으로, 같은 1980년 5월 18일에 정계에 진출해서 고작 3개월 후인 1980년 8월 27일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제6공화국 이후 문민 대통령들 중에는 정계 진출 1년도 안 되어[35] 당선된 윤석열이 가장 짧다.
- 대통령 선거에 출마 경험이 가장 많은 대통령은 5번의 박정희(5-9대 대통령 선거)이고 그 다음은 4번의 이승만(1-4대), 김대중(7대, 13-15대)이다. 단, 박정희의 경우 8대와 9대는 10월 유신으로 인한 통일주체국민회의의 '체육관 선거'였고 이승만의 제4대 대통령 선거는 부통령 부정선거 적발로 인해 무효 처리되었으므로, '정상적인' 선거 출마로 한정하면 김대중이 최다이다. 가장 낙선 경험이 많던 대통령은 김대중(7대, 13-14대). 출마 경험이 가장 적은 상태로 직접 선거로 당선된 대통령은 1번의 윤석열(20대)이다.[36]
- 최규하와 윤보선은 임기 시작부터 임기 종료까지 무소속이었던 유이한 대통령이다.
- 재임 기간 동안 소속 정당이 바뀐 대통령은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3당 합당)의 노태우,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신당 창당 후 합당, 즉 재창당 수준의 개편)의 김대중,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의 노무현이 있다. 이 중 아예 별개의 정당으로 소속 여당을 바꾼[37] 인물은 사실상 노무현이 유일하다. 그 외에는 단순히 임기 중 여당의 명칭이 바뀐 형태이다.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신장 순위는 아래와 같다.
- 1위: 최규하 (182cm)
- 공동 2위: 노태우, 윤석열 (178cm)
- 3위: 이명박 (175cm)
- 4위: 김대중 (173cm)
- 공동 5위: 문재인, 이재명 (172cm)
- 6위: 전두환 (171cm)
- 7위: 이승만 (170cm)
- 8위: 윤보선 (169cm)
- 공동 9위: 김영삼, 노무현 (168cm)
- 10위: 박정희 (164cm)
- 11위: 박근혜 (162cm)
전반적으로 대통령들의 신장이 동시대의 일반인들 평균 신장보다는 큰 것을 알 수 있다. 남성 대통령 중 최단신이라는 박정희조차도 당대의 일반인 평균 정도는 되었으며, 다른 대통령들은 모두 평균 키 이상이다. 이는 미국 같은 외국에서도 해당되는 사항인데, 사람들이 대체로 은연 중에 체격이 큰 사람들을 리더로서 선호하는 심리가 있어서 그렇다고 한다. 일본 총리나 중국 최고지도자들도 대부분 자국민 펑균 키보다 크다.
최규하는 키가 182cm로 대한민국 역대 최장신 대통령이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180cm를 넘는 사람이 대다수인데, 한국 대통령들은 최규하를 제외하고 전원 180cm 이하이다.[38][39] 최규하는 퇴임 후에는 키가 줄었지만, 역대 대통령 회동 영상을 보면 고령임에도 불구, 다른 대통령들을 압살하는 장신의 키를 자랑한다.
박정희는 신장이 164cm로 역대 남성 대통령 중 최단신이었다. 반면 영부인 육영수 여사는 키 170cm로, 당시에 웬만한 여자 배구선수와 견줄 만한 큰 키를 가진 장신이었다. 허나 박정희 본인은 이 신체적 특징을 크게 신경 쓰지 않았는지, 연설이나 모임 때 육영수 여사와 동석하는 자리에서 청와대 직원 중 한 명이 두툼한 방석을 박정희의 의자에 놓자 방석을 곧바로 치워 버렸다고 한다.
노태우는 178cm로 1930년대생 치고는 꽤나 큰 키지만, 노태우의 부친 노병수는 키가 189cm인 엄청난 장신으로 아들보다도 더 크다.
박근혜는 역대 대통령 중 최단신이지만 대체로 여성이 남성보다 키가 작은 것을 고려하면 당시 평균 여성보다 큰 편이었다.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혈액형(ABO식)은 다음과 같다.
- A형: 박정희, 최규하, 김대중
- B형: 전두환,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이재명
- O형: 이승만, 윤보선, 노무현
- AB형: 노태우, 김영삼
- 가장 대통령을 많이 배출한 혈액형은 B형(6명)이며, 가장 적게 배출한 혈액형은 AB형(2명)이다.
- 특기할만한 점 중 하나로, 17대 대통령인 이명박 이래로 5번이나 연속으로 B형인 대통령이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윤석열 - 이재명) 즉, 노무현(O형) 이후 B형이 아닌 대통령이 단 한명도 없다.[40]
- 학력 부분에서는 고졸인 김대중과 노무현과 직업군인 출신으로써 사관학교를 졸업한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를 제외한 나머지들은 전부 대졸이다. 대부분의 대통령들이 소학교 졸업(초졸)이 보편적이던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에 학창시절을 보냈던 걸 감안한다면 학력들이 하나같이 가히 초엘리트 수준이다. 그나마 고졸인 김대중과 노무현도 각각 목포상업고등학교 수석 입학,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사법시험 합격 등으로 준엘리트 대우를 받았다.[41] 고졸 이상을 기본 학력으로 보는 현 청년 세대가 기득권이 될 즈음에는 고졸보다 저학력자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더더욱 희박해질 것이다.
- 역대 대졸 대통령 중 이공계열 학과를 나온 사람은 박근혜가 최초이자 유일하다. 최종 학력이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졸업. 박근혜 외 나머지 학사 이상 학력의 대통령들은 전원 인문계열 학과를 나왔다.
- 개명을 한 대통령은 김대중이 유일하다. 金大仲에서 金大中으로 한자 표기를 바꿨다. 다만 한자 표기만 바꾼 것이고 한글 표기는 그대로이다. 정확한 일자와 사유는 불명이나,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자신의 이름이 사람들의 기억에 잘 남게 하려는 의도[42]로 쉽고 기초적인 한자로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 수도권 출신 대통령은 서울특별시 출신인 윤석열만이 유일하다.[43] 대구를 제외한 나머지 광역시들,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역시 대통령을 아직까지 전혀 배출하지 못했다.
- 가장 동쪽에서 태어난 대통령은 오사카시에서 태어난 이명박이며, 가장 남쪽에서 태어난 대통령 역시 이명박이다.[44] 가장 북쪽에서 태어난 대통령은 황해도 평산군 출신의 이승만, 남한, 즉 대한민국 실효지역으로만 따지면 서울특별시 출신의 윤석열이다. 가장 서쪽에서 태어난 대통령은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도 출신의 김대중이다.
- 역대 대통령 중 경선 탈락자 출신은 김영삼, 박근혜, 이재명 셋 뿐이다. 김영삼은 제7대 대통령 선거 신민당 경선에서, 박근혜는 제17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경선에서, 이재명은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탈락했다.[45]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운전면허증이 없는 대통령은 윤석열이 유일하다. 본인의 부동시가 운전면허 결격 사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윤석열은 영부인 김건희 여사가 차를 태워주거나, 도시철도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타고 출퇴근한다. 이승만부터 이재명까지, 여성인 박근혜를 포함하여 모두 운전면허를 가지고 있었다.[46]
- 역대 대통령들이 구사했던 외국어는 다음과 같다.
- 이승만 - 영어
오랜 미국 유학 생활 덕분에 이승만은 영어가 굉장히 유창하였다.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 중에서 영어를 가장 유창하게 구사했다고 평가받는 인물이며, 심지어 최초의 영한사전을 집필하기까지 하였다. - 윤보선 - 영어, 일본어
일본과 영국에서의 유학 경험 덕분에 일본어와 영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 박정희 - 일본어
- 최규하 - 영어, 일본어
일본 유학 경험 덕에 일본어가 매우 유창했고, 외교관 시절에는 영어도 능통하게 구사했다. - 김영삼 - 일본어
퇴임 이후로도 별다른 통역을 거치지 않고도 일본 언론과 능숙하게 인터뷰를 해낼 정도였다. - 김대중 - 영어, 일본어
일본어는 통역을 거치지 않고도 일본에서 기자회견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유창했으며, 영어도 미국 망명 생활을 거치면서 능숙해져서 미국 의회에서도 통역을 거치지 않고 영어로 연설했다. - 이명박 - 영어
해외에서 사업가로 오래 활동한 덕분에 영어가 유창했다. - 박근혜 -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5개 국어가 구사 가능한 다국어 능력자로, 영어와 프랑스어 실력은 상당히 뛰어난 편이며, 중국어와 스페인어도 유창하진 않으나 기초적인 회화는 가능한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 - 윤석열 - 영어
미 의회에서 영어로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하면서 영어 실력이 공개되었는데, 생각 외로 발음도 굉장히 좋고 전달력과 구사력도 뛰어난 편이라 상당한 화제가 된 적 있다. 2030 엑스포 유치전에서도 직접 영어로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어필한 바 있다.
- 역대 대통령 중 선거에서 2위 후보와 최다 표차로 당선된 대통령은 문재인이다.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과 2위 홍준표 후보와의 표차는 557만 표에 달했다. 반면 가장 적은 표차로 당선된 대통령은 5대 대선 당시의 박정희로, 2위 윤보선과의 표차는 15만 6026표였다.
- 반려동물 유무의 경우 김영삼과 정보가 부족한 윤보선·실세 장면을 제외하면 반려견을 키운 적이 있고, 고양이로는 문재인이 있었다.
- 흡연을 하였던 대통령은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이재명이다. 이 중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은 애연가 수준으로 담배를 엄청나게 많이 피운 골초였다. 윤보선, 김영삼, 김대중, 문재인은 흡연을 하였다가 훗날 금연하였다. 비흡연자는 4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우선 이승만은 스스로 비흡연자라고 밝혔으며,[50] 이명박과 박근혜, 윤석열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으나 흡연하였다는 이야기나 사진이 일절 없는 것으로 보아 비흡연자로 추정된다. 이재명은 식당 내에서 흡연 중인 사진으로 논란이 된 사건을 통해 흡연자임이 드러났다.
- 신체적 장애 유무(신체기능 상실에 따른 후유장애)의 경우 이재명이 최초이다.[51] 김대중은 과거 중앙정보부 고문으로 다리 절뚝임이 있었으나 공식 장애로 등록된 바 없으며, 박근혜는 커터칼 피습 사건으로 인해 신체적 피해를 겪긴 했지만 신체적 장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 해본 경험이 있는 대통령은 이명박과 윤석열, 이재명이 있다. 이명박은 서울시장 시절인 2003년에 스타크래프트 1 경기에 출전해 저그를 주종으로 이용범 선수와 대결을 해봤다. 윤석열과 이재명은 각각 20대 대선, 21대 대선에서 게임 정책 홍보 차원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해봤다. 이재명은 블리츠크랭크를 플레이해봤으며, 윤석열은 자신의 챔피언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브론즈까지 승급해봤다고 밝혔다.
2.1. 징크스
- 6공 선거 맞대결 징크스: 제6공화국의 대통령들의 경우 전원이 다른 대통령들과 선거에서 맞붙은 전적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은 제13대 대통령 선거[52]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은 이후 제14대 대통령 선거[53]에서 1번 더, 노무현과 이명박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 선거구[54]에서, 박근혜와 문재인은 제18대 대통령 선거[55]에서, 윤석열과 이재명은 제20대 대통령 선거[56]에서 맞붙었다.
- 윤씨 대통령 조기 퇴임 징크스: 역대 대통령 중 "윤씨" 성을 가진 대통령들은 자기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퇴임한다. 윤보선이 587일 (1년 7개월 10일)로 취임한 지 얼마 못 가 퇴임했으며 윤석열 역시 1,061일 (2년 10개월 26일)로 3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임했다. 심지어 둘이 합쳐도 1648일(4년 6개월 3일)로 둘이 합쳐 1명 분의 임기조차 못 채웠다. 심지어는 두 명의 윤 대통령이 군사 정변으로 조기퇴임 한것도 똑같다. 윤보선은 자기가 당한 군사정변, 윤석열은 자기가 행한 군사정변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 안경 징크스: 역대 대통령들은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이 당선되는 경우가 많고[57], 직전 대통령의 유고(혁명, 사망, 탄핵 등)로 인해 치러진 선거에서는 안경을 쓴 사람이 당선되었다.[58] 1, 2위 기준 안경을 쓴 후보 vs 안경을 안 쓴 후보의 대결에서는 항상 안경을 안 쓴 후보가 승리하는데, 민주화 이후로만 계산해도 15, 16대 대선에선 각각 안경을 안 쓴 김대중, 노무현 후보가 안경을 쓴 이회창 후보에게 승리하였고, 18대 대선에서도 안경을 안 쓴 박근혜 후보가 안경을 쓴 문재인 후보에게 승리하였으며, 그리고 20대 대선에서 윤석열이 이재명에게 승리하면서 이 징크스가 유지되었다. 다만, 13, 14, 17대 대선처럼 1, 2위 후보 모두 안경을 안 쓰거나 혹은 19대 대선이나 21대 대선처럼 1, 2위 후보 모두 안경을 쓴 경우에는 당연하게도 해당되지 않는다. 정치학계에서는 심리학적 분석과 여론조사를 근거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성향이 평소에는 강력한 리더십을 원하고 이는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에게서 더 두드러진다는 점을 이유로 본다. 반면 직전 대통령의 유고 등 정치 혼란기에는 국민들이 안정을 원하기 때문에 지혜롭고 차분해 보이는 지도자를 원하며, 이는 안경을 쓴 사람에게서 두드러지는 이미지이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59]
- 화재 징크스: 노무현을 시작으로 대통령 취임 직전 우연히 큰 화재 사고가 발생한다는 징크스가 이어지고 있다.
- 2003년 노무현 취임 직전의 대구 지하철 참사
- 2008년 이명박 취임 직전의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숭례문 방화 사건
- 2013년 박근혜 취임 직전의 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
- 2017년 문재인 취임 직전의 강릉-삼척-상주 산불
- 2022년 윤석열 취임 2개월 전의 울진 산불과 강릉 산불
- 2025년 이재명 취임 3개월 전의 전국적인 산불
- 전염병 징크스: 공교롭게도 참여정부 때부터 대통령 임기 기간 동안 범세계적 유행성 전염병이 발생했다는 징크스도 있다. 참여정부 첫 해인 2003년에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60], 이명박 정부 재임 중이던 2009년에는 신종플루,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5년에는 메르스, 문재인 정부 집권 후기에 들어선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발생해 윤석열 정부까지 이어졌다.
- 탄핵소추 징크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부터 3자 구도와 양자 구도가 번갈아 나오면서 3자 구도에서 당선된 대통령은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탄핵심판을 받진 않지만 반대로 양자 구도에서 당선된 대통령은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탄핵심판을 받는 징크스가 있다. 먼저 3자 구도에서 나온 대통령 선거부터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는 노태우 VS 김영삼 VS 김대중, 제14대 대통령 선거 때는 김영삼 VS 김대중 VS 정주영, 제15대 대통령 선거 때는 김대중 VS 이회창 VS 이인제, 제17대 대통령 선거 때는 이명박 VS 정동영 VS 이회창,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는 문재인 VS 홍준표 VS 안철수로 현재까지 이 구도로 3자 대결이 펼쳐졌는데 이때 당선된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문재인은 모두 탄핵심판을 받지 않고 모두 무사히 임기를 마쳤다. 반대로 양자 구도에서 나온 대통령 선거부터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는 노무현 VS 이회창,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는 박근혜 VS 문재인,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는 윤석열 VS 이재명으로 현재까지 이 구도로 양자 대결이 펼쳐졌는데 이때 당선된 노무현, 박근혜, 윤석열은 모두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탄핵심판을 받게 되었다.[61] 참고로 이들은 모두 21세기 이후 끝자리가 2인 해에 당선되었고, 접전승이라는 점도 같다.
2.1.1. 깨진 징크스
- 10년 주기설: 보수정권과 진보정권이 각 10년간 번갈아가며 정권교체를 한다는 징크스.[62] 박근혜가 4년만에 탄핵당하면서 '10년'주기설 자체는 깨졌고, 문재인 정부가 정권 재창출에 실패하면서 정권 교체를 성공한 정권은 정권 재창출에 성공한다는 징크스가 깨졌다. 그것을 깬 윤석열은 5년 임기도 못 채우고 3년 만에 파면당해 정권 교체를 당했기 때문에 사실상 완파된 징크스이다.
- 성씨 징크스: 역대 대통령 중 2명씩은 성이 같은데, 이에 해당하는 경우로는 이승만 - 이명박, 윤보선 - 윤석열, 박정희 - 박근혜, 노태우 - 노무현, 김영삼 - 김대중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징크스에 따르면 앞으로 최씨, 전씨, 문씨 혹은 아예 다른 성씨를 가진 이가 대통령이 될 것이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만약 이재명이 승리했다면 최초로 같은 성을 가진 대통령이 3명이 되는 사례, 또한 가족관계 외의 본관이 중복되는 사례[63]가 발생할 뻔했으나 윤석열이 당선되면서 다음 대통령 선거까지 기다리게 되었다. 다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전체의 10%가 안 되는 성씨들이 전 인구의 3/4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언젠가는 이 징크스가 깨질 가능성이 매우 높았고 실제로 21대 대선의 유력 대권주자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3자는 모두 성씨가 이씨거나 김씨이므로 이중 누가 당선되든 이 징크스는 깨질 예정이었다. 그리고 결국 제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이 당선되면서 이씨에서 대통령 3명이 나오는 것(이승만, 이명박, 이재명)으로 징크스는 깨지게 되었다.
- 경기도지사 징크스: 경기도지사 경력이 있는 대선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한다는 징크스. 과거 이인제, 손학규, 남경필, 김문수를 비롯한 유력 대권 잠룡들이 경선 또는 대선에서 참패의 고비를 마시면서 생긴 징크스였다. 제35대 경기도지사 출신인 이재명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이 징크스는 깨졌다.
- 백의종군 징크스: 대선에서 패배한 대선 후보는 '백의종군'을 선언하며 다음 대선 후보 불출마와 함께 정치적으로 자숙을 하는 것이 불문율이었으나 이재명은 2022년 대선 패배에도 불구하고 진보 지지층으로 부터의 압도적인 지지율과 당권 장악력을 보여주었고 백의종군 없이 불과 3년 만에 재도전하는데 성공하면서 이 징크스는 깨지게 되었다. 대선 패배의 고비에도 계속 재도전 끝에 대통령에 당선되는데 성공한 김대중의 사례도 있긴 하나 '백의종군'이라는 불문율이 존재한 채로 최단기간 내에 재도전에 성공한 사례는 이재명이 최초이다.
2.2. 선거
- 한 선거에서 전직 대통령이나 훗날 대통령이 되는 인물 총합 2명 이상 출마한 선거는 다음과 같다.(볼드체는 해당 선거에서 당선, 이탤릭체는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출마한 후보, 나머지는 이후 선거에서 당선)
- 제5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윤보선(2명)
- 제6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윤보선(2명)
- 제7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김대중(2명)
- 제13대 대통령 선거: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3명)
- 제14대 대통령 선거: 김영삼, 김대중(2명)
- 제18대 대통령 선거: 박근혜, 문재인(2명)
- 제20대 대통령 선거: 윤석열, 이재명(2명)
2.3. 배출 기관
- 대한민국 대통령을 2명 이상 배출한 기관은 아래와 같다.
- 대통령을 3명 이상 배출시킨 정당은 아래와 같다.
2.4. 출신 지역
2.5. 재임 기간 대한민국 국력
대통령 | 경제 개발 수준 | 국력 수준 | 비고 |
이승만 | 최저개발국 | 약소국 | 한국 전쟁 발발 한미동맹 체결 4.19 혁명 이승만 하야 |
윤보선 | 최저개발국 | 약소국 | 5.16 군사정변 윤보선 하야 |
박정희 | 최저개발국 → 개발도상국 | 약소국 → 중견국 | 한일 수교 10월 유신 GDP 500억 달러 돌파 1인당 GDP 1,000 달러, 세계 평균의 절반 돌파 1970년대 부터 북한의 경제력을 추월 박정희 암살 |
최규하 | 개발도상국 | 중견국 | 12.12 군사반란 5.17 내란 5.18 민주화운동 최규하 하야 |
전두환 | 개발도상국 → 신흥공업국 | 중견국 | GDP 1,000억 달러 돌파 1인당 GDP 2,000 달러, 세계 평균 돌파 3저 호황 6월 민주항쟁 |
노태우 | 신흥공업국 | 중견국 | GDP 3,000억 달러 돌파 1인당 GDP 5,000 달러 돌파 1988 서울 올림픽 개최 한소 수교 및 한중 수교 |
김영삼 | 신흥공업국 → 선진국 | 중견국 | GDP 5,000억 달러 돌파 1인당 GDP 10,000 달러, 세계 평균의 2배, 포르투갈 돌파 OECD 가입 세계은행 기준 고소득 국가로 분류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선진국으로 지정 1997년 외환 위기 |
김대중 | 선진국 | 중견국 | 외환 위기 극복 최초의 남북정상회담 개최 |
노무현 | 선진국 | 중견국 → 지역강국[71] | 2004년 탄핵 소추로 인한 직무 정지 GDP 1조 달러 돌파 1인당 GDP 20,000 달러 돌파 2006년 부터 대만의 1인당 GDP를 추월 2007 남북정상회담 개최 |
이명박 | 선진국 | 지역강국 | 2008년 세계 경제 위기 발생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개최 |
박근혜 | 선진국 | 지역강국 | GDP 1조 5,000억 달러 돌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박근혜 파면 |
문재인 | 선진국 | 지역강국[72] | 1인당 GDP 30,000 달러 돌파 2021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설립 57년 만에 대한민국을 List A에서 List B(선진경제권)로 변경 2018 평창 올림픽 개최 최초의 남북미정상회담 개최 코로나-19 팬데믹 |
윤석열 | 선진국 | 지역강국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2024년, 유엔경제사회처(WESP)에서 대한민국의 분류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변경[73] 2024년 부터 일본의 1인당 GDP를 추월 12.3 비상계엄 윤석열 파면 |
이재명 | 선진국 | 지역강국 |
3. 선거 이력
3.1. 이승만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서울 4[74]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무투표 당선 | 당선 (1위) | 초선[75] |
제1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80 (91.84%) | 초선[76] | |||
1952 | 제2대 대통령 선거 | [[자유당(1951년)| 자유당 ]] | 5,238,769 (74.61%) | 재선[77] | ||
1956 | 제3대 대통령 선거 | 5,046,437 (69.98%) | 3선 | |||
1960 | 제4대 대통령 선거 | 9,633,376 (100.00%) | 재선거 결정[78] |
3.2. 윤보선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충남 18[79]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 7,069 (14.2%) | 낙선 (4위)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3[80] | | 9,485 (32.4%) | 당선 (1위) | 초선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1[81] | [[민주당(1955년)| 민주당 ]] | 22,780 (63.2%) | 재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31,924 (81.9%) | 3선[82] | |||
제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208 (79.09%) | [83] | |||
1963 | 제5대 대통령 선거 | | 4,546,614 (45.09%) | 낙선 (2위) | [84]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1,870,976 (20.1%) | 당선 (1번) | 4선[85] | ||
1967 | 제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4,526,541 (40.93%) | 낙선 (2위) |
3.3. 박정희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63 | 제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4,702,640 (46.64%) | 당선 (1위) | 초선[86] |
1967 | 제6대 대통령 선거 | 5,688,666 (51.44%) | 재선 | |||
1971 | 제7대 대통령 선거 | 6,342,828 (53.19%) | 3선 | |||
1972 | 제8대 대통령 선거 | 2,357 (99.92%) | 4선[87] | |||
1978 | 제9대 대통령 선거 | 2,577 (99.85%) | 5선[88] |
3.4. 최규하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9 | 제10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 2,465 (96.29%) | 당선 (1위) | [89] |
3.5. 전두환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0 | 제11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 2,524 (99.37%) | 당선 (1위) | 초선[90] |
1981 | 제12대 대통령 선거 | | 4,745 (90.11%) | 재선[91] |
3.6. 노태우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 7,040,477 (35.2%) | 당선 (3번) | 초선[92] |
1987 | 제13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 8,282,738 (36.64%) | 당선 (1위) | [93] |
3.7. 김영삼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23[94] | [[자유당(1951년)| 자유당 ]] | 20,770 (44.77%) | 당선 (1위) | 초선[95]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2[96] | [[민주당(1955년)| 민주당 ]] | 18,862 (42.98%) | 낙선 (2위)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29,754 (66.87%) | 당선 (1위) | 재선[97]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3[98] | | 39,946 (41.65%) | 3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61,957 (59.23%) | 4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74,589 (63.17%) | 5선[99]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2[100] | 83,661 (40.39%) | 6선[101]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137,826 (53.77%) | 7선[102] | |||
1987 | 제13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6,337,581 (28.03%) | 낙선 (2위)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서 | 72,599 (66.48%) | 당선 (1위) | 8선[103]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7,923,718 (38.49%) | 당선 (1번) | 9선[104] |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9,977,332 (41.96%) | 당선 (1위) | [105] |
3.8. 김대중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2[106] | | 3,391 (9.98%) | 낙선 (공동 3위) | |
1959 | 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 강원 15[107] | [[민주당(1955년)| 민주당 ]] | 8,483 (28.13%) | 낙선 (2위) | [108]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6,538 (30.98%) | ||||
1961 | 5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 7,698 (36.50%) | 당선 (1위) | 초선[109]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3[110] | | 22,513 (56.10%) | 재선[111]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9,279 (56.28%) | 3선 | ||
1971 |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5,395,900 (45.25%) | 낙선 (2위) |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4,969,050 (44.28%) | 당선 (2번) | 4선[112] | ||
1987 | 제13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 ]] | 6,113,375 (27.04%) | 낙선 (3위)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3,783,279 (19.26%) | 당선 (11번) | 5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6,004,578 (29.17%) | 당선 (1번) | 6선[113] | |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8,041,284 (33.82%) | 낙선 (2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4,971,961 (25.30%) | 낙선 (14번) | [114] |
1997 | 제1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0,326,275 (40.27%) | 당선 (1위) | [115] |
3.9. 노무현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동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53,075 (51.00%) | 당선 (1위) | 초선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30,397 (32.25%) | 낙선 (2위)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부산광역시장 | 647,297 (37.58%)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 | | 17,330 (17.66%) | 낙선 (3위) | |
1998 | 7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26,251 (54.44%) | 당선 (1위) | 재선[116]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북·강서 을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27,136 (35.69%) | 낙선 (2위) | |
2002 | 제1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2,014,277 (48.91%) | 당선 (1위) | [117] |
3.10. 이명박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7,923,718 (38.5%) | 당선 (25번) | 초선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종로 | | 40,230 (41.01%) | 당선 (1위) | 재선[118]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장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1,819,057 (52.28%) | 초선 | |
2007 | 제1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11,492,389 (48.67%) | [119] |
3.11. 박근혜
<rowcolor=#ffc22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8 | 4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 대구 달성군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34,271 (62.50%) | 당선 (1위) | 초선[120]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37,805 (61.39%) | 재선[121]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5,298 (70.03%) | 3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50,149 (88.57%) | 4선[122]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 9,130,651 (42.80%) | 당선 (11번) | 5선[123] |
제18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5,773,128 (51.55%) | 당선 (1위) | [124] |
3.12. 문재인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사상 |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 65,336 (55.04%) | 당선 (1위) | 초선 |
제18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4,692,632 (48.02%) | 낙선 (2위) | [125] | ||
2017 | 제19대 대통령 선거 | | 13,423,800 (41.08%) | 당선 (1위) | [126][127] |
3.13. 윤석열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2 | 제20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 16,394,815 (48.56%) | 당선 (1위) | [128] |
3.14. 이재명
<rowcolor=#ffc224,#ffc22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성남시장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78,059 (23.75%) | 낙선 (2위)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성남 분당 갑 |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 23,822 (33.23%) | [129]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성남시장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201,047 (51.16%) | 당선 (1위) | 초선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239,685 (55.05%) | 재선[130]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지사 | | 3,370,621 (56.40%) | 초선[131] | |
2022 | 제20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6,147,738 (47.83%) | 낙선 (2위) | [132] | |
6월 보궐선거 (국회의원) | 인천 계양구 을 | 44,289 (55.24%) | 당선 (1위) | 초선[133]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48,365 (54.12%) | 재선[134] | ||
2025 | 제21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7,287,513 (49.42%) | [135] |
[1] 1961년부터 2년 동안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장 및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기에, 사실상 18년을 통치한 셈이다.[2] 다만 퇴임했을 때는 이승만이 하야했을 당시 85세로 퇴임 당시 최고령이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3년 2월 24일에 퇴임할 때 나이가 79세였다.[3] 다만 평균 수명 대비로는 노무현이 가장 단명했다. 박정희는 그 당시 평균 수명보다 오래 살았다.[4] 그 이유는 노무현을 제외하면 동년배들인 전두환, 노태우부터 김대중까지는 나이가 점점 많아졌기 때문이다. 출생 년도는 노무현을 제외하면 김대중(1924년), 김영삼(1927년), 전두환(1931년), 노태우(1932년) 순이다.[5] 노무현의 배우자 권양숙은 제외.[6] 퇴임 후 가톨릭으로 개종.[7] 어렸을 적엔 집안의 영향으로 독실한 크리스천이었으나, 어른이 되자마자 신앙을 포기했다. 이 부분은 동시대 그의 라이벌이었던 북한의 김일성과 동일한 부분. 다만 그와 별개로 아내 육영수가 독실한 불교 신자라서 그런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친불교적 행보를 강하게 보였다.[8] 퇴임 이후 그의 불교적 행보 때문에 대통령기록관에서도 그를 불자라고 표기하지만, 공식적으로 그는 법명도 받지 않은 무종교인이다. 다만 별개로 장례 절차는 불교식으로 진행되었다.[9] 그와 별개로 불교적 활동을 많이 했으며, 천주교로부터 세례를 받기도 했다.[10] 노무현과 마찬가지로 천주교 세례와 불교 법명을 받은 적은 있다.[11] 천주교, 개신교, 불교 생활을 전부 경험해봤지만 본인은 무종교라고 밝혔다.[12] 김대중은 목포시에서 해운회사와 '목포일보'라는 신문사를 경영하였고, 이명박은 평사원으로 시작해서 현대건설 사장이 되었다.[13]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일한 전력이 있으며, 임정을 떠나 영국 유학을 다녀온 뒤에 칩거했다. 당시는 일제강점기라 일본의 협력 요구를 거절했고, 해방 후에 바로 정계에 투신했다.[14]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장택상의 비서로 활동했다.[15]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후 1974년 ~ 1979년까지는 청와대에서 모친 육영수 여사의 빈자리를 대신해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했다.[16] 이명박은 퇴임 이후인 2019년 3월 13일, 쥐약 테러 미수사건을 겪었다.[17] 1899년에 고종 황제 폐위 음모에 연루되어 한성감옥에 투옥되어 5년 7개월간 투옥 생활을 했다.[18]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이 군정 연장을 발표하자 반대 시위를 벌이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바 있다. 수감 기간은 단 22일.[19]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1976년 3월 8일부터 1978년 12월 27일까지, 내란음모죄로 1980년 5월 17일부터 1982년 12월 23일까지, 누적 5년 8개월 간이나 수감 생활을 했다.[20] 노동쟁의조정법상 3자개입 위반 혐의로 잠깐 구치소에 수감된 적 있다.[21] 박정희 유신 독재에 항거하다가 1975년 서대문구치소에 잠깐 수감된 적 있다.[22]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23]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사건[24]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 사건[25]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26] 둘의 수감 기간은 거의 비슷하다.[27] 둘의 수감 기간은 거의 비슷하다.[28] 그 외에도 노태우는 걸프전에 병력을 파병했고, 노무현은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지만 파병부대는 비전투 임무에 종사했으며 직접적인 교전은 겪지 않았다. 2010년에 발생한 천안함 피격 사건의 경우 상호 무력충돌이 아닌 북한의 일방적 기습 공격이었다.[29] 박근혜의 경우 재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유혈 무력 충돌의 위기를 겪었으나(서해 NLL 포격 및 교전,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서부전선 포격 사건) 다행이 아군의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30] 1944년 만주군 장교 임관, 1945년 만주군 해체로 중위 전역. 1946년 대한민국 육군 장교 임관, 1963년 대장 전역.[31]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장교 임관, 1980년 대장 전역.[32]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장교 임관, 1981년 대장 전역.[33] 육군 상등병 만기전역. 만기전역인데도 상병인 이유는 그 당시에 병장 계급은 분대장이나 월남 파병간 병사들만 달 수 있었기 때문이다.[34] 육군 병장 만기전역.[35] 2021년 6월 29일 대선 출마 선언(다만 당시 본인은 정치 참여 선언일 뿐이라고 변명했다.), 2021년 7월 30일 국민의힘 입당. 선언 기준으로는 8개월, 입당 기준으로는 7개월밖에 안 됐다.[36] 심지어 윤석열은 이게 대선 뿐만 아니라 전체 선출직에 처음으로 나가서 처음으로 당선된 경력이다. 대통령 당선 이전에는 선출직 출마 경력조차 아예 없었다.[37] 이것 때문에 노무현은 탄핵 소추를 당하게 된다.[38]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년) 이후에 재임한 미국 대통령들 중에서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지미 카터 제외하고는 모두 180cm를 넘기 때문에(그나마 이들도 170cm는 넘어서 단신은 아니다.), 한미정상회담을 할 때면 항상 미국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보다 더 컸다. 최규하 재임 시절에 미국 대통령은 최규하와 키가 비슷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었는데, 최규하는 윤보선과 더불어 한미정상회담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는 대통령이기 때문이다.[39] 다만 미국 대통령 평균키가 유독 크긴하다. 영프독 총리, 대통령의 평균키는 미국보다 작다.[40] 특히 A형 대통령은 김대중 이후 단 한명도 없다.[41] 대선 후보들로까지 확장해 보면 초졸이 은근 많다. 정주영, 백기완 등. 이재명은 초졸 후 소년공으로 근무하다가 중·고등학교 검정고시를 패스하고 학사를 취득했다.[42] 당시에는 한자 표기가 만연했기 때문이다.[43] 다만 박근혜는 출생지 자체는 대구광역시이지만 성장기 대부분은 부친의 직업이 직업이었는지라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를 오가며 자랐다. 충청도 억양이 섞인 서울말을 구사하는데, 이는 충청북도 옥천군 출신인 모친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정치적 기반만큼은 대구이며, 사면 이후 현재 거주지도 대구다.[44] 대한민국 영토로만 따지면 가장 동쪽에서 태어난 대통령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출신의 노무현이지만, 그래봤자 경도를 따지면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출신의 김영삼과 얼마 차이가 안 난다.[45] 김영삼과 박근혜는 경선 2위를 기록했지만, 이재명은 경선 3위를 기록했다.[46] 이승만 전 대통령은 미국 생활 시절 자가용을 소유했고, 손수 운전을 자주 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러나 역대 대통령들이 살아왔던 시대와 대통령 이전 가졌던 직업의 특성상 실제 운전을 해 본 횟수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현재는 생존해 있는 전직 대통령들도 상당수가 나이 문제로 면허증을 반납했을 가능성도 높고, 더불어서 현재는 고인이 된 전직 대통령들도 사망 시점에서는 이미 나이를 사유로 면허증을 반납했을 가능성이 높다.[47] 윤석열 대통령은 현재까지 유일하게 자신의 부모 모두 당선과 재임기를 생전에 보았고 부친 윤기중은 윤 대통령이 취임하고 1년 반 뒤에 사망하였다.[48] 나머지 대통령들은 모두 자신이 당선되기 전에 부모가 모두 사망하였다.[49] 윤보선, 최규하, 김영삼 대통령의 부모는 자녀가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는 것도 생전에 보았고, 윤석열 대통령의 부모는 자녀가 대통령 임기 중 파면되는 것을 보았다.[50] 또한 술도 마시지 않았다.[51] 사유는 산업재해. 왼쪽 팔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장애.[52] 노태우 당선.[53] 김영삼 당선.[54] 이명박 당선.[55] 박근혜 당선.[56] 윤석열 당선.[57]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다만 전두환과 이명박도 임기 중반부터는 안경을 쓰기 시작했다.[58] 윤보선(장면), 최규하, 문재인, 이재명.[59] 이오름 (2021)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의 안경 착용 여부와 심리 분석 및 여론조사로 살펴본 리더십상 평가.[60] 다만 질병 자체는 김대중 대통령 임기 당시이던 2002년 가을쯤에 처음 발견되었고, 전세계적으로 확산하여 한국에 유입된 때가 2003년이다. 게다가 다른 전염병들과 달리 한국에서는 초기 방역에 일찌감치 성공하여 사망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61] 노무현은 특정 정당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나서 국회는 그가 '정치중립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탄핵소추안을 발의·통과시켰지만 탄핵심판에서 기각이 되었고, 박근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영향으로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탄핵 심판에서 탄핵이 되었고, 윤석열은 12.3 비상계엄의 영향으로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탄핵 심판에서 탄핵되었다.[62] 사실 대통령을 같은 당에서 2번 연달아 한다는 의미지만 3번의 당내 정권 연장들도 아주 동일한 세력이 정권을 연장한 것은 아니다. 노태우-김영삼은 오래된 정적이 합당을 해서 같은 당 소속이 되었던 것에 가깝고 김대중-노무현은 개인끼리의 유대감에도 불구하고 동교동계와 친노 사이는 분당을 할 정도로 나빴으며 이명박-박근혜는 대선 경선 토론에서 서로에게 총공세를 퍼부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유명한 정적이였다. 애시당초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전임 대통령의 직계 후계자가 대선 경선에서 승리해 후보가 된 일이 몇번 밖에 없다. 끽해야 전두환-노태우, 윤석열-김문수 정도?[63] 이명박과 이재명 둘 다 경주 이씨이다.[64] 국군기무사령부 및 현재의 국군방첩사령부의 전신.[65] 대통령직을 마친 후 신민당 창당에 함께 했다.[총재] [총재] [총재] [총재] [총재] [71] 사실 실질적 지역강국 수준 진입은 노태우 정부 시기이나 노무현 이전까지는 바다 건너 일본의 위상이 너무 커서 지역강국 취급받지도 못했다. 오늘날로 치면 캐나다, 2010년대 이후 스페인과 비슷한 케이스.[72] 문재인 때 실질 국력 면에서는 강대국 말단 수준이 되었다는 말이 있지만 동아시아 특유의 지정학적 한계도 그렇고 현재는 한국보다 약한 브라질처럼 강대국의 최소라 불리는 이탈리아의 GDP를 추월한 적도 없기에 아직까지는 지역강국으로 분류된다.[73] 참고로 WESP의 분류는 매우 보수적이라 대만과 이스라엘, 싱가포르 까지도 여전히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할 수 있다.[74] 서울 동대문 갑[75] 1948.7.20. 사퇴. (초대 대통령 당선)[76] 제헌 국회에서의 간접 선거.[77] 역대 직선제 대선 당선자 중 최고 득표율.
역대 직선제 대선 당선자 중 2위와 최고 득표율 차 당선. (63.26%)[78] 사유: 당선인의 자진 사퇴.[79] 충남 아산[80] 서울 종로 갑[81] 서울 종로 갑[82] 1960.8.12. 사퇴.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83] 의원 내각제 의회에서의 간접 선거.
1962.3.24. 대통령 하야.[84] 역대 직선제 대선 중 1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85] 1965.8.5.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86] 역대 직선제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87]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88]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1979년 10월 26일 피살.[89]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선거.
1980.8.16. 대통령 사임.[90]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91] 대통령 선거인단제 간접 선거.[92] 1987.12.20. 사퇴. (제13대 대통령 당선)[93] 역대 대선(직접 선거, 간선 모두) 당선인 중 최저 득표율.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 (3당 합당)[94] 경남 통영 을[95]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만 26세 5개월)
1955년 자유당 탈당, 민주당 입당. (사사오입 개헌 반대)[96] 경남 부산 서 갑[97]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98] 부산 서[99] 1972.10.17. 자격박탈. (10월 유신)[100] 부산 서·동[101]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102]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
1979.10.4. 제명. (김영삼 제명 파동)[103]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 (3당 합당)[104] 최다 국회의원 당선. (9선)
1992.10.13. 의원직 사퇴. (14대 대선 출마)[105] 1997.11.7. 신한국당 탈당.[106] 전남 목포시[107] 강원 인제군[108] 전임자 나상근 당선 무효.[109] 전임자 전형산 반민주행위자 공민법 제한법(자유당 독재 부역)으로 자격 상실.
5.16 군사정변으로 자격정지. 당선 통보 후 실제 임기는 약 12시간이었다.[110] 전남 목포시[111] 1965년 민중당으로 신설 합당.[112] 1972.10.17. 자격 박탈. (10월 유신)[113] 1992.12.19. 사퇴. (대선 패배 후 정계 은퇴 선언)[114] 딱 13번까지가 당선권이었다. 이듬해에 대선에서 맞붙은 이회창은 신한국당 전국구 1번으로 당선되었다.[115] 자유민주연합과 선거연대. (DJP연합)
2002.5.6 탈당.[116] 전임자 이명박 사퇴 (불법 선거 운동)[117] 2003.9.29.
[[새천년민주당|
2004.5.20.
[[열린우리당|
2007.2.28.
[[열린우리당|
2002.5.17. 한국미래연합 창당.
2002.11.19. 한나라당과 합당.[122] 해당 선거 지역구 득표율 전국 2위.(1위는 88.73%의 박주선).[123] 2012.11.25.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의원직 사퇴.[124] 직선제 개헌 이후 역대 대통령 선거 당선인 중 최고 득표율.
2017.3.10. 파면.[125] 역대 대선 낙선자 중 최고 득표율.
역대 대선 낙선자 중 득표수 2위.[126] 전임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인한 궐위로 인한 선거.
역대 대선 당선인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다 격차. (557만 951표)[127] 대한민국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이명박에 이어 임기 내내 당적을 유지한 두 번째 대통령.[128] 역대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율 최저 격차. (0.73%)
국민의당의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
2025.4.4 파면.[129] 당초 중원구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조성준 전 의원에 밀려서 공천 탈락하고, 거주지였던 수내동이 속했던 분당구 갑에 전략 공천을 받았다. # 현재 수내동의 소속 선거구는 성남시 분당구 을이다.[130] 2018.3.15. 경기도지사 출마로 사퇴.[131] 역대 경기도지사 선거 최다 득표.
2021년 10월 25일 사퇴.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132] 역대 대통령 선거 최다 득표 3위.
역대 대통령 선거 낙선자 중 최다 득표.
역대 대통령 선거 낙선자 중 1위 후보와 최저 득표율 차인 0.73% 차로 낙선.
새로운물결의 김동연 후보와 단일화.[133] 전임자 송영길 사퇴. (서울특별시장 출마)[134] 2025년 6월 4일,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자동 퇴직.[135] 전임자 윤석열의 탄핵 인용으로 인한 파면에 따른 궐위로 인한 선거.
역대 대선 최다 득표수.
역대 민주당계 정당 후보 중 최고 득표율.
역대 직선제 대선 당선자 중 2위와 최고 득표율 차 당선. (63.26%)[78] 사유: 당선인의 자진 사퇴.[79] 충남 아산[80] 서울 종로 갑[81] 서울 종로 갑[82] 1960.8.12. 사퇴.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83] 의원 내각제 의회에서의 간접 선거.
1962.3.24. 대통령 하야.[84] 역대 직선제 대선 중 1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85] 1965.8.5.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86] 역대 직선제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저 격차. (15만 6026표)[87]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88]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
1979년 10월 26일 피살.[89]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선거.
1980.8.16. 대통령 사임.[90]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의 간접 선거.[91] 대통령 선거인단제 간접 선거.[92] 1987.12.20. 사퇴. (제13대 대통령 당선)[93] 역대 대선(직접 선거, 간선 모두) 당선인 중 최저 득표율.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 (3당 합당)[94] 경남 통영 을[95]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만 26세 5개월)
1955년 자유당 탈당, 민주당 입당. (사사오입 개헌 반대)[96] 경남 부산 서 갑[97]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98] 부산 서[99] 1972.10.17. 자격박탈. (10월 유신)[100] 부산 서·동[101]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102] 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와 동반 당선.
1979.10.4. 제명. (김영삼 제명 파동)[103] 1990년 민주자유당 합류. (3당 합당)[104] 최다 국회의원 당선. (9선)
1992.10.13. 의원직 사퇴. (14대 대선 출마)[105] 1997.11.7. 신한국당 탈당.[106] 전남 목포시[107] 강원 인제군[108] 전임자 나상근 당선 무효.[109] 전임자 전형산 반민주행위자 공민법 제한법(자유당 독재 부역)으로 자격 상실.
5.16 군사정변으로 자격정지. 당선 통보 후 실제 임기는 약 12시간이었다.[110] 전남 목포시[111] 1965년 민중당으로 신설 합당.[112] 1972.10.17. 자격 박탈. (10월 유신)[113] 1992.12.19. 사퇴. (대선 패배 후 정계 은퇴 선언)[114] 딱 13번까지가 당선권이었다. 이듬해에 대선에서 맞붙은 이회창은 신한국당 전국구 1번으로 당선되었다.[115] 자유민주연합과 선거연대. (DJP연합)
2002.5.6 탈당.[116] 전임자 이명박 사퇴 (불법 선거 운동)[117] 2003.9.29.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탈당.2004.5.20.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입당.2007.2.28.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탈당.[118] 1998년 3월 의원직 사퇴 (불법 선거 운동).[119] 대한민국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임기 내내 당적을 유지한 첫 대통령.[120] 전임자 김석원 사퇴.[121] 2002.3.1. 한나라당 탈당.2002.5.17. 한국미래연합 창당.
2002.11.19. 한나라당과 합당.[122] 해당 선거 지역구 득표율 전국 2위.(1위는 88.73%의 박주선).[123] 2012.11.25.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의원직 사퇴.[124] 직선제 개헌 이후 역대 대통령 선거 당선인 중 최고 득표율.
2017.3.10. 파면.[125] 역대 대선 낙선자 중 최고 득표율.
역대 대선 낙선자 중 득표수 2위.[126] 전임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인한 궐위로 인한 선거.
역대 대선 당선인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수 최다 격차. (557만 951표)[127] 대한민국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이명박에 이어 임기 내내 당적을 유지한 두 번째 대통령.[128] 역대 대선 중 2위 후보와의 득표율 최저 격차. (0.73%)
국민의당의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
2025.4.4 파면.[129] 당초 중원구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조성준 전 의원에 밀려서 공천 탈락하고, 거주지였던 수내동이 속했던 분당구 갑에 전략 공천을 받았다. # 현재 수내동의 소속 선거구는 성남시 분당구 을이다.[130] 2018.3.15. 경기도지사 출마로 사퇴.[131] 역대 경기도지사 선거 최다 득표.
2021년 10월 25일 사퇴.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132] 역대 대통령 선거 최다 득표 3위.
역대 대통령 선거 낙선자 중 최다 득표.
역대 대통령 선거 낙선자 중 1위 후보와 최저 득표율 차인 0.73% 차로 낙선.
새로운물결의 김동연 후보와 단일화.[133] 전임자 송영길 사퇴. (서울특별시장 출마)[134] 2025년 6월 4일,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자동 퇴직.[135] 전임자 윤석열의 탄핵 인용으로 인한 파면에 따른 궐위로 인한 선거.
역대 대선 최다 득표수.
역대 민주당계 정당 후보 중 최고 득표율.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대한민국 대통령]]}}}{{{#!if external != "o"
[[대한민국 대통령]]}}}}}}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uuid=3fc9b41b-98dc-452d-abb1-2dc8072d5768|r30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uuid=3fc9b41b-98dc-452d-abb1-2dc8072d576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한민국 대통령?from=301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대한민국 대통령]]}}}{{{#!if external != "o"
[[대한민국 대통령]]}}}}}}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uuid=3fc9b41b-98dc-452d-abb1-2dc8072d5768|r30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민국 대통령?uuid=3fc9b41b-98dc-452d-abb1-2dc8072d576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한민국 대통령?from=301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