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관련 틀 | ||||||||||||||||||||||||||||||||||||||||||||||||||||||||||||||||||||||||||||||||||||||||||||||||||||||||||||||||||||||||||||||||||||||||||||||||||||||||||||||||||||||||||||||||||||||||||||||||||||||||||||||||||||||||||||||||||||||||||||||||||||||||||||||||||||||||||||||||||||||||||||||||||||||||||||||||||||||||||||||||||||||||||||||||||||||||||||||||||||||||||||||||||||||||||||||||||||||||||||||||||||||||||||||||||||||||||||||||||||||||||||||||||||||||||||||||||||||||||||||||||||||||||||||||||||||||||||||||||||||||||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 현황) |
서울교통공사 | 1000호대 VVVF (현황) 저항 (초저항 · 현황)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Seoul Metro 1000 Series Rheostatic Control EMU | }}} | |||
115편성 | |||||
차량 정보 | |||||
<colcolor=#0052a4> 차량형식 |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량수 | 10량 1편성 (총 6편성) | ||||
생산량수 | 167량 (총 16편성) | ||||
운행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1] | ||||
도입시기 | 초저항 | | |||
| |||||
1989년 (3차분) | |||||
1999, 2002년 (개조저항) | |||||
신저항 | 1999년 (4차분) | ||||
2004년 (사고 복구분) | |||||
제작사 | | ||||
대우중공업 ( | |||||
현대정공 (3~4차분) | |||||
주식회사 로템 (사고 복구분)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배속 | 군자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 | 111 ~ 116 (개조저항) | ||||
최종 퇴역 예정 시기 | 2027 ~ 2029년 예정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52a4>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800㎜ | ||||
궤간 | 1,435㎜ | ||||
대차 | 코일스프링 탑재 스윙볼스터 방식 대차 | ||||
재질 | 마일드 스틸 용접 구조 연강판 | ||||
차중 | Tc | 33.30t | |||
M | 42.10t | ||||
M' | 46.10t | ||||
T | 33.00t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직류 1,500V | ||||
신호장비 | ATS-S2 | ||||
제어방식 | 직병렬조합 약계자 저항제어 | ||||
동력장치 | 직류 직권전동기 | ||||
기어비 | 15:87 | ||||
제동방식 | 발전제동 병용 전자직통제동 | ||||
주전동기 출력 | 120㎾ | ||||
편성출력 | 2,880㎾ | ||||
최고속도 | 영업 | 110㎞/h | |||
설계 | |||||
가속도 | 2.5㎞/h/s | ||||
감속도 | 상용 | 3.0㎞/h/s | |||
비상 | 4.0㎞/h/s | ||||
MT 비 | 6M 4T (Tc-M-M'-T-M-M'-T-M-M'-Tc)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중인 저항제어 전동차.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라는 나름 뜻 깊은 타이틀을 달고 있으며 현재 6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1974년에는 기술과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에서 제작된 차량을 직수입했으며 그 후 국산화되었다.
<rowcolor=#fff> S차 101편성 | K차 1X17편성(1033호)[2] | 110편성(1019호) |
완행으로만 운행하고, 한국철도공사와의 협약에 따라 양주역~인천역/서동탄역 구간만을 운행한다. 이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도 동일하다.
2. 편성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조성(10량) | |||
<colcolor=#0052a4> ↑ 인천(경원·경인선), 서동탄(경부선) 방면 | |||
10## (1)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11## (2)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2## (3)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3## (4) | T(무동력객차) | ||
14## (5)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5## (6)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6## (7) | T(무동력객차) | ||
17## (8)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8## (9)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9## (10)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 광운대(경부선), 양주(경원·경인선) 방면 | |||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10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52a4> ↑ 인천(경인선), 수원(경부선) 방면 | ||
10XX[A] (1) | <colcolor=#373a3c,#ddd>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11XX[A] (2)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3XX[A] (3)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5XX[A] (4) | T(무동력객차) | ||
12XX[A] (5)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4YY[B] (6)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5YY[B] (7) | T(무동력객차) | ||
11YY[B] (8)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3YY[B] (9)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0YY[B] (10)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 성북(경부선), 의정부북부(경인선) 방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6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52a4> ↑ 인천·수원 방면 | ||
10XX[A] (1) | <colcolor=#373a3c,#ddd>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11XX[A] (2)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3XX[A] (3)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1YY[B] (4)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3YY[B] (5)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0YY[B] (6)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 성북 방면 |
- 4량 1편성, 8량 1편성 운용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 때의 조성은 각각 TC-M-M'-TC(2M2T), TC-M-M'-M-M'-M-M'-TC(6M2T)이다.[20]
- 무동력객차(T)는 초저항과 개조저항 합쳐서 1989년 신조 객차 고정이다.
- ##: 11~16
3. 특징
출입문에 부착된 객실 안내문 |
객실이 왜 덥죠?
고객님!
승차하고 계신 이 전동차는 20여년 전[21][age(1989-01-01)]년 전이다.]에 생산되었으며 이 칸은 운행 중에 열이 발생하는 저항제어기가 설치 되어있습니다.
덥다고 느끼시는 고객님은 불편하시더라도 양쪽 옆 칸으로 이동하시면 좀 더 쾌적하게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출입문에 붙어 있는 안내스티커에 쓰여 있는 문구
131개 편성이 넘는 전동차들이 운용 중인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에서 서울교통공사 소속 1호선 전동차 16개 편성 중 6개 편성밖에 없기 때문에 마주치기가 매우 힘들며 마주쳐도 전혀 좋을 것 없는 것이, 1호선 전 차량 중 제일 오래된 데다가 승차감도 매우 나쁘다.[22] 운행중인 차량 대부분이 1989년산 열차로, 2024년 기준 35년째 운행 중이다. 원래는 철도차량 내구연한(25년)이 만료되는 2014년에 폐차될 예정이었지만 제한이 폐지되면서 대대적인 보수를 거친 후 계속 운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 덕분에 2024년 현재도 조기휴차 및 폐차 계획이 없는 상태다.[23]고객님!
승차하고 계신 이 전동차는 20여년 전[21][age(1989-01-01)]년 전이다.]에 생산되었으며 이 칸은 운행 중에 열이 발생하는 저항제어기가 설치 되어있습니다.
덥다고 느끼시는 고객님은 불편하시더라도 양쪽 옆 칸으로 이동하시면 좀 더 쾌적하게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출입문에 붙어 있는 안내스티커에 쓰여 있는 문구
구형 전동차라서 소음과 코일볼스터 대차 특유의 진동이 심한 데다가 저항제어 전동차라는 특성상 출입문에 붙어 있는 굴림체로 쓰인 안내문구에 나온 대로 발열이 심하며, 기동가속도도 낮다. 낮은 기동가속도는 승객 입장에서 답답하다는 것보다 열차 지연이라는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 1호선에서 운행하는 VVVF 차량들의 기동가속도는 전부 3.0km/h/s로 통일되어 있는 상황에서 저항 차량들만 2.5km/h/s이고, 시간별로 어떤 차량이 투입되는지까지 시각표에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VVVF 차량과 저항 차량 관계없이 동일한 시간표로 투입된다. 그래서 투입되기만 하면 노후화로 인한 높은 고장률까지 겹쳐서 열차 지연의 주범이 된다. 일부 열번은 4호선까지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평일 12시 31분 금정역에 동시에 도착하는 1호선 #S452와 4호선 #K4590이다.[24] #K4590은 기동가속도 3.0km/h/s짜리 차량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가 투입되는 열번인데 #S452에 저항차량이 들어가게 되면 #K4590은 높은 확률로 1호선 차량을 기다리게 되므로 4호선마저도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 차량은 기본적인 정비 자체는 연식을 고려하면 우수한 편이다. 1997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가 관리 부실로 인한 차체 부식으로 말년에 외관이 엉망이었던 것에 비해, 1989년 도입임에도 차체 부식이 거의 드러나지 않게 관리되고 있다. 또한 초기 VVVF 열차들에게서 보고되는 차체 및 대차 균열 문제도 해당 차량은 아직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계속 운행중이다.
이 차량은 VVVF 열차와 달리 단다이어나 중다이어 위주로 투입되고, 장다이어에는 가끔씩 투입된다. 고속 구간이 적은 경인선이나 경원선에서는 특정 시간대에 자주 볼 수 있으며 경부선 역시 자주 보이는 편이다. 단 최장 다이어나 주박 다이어에서는 매우 드물게 투입된다.
구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서울메트로 출신 열차라서 의자가 스테인리스 재질인데, 오래 앉아 있으면 등뼈가 아프고 엉덩이에 쥐가 난다. 한겨울에 타면 내장된 난방용 열선 때문에 프라이팬에 엉덩이가 익는 듯한 느낌을 맛볼 수도 있고 단열에 취약한 낙창식 창문의 특성상 뒤통수에서 찬바람을 맞을 수 있다. 또한 여성 승객들은 스커트 등을 입고 착석했을 시 계속 뜨거워지면 매우 불쾌감을 느끼는 사례가 많다.
절연구간 안내방송이 변경되었다. 한때 인천, 서동탄역 방향은 '서울메트로'로 방송했으나 현재는 양방향 모두 '서울교통공사'로 송출된다.
출입문 닫힘 안내방송에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사용한 멜로디가 추가되었다.
동력객차 왼쪽 측면 방열구 또한 1개이며 1974년~1978년에 제작된 차량은 방열구가 튀어나와 있지만 1989년에 제작된 차량은 납작하다. 그리고 10##호대 운전실 기준으로 오른쪽 측면에 모든 M'칸 중 5번째(운전실 기준 우측 측면 3번째)(12##-5, 15##-5, 18##-5) 출입문 좌측에 1개, 7번째(운전실 기준 우측 측면 4번째)(12##-7, 15##-7, 18##-7) 출입문 우측에 1개, 총 합쳐서 방열구가 2개 더 설치되어 있다. 단, 111편성 중 1711, 1811호는 방열구가 10##호대 운전실 기준으로 오른쪽 측면에 모든 M'칸 중 5, 7번째(운전실 기준 우측 측면 3~4번째) 출입문 사이에 있는 방열구 빼고는 출입문 좌측 하단, 다시 말해 전부 노약자석 창문 밑에 달려 있으며 이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일부 초저항 객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현재 유일하게 남은 낙창식 창문 차량이라서 VVVF 3차분이 들어와 퇴역하면 대한민국에서 낙창식 창문 겸 정사각형 창문 출입문 차량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며 1호선 저항제어 차량은 볼 수 없게 된다.
4. 모델별 설명
도입 연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rowcolor=#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color=#fff> 초저항 | ||
<colbgcolor=#0052A4> 1차분 | <colbgcolor=#ffa07a,#904820> | 1974년 (10편성 60량)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시 도입된 차량 전량 퇴역 |
2차분 | 1977~1978년 (6편성 36량) 전량 퇴역 | |
3차분 | 저항제어 | 1989년 (16편성 64량) 10량화에 따른 도입된 부수 객차 10편성 63량 운용 |
신저항 | ||
4차분 | 저항제어 | 1999년 (1편성 4량) 1편성 2량 운용 |
사고 복구분 | 2004년 (1편성 3량) |
4.1. 초저항 (1974, 1977~1978, 1989)
101편성(1001호)[25] |
냉/난방 시설은 상당히 후달린 편이었다. 1978년 도입분까지 에어컨이 없이 모두 선풍기였고, 이는 극심한 혼잡률과 함께 여름철 지하철 통근을 지옥으로 몰아넣는 원인이 되었다. 1980년대 신문에 심심하면 냉방화 요구가 기사나 독자기고란에 올라왔었다. 특히나 여름에 저항제어기가 설치된 칸은 더 심했다. 속도 조절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저항열로 처리했기 때문이었다. 출입문이 열리면 올라오는 열기는 가뜩이나 더운 차내를 사우나 못지 않은 곳으로 만들었다. 더욱이 차내에는 수동 개폐 창문을 제외하면 환기 설비도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결국 1987년에 차내 냉방장치를 에어컨으로 개조하는 사업이 진행되어 전편성이 에어컨 개조가 되었다. '냉방개조 조선공사(한진중공업)'라는 팻말이 차량 내부에 부착되었다. 조선공사라는 약칭을 쓴 대한조선공사는 훗날 한진중공업으로 사명이 변경되었고, IMF 이후 구조조정을 통해 선박, 건설부분 등은 잔류하고 철도차량 부분만 현대로템으로 흡수되었다. 1989년 제작 증차분은 제작 당초부터 냉방이 탑재되었다. 허나 초기 개조차량은 냉방성능이 매우 부족했으며, 일부 차량에서는 에어컨에서 나오는 물이 열차 내부에 떨어지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기도 했다. 여름철만 되면 차내는 더운데 냉방장치를 최대한 가동하고 있다는 차장의 안내방송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었다.
컴프레서 소음이 상당히 컸는데, 컴프레서가 설치된 칸에 서 있으면 미세하게 진동도 느껴졌다.
퇴역은 1998년 12월부터 시작되었으며, 1977~1978년에 편성 단위로 최종적으로 도입된 분량은 2002년에 모두 퇴역하여 더 이상 사각형 식빵 모양의 전두부는 볼 수 없게 되었다.
서울지하철공사는 장래에 생길 지하철 박물관에 이 차량을 기증하기 위해 101편성의 1974년 도입분 6량(1001-1101-1301-1102-1302-1002)을 2호선 신정차량사업소에 보존하고 있고, 106편성의 1974년 도입분 6량(1011-1111-1311-1112-1312-1012)을 여주시 한얼테마박물관에 보존하고 있는데, 그곳에는 보존용 차량을 위한 유치 공간이 따로 있을 정도로 서울지하철공사는 이 차량에 대해 각별하다.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상태가 퇴역 때의 상태와 거의 같았으나, 지금은 철도박물관에 보존 중인 한국철도공사 차량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다. 한때 1001호, 1002호 선두차는 출입문을 2호선 신정지선의 개조저항 245편성 2045호, 2545호와 서로 재도색 후 교환했었다. 이유는 245편성의 출입문 도색크랙 때문이다. 2호선 신정지선의 개조저항 245편성이 퇴역함에 따라 현재는 원상복구되었다. 신정차량사업소에는 2호선 201편성도 보존 중이지만, 신정차량사업소의 101편성, 한얼테마박물관의 106편성 총 2개 편성에 비해서 운전실 기기가 뜯겨나가고 내부의 시트는 나뒹굴고 있으며 여기저기 부식되는 등 관리 상태가 부실하다.
퇴역 후 108편성 출신 1201, 1401호는 폐차되었고, 1989년 제작 1501, 1502호는 VVVF화 개조 후 VVVF 105편성 중간 부수차(4, 7호칸)로 편입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종합운동장 운행 시기에는 일부 1호선의 빨간 초저항 열차가 2호선으로 다니기도 했다. 2호선에서는 중간의 2량을 뺀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일부 1989년 제작 차량은 아직도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에 드문드문 짬뽕편성으로 들어가 있다. 원래 6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다가 10량 순으로 길이가 길어졌기 때문에, 초저항에 들어간 차량이라도 10량으로 증결될 때 도입된 차량은 아직 내구 연한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남은 차량은 모두 불연재 개조가 되어 있으며 초저항 개조차 중 110편성에 편입된 차량 1610호는 접이식 의자 시범사업으로 개조된 적도 있다.
한국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원형 손잡이를 장착하고 운행한 열차였다. 퇴역 직전의 2002년 시점에는 이 열차 이외에 손잡이가 원형인 열차는 전부 퇴역했거나 뽑혀서 삼각형 손잡이로 개조되어 없어진 상황이었다.
4.1.1. 1차분 (1974)
<rowcolor=white> 신정기지에 동태 보존중인 101편성(1002호) | 내부 |
102편성(1004호) (냉방화 개조 이전)[26] |
108편성(1016호) (냉방화 개조 이후)[27] |
- 前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101~110편성 (총 10편성 60량, 현재 운행중단 또는 폐차)
-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인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교통공사)에서 도입한 전동차다. 철도청에서 도입한 같은 전동차와 함께 국내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국내 최초로 생산한 전동차 등등 오만 가지의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전동차이며 한국 도시철도 역사의 산실이다.
당시 철도차량 기술 자체가 빈약해 증기 기관차와 객차, 화차를 겨우 만들던 시절이었으므로 초기분은 일본에서 직수입했고 후기분부터는 국내에서 조립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철도청 차량과는 일본국유철도와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을 필두로 한 일본 기술자문단과 공동으로 설계를 의뢰하는 등 기본 설계베이스는 거의 같다. 도쿄 지하철 5000계나 도큐 8500계, 도부 8000계와 매우 흡사한 식빵형 전두부를 지녔으며 그 외에도 일본 국철 101계, 103계, 301계 등과도 비슷한 상자형 전두부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초기분은 태생이 일본이기도 하다.
1호선을 설계할 때 간선철도 전철화의 호환성을 고려해 철도청의 전철 구간은 교류 25,000V 60Hz로,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은 직류 1,500V 전압으로 설계, 시공되었기 때문에 415계 전동차의 요소를 적용해 절연구간과 교직혼용에 대응한 설계가 이루어져 있고, 최대 승객하중의 약 110%까지 버텨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지하철공사 소속 차량 중 1974년 1호선 개통으로 도입된 6량 10개 편성 60량은 1972년 4월 10일 대일 차관계약에 따라 1973년 5월 히타치와 계약되어 생산, 1974년 4월부터 완성된 차량(TC 20량, M'20량, M차 20량으로 도합 60량)들이 바지선을 통해 국내에 반입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 7월 28일까지 시운전을 마치고 8월 15일 본선 개통에 투입되어 운행에 들어갔다. 철도청 차량과의 구별을 위해 외장 도색은 붉은색을 채용, 그 외에 내, 외적인 사양에 일부 차이가 있다. 객실 내부의 색도 달랐는데, 철도청차량의 좌석은 남색 시트에 벽면은 연두색/하늘색(국산화)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서울 지하철 차량은 빨간색 좌석에 벽면은 살구색에 가까운 연한 분홍색이었다.
구 101편성은 신정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으나 운전실 기기가 뜯겨나가고 시트가 나뒹구는 등 온전하지 못한 상태다.
정태보존 10량이 운행 당시 상태 그대로 박물관으로 활용 중이다.
1017호가 영흥도 영흥북로 158에 객실 이동 통로가 개조되어 부동산 사무소로 쓰였으나, 2020년 하반기 같은 섬에 있는 고양이역 보호소라는 고양이 보호소로 옮기고 내부를 새롭게 꾸며 방문자 및 고양이 휴식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74년 제작분 초저항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61919> 1974년 제작분 초저항 조성(6량) | |||||||
<rowcolor=#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101편성 | 1001 | 1101 | 1301 | 1102 | 1302 | 1002 | ||
102편성 | 1003 | 1103 | 1303 | 1104 | 1304 | 1004 | ||
103편성 | 1005 | 1105 | 1305 | 1106 | 1306 | 1006 | ||
104편성 | 1007 | 1107 | 1307 | 1108 | 1308 | 1008 | ||
105편성 | 1009 | 1109 | 1309 | 1110 | 1310 | 1010 | ||
106편성 | 1011 | 1111 | 1311 | 1112 | 1312 | 1012 | ||
107편성 | 1013 | 1113 | 1313 | 1114 | 1314 | 1014 | ||
108편성 | 1015 | 1115 | 1315 | 1116 | 1316 | 1016 | ||
109편성 | 1017 | 1117 | 1317 | 1118 | 1318 | 1018 | ||
110편성 | 1019 | 1119 | 1319 | 1120 | 1320 | 1020 |
4.1.2. 2차분 (1977~1978)
114편성(1028호) (냉방화 개조 이전) |
112편성(1024호) (냉방화 개조 이후) |
전동차의 국산화 과업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 후, 대우중공업의 전신인 한국기계공업 주도로 1973년 2월부터 국산 전동차 생산준비와 일본차량제조와의 제휴를 통한 기술 취득절차, 1975년도 11월, 국고 채무부담행위 예산에 의한 구매계획의 국회 통과 과정을 거쳐 국산 전동차 개발을 시작했다. 1976년 12월 철도청에 TC, M', M 각각 3량이 처음으로 국내 생산을 마치고 반입되었다. 한국기계공업이 대우중공업으로 사명을 바꾼 후 철도청에는 본격적으로 국내 조립된 차량들이 증차분으로 납품되기 시작한 것에 따라 지하철공사 측에서도 추가 증차를 위한 6량 6개편성을 국내 생산하기로 결정, 대우중공업(주)와 1977년 11월까지 16량(TC 6량, M'5량, M 5량)의 국산 전동차가 납품되어 시승식을 갖고, 1978년 2월에 2차로 2량(M, M' 각 1량씩), 1978년 6월에 3차로 18량(TC 6량, M차 6량, M'차 6량)이 반입, 1978년까지 6량 16개 편성을 운용한다. 비록 국산화는 실제 전장품이 거의 수입품인 단순 조립에 그치는 것이었지만 철도차량 제작사에 한 획을 그은 나름 인상깊은 일이었던 것이다.
수 차례에 걸쳐 198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초기저항 차량이 대부분 10량화 되는 와중에도 6량 편성을 고수하다가 1987년 냉방개조 후에는 10량화가 추진되었다. 이미 경인선은 수용량이 한계치에 이르러 매우 혼잡했기 때문에 6량이었던 지하철공사 소속 차량들은 1983년 7월부터 상대적으로 한산했던 경부선으로만 원칙적으로 투입되었으나 10량화 후에는 제한이 풀렸다.
구 111편성은 1021호, 1022호가 보존되어 있다. 과거 기차식당으로 운영했으나 기차식당이 폐업하면서 성인도박장으로 업종이 변경되었다. 2024년 3월경 건물 철거로 인해 폐차되었다.
운행구간의 변천사는 수도권 전철 1호선/운행 계통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77년~1978년 제작분 초저항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61919> 1977년~1978년 제작분 초저항 조성(6량) | |||||||
<rowcolor=#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111편성 | 1021 | 1121 | 1321 | 1122 | 1322 | 1022 | ||
112편성 | 1023 | 1123 | 1323 | 1124 | 1324 | 1024 | ||
113편성 | 1025 | 1125 | 1325 | 1126 | 1326 | 1026 | ||
114편성 | 1027 | 1127 | 1327 | 1128 | 1328 | 1028 | ||
115편성 | 1029 | 1129 | 1329 | 1130 | 1330 | 1030 | ||
116편성 | 1031 | 1131 | 1331 | 1132 | 1332 | 1032 |
4.1.3. 3차분 (1989)
115편성 |
-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101~116편성 (초저항 10량 증결분, 총 16편성 64량) → 105~106, 109~110편성 (1999~2002년 부수객차 개조, 총 4편성 8량), 111~116편성 (1999~2002년 개조, 총 6편성 56량)
- 제작사: 현대정공, 대우중공업(DEC-05)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88년 12월경 10량화 증량분 64량이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모델명: DEC-05)으로부터 공동 발주해(현대정공: T차 12량, M차 8량, M'차 9량/대우중공업: T차 20량, M차 8량, M차' 7량) 1989년 4월말부터 8월초에 걸쳐 16개 전 편성이 10량으로 증결됐다. 이들 증비분은 기존 강판식 출입문과 낙창식 창문을 그대로 계승했지만 벽면에 튀어나온 분전함의 평면화를 위해 노약자석 창문 폭이 짧아졌고 롤지식 측면 행선판이 추가되었으며 출입문 안쪽은 부식방지를 위해 무광은색 스테인레스 재질로 적용되었고, 손잡이가 검은색의 삼각 스프링 형태로 변경되는 등 변경이 있었다. 하지만 10량화 과정이 상당히 복잡했다. 기존 108~110, 115~116편성 일부 동력칸(M, M')이 101~106, 111~114편성 중간 객차로 이동되었다.
- 108편성의 1115호와 1315호는 101편성 중간 객차로(변경 후 1201, 1401호), 1116호와 1316호는 104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07, 1407호) 이동되었다.
- 109편성의 1117호와 1317호는 102편성 중간 객차로(변경 후 1203, 1403호), 1118호와 1318호는 105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09, 1409호) 이동되었다.
- 110편성의 1119호와 1319호는 103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05, 1405호), 1120호와 1320호는 106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11, 1411호) 이동되었다.
- 115편성의 1129호와 1329호는 112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23, 1423호), 1130호와 1330호는 114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27, 1427호) 이동되었다.
- 116편성의 1131호와 1331호는 111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21, 1421호), 1132호와 1332호는 113편성 중간 객차로 (변경 후 1225, 1425호) 이동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89년 기준 초저항 조성(10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61919> 1989년 기준 초저항 조성(10량)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남색 및 굵은 글씨체는 신규객차임을 알린다. 하늘색 배경은 신규객차 중 대우중공업 제작분이다. | |||||||||||
<rowcolor=#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01편성 | 1001 | 1101 | 1301 | 1501 | 1115 → 1201 | 1315 → 1401 | 1502 | 1102 | 1302 | 1002 | ||
102편성 | 1003 | 1103 | 1303 | 1503 | 1117 → 1203 | 1317 → 1403 | 1504 | 1104 | 1304 | 1004 | ||
103편성 | 1005 | 1105 | 1305 | 1505 | 1119 → 1205 | 1319 → 1405 | 1506 | 1106 | 1306 | 1006 | ||
104편성 | 1007 | 1107 | 1307 | 1507 | 1116 → 1207 | 1316 → 1407 | 1508 | 1108 | 1308 | 1008 | ||
105편성 | 1009 | 1109 | 1309 | 1509 | 1118 → 1209 | 1318 → 1409 | 1510 | 1110 | 1310 | 1010 | ||
106편성 | 1011 | 1111 | 1311 | 1511 | 1120 → 1211 | 1320 → 1411 | 1512 | 1112 | 1312 | 1012 | ||
107편성 | 1013 | 1113 | 1313 | 1513 | 1213 | 1413 | 1514 | 1114 | 1314 | 1014 | ||
108편성 | 1015 | 1115 | 1315 | 1515 | 1215 | 1415 | 1516 | 1116 | 1316 | 1016 | ||
109편성 | 1017 | 1117 | 1317 | 1517 | 1217 | 1417 | 1518 | 1118 | 1318 | 1018 | ||
110편성 | 1019 | 1119 | 1319 | 1519 | 1219 | 1419 | 1520 | 1120 | 1320 | 1020 | ||
111편성 | 1021 | 1121 | 1321 | 1521 | 1131 → 1221 | 1331 → 1421 | 1522 | 1122 | 1322 | 1022 | ||
112편성 | 1023 | 1123 | 1323 | 1523 | 1129 → 1223 | 1329 → 1423 | 1524 | 1124 | 1324 | 1024 | ||
113편성 | 1025 | 1125 | 1325 | 1525 | 1132 → 1225 | 1332 → 1425 | 1526 | 1126 | 1326 | 1026 | ||
114편성 | 1027 | 1127 | 1327 | 1527 | 1130 → 1227 | 1330 → 1427 | 1528 | 1128 | 1328 | 1028 | ||
115편성 | 1029 | 1129 | 1329 | 1529 | 1229 | 1429 | 1530 | 1130 | 1330 | 1030 | ||
116편성 | 1031 | 1131 | 1331 | 1531 | 1231 | 1431 | 1532 | 1132 | 1332 | 1032 |
그 후 8량이 된 101~106, 111~114편성에 무동력칸(T) 신조차량을 각 2량씩 추가로 증량해(총 20량 신조) 10량화되었고, TC칸만 남게 된 구 108~110, 115~116편성은 신조된 중간객차 8량이 새로 조성되어 10량화되었다. 구 107편성만 유일하게 기존 6량에 신조 4량이 추가로 조성되어 10량화되었다. 이렇게 차돌리기하면서 10량화한 이유는 훗날 내구연한(25년)이 만료되어 1974/1977/1978년 도입분이 폐차되고 나머지 1989년 도입분이 개조저항을 새로 편성하기 쉽게, 그렇게 해도 남는 무동력칸(T)을 대체분 중간객차에 편입되도록 쉽게 하기 위해 그렇게 한 것으로 추정된다. 107편성은 1999년 기존 1974년이 폐차 후 동력칸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1999년, 저항 차량을 신조할 계획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결정적으로 개조저항 112~116편성은 TC칸을 제외한 나머지 8량은 1989년 조성 그대로이며 111편성도 중간 객차 4량(1989년 제작)도 1989년 조성 그대로다.[29] TC칸을 제외하고 8량 전부 1989년 도입분인 차량에 한해 TC칸에도 측면 행선 안내기를 장착했다. 기존차량과 증편차량의 연식차이가 15년~11년 차이가 났다. 대차분이 운행이 개시되는 시점인 2027년쯤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면서 2027~2029년에 퇴역할 예정이다.
4.1.4. 개조저항 (1999, 2002[30])
<rowcolor=#fff> 전면 열번, 행선 표시기 개조 및 사명변경 전 | 전면 열번, 행선 표시기 개조 및 사명변경 후 |
<rowcolor=#fff> 114편성 (서울메트로 시절) | 114편성 (서울교통공사 이후) |
<rowcolor=#fff> 내부 모습 (113편성) |
- 111~114편성(변경 전 107~110편성) (총 4편성 36량)[31] - 1999년 개조: 1014호는 수원역 추돌사고로 1114, 1314호와 함께 조기 폐차됨
- 115~116편성 (총 2편성 20량) - 2002년 개조
- 소속: 군자차량사업소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초저항의 폐차가 시작된 1999년 운행하던 차량들 중 일부는 1989년 1호선 10량화 사업에 의해 추가로 반입된 것이라 내구연한이 남았는데, 초저항이 대부분이던 Tc 차량이 전부 폐차되면서 운전실도 없이 남은 무동력 객차 중 일부를 운전실로 개조한 것이다. 전두부의 모양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의 형태를 그대로 따 왔다. 무동력 객차 중 다른 일부는 초저항을 대체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의 부수차로 운행 중이다. 겉에서만 봐도 창문도 낙창식, 출입문 창도 정사각형으로 다르다. 해당 편성은 105~106, 109~110편성이다. 1977~1978년에 들어왔던 차들 역시 2002년에 전부 폐차되었는데 1989년산 증결분 부수차들이 남아서 이들을 모아 신차의 부수차로 넣어서 다니게 된다.
1999년 도입분인 111~114편성은 원래 107~110편성이었다. 하지만 2002년 남은 초저항들을 모두 폐차할 때 뽑은 신차들이 107~110편성으로 출고되면서 현재의 111~114편성으로 변경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개조저항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61919> 개조저항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부수객차를 운전석으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하늘색 배경은 전부 대우중공업 제작분이다. | |||||||||||
<rowcolor=#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11편성 | <colcolor=#f00> 1505 | 4차분 | 4차분 | 1513 | 1213 | 1413 | 1514 | 사고 복구분 | 사고 복구분 | 사고 복구분[32] | [33] | |
112편성 | 1507 | 1115 | 1315 | 1515 | 1215 | 1415 | 1516 | 1116 | 1316 | <colcolor=#f00> 1508 | [34] | |
113편성 | 1509 | 1117 | 1317 | 1517 | 1217 | 1417 | 1518 | 1118 | 1318 | 1510 | [35] | |
114편성 | 1511 | 1119 | 1319 | 1519 | 1219 | 1419 | 1520 | 1120 | 1320 | 1512 | [36] | |
115편성 | 1525 | 1129 | 1329 | 1529 | 1229 | 1429 | 1530 | 1130 | 1330 | 1526 | [37] | |
116편성 | 1527 | 1131 | 1331 | 1531 | 1231 | 1431 | 1532 | 1132 | 1332 | 1528 | [38] |
<rowcolor=#fff> 스프링 삼각형 손잡이 | 민무늬 스테인리스 출입문 |
112편성 1012호와 114편성 1014호는 운전실 창문에 선팅이 되어 있다.
2009년 전 차량 통로문에 서울메트로 시절 행복열차 스티커와 종로선 관광 노선도가 부착되었다. 종로선 구간 관광명소 홍보를 위해 서울교통공사 통합 후에도 그대로 부착되어 있다.
2010년 하반기 경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직류 전용 편성과 같이 모든 차량의 측면 롤지 행선기를 막고 전면 행선기만 사용한다. 막은 이유는 에너지 절약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전 차량의 보수가 완료되었다. 변경된 것은 냉방기 교체, 객실 내 LED 행선기 설치, 외부 행선기를 롤지식에서 LED로 개조, 회로장치 수선, 스크류식 압축기 적용, MG에서 SIV로 교체 정도다.
외부 LED 행선기에 '광운대역'이 아닌 '광운대'만 표출하는 몇 안 되는 열차다. 또 다른 하나는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중 4세대 차량이나, 내부 전광판은 광운대역행으로 나온다.
2017년 전 차량의 로고가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변경되었으며, 일부 객차는 교체 후에도 기존 서울메트로 로고 흔적이 남아 있다.
112편성은 군자차량사업소에서 294편성과 충돌하여 탈선했는데, 지금은 수리 후 운행 중이다.[39] 참고로 철도 차량 간 충돌 시 차량에 가해지는 피해는 15km/h만 되어도 심하다. 상왕십리역 전동열차 충돌탈선 사고 때의 충돌 속도가 15km/h였다.
현재 일부 차량은 차량 내부 스피커 소음해소 장치 고장으로 스피커 잡음이 심하다.
이 차량은 차내 역 안내방송에서 외부 상업 건물 안내방송(~~로 가실 분은 □□역 ☆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을 송출하지 않는다.[40]
출입문 경고음은 도입 때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2022년 4월부터 모든 차량의 경고음이 2호선 성수지선과 같은 경고음으로 개정되었다. 정확히는 2021년 12월경 성수지선 경고음이 다른 2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형태에서 빠앙 소리로 바뀐 것을 1호선에도 적용한 것이다. 변경 전 경고음은 한국철도공사 341~351000호대 전동차들과 비슷하나 약간 굵고 소리가 컸다.
현재 저항제어 전동차의 노선 정보 등록에서 서동탄행으로 운행 시 신도림역 안내방송이 서울메트로 시절 안내방송으로 송출되다가 풍년 환승음악 도입으로 서울교통공사 안내방송으로 개정되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이 홍성헌 성우 녹음 버전으로 나왔고, 제니퍼 클라이드의 영문 안내방송 억양도 2009년 이전(얼씨구야 도입 시기)에 녹음된 버전으로 나왔으나 풍년 환승음악 도입으로 강희선 성우로 개정되었다. 용산역 안내방송 역시 얼씨구야 환승음악 시절엔 하행 한정으로 구 중앙선 환승안내 방송이 송출되었으나 풍년 환승음악 도입으로 경의중앙선 환승안내로 개정되었다.
2021년, 객실 선반 위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었다.
2023년에는 CCTV가 추가로 설치되었는데, 특이하게 내부 안내기 옆에 설치했다.
2024년에는 112편성 서울역 출입문 고장으로 중단되었으며 시운전하다가 다시 운행했다.
국토부에서 이 차량 대체분 신차 160량을 2025년 1월부터 발주할 예정이므로 빠르면 대차분이 운행이 개시되는 시점인 2027년쯤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면서 2027~2028년, 늦어도 2029년까지 퇴역 예정인데[41], 예정대로 퇴역 시 대한민국 전동차 중 가장 오랜 기간인 38~40년간 운행한 전동차가 된다.[42] 그리고 2023년 3월 31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가 완전히 퇴역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저항제어 전동차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노선이자 마지막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으며, 마일드 스틸 차체와 낙창식 창문을 장착한 마지막 전동차가 되었다.
4.2. 신저항 (1999, 2004)
4.2.1. 4차분, 사고 복구분 (1999, 2004)
<rowcolor=#fff> 사고 전 107편성(1014호) | 사고 후 111편성(1911호) |
- 111편성(변경 전 107편성)의 신조 부수 객차 (총 4량 1편성) - 1999년 도입(4차분): 1114, 1314호는 수원역 추돌사고로 1014호와 함께 조기 폐차됨
- 111편성의 신조 부수 객차 (사고 복구분, 총 3량 1편성) - 2004년 도입(사고 복구분): 1711, 1811, 1911호
- 제작사: 현대정공(1999년 제작), 주식회사 로템(2004년 제작)
- 소속: 군자차량사업소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99년에 1974년 도입분들이 모두 폐차되고 남은 1989년산 객차(103~106편성의 무동력 객차)을 모아서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편성을 완료시키고 보니 106편성의 무동력차 2량, 107편성은 무동력차 2량, 동력차 2량이 남게 되었다. 재편성하고 보니 새로 발주한 VVVF 열차를 포함해 15편성이 나왔는데, 기존 초저항은 총 16편성이었으므로 한 편성을 추가로 만들어야 했다. 문제는 이것만으로는 해결 할 수가 없다고 조기폐차하기에는 또 10년 밖에 굴리지 않은지라 내구연한이 많이 남은 상태에 있었다. 그렇다고 VVVF를 새로 발주하고 신정지선에 보낼 수도 없었다. 신정지선은 4M 2T지만 이미 무동력차만 4량이었기 때문이다. 2M2T였다면 VVVF를 뽑고 성수지선으로 보내는 방법도 있었지만 2M4T이므로 그것도 불가능하다. 게다가 그때는 IMF로 인해 경기가 매우 어려웠는데 이렇게 발주해 버리면 돈이 너무 나가는 데다가 모터차가 없이 객차만 남았다면 VVVF 모터차를 조합하는 형식으로 진행했을 터였고 실제로 일부 편성은 이런 식으로 진행했다. 즉, 기존의 개조저항 객차에 새로 들여오는 VVVF 동력차 조합으로 가는 형식이거나 혹여나 무동력객차가 여전히 남는다면, 쉽지는 않겠으나 남은 객차 몇 대를 전장부 보강하고 VVVF구동부를 설치하여 VVVF모터카를 만들어서 편성하는 방법도 검토해봤을지도 모르지만, 2량 남은 저항모터차가 존재하는 상태로는 VVVF 차량을 만들 수도 없었다. 그래서 현대정공에서 기존 저항제어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차량을 새로 제작해 107편성으로 만들어 운행하게 된다. 대차도 스윙볼스터 대차를 그대로 장착했다. 선두차 형태는 3VF 전동차와 비슷한 모양으로, 다른 선두차 개조차량과 사양을 얼추 맞췄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게 반개폐식 창문과 출입문의 직사각형 창문이 특징이다. 또한 이 편성이 가장 마지막까지 초기형 컴프레서를 사용하다가 2010년대에 저소음으로 교체했다.
<rowcolor=#fff> 파손된 전두부 | 사고 복구하는 모습 |
이 사고로 3량이 대파되고 4량(현 1611, 1511, 1411, 1311호)이 중파되는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하필이면 들이받은 차량이 새로 뽑은 지 3년밖에 되지 않은 차량이 포함된 107편성이었던 것이다. 이를 두고 철도청은 변상의 목적으로 구형 저항제어 차량인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주려 했으나 지하철공사 측은 차량 신조 비용 또는 당시 신차였던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현 311000호대) 전동차를 요구해 보상이 2년이 넘게 지연되었다. 심지어 협상이 잘 풀리지 않자 철도청이 돈을 조금 더 얹어주겠다고 한 바 있었다. 이 기간 동안 1014호를 제외한 나머지 9량은 한동안 모두 의왕역에 유치되어 있었다.
결국 신차를 파손시킨 철도청 측이 차량 신조 비용을 물어주는 것으로 합의했다. 철도청이 서울지하철공사에 변상해준 금액이 67억이다. 서울지하철공사에서는 이 금액에 약간 더 보태서 기존 차량은 조기폐차시키거나 개조로 신정지선이나 성수지선으로 보내고 신차를 뽑으려 했으나 곧이어 감사원의 지적으로 무산되었다. 외적인 문제이지만 이 사건으로 철도청은 천안 연장 구간 중 수원 - 병점 구간만이라도 먼저 개통해 수원역 평면교차 문제를 해결했다.
수리 및 신규 제작은 주식회사 로템에서 진행하기로 결정되었고 공장으로 수송되었다. 직접적으로 들이받혀 두 동강 절단파손된 선두차량(1014호)은 폐차되고 1911호로 새로 제작했다. 선두차량에 인접해 있던 1999년산 2량(1114, 1314호)도 폐차 후 차체는 1711, 1811호로 새로 제작했으나 출입문은 기존 1999년산 출입문(얇은 쇠창틀)을 재활용했다. 1711, 1911호는 두꺼운 쇠창틀 통로문이지만 1811호는 현대정공에서 사용하던 얇은 쇠창틀 통로문이다. 선두차에 인접해 있었던 1314호 통로문은 찌그러져 있었다.
중파된 1989년산 4량(현 1611, 1511, 1411, 1311호)은 약간의 수리를 거치면서 1511, 1611호 통로문도 기존 마일드 스틸 통로문에서 스테인리스 통로문(두꺼운 쇠창틀)으로 교체되었고,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내장재 교체사업 기간과 겹치며 수리하는 겸 내장재까지 불연재로 교체한 뒤 2004년 11월 8일에 최종적으로 반입되었고, 2004년 11월 12~19일 동안 시운전을 거쳐 2004년 11월 20일에 111편성으로 바뀌어 운행을 재개했다.
사고 후 경과 보고서
그래서 현재 111편성은 일부 칸[E]이 다른 저항제어 전동차들과는 달리 때깔이 좋은 편이며, 창문도 낙창식과 반개폐식으로 나뉘어져 있고, 출입문 창문도 직사각형[E]과 정사각형으로 나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얇은 창틀과 두꺼운 창틀로 나뉘어져 있는 짬뽕편성이다. 단 두꺼운 창틀인 객차는 신조 투입 객차 중 유일하게 1911호에만 있으며, 10량 중 5량은 낙창식, 또 다른 5량은 반개폐식으로 반반편성이다.
1989, 1999, 2004년식 차량이 혼합된 형태를 하고 있다. 다만 1989년산 객차와 1999년산 및 2004년산 객차의 연식 차이가 크기 때문인지 대대적인 보수 전부터 객차 내 전등이 깜박거리고, 출입문에 따라 개폐 속도가 다른 등 잔고장이 많다. 그리고 다른 차량들은 대대적인 보수 후로 출발 시 끽끽거리는 소음이 거의 사라졌지만, 111편성은 대대적인 보수 전보다 발차 소음이 더 심해졌다. 그 후 다시 재보수 작업을 거치며 잔고장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소음 문제는 있다.
111편성의 1711~1911호는 유난히 '마지막' 이라는 타이틀이 많이 붙는 차량이다. 해당 차량들은 한국의 모든 동력분산식 중전철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일반석에 3분할 개폐식 창문을 적용했고[46], 가장 마지막으로 마일드 스틸 차체를 적용했다. 또한, 이들은 한국의 마지막 저항제어 전동차이며 코일 스프링 대차 또한 동력분산식 전동차 중에서는 가장 마지막으로 적용되었다. 1911호의 경우 한국의 모든 철도 차량 중 롤지를 장착하고 출시된 마지막 차량이다.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의 차이가 있다. 1989년산 차량인 1011, 1311, 1411, 1511, 1611호는 출입문 개폐 시 소음이 시끄러운 편이며 1999, 2004년산 차량인 1111, 1211, 1711, 1811, 1911호는 출입문 개폐 시 공기 빠지는 소음이 줄어들었다.
1989년산 차량은 기존 저항제어 전동차와 동일한 수준으로 들리며, 1999, 2004년산 차량은 VVVF 전동차와 동일한 수준으로 들린다. 대차분이 운행이 개시되는 시점인 2027년쯤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면서 2027~2029년에 퇴역할 예정이다.
5. 기타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3~4차분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됐다.<rowcolor=#fff> 115편성 1115호 내부 (로윈 개조) | 111편성 1311호 내부 (로템 개조) |
5.2. 개번
<rowcolor=#ffffff> 편성 번호 개번 | ||
<rowcolor=#ffffff> 개번 시기 | 개번 전 | 개번 후 |
2002년 | <colcolor=#0052a4> 108~110편성 | <colcolor=#0052a4> 112~114편성 |
2004년 | 107편성 | 111편성 |
[1]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 운행하며, 양주역 이북, 병점역 이남, 광명역에서는 운행하지 않는다.[2] 사진에 나온 1033호는 6량편성 시절의 사진으로 차후 8량, 10량화를 거쳐 1111호로 재편되어 운행함. 6량편성 시절의 차량번호는 1033-1333-1633-1334-1634-1034(1X17편성)이었다.[3] 1974 ~ 1994 터널 도색, 1994 ~ 2002 역삼각, 2002 ~ 2003 멜론 도색, 2003 ~ 2021 자석도색, 2021 ~ 신도색[A] XX=2(해당 편성-100)-1[A] [A] [A] [A] [B] YY=2(해당 편성-100)[B] [B] [B] [B] [A] [A] [A] [B] [B] [B] [20] 출처: 서울지하철 건설 삼십년사[21] 이 스티커는 2010년대 초반 서울메트로 시절에 부착한 뒤 바꾸지 않은 상태다. 2024년 현재를 기준으로 하면[22] 몇년 전까지만 해도 경부선 광운대~서동탄 구간 위주로 운용하다가 2020년대 들어서는 대부분 경원선과 경인선 구간에서 많이 보여 해당 구간에서 이용하는 고객들은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23] 오히려 1990년대에 나온 VVVF 전동차들이 2020년대 들어 부품 수급문제 및 대차 균열문제로 인해 신차로 대차중에 있다.[24] 참고로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는 1, 3, 4호선의 경우, 열번 앞에 K가 붙으면 코레일 차량, S가 붙으면 교통공사 차량이다.[25] 군자 차량기지에서 중검수를 위해 차체를 대차에서 해체시킨 모습이다.[26] 당시 10량으로 증량되면서 T카만 냉방화가 되었다.[27] 이 때 의정부 방향 1016호는 108편성이었으며, TC칸은 1999년 폐차되었고, 나머지 차량은 112편성으로 변경되었다.[매각예정] [29] 참고 자료,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30] 단, 2002년은 전부 VVVF차량의 부수객차로 개조되었다.[31] 1113(현 1111), 1313(현 1211), 1114, 1314호 및 1711, 1811, 1911호는 신저항에 속한다.[32] 107편성 당시 10호차인 1014호는 원래 103편성의 1506호 출신이었으나 사고로 인해 조기 폐차되었다. 사고 복구분인 8호차와 9호차는 본래 1999년에 신조도입한 4차분이었다.[33] 1호차는 103편성, 4~7호차는 107편성[34] 중간차는 108편성, 선두차는 104편성[35] 중간차는 109편성, 선두차는 105편성[36] 중간차는 110편성, 선두차는 106편성[37] 중간차는 115편성 그대로, 선두차는 113편성[38] 중간차는 116편성 그대로, 선두차는 114편성[39] 반면 1994년에 만들어진 294편성은 사고 후 폐차되었다.[40] 1호선은 음성광고 계약을 하지 않는 노선이라서 송출하지 않는다.[41] 참고 자료,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42] 물론, 이 기록이 깨지게 될수도 있다.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가 1996년에 처음 생산되어 현재 계획으로는 2035년까지 운행하게 될 예정인데, 실제로는 하양 연장 개통으로 인해 노후화가 빨라지면 퇴역시기 또한 이보다 빨라질수 있기에, 엄밀히 말하자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43] 「안개 속 전동차 추돌, 40여 명 다쳐」, KBS, 2002-02-22[E] 1111, 1211, 1711, 1811, 1911호[E] [46] 이후 신조되는 전동차들은 통유리 창문을 달고 나온다.[47] 1011~1611호만 해당되며 1711~1911호는 도입당시부터 불연재 내장재 상태로 반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