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1:34:0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예장합동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파일:십자가_투명.png
나무위키 등재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교파 교단
감리회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 · 파일:예수교대한감리회 상징.svg 예수교대한감리회
구세군 파일:구세군 방패(국문).svg 구세군대한본영
루터교회 파일:기독교한국루터회 엠블럼.svg 기독교한국루터회
복음교회 파일:기독교대한복음총회 로고.png 기독교대한복음교회
성공회 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 대한성공회
성결교회 파일:기독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파일:나사렛교회 로고.svg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 파일:예수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오순절교회 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엠블럼.svg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 파일: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로고.png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 모음.jpg (개혁)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고신)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신) ·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대신석수)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백석)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교단심볼.svg (백석대신)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중앙) 상징.svg (중앙)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통합)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합동) · 파일:합동총신측고화질.jpg (합동총신측)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합신)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 한영 로고.gif (한영) · 파일: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_로고_2.png 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 ·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침례회 파일:기독교한국침례회 상징.svg 기독교한국침례회
}}}}}}}}}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한국교회총연합 아이콘.svg한국교회총연합
회원교단, 협력기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ff,#000 회원교단}}}
[[장로회|{{{#000,#fff 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pn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 2.jp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개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교단심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성경) 대한예수교장로회(웨신) 대한예수교장로회(정통보수) 대한예수교장로회(진리)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피어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동신)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보수)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보수A)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목)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루터교회|{{{#000,#fff 루터교회}}}]] [[감리회|{{{#000,#fff 감리회}}}]] [[침례회|{{{#000,#fff 침례회}}}]]
파일:기독교한국루터회 엠블럼.svg 기독교한국루터회 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 파일:예수교대한감리회 상징.svg 예수교대한감리회 파일:기독교한국침례회 상징.svg 기독교한국침례회
{{{#000,#fff 그리스도의 교회}}} {{{#000,#fff 오순절교회}}}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 그리스도의교회 교역자협의회 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엠블럼.svg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파일: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로고.png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000,#fff 성결교회}}}
파일:기독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파일:나사렛교회 로고.svg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파일:예수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예수교대한성결교회
{{{#fff,#000 협력기관}}}
월드비전 평화통일을 위한 연대 기아대책 사단법인 한국교회봉사단
한국호스피스협회 세계성시화운동본부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 사단법인 하늘에(극단)
사단법인 더불어배움 한국대학생선교회(CCC) 국민일보 저출산대책본부 나부터캠페인
(사)한국교회법학회 사단법인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사학법인 미션네트워크 (사)새희망교화센터
(사)한국기독교문화유산보존협회 (사)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굿피플인터내셔널 }}}}}}}}}

파일:한장총 로고.png한국장로교총연합회(CPCK)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pn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동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기독)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합복)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선교)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 한영 로고.gif 대한예수교장로회(한영)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해외)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장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 2.jp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개신)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대한예수교장로회(웨신)
한국장로교총연합회 홈페이지의 회원교단 순서를 따름.
}}}}}}}}}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
大韓예수敎長老會總會(合同)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colbgcolor=#3cafff><colcolor=#fff> 표어 교회여 일어나라! (사도행전 6:7)
약칭 예장합동
설립연도 1884년 9월 20일 (조선장로교공의회)
1912년 9월 1일 (조선예수교장로회)
194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1960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1])
소속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총회장 김종혁 목사[2]
부총회장 장봉생 목사[3], 김형곤 장로
총무 박용규 목사[4]
교인 수 2,250,530명 (국민일보, 2023년#)
교단 기관지 기독신문[5]
교단 출판사 총회출판국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30 (대치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조직
3.1. 역대 총회3.2. 노회 목록3.3. 소속 교회3.4. 전국 분포3.5. 산하 학교3.6. 소속 교회가 설립한 학교
4. 특징
4.1. 교단 교류단계 분류 및 현황
5. 가톨릭 및 타 교단에 대한 입장6. WEA와의 교류에 대한 입장7. 사건사고 및 논란
7.1. 총회장의 기저귀 발언7.2. 교단총회 가스총 사건7.3. 목사 칼부림 사건7.4. 총신대 사유화 사태7.5. 코로나 19 방역조치 비협조
8. 파생교단

[clearfix]

1. 개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제 105회 총회 홍보영상

대한민국장로회 교단 중 하나로 약칭은 예장합동이다.

1884년 조선장로교공의회를 계승하여 1912년에 설립된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모태로 한다.

대한민국장로회 양대 교단 중 하나이자한국 개신교계에서 오랜 역사와 신학적 정통성을 지닌 교단이다.

예장합동은 통합·고신 그리고 기장과 같은 '조선장로교'로서의 뿌리를 가지며, 조선장로교는 감리회와 함께 구한말 한국에 최초로 선교된 개신교이다.

국내 대표적인 보수교단으로 꼽히며, 전반적으로 개혁주의적 복음주의, 청교도적 칼뱅주의의 색을 띠고 있고 보수~중도 보수적인 복음주의[6] 신학관을 지닌 교단이다.[7][8]

다만 이 교단은 근본주의 교단은 아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이나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기타 보수 교단들에 비하면 현대신학과 중도~진보적인 개신교 교단들, 기독교 타종파에 대해 더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래서 학자에 따라 신학적 성향을 중도 보수 포지션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사실 교단 내에 매우 보수적인 목회자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교단 전체의 성향까지 근본주의인 것은 아니다. 이는 ICCC 같은 전세계 보수 교회 연합체에 대해 합동 교단에 속한 목회자와 신학자들이 지나치게 분리주의, 근본주의적이라고 말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현재 이 교단은 전세계 보수 개혁주의 교단들의 연합체인 WRF에 속해있다. 이 WRF는 신학적으로 중도~온건 보수 성향에 가까운 세계복음주의연맹(WEA)의 회원이다.[9] https://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17824 그리고 이 교단의 신학교인 총신대학교세계복음주의연맹(WEA)의 회원인 '아시아신학연맹'(ATA) 회원 단체다.

그리고 보수 장로교 교단들과 진보 장로교 교단들이 모여 각종 사안들에 대해 회의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한국장로교총연합회'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단 이름으로 직접 가입한 상태다. http://www.cpck.kr/about/sub05.htm 한국 최대 정통 개신교 교단 연합체인 한국교회총연합(신학과 정치 모두 중도적 성향)의 회원이기도 하다.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652

2. 역사

대한민국의 장로교는 1885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인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조선장로교공의회가 독노회를 조직하였고, 1912년 목사 96명과 장로 125명의 총대가 모여 평양신학교에서 첫 총회를 열었다.[10]

1949년 제35회 총회 명칭을 현재의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변경하였다.

이후 에큐메니컬 (교회일치운동)과 WCC와의 문제로 제44회 총회가 파행되자 1959년 11월 24일 연동교회에 모인 찬성파, 이른바 연동측은 대한기독교장로회 일부 온건파를 흡수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을, 승동교회에 모인 반대파, 이른바 승동측은 1951년 독립해 나갔던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단과 합동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을 결성하였다.

통합측과 분열 당시 평안남도, 황해도 출신이 주로 합동측에 가담하였다.[11] 그러나 1962년 예장합동이 국제기독교연합회(ICCC)와의 관계를 단절하는 데 반발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이 분리해 나간데 이어 1963년에는 예장합동 출범에 동참하였던 예장고신도 부산신학교(현 경성대학교)와 고려신학교(현 고신대학교)의 통폐합 추진 과정에서 반발하여 결국 1963년 예장고신이 다시 환원해 나갔다.[12] 이후 1979년 주류 세력과 비주류 세력의 갈등을 계기로 사분오열을 거쳤으나, 2005년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광주[13], 2010년 예장호헌 일부 교회를 다시 흡수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 장로회 분열사 문서 참고.

3. 조직

2024년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교단통계
<rowcolor=#000> 구분 내용
<colbgcolor=#fff,#191919> 노회 164개
교회 11,920개
교역자 <colbgcolor=#fff,#191919> 목사 24,926명
강도사 666명
전도사 10,643명
총계 36,235명
교인 장로 22,336명
세례교인 2,351,896명
총계 2,410,467명
선교사 선교사 2,602명
가정 1,445가정
파송국가 96개 국
군목 육군 41명
해군 7명
공군 13명
제106회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 조직
<rowcolor=#000> 임원회
총회장
목사 부총회장 장로 부총회장
총무 서기 회록서기 회계
<rowcolor=#000> 상비부서
정치부 전도부 교육부 헌의부
재정부 면려부 학생지도부 구제부
규칙부 고시부 농어촌부 군선부
노회록검사부 재판국 출판부 경목부
감사부 은급부 신학부 사회부
순교자기념사업부
<rowcolor=#000> 위원회
총회실행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이단(사이비)피해대책
조사연구위원회
이슬람대책위원회
통일준비위원회 총회역사위원회 세계교회교류협력위원회 교회생태계대응위원회
미래정책 전략개발위원회 은혜로운 동행 기도운동본부 화해중재위원회 재개발특별위원회
부목사 노회 투표권 연구위원회 총신조사처리 및 중장기발전
연구위원회
총회신학원 복원 및 편목과정
소위원회
기독신문 구조조정위원회
경기중앙노회 및 경기동부노회
합병처리위원회
여성사역자 지위향상 및
사역개발위원회
총회위기대응본부

3.1. 역대 총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역대 총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노회 목록

노회는 예장합동에 속한 교회들을 관할하는 권역별 구성체이다. 노회마다 시찰회가 존재해서 노회에서 결정된 행정, 재무 안건 사항을 시찰회를 통해 관할 노회에 속한 교회들을 등록, 지원, 관리한다. 장로회 특성상 노회는 지역 또는 여러 뜻에 맞는 몇 개 이상의 교회가 모여 구성하는 것이므로, 보통 결성된 지역의 이름을 차용하지만 그 지역의 교회를 관할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정당처럼 노회도 분립과 통합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아래는 현재 예장합동에 속한 지역별 노회 목록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노회 현황 (가나다순)
강동노회 강북노회 강원노회 감중노회 개성노회 경기남노회 경기노회 경기동중노회
경기북노회 경기서노회 경기수원노회 경기중부노회 경남노회 경남동노회 경동노회 경북노회
경상노회 경서노회 경성남노회 [14] 경성노회 경신노회 경안노회 경인노회 경일노회
경중노회 경천노회 경청노회 경평노회 경향노회 고흥보성노회 관서노회 광서노회
광주노회 광주전남노회 광주제일노회 구미노회 군산남노회 군산노회 군산동노회 김제노회
김천노회 남경기노회 남광주노회 남대구노회 남부산남노회 남부산동노회 남서울노회 남수원노회
남울산노회 남전주노회 남중노회 남평양노회 남황동노회 뉴질랜드노회 대경노회 대구노회
대구동노회 대구수성노회 대구중노회 대전노회 대전중부노회 대전중앙노회 동광주노회 동대구노회
동대전제일노회 동목포노회 동부산노회 동서노회 동서울노회 동수원노회 동안주노회 동인천노회
동전주노회 동평양노회 동한서노회 목포노회 목포서노회 목포제일노회 무안노회 미주동부노회
미주서부노회 부산노회 부천노회 북전주노회 북평양노회 빛고을노회 산서노회 삼산노회
새한서노회 서강노회 서경노회 서광주노회 서대구노회 서대전노회 서부산노회 서서울노회
서수원노회 서울강남노회 서울강서노회 서울남노회 서울노회 서울동노회 서울북노회 서울중노회
서울한동노회 서인천노회 서전주노회 서중노회 서평양노회 성남노회 소래노회 수경노회
수도노회 수원노회 순천노회 시화산노회 신안주노회 안동노회 여수노회 영남노회
용인노회 용천노회 울산노회 의산노회 이리노회 인천노회 전남노회 전남제일노회
전북남노회 전북노회 전북서노회 전북제일노회 전서노회 전주노회 제주노회 중경기노회
중부산노회 중서울노회 중앙노회 중전주노회 진주노회 충북노회 충북동노회 충청노회
평남노회 평북노회 평서노회 평안노회 평양노회 평양제일노회 평중노회 한남노회
한서노회 한성노회 함경노회 함남노회 함동노회 함북노회 함중노회 함평노회
함흥노회 호남노회 황동노회 황서노회 황해노회


파일:CC-white.svg 이 노회 목록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노회 목록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3. 소속 교회

장로회/교단 목록 문서 참조

3.4. 전국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수도권[15]전북, 광주를 포함한 전남 중서부[16], 부산을 비롯한 경남 동부[17], 대구를 포함한 경북 남부 지역[18]에서 상대적으로 교세가 크며, 강원[19], 충남[20] 및 충북 북부[21], 경북 북부 및 동해안[22], 전남 동부[23], 제주특별자치도[24] 지역은 상대적으로 교세가 약한 편이다.

3.5. 산하 학교

보수 장로회를 대표하는 교단 특성상 산하 미션스쿨도 기독교학풍이 강하게 선명하다는 특징이 도드라진다.[25] 한국의 대학 축제에서 술이 금지된 2018년 이전에도 합동 측 미션스쿨은 캠퍼스에서 금주였고, 신학생의 경우에는 금연도 해야한다.

3.6. 소속 교회가 설립한 학교

4. 특징

4.1. 교단 교류단계 분류 및 현황

교단교류단계 교류 교단 현황
동반자관계그룹 WRF(세계개혁주의협의회), PCA(미국장로교회), IPB(브라질장로교회), NPM(멕시코민족장로교회), EPRP(페루복음개혁장로교회), OPC(미국정통장로교회), WKPC(세계한인예수교장로회)
선교협렵교류그룹 CRC(북미기독교개혁교회), GSKA(남아공개혁교회), FCS(스코틀랜드자유교회), CGK(화란기독개혁교회)
일반협력교류그룹 RCJ(일본그리그도개혁파교회), ARPC(연합개혁장로교회), KAPC(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30]

5. 가톨릭 및 타 교단에 대한 입장

가톨릭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으나 완전 배척도 아니다. 오히려 가톨릭 신학을 참고하여 책에서 인용하는 목사들도 꽤 있다. 심지어 오정호 목사나 옥한흠 목사처럼 세계교회협의회(WCC)와 천주교에 대해 복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는 신학자와 목사들도 있다. 이처럼 완전 배척이 아닌 이유는 장로교 합동 교단의 교수와 목사들이 WEA(세계복음주의연맹)이라는 온건한 기독교 교회 연합체에서 활동하기 때문이다.

성공회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경우가 많다. 많은 교회가 C.S. 루이스존 스토트의 책들을 성도들의 교리 공부 교재로 사용한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와 같은 진보적 혹은 중도적인 교단들과도 정기적으로 교류한다. http://www.christianwr.com/news/articleView.html?idxno=6966 https://www.kmib.co.kr/article/view_amp.asp?arcid=0020758493

그러나 가톨릭에 대해서는 교단내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부정적으로 보는 인사들 역시 아직까지는 많은 편이다. 2014년 제99회 총회에서 예장합동은 수십년간 재교육만 실시하면서 받아들이던 가톨릭 출신 개종자의 세례성사를 인정하지 않기로 결의한데 이어[31] 2015년 제100회 총회에서는 "성경에 비추어 볼 때 가톨릭은 이단도 아니고 전혀 다른 별개의 종교(이교)다"는 식의 입장을 보였다.

그러다가 2019년 104회 총회에서는 가톨릭 이교 취급에 대한 청원 자체에 대해 논하지 않음으로써, 가톨릭이 '이단적 요소는 있으나 이교는 아닌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교는 아니라고 결론 지은 이유는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삼위일체 신앙을 가진 기독교 공동체이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2023년에는 합동 교단 신학부에서 가톨릭 세례를 다시 인정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입교 교육을 철저히 시키는 것으로 보완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교단 내 신학자들 중 일부는 가톨릭 논쟁에 참여하면서 가톨릭 교리의 긍정적 요소를 재평가한 보수주의 신학 거장들을 언급하거나 교회사를 언급하면서 가톨릭을 완전한 이단 혹은 이교로 볼 수 없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총신대 원로 신학자들, 원로 목사들, 현직 교단 내 신학자들은 세계복음주의연맹과 같이 가톨릭과의 대화에 적극적인 보수 개신교 조직체와의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일부 교계인사들의 주장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오히려 현재는 교회일치운동에 약간 호의적인 세계복음주의연맹에 합동 교단이 운영하는 총신대가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합동 교단이 속한 가장 보수적인 교회들의 연합인 WRF(고신 교단이 참여하는 ICRC보다 덜 보수적이나 WEA에 비하면 보수적이다.)도 세계복음주의연맹의 회원이다.

사실 삼일교회 송태근 목사나 사랑의 교회를 세운 고 옥한흠 목사, 오정현 목사, 오정호 목사처럼 가톨릭 정교회, 현대 신학에 어느 정도 열려있는 지도자들도 교단내에 꽤 있다.

일례로 옥한흠 목사는 천주교 신학자 한스 큉의 책에서 영감을 얻어 목회철학을 재구성하였고 이는 그의 저서 <평신도를 깨운다>(한국교회의 문제 비판과 해결책 제시가 잘 이루어진 책이다.)에 고스란히 나타나 있다. 또 그는 WCC의 초기 지도자가 쓴 <평신도 신학>을 제자훈련 프로그램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최근에 오정현 목사가 목회를 하고 있는 사랑의 교회 QT 교재는 두달 연속으로 헨리 나우웬의 책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성공회 고교회파 사제 로완 윌리엄스의 책도 소개하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사랑의교회 산하에 있는 국제제자훈련원은 로완 윌리암스의 최신작을 직접 번역하였다. 또 오정현 목사는 그의 책 <온전론>에서 가톨릭 신부 브레넌 메닝의 책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오정현 목사는 로완 윌리엄스의 책에 추천서를 남겼고 가장 가톨릭 요소가 잘 나타나는 헨리 나우웬의 <집으로 가는 길>을 탐독하기도 하였다.

새로남교회를 이끄는 오정호 목사는 WCC에 대해 너무 배척해서는 안된다고 했다가 교단 내 보수주의자들에게 비판받기도 했다. 그가 WCC 가입 교단인 감리교 산하 목원대 명에박사학위를 총신대 학위보다 먼저 받은 것도 공격거리가 되었다.

송태근 삼일교회 목사는 가톨릭 출판사인 분도출판사에서 나온 천주교 신학 서적을 읽고 좋은 점을 배우기도 한다고 과거 인터뷰에서 밝혔다.

총신대 박용규 교수, 김지찬 교수, 주종훈 교수 등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고교회파 혹은 새로운 바울 신학으로 논쟁의 중심에 선 톰 라이트와 같은 현대신학에 열려있는 총신대 파벌도 있다. 이들의 목소리가 서청원 교수 등 엄격한 반가톨릭파보다 크다.

정리하자면 여전히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 비해 가톨릭에 대한 시선이 곱지는 않지만 박형룡 목사가 이끌던 과거에 비하면 가톨릭 신학을 참고하는 목사들도 늘어나는 등 상당히 유해졌다고 볼 수 있다.

6. WEA와의 교류에 대한 입장

전세계 보수~중도 개신교 교회들의 유엔이나 다름없는 세계복음주의연맹(WEA)이 가톨릭과 여러 가지로 협력하고 있고 공통점도 찾아나가고 있는 상황에서(그러나 WCC에 비하면 훨씬 더 신중한 입장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신학자, 목사들이 단체와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32]

근본주의 계열의 목회자, 신학자, 성도들은 이러한 합동 교단조차 가톨릭, 현대 신학에 지나치게 타협적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물론 WEA는 WCC보다는 더 보수적이며 파리올림픽 때도 전통적인 성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천주교에 대해서도 약간 긍정적으로 보지만 무조건 포용하지 않는다. 신학적으로 민감한 영역인 기독교의 예배론, 성화론에 대해서 가톨릭과 WEA가 대화할 때에 별로 언급하지 않는다.

현재 세계복음주의연맹 잔류파와 탈퇴파가 대립하고 있으며 박용규 교수, 오정현 목사, 오정호 목사, 강승삼 목사 등 교계 주요 지도자 및 신학자들은 탈퇴에 대해 회의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세계적인 보수 개혁주의 신학자 정승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이면서 보수적인 신학 입장을 견지하는 김영한 박사, WEA 의장을 역임한 보수 교계 대표적인 지도자 중 한 사람인 김상복 할렐루야교회 목사 등이 우려하는 입장을 밝히기도 하였다.(탈퇴하지 말 것을 권고중)https://kr.christianitydaily.com/articles/108261/20210322/wea%EC%9D%98-%EC%8B%A0%EC%95%99%EA%B3%A0%EB%B0%B1-%EC%84%A4%EB%A6%BD-%EC%B4%88%EA%B8%B0%EB%B6%80%ED%84%B0-%EC%84%B1%EA%B2%BD%EC%97%90-%EA%B8%B0%EC%B4%88.htm

https://kr.christianitydaily.com/articles/105908/20200915/%EA%B9%80%EC%98%81%ED%95%9C-%EC%B9%BC%EB%9F%BC-%ED%95%9C%EA%B5%AD%EA%B5%90%ED%9A%8C%EB%8A%94-wea%EC%99%80-%EA%B8%B4%EB%B0%80%ED%9E%88-%EA%B5%90%EB%A5%98%ED%95%B4-%EC%84%A0%EA%B5%90-%EC%98%81%ED%96%A5%EB%A0%A5-%EB%84%93%ED%98%80%EC%95%BC.htm

http://www.am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06

2019년에는 WEA를 적대시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총신대 교수들, 신학위원회 인사들의 의견이 총회에서 받아들여졌다.

이후 2021년 다시 WEA 문제를 놓고 논쟁이 벌어져 공청회를 3차에 걸쳐 다시 진행하였다. 세계교회교류협력위원회를 통해 정해 놓은 기준으로 WEA와의 교류에 대해서 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722

2021년 합동 총회에서는 'WEA 단체와 교류 단절하냐 마냐는 걍 이야기하지 말자'로 결론이 났다. 즉, WEA 찬성파와 반대파 양측의 갈등이 너무 격하여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는 않은 것이다.

2024년 11월 11일 사랑의교회오정현 목사가 세계복음주의연맹 총회를 유치하였다. 11월 15일 유치 감사예배가 예정되어 있다. 이는 교단 차원의 연합과 교류가 아닌 개교회적 차원의 교류이다.

교단내에서 몇차례에 걸쳐 탈퇴 혹은 교류단절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 이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이유는 애초에 합동교단은 WEA회원이 아니기 때문에 탈퇴를 할 수 없고 교단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교류한 적은 없기 때문이다. 합동교단의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알수 있듯 정식으로 교류하는 곳은 WRF 뿐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WRF가 현재 WEA(세계복음주의연맹의 회원 단체기 때문에 합동 교단이 WEA 소속이나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더 넓은 신학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단체의 회원이라고 그 회원의 신학적 스펙트럼이 교류하는 단체 전체의 스펙트럼과 같다는 말은 틀렸다. 개신교와 천주교를 아우르는 스펙트럼이 기독교이나 엄밀히 개신교와 천주교가 다른것과 마찬가지다. WEA의 스펙트럼에 WRF가 속한다고 해서 WEA 소속 에큐메니컬교회와 WRF의 신학적 스펙트럼이 같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 WEA에는 합동교단의 신학, 신앙고백과 일치하는 교회가 있어 그들과 교류할 때의 교회적 유익이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교단 내 목회자들 입장에서는 더 넓고 포괄적 스펙트럼의 WEA와의 교류에 대해 신중히 접근하는 것이다. 합동교단의 입장에서는 우선 현재 교류하고 있는 WRF의 회원교회들과 신학적 일치와 하나됨의 유익을 더욱 누리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WEA와의 교류 문제는 조급할 것 없이 신학부와 세계교회교류위원회에 맞겨 충분히 확인하고 검증한 이후 논의해도 늦지 않다.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단, 총신대는 WEA의 회원단체인 WRF, '아시아신학연맹'(ATA)의 회원이다.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98054 https://www.kidok.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210893

이 논란과 관련해서 세계복음주의연맹(WEA) 문서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7. 사건사고 및 논란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1. 총회장의 기저귀 발언

2003년 11월 12일, 당시 총회장이었던 임태득 목사[33]총신대 채플에서 여성 안수에 대해 "여자들이 기저귀 차고 강단에 올라가? 안 돼!"라고 발언해서 논란이 되었다.#1#2

결국 총신대 학생들을 시작으로 여러 반발들이 나온 끝에 결국 당사자인 임 목사의 사과로 마무리되었고 임태득 목사는 총회장직을 자진사퇴하고 만다.#

참고로 예장합동은 여성의 목사 안수에 반대하는 보수 교단 중 하나다.

7.2. 교단총회 가스총 사건

2012년 9월 17일, 교단총무인 황모 목사가 총회장에서 가스총을 꺼내들어 문제가 되었다.# 해당 목사는 1990년에도 아버지가 자신에게 교회를 물려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패륜폭력을 휘두른 전적이 있으며#, 몇년 뒤 후술할 칼부림 사건을 일으켜 제명되고 수감되었다.

7.3. 목사 칼부림 사건

2015년 10월 22일, 예장합동 교단총무를 역임했던 상단의 가스총 목사인 황모 목사가 박모 목사를 찾아가 칼부림한 사건이 벌어졌다.# 둘 다 부상을 입어 병원으로 후송됐다. 그리하여 예장합동 교단에서 당사자들을 출교 처분했다.#

7.4. 총신대 사유화 사태

총회 직영 교육기관인 총신대학교의 사유화 논란이다. 해당항목 참조

7.5. 코로나 19 방역조치 비협조

총회에서 각 교회에 공문을 내려 지도, 감독 차원에서 일부 공무원들이 강제적으로 예배당을 진입하려는 것은 종교탄압이자 신성모독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예배에 심각한 훼손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공무원들이 교회에 들어올 때는 예배를 지도, 감독하는 것이 아니라 '예배자로 참여해야 한다'는 발언을 하면서 예배당 출입 확인서에 동의하고 서명한 후 들어오도록 할 것을 요구했다. 성명서##

한편, 공정한 공무집행을 수행한다면 같은 수준의 행정감독을 기타 기관과 사업장에도 적용하는 것이 옳으나 유독 개신교 교회에만 고집하며 언론과 함께 지적하는 것은 종교탄압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결론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교계 일각에서는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일부 교회들의 행태 때문에[34] 방역수칙을 잘 준수하고 있는 교회들에게까지 과도하게 공무집행을 하는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코로나 발병 초기에는 일부 교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회에서 코로나 확진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8. 파생교단

합동 교단은 유독 내부 분열이 심했기에 파생교단이 대략 160개가 넘는다.[35] 게다가 그만큼 소멸하거나 근황을 알 수 없는 군소교단도 매우 많다. 그래서 교육부에게 인가받은 교육기관이 있는 교단을 우선해서 작성하며, 인가받은 학교가 없는 교단들은 되도록 연관된 다른 교단과 함께 묶어서 서술하기 바람. 그리고 인가받은 학교가 없는 예장 합동 계열 교단들은 미인가 신학교를 설립했지만, M.Div 학위를 총신대학교(혹은 칼빈대학교, 대신대학교, 광신대학교)에서 취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예장통합의 분립으로 인한 "합동" 명칭 사용 시점.[2] 울산 명성교회 담임목사.[3] 서울 서대문교회 담임목사.[4] 대구 가창교회 원로목사.[5] 정식 교단 기관지가 아닌 예장합동 계열의 인터넷 언론으로 소장파 계열의 교갱뉴스, 보수 성향의 기독신보, 합동헤럴드 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총회와 관련이 없고 논조 또한 교단의 공식적 입장과는 별개다.[6] 신복음주의, 영미 복음주의.이 사상은 근본주의보다는 진보적이고 자유주의나 신정통주의보다는 보수적인 입장이다. 참고로 교세가 비슷한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은 영미 복음주의보다 상대적으로 자유주의적인 유럽(광의적) 복음주의와 신정통주의 성향을 보인다.[7]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보다 보수적이고, 대한성공회기독교대한감리회, 한국기독교장로회보다 훨씬 보수적이다.[8] 미국 장로교단들 중 미국 장로회(PCA)와 교류하고 있다.[9] 이 교단이 세계복음주의연맹에 교단 차원에서 들어가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적 혹은 교회적 교류와 교단의 교류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제102회 총회에서 결의된 사항으로 합동교단은 현재 WRF의 회원교단인 것만 확인된다.[10] 이때 강학상 합동 교단이 갈라진 것으로 인정이 되었다. 즉 1912년 교단이 분리된 것이 통설인 셈이다. 다만, 장신이든 총신이든 신학교 설립은 동일하게 1901.05.15.(양)으로 지정.[11] 그래서 평서노회, 평남노회, 황해노회 등이 현재 합동 교단에 있는 것이다.[12] 본래 예장고신에 속해 있다가 예장합동에 합류한 교회들 중 이때 환원하지 않고 합동에 잔류한 교회들이 지금도 상당수 남아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13] 그 과정에서 광신대학교가 합동 교단으로 넘어왔다.[14] 2020년 7월 삼산노회에서 분립[15] 특히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는 예장합동이 압도적 우위이며, 수도권 내에서 인구 대비 예장합동 교세 1위이다.[16] 1979년 예장합동에서 갈라져 나가 전남 중서부에서 강세를 보였던 예장개혁 광주측이 2005년 합동으로 복귀하면서 교세가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전남 동부 지역(순천, 여수, 광양, 보성, 구례, 곡성등)은 통합 교단의 교세가 압도적으로 이곳에서는 합동이 힘을 상당히 쓰지 못한다. 전남 서부권에서 가장 유명한 교회는 목포사랑의교회(담임 목사: 백동조)가 가장 크고 유명하다.[17] 실제로 부산의 경우 고신 교단의 본거지임에도 불구하고 300개가 채 못되는 고신 교회보다 오히려 합동 교회가 460여개로 160개 이상 더 많다. 특히 대한민국 합동 교단 교회 중 신자 수/규모 수 2위이고 부산 최대 교회 중에 하나인 수영로교회나 박성규 목사가 시무하는 부전교회도 합동 교단 소속이다. 울산에서는 예장합동이 약세이고, 예장통합의 세력이 강하다.#[18] 대구에서 가장 큰 대구동신교회가 합동이다. 당연히 구미상모교회 또한 합동 교단이며, 김천제일장로교회 또한 합동 교단이다. 대구, 구미, 경산, 칠곡, 청도, 성주 일대에서 상당한 강세를 보인다. 다만 경북 남부에서도 경주, 포항, 영천고령은 통합 교단이 강세이다.[19] 강원권은 2016년 기준으로 11만 명의 교인이 소속된 감리회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합동뿐 아니라 장로회 자체가 감리회보다 교세가 상당한 약세를 보이는 편이다.출처 물론 강원권에도 장로교회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강원권 장로교회, 특히 영동 지방 장로교회의 대부분은 예장통합 교단 소속이다. 그나마 영서 지방, 특히 원주시춘천시에서는 예장합동 교단이 어느 정도 선전하는 편. 인구 대비 비율로 보면 외지인 비율이 95% 정도인 원주가, 절대적인 교인 수로 보면 수도권과 가깝고 전체 인구 중 복음화 비율이 상당히 높았던 춘천이 합동 교단의 교세가 큰 편이다. 강원도 영서 지방이나 다름없는 경기도 가평군은 그나마 합동 교단 교회가 가장 많긴 하나, 그래도 감리회가 좀 더 교세가 강한 편이다. 왜냐하면 역사적으로 보면 가평군의 모교회는 1905년에 설립된 가평읍의 가평중앙감리교회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북감리회와 북장로회가 동시에 선교를 주도하였기 때문이며, 특히 가평읍의 경우에는 춘천으로 이어지는 중간점 역할을 했기에 감리회의 힘이 좀 더 강하다는 가평의 한 목회자 분이 언급한 바 있다.[20] 감리회구세군의 교세가 상당히 강하다. 통합 교단의 교세도 합동보다는 약간 더 강하다. 강원도와 상당히 동일한 편. 다만, 대전은 일단 한국침례신학대학교가 위치한 관계로 침례회의 텃밭으로 인식되는 것과는 별개로 대전을 대표하는 대형 합동측 장로교회인 대전중앙교회와 새로남교회 등이 있어 합동 교단의 교세가 비교적 강한 관계로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천군 또한 충청도 전역에서 예장합동의 교세가 가장 강할 정도로 합동 교단이 압도적인 강세다.[21] 충주. 진천, 음성, 괴산만 해당됨. 특히 충주 지역의 장로교회들은 통합 교단 소속이 압도적이다. 그러나 제천단양은 오히려 장로회 중 예장합동의 교세가 제법 우세한 편이다. 다만, 괴산, 청주, 증평, 진천 일대는 한국기독교장로회 교회도 제법 많이 존재한다.[22] 통합 교단의 교세가 강하다. 다만, 군위의성만은 경북 북부에서 유일하게 합동 교단의 교세가 더 강하며, 과거 강원도 관할이었던 울진은 장로회가 약한 대신 감리회침례회의 교세가 강하다. 울릉에서는 기독교한국침례회 다음으로 큰 교단이 예장통합이다.[23] 상기 내용처럼 통합 교단의 교세가 강하다.[24] 통합 교단과 감리회의 교세가 강하다.[25] 왜 기독교학풍이냐면 신학과를 제외한 학과에서는 천주교, 정교회를 믿는 학생도 많이들 재학하고 졸업했다. 합동에서도 천주교에 대한 입장이 많이 누그러진 이후에는 신학과 학부 과정에서도 천주교 신자들이 입학하기 시작했다. 성공회 박동신 주교도 총신대 출신이다.[26] 받아 적게 하거나 적어준 것이 아니라, 영감을 불어넣어서 성서 저자들이 적도록 영감시켰다는 주장. 사람이 적은 것이니 과학적, 역사적 사실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단 교리적, 도덕적으로는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27] 2010년대에 들어서기 전에는 아주 흔하게 착용했지만 2009년 끝물부터는 그냥 양복을 입고 집례한다. 현재는 예식을 치르는 날이라도 성찬식, 세례식 진행중에만 잠시 덧입었다가 끝나면 도로 벗고 예배의 남은 순서를 이어가는 편이다. 지금도 곧잘 착용하는 목사도 드물게 있기는 하다.[28] 예장합동은 원칙적으로 십자가를 교회당의 표지로써 옥외에 간판이나 첨탑으로 거는 건 허용하지만 예배당 안에 걸어두는 것은 십자가 자체를 우상숭배하는 것이 된다고 보아 총회 결의 및 교단헌법을 통하여 금지하였다. 대신에 합동 교단 예배당들은 교회 표어나 성경 구절, 풀밭 사진을 걸어둔다. 최근에는 예배 때 파워포인트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대형 프로젝터 스크린을 설치하기도 한다. 사랑의교회, 수영로교회, 부전교회가 대표적으로 그런 편이다.[29] 예장합동의 대표적 교회인 삼일교회만 봐도 젊은이들(특히 숙대생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적극적으로 열린예배를 받아들여 시행하고 있으며, 오륜교회의 경우는 한국의 많은 교단들이 이단으로 지정한 신사도 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30] 일본그리스도개혁파교단은 여성안수를 받아들인 것을 고려 동반자그룹에서 일반협력교류로 변경되었고 화란개신교회(PKN)는 동성애허용, 여성안수허용, WCC참여 등으로 교류명단에서 삭제되었다. 위의 표는 교단 산하 세계교회교류협력위원회의 임종구 목사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한 표이다.[31] 사실 이 부분은 한국 가톨릭 측에서도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의 세례를 '사실상'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예장합동의 입장만 비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물론 이는 한국만 그럴 뿐이며, 교황청에서는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받는 적법한 절차를 거친 모든 세례를 인정한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관습적인 절차를 무시하고 신자의 확고한 의지가 있다면 얼마든지 재세례 없이 입교가 가능하다. 아예 공식적으로 결의한 예장합동과는 다른 경우.[32] 유엔이라는 표현은 비유적인 것이다. 그만큼 세계 각지의 복음주의 교회들을 규합하고 있는 단체다. 합동교단은 교단차원에서 정식으로 WEA와 교류하지는 않는다. 개인 혹은 개교회 차원에서 교류할 뿐이다. 교단 내부에서는 WEA와 교류를 확대하자는 쪽과 교류를 그만하자고 하는 쪽이 대립중이다. WCC에 반대하여 태동된 합동교단의 역사로 볼때, 교단차원에서의 교류를 하기에 앞서 신중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33] 1937~2009. 경북 청도 출생. 대구대명교회 원로목사. 대구, 남대구 노회장을 역임하였다.[34] 대표적으로 예장대신(복원)의 사랑제일교회가 있다. 이 교회가 서울시 공무원들에게 깽판을 치면서 다른 개신교계의 이미지까지 나빠졌다. 사실 사랑제일교회가 속한 대신복원은 사랑제일교회의 담임목사인 전광훈이 직접 만든 곳이라 주류교단이 아닌게 사실이다. 그리고 이름만 보면 멀쩡한 교회같은 사이비 종교만민중앙교회의 깽판은 덤이다. 이미 만민중앙교회는 1999년 사상 최악의 방송국 습격사건을 일으켜 사회의 무지막지한 비난을 받은 바 있는 사이비 집단이다.[35] 타 교파로 이동하여 혼종 정통교단이 된 경우, 타 교단에게 흡수되어서 소멸한 경우, 불신자나 타종교 신자가 되어 개신교 신앙을 배교한 경우와 그 파생교단들도 합하면 대략 600개 정도. 이런 경우까지 일일이 다 기록하면 너무 길어지므로 생략한다.[36] 물론 합동 교단의 수뇌부 대다수는 신사참배와 친일에 가담한 자들이 상당수였고, 이들은 고려파 인사들이 축출될 당시 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가 김길창.[37] 말이 이렇다지 실제로는 교단 내의 정치적 문제 등으로 인해 분립해서 새 교단을 차린 합동 계열 군소교단들의 상당수가 예장통합으로 아예 넘어가거나 그나마 성향이 비슷하던 예장백석에게 흡수되고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하다.[38] 이초석 목사 영입에 찬성한 목사들은 예장총회로 남았다. 현재 이초석 목사는 합동, 통합 등 5개 교단에게 이단으로 지정된 상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