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캐비닛(Cabinet)[1]은 어떠한 물건을 담을 때 쓰이는 수납 기구의 일종이다.2. 용도
- 주로 대중목욕탕에서 옷가지 등을 보관할 때 많이 사용된다.
- 회사, 사무실 등의 경우 서류를 보관할 때 쓰는 캐비닛이 있다.
- 아구, 축구, 농구 같은 운동 종목에서 선수들이 유니폼, 각종 기구들을 보관할 때 사용한다.[2]
- 학교에서 사용되는 사물함도 일종의 캐비닛이다.
- 호러 게임에서 주인공이 적으로부터 몸을 숨기는 장소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 스플래툰 3에는 로비의 로커, 즉 캐비닛을 각종 아이템으로 꾸밀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 모범택시 시리즈에서는 평상시에는 서류 캐비넷이였다가 출동시 주인공 및 일행들이 비밀 아지트로 가는 비밀 승강기로 나온다.
- 블루 아카이브에 나오는 하나오카 유즈는 심약한 성격과 대인기피증 때문에 보통 부실의 캐비닛에서 생활한다.
3. 정치은어,밈
누군가의 약점을 잡기 위해 모종의 사유로 묵혀놓은 정치, 사회적 이슈가 등장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검찰이나 경찰 캐비닛을 연다고 표현 한다.
대한민국 기준 캐비닛은 공식적인 캐비닛, 비공식적인 캐비닛이 있다. 공식 캐비닛이란 고위공직자의 인사검증과정에서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이 지휘하는 공직기강비서관을 통해 비밀리에 이루어지며 이때 본인의 신상정보 및 직계가족과 관계자들의 중요 정보들이 수집된다. 이것은 공식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여기서 결격사유가 발생하면 그냥 조용히 인사취소를 하거나 조사,심문등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
비공식 캐비닛은 주로 내사,별건수사라는 형태가 더 유명하고 악명이 높다. 실상 합법적이고 강제적인 신상털이에 가까운데, 대한민국 경찰은 내사의 형태로 범죄혐의가 발견 되었을때 눈에 띄지 않게 정보를 수집한다. 이 과정에서 범죄 혐의가 유력해지거나 확인되면 검찰로 넘어간다. 문제는, 검찰 역시 수사개시권이 있어서 경찰이 수집한 정보와는 별개로 검찰이 직접 수사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검찰 수사관을 동원해 비위사실을 캐내거나, 하나의 범죄를 발견했으면 그 수사를 바탕으로 해당 건에만 수사 및 기소를 해야하는데, 털어서 먼지 안나는 놈 없겠냐라는 식으로 작정하고 용의자의 신상을 합법적으로 탈탈털어서 정보를 수집한뒤, 기소가 가능한 범죄사실과는 무관한 사생활이나, 본인과는 관계없는 지인들의 사생활까지 털어서 가지고 있다가 언론에 몰래 뿌려서 이걸 정치공세나 망신주기 형태로 사람을 괴롭히는데 이용하는 것이다. 정치인의 경우 원래 하는 일이 사람 만나서 그들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걸 현실 정치에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좋든 싫든 깨끗한 사람만 만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정치인, 연예인 등 유명인사들이 갑자기 조용해질때도 캐비닛 열렸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등 친명, 친 더불어민주당 커뮤니티 등지 에서도 국민의힘의 비윤계 인사들이 윤석열을 신랄하게 비판하다가 갑자기 조용해지거나 협조적으로 나오면 검찰 캐비닛이 열렸다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결국, 이재명 의원도 "검찰 캐비닛에 있는거 다 안다" 드립을 치기도 했다.
영화 더 킹 초반부에서 주인공 박태수가 선배 양동철의 부름을 받고 대검찰청 전략부로 가자 안에 있는 캐비넷을 보여주며 터지면 이 나라가 떠들썩할 것이라며 맛있게 익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1] 정치에서의 내각을 뜻하기도 한다. 전 프로레슬러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가 주축이 되었던 스테이블인 캐비닛도 바로 이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었다.[2] 여기서의 캐비닛은 주로 철제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