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5:15:54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전량 퇴역
 9900호대(1980~2001)
 1000호대(상세)(1974~2020)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기타 수도권 전철 전동차 보기 · 인천국제공항 연계노선 전동차 보기
}}}}}}}}}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상세)
341000호대 전동차(상세)
1000호대 전동차(상세)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000호대 VVVF 전동차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KORAIL class 31x000
}}} ||
파일:IMG_2797.jpg
312B17편성 (14차분)
실내 모습 (14~15차분)
차량 정보
<colcolor=#0052a4> 차량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량수 10량 1편성 / 6량 1편성 / 4량 1편성
생산량수 1585량[1]
운행노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311G05편성)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319F08~319F09편성)
도입년도 1세대 1996 ~ 1997년 (1차분)
1997 ~ 1998년 (2차분)
1998년 (3차분)
2세대 2002년 (4차분)
2003년 (5차분)
2004년 (6차분)
3세대 2005 ~ 2006년 (7차분)
2006년 (8차분)
2012 , 2014년 (9차분)
2010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2013 ~ 2014년 (10차분)
2016년 (11차분)
4세대 2019 ~ 2020년 (12차분)
2021 ~ 2022년 (13차분)
5세대 2022 ~ 2023년 (14차분)
2023 ~ 2024년 (15차분)
미정 2027년 예정 (16차분)
2028년 예정 (17차분)
2029 ~ 2030년 예정 (18차분)
2031년 예정 (19차분)
제작사 현대정공 (1~2차분)
대우중공업 (3차분)
현대로템 (4~13차분,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우진산전 (14~15차분)
소유기관 한국철도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구로차량사업소[2]
이문차량사업소[3]
병점차량사업소[4]
시흥차량사업소[5]
문산차량사업소[6]
차량번호 311B01 ~ 312B56 (10량)
311G01 ~ 311G07 (4량)
319F08 ~ 319F10 (6량)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2a4>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750㎜
궤간 1,435㎜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1~13차분)
알루미늄(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14~15차분)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 직류 1,500V[7]
신호장비 ATS-S1
ATS-S2
제어방식 도시바 VVVF-GTO[8]
도시바 VVVF-IGBT
현대로템 VVVF-IGBT(IPM)[M]
우진산전 VVVF-IGBT[M]
동력장치 교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기어비 14 : 99 (1:7.07)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10㎞/h
설계 110㎞/h(1~10차분)
120㎞/h(11차분~)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5M 5T(본선용 차량)
(Tc-M-M'-T-M'-T1-T-M-M'-Tc)
2M 2T(광명셔틀)
(Tc-M'-M'-Tc)
3M 3T(연천셔틀)
(Tc-M-M'-T-M'-Tc)
}}}}}}}}}

1. 개요2. 편성
2.1. 311000호대·312000호대2.2. 319000호대
2.2.1. 4량 편성 (광명셔틀)2.2.2. 6량 편성 (의정부동두천 셔틀)
3. 분류
3.1. 311000호대·312000호대3.2. 319000호대
3.2.1. 4량화 및 병결 시도3.2.2.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3.2.3. 수인선 운행
4. 사건사고
4.1. 2001년 5X16편성(현 311B16편성) 주안역 탈선 사고4.2. 2007년 5X19편성 영등포역 추돌 사고4.3. 2010년 5X75편성(현 311B74편성) 구로차량기지 추돌 사고4.4. 2011년 311B54편성 병점차량기지 침수 사고4.5. 2012년 311B58편성 종로5가역 탈선 사고4.6. 2012년 311B47편성 천안역 탈선 사고4.7. 2015년 311B26편성 인천역 탈선 사고4.8. 2016년 311B63편성 출입문 유리 빠짐 사고4.9. 2016년 311B02편성 노량진역 탈선 사고4.10. 2020년 312B04편성 운행 중단 사고4.11. 2021년 311B38편성 외대앞역 고장 사고4.12. 2021년 311B83편성 신도림역 단전 사고4.13. 2021년 311B69편성 노량진역 고장 사고4.14. 2021년 312B03편성 남영역 고장 사고4.15. 2022년 312B01편성 한강철교 고장 사고4.16. 2023년 311G01편성 광명역 운행 장애4.17. 2023년 311B59편성 금정역 고장 사고4.18. 2024년 311B32편성 역곡역 화재 사고
5. 개조 이력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5.2. 추진제어장치 교체
5.2.1. 오해5.2.2.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5.3. 조성 변경
6. 노후화 및 유지보수 문제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위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로, 한국 전동차 중 단일 계열 차종으로는 최다 편성 수를 보유하고 있다.

이 차량들은 주로 시흥차량사업소 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 일정 등) 작업 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2. 편성

파일:20230628_195723.jpg
1~8차분 방열구

2.1. 311000호대·312000호대

<colcolor=#0052a4> ↑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31#0## (구 5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1## (구 52##) (2) M(주변환장치)
31#2## (구 53##)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3## (구 58##) (4)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4## (구 55##)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5## (구 54##) (6)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6## (구 59##) (7)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7## (구 56##) (8) M(주변환장치)
31#8## (구 57##) (9)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 (구 51##)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청량리·광운대·의정부·양주·동두천·소요산·연천 방면

2.2. 319000호대

2.2.1. 4량 편성 (광명셔틀)

<colcolor=#0052a4> ↑ KTX광명역, 문산·임진강 방면
3190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910# (2)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20#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90# (4)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영등포, 용산·서울역 방면

2.2.2. 6량 편성 (의정부동두천 셔틀)

<colcolor=#0052a4> ↑ 인천, 의정부 방면
319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191## (2) M(주변환장치)
319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3## (4) T(무동력객차, 약냉방차)
3194##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199## (6)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오이도, 동두천 방면

3. 분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입 연식에 따라 15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311000호대·312000호대 (10량)
1세대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차분 VVVF
GTO
도시바
1996~1997년 (6편성)
전량 퇴역
2차분 VVVF
GTO
도시바
1997~1998년 (19편성)
1개 편성 운용
VVVF
IGBT
도시바
1998년 (2편성)
전량 퇴역
3차분 VVVF
GTO
도시바
1998년 (8편성)
2개 편성 운용
VVVF
IGBT
도시바
1998년 (6편성)[11]
3개 편성 운용
2세대 4차분 VVVF
GTO
도시바
2002년 (2편성)
VVVF
IGBT
도시바
2002년 (4편성)
5차분 VVVF
GTO
도시바
2003년 (7편성)
VVVF
IGBT
도시바
2003년 (9편성)
6차분 2004년 (2개 편성)
병점~천안 연장분
3세대 7차분 2005~2006년 (12편성)
8차분 2006년 (5편성)
9차분 2012, 2014년 (7편성)
경춘선
이적분
2010년 (8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10차분 2013년 (10량 3편성)
전 편성 운용
2014년 (2량 2편성)
1개 편성 운용
11차분 2016년 (9편성)
4세대 12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9~2020년 (4편성)
13차분 2021~2022년 (8편성)
5세대 14차분 VVVF
IGBT
우진산전
2022~2023년 (8편성)
15차분 2023~2024년 (33편성)
319000호대 (4량, 6량)
3세대 8차분 VVVF
IGBT
도시바
2006년 (4량 5편성)
1세대 2차분 VVVF
IGBT
도시바
1998년 (4량 2편성)
전량 퇴역
4세대 12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19~2020년 (6량 3편성)

3.1. 311000호대·312000호대

2011년부터 전동차 차대번호가 구 5000번대에서 신 311000호대로 변경이 완료되었다. 차호 변경을 하면서 중앙선광명행 셔틀용으로 차출된 차량과 사고로 폐차된 5X19편성이 쓰던 번호는 뒤 번호의 차가 쓰는 방식으로 번호(예: 5X20→311B19, 5X81→311B78)를 배정받았다.

국내 최초의 VVVF 전동차인 구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현 341000호대/351000호대) 전동차 도입 이후 운행과 정비 도중 축적된 노하우는 이 5000호대(현 311000호대) 전동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현재 모든 편성은 2008~2013년 사이에 객실 간 연결문이 투명 자동문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31x000호대는 2012년)부터 도입되는 신차는 모두 자동문이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온다.

도입 초반에는 5X01~5X42편성의 경우 열번표시기가 9000번대로 표시된 적이 있었으며, 경인선 용산급행은 용산행을 달고(예: 인천행 K113 열차 → K9113 열차) 다니기도 했다.

3.2. 319000호대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노선에서 운행하기 위해 단편성화된 호대이며, 영등포역광명역 셔틀 열차, 경의·중앙선(경의선 구간) 서울역행 열차, 문산역임진강역(도라산역) 셔틀 등으로 운행하고 있다. 영등포역병점역 출퇴근급행 열차로 2014년 8월 25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한 적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최초로 원핸들 주간제어기를 채용한 차량이기도 하다.

광명셔틀 운행구간 중에 경부고속선을 경유하여 KTX의 운행 시간표 변경 시 같이 영향을 받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 ↔ 서울역, 대곡 ↔ 서울역 구간의 셔틀 열차와 같이 KTX 운행 등으로 인해 자주 운행되지 않는다. 서로 운행하는 노선만 다를 뿐, 특성이나 다른 부분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명 셔틀이 감편된 시절에 일부가 경의·중앙선 서울역행에 투입된 이력이 있다.

311G01~05편성의 차내 모니터가 천장형 LCD로 교체되었다.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61a-1gm10.jpg
<rowcolor=#ffffff> 311G07편성의 운행(2020년 7월 16일 운행 중단) 모습. 전두부가 2005~2008년까지 생산된 열차의 형태로 개조되어 있다.
1998년 제작된 311G06~07편성은 일부 철도 동호인 사이에서 뱀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뱀작이는 뱀눈이(7~11차분)의 전두부와 납작이(1~3차분)의 차체가 합쳐졌다는 의미의 은어이다. 원래는 2023년까지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불용열차로 분류되고 2020년 7월부터 구로차량기지에 2편성이 같이 유치되어 움직이지 않고 있다. 확인되는 기록상으로 해당 열차들의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20년 7월 16일 K7040 영등포행 열차로 운행한 311G07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319F08~10편성은 6량 편성의 4세대 전동차로, 본래 연천역광운대역 간 셔틀열차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다. 2020년 8월 말에 연천 셔틀 3편성이 모두 시흥차량사업소로 내려왔지만 2024년 2월에 319F10편성이 이문차량사업소로 회송되어 현재는 휴차 중이다. 원래는 연천 연장 개통 전까지 수인·분당선(수인선 구간) 오이도인천 구간 셔틀열차로 운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천 연장 구간에 10량 열차가 투입됨에 따라 해당 편성 차량의 사용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오이도 ↔ 인천 간 운행 계통은 존치되며 수인·분당선 중 수인선 구간의 배차를 채우기 위해 현재 319F08~09편성이 주로 출퇴근 시간에만 달린다. 다만 이 차량은 ATC 장치가 없어 고색역 ↔ 왕십리역 구간에는 운행할 수 없다. 물론 ATP구간에도 운행할 수 없다. 수인·분당선 중 분당선 구간 운행을 위한 ATC 개조는 하지 않는 것으로 정해졌다.

3.2.1. 4량화 및 병결 시도

광명역행 셔틀 열차는 2006년 12월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으나, 광명역의 이용객이 워낙 저조하여 수요가 거의 없었고, 10량 열차 전체가 거의 빈 채로 다녔다. 결국 한국철도공사가 기존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과 추돌 사고로 파손된 5X19편성의 잔여 차량[12]을 개조, 직류 기기를 떼어내고 4량짜리 셔틀 열차로 만들어 투입했다. 5X79~5X80편성은 팬터그래프가 있는 칸과 운전실 없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된 객차만 광명셔틀로 개조하고 나머지는 중앙선으로 개조할 목적으로 떼어냈으며, 311G01~05편성은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의 차량 중 53xy, 57xy, 55xy, 54xy, 650y, 640y차량 중 일부를 조합해서 만들어 낸 편성이다.

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319000호대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c)
반입년도 소속
311G01편성 6402 5379 5779 5489 8차분 2006년
(현대로템)
구로
311G02편성 6406 5380 5780 6404
311G03편성 5492 5579 6506 5480
311G04편성 5486 6504 6502 5479
311G05편성 6405 5580 6507 6401 문산
311G06편성[A] 5019 5319 5519 5419 2차분 1998년 6월
(현대정공)
구로
311G07편성[A] 5819 5219 5619 5919
개조 작업이 현대로템에서 이루어졌었는데, 이는 기존 차량의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박아넣은 걸 제외하면 내장재는 거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문 위에 LCD 모니터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철거되고 대신 천장에 붙어 있는 LCD 모니터를 설치했다. 특히 5X19편성을 개조한 311G06~07편성의 경우, 전두부는 3세대 전동차 초기형의 그것이지만 측면과 내장재는 당시 5X19편성과 거의 똑같다. 전두부의 경우는 굳이 번거롭게 설계를 바꿔서 구형 차 형태를 다시 찍어낼 필요 없이, 당시부터 쓰이기 시작한 형태 그대로 만들어 내다 보니 짬뽕이 된 것이다. 인버터 소자도 당초 5X19편성의 도시바 GTO 그대로 쓰였으나 2013년에 311G06~07편성도 311G01~05편성과 동일한 도시바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5019호는 사고 전에는 투핸들이었다.

당초 광명셔틀의 4량화를 할 때, 기존의 용산 ~ 광명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기 위해서 7개 편성으로 개조한 뒤 투입하려 했다. 하지만 개조 작업 도중 출발역이 변경되어 전체 운행 구간이 짧아지면서 전체 7개 편성 중 2개 편성이 남게 되자, 남은 2개 편성을 병결시켜서 4+4량인 1개 편성을 만든 후 당시 진행 중이던 중앙선의 8량화 작업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었다. 하지만 두 편성끼리 병결할 경우 선두부 차량의 길이와 중간 차량의 길이가 같지 않은 열차의 특성상 스크린도어/승강장 문 위치와 열차 문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없던 일이 되었다.

19차분이 311B72~311B82편성 대차분으로 지정되었는데 광명셔틀 311G01~04, 06~07편성 대차분은 대차계획이 없다고 나왔는데 신안산선이 개통 후 운행 때 광명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311G05편성은 331000호대 4차분(331G29편성)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3.2.2. 경의선 운행 / 대불선 시험 운행

3.2.3. 수인선 운행

4. 사건사고

4.1. 2001년 5X16편성(현 311B16편성) 주안역 탈선 사고

2001년 11월 18일, 인천발 성북행 K14 열차로 운행 중이던 5X16편성(현 311B16편성)이 당시 복복선 공사 중이던 주안역을 출발하던 중 탈선하여, 경인선 부평-인천 간 운행이 4시간가량 중단되었다. 사고 편성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옮겨져 약 한 달 동안 수리 후 복귀했다.

4.2. 2007년 5X19편성 영등포역 추돌 사고

2007년 5월 12일, 제L6108 단행 열차로 운행 중이던 4404호 디젤기관차가 용산발 동인천급행 K1057 열차로 운행하던 5X19편성을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4명의 승객이 부상을 입었으며, 반파된 선두부쪽 2량(5119호, 5719호)는 폐차되고,[16] 8량의 잔여 객차는 이후 319000호대 전동차의 311G06~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이 과정에서 5X19편성이 결번되었으며,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20편성부터 구 5X78편성까지는 -1씩 앞당겨 각각 311B19편성부터 311B77편성까지로 개정되었다.

4.3. 2010년 5X75편성(현 311B74편성) 구로차량기지 추돌 사고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X58편성이 진행 선로를 잘못 타서 5X75편성(현 311B74편성)에 들이받는 추돌 사고를 일으켰다. 그러나 선두부에 충격 완화 장치가 마련된 5X75편성에는 중대한 손상은 없었다. 자력회송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만일을 대비해 기동한 채로 기관차에 끌려 회송했다. 곧 수리를 마치고 2011년 10월부터 311B74편성으로 복귀하여 정상 운행 중이다. 그러나 1X58편성의 선두부 쪽 2량은 크게 파손되어[17] 10량이 모조리 폐차되었다.

4.4. 2011년 311B54편성 병점차량기지 침수 사고

2011년 7월, 수도권 지역에 몰아닥친 집중 호우로 인하여 병점차량사업소에서 출고 준비 중이던 311B54편성의 하부 주요 부품이 침수되었다. 이 사고로 운행이 불가능해진 311B54편성은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수리되어 2012년 3월부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침수된 당시 311B54편성은 차량 상태가 심각하게 나빠져서(하부기기 전멸 수리) 비용이 열차 한 편성을 새로 사는 것만큼 많이 나왔다고 한다.

4.5. 2012년 311B58편성 종로5가역 탈선 사고

2012년 2월 2일, 311B58편성이 서울역에서 출입문 고장으로 멈춰선 뒤 후속열차와 연결해 기지로 이송하던 상황에서 바퀴 일부분이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8]

현재 311B58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4.6. 2012년 311B47편성 천안역 탈선 사고

2012년 6월 3일천안역에서 회차 중이던 311B47편성이 분기기 아래 지반 침하로 탈선했다. 이 사고로 2번째 객차와 3번째 객차 사이가 침하와 함께 접히면서 차체가 심하게 찌그러졌다.[19] 사고 편성은 병점차량사업소에서 수리를 받았다.[20]

4.7. 2015년 311B26편성 인천역 탈선 사고

2015년 5월 18일, 의정부발 인천행 K45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26편성이 인천역에 진입 중 탈선하는 사고가 있었다.[21][22] 사고 편성은 수리 후 9월경에 영업 운행에 잠시 복귀했다가 10월 13일에 신창원역현대로템 공장으로 갑종회송되었다. 당시 견인기는 7419호였다.[23] 이후 10월 16일에 의왕역에 갑종회송으로 도착했다. 견인기는 7538호 디젤기관차였다. 그 이후 다른 차량들에 비해 상태가 좋지 않아서 폐차되는 저항제어 전동차의 대체용으로 약 1년간 경인선 급행에 고정 배차되었다가 2017년 3월부로 완행 운행이 재개되어 전 구간에 투입되었다가 2023년 4월 말에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영구 휴차되었다.

4.8. 2016년 311B63편성 출입문 유리 빠짐 사고

2016년 4월 13일에 신창청량리행 K684 열차로 운행되던 311B63편성 10호차의 한쪽 출입문 유리창이 깨지면서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임시로 깨진 창문 부분에 X자로 테이핑했다.[24] 이후 이 차량은 병점차량사업소로 입고된 후 311B59편성으로 기교체되었다.

4.9. 2016년 311B02편성 노량진역 탈선 사고

2016년 5월 9일에 구로차량기지용산행 회송 열차로 운행되던 311B02편성이 노량진역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5] 해당 편성은 사고 직후 구로기지를 거쳐 시흥차량사업소에 유치되었고, 이후 1년 가까이 방치되었다.[26]

2017년 6월 311202, 311402, 311802호만 4호선 도색으로 바뀌었다. 당초에는 무슨 의도인지는 알 길이 없었으나 341000호대 차량 일부가 노후화로 운행 불가 판정을 받아서 해당 차량들을 대체할 목적으로 차출되어, 341B07, 341B12~341B13편성 모두 9호차(3418XX호)에 각각 311B02편성의 311802, 311402, 311202호가 연결되어 운행했었다.[27] 1993~1994년산 객차는 문제가 없었지만 2년 늦게 생산된 1995년산 객차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2017년 9월 기준, 311B01편성도 중간차 8량이 전부 4호선으로 차출되어 341B04편성의 중간차 8량과 조성이 맞바뀐 상태로 휴차되었고, 2018년 2월, 311B40편성의 저항차량 무동력 객차가 노후화되면서 이를 대신해 311602, 311302호가 들어가고 이로써 최종적으로 311B01~311B02편성은 각각 2량(311B01(311001, 311901)), 5량(311B02(311002, 311102, 311502, 311702, 311902))이 되어 운행을 중지했다. 341B04편성의 341804호부터 341104호까지 모두 311B01편성의 311801~311101호로 교체되었지만 내부 밎 외부 편성 번호는 변경되지 않았다.

2018년 7월 기준 두 편성은 방치 중이었다.[28] 311B02편성은 311B01편성과 같이 2022년 8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2022년부터 1호선의 311B03~311B41편성 차량이 퇴역하기 시작했고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4.10. 2020년 312B04편성 운행 중단 사고

2020년 9월 16일에 오류동역에서 용산급행 K1084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2B04편성이 무게 20kg의 철제 구조물과 충돌해 운행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했다.[29] 조사 결과 이 철제 구조물의 정체는 화물열차용 발판이었고, 화물열차가 역으로 진입하면서 옆에 쌓여 있던 역 침목에 발판이 걸려 차례로 튕겨 나온 것이었다. 철도안전법에 따라 선로 위 35cm 이상을 이격하도록 되어 있지만 새 발판은 이격 거리가 겨우 26cm밖에 되지 않았던 것이다. 원인은 한국철도공사가 제작업체에 지붕형 화물열차의 도면이 아닌 일반형 유개화차의 도면을 제공하면서 벌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이 발판이 부착된 화물열차 177량은 모두 운행이 중단되었다. 지붕형 화물열차의 전체 70%에 달하는 댓수이다. 그런데도 이를 두고 제작업체와 책임 공방을 벌이느라 한 달을 넘게 허비한 탓에 운송 수입만 수억 원의 손해를 보게 되었다.

4.11. 2021년 311B38편성 외대앞역 고장 사고

2021년 1월 7일 K6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38편성이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30] 당시 폭설로 인하여 열차가 지연 운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사고의 여파까지 겹쳐 후속열차들에게 약 60분의 지연이 발생했다.

현재 311B38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4.12. 2021년 311B83편성 신도림역 단전 사고

2021년 6월 20일에 동인천발 용산 급행 열차로 운행 중이던 311B83편성이 신도림역에서 전차선 장애가 발생하여 운행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고가 발생하면서 오류동역~용산역 간 급행 열차 운행이 모두 중단되었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사고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이며 복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인근 선로까지 단전을 해야 해서 야간에 복구하기로 했고, 현재는 모두 복구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사고를 당한 311B83편성은 수리를 거쳐 운행에 복귀했고, 2021년 7월 기준 정상 운행 중이다.

4.13. 2021년 311B69편성 노량진역 고장 사고

2021년 7월 24일에 노량진역에서 한강철교 진입 직전 311B69편성이 고장으로 멈춰서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대부분의 하행 열차들이 서울역에서 타절했으며, 상행 열차들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선로를 이용했다.

현재 311B69편성은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4.14. 2021년 312B03편성 남영역 고장 사고

2021년 10월 2일 오전 9시 59분께 남영역에서 출발한 천안발 청량리급행 열차가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31] 이 사고의 여파로 후속열차들에게 약 30분의 지연이 발생했다.

2021년 10월 10일, 312B03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운행 중이다.

4.15. 2022년 312B01편성 한강철교 고장 사고

2022년 12월 15일 19시 58분경 지하청량리발 천안급행 열차가 차량 고장으로 한강철교 위에서 운행이 약 2시간가량 중단되었다. 멈추기 전부터 출입문이 열리지 않고 출입문 위치가 맞지 않으며 급정거 및 급가속을 여러 번 하는 등 이상 징후가 있었는데 별도 점검 없이 계속 운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탑승객 500여 명이 한파 속에 갇혔으며 퇴근길 1호선 충남 천안, 인천 방면 후속 전동차 50대의 운행이 10~50분 지연되었다. 작업자가 현장까지 걸어가는 등 견인 작업이 지체된 탓에 21시 50분에서야 견인이 시작되어 22시 5분에 노량진역으로 돌아왔다. 승객들은 동일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던 임시 전동열차로 갈아탄 후에야 원래 목적지인 천안 방면으로 향했다. 일부 승객은 이상 증세를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열차 전원 공급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으나 승객들은 SNS 등을 통해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히터도 나오지 않았다며 추위와 배고픔, 소변 등 생리 현상 등으로 고통을 호소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정확한 보상 조치나 안전 문자 발송은 하지 않은 것에 항의하기도 했다. 한국철도공사 측은 열차의 전력 공급 장치가 고장 나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으며 이번 지연으로 피해를 본 승객들에게 교통비 등을 규정에 따라 배상한다는 계획이다.[32][33][34]

2023년 3월 15일, 312B01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시운전 후 정상 운행 중이다.

4.16. 2023년 311G01편성 광명역 운행 장애

2023년 2월 20일 15시 19분경 광명역을 출발한 광명발 영등포행 셔틀열차가 경부고속선 하행 방향 본선에 잘못 진입하여 운행 장애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운행이 약 1시간가량 중단되었다.[35] 분기기가 합쳐지는 배향 방향에서 진행 방향으로 진로가 형성되기 전에 열차가 강제로 진입하면서 차륜이 텅레일을 밀고 나간 것이다. 이 사고의 여파로 광명셔틀 전동열차가 운행이 일시 중지되었다.

311G01편성은 수리가 완료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4.17. 2023년 311B59편성 금정역 고장 사고

2023년 9월 11일 오후 3시 28분께 금정역에 도착한 청량리발 천안급행 열차가 주 퓨즈 전력 장치 고장으로 멈춰서며 연기가 나고 승객 200여 명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36] 이 사고의 여파로 후속열차들의 지연이 발생했다.

4.18. 2024년 311B32편성 역곡역 화재 사고

https://m.youtube.com/watch?v=8MIS30VUr_U&t=72s

2024년 1월 3일 오후 5시 54분쯤 온수역에서 역곡역으로 통과 중이던 동인천급행 열차가 폭발음과 함께 팬터그래프에서 불꽃을 일으켰다. 이 사고로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500여 명이 10여 분 동안 정차한 채 대기했으며, 소사역에서 비상정차해 환승하는 소동이 일어났다.[37]

사고 이후 311B32편성은 2024년 1월 중순에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수리를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5. 개조 이력

5.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파일:1607071100613.jpg 파일:20231111%EF%BC%BF140154.jpg 파일:1577789187583.jpg
개조 후
(1차: 로윈에서 개조)
개조 후
(2차: 로윈에서 개조)
개조 후
(3차: SLS 중공업에서 개조)
2003년 11월 말부터 객실 내장재가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5X01~5X64편성에 대해 내장재의 불연재화 개조공사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되었다.

1~3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4~5차분 열차의 내장재 개조 시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4~5차분인 경우 바닥재, 좌석 시트, 손잡이만 개조했다.
1, 3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데 2차 개조분들의 경우 바닥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바닥에 커피 등이 묻었을 때 자국이 많이 남는 편이다.

5X07~5X10편성(개번 후 311B07~10편성)은 내장재 첫 개조 시범 대상으로 2003년 11월에 개조되었다.

역시 2003년 12월 ~ 2004년 1월에 개조했던 2X30~2X37, 2X47~2X48, 2X50, 2X55~2X59편성(개번 후 341B01~341B08, 351F01~351F08편성)과 동일하게 분리형 좌석이 달린 전동차는 1호선에 3량이 있는데 현재 311B39, 41편성의 일부 무동력 객차에 해당한다. 311B39편성의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2호, 311B41편성의 4호차는 4호선 출신 341304호, 7호차는 4호선 출신 341604호이기 때문에 좌석이 한 자리씩 분리되어 있고 의자 맨 끝 부분이 파여 있었다.[39] 하지만 현재는 모두 운행중지되어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5.2. 추진제어장치 교체

2003년부터 일부 차량의 추진제어장치(C/I)가 IGBT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도시바제 2레벨 IGBT를 채용했다.

5.2.1. 오해

GTO에서 IGBT로 넘어가는 과도기형 시대라 다음과 같은 오해가 생길 수 있다.

5.2.2. 2003년 5X64편성(현 311B63편성) GTO/IGBT 병용 사유

5.3. 조성 변경

2010년 1월, 모종의 사유로 1호선 2차분 5X14, 5X23, 5X25편성(현 311B14, 311B22, 311B24편성)의 조성이 1달간 변경된 적이 있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 1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0년 1월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5X14 5014 5214 5314 5814 5514 5414 5914 5623 5723 5123
5X23 5023 5223 5323 5823 5523 5423 5923 5614 5714 5125
5X25 5025 5225 5325 5825 5525 5425 5925 5625 5725 5114
}}}}}}}}} ||

2012년 하반기부터 2013년 12월 8일까지 311B86~87편성은 중앙선 전동차의 객실과 혼용하여 운행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2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86 311086 321508 311286 321408 311486 311586 321412 321512 311886 311986
311B87 311087 321513 311287 321413 311487 311587 321414 321514 311887 311987
}}}}}}}}} ||

2014년 하반기에 311B90~91편성이 경춘선 361C14~15편성하고 신규객차 각각 2량씩 재조성하여 운행했지만 311B91편성은 361C14편성으로 바뀌어서 경춘선으로 복귀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하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90 361014 361114 361214 361314 311490 311590 361414 361514 361614 361914
311B91 361015 361115 361215 361315 311491 311591 361415 361515 361615 361915
}}}}}}}}} ||

2014년 상반기에 311B53~54편성의 객차가 서로 바뀌었으나 2015년 초에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4년 상반기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53 311053 311153 311253 311353 311453 311553 311653 311754 311854 311953
311B54 311054 311154 311254 311354 311454 311554 311654 311753 311853 311954
}}}}}}}}} ||

2017년부터 중저항 출신 부수객차들의 노후화로 인해 조성을 변경하게 되었으며, 2023년까지 311B39~41편성까지 총 3개 편성만이 1호선에서 유일하게 조성이 변경되어 있었다. 현재는 3개 편성 모두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color=#0052a4> 311B39 341602(7) 311639(7)
311B40 311302(4), 311602(7) 311340(4), 311640(7)
311B41 341304(4), 341604(7) 311341(4), 311641(7)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19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39 311039 311139 311239 311339 311439 311539 341602 311739 311839 311939
311B40 311040 311140 311240 311302 311440 311540 311602 311740 311840 311940
311B41 311041 311141 311241 341304 311441 311541 341604 311741 311841 311941
}}}}}}}}} ||
<colbgcolor=#fff,#18181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2a4><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color=#0052a4> 311B39 341602(7) -
311B40 341313(4), 341613(7) 311302(4), 311602(7)
311B41 341304(4), 341604(7)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22년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M')
6호차
(T1)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1B39 311039 311139 311239 311339 311439 311539 341602 311739 311839 311939
311B40 311040 311140 311240 341313 311440 311540 341613 311740 311840 311940 [41]
311B41 311041 311141 311241 341304 311441 311541 341604 311741 311841 311941
}}}}}}}}} ||
편성 제외된 객차들은 현재 모두 매각되었다.

6. 노후화 및 유지보수 문제

2024년 기준으로 일부 차량들이 도입된 지 20년이 도래하면서 갈수록 노후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4~6차분(311B42~65편성)의 경우 경부선 병점 이남 구간이 역간 거리도 길고 장시간 고속으로 오랫동안 주행을 하다 보니 노후화가 심각해졌으며, 2022년에는 직류 구간에서의 주 퓨즈 문제로 인해 몇몇 차량들이 한동안 용산~동인천 급행으로만 운행했었지만 현재는 다시 완행에도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다.

7~8차분(311B66~82편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간 거리가 긴 구간을 장시간 고속으로 주행하다 보니 차령이 20년에 육박하면서 차량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차내 소음 및 굉음 문제마저도 발생하고 있다.

2~3차분 중 6개 편성(311B24, 32, 35~38편성)은 이미 기본 사용 연한인 25년이 지난 차량으로, 해당 차량들 역시 노후화가 진행 중에 있다. 311B24편성의 경우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뒤에도 얼마 안 되어 공기압축기 등 여러 부품의 노후화로 인해 2023년 8월부터 한동안 이문기지에만 있다가 동년 11월에 운행에 복귀한 적도 있으며, 311B32편성의 경우 2024년 1월에 역곡역 부근에서 팬터그래프 부분이 터지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311B35편성 일부 객차의 출입문이 고장난 채로 운행에 투입되는 등 전반적인 관리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24년에는 2~5차분(311B24, 32, 35~38, 42~58편성)은 구로기지로, 5~7차분(311B59~70편성)은 병점기지로, 나머지 7~8차분(311B71~82편성)은 이문기지로 배속될 예정이다. 이후 2~8차분(311B24, 32, 35~38, 42~82편성) 관련해서 노후화 및 주 퓨즈 문제도 어느 정도는 완화될 거라 예상된다.

새로 도입된 14~15차분 차량들이 심각한 결함으로 인해 대다수가 경부선 투입이 중지된 상황이다.

7. 관련 문서


[1] 311B01~18, 20~23, 28~29편성 폐차, 311G06~07편성 휴차, 311B19, 25~27, 30~31, 33~34, 39~41편성 휴차 및 311B91편성의 경춘선 환원, 312B51~56편성 시운전 및 미도입 상태이므로 현재 1160량이 운행 중이다. 또한 5X19편성 중 5719, 5119호는 개번 전 조기폐차, 311B39~41편성 중 311639, 311340, 311640, 311341, 311641호 T(무동력)칸 5량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출신, 311B90~91편성 중 16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출신이므로 생산량수에서 제외된다.[2] 311B32편성, 311B35~311B38편성, 311B42~311B46편성, 311B48~311B53편성, 311B57~311B58편성, 311B66~311B69편성, 311B83~311B90편성, 311B92~312B15편성, 312B40~312B56편성, 311G01~311G04편성[3] 311B24편성, 311B81~311B82편성, 312B16~312B39, 319F10편성[4] 311B47편성, 311B54~311B56편성, 311B59~311B65편성, 311B70~311B80편성[5] 319F08~319F09편성[6] 311G05편성[7] 319000호대 차량은 교류 전용으로 직류 장비는 없다.[8] 4차분부터는 우진산전이 면허생산한 소자를 쓴다.[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M] [11] 10량 3편성 + 9량 1편성 + 8량 2편성[12] 5019-5319-5519-5419가 311G06(319X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가 311G07(319X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A] 2020년 7월 16일 운행 중단[A] [15]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16] 프레임이 손상되면서 재생 불가 판정을 받았다.[17] 충돌한 선두차가 아예 절단 파손을 당했다.[18] 「탈선사고 1호선, 상행선 운행 여전히 지연」, 오마이뉴스, 2012-02-02[19] 출처: 페이스북[20] 철도 사고 조사 보고서 (PDF), 국토교통부[21] 「인천역 진입 전동차 탈선 '아찔'」, 인천일보, 2015-05-18[22] 철도 사고 조사 보고서 (PDF), 국토교통부[2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24] 「운행중 통째로 빠진 열차 유리창」, 연합뉴스, 2016-04-13[25] 「노량진역서 탈선했던 급행 전동차 8시간여 만에 운행 재개」, KBS, 2016-05-09[26] 철도 사고 조사 보고서 (PDF), 국토교통부[2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28]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29] 관련 유튜브 영상[30] 「수도권 전철 1호선 외대앞역서 고장…4호선도 운행 차질」, 경인일보, 2021-01-07[31] 「1호선 남영역서 열차 고장…한때 운행 지연」, 연합뉴스TV, 2021-10-02[32] 「한강철교서 지하철 1호선 멈춰…500명 한파 속 2시간 갇혀(종합)」, 뉴스1, 2022-12-15[33] 「[포착] 한강철교 위 멈춘 1호선…이 추위에 500명 2시간 갇혀」, 서울신문, 2022-12-15[34] 「지하철 1호선 ‘고장’ 한강철교서 승객 500여명 2시간 갇혀...후속열차도 10~50분 지연」, 경향신문, 2022-12-15[35] 「광명역 셔틀전동열차 선로전환기 장애로 90분 간 운행 중지」, KBS, 2023-02-20[36] 「1호선 금정역 열차 상단서 연기…승객 200여명 대피」, 이데일리, 2023-09-11[37] 「지하철 1호선, 섬광 번쩍하더니 폭발음…승객들 환승 소동」, SBS, 2024-01-04[38] 조성이 변경되며 대신 연결된 일부 객차는 제외[39] 1993년산 4호선과 1993~1994년산 수인·분당선 초기형 차량들의 의자는 모두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현 341B01~08, 351F01~08편성이 해당 차량이다. 341B04편성은 1호선 311B01의 부수객차 8량이 들어가 TC칸만 해당되고 341B07편성은 4호선 341B13펀성의 부수객차 2량이 들어가 10량 중 8량만 해당된다.[40] 2세대 5차분 중 유일한 GTO/IGBT 짬뽕이었던 311B63편성 (구 5X64편성)이 나머지 객차도 IGBT로 교체되면서 모든 객차가 통일되었다.[41] 2022년 1호선 차량 내구연한 만료로 조성이 변경되었다.[42]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이다.[43] 현재는 경의·중앙선용 전동차이다.[44]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45] 현재는 수인·분당선용 전동차이며, 1기형, 2기형 열차의 기초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