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8:19:58

계집 녀에서 넘어옴
계집 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女,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ジョ, ニョ, (ニョウ)
일본어 훈독
おんな, め, なんじ, むすめ, めあ-わせ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낸다
파일:100px-女-order.gif
획순
1. 개요2. 상세3. 부수
3.1. 女가 들어가는 한자는 안 좋은 의미?
4. 용례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여담


[clearfix]

1. 개요

女는 '계집 녀'라는 한자로, '계집', '여자(女子)', '' 등을 뜻한다.

"계집"이라는 단어가 현대에는 비칭으로 사용되면서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일각에서 생기고 있다. 그러나 한자의 뜻 풀이는 순 우리말+한자어로 표기하며 경우는 순 우리말이 없는 경우나 뜻이 겹치는 경우가 많을 경우에 제한적으로 "한자어+한자어"를 쓰는 원칙상 일반적으로 용인되지 않는다. 또, 놈 자(者)의 경우처럼 평칭이었던 순우리말이 현대에는 비칭으로 변한 경우에도 오랫동안 그렇게 옛 명칭으로 불러 온 영향으로 이 원칙을 다르게 적용하지 않으며 굳이 바꾸어 부르지 않고 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계집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neoi5, neoi5-2[1]
객가어 ńg
민북어 nṳ̌
민동어 nṳ̄
민남어
오어 nyy (T3)
일본어 음독 ジョ, ニョ, (ニョウ)
훈독 おんな, め, なんじ, むすめ, めあ-わせる
베트남어 nữ

유니코드에는 U+597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女)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ㄋㄩˇ로 입력한다.

파일:여자 녀 자형 변천.jpg
가슴을 드러내며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 여성의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혹은 두 을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여성의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어미 모)와 기원이 같은데, 母와의 차이는 중간에 젖꼭지를 상징하는 두 개의 유무이다.

초기의 한문에서는 (너 여)의 통자로 쓰여, ''라는 2인칭 지시대사를 나타내는 용도로 가차되기도 하였다. 예시로는 어머니가 아들에게 하는 말로 "女還, 顧反爲女殺彘"("너는 돌아가라, 돌아가면 너를 위해 돼지를 잡아주겠다.)가 있다.[2]

유니코드 상 계집 녀는 "女"(U+5973)과 "女"(U+F981) 2개가 존재한다. 전자는 '녀'를 한자로 변환했을 때, 후자는 '여'를 한자로 변환했을 때의 글꼴이다. 나무위키에서 볼 때 위 두 한자는 서로 같아 보이지만 유니코드상 이 둘은 서로 다른 문자다.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해 보면 미묘하게 모양이 다른 걸 알 수 있다. 물론 Chrome 검색 엔진을 포함해 구글, 네이버검색 엔진은 위 두 문자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지만 유니코드 넘버는 엄연히 다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완성형/중복 한자 문서를 참조할 것.

女(계집 녀)가 두 개면 (송사할 난)이고, 세 개면 (간음할 간)이 된다. 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와 세 개 합친 한자가 모두 존재하는 사례이다.

초서로 쓰면 모양이 되고, 이것이 그대로 히라가나에 편입되었다. 다만 음독으로 음가가 정해진 다른 대부분의 가나들과 달리 훈독으로 음이 정해졌다.

카타카나 me 또한 마찬가지로 여기서 유래하였다.

(수풀 림) 사이에 (사내 남)과 (계집 녀)를 나란히 넣어서 '뻔할 뻔'이라는 한자를 만들기도 했다.

3.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파일:chinesetop.png⺿/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파일:chinesebetween.png{{{#!wiki style="margin:-16px -11px"파일:chinesetopbottom.png}}}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3.1. 女가 들어가는 한자는 안 좋은 의미?

파일:계집 녀 한자.gif
파일:계집 녀 한자 2.png

女가 부수인 글자 중에는 안 좋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꽤 있다. 위 두 번째 짤이 여성시대에서 지하철에 게재한 여성혐오 근절 포스터 중 이를 지적하는 내용이다. 대표적으로 (싫어할 ), (간사할 간), (방해할 방) 등이 있고, 계집 녀를 무려 3개나 쓴 은 '간음할 간'이라는 뜻이다.[3] 위 이미지 중에서는 안 나와 있지만 (종 노), (망령될 망), (기생 기) 등도 있다. 부수가 아닌 글자에도 肗(썩을 여) 같은 예가 있다. 심한 예로, (타당할 타)의 자원은 으로 여자를 누르는 모습이다.

이는 초기 한자가 형성되던 고대 사회의 문해층 대부분이 지배층 남성이었기 때문에, 女가 부수인 한자들의 자원을 보면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진 타자적 입장에서 여성적으로 여긴 특성에서 뜻을 따 만들어진 것이 많아진 것이다.

물론 女가 들어가는 한자가 다 안 좋은 의미만 가진 것은 아니다. 뜻부터가 '좋다'인 (좋을 호)를 비롯하여 始 (비로소 시), 姜 (성씨 강), 如 (같을 여, 말 이을 이), 妙 (묘할 묘), 姓 (성씨 성), 委 (맡길 위), 姿 (맵시 자), 威 (위엄 위), 娛 (즐길 오), 妖/姚 (예쁠 요), 嬉 (아름다울/즐길 희), 妟/侒 (편안할 안)[4], 釹(네오디뮴)등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의 한자도 많다. 진짜로 좋지 않은 뜻의 한자만 몰려있는 부수라면 죽을사변부로 나오고, 기본적으로 나쁨이란 뜻을 가진 이나[5] 병듦을 의미하고 질병의 부수로 쓰는 정도이다.[6]

다만 이 중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한자들도 당대의 성 역할 및 여성의 현실에서 만들어진 단어가 많다.[7] 예를 들어 如 (같을 여) 자는 "(남자의) 말에 따르는 여자"를 상형화한 것이며, 威 (위엄 위)자 역시 도끼로 여성을 위협하는 모습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8]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파일:attachment/ito.jpg}}} ||
女ずき者の最後
호색한의 최후

[1] '딸', '소녀' 등의 뜻을 나타낼 때[2] 출처: 《한비자》 외저설 (좌상). 증자의 아내가 아들에게 한 말이다. 여담으로 아내는 애를 달래려고 그냥 했던 말인데, 증자는 '애한테 농담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 부모를 따라 배우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면서 진짜로 아이에게 돼지를 잡아준다.[3] 다만 위의 포스터에서 예시로 든 한자는 벽자인 경우가 많고 같은 뜻의 다른 한자가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시로 嬻(더럽힐 독), 娸(미워할 기), 婬(음탕할 음), 㜜(거만할 오) 자는 거의 쓰이지 않고 각각 같은 뜻의 (도랑/더럽힐 독), (꺼릴 기), (음란할 음), (거만할 오) 자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편안할 안' 자는 인데 이 한자는 女 부수가 아니고 (집 면) 부수이다.[5] 이 부수를 쓰는 한자 중에서 대표적인 한자로 (죽을 사), (남을/잔인할 잔), (거의/위태할 태) 등이 있으며 그나마 긍정적인 뜻의 한자로 (불릴 식)이 있지만 殖 자도 원래는 '뼈에서 발라낸 뒤 오래되어 썩은 지방()'이라는 음산한 뜻이었다.[6] 이 부수를 쓰는 한자 중 긍정적인 뜻의 한자는 치유(), 쾌유() 등에 쓰이는 '병 나을 유()'와 치료() 등에 쓰이는 '병 고칠 료()' 정도밖에 없다.[7] 아름다운 모습에 남을 도와주거나 보살피는 역할.[8] 단, 도끼라는 것이 힘 또는 권력을 상징하는 만큼, 권력과 여자를 둘다 가지고 있기에 위엄이 있다고도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