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3:43:31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버스터미널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터미널이 입주하고 있는 성남시의 복합 쇼핑몰에 대한 내용은 테마폴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문제점 및 비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 고속/시외 <colcolor=#373a3c,#ddd>
시내
전세
터미널
매표소
해체
[a] 터미널 사업부가 아닌 삼흥고속에서 직접 운영
}}}}}}
[ 비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width=80px> 차량 ||<colcolor=#373a3c,#ddd><width=1000>
이엠코리아 [ b ]
KD 에너지텍
KD 오토리사이클링
KD 오토텍
||
직원복지
KD 김치공장
KD 상조회
KD 어패럴
KD 푸드피아
의료
교육
[b] CHTC의 수입사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pad> 가평군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nopad> 고양시 <nopad> 광명시 <nopad> 광주시 <nopad> 구리시 <nopad> 군포시
고양 광명 광주 구리 군포
<nopad> 김포시 <nopad> 부천시 <nopad> 성남시 <nopad> 수원시
김포 부천 성남 동수원 서수원
<nopad> 수원시 <nopad> 시흥시 <nopad> 안산시
수원 우만동 아주대 시흥 안산
<nopad> 안성시 <nopad> 안양시
안성 공도 안양 안양역 호계
<nopad> 양평군 <nopad> 여주시 <nopad> 연천군
양평 용문 여주 연천 전곡
<nopad> 오산시 <nopad> 용인시
오산역 용인 기흥역 신갈 양지
<nopad> 용인시 <nopad> 의왕시 <nopad> 의정부시 <nopad> 이천시
좌찬 백암 의왕고천 의정부 이천
<nopad> 이천시 <nopad> 파주시 <nopad> 평택시 <nopad> 포천시
장호원 문산 안중 평택 관인
<nopad> 포천시
도평리 송우리 이동 일동 포천시외
<nopad> 하남시 <nopad> 화성시
하남 향남 }}}}}}}}}
성남임시터미널
다국어 표기
영어 Seongnam Terminal
중국어 城南客运站
일본어 城南ターミナル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 (야탑동)
터미널 코드 / 행선지 표기
120 / 성남종합
운영사
KD 운송그룹
개업일
1982년 3월
이전일
2001년 4월(고속버스)
2004년 5월(시외버스)
2023년 1월 1일(기존 터미널 폐업 및 임시터미널 개업)
2025년 3월(임시 터미널 폐업 및 기존 터미널 재개장)[예정]
운영 노선(행선지)
하단 참조
연계 철도역

1. 개요2. 역사
2.1. 2020년대 이전2.2.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터미널 휴업2.3. 2023년 터미널 무기한 폐업 및 임시터미널로 전환2.4. 2025년 성남터미널 조건부 운영 정상화
3. 운행노선
3.1. 고속버스
3.1.1. 주의사항3.1.2. 호남권3.1.3. 영남권
3.2. 시외버스
3.2.1. 수도권3.2.2. 강원권3.2.3. 충청권3.2.4. 영남권3.2.5. 호남권
4. 중간정류소5. 연계 대중교통
5.1. 도시철도5.2. 시내·외 버스5.3. 공항 버스
6. 사건사고7. 미래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로 2023년부터 이용객 감소로 인해 무기한 폐업 상태였다가 2025년 3월 조건부 정상 운영을 할 계획이다.

2. 역사

2.1. 2020년대 이전

성남터미널은 원래 모란역 근처, 현재의 성남시 재개발 홍보관과 메트로칸 빌딩 자리에서 운영되었다. 이곳은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통합된 형태였으나, 1990년대에는 시설이 낡고 이용객 증가로 인해 포화 상태였다. 그러나 소유권 분쟁으로 인해 이전이 지연되었고, 결국 주차장에 승강장을 추가하는 등 비효율적인 운영이 불가피했다. 당시 터미널은 한정된 승강장으로 많은 버스를 수용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혼잡이 극심했다.

2001년, 고속버스 노선이 먼저 분당의 새로운 터미널로 이전했으며, 2004년에는 시외버스 노선도 이전하면서 모란 지역에서의 성남터미널 운영은 종료되었다. 이후 성남터미널은 성남 시민뿐만 아니라 용인시 수지구기흥구 주민들도 많이 이용하는 터미널로 자리 잡았다. 특히, 기흥구 주민들은 지역에 따라 성남터미널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존에 이용하던 신갈정류장이나 기흥역, 수원버스터미널과 비교하여 분당선과의 연계성이 높다는 점에서 선택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강남구 수인분당선 연선이나 송파구 주민들도 성남터미널을 많이 이용했다. 남부터미널이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것보다 복정역에서 수인분당선을 이용하는 것이 이동 편의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특히, 테헤란로 남쪽의 수인분당선 연선(예: 한티역-수서역 구간)에서도 환승 없이 성남터미널로 이동할 수 있어 편리했다. 이처럼 성남터미널은 경기 남부 및 서울 남동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 거점 역할을 하였다.

한편, 터미널의 공식 명칭은 성남시의 이름을 따서 "성남터미널"로 지정되었으나, 많은 이용객들은 "분당터미널" 또는 "야탑터미널"이라는 명칭을 선호했다. 이는 터미널이 분당신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분당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기 때문이었다. 버스 회사들도 노선표에 "성남/분당"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매표소에서도 "분당행"을 요청해도 "성남행" 티켓을 발권해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2.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터미널 휴업

터미널 개장 초기부터 유치권 행사 등으로 운영이 어려웠던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용객 감소로 경영난이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2021년 12월 13일, 터미널 운영업체는 2022년 1월 1일부터 1년간 휴업에 들어간다는 공지를 발표하였다. 휴업이 확정될 경우 매표실, 대합실, 승하차장 등 터미널 시설 이용이 불가능해져 성남시는 시외 교통이 거의 단절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공식자료

이를 막기 위해 성남시는 터미널 운영업체에 성남형 5차 연대안전기금 1억 3,000만 원을 지원하고, 경기도와 공동으로 터미널형 경기버스 라운지 조성 사업비 9억 6,000만 원 및 터미널 시설개선사업비 4억 원을 지원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였다. 결국, 12월 21일 터미널 대표와 성남시 및 관련 기관이 협의를 거쳐 휴업을 철회하고 정상 운영을 결정하였다. 휴업 철회에 대한 터미널측 안내문 휴업 철회에 대한 성남시 보도자료

2.3. 2023년 터미널 무기한 폐업 및 임시터미널로 전환

그러나 지속적인 이용객 감소와 유치권 분쟁, 경영 적자로 인해 터미널 운영이 어려워졌으며, 결국 2023년 1월 1일부로 폐업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터미널 건물 내 1층과 지하 1층 터미널 시설은 폐쇄되었으며, 같은 건물을 사용하는 홈플러스 야탑점CGV 야탑(지하 2층) 등은 영업을 계속하게 되었다. 기사

파일:성남터미널 폐업 안내.jpg

터미널 폐업의 주된 원인은 ‘이용객 감소로 인한 적자’였다. 2019년 하루 평균 6,700명이던 터미널 이용객 수는 2022년 3,500명으로 감소하였으며, 2016년 SRT경강선 개통으로 인해 대체 교통수단이 늘어나면서 터미널 이용객 이탈이 가속화되었다. 주요 노선이었던 이천 노선은 배차 간격이 전성기 30분에서 일 1회로 대폭 감축되었으며, 여주 노선은 폐선되었다. 또한, 안성, 평택, 오산 등 경기 남부행 시외버스 노선이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면서 승객 이탈이 심화되었다.
파일:성남임시터미널(매표소).jpg
파일:성남임시터미널(승차장).jpg
2023년 1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임시터미널

성남시는 폐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임시터미널을 마련하였다. 매표소와 승차장은 터미널 건물 남쪽 택시승강장(성남대로 925번길)에, 하차장은 터미널 건물 서쪽(장미로 48번길)에 배치되었으며, 박차장은 모란역 인근 성남동 대형 주차장이 활용되었다. 폐업된 터미널 내부 일부 매장(메가커피, 세븐일레븐, 약국 등)은 영업을 지속하였으며, 건물 내 안내 간판이 여전히 지하 1층 승차장을 가리키는 등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2.4. 2025년 성남터미널 조건부 운영 정상화

2025년 2월 1일, 성남시청은 성남터미널 운영업체 NSP가 제출한 면허 신청 서류를 검토한 후 5년 이상 영업 유지 등의 이행 조건을 포함하여 운영을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2월 중 시설 보수를 완료한 후 3월부터 성남터미널이 정상 운영될 예정이다. 기사

==# 구조(폐업 전) #==
터미널은 복합 쇼핑몰인 테마폴리스 건물에 입주하고 있다. 상술한 대로 하차장은 1층에 있고[2] 매표소와 승차장이 지하 1층에 있는 구조이다.

3. 운행노선

40분 거리에 있는 동서울의 하위 호환 버전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노선이 꽤 많은 편이다. 특히 처인구를 제외한 용인시 사람들은 용인터미널보다 이곳 또는 수원터미널을 선호한다.

1군 고속버스 회사로는 금호고속[A], 중앙고속, 동양고속, 천일고속, 속리산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A], 충남고속[A], 대원고속[A]이 성남터미널에 들어온다. 특히 본진이 청주속리산고속본진과 거리가 있는 장거리 노선인 대구, 부산, 통영행을 운행 중인지라 성남터미널을 포커스급으로 이용 중이다. 선산, 금산인삼랜드, 정안, 낙동강의성 환승휴게소를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횡성휴게소를 제외하면 이 터미널에서 웬만한 환승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매는 모두 코버스에서 가능하다.

이 터미널로 진출입하는 고속버스들은 궁내동의 경부고속도로 서울TG에서 요금을 한 번 내고 판교JC를 통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한 후, 성남IC로 진출하여 여수네거리를 경유하여 터미널로 들어온다. 그러나 광주원주고속도로의 개통 후 대구, 부산방면 노선들은 3번 국도를 거쳐 경기도 광주시 초월IC로 넘어가서 광주원주고속도로를 타는 경로로 주로 간다. 대구 방향 기준 후자의 방법은 잘 쓰지 않고, 전자의 방법을 주로 쓴다.

중앙고속성남시 면허(차적)이긴 하지만, 진주행과 창원(마산 경유)행, 광주행만 성남터미널에서 운행한다.

이 터미널에 들어오는 고속버스 회사는 이전에는 중앙고속보다는 주로 금호고속, 속리산고속, 동양고속이 더 많았으나 노선 트레이드 과정 및 감차를 거치면서 금호고속은 여수행 1회만 남게 되었고 동양고속도 최근 동대구행이 대폭 감차되어 현재 성남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고속사는 중앙고속과 천일고속이 되었다.

2017년 6월 30일부터 수 년간 성남 ↔ 광주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가 운행했었다. 서울 외 지역만을 운행하는 노선으로는 인천 ↔ 광주, 인천국제공항T1/T2, 인천종합 ↔ 김해 노선과 함께 처음이었다. 그러나 SRT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당시 코로나의 유행으로 인하여 프리미엄 버스가 성남 ↔ 광주 노선에서 결국 철수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2024년 2월 1일부로 속리산고속에서 부산행 노선대구행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를 운행을 개시하면서 광주행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가 철수한 이래 수 년만에 다시 성남에 고속사의 프리미엄 버스가 들어오게 되었다. 또한 동년 6월 1일부터 전주행에 프리미엄 버스가 들어왔다. 이 밖에 시외버스 회사의 경우는 금남고속중부고속에서 대전, 유성행 프리미엄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단점이 있다면, 상당수가 차급이나 배차간격[7]동서울/강남발보다 나쁘다는 게 단점이다. 예시로 심야시간대도 고속버스 노선이 있는 서울이나 동서울과는 달리 저녁에 막차가 끊기며 성남에 그나마 심야시간대가 있는 노선이 대구행과 전주행 뿐이다. 차급의 경우는 서울에서는 고속버스 회사가 운행하는 노선이 성남에서는 시외버스 회사가 운영하다 보니 차이가 나지만 그래도 고속사에서 신차가 출고되면 성남에 신차가 투입되고는 한다.

3.1. 고속버스

3.1.1. 주의사항

3.1.2. 호남권

호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정안알밤휴게소
광주
일 8회 중앙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광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정안알밤휴게소 1:10 ₩ 7,900
₩ 11,400 (우등)
비아동 광주 발권 후 하차
광주(유스퀘어) 3:15 ₩ 20,400
₩ 30,100 (우등)
운행시각표 06:30, 08:20, 10:00, 12:00, 14:00, 16:00, 17:50, 20:00
고속버스 성남-광주 참조.

첫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7년 6월 30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으나, SRT와의 경쟁에 밀리고, 코로나로 인해 철수하였다.
}}} ||
정안알밤휴게소
전주
일 15회 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정안알밤휴게소 1:10 ₩ 7,900
₩ 11,400 (우등)
호남제일문 전주 발권 후 하차
전주(고속) 2:30 ₩ 14,600
₩ 21,400 (우등)
₩ 23,500 (심야우등)
₩ 25,000 (프리미엄 (월~목))
₩ 27,800 (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 27,500 (심야프리미엄 (월~목))
₩ 30,500 (심야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운행시각표 (월)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화)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수)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목)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금)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토)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운행시각표 (일) 06:00, 07:30, 08:30, 09:30, 10:50, 11:40, 12:50, 14:00, 15:10, 16:20, 17:20, 18:20, 19:20, 20:20, (심야) 22:00
고속버스 성남-전주 참조.

07:30 ~ 20:20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프리미엄 제외)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진한 파란색 시간대는 운행 다이어에 따라 우등인 날도 있고, 일반인 날도 있다. 08:30이 우등이라면 15:10은 일반, 18:20은 우등이 되고, 일반이라면 15:10은 우등, 18:20은 일반이 된다.
}}} ||

3.1.3. 영남권

영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낙동강의성휴게소
부산
일 5회 (월~목)
일 6회 (금~일)
천일고속
속리산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부산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낙동강의성휴게소 2:00 ₩ 21,900 (우등)
부산(노포동) 3:55 ₩ 39,300 (우등)
₩ 45,900 (프리미엄 (월~목))
₩ 48,500 (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운행시각표 (월~목) 09:30, 11:30, 14:30, 16:30, 18:40
운행시각표 (금~일) 07:30, 09:30, 11:30, 14:30, 16:30, 18:40
고속버스 성남-부산 참조.

프리미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2023년 2월 13일부로 금호고속이 철수하고 천일고속이 이 노선을 이어받았다.

2024년 2월 1일부로 속리산고속프리미엄을 운행한다.

천일고속여기에 주박하지 않으며, 반대로 속리산고속부산에 주박하지 않는다.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고,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선산휴게소
대구
일 5회 (월, 토)
일 4회 (화~금, 일)
동양고속
속리산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대구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22,000 (우등)
서대구 3:25 ₩ 29,500 (우등)
₩ 34,500 (프리미엄)
동대구
운행시각표 (월, 토) 07:30, 09:00, 11:00, 15:00, 19:00
운행시각표 (화~목) 08:00, 11:00, 14:00, 17:00
운행시각표 (금, 일) 08:00, 11:00, 13:00, 15:00
고속버스 성남-동대구 참조.

2024년 2월 5일부로 속리산고속 한정으로 프리미엄 버스가 투입한다.

프리미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
선산휴게소
마산ㆍ진해
일 2회 동양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진해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22,000 (우등)
마산(고속) 3:50 ₩ 35,900 (우등)
진해 4:20 ₩ 37,200 (우등)
운행시각표 10:00, 18:00
고속버스 성남-진해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다른 시간의 경우 창원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2019년 7월 29일부터 마산행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내서를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서로 가고 싶은 승객은 선산휴게소에서 환승해야 한다. 단, 설날추석의 특송 기간일 경우 마산 발권 후 하차 → 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 밖에 없다. 단, 막차 놓치면 창원의 막차(20:00)로 마산 발권 후 하차 → 택시 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 ||
선산휴게소
마산ㆍ창원
일 4회 중앙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창원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선산휴게소 2:05 ₩ 15,000
₩ 22,000 (우등)
마산(고속) 3:50 ₩ 24,200
₩ 35,900 (우등)
창원 ₩ 24,300
₩ 36,100 (우등)
운행시각표 08:30, 13:00(마산 미경유), 15:30, 19:40
고속버스 성남-창원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선산 발권 대상자는 제외

다른 시간의 경우 진해 노선으로 대체 가능하다.
주의. 창원역을 경유하지 않으며, 마산 또는 창원 발권 후 하차 → 시내버스 통해 환승하는 방법밖에 없다.
}}} ||
금산인삼랜드휴게소
진주
일 4회 중앙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성남발 진주행 (개양 경유)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 1:45 ₩ 12,700
₩ 18,500 (우등)
개양 3:30 ₩ 22,800
₩ 33,900 (우등)
진주(고속) 3:40
운행시각표 10:00, 13:00
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금산인삼랜드 발권 대상자는 일반만 적용된다.
성남발 진주행 (진주혁신도시 경유)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 1:45 ₩ 18,500 (우등)
진주혁신도시 3:30 ₩ 33,900 (우등)
진주(고속) 3:40
운행시각표 07:30, 18:30
고속버스 성남-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단, 금산인삼랜드 발권 대상자는 적용되지 않는다.
}}} ||

3.2. 시외버스

3.2.1. 수도권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 요금 비고
인천 모란역 대원고속 20회 4,400원 8806번

3.2.2. 강원권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 요금 비고
춘천 가천대학교 강원고속대원고속 7회
(토,일은 8회)
11,700원(우등) 시외우등
원주 문막, 이천 대원고속 17회[10] 11,000원(원주)
9,300원(문막)
[11][12]
강릉 무정차 경기고속 8회 22,600원(우등) -
속초 원통, 양양 금강고속 6회[13] 26,500원(우등/원통 경유)
22,200원(우등/양양 경유)
시외우등
삼척 동해 경기고속대원고속강원여객 3회 30,200원(삼척)
27,200원(동해)
시외우등
홍천 양평 금강고속 4회 12,900원(홍천)
6,200원(양평)
-

3.2.3. 충청권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 요금 비고
대전 무정차 중부고속금남고속 17회 20,500원(프리미엄)
15,700원(우등)
전환고속
상세
유성 정부대전청사(둔산동) 금남고속중부고속 14회 20,500원(프리미엄)
15,700원(우등)
전환고속
상세
천안 무정차[14] 금남고속중부고속한양고속 27회 8,500원(우등)
6,500원(일반)
상세
청주 무정차 삼흥고속 10회 12,700원(우등)
9,800원(일반)
상세
제천 무정차 대원고속 6회
(금 8회, 토,일 5회)
16,100원(우등) -
세종 세종청사 금남고속중부고속 5회 15,600원(우등)
14,700원(우등/세종청사)
-
아산 배방정류소 한양고속금남고속 4회 11,700원원(우등)
9,000원(일반)
상세
태안 기지시, 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 어송리 한양고속충남고속 6회 17,800원(태안)
16,000원(서산)
10,600원(당진)
상세
안면도 기지시, 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 서산, 태안, 남면, 창기리 한양고속충남고속 2회 23,900원 -
논산 천안, 광정, 석송, 모란, 공주 금남고속 1회 18,400원 -

3.2.4. 영남권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 요금 등급 비고
안동 풍기, 영주 경북고속경기고속 화~목 3회
금 5회
토~월 6회
18,100원(풍기)
20,200원(영주)
27,400원(안동)
시외우등 상세
김해[15] 구미 경북고속 2회 23,200원(구미)
38,900원(김해)
시외우등 상세
상주 문경, 점촌 대원고속 4회 16,700원(문경)
20,800원(점촌)
24,900원(상주)
시외우등 상세
포항 경주 아성고속천마고속대원고속 2회 32,100원(경주)
37,600원(포항)
시외우등 상세
울산 무정차 아성고속천마고속경기고속 1회 36,800원 시외우등


경산시, 청도군, 밀양시, 김천시 등과 같이 철도 강세 지역이다 보니 노선이나 횟수는 많이 빈약하다. 분당선 타고 수원역 가서 경부선을 이용하든가 아니면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면 된다.

3.2.5. 호남권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 요금 비고
여수 순천 금호고속경기고속전북고속 3회
(금,토,일,월 4회)
30,400원(순천)
36,900원(여수)
시외버스 성남-여수 참조
동광양 수원, 광양 대원고속 3회 38,000원 시외우등
군산 무정차 경기고속금남고속충남고속 3회 23,000원 시외우등

==# 버스 승차홈(폐업 전) #==
===# 고속버스 #===
===# 시외버스 #===

4. 중간정류소

5. 연계 대중교통

5.1. 도시철도

5.2. 시내·외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성남터미널(임시승차장) (07620)
* 모란역(광역.시외버스) 방면
||
시외 버스

5.3. 공항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야탑역(공항버스) (07629)
* 이매역 방면
||
경기도 공항버스

6. 사건사고

2015년 4월 건물 유지비 등의 체납 문제로 터미널 내 전기 공급이 차단되었다. 이 때문에 정상적인 발권 업무이 불가하므로 모든 창구가 폐쇄됐다. 임시 방편으로 무인 발권기를 이용하거나, 임시로 마련된 창구에서 티켓팅을 할 수 있으나 현금 결제는 불가하고 신용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 성남터미널은 경매에 넘겨진 상태며, 정상화까지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015년 7월 말부터 터미널이 정상화되어 창구에서 예매 및 발권이 가능하다. 예매는 그 동안 발권했던 버스연합회가 아닌 터미널협회에서 예매해야 한다. 2016년 6월 8일부터는 예매가 티머니 시외버스 예매 홈페이지로 변경된다. 고속버스 측은 중간에 터미널 사업자가 바뀐 듯하다. 고속버스 승차권 좌측 하단 기준으로 지엠코리아 or 지엠지 → 엔에스피

7. 미래

중부내륙선 KTX-이음판교역에서 문경역까지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라 경상도 방면 교통수요도 타격을 입을 예정이다. 그나마 수요가 나오는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방면 노선들도 SRT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음은 자명하다. 또한 수서광주선 모란역이 개통하면 더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도 테마폴리스 소유자와 임대료 및 관리비 문제 등도 해결되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성남시에서 터미널 문제에 신경써줄 여유가 있는지도 의문스러운 시정을 펴고 있어 정상화 가능성이 점점 줄고 있다.

야탑동 터미널을 폐지하고 중부내륙선 판교역, GTX-A 성남역환승센터로 시외버스 수요를 대체하자는 의견이 있다. 다만 이럴 경우 성남 본시가지의 수요를 흡수할 수 없어 문제가 된다. 모란역의 KTX 정차 및 수도권 전철 8호선 판교 연장으로 일부 해결할 수는 있다.

아예 미국, 캐나다, 멕시코처럼 가변터미널을 정식터미널로 바꾸어서 영업하는 방법도 있다. 북미에서는 이렇게 노상에서 고속버스를 승하차하는 게 흔하다. 정확히는 폿말만 하나 세워두고 승객을 승하차한다. 심지어 폿말도 없는 경우도 있어서 위치를 잘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성남대로 야탑역 구간의 특성상 현실성이 없으며 그나마 힘겹게 버티는 수요마저 경쟁 교통수단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예정] [2] 종착한 차량은 나선형의 통로를 통해 지하 승차장으로 들어간다. 층이 다르지만, 복층으로 승차장이 있는 동대구터미널에도 나선형 통로가 있다.[A] 시외버스 노선으로 들어온다.[A] [A] [A] [7] 물론 성남시 인구와 용인시 수지구 인구가 서울 동부의 인구보다는 당연히 적다.[8] 자유무역지역후문 정류장까지 도보 이동 후 이용[참고/주의.] 야구장앞 홈플러스 정류장까지 걸어야 한다. (단, 106번은 예외)[10] 문막 경유와 이천 경유 각 2회씩 운행[11] 원주를 지나 제천 종착 및 영월 종착(제천 경유) 노선과 태백 연장 노선은 폐지.[12] 광주원주고속도로를 운행하지 않고 42번 국도로 운행하는 경로라 요금이 비싸다.[13] 원통 경유와 양양 경유 각 3회씩 운행[14] 아산행 4회, 공주-논산행 1회[15] 원래 직통과 구미경유가 있었는데 직통노선 돌리시던 분께서 김천 경유로 노선변경을 하려고 했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아 무기한 보류했다.[16] 2020년 1월 부터 운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