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12:15:18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지하철 3호선에서 넘어옴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대화 ~ 지축
(19.2km, 33.45%)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 오금
(38.2km, 66.55%)
역 목록 | 연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Seoulmetro3_icon.svg수도권 전철 3호선
首都圈 電鐵 3號線
Seoul Metropolitan Metro Line 3
}}} ||
파일:0I9A4963.jpg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파일:W397.jpg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3호선 노선도(2024.12).svg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 일반철도(일산선)
차량 분류 대형 중전철
기점 대화역
종점 오금역
역 수 44개
구성 노선 일산선(대화~지축)
서울 지하철 3호선(지축~오금)
상징색
주황색 (#EF7C1C)
개통일 1985년 7월 12일([age(1985-07-12)]주년)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구간1]
서울특별시[구간2]
운영사 한국철도공사[구간1]
서울교통공사[구간2][5]
사용차량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지축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57.4km
궤간 1,435mm(표준궤)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지상 : 카테너리가선, 지하 : 가공강체가선
신호방식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최고속도 80km/h
표정속도 35.88km/h
지상구간 대곡 / 원당 / 지축 / 옥수[6]
지하구간 대화백석
화정
원흥삼송
구파발금호
압구정오금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1985. 07. 12. 구파발독립문
1985. 10. 18. 독립문양재
1990. 07. 13. 지축구파발
1993. 10. 30. 양재수서
1996. 01. 30. 대화지축
2010. 02. 18. 수서오금
2014. 12. 27. 원흥
개통 예정 2032. 오금하남시청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구성 노선5. 역할6. 운행 환경7. 전 구간 주행 영상8. 역 목록9. 환승역10. 소재지11.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12. 운행 차량13. 역별 승하차 통계14. 문제점15. 미래 논의
15.1. 급행열차 운행 계획
16. 사건 사고17. 여담
17.1.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노선17.2. 역세권 선호도가 높은 노선17.3. 난공사17.4. 기타
1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일산선이 직결한 형태이다. 노선색은 주황색이며, 색의 뜻은 평화를 뜻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함께 고양시서울특별시를 이어주는 4개뿐인 전철 노선이다.

원래는 서로 다른 노선으로 취급되어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주황색, 일산선은 남색이나 회색으로 색도 따로 쓰고 노선도에도 따로 표기되어 있었으나, 2000년수도권 전철 3호선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게 됐다. 그러나 철도사업법도시철도법 규정에 따라 공식적으로 여전히 별개 노선으로 간주된다.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에 일산선 수치만 따로 나오는 것이 그 증거이다.

현재 운행 중인 열차에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49편성, 한국철도공사는 16편성이 있다. 서울교통공사 : 한국철도공사 차량의 비율은 약 3:1이다.

2. 건설 목적

3. 역사

3.1. 서울 지하철 3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3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양택식 서울시장이 1970년 서울 지하철 노선을 구상할 당시에 계획된 3호선은 연신내-역촌-홍제-독립문-서울역-충무로-혜화-길음-수유로 이어지는 노선이었으며, 현재의 3호선과 4호선의 한강 이북을 합쳐놓은 모양의 U자형 노선이었다. 그러나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은 양 전 시장의 2~5호선 계획을 파기하고 새로이 2~4호선을 계획했는데, 이 때의 3호선은 불광-서울역-사당으로 3호선의 한강 이북과 4호선의 한강 이남을 섞어놓은 듯한 모양이었고, 반대로 4호선은 미아-동대문-보광동-강남으로 4호선의 한강 이북과 3호선의 한강 이남을 섞어놓은 듯한 모양이었다. 그러다 1977년 계획이 수정되며 현재의 3호선과 4호선의 계획이 완성됐다. 방사형 노선들이 충분히 건설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이례적으로 순환선으로 지어졌기에 이 순환선이 보조해줘야 할 방사형 노선인 3호선과 4호선 역시 빨리 지어질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당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모두 재정이 빈약했기에 원하는 만큼 지하철을 짓기가 어려웠고, 서울시는 3호선과 4호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하려 했으나 경제위기와 인플레이션으로 공사비가 치솟자 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던 기업들이 하나둘 발을 빼는 상황에 이르렀다. 결국 서울시는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포기하고 지방공기업 방식으로 지하철을 건설 및 운영하기로 했으니, 이렇게 생긴 공기업이 현 서울교통공사의 전신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이다. 한편 3호선의 최초 계획은 고양시 벽제에서 출발해 양재역으로 가는 노선이었으나, 서울시 재정 부족으로 벽제~구파발이 단축되어 최종적으로 구파발역양재역을 잇는 노선이 됐다. 무악재와 종로, 반포 등 곳곳에서 난공사가 진행되고 중간에 공사 중단까지 겪으면서 4호선보다 늦은 1985년 10월에 전 구간이 개통했고 최초개통일도 3호선이 1985년 7월 12일이지만 4호선이 1985년 4월 20일로 3개월정도 먼저 개통했다.

한편 강남구 개포동에 아파트 단지가 대거 건설되면서 개포동 주민들을 위한 교통수단이 필요해졌고, 3호선을 개포동을 거쳐 수서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1차 구간 착공 후인 1981년에 제안됐다. 그러나 13대 대선에 출마한 노태우민정당대치동에 지하철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이는 대치동과 개포동 주민들 사이의 분쟁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1989년에 3호선이 대치동을 지나가는 것으로 결정됐고, 성난 개포동 주민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개포동에는 분당선이 들어갔다. 3호선 2차 구간(양재~수서)은 1993년 10월에 개통했다. 그 후 8호선이나 5호선과의 연계를 위해 3호선을 오금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3기 지하철 계획의 일부로 나왔고, 그 구간은 2010년 2월에 개통했다.

3.2. 일산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산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89년에 고양시 일산 지역(구 고양군 일산읍)이 1기 신도시 중 하나인 일산신도시로 지정되면서 신도시와 서울을 이어주는 노선이 필요해짐에 따라 기존의 벽제 연장 계획이 폐기됐고 대신 일산에서 화정과 삼송을 거쳐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기점인 구파발역으로 향하는 일산선의 계획이 수립됐다. 그 후 원당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해 화정역과 삼송역 사이에 원당역이 추가됐고, 백석역과 화정역 사이에 위치한 경의선-교외선 분기점에 대곡역을 추가해 일산선-경의선-교외선 세 노선의 환승역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일산선도 과천선처럼 통행방향과 전류방식을 두고 철도청과 지하철공사 사이에 갈등이 있었는데, 꽈배기굴이 하나 더 만들어지는 것을 차마 볼 수 없던 감사원이 기존 3호선의 방식을 따를 것을 결정하면서 일산선은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 중 유일하게 직류-우측통행이 됐다. 일산선은 1996년 1월에 개통했다.

4. 구성 노선

5. 역할

우선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일산선일산신도시와 화정, 원당, 삼송을 차례로 거치는데, 노선명은 "일산선"이지만 정작 일산신도시 주민들은 원당으로 돌아가는 3호선보다 서울로 더 빨리 갈 수 있는 경의·중앙선이나 광역버스, 간선버스를 선호하기 때문에 주 이용객들은 덕양구 주민들이다. 실제로 일산선 이용객 통계를 보면 상위권은 거의 다 덕양구 역들이고 일산의 역들은 종점 착석 프리미엄이 있는 대화역을 제외하면 주엽역~백석역은 나란히 하위권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원흥역~지축역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 개발이 진행 중이기에 일산선의 수요 및 중요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삼송역은 개통 당시만 해도 주변에 허허벌판밖에 없어 이용객이 매우 저조했지만, 삼송지구 입주가 시작되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고 역 근처에 스타필드가 들어서면서 일산선 최다 이용객 역으로 올라섰다.

한편 서울 내에서는 도심(4대문안)과 강남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서울의 그 많은 전철 노선 중 도심과 강남을 모두 지나는 노선은 2호선과 3호선 두 개뿐이며, 2호선은 순환선이라 동쪽은 왕십리와 잠실, 서쪽은 합정과 신림을 거쳐 돌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두 지역을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은 3호선이 유일한 셈이다. 덕분에 교통 체증이 극심한 남산1호터널-한남대교-경부고속도로의 수요를 많이 흡수한다. 또한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성북구 등 서울 동북부에서 강남에 가려는 이용객들이 1호선이나 4호선을 타고 내려와 종로3가역/충무로역에서 3호선으로 갈아탄다. 3호선에서 환승 수요가 많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종로3가역에서 양재역까지 3호선을 타면 25분밖에 걸리지 않는데, 이를 자동차와 버스로 가면 주요 도로의 상습 정체로 인해 족히 4~50분은 잡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강 이남에서는 강남의 주요 수요처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압구정역신사역은 주변 상권이 크게 발달되어 있고, 특히 신사역은 가로수길 상권 발달에 이어 Apple 가로수길까지 입점하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2호선잠실역에서 서초역까지 직진만 하면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미경유하는 문제점이 생겼는데, 결국 3호선이 조금 돌아가는 선형에도 불구하고 고속터미널을 지나가게 됐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고속터미널역은 훗날 7호선과 9호선이 개통하며 3개 노선 환승역이 됐고 3호선 최다 이용객 보유 역이 됐다. 다음 역인 교대역은 2호선과의 환승역이라 환승 수요가 매우 높고, 양재역은 업무지구 밀집지역이라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한다. 또 대치역대치동 학원가를 이유로 학생 수요가 높은 등 다양한 연령대, 계층,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3호선 강남을 함께 이용한다.

또한 남부터미널역수서역을 3호선이 경유하게 되면서 서울로 도착할 때 처음으로 탑승하게 되는 노선중 하나가되었으며, 강남의 3대 시외교통 요충지인 고속터미널역-남부터미널역-수서역을 모두 이어주는 환승 연계노선의 역할도 맡고 있다. 마치 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을 모두 이어주는 공항철도와 유사한 역할을 맡고 있는 셈이다.

6. 운행 환경

6.1. 안내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차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역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어 강희선 보이스웨어 혜련
영어 제니퍼 클라이드 보이스웨어 Julie
중국어 조홍매 없음
일본어 도이 미호
출발 BGM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일부) 코레일 ID송
환승 BGM 풍년 얼씨구야
종착 BGM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코레일 로고송
한국어 안내방송 담당 성우는 2010년부터 2019년 중순까지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모두 강희선이었다. 같은 기간, 영어 안내방송 담당은 제니퍼 클라이드였다. 그 후 한국철도공사는 안내방송을 TTS로 교체했다. 서울교통공사는 계속 강희선-제니퍼 클라이드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상시 종착역인 대화역, 구파발역, 삼송역, 수서역, 오금역은 내리는 문 방송이 없다. 심야 종착역인 독립문역, 약수역, 압구정역, 도곡역 종착 안내방송은 1~4호선(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행 제외) 방송과 다르게 내리는 문 방송을 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는 상대방 역의 부역명을 전혀 방송하지 않는다.

서울교통공사 1차분에서는 수서역 종착은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이 하이라이트버전으로 송출된다.

6.2. 혼잡 구간

한국철도공사 혼잡도 출처, 서울교통공사 혼잡도 출처1, 2

6.2.1. 일산선 (대화역~지축역)

2021년 최대 혼잡 구간 지축역삼송역 89%

일산선은 크게 대화~백석의 일산신도시 구간과 화정~지축의 덕양구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신도시에서는 경의·중앙선이나 중앙로 경유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하면 서울 도심으로 더 빨리 가는 것이 가능하기에 굳이 돌아가는 선형인 3호선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수요가 다소 저조하다. 그나마 종점이라 착석 보장 프리미엄이 붙는 대화역고양종합터미널이랑 연계되어 있는 백석역 정도가 수요가 나오고, 그 사이의 주엽역~마두역은 경의·중앙선 일산역~백마역으로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덕양구에서는 3호선이 서울로 가는 최단 경로가 맞기에 여전히 수요가 건재하다. 일찌감치 역세권 개발이 완료된 화정역은 경의·중앙선 전철 개통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20년째 꾸준히 유지되고 있고, 원흥역~지축역은 현재도 택지지구 개발이 진행중이라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6.2.2.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오금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 문서
3.1.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혼잡도 154.8%(2011년 149%, 2013년 147%, 2021년 141%)

7. 전 구간 주행 영상

<nopad>
오금역 대화역 전 구간 주행 영상
<nopad>
대화역 오금역 전 구간 주행 영상

8.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3호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환승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환승역 일람
역 번호 역명 환승 노선
314 대곡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315 화정 서부선
321 연신내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322 불광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329 종로3가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330 을지로3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331 충무로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333 약수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335 옥수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337 신사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위례신사선
339 고속터미널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340 교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342 양재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GTX-C
344 도곡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346 학여울 위례신사선
349 수서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350 가락시장 파일:Seoulmetro8_icon.svg 8호선
위례신사선
352 오금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105 하남시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3호선은 1기 지하철 중에서는 막장환승이 많지 않은 편이다. 5, 6, 7, 8, 9호선과 1, 2, 4호선 사이 환승역 중에서는 막장환승이 많은 편이지만, 3호선은 개념환승이 상당히 많다. 대곡, 연신내, 종로3가, 옥수, 고속터미널, 양재, 수서 정도가 환승이 조금 어려운 편이지만 서해선 대곡역을 제외하고 전부 대체 환승역이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연신내역-불광역, 양재역-신사역, 수서역-도곡역이라는 대체지가 있다. 다만 옥수역은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역이지만 대곡역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대체 환승역이라고 볼 수 없다. 막장환승으로 악명 높은 고속터미널역(3, 7, 9)이나 종로3가역(1, 3, 5)의 경우 工자 환승역에서 가운데에 낀 노선이 3호선이다 보니 3호선과의 환승은 개념환승에 가깝다. 고속터미널역의 막장환승은 7 ↔ 9 환승이고, 종로3가역의 막장환승은 1 ↔ 5 환승인데 공통적으로 3호선 승강장을 횡단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6호선과 가장 많이 환승이 되지만 응암순환 구간에서 2번 만나기 때문에 환승 연계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3호선과 6호선의 환승역은 열리는 문이 전부 반대이다.

10. 소재지

11.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

12. 운행 차량

13. 역별 승하차 통계

2024년 기준 수도권 전철 3호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1. 환승역 승하차량은 다른 노선의 승하차량을 제외한 수치이다.
  2. 모든 이용객이 4호선으로 집계되는 충무로역은 통계에서 제외했다.
  3. 다음 3개 역은 출입구 게이트를 3호선이 독점하고 있어 다른 노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4. 역별 순위에서 일산선 구간은 서울교통공사 관리 구간과 구별하기 위해 주황색으로 표시한다.[예외]
수도권 전철 3호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44개 대화 ↔ 오금 28,225명 1,213,682명 442,993,968명 고속터미널 대곡
34개 서울 지하철 3호선 30,563명 1,008,581명 368,132,071명 고속터미널 학여울
10개 일산선 20,510명 205,101명 74,861,897명 삼송 대곡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10만명 이상 5만명~10만명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1만명 이하
44개 대화 ↔ 오금 없음 7개역
(역별 순위 1~7위)
18개역
(역별 순위 8~25위)
13개역
(역별 순위 26~38위)
5개역
(역별 순위 39~43위)
||<-4><tablebordercolor=#EF7C1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ef7c1c> 수도권 전철 3호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고속터미널 98,434명 36,026,902명
2위 양재 71,386명 26,127,261명
3위 연신내 65,169명 23,851,724명
4위 압구정 61,656명 22,566,158명
5위 남부터미널 57,932명 21,203,017명
6위 신사 54,162명 19,823,201명
7위 안국 53,449명 19,562,294명
8위 경복궁 50,519명 18,490,117명
9위 구파발 41,859명 15,320,468명
10위 수서 37,107명 13,581,023명
11위 삼송 36,221명 13,256,910명
12위 홍제 34,273명 12,543,949명
13위 화정 33,601명 12,298,119명
14위 불광 33,573명 12,287,697명
15위 녹번 28,053명 10,267,354명
16위 교대 24,786명 9,071,546명
17위 약수 24,676명 9,031,323명
18위 대화 24,558명 8,988,042명
19위 대치 23,791명 8,707,505명
20위 종로3가 23,299명 8,5247,492명
21위 매봉 22,905명 8,383,189명
22위 동대입구 22,569명 8,260,350명
23위 을지로3가 22,209명 8,128,505명
24위 원흥 21,259명 7,780,827명
25위 원당 20,805명 7,614,762명
26위 일원 20,129명 7,367,380명
27위 대청 19,865명 7,270,430명
28위 백석 19,448명 7,118,113명
29위 주엽 18,935명 6,930,092명
30위 옥수 17,892명 6,548,597명
31위 가락시장 17,290명 6,328,273명
32위 독립문 15,573명 5,699,796명
33위 정발산 15,148명 5,544,042명
34위 마두 15,127명 5,536,387명
35위 금호 15,092명 5,523,670명
36위 지축 14,347명 5,250,947명
37위 경찰병원 14,045명 5,140,577명
38위 오금 11,898명 4,218,996명
39위 도곡 11,069명 4,354,664명
40위 잠원 9,646명 3,530,322명
41위 무악재 8,502명 3,111,604명
42위 대곡 5,286명 1,934,630명
43위 학여울 5,177명 1,872,837명

14.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3호선/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미래 논의

===# 연장 논의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3호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하남시 연장 계획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파하남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1. 급행열차 운행 계획

현재 3호선에는 급행열차가 없지만,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수도권 전철 급행운행 확대를 공약으로 제시했고 당선되면서 2017년 7월 일산선을 포함한 한국철도공사 구간 급행열차 운행 계획을 발표했다.[8] 계획에 따르면 정발산역, 화정역, 원흥역에 대피선을 설치해 기존 일반열차보다 약 7분 빠른 급행열차를 2022년 하반기부터 운행한다고 한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끝날 때까지 급행열차 운행은커녕 대피선 설치조차 시작하지 않았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3년 현재는 이 계획이 조용히 묻힌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의 급행열차 확대 공약 중 지켜진 것은 경인선 특급 신설과 수인선 급행 정도밖에 없으며 일산선을 포함한 나머지 경부선, 경의선, 안산선 급행 증편, 분당선 전구간 급행, 과천선 급행 신설 등은 전부 실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2024년 4월, 서울시에서 4호선 급행화와 함께 3호선 급행화 추진에 나선다고 한다.[9]

16.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7. 여담

17.1.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노선

3호선은 고양시서울특별시의 주요 역사·문화시설을 대거 경유하기로 유명해 관광객들이 많이 타는 노선 중 하나이다. 3호선 역 인근의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17.2. 역세권 선호도가 높은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은 서울 모든 지하철 노선 중 역세권 선호도가 가장 높은 노선으로 조사됐다.[14][15] 역세권 선호도 33.9%로 1위를 차지해 29.3%를 차지한 서울 지하철 9호선과 12.2%를 차지한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제쳤다. 그 이유는 우선 강남-서초에서 압구정동, 반포동, 서초동, 도곡동, 대치동 등 부촌으로 유명한 고급 주거단지를 많이 지나기 때문이다. 또한 은평뉴타운과 녹번동, 홍제동, 금호동, 송파 헬리오시티 등 여러 재건축 대단지가 연선에 몰려있어서 좋은 주거환경을 가진 역세권에 많은 사람이 주목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호선은 도심과 강남을 이어주기 때문에 교통 편의성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을뿐더러 주거단지와 업무지구, 관광지, 문화공간, 학원가 등 다양한 성격의 장소들을 골고루 지나가기 때문에 편의시설 연계 측면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도 투자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제1세계 외국인들한테도 인기가 많은 노선으로 무려 미국, 영연방, 유럽에서 서울 지하철의 대부분 노선[16]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다만,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제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노선도 만만치 않은데, 부산광역시에서 무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꺾고, 해외에서 TOP 1을 찍을 정도다.]과 더불어 인기가 많은 노선이다.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 중동에서도 수도권 전철 4호선에 이어 인기가 많은 노선이다.[18]

17.3. 난공사

3호선은 1기 지하철 중 난공사가 많았던 노선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공사 중 악재로 무악재 참사와 반포동 붕괴 사고가 있었으며, 시민들에게 너무 큰 불편을 가중한다는 이유로 중도에 공사 중단까지 겪어야 했다. 똑같은 시기에 지어진 4호선과는 비교도 안 되게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고, 결국 3호선임에도 4호선보다 개통이 늦어졌다. 이런 난공사로 승강장을 좁게 지은 역이 종로3가역으로, 왕복 2차선에 불과한 돈화문로를 지나기 때문에 주변 건물들을 헐면서 지었지만 3개 노선 환승역에 걸맞지 않게 승강장이 매우 좁다.

3호선은 당시에 신기술로서 한국에 처음 도입된 NATM 공법의 최대 수혜자이다. 교통시스템 공학어로 설명하면 숏크리트, 와이어매쉬, 록볼트 같은 보강재를 활용하고 화약발파하는 재래식 공법이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3호선이 들어설 자리 중에는 언덕이 많은 홍제동과 동대입구역~금호역, 산을 뚫어야 했던 고속터미널역~교대역, 개착식 공법 적용이 어려운 종로 구간이 있었다. 이후 NATM 공법은 이런 곳의 지하철 건설에 큰 도움을 주었다.

17.4. 기타

18. 관련 문서

3기 서울 지하철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64ca1><colcolor=#fff> 기본 계획
9호선
개화역~감일역
10호선 11호선
12호선
왕십리역~광운대역
3호선
수서역~오금역
추가 계획
황학~마들 경전철 관악구 순환 경전철 신도림~DMC 경전철
강남구 순환 경전철 홍대입구~길음 경전철 가오리~장한평 경전철
연계 계획
(구)인천 3호선
온수역~신천역
수도권 간선전철 계획 수도권 순환전철 }}}}}}}}}

[구간1] 일산선(309319)[구간2] 서울 지하철 3호선(319352)[구간1] [구간2] [5] 열차운전계획 수립 및 기동검수실 운영[6] 동호대교[예외] 지축역은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함께 운행하는 역이지만, 운임을 서울교통공사가 모두 가져가므로 서울 지하철 3호선 소속으로 간주[8] 「경부·분당·과천·일산 급행열차 확대…GTX 2025년까지 구축」, 전자신문, 2017-07-07[9] 「서울시, 민자로 도시철도 구축 속도낸다」, MTN뉴스, 2024-04-04[10] 「지하철 3호선 3시간 멈춰..안내도 없어 출근길 '분통'」, 경향신문, 2018-10-02[11] 「지하철 3호선 선로에 불…가장 추운 날 '출근길 대란'」, SBS, 2022-12-23[12] 「지하철 선로 화재로 90여 분 운행 중단…출근길 큰 혼잡」, KBS, 2022-12-23[1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14] 「서울지하철 3호선 역세권 아파트 선호도 높아」, 이데일리, 2015-11-09[15] 「가장 선호하는 서울 역세권은 '지하철 3호선'」, 파이낸셜뉴스, 2015-11-09[16] 특히[] [18] 바로 뒷 순위가 서울 지하철 9호선서울 지하철 2호선이다.[19] 「지하철 역세권 골드라인은 ‘3호선’」, 위클리서울, 2008-11-20[20] 다만 송파하남선 연장 구간이 개통하면 하남선의 수요를 가져와 다시 역전할 가능성이 있다.[21] 다행히도 여기는 3-9 환승은 비교적 괜찮은 편이다. 3-7 환승과 7-9 환승이 난이도가 높다.[22] 지상역은 대곡역, 원당역, 지축역, 옥수역이다.[23] 2025년 9호선과 공항철도 직결운행하면 고속터미널역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한번에 갈 수 있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