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라선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신창역(평라선) 문서
, 상하이 지하철 16호선의 지하철역에 대한 내용은 신창역(상하이 지하철) 문서
참고하십시오.폐역 | 신창 - |
신창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용산 방면 온양온천 ← 5.1 ㎞ | 홍성 출발 신례원 10.3 ㎞ → | |||
홍성 방면 예 산 ← 15.3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신창(순천향대)역 | ||||
광운대 방면 | 1호선 (P177) | 시종착 | |||
온양온천 ← 5.1 ㎞ | |||||
1호선 [[천안급행| 경부선 급행 A ]] | |||||
청량리 방면 | |||||
서울 방면온양온천 ← 5.1 ㎞ | 1호선 [[천안급행 B| 경부선 급행 B ]] | 출발 | }}}}}}}}} | ||
역명 표기 | |||||
장항선 | 신창 (순천향대) Sinchang (Soonchunhyang Univ.) 新昌 / [ruby(新昌, ruby=シンチャン)] | ||||
1호선 | |||||
주소 |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 (행목리 346-49)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천안아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 |||||
운영 기관 | |||||
장항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충남선 | 1922년 6월 15일~ 1955년 9월 1일 | ||||
장항선 | 1955년 9월 1일[1] | ||||
2024년 11월 2일 | |||||
1호선 | 2008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 |||||
승강장 구조 | |||||
2면 5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천안 방면 온양온천 ← 5.1 ㎞ | 장항선 신 창 | 익산 방면 도고온천 5.8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P177번.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로 50 (행목리 346-49) 소재.현 역사 (2008년 준공) |
구 역사 (1972년 준공) |
1922년 오목역이라는 간이역으로 출발
신창역은 1922년 6월 오목역이라는 역명의 장항선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26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으며 1955년 신창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72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당시의 역사는 217.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단층 모습이었다. 신창역은 지역의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성장과 쇠락을 반복해오다 2004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면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그러나 장항선 선로가 이설되면서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로 역사가 이전, 2008년 수도권 전철이 연장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인근에 순천향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교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어 학생들과 출퇴근하는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신창역은 1922년 6월 오목역이라는 역명의 장항선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26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으며 1955년 신창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72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당시의 역사는 217.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단층 모습이었다. 신창역은 지역의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성장과 쇠락을 반복해오다 2004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면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그러나 장항선 선로가 이설되면서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로 역사가 이전, 2008년 수도권 전철이 연장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인근에 순천향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교 아산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어 학생들과 출퇴근하는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개찰구 |
역 안내도 크게 보기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진위역, 탕정역, 청산역과 더불어 면 지역에 위치한 4개의 역 중 하나이다.
오목리의 구 역사는 2004년 7월 15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2005년 10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된 후 2008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창역 연장 구간 개통 전까지 한동안 폐역 상태로 남았었다. 이 당시의 신창역은 신창면사무소(현 신창면 행정복지센터) 근처 장항선의 평범한 역이었다. 이 시절의 역사와 역 구내가 선로만 일부 걷힌 채로 현재까지 남아 있다. 2021년 개봉(촬영은 2018년)한 영화 종착역에서 신창역 구 역사와 지금은 철로를 걷어내고 도로가 된 옛 승강장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장항선 복선 전철화 과정에서 구 역사는 사실상 폐역되고 2007년 12월 21일 남동쪽으로 직선거리로 4km 떨어져 있는 행목리로 역을 이설하였다. 옛 중심지에서 멀어지면서 직선화되는 선로 개량 추세와 비교했을 때 오히려 신창현의 중심지였던 읍내리에 더 가까워졌다. 2면 4선의 고상형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서울역을 오가는 누리로(현재는 신창행 누리로는 폐지)가 고상형 승강장에 정차하는 유일한 역이었다.
재개업 후 과거에 운행했던 누리로를 포함하여 이 역에 정차하는 모든 열차는 종착하기 때문에 바로 다음 역인 도고온천역을 이용하려면 이전 역인 온양온천역으로 되돌아가거나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도고온천역의 접근성이 좋지 않으므로 하행 기준으로 옛 연선 지역(선장역 및 구 도고온천역)을 방문하려면 도고온천역을 이용할 필요 없이 온양온천역이나 신창역에서 버스를 타는 것이 더 낫다.
초창기에는 없었지만 2013년에 1번 출구로 나오는 복도 중간에 2번 출구와 후술할 3번 승강장과 연결통로를 잇는 계단이 생겼다.[2]
이 역부터 세마역까지는 한국철도공사 열차만 운행한다. 또한 세마↔신창 구간은 수도권 전철에서 비환승역이 가장 많이 연속되는 구간이기도 하다.
2024년 11월 2일부터 용산-홍성간 ITX-마음이 왕복 1회 정차하고 있다. 이 열차도 승강장이 전철운임구역 내에 있어 승차권의 QR코드를 찍어 개찰구를 지나야 한다.
이 역은 2024년 11월 2일부터 ITX-마음과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하게 되었고 무궁화호는 통과하는 케이스가 되었다.
2.1. 수도권 전철 1호선 영업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창역 연장 구간이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당초 계획은 온양온천역을 수도권 전철의 종점으로 하는 것이었으나 아산시와 순천향대학교의 강력한 요구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었다. 현재 온양온천역의 승강장이 일반열차가 가장자리(1, 4번)에 있고 수도권 전철이 가운데(2, 3번)에 있는 특이한 구조가 당초 온양온천역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점으로 계획하고 있던 것의 흔적이다.2008년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 '신창'이라는 지명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신창행 열차의 LED 행선판에는 오랫동안 '천안·신창행'으로 표기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신창행'으로 표기하고 있다. 311B83편성 이후 전동차들은 열차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신창(순천향대)/Sinchang(Soonchunhyang univ.)'로, 내부 LCD 모니터는 '신창(순천향대)행'으로 표기된다. 신창 급행은 LED 행선 표시기는 '신창급행/Sinchang Rapid', 내부 LCD 모니터는 '신창(순천향대) 급행'으로 표기된다.
이는 병점역이 처음 개통하여 수원행과의 혼선을 빚을 때도 '수원·병점행'으로 표기한 것과 같다.
또한 마그네틱 승차권 최고액권(3,600원)은 여기가 기점이었다. 당시 최장거리 구간은 소요산-신창 구간을 의미했다..
이 역까지 가는 신창행 열차는 배차 간격이 긴 편이라서, 열차 시간을 잘 알아보고 타는 것이 좋다. 그 운행 간격이 동해선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행 지선(NH 시간대) 및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목천 ~ 사리 구간과 맞먹기 때문이다. 광운대역(또는 청량리역)기준 하행 열차의 일반적인 행선 순서는 서동탄, 천안, 서동탄, 신창 반복이다. 상시는 아니지만 중간마다 병점행도 꽤 있는 편이다. 1시간에 신창행이 3번 있으면 매우 많은 편이며 출퇴근 시간에 이러한 빈도[3]를 보인다. 애매한 오후에는 시간당 한두 번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신창역에서 광운대역행 열차를 탑승하려면 1시간 이상 대기해야 하기도 한다.
역 구조상 승강장에서 출구로 나가는 통로가 앞쪽에 치우쳐져 있는데, 이 때문에 순천향대 통학생들이 몰리는 아침이나 일요일 저녁 시간에는 통로와 가장 가까운 2호차로 학생들이 몰려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출구가 하나인 데다가 계단 없이 에스컬레이터만 있어서 그 시간대에 열차가 도착하면 신창면에 있는 조그만 종착역이 서울 주요 환승역에 준하는 혼잡도를 보인다. 다른 학교와 달리 일요일 저녁 시간에도 학생들이 몰리는 이유는, 수도권 지역과 거리가 멀어[4] 기숙사나 자취방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이다.
2016년 10월 7일부터 2016년 10월 13일까지 전국체전으로 인해 신창행 임시 급행 열차가 운행하였다. 정차역은 용산 ~ 천안 급행과 같이 정차하다가 천안역부터 신창역까지는 각 역 정차하는 방식이었다. 선행 열차의 뒤를 따라가므로 수원역 이후부터는 완행 속도와 비슷하게 서행하였다. 당시 열차번호는 하행 E9297, 상행 E9298이었다. 지금도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일부 급행열차는 신창역까지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부터는 장항선 누리로가 폐지되면서 임시로 운행했던 신창급행 열차가 정식 운행하게 되었다. (평일 5회, 주말 3회) 2017년 2월에 장항선 누리로의 부활과 함께 (하루 4회) 신창급행도 증편이 이루어졌다가 (평일 8회, 주말 6회) 2020년 장항선 누리로는 다시 폐지되었다.
신창역에서 지평역으로 수도권 전철만 타고 간다면 이론상 최장 소요 시간이 걸린다. 소요 시간은 약 4시간 30분 + a로, 평일 기준으로 10시 16분에 출발하는 청량리 급행을 타면 4시간 4분이 소요된다. 아래의 춘천역보다 소요 시간이 짧아 보이지만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전철은 평일 하루 6회, 주말, 공휴일 하루 5회에 불과하므로 소요 시간은 최대 11시간이 걸릴 수 있다. 신창역에서 평일 17시 33분, 주말 18시 7분 전에 출발하지 못하면 지평역을 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신창역에서 용산을 거쳐 지평을 가는 것이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데, 용산역에서 지평행이 20시 41분에 끊기며, 평일에는 20시 1분에 끊긴다. 신창역에서 용산역까지는 약 2시간 20분 정도가 걸리므로 신창역에서 최소 3시에 출발하거나, 청량리역에서 지평역 정차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 다음으로 소요 시간이 긴 역은 춘천역이다. 소요 시간은 약 4시간 40분 + a로, 시간표상 소요 시간은 지평역보다 길어 보이나, 저 알파 값이 춘천역은 그나마 30분 남짓이라 변수를 고려하면 지평역까지의 소요 시간이 제일 길다고 할 수 있다. 플러스 알파가 붙은 이유는 경춘선의 배차 간격이 신창행보다는 짧을 뿐 광역전철 중에서도 매우 길기 때문이다.
신창역은 평소 열차 운행 간격이 15~60분이다. 이는 장항선 공통 해당이다. 서울 시내에서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치고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막차가 매우 빨리 끊긴다. 서울 시내로 진입하는 광운대행 막차는 평일에는 20시 35분에, 휴일에는 20시 40분에 출발한다. (광운대~신도림 직통 막차, 한강 이북 막차) 평일에는 21시 06분에 출발하는 병점행 열차를 타면 천안역에 21시 29분에 도착해 21시 52분에 출발하는 광운대행 막차와 연계가 가능하다. 이후 열차는 위와 같이 구로행 22시 14분 (구로~세류 막차, 서울로 들어가는 마지막 열차) 혹은 병점행 (평일 23시 17분, 주말 23시 7분), 그리고 천안행 (23시 45분) 순이다.
만약 구로행이나 광운대행 막차를 놓쳤는데 서울로 가야 한다면, 천안행 막차를 이용하여 천안아산역에서 KTX나 SRT로 갈아타면 되지만, 천안행 막차마저 놓치면 열차로는 방법이 없다. 이럴 땐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이나 천안종합터미널로 가서 버스를 알아보아야 한다.
2.2. 병기역명 논란
본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종점은 온양온천역으로 예정되어 있었기에 온양온천역에서 회차하려고 역 설계에까지 반영했으나, 자교의 접근성을 높이려는 순천향대학교가 국토해양부에 신창역까지 연장해 달라는 청원을 해 연장은 확정되었다. 그런데 순천향대는 이에 그치지 않고 자교명을 신창역의 병기역명으로 써 달라는 청원까지 감행했다.참고로 순천향대는 신창역으로부터 걸어서 15분~ 2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했으며, 직선 약 1.5km로 거리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가는 길 또한 가로등도 적고 주변에는 허름한 건물과 논밭 뿐이다. 신창역의 바로 앞에는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가 있다.
물론 신창역 주변은 한국폴리텍대학 외에는 온통 논밭 뿐이라 순천향대도 신창역의 부기역명 정도는 납득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는 인원들 중 신창역까지 이용하는 승객들 대다수가 순천향대학교 학생들이나 교직원들이라는 점과 접근성의 문제일 뿐 부역명 자체에 아무런 근거가 없는 건 아니다.
문제는 순천향대에서 정식역명과 같은 '병기역명'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춘천역은 부기역명인 한림대학교를 붙여 '춘천(한림대)역'이라 하거나 춘천역이라 해도 상관이 없는데, 신창역은 병기역명인 순천향대를 반드시 붙여 지하철 노선도와 안내방송과 같은 곳에서 '신창(순천향대)역'이라 해야 한다. 이는 실제로 노선도와 안내방송에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국토해양부가 공문을 내려 순천향대의 손을 들어주었다. 인근의 한국폴리텍대학도 부기역명이 되었다가 2017년 10월 기준, 한국폴리텍대학 부기역명은 빠져 있다. 일반적인 병기역명은 사용료를 내지 않는데 반해, 순천향대는 부기역명에 준하는 사용료를 내고 계약을 통해 병기역명을 유지하고 있다.
2008년 12월, 신창역 개통 1주일을 앞두고 "순천향대" 병기역명이 추가되었다. 이미 역명판과 입간판, 노선도 등이 전부 "신창역"으로 표기된 상황에서, 수도권 전 역에 준비된 노선도와 안내판 등을 한 번 더 수정하는데 든 비용도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간간이 철도 동호인들에게 한성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총신대학교, 경성대학교, 부경대학교 등 몇몇 대학들과 함께 비난을 받는다. 그나마 적극적으로 철도 시설을 잘 활용한 편이기에 타 대학에 비하면 비난이 적다.
서울교통공사 열차의 1호선 노선도에서는 한국철도공사 구간의 병기역명이나 부역명을 표기하지 않는데, 이 역과 쌍용역은 예외적으로 표기한다.
3. 역 주변 정보
역 근처에 경찰대학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기존 용인시에서 이전), 순천향대학교와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가 위치한다.순천향대학교 주변에 맘스터치, 파리바게뜨, 그리고 이삭토스트, 쥬씨, 셀렉토커피 등 몇몇 카페, 식당, 술집, 편의점 등이 밀집해 있어 작은 상권을 이루고 있다.
2024년 기준, GS25가 신창역과 마주해 있는데 과거 역 안에 있는 스토리웨이 경쟁관계에 있었으나 현재는 자판기 형식의 셀프 스토리웨이로 바뀌었다.
순천향대 학생들에게는 신창역 앞 역세권이 별 의미가 없다. 주변 자체가 허허벌판인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도 등교할 때는 역에 도착하자마자 달려가 셔틀버스를 타기 바쁘고, 반대로 귀가할 때에도 셔틀버스가 전철 출발 10분 전에 도착하기 때문에 바로 열차를 타야 한다. 대부분은 순천향대 후문 앞의 상권을 이용한다.
이용객의 대부분이 순천향대 학생들인 탓에 등교 시간에만 되면 순천향대 셔틀버스 승강장 쪽으로 줄이 길게 서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순천향대 학교 특성상 기숙사에 들어가 사는 학생들도 많다 보니, 셔틀버스가 다니지 않는 시간대에는 순천향대 방향으로 가는 택시들도 줄지어 기다리는 풍경을 볼 수가 있다. 기숙사로 돌아가려는 기숙사생들과 수업에 늦을 것 같아서 버스가 출발하기를 기다리기 힘든 순천향대생들이 이 지역 택시 기사들의 최대 이용객이자 대부분의 수입을 차지한다.
역 바로 앞에서 예산군 방면으로 가는 예산군 농어촌버스가 다니고 있다. 하루 9회(신창역 기준 421번 8회, 430-1번 1회) 운행되고 있다. 예산군으로 가려면 온양온천역이 더 자주 버스가 정차하므로 온양온천역에서 농어촌버스를 이용하거나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신창역에서 예산까지는 카드 기준 2,550원이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8년 | 2,292명 | [5] |
2009년 | 3,871명 | |
2010년 | 4,100명 | |
2011년 | 4,584명 | |
2012년 | 4,463명 | |
2013년 | 4,578명 | |
2014년 | 4,642명 | |
2015년 | 4,559명 | |
2016년 | 4,371명 | |
2017년 | 4,290명 | |
2018년 | 4,211명 | |
2019년 | 4,143명 | |
2020년 | 2,136명 | |
2021년 | 2,691명 | |
2022년 | 3,798명 | |
2023년 | 3,998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신창면에 있는 유일한 철도역이지만 읍내와는 1.6~1.7km나 떨어진 농촌 한가운데에 있다. 그런데도 하루 평균 4천 명대의 이용객들이 꾸준하게 찾는 역이다. 그 이유는 주변에 한국폴리텍대학, 순천향대학교, 경찰대학과 같은 대학교가 많기 때문이다.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학생들도 신창역에서 자교 셔틀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신창역 대학생 이용자가 많다. 때문에 코로나19로 인한 수송량 감소에 직격탄을 맞았는데, 코로나19로 대학교가 모두 비대면 강의로 전환된 탓에 인근 대학교 통학을 위해 신창역을 이용하던 학생들이 한동안 오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역들이 10~30%가량의 이용객 감소 추세를 보이는 동안 신창역은 이용객이 반토막이 났다. 코로나 사태가 끝난 2023년부터 다시 4천명대 이용 수를 회복했다.
- 신창면 내에 사는 주민들은 신창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지 않다. 역으로 가는 교통편보다 온양온천역, 아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이 역을 이용하는 주민들은 버스 시간표를 외우고 다니거나 자가용을 끌고 주차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종점이라는 특성과 시골에 있어서 무임승차 비율이 높을거 같지만 지역민 이용빈도가 낮고 노인층이 즐길 만한 거리가 없어서 무임승차 비율이 매우 낮다. 인근에 대학교가 있다 보니 더욱 낮으며 정작 노인층은 오히려 주로 전 역인 온양온천역에 내리는 편이다. 그래서 온양온천역이 무임승차 비율이 굉장히 높게 잡힌다.
4.2. 일반철도
연도 | 비고 | ||
2009년 | 370명 | [6] | |
2010년 | 544명 | ||
2011년 | 698명 | ||
2012년 | 704명 | ||
2013년 | 747명 | ||
2014년 | 645명 | ||
2015년 | 644명 | ||
2016년 | 361명 | ||
2017년 | 124명 | ||
2018년 | 112명 | ||
2019년 | 109명 | ||
2020년 | 911명 | [7] | |
2024년 | [8]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승강장
신창역 승강장 |
온양온천 방향 역명판 |
↑ 온양온천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 예산 | 종착역 | 신례원 ↓ |
1 | 장항선 | 천안·수원·용산 방면 |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급행 | 천안·수원·청량리·광운대 방면 |
3 | 당역 종착 | ||
4 | 장항선 | 신례원·예산·홍성 방면 |
- 신창역 뒤로는 회차나 유치를 위한 공간만 있으며, 하행 선로와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있다.
- 외선이 본선이다. 내선에는 도고온천역 방면으로 열차 한 편성을 유치할 수 있는 길이의 인상선이 있고, 여객 및 화물열차는 본선인 외선으로 통과한다. 외선으로 통과하는 특징으로 인해서 하행 및 상행 모두 감속해서 통과한다.
- 2018년 1월 기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3번 승강장에 정차하던 누리로가 전철 스크린도어와 문 규격이 맞지 않기 때문에 당시에는 2번 승강장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누리로의 문 규격에 맞추어 3번 승강장은 객차 간 연결통로가 위치하는 부분의 안전 펜스가 누락되어 있었다. 2020년 5월 말부터 누리로가 운행하지 않게 되면서 3번 승강장에도 2022년 12월 초부터 스크린도어를 설치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완공되어 작동 중이다.
- 전철을 주로 이용하는 승하차객들은 대부분 2번 승강장에 하차하는데 2번 승강장에는 계단이 없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만 있다. 3번 승강장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건너편 플랫폼 맨 끝에 있어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존재를 모르는 이용객도 다수 있다.
- 시간표 상으로 전철 도착 시간과 장항선 상행 열차 통과 시간이 겹치는 경우에는 3번 승강장에 먼저 도착한 후 인상선을 거쳐서 2번 승강장으로 들어온다. 왜냐하면 하행 선로에서 바로 2번 승강장으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건넘선을 거치게 되는데 상행 방향 기준으로 외선과 합류한 이후에 있기 때문이다.
- 과거 장항선 누리로가 종착하던 시절에는 전철이 주로 2번 승강장에서 종착했다가 바로 출발하였으며, 누리로는 항상 3번 승강장을 사용하였다.[9] 단, 2번 승강장에 다른 전철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단 3번 승강장에서 종착하고 뒤에 있는 인상선에서 회차한 뒤 2번 승강장으로 돌아온다.
- 누리로가 정차하는 3번 승강장에 가끔씩 전철이 들어오기 때문에 장항선 누리로가 여기서 종착하던 시절에는 일반열차와 전철의 운임 구역이 중복되었다. 즉, 누리로를 타는 승객들도 무조건 전철 개찰구를 지나야 했으며 이 때는 온양온천역, 아산역, 천안역, 성환역, 서정리역, 오산역처럼 개찰구 옆 비상게이트를 열고 통과했다. 이는 곧 1호선 병점역 이남 구간의 중소형 일반열차 겸용역들처럼 일반열차를 타는 것처럼 교통카드 태그 없이 개찰구를 통과하거나, 누리로를 타고 와서 운임구역 내에서 기다릴 경우 전철을 무임승차하는 것이 가능했다는 결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상으로 가능하다는 것일 뿐, 실제 신창역의 경우 들어오는 열차가 많지 않아 열차 및 승객이 없는 평시에는 승객 감시가 용이하여 무임승차를 시도할 경우 반드시 걸리게 되어 있었다.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장항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화양† - - 신성† - - - 원죽† - - 주포† - - - 남포† - - - - - - - - - - - - - - - - - - - 목천† - | }}}}}}}}}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아산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철도 | 고속철도 | 천안아산 | ||
<colbgcolor=#0d9726> 일반철도 | 장항선 | 아산, 온양온천, 신창, 도고온천 | |||
서해선 | 인주 | ||||
광역전철 | 아산, 탕정, 배방, 풍기, 온양온천, 신창 | ||||
도로 | 고속도로 | 당진청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 |||
국도 | 21번 국도, 34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 ||||
국가지원 지방도 | 70번 지방도 | ||||
지방도 | 616번 지방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 645번 지방도 | ||||
<colbgcolor=#ffbe00> 고속/ 시외버스 | 버스터미널 | 아산고속버스터미널, 아산시외버스터미널 | |||
중간정류장 | 봉강교·서부휴게소, 신창, 천안아산역 | ||||
노선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버스 | 시내버스 | 아산시 시내버스 (온양교통, 아산여객) | |||
버스 목록 | 틀:아산시 시내버스 | ||||
아산시 버스 목록 | |||||
← 아산시의 대로 | 아산시의 주요 도로 → | ||||
충청남도의 교통 |
[1] 충남선에서 장항선으로 개칭된 날짜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2] 「철도공단, 신창역 여객통로 추가설치」, 국토매일, 2013-08-29[3] 그 배차간격 길기로 유명한 동해선 광역전철도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간당 4회 운행한다.[4] 통근 기준으로 멀다는 거지 타지라고 생각하면 그다지 멀지는 않다.[5]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1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2020년 자료는 1월 1일부터 폐지일인 5월 22일까지 총 14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2024년 자료는 운행시작일인 11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5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따라서 3번 승강장이 2번 승강장보다 약간 더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