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09:46:33

정통 칼리파 시대

정통 칼리프에서 넘어옴

정통 칼리파 시대 (라시둔 왕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00> 정치·국가원수 <colcolor=#212529,#e0e0e0>칼리파
수도 메디나 · 나자프
경제 디나르 · 디르함
역대 칼리파 아부 바크르 · 우마르 · 우스만 ·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 (하산 이븐 알리)
인물 알 카카 ·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 · 아므르 이븐 알 아스
종교 이슬람
문화 초기 이슬람 도검
}}}}}}}}} ||
정통 칼리파 시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humbnail.svg.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b000,#336533> 보편 칼리파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정통 칼리파 시대/라쉬둔 왕조 |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우마이야 왕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Afghanistan_%281880%E2%80%931901%29.svg.png 아바스 왕조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아바스 왕조와의 병행 칼리파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Fatimid_flag.svg.png 파티마 왕조 | 파일:1280px-Umayyad_Flag.svg.png 코르도바 칼리파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Morocco_1147_1269.svg.png 무와히드 왕조
기타 파일:Tunis_Hafsid_flag.png 하프스 칼리파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Fatimid_flag.svg.png 소코토 칼리파국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샤리프 칼리파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colbgcolor=#000> 헤자즈 이슬람 제국 툴룬 왕조

이크쉬드 왕조 파티마 왕조 메디나-메카 샤리프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튀르크 제국
네지드 압바스 왕조 카라마트



아랍 부족들 (베두인)
바레인
쿠웨이트
카라마트 압둘 카이스 우윤
왕조
유스푸르 호르무즈 왕국 자르완 왕조 자브르 왕조 <colbgcolor=#006400> 포르투갈 포르투갈 사파비 왕조 야아리바 왕조 - 오만 제국
Q 오스만
U 이바디 운동 부와이흐 왕조 오만
이맘국
셀주크 제국 나브하니 왕조 나브하니 왕조 호르무즈 왕국 야아리바 왕조
오만



예멘

유피르 왕조 파티마 술라이히 왕조 술라이히 왕조 주라이 왕조 함단 왕조 아이유브 왕조 라술
왕조
예멘 타히르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오스만 오스만
유피르 예멘 대반란
지야드 왕조 노예 나자흐 왕조 마흐디 왕조 타히르 하심 왕조
이바디 세력
※ Q는 카타르, U는 아랍에미리트 / 연두색 : (수니파) 아랍계 왕조, 진한 초록색 :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자주색 (짙은 핑크) : 이란 계통 / 연한 빨강 : 토착 예멘계 왕조. 쿠웨이트는 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고 사파비, 오스만의 지배를 받음.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5px;"
<colbgcolor=#FFF,#666> 메소포타미아 문명 수메르
아카드 제국
우르 제3왕조
바빌로니아
미탄니 카시트 왕조
중아시리아
신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이란 아케메네스
헬레니즘 마케도니아
안티고노스
셀레우코스
로마
vs
이란
파르티아
로마 파르티아
사산 제국 라흠 왕국
동로마 제국 사산 제국
아랍계
이슬람 제국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중세 함단 왕조 아바스
부와이흐 왕조
우카일 왕조 셀주크 제국
셀주크 제국
장기 왕조 셀주크 제국
아이유브 아바스 왕조
몽골/튀르크계
왕조
몽골 제국
일 칸국
잘라이르 왕조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백양 왕조
오스만 제국
vs
이란 제국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사파비 왕조
근대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이라크 맘루크 잔드 왕조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위임통치령 쿠르디스탄 왕국
근현대 이라크 왕국
아랍 연방
이라크 공화국
현대 이라크 공화국
바트당 집권 시대
연합군 점령기
이라크 쿠르디스탄
이라크 공화국 ISIL
이라크 공화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상고대
헬레니즘 / 시리아 전쟁
기독교화 / vs이란
이슬람 제국
이집트 vs 이라크
대십자군 전선
대몽골 전선
근대
오스만 튀르크 제국
[[알리 베이 알 카비르|
알 카비르
]] 제7차 러시아 튀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
[[이집트 속주|
알리 왕조
]]
현대
내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이집트
이집트 문명
선왕조 하이집트 상이집트
초기 왕조 제1왕조
제2왕조
고왕국 제3왕조
제4왕조
제5왕조
제6왕조
제1중간기 - 분열 제7왕조
제8왕조
제9왕조 제11왕조
제10왕조
중왕국 제11왕조
제12왕조
제2중간기 제13왕조
제14왕조 제13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6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5왕조 (힉소스 왕조) 제17왕조
신왕국 제18왕조
제19왕조
제20왕조 (람세스 왕조)
제3중간기 제21왕조 (타니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2왕조 (부바스티스 왕조) 제23왕조 제24왕조
제25왕조 (누비아 왕조)
말기 왕조 사르곤 왕조
제26왕조 (사이스 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27왕조
제28왕조
제29왕조
제30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제31왕조
헬레니즘 아르게아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왕조
고대 로마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팔미라 제국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중세 이슬람 라쉬둔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툴룬 왕조
아바스 왕조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왕조
바흐리 맘루크
중근세 부르지 맘루크
오스만 제국
알 카비르
근대 오스만 제국
프랑스
무함마드 알리 왕조
이집트 헤디브국
대영제국
이집트 왕국
현대 이집트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
이집트 아랍 공화국 }}}}}}}}}

리비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선사 & 고대 중세 & 근세 근대 현대 리비아
T베르베르페니키아카르타고
누미디아
로마 제국반달 왕국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왕조 피흐리 왕조 무할라브 왕조 아글라브 왕조 파티마 왕조 파티마 왕조 지리 왕조 노르만 무와히드 왕조 하프스 왕조 오스만 제국
카라만리 왕조
이탈리아령 리비아 대영 제국리비아 왕국리비아 아랍 공화국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리비아 내전
C 펜타폴리스 헬레니즘 제국 동로마 제국 압바스 왕조 툴룬 왕조 이크쉬드 왕조 힐랄족,
술라임족
파티마 왕조
가니야족
아이유브 왕조
F가라만테스 왕국 베르베르
/
투아레그
프랑스
※ T는 트리폴리타니아 지역, C는 키레나이카 지역, F는 페잔 지역, 붉은색은 튀니지 방면 세력(오스만, 영국 제외), 녹색은 이집트 방면 세력(이탈리아 제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고대
엘람
신아시리아
메디아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왕조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마잔다란계 소국들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알라비 왕조
사즈 왕조
사파르 왕조
지야르 왕조 살라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
부와이 왕조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일 칸국
일 칸국 멸망 후 혼란기

중근세
티무르 제국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마잔다란계 소국들
백양 왕조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사파비 왕조
근대
아프샤르 왕조
아프샤르 왕조
잔드 왕조
카자르 왕조
현대
팔라비 왕조
마하바드 공화국
이란 이슬람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2a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상고대 미탄니
히타이트 제국
나이리 왕국
고대 우라르투 왕국
메디아 제국
페르시아 제국
오론테스 왕가
알렉산드로스 제국 치하 오론테스 왕조
아르메니아 왕국 예르반드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아르탁세스 왕조
아르샤쿠니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로마 vs 이란 로마 제국
아르사케스 왕조
사산 왕조 페르시아
동로마 제국
중세 정통 칼리프 시대 터키 중남부로의 이주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사즈 왕조
살라르 왕조
바그라투니 왕조
타쉬르 - 데조르제트
동로마 제국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소 아르메니아)
셀주크 제국
샤다드 왕조
조지아 왕국
몽골 제국
일 칸국
추판 왕조
잘라이르 왕조 맘루크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백양 왕조
오스만 vs 이란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
예레반 칸국 아프샤르 왕조
오스만 제국 예레반 칸국-카자르 왕조
근현대 러시아 제국
자캅카스 민주연방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제2공화국 아르차흐 공화국
아르메니아 제2공화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고대
만나이 키메르 스키타이 메디아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예르반드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아르탁세스 왕조 아르메니아 제국 로마 제국 아르사케스 왕조 사산왕조
페르시아
아란(알바니아)
중세
돌궐 제국
서돌궐
하자르 칸국
사즈 왕조 살라르 왕조 시르반샤 왕국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쉬르반샤 왕국 몽골 제국 일 칸국 추판 왕조 잘라이르 왕조 티무르 제국 흑양 왕조 백양 왕조
정통 칼리프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오스만 vs 이란 근현대 현대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 호타키 왕조 오스만 제국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 러시아 제국 자캅카스
민주연방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카자르 왕조 아르차흐
공화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리아 사막 페트라 메데바 암몬
<colbgcolor=#000000> 상고대 셈계 아모리인
힉소스 아카드 / 수메르 제국
이집트 신 왕조
vs 이스라엘 나바테아 인 에돔 아람인
이스라엘 왕국
에돔 모압 암몬
동방 제국 신 아시리아 제국
신 바빌로니아 제국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
헬레니즘 나바테아 마케도니아 제국
안티고노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나바테아 왕국 셀레우코스 제국
| 티그라네스 2세
히브리 하스몬 왕조
[[로마 제국|
로마 속국
]]
헤로데 왕국
로마 제국 고대 로마
로마 제국
가산 왕국 동로마 제국
vs 이란 사산 조 페르시아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중세
이집트 vs 이라크
아바스 왕조
카르마트 툴룬 왕조
아바스 왕조
이크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셀주크 제국
십자군 다마스 예루살렘 왕국
장기 조
중근세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근대 아랍
민족주의운동
오스만 제국
[[와하브파#이븐 압둘 와하브|
와하비즘의 대두
]] | [[메흐메드 알리|
알리 왕조
]]
아랍 반란
영국 영국 위임통치
[[시리아 아랍 왕국|
시리아 아랍 왕국
]]
대요르단 토후국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현대 요르단 하심 왕국
※ 세부적인 지역은 메데바는 중부 메데바 일대, 페트라는 남부 페트라를 지칭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페니키아 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아르메니아
왕국
로마제국/
시리아
속주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마론파 기독교
중세
라쉬둔 우마이야 아바스 툴룬
왕조
아바스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칼리파
셀주크 십자군 국가
트리폴리 백국
예루살렘 왕국
마론파 기독교
중세 근대 현대
아이유브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시바흐
왕조
레바논

토후국
메흐메드
알리
레바논

자치령
위임통치령 레바논
공화국
레바논
내전
레바논
공화국
마론파 기독교
}}}}}}}}}}}}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191919> 상고대 이집트 신왕국
가나안 민족
페니키아인
히브리 히브리 민족
이스라엘 왕국
유다 이스라엘
오리엔트 제국 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제국
아케메네스제국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하스몬 왕국
로마 제국 헤로데 왕국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이슬람 제국
중세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툴룬 왕조
이흐시드 왕조
파티마 왕조
셀주크 제국
십자군 전쟁
중근세
예루살렘 왕국
아이유브 왕조 십자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근대
오스만 제국
[[러시아-튀르크 전쟁#s-8|
제7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 자히르 알 우마르 | 알리 베이 알카비르
오스만 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프랑스 식민제국
]]
오스만 제국
[[메흐메드 알리|
알리 왕조
]]
근현대 아랍 반란
OETA 영국
위임통치령
현대 이스라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옥수스-인더스 문명
아리아인
메디아 왕국
아케메네스 왕조
마케도니아 왕국
셀레우코스 왕조
박트리아 왕국
마우리아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인도-스키타이 왕국
쿠샨 왕조
사산 왕조
키다르 왕조 사산 왕조
에프탈백훈족
카불 샤 왕조 사산 왕조
중세 후나 라시둔 왕조
팔라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힌두샤시 카피사 왕국
타히르 왕조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제국
고르 왕조
호라즘 왕조
호라즘 왕조 몽골 제국
델리 술탄 왕조 일 칸국
카르트 왕조
티무르 제국
근대 사이드 왕조
로디 왕조
무굴 제국
수르 제국 사파비 왕조
무굴 제국 호타크 왕조
아프샤르 왕조
두라니 왕조
현대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바라크자이 왕조)
아프가니스탄 왕국 (바라크자이 왕조)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고대 힘야르 왕국 6 ~ 7세기
사바 왕국 사바 사바 왕국 사바 왕국 사바 왕국 힘야르 사바 - 함단 왕조 힘야르 히미아르 왕국 힘야르 왕국 히미아르 왕국 유대교 - 야타르 왕조 기독교 왕조 - 악숨 속국 킨다 왕조 사산 왕조
악숨 사바
카타반 왕국 마인 카타반 왕국 악숨
카타반 카타반 카타반 카타반
하드라마우트 하드라마우트

중세
무함마드 시대 라쉬둔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유피르 왕조 카르마트 유피르 왕조 술라이히 왕조 술라이히 왕조 함단 왕조 아이유브 왕조 라술
왕조
예멘 타히르 왕조 맘루크 왕조
유피르 왕조 주라이 왕조
지야드 왕조
(아덴)
노예 나자흐 왕조 마흐디 왕조 타히르
이바디 운동 자이디 이맘국
(남해안)

근현대
오스만 제국 오스만 오스만 제국 오스만 자이디 이맘
-
하심 왕조
하심 왕조 오스만 <colbgcolor=#080> 이드리드 무타와킬 왕국 북예멘 예멘 공화국 예멘 공화국 예멘 공화국 후티
예멘 대반란 무타와킬
(라스 왕조)
하심 왕조
라헤즈 술탄 라헤즈 술탄 영국령 아덴 남아라비아 남예멘 예멘 민주 공화국 예멘 내전 남부
이맘 알루아키 술탄국 예멘 공화국
}}}}}}}}} ||

조지아의 역사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상고대 고대 기독교화 / 로마 vs 이란
A 유목 아시리아 제국 콜키스 키메르 <colbgcolor=#4aadd6> 그리스 식민도시 콜키스 폰투스 <colbgcolor=#9f0807>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령
라지카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B 디아우에히 우라르투
O 유목 스키타이 아조 이베리아 아르메니아 제국 아르탁세스 왕조 파르나바즈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호스로 왕조 이베리아 총독령 하자르
T 호스로
아랍 vs 하자르 / 아라보바이슬람 치하 바그라티온 왕조 중근세
A <colbgcolor=#4682b4> 압하지야 압하지야 왕국 조지아 왕국 조지아 제국 몽골 제국 일칸국 체르케스 삼트케 티무르 제국 압하제티
B 라지카 구아람 왕조 토후들 이메레티 조지아 왕국 메스케티
O 이베리아 트빌리시 토후국 바그라티온 이베리아 왕국 오세티아 아르가베티
T 트빌리시 토후들 사즈 왕조 카케티 트빌리시 셀주크 조지아 카르틀리
근현대
A 오스만 제국 <colbgcolor=#8b0000> 밍그렐리아 공국 러시아 제국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조지아 - 아르메니아 전쟁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그루지야
압하지야
B 구리아 공국 아자리야
O 사파비 아프샤르 이메레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남오세티야
T 카르틀리-카헤티 카자르 조지아
※ T는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한 동부, A는 서북부의 압하지야, B는 서남부의 아자리야, O는 북중부의 오세티야 지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미케네
미케네 페니키아
아시리아 제국
아마시스 26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이오니아 반란
아케메네스 왕조
헬레니즘 제국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반군
로마 제국
중세 동로마 제국
정통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왕조
우마이야
왕조
비무장지대 동로마 제국
타르수스의 다미아노스
우마이야
왕조
비무장지대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제3차 십자군
성전기사단
키프로스 왕국
근세 키프로스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근대 오스만 제국
대영 제국
현대 키프로스 공화국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키프로스 공화국 북키프로스 }}}}}}}}}
라시둔 칼리파국
اَلْخِلَافَةُ ٱلرَّاشِدَةُ
al-Khilāfah ar-Rāšidah
파일:800px-Rashidun654wVassal.png
우스만 재위기의 최대 강역[1]
632 ~ 661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왕조
사산 왕조
위치 서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수도 메디나 (632~656)
쿠파 (656~661)
정치 체제 신권정치, 선거군주제
국가원수 칼리파
역대 칼리파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면적 6,400,000km² (655년)
종교 이슬람
통화 디나르 · 디르함
1. 개요2. 성장과 팽창3. 정치4. 군사5. 역대 칼리파

[clearfix]

1. 개요

라시둔 칼리파 시대[2]이슬람의 초기 성립 시기, 즉 예언자 무함마드를 계승한 4명의 정통 칼리파[3]가 다스린 이슬람 제국의 시대를 가리킨다. 정통 칼리파 시대는 이슬람 세력을 크게 확장하여,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이란 고원에서 북아프리카까지 넓은 영역을 관할했다. 그러나 내전이 일어나고, 제4대 칼리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암살당하게 되면서 결국 정통 칼리파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그 후에는 무아위야 1세가 칼리파가 되어 첫 세습 왕조인 우마이야 왕조의 시대가 열린다.

2. 성장과 팽창

파일:이슬람 정복.gi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슬람/정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통 칼리파 시대의 이슬람 제국중동 역사상 최고의 정복 국가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급격한 팽창과 성장을 이루었다. 정통 칼리파 시대가 끝날 무렵, 이슬람 제국의 영토는 이미 아라비아 반도에 메소포타미아(이라크), 이집트, 페르시아(이란), 레반트, 리비아를 아우르는 초대형 제국이라 할 만큼 성장했으며, 이들 영토는 훗날의 우마이야 왕조가 추가로 확장을 한 이후에도 이슬람 세계의 중심부로서 기능했다. 여기에 맞먹을 정도의 팽창을 이룬 중동의 제국들은 아케메네스 왕조오스만 제국 정도를 빼면 전무하며, 후대의 우마이야 왕조가 정복한 영토까지 합치면 중동 역사상 최대의 제국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정치

이 시대는 선거군주제 국가이기도 하다. 애초에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죽은 후 이슬람 공동체에 의해 선출된 칼리파이다.[4] 그런 만큼 이 시기의 정치 역시 무슬림 공동체 간의 협의와 합의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졌다.

다만 가톨릭교황이나 신성 로마 제국황제처럼 안정적으로 이어진 건 아니다. 실제로 정통 칼리파 시대는 30년도 못가서 제4대 칼리파인 알리의 암살로 끝나기도 했으려니와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가 선출되었을 때부터가 혈통으로 정할지 말지를 놓고, 논쟁이 많았는데 애초 부족 사회가 일반적이었던 아라비아 반도에서 탄생한 배경상 안정적으로 선거군주제가 이어지는 것은 무리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슬람적으로 보면 의미가 있는데 이슬람교에서 예언자는 혈통이 아닌 알라(하느님)의 선택에 달렸다. 예언자가 알라의 선택에 달린 만큼 그 후계자인 칼리파 또한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고, 실제로 무함마드의 후계자감으로 여겨지던 알리가 아부 바크르에게 밀려난 것도 이 때문이었다. 허나 이런 분위기도 잠시 동안의 일이었으며, 혈연에 따라 후계자를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무함마드 사후부터 있었다. 정작 처음에는 혈연에 따라 정하지 않았으면서 제2대 칼리파인 우마르 시대부터는 서서히 이슬람도 세속화되어 그 결과 우마르가 죽기 직전, 주변 인물들이 다음 후계자로 우마르의 아들를 삼을 것을 권해 우마르가 분노하게 된다. 특히 제3대 칼리파인 우스만이 칼리파가 된 것도 세속화의 상징이다. 우스만은 나름대로 이슬람에서 괜찮은 지위에 있었지만 지위에 비해 무함마드 생전이나 사후에나 이슬람의 발전에 기여한 바는 작았다. 그럼에도 그가 칼리프가 될 수 있었던 데는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던 슈라 집단이 초기 이슬람의 순수성을 내세운 알리보다 자신들처럼 상류층 출신에 입장이 비슷한 우스만을 더 선호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이런 식으로 순수성 vs 세속화 및 칼리파 계승 방식을 놓고 논쟁을 벌인 것은 이슬람교수니파시아파로 분리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5][6][7]

4. 군사

정통 칼리파 시대 이슬람 세력의 확장 원동력인 군사력은 주적이었던 사산 왕조 페르시아와는 정반대로 막강한 중장보병과 경기병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대개 메카메디나, 타이프를 중심으로 징집되었으며 오로지 무슬림만이 입대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외에 확장 과정에서 개종한 정복지의 주민들이 무슬림군으로 입대하기도 했으며, 이들은 정통 칼리파 시대 이후,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도 제국 군사력의 중추가 되었다.

중동의 제국들이 대부분 중무장 보병을 육성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과 달리[8], 무슬림 군대는 중장보병을 주축으로 한 보병전술을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체인메일과 장검, 장창 등으로 무장했으며 궁수들의 사격과 기병대 돌격의 보조를 받아 돌격전을 수행하기도 했고, 궁수들의 사격을 보조하여 이들에게 적병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는 탱커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경기병 역시 무슬림 군대의 특징 중 하나였다. 동방 국가들의 특징이었던 카타프락토이[9]는 없었다. 초기에야 동방 제국들과 같은 군사 귀족을 주축으로 하는 봉건 제도의 전통이 없었으니 당연했겠지만, 거대 제국을 일구고 나서도 한동안은 중무장 기병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아무래도 중장기병을 주력으로 했던 사산 왕조동로마 제국이 훨씬 질낮은 아랍 군대의 경기병 전술에 속절없이 털려나갔으니, 중장기병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도 당연할 것이다. 무슬림 군대가 비로소 중무장 기병의 장점을 깨닫고 이를 대대적으로 도입하는 시기는 수백년이 지난 십자군 전쟁에서 유럽의 기사들을 접하고 나서부터였다.

무슬림들의 경기병 전술은 당대에 보기 힘든 군사적 혁신으로 전쟁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병 전술 중 하나로 손꼽힌다. 경기병이긴 하지만 이들은 이전 중동 군대식의 기마궁수나 투창병과 같은 원거리 기병이 아닌, 검과 기병창을 들고 근접전을 수행하는 돌격기병들이었다. 이는 주로 마갑을 입힌 카타프락토이들이 돌격전을 수행했던 사산 왕조나 동로마와는 구별되는 특징이었으며, 이들과 중보병진의 적절한 공조가 무슬림 군대의 주 운용 방식이었다. 이들은 특유의 기동성을 이용해 적의 측 • 후면 등을 공격하는데 능했으며. 동시기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던 카타프락토이들과 달리, 무슬림의 경기병들은 육성에 비교적 힘을 덜 들이고도 보다 빠른 기동성으로 적의 측 • 후방을 유린함으로서 경기병으로도 충분한 군사적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경기병대 중에서도 툴리앗 무타하리카(طليعة متحركة), 즉 기동 근위대는 무슬림 군대의 최정예 기병대로서 수많은 전공을 세운 정복 전쟁의 주역이었다.

유목민족인 아랍인들의 군대답지 않게[10] 기마궁수들은 전통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모든 경기병들은 근접전만을 수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아랍 유목민들에게 기마궁수로서의 전통이 없었던 것에 기인한다. 기마궁수 자체가 애초에 훈련만으로 양성될 수 있는 병과가 아니고, 역사적으로 기마궁수를 운용한 문화는 처음부터 기마궁수의 풍습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군대의 주력 전술이 기마궁수가 되었던 경우이다. 비록 무슬림 군대는 후대에 정복전을 거치면서 기마궁수들을 군 편제로 받아들이게 되지만, 대부분은 주로 페르시아를 정복하면서 받아들인 현지 출신자들이나 이슬람권으로 유입된 튀르크 계열 유목민들이었다.

5. 역대 칼리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humbnail.svg.png
보편 칼리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008000 20%, #008000 80%, #008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통 칼리파
초대 제2대 제3대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제4대 제5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하산 이븐 알리1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우마이야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지드 1세 마르완 1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아브드 알 말리크 왈리드 1세 술라이만 우마르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지드 2세 히샴 왈리드 2세 야지드 3세
제13대 제14대
마르완 2세
아바스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 만수르 알 마흐디 알 하디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 아민 알 마문 알 무타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 와시크 알 무타와킬 알 문타시르 알 무스타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알 무타즈 알 무흐타디 알 무타미드 알 무타디드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알 무크타피 알 카히르 알 라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 무타키 알 무스탁피 알 무티 알 타이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알 카디르 알 카임 알 무크타디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알 라시드 알 묵타피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알 무스타디 알 나시르 알 자히르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알 무스타심 알 하킴 1세 알 무스탁피 1세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알 하킴 2세
제45대 제44대2 제46대 제45대2
알 무스타심 알 무타와킬 1세 알 와시크 2세 알 무스타심
제44대3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알 무스타인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알 카임 알 무타와킬 2세 알 무스탐식
제54대 제53대2 제54대2
알 무타와킬 3세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오스만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셀림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오스만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무라트 4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제29대 제30대
메흐메트 6세 압뒬메지트 2세 }}}
1: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으나 하산도 잠깐동안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대수 이름 재위 기간
초대 아부 바크르 632년 ~ 634년
제2대 우마르 이븐 알하타브 634년 ~ 644년
제3대 우스만 이븐 아판 644년 ~ 656년
제4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656년 ~ 661년
(제5대) 하산 이븐 알리[11] 661년

[1] 지도에 오류가 있는데, 카스피해 남안의 북부 이란 지역은 8세기에야 아랍 무슬림 군대가 완전히 점령한다. 다부이 왕조 문서 참고[2] 라시둔 칼리파(الخلفاء الراشدون / al-Khulafā’u r-Rāshidūn)란 말은 아랍어정통 칼리파, 정당한 칼리파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다.[3]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뒤를 이어 칼리파에 오른 하산 이븐 알리까지 포함하면 5명이지만 하산은 1년도 안 돼서 무아위야 1세에게 항복하고 칼리파 자리까지 양도하여 보통 포함하지 않는다.[4] 이는 수니파의 주장이다. 시아파는 제4대 정통 칼리파이자 무함마드의 유일한 혈족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만을 초대 이맘으로 인정한다.[5] 다만 문제는 이런 식으로 초기 역사에서의 칼리파 계승 방식이 안정적이지 못했던 까닭에 수니파와 시아파 모두 참 모순적인 상황을 겪어야 했는데 초기 수니파의 주장에 따르면 '굳이 무함마드의 후손이 아니라도 누구나 칼리프가 될 수 있다'(=반 세습제)이지만 정작 후대의 수니파 왕조들은 거의 대부분이 세습제였고, 파키스탄, 인도네시아,이라크처럼 공화정이 도입된 나라가 생긴것은 거의 근현대에 와서의 일이며,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후계자는 오직 알리와 그 후손만이!'(=세습제)이지만 정작 현재의 시아파는 알리의 후손과는 아무 연관이 없다. 그러다 보니 시아파 국가인 이란은 헌법에 마흐디가 강림하면 즉시 그에게 권력을 이양한다는 조항이 있다.[6] 이러한 계승 문제는 참 골치아플 수 밖에 없던 것이 결국 전통과 교리의 충돌이기 때문이다. 전통에 따르면 혈연에 물려주어야 하는데 교리에서는 그게 아니니. 심지어 칼리파는 정치 지위인 동시에 종교 지위이기도 했던것도 문제를 키웠을 것이다. 두 자리가 분리되어 있다면 이는 교리상으로 봐도 정치지위는 혈연 종교 지위는 비혈연으로 구분이 되기 때문. 하지만 선지자 무함마드부터가 정치 지도자인 동시에 종교 지도자이기도 했으며 두 자리를 분리하라고도 하지 않았으니 둘을 나눌 수 없었다.[7] 이러한 문제는 이슬람 제국의 급팽창에 따른 문화 지체로 볼 수 있다. 원래 아랍인들은 사막인 아라비아 반도에서 살던 사람이니 그들이 가진 부는 당연히 동로마나 사산조 페르시아에 비할 바가 못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우스만 치세에 전통적으로 부유한 이집트를 점령한데다 사산도 거의 다 무너뜨렸다. 이 때가 무함마드 사후 겨우 10여년 만으로 심지어 도시의 가치를 모르던 초기 몽골 제국과는 달리 이슬람은 도시의 가치를 잘 알고 있었다. 실제로도 우마르 때 정복 후 병사들이 게을러진다거나 뚱뚱해진다는 등 세속화 문제는 최고 지배층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그랬던 만큼 이슬람 제국은 장기간 통일 제국을 유지할 역량도 동력도 없었다. 결국 제국은 세워진 지 백년도 못 가 분열한다.[8] 왜냐하면 고대 중동 제국들이 대부분 봉건 기사 비슷한 제도를 전통적으로 유지하고 있어서 대다수의 물자와 자원이 소수의 중무장 귀족 기병들에게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이슬람 세력은 아랍 해안가의 상업 도시들을 주축으로 성장했기에 봉건 귀족의 전통이 없었으며, 대신 도시의 시민들이 군대의 주축이었기에 중무장 기병이 아닌 보병에 많이 의존하게 되었다. 이는 고대 그리스폴리스들과 유사한 부분.[9] 중갑기병[10]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이슬람 세력의 주축은 유목민이 아닌 상업 도시의 도시민들이었다.[11] 1대 아부 바크르, 2대 우마르, 3대 우스만, 4대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 칼리파 자리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