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관련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관련 틀 | ||||||||||||||||||||||||||||||||||||||||||||||||||||||||||||||||||||||||||||||||||||||||||||||||||||||||||||||||||||||||||||||||||||||||||||||||||||||||||||||||||||||||||||||||||||||||||||||||||||||||||||||||||||||||||||||||||||||||||||||||||||||||||||||||||||||||||||||||||||||||||||||||||||||||||||||||||||||||||||||||||||||||||||||||||||||||||||||||||||||||||||||||||||||||||||||||||||||||||||||||||||||||||||||||||||||||||||||||||||||||||||||||||||||||||||||||||||||||||||||||||||||||||||||||||||||||||||||||||||||||||||||||||||||||||||||||||||||||||||||||||||||||||||||||||||||||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 현황) |
서울교통공사 | 1000호대 VVVF (현황) 저항 (초저항 · 현황) |
1. 개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차호별 상세 설명에 대한 문서이다.2. 상세
2.1. 전기형(초저항)
터널 도색 (1974 ~ 1997년) | 역삼각 도색 (1995 ~ 2004년) |
내부 |
2.1.1. 1차분 (1974)
1X01편성(1002호)[1] |
1X09편성(1018호)[2] |
1X05편성 |
- 前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1X01~1X14, 1X29~1X35편성 (6량)
- 제작사: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차량, 도큐차량제조, 킨키차량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당시 국내에선 전동차 자체를 만들 능력이 없었고, 기차도 증기 기관차와 객차, 화차를 겨우 만들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일본을 통해서 수입하였다. 하지만 한 번에 많은 편성을 도입하게 될 경우 자금 조달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여러 번에 걸쳐 도입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차량 제조사들이 등장하게 된다.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당시 일본에서 6량 21개 편성을 수입했으며, 이렇게 수입해 온 전동차를 수리, 분해, 결합 등을 하면서 쌓은 노하우로 1976년 대우중공업에서 대한민국 제조 1호기 1X15편성(제작 당시 1043-1044편성) 전동차를 제작할 수 있었고, 이런 경험들이 축적되면서 다양한 열차들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계속 증차되어 1979년까지 총 6량 42개 편성이 도입되었다.[3]
처음에는 6량으로 운행하였다가 1981년 8량을 거쳐 1986년 최종적으로 10량으로 증결되었다. 경원선 용산 ~ 성북 구간을 운행하기 위한 4량 편성 차량도 있었다.
당시 일본의 통근, 근교형 전동차의 사양을 적당히 섞어서 한국 사정에 맞게 부분 변형해 투입되었다. 101계를 필두로 도입된 전형적인 일본식 통근형 전동차의 4도어 형식 8개 출입문과 3-7-7-7-3 형태의 좌석 배치,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객실 간 출입문이 적용되어 있고, 강철 재질 차체와 직병렬조합 약계자 저항제어, SELD 제동 또한 전형적인 일본 국철 차량의 영향을 받아 설계되었으나 고속주행에 조금 더 적합한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한동안 국내에서 운용되는 유일한 중문 열차였다. 현재 초저항 Tc차 전량과 객차 대다수가 폐차되는 대신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비상 탈출용으로 중문을 채택했다. 원래 서울 지하철의 계획은 여러 편성의 전동차를 병결하여 운행하려고 했다. 이는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전동차 2~5편성 정도를 붙여 많은 승객을 나르고, 평시에는 6량 1개 편성으로만 운행해서 배차 운영을 유연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당시 사람들에게는 지하철이라는 물건이 너무 신기하였고, 지하철의 장점이 너무 부각되면서 예상했던 것에 비해 상당량의 승객이 넘칠 정도로 늘어나서 1989년부터 10량으로 증결했다. 지하철 개통 후 1980년대 말까지 서울의 지하철은 러시 아워 기준 250%~300%의 혼잡률을 매우 흔하게 기록하던 때였다. 원래 자주 열어 줄 계획이 있던 문이었던지라 나중에 밀폐가 잘 되지 않아 바람이 새어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첫 개통을 대비하여, 일본에서 6량 21개 편성을 직수입하였다. 수입된 제작사는 아래와 같다.
니혼샤료: 39량 (1001~1701, 1002~1702, 1003~1703, 1004~1704, 1005, 1205, 1305, 1029, 1129, 1030, 1130)
가와사키중공업: 39량 (1105, 1405~1705, 1006~1706, 1007~1707, 1008~1708, 1009~1509, 1031, 1131, 1032, 1132, 1033)
도큐차량제작소: 24량 (1112, 1412~1712, 1013~1713, 1014~1714, 1134, 1035, 1135)
긴키차량제작소: 24량 (1109, 1609, 1709, 1010~1710, 1011~1711, 1012, 1212, 1312, 1133, 1034)
1차분 차량의 특징은 출입문 안쪽에 연두색으로 페인트칠이 칠해져 있는 것인데, 이후의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었다.
철도박물관에 1001호가 보존 중이다.
1X01편성 |
한얼테마박물관에 1514호가 전시실로 운영 중이었으나 박물관 이전으로 TC 1034, 1134호가 전시실로 운영 중이다. 곧 박물관이 이전하는데, 박물관이 이전하면 매각된다고 한다. 도입당시에는 1032, 1035호로 도입되었다.
참고로 당시 도입당시 차량번호는 다음과 같았다.
1X01편성: 1001-1301-1601-1302-1602-1002
1X02편성: 1003-1303-1603-1304-1604-1004
1X03편성: 1005-1305-1605-1306-1606-1006
1X04편성: 1007-1307-1607-1308-1608-1008
1X05편성: 1009-1309-1609-1310-1610-1010
1X06편성: 1011-1311-1611-1312-1612-1012
1X07편성: 1013-1313-1613-1314-1614-1014
1X08편성: 1015-1315-1615-1316-1616-1016
1X09편성: 1017-1317-1617-1318-1618-1018
1X10편성: 1019-1319-1619-1320-1620-1020
1X11편성: 1021-1321-1621-1322-1622-1022
1X12편성: 1023-1323-1623-1324-1624-1024
1X13편성: 1025-1325-1625-1326-1626-1026
1X14편성: 1027-1327-1627-1328-1628-1028
1X15편성: 1029-1329-1629-1330-1630-1030
1X16편성: 1031-1331-1631-1332-1632-1032
1X17편성: 1033-1333-1633-1334-1634-1034
1X18편성: 1035-1335-1635-1336-1636-1036
1X19편성: 1037-1337-1637-1338-1638-1038
1X20편성: 1039-1339-1639-1340-1640-1040
1X21편성: 1041-1341-1641-1342-1642-1042
2.1.2. 2차분 (1976~1979)
1X35편성(1069호)[4] |
1X26편성 |
1976년 대우중공업에서 일본과의 기술 제휴로 국내 조립에 성공하여 1979년까지 6량 21개 편성을 추가 도입하였다.
2차분부터 출입문 안쪽이 민무늬 스테인레스로 변경되었다.
이때가 TC형 초저항의 마지막 도입이었고 그 이후부터는 객차형만 도입했었다.
철도박물관에 1115호, 1315호가 보존 중이다.
1019호, 1119호가 대차가 제거된 상태로 방치 중이다. 창고로 쓰이는 걸로 추정된다. 도입당시에는 1055, 1057호로 도입된 차량이다.
당시 도입된 차량번호는 다음과 같았다.
1X22편성: 1043-1343-1643-1344-1644-1044
1X23편성: 1045-1345-1645-1346-1646-1046
1X24편성: 1047-1347-1647-1348-1648-1048
1X25편성: 1049-1349-1649-1350-1650-1050
1X26편성: 1051-1351-1651-1352-1652-1052
1X27편성: 1053-1353-1653-1354-1654-1054
1X28편성: 1055-1355-1655-1356-1656-1056
1X29편성: 1057-1357-1657-1358-1658-1058
1X30편성: 1059-1359-1659-1360-1660-1060
1X31편성: 1061-1361-1661-1362-1662-1062
1X32편성: 1063-1363-1663-1364-1664-1064
1X33편성: 1065-1365-1665-1366-1666-1066
1X34편성: 1067-1367-1667-1368-1668-1068
1X35편성: 1069-1369-1669-1370-1670-1070
1X36편성: 1071-1371-1671-1372-1672-1072
1X37편성: 1073-1373-1673-1374-1674-1074
1X38편성: 1075-1375-1675-1376-1676-1076
1X39편성: 1077-1377-1677-1378-1678-1078
1X40편성: 1079-1379-1079-1380-1680-1080
1X41편성: 1081-1381-1681-1382-1682-1082
1X42편성: 1083-1383-1683-1384-1684-1084
2.1.3. 3차분 (1980~1981)
1X30편성(1088호) |
- 1X01~1X42편성 → 1X01~1X28편성 (6량 → 8량 증결 및 재조합)
- 1X29~1X39편성 (8량)
- 1X40편성 (4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
- 제작사: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국철 구간의 이용객 폭증으로 6량으로는 무리라고 판단하여 전국 지하철 최초로 8량화가 확정되면서 도입되었다.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을 통해 동력 부수 객차 68량이 도입되었다.
기존 6량 42개 편성을 재조합하여 8량 28개 편성으로 만들었으며, 남는 Tc 차량 28량 중 24량은 증결분과 조합하여 12개 편성으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남는 Tc 차량 4량은 1986년까지 구로차량사업소에서 장기간 휴차되었다(당시 차호 1121, 1123~1124, 1126).
1999~2006년에는 일부 중저항, 일부 신저항, 개조저항 등의 중간객차로 다녔다. 1999년~2001년 기준으로는 1X57, 1X58, 1X62, 1X63, 1X85, 1X86편성이 해당됐었고 2001년에 1X57편성과 1X82편성이 중간객차를 맞트레이드를 하여 1X57편성에서는 빠지고 1X82편성에 들어가서 2004년 가을까지는 1X58, 1X62, 1X63편성에 다녔으며, 2004년 가을에는 1X51, 1X57, 1X60, 1X63에 편입됐었다가 말년에는 1X53, 1X57, 1X63에 편입됐었으며 2005년 말~2006년 초에 1X61에도 편입됐던 적이 있었다. 신저항의 경우는 1X85, 1X86에 편입됐었다가 2004년 가을에 트레이드를 진행한 후 내장재 개조를 받으면서 빠졌다.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980년 | 1X29~1X32편성의 동력차 24량 |
1981년 | 1X33~1X40편성 동력차 44량 |
1981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8량 | 1X01~1X39편성 |
4량 | 1X40편성 |
8량 재조합당시 차량번호
1X01편성: 1001-1301-1601-1302-1602-1303-1603-1003
1X02편성: 1004-1304-1604-1305-1605-1306-1606-1006
1X03편성: 1007-1307-1607-1308-1608-1309-1609-1009
1X04편성: 1010-1310-1610-1311-1611-1312-1612-1012
1X05편성: 1013-1313-1613-1314-1614-1315-1615-1015
1X06편성: 1016-1316-1616-1317-1617-1318-1618-1018
1X07편성: 1019-1319-1619-1320-1620-1321-1621-1021
1X08편성: 1022-1322-1622-1323-1623-1324-1624-1024
1X09편성: 1025-1325-1625-1326-1626-1327-1627-1027
1X10편성: 1028-1328-1628-1329-1629-1330-1630-1030
1X11편성: 1031-1331-1631-1332-1632-1333-1633-1033
1X12편성: 1034-1334-1634-1335-1635-1336-1636-1036
1X13편성: 1037-1337-1637-1338-1638-1339-1639-1039
1X14편성: 1040-1340-1640-1341-1641-1342-1642-1042
1X15편성: 1043-1343-1643-1344-1644-1345-1645-1045
1X16편성: 1046-1346-1646-1347-1647-1348-1648-1048
1X17편성: 1049-1349-1649-1350-1650-1351-1651-1051
1X18편성: 1052-1352-1652-1353-1653-1354-1654-1054
1X19편성: 1055-1355-1655-1356-1656-1357-1657-1057
1X20편성: 1058-1358-1658-1359-1659-1360-1650-1060
1X21편성: 1061-1361-1661-1362-1662-1363-1663-1063
1X22편성: 1064-1364-1664-1365-1665-1366-1666-1066
1X23편성: 1067-1367-1667-1368-1668-1369-1669-1069
1X24편성: 1070-1370-1670-1371-1671-1372-1672-1072
1X25편성: 1073-1373-1673-1374-1674-1375-1675-1075
1X26편성: 1076-1376-1676-1377-1677-1378-1678-1078
1X27편성: 1079-1379-1679-1380-1680-1381-1681-1081
1X28편성: 1082-1382-1682-1383-1683-1384-1684-1084
1X29편성: 1085-1385-1685-1386-1686-1387-1687-1087(변경전 TC차호: 1002-1005)
1X30편성: 1088-1388-1688-1389-1689-1390-1690-1090(변경전 TC차호: 1008-1011)
1X31편성: 1091-1391-1691-1392-1692-1393-1693-1093(변경전 TC차호: 1014-1017)
1X32편성: 1094-1394-1694-1395-1695-1396-1696-1096(변경전 TC차호: 1020-1023)
1X33편성: 1097-1397-1697-1398-1698-1399-1699-1099(변경전 TC차호: 1026-1029)
1X34편성: 1100-1400-1700-1401-1701-1402-1702-1102(변경전 TC차호: 1032-1035)
1X35편성: 1103-1403-1703-1704-1704-1405-1705-1105(변경전 TC차호: 1038-1041)
1X36편성: 1106-1406-1706-1407-1407-1408-1708-1108(변경전 TC차호: 1044-1047)
1X37편성: 1109-1409-1709-1410-1710-1411-1711-1111(변경전 TC차호: 1050-1053)
1X38편성: 1112-1412-1712-1413-1713-1414-1714-1114(변경전 TC차호: 1056-1059)
1X39편성: 1115-1415-1715-1416-1716-1417-1717-1117(변경전 TC차호: 1062-1065)
1X40편성: 1118-1418-1718-1120(변경전 TC차호:1068-1071)
1X41편성: 1121-1123(변경전 TC차호: 1074-1077)
1X42편성: 1124-1126(변경전 TC차호: 1080-1083)
2.1.4. 4차분 (1984~1986)
1X92편성 개조분 |
- 1X01~1X38편성 (8량 → 10량 증결)
- 1X40편성 (4량 → 8량 증결)
- 1X41편성 (4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
- 제작사: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rowcolor=white> 제작년도 | 제작회사 | 비고 |
1984년 7월~8월 | 대우중공업 | 1X01~1X15편성의 무동력차 30량 |
1984년 12월 | 현대정공 | 1X16편성의 무동력차 2량 |
1985년 6월 | 1X17~1X30편성의 무동력차 28량 | |
1985년 12월 | 1X31~1X35편성의 무동력차 10량 | |
1986년 1월 | 대우중공업 | 1X02편성의 동력차 1량 1X40~1X41편성의 동력차 6량 |
1986년 9월 | 1X36~1X38편성의 무동력차 6량 |
1986년까지 남아 있던 Tc 차량 4량 중 2량은 1X02편성의 운전실 차량으로 투입되었다. 1984년 발생한 휘경역(現 외대앞역) 추돌사고로 1X02편성의 운전실 차량 1002호와 인천역 사고로 1X14편성의 운전실 차량 1114호가 대파되었기 때문이다. 휘경역 사고 당시 차량번호는 1004, 1304호였고, 이후 1X02는 휴차되었으며 인천역 사고 때는 1042호가 폐차되었고 1006호는 14편성으로 옮겨졌다. 나머지 2량은 1X41편성의 운전실 차량으로 투입되었다.
1986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0량 | 1X01~1X38편성 |
8량 | 1X39~1X40편성 |
4량 | 1X41편성 |
1X02편성의 1202호는 1999년에 1974년산 초저항이 폐차된 이후 한동안 방치 신세가 되다가 2002년 여름에 개조저항이 등장했을 때 잠시 운행을 나왔지만 그것이 마지막 운행이었고 2002년 여름 이후로는 영구 휴차되다가 2011년에 폐차되었다.
1X24편성의 1824, 1924호와 1X25편성의 1825, 1925호, 1X40편성의 1440, 1540호와 1640, 1740호는 예비차로 지정되어 내장재 미개조 상태로 가끔씩 운행했었다. 1922호 객차가 창고로 쓰이는 중이다.
10량 당시 차량번호(2편성하고 14편성은 사고로 인해 조성변경됨)
1X01편성: 1001-1301-1601-1151-1302-1602-1153-1303-1603-1003
1X02편성: 1124-1422-1604-1154-1305-1605-1156-1306-1606-1126
1X03편성: 1007-1307-1607-1157-1308-1608-1159-1309-1609-1009
1X04편성: 1010-1310-1610-1160-1311-1611-1162-1312-1612-1012
1X05편성: 1013-1313-1613-1163-1314-1614-1165-1315-1615-1015
1X06편성: 1016-1316-1616-1166-1317-1617-1168-1318-1618-1018
1X07편성: 1019-1319-1619-1169-1320-1620-1171-1321-1621-1021
1X08편성: 1022-1322-1622-1172-1323-1623-1174-1324-1624-1024
1X09편성: 1025-1325-1625-1175-1326-1626-1177-1327-1627-1027
1X10편성: 1028-1328-1628-1178-1329-1629-1180-1330-1630-1030
1X11편성: 1031-1331-1631-1181-1332-1632-1183-1333-1633-1033
1X12편성: 1034-1334-1634-1184-1335-1635-1186-1336-1636-1036
1X13편성: 1037-1337-1637-1187-1338-1638-1189-1339-1639-1039
1X14편성: 1040-1340-1640-1190-1341-1641-1192-1342-1642-1006
1X15편성: 1043-1343-1643-1193-1344-1644-1195-1345-1645-1045
1X16편성: 1046-1346-1646-1196-1347-1647-1198-1348-1648-1048
1X17편성: 1049-1349-1649-1199-1350-1650-1201-1351-1651-1051
1X18편성: 1052-1352-1652-1202-1353-1653-1204-1354-1654-1054
1X19편성: 1055-1355-1655-1205-1356-1656-1207-1357-1657-1057
1X20편성: 1058-1358-1658-1208-1359-1659-1360-1210-1650-1060
1X21편성: 1061-1361-1661-1211-1362-1662-1213-1363-1663-1063
1X22편성: 1064-1364-1664-1214-1365-1665-1216-1366-1666-1066
1X23편성: 1067-1367-1667-1217-1368-1668-1219-1369-1669-1069
1X24편성: 1070-1370-1670-1220-1371-1671-1222-1372-1672-1072
1X25편성: 1073-1373-1673-1223-1374-1674-1225-1375-1675-1075
1X26편성: 1076-1376-1676-1226-1377-1677-1228-1378-1678-1078
1X27편성: 1079-1379-1679-1229-1380-1680-1231-1381-1681-1081
1X28편성: 1082-1382-1682-1232-1383-1683-1234-1384-1684-1084
1X29편성: 1085-1385-1685-1235-1386-1686-1237-1387-1687-1087
1X30편성: 1088-1388-1688-1238-1389-1689-1240-1390-1690-1090
1X31편성: 1091-1391-1691-1241-1392-1692-1243-1393-1693-1093
1X32편성: 1094-1394-1694-1244-1395-1695-1246-1396-1696-1096
1X33편성: 1097-1397-1697-1247-1398-1698-1249-1399-1699-1099
1X34편성: 1100-1400-1700-1250-1401-1701-1252-1402-1702-1102
1X35편성: 1103-1403-1703-1253-1704-1704-1255-1405-1705-1105
1X36편성: 1106-1406-1706-1256-1407-1407-1258-1408-1708-1108
1X37편성: 1109-1409-1709-1259-1410-1710-1261-1411-1711-1111
1X38편성: 1112-1412-1712-1262-1413-1713-1264-1414-1714-1114
1X39편성: 1115-1415-1715-1416-1716-1417-1717-1117
1X40편성: 1118-1418-1718-1419-1719-1420-1720-1120
1X41편성: 1121-1421-1721-1123
1989년 이후 현재의 차량번호로 재편됨.
2.2. 중기형(중저항)
{{{#!folding 【 터널 도색 (1986 ~ 1997년) 】 | ||
수인선 협궤열차 왼쪽에 있는 1X56편성 | 1X54편성 | |
1X51편성 | 1X59편성 | |
1X52편성 |
{{{#!folding 【 역삼각 도색 (1995 ~ 2008년) 】 | ||
1X44편성 | 1X63편성 | |
1X56편성 | 1X65편성 | |
1X67편성 |
{{{#!folding 【 자석 도색 (2006 ~ 2017년) 】 | ||
1X45편성 | 1X60편성 | |
1X68편성 | 1X65편성[5] | |
1X59편성 |
흔히 '중저항'이라 불리는 차량들이다. 저항 차량 중 도색변경을 모두 거쳤다. 중저항 편성 내 부수객차는 초저항도 도색변경을 모두 거쳤다. 역삼각 도색의 경우 초기에는 지붕이 전부 흰색이었지만 1997년부터 회색 부분을 추가하였다.[6]
2.2.1. 5차분 (1986~1990)
1X52편성 |
1X56편성 |
1X47편성 |
- 1X39~1X40편성 (8량 → 10량 증결)
- 1X41편성 (4량 → 10량 증결)
- 1X42~1X49편성 (10량)
- 1X50~1X56편성 (6량)
- 1X57~1X58편성 (4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
- 제작사: 현대정공, 대우중공업(DEC-01), 조선공사(현 HJ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rowcolor=white> 편성 | 객차번호 | 제작년도 | 제작회사 | 비고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39편성 | 1839, 1939 | 1989년 12월 | 현대정공 | |
1X40편성 | 1840, 1940 | 1989년 11월 | 대우중공업 | |
1X41편성 | 1441 ~ 1941 | |||
1X42편성 | 1042, 1142, 1842, 1942 | 1986년 12월 | 현대정공 | |
1242 ~ 1742 | 대우중공업 | |||
1X43편성 | 1043, 1143, 1843, 1943 | 현대정공 | ||
1243 ~ 1743 | 대우중공업 | |||
1X44편성 | 1044, 1144, 1844, 1944 | 현대정공 | ||
1244 ~ 1744 | 대우중공업 | |||
1X45편성 | 1045, 1245, 1345 | 1987년 1월 | 현대정공 | |
1445, 1545, 1845 | 1987년 11월 ~ 12월 | 대우중공업 | ||
1645, 1745, 1945 | 1987년 12월 ~ 1988년 1월 | 현대정공 | ||
1X46편성 | 1046 ~ 1946 | 1987년 11월 | 대우중공업 | |
1x47편성 | 1047, 1247 ~ 1347, 1547, 1847 | |||
1147, 1447, 1647, 1747, 1947 | 1987년 12월 ~ 1988년 1월 | 현대정공 | ||
1X48편성 | 1048 ~ 1948 | 1988년 1월 | ||
1X49편성 | 1049 ~ 1749 | 1988년 9월 | 대우중공업 | [7] |
1849, 1949 | 1989년 11월 | |||
1X50편성 | 1050, 1150, 1250 | 1988년 9월 | ||
1350 | 1988년 10월 | 조선공사 | ||
1450, 1550 | 1988년 9월 | 현대정공 | ||
1X51편성 | 1051 ~ 1351, 1551 | |||
1451 | 1988년 10월 | 조선공사 | ||
1X52편성 | 1052, 1152, 1452, 1552 | 1988년 9월 | 현대정공 | |
1252, 1352 | 1988년 10월 | 조선공사 | ||
1X53편성 | 1053, 1153, 1453, 1553 | [8] | ||
1253, 1353 | 1989년 9월 | 대우중공업 | ||
1X54편성 | 1054 ~ 1554 | 1989년 11월 | ||
1X55편성 | 1055 ~ 1555 | 1989년 11월 ~ 12월 | ||
1X56편성 | 1056 ~ 1556 | 1989년 12월 | 현대정공 | |
1X57편성 | 1057, 1157 | 1990년 1월 | 대우중공업 | |
1257, 1357 | 1989년 12월 | 현대정공 | ||
1X58편성 | 1058, 1158 | 1989년 9월 | 조선공사 | |
1258, 1358 | 1989년 12월 | 현대정공 |
내부 |
1987년 반입 당시에는 지금과 차호 구성이 달랐다. 기존 초저항과 동일한 차호 구성으로, 현재의 중저항 1042-1142편성은 반입 당시 1127-1129의 차호로 반입되었다. 1X49~1X53편성의 경우 반입 당시에는 2000호대로 반입되었다. 현재 기준 1X49편성은 반입 당시 2001-2301-2601-2303-2603-2003의 조성이었다가 1989년 차적 정리 후 1049-1249-1349-1649-1749-1149로 바뀌었으며 이후 10량화되었는데 2량은 새로 제작했고 2량은 1X53편성에서 빼왔다. 그래서 1253, 1353은 신조 제작했다.
1989년 기존의 차호 구성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면서 기존의 8량과 4량으로 다니던 초저항(당시 1X39~1X41편성)을 10량으로 증결하기 위한 부수 객차가 추가 도입되었다. 총 6량의 무동력 객차와 4량의 동력 객차가 도입되었는데, 이 중 5량의 무동력 객차는 VVVF 차량의 부수 객차로 운행하였으며, 나머지 1량의 무동력 객차와 동력 객차는 중저항에 편입되어 운행되다가 폐차되었으며 동력 객차는 출입문이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9] 1925호 객차가 창고로 쓰이는 중이다.
1990년 기준으로 제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0량 | 1X01~1X49편성 |
6량 | 1X50~1X56편성 |
4량 | 1X57~1X58편성 |
1X54편성부터는 현재 차호 구성으로 도입되었다.
2005년 2월 22일에 경부선 청량리 ~ 천안 구간 완행열차로 투입되었던 1X42편성이 지하 서울역에서 변압기가 터지는 사고가 일어난 뒤로 한국철도공사는 병점 이남으로는 저항제어 전동차를 거의 투입시키지 않았고, 2006년에는 저항제어 소자가 퍼지는 사건까지 터지면서 저항제어 전동차는 병점 이남으로는 가지 못하게 되었다.
2006년 기존 초저항 부수 객차(1980년~1981년산 동력 객차)들의 대거 폐차로 인해 조성을 맞출 수 없게 되어 1053, 1153, 1057, 1157호 4량이 조기 휴차되었고, 내장재 교체 사업에서도 제외되었다. 또한 1X53편성과 1X57편성은 병점차량기지에서 TC칸만 남겨진 채로 장기간 휴차 중에 있다가 2011년, 2013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1X53, 1X57편성이 들어간 중간 객차는 내장재 개조되어 다른 편성에 편입되었다. 나머지 차량은 2005년~2006년 내장재 교체[10] 및 2006년 후반~2007년 외부 도장 변경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특징은 LED 개조를 1번 받았다는 것이다. 2011년에 한국철도공사에서 1991년 이후 제작 차량에 또 한번 LED 개조를 했기 때문에 1986~1989년 제작 차량은 개조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래서 연한 빨간색 바탕에 굴림체로 되어 있는 행선 안내기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일부 편성은 출입문이 교체되기도 했다. 1X47~1X49편성은 2005년 12월 ~ 2006년 4월에 광창형 금속 테두리 출입문으로[11], 1X45, 1X50~1X52, 1X54~1X56, 1X61편성은 초저항 출입문으로 2007년 11월 경부터 2009년 7월에 걸쳐 교체되었으며, 1X57편성 중간 객차의 1257, 1357호와 1X58편성에 있던 1258, 1358호와 1X41편성의 동력차 4량 역시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고, 1X71편성도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했다.
1X42편성의 1342호는 한때 출입문 8쌍 중 한 쌍만 정사각형 출입문인 짝짝이 출입문으로 다녔었다.
1X58편성은 2010년 구로차량기지 내 추돌 사고로 10량이 모조리 조기 폐차되었다. 1X58편성은 1X41편성의 증결분 M차 4량(1441~1741)이 모두 끼어 있던 편성이었다.
1X42~1X44편성은 TC칸에 측면 행선기가 없었으며 1X45편성은 1045호에만 없었다가 1X46편성부터 TC칸에도 측면 행선기가 달리기 시작했다. 1X45편성의 경우 1145호에만 달려 있었다. 이는 1145호 객차는 1988년 1월에 나왔기 때문이다.
운전실 출입문의 경우도 형태가 약간 다른데 1X42~1X54편성은 운전실 출입문 유리 테두리가 얇은 반면 1X55편성부터는 테두리가 두꺼워졌다.
1X50편성은 2008년에 2004년 이전 조성으로 회귀한 적이 있었다. 물론 1650, 1750은 2006년 8월~9월에 다시 돌아왔었지만 1850, 1950까지 돌아온 때는 2008년이다. 또한 2007년 5월에 잠시 역방향으로 운행한 적이 있었다.
{{{#!folding 중저항 관련된 과거 방향 전환 일부 정보들 ▼ | <rowcolor=#ffffff> 2007년 1X50편성 역방향 정보 빨간색 표기는 초저항 객차, 금색 표기는 1996년산 신저항 객차아다. | |||||
<rowcolor=#ffffff> 편성번호 | 시기 | 당시 행선지 | 방향 전환 전 | 방향 전환 후 | 비고 | |
1X50편성 | 2007년 5월 | 인천-소요산 | 정방향 | 역방향 | [12] | |
당시 조성 | 1050 - 1250 - 1350 - 1826 - 1450 - 1550 - 1926 - 1650 - 1750 - 1150 |
반입 당시 기준 차량 번호 (1988년 기준)
1X42편성: 1127-1427-1727-1277-1428-1728-1279-1429-1729-1129
1X43편성: 1130-1430-1730-1280-1431-1731-1282-1432-1732-1132
1X44편성: 1133-1433-1733-1283-1434-1734-1285-1435-1735-1135
1X45편성: 1136-1436-1736-1286-1437-1737-1288-1438-1738-1138
1X46편성: 1139-1439-1739-1289-1440-1740-1291-1441-1741-1141
1X47편성: 1142-1442-1742-1292-1443-1743-1294-1444-1744-1144
1X48편성: 1145-1445-1745-1295-1446-1746-1297-1447-1747-1147
1X49편성: 2001-2301-2601-2303-2603-2003
1X50편성: 2004-2304-2604-2306-2606-2006
1X51편성: 2007-2307-2607-2309-2609-2009
1X52편성: 2010-2310-2610-2312-2612-2012
1X53편성: 2013-2313-2613-2315-2615-2015
2.2.2. 6차분 (1991~1992)
1X67편성 |
1X64편성 |
1X70편성[13] |
- 1X59~1X63편성 (4량)
- 1X64~1X66편성 (6량)
- 1X67~1X73편성 (10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14]
- 제작사: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rowcolor=white> 편성 | 객차번호 | 제작년도 | 제작회사 | 비고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59편성 | 1059 ~ 1359 | 1991년 6월 | 대우중공업 | |
1X60편성 | 1060 ~ 1360 | 1991년 6월 | ||
1X61편성 | 1061 ~ 1361 | 1991년 7월 | ||
1X62편성 | 1062 ~ 1362 | |||
1X63편성 | 1063 ~ 1363 | |||
1X64편성 | 1064 ~ 1564 | 1991년 11월(1992년 1월) | ||
1X65편성 | 1065 ~ 1565 | 1991년 12월 | 현대정공 | |
1X66편성 | 1066 ~ 1566 | 1992년 3월 | 한진중공업 | |
1X67편성 | 1067 ~ 1967 | 1991년 10월 | 대우중공업 | |
1X68편성 | 1068 ~ 1968 | 현대정공 | ||
1X69편성 | 1069 ~ 1969 | 1991년 11월 | ||
1X70편성 | 1070 ~ 1970 | |||
1X71편성 | 1071 ~ 1971 | 1992년 2월 | 한진중공업 | |
1X72편성 | 1072 ~ 1972 | 1992년 3월 | ||
1X73편성 | 1073 ~ 1973 |
1X59~1X63편성은 직사각형 출입문에 하단 쪽에 손잡이가 생겼고, 1X64편성부터는 출입문 유리창이 다시 정사각형 모양으로 회귀하였으며 안쪽엔 부식무늬를 적용하였다. 1X64~1X73편성은 사실상 1992년형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1X61편성이 2007년 도장 변경 이후 2009년에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고 1X62편성도 말년에 1062호만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1X59~1X63편성은 5차분이랑 비슷해 보이지만 전두부 쪽에 손잡이가 생기고 출입문 하단에 손잡이가 생긴 것, 기존에는 에어컨만 달려나왔던 것과 달리 이 편성들부터는 선풍기+에어컨으로 나온 것을 보면 나름 과도기형이라고 볼 수 있다.
2000년대 초중반 당시에는 철도 동호인들에게 직사각형 출입문은 '중저항', 정사각형 출입문은 '후저항'이라고 구분하여 불리기도 했지만 후자는 '후지다'(...)라는 어감 때문에 2000년대 중후반 이후에는 대부분 1X42~1X63편성은 중저항 초기형 또는 중저항 1기, 1X64~1X73편성은 중저항 후기형 또는 중저항 2기로 불렸었다.
1992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0량 | 1X01~1X49, 1X67~1X73편성 |
6량 | 1X50~1X56, 1X64~1X66편성 |
4량 | 1X57~1X63편성 |
- 2017년 3월 30일, 1X73편성을 마지막으로 모두 영업 운전에서 철수하였다. 단, 2016년에 1X62편성과 중간차를 맞바꾼 상태로 운행하다가 구로기지에 사용 대기로 빠진 1X74편성의 중간차와 1X64편성의 중간차는 1996년 도입된 신저항 차량이기 때문에 폐차 대상이 아니다.
- 1065호, 1165호가 구내에 전시 중이다. 말이 전시지 내부는 잠겨있고 외부는 페인트가 벗겨져 있다.
- 2017년 4월, 시흥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던 1X73편성은 내구연한 연장과 더불어 동력차 1대의 4량으로 재편성되어 기관차에 끌려 제천역으로 내려간 후 제천역에서 영주역까지 자력으로 회송을 하고 이후 영동선에서 시운전을 하다가 머지않아 시흥차량사업소로 복귀했다. 그 후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입환용으로 쓰이다 2018년 10월 14일과 11월 11일에 '경인선 철길 따라' 행사에 임시적으로 경인선 부천역 ~ 인천역 구간을 운행하는 등 임시 열차로 운행되었고 전세관광열차로 운행한 후 유치 중이었으나 부품용으로 분해되었다. 2021년 11월에 폐차 매각되었다.
- 2017년 6월 25일, 구로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던 1X72편성이 제천조차장으로 회송되었다. 이 차량은 최근에 제천조차장 유치선 구석에 RDC와 같이 묶여 있었으나 2019년 제천 철도테마파크 계획이 무산된 관계로 2019년 4월에 고철로 분해 및 매각되었다.
1X71편성 |
- 폐차된 1X71편성의 1171호, 1771호는 경북전문대학교에서 트레일러로 이송 후, 도색 변경과 개조가 이뤄져 철도전기기관사과 철도전기기관사가 실습장으로 개조되었고 사용하고 있다.[16]
- 1X67~1X73편성은 이문소속 출신으로 측면에 차량번호 스티커를 붙이고 운행한 적이 있었다. 이는 2005년에 내장재를 개조를 실시한 후 2006년 초에 부착한 것이다. 2009년 하반기에 제거되었다.
- 1160호는 쪽창이 없었다. 이는 사고로 인해 전면부를 수리하면서 쪽창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
- 1X64편성은 2006년 4월 조성 변경 당시 중간객차로 직사각형 출입문 중저항 객차 2량(1452, 1552, 대신에 빠진 신저항 객차 1650, 1750은 잠시 휴차)과 신저항 객차 6량 조합으로 6월 초까지 운행했었는데, 초기에는 중저항 객차 2량은 미개조 그대로 끼워놓아서 롤지 + LED 조합으로 운행했었다가 6월에 빠지고 객차가 초저항 객차(1440, 1540) 교체되었다가 다시 1650, 1750 객차로 환원되었으며, 이후 동년 8월에 직사각형 출입문 중저항 객차인 1450과 1550이 들어갔지만 그때는 내장재가 개조된 상태로 들어갔므며 9월까지 운행하였다.
{{{#!folding 2006년 당시 1X64편성 차량 조성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06년 4월~6월, 8월~9월 기준 1X64편성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2006년 4월 ~ 6월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X64 | 1064 | 1652 | 1752 | 1850 | 1653 | 1753 | 1950 | 1452 | 1552 | 1164 | [17] | |
2006년 6월, 8월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X64 | 1064 | 1652 | 1752 | 1850 | 1653 | 1753 | 1950 | 1440 | 1540 | 1164 | ||
2006년 8월 ~ 9월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X64 | 1064 | 1652 | 1752 | 1850 | 1653 | 1753 | 1950 | 1450 | 1550 | 1164 |
- 1X63편성은 2006년 7월 ~ 9월에, 1X65편성은 2006년 5월, 2006년 7월 ~ 9월 사이에 예비차로 활동했었다. 그래서 이 당시 1X63, 1X65편성 사이에 끼워다닌 객차들은 전부 내장재 개조되었는데 TC칸만 미개조 상태였다.
{{{#!folding 2006년 당시 1X63편성, 1X65편성 차량 조성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06년 예비차 1X63편성 조성 | |||||||||||
변경된 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2006년 8월 (1X50편성)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X63 | 1063 | 1250 | 1350 | 1818 | 1464 | 1564 | 1918 | 1450 | 1550 | 1163 | ||
1X63 | 1063 | 1250 | 1350 | 1818 | 1464 | 1564 | 1918 | 1440 | 1540 | 1163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06년 예비차 1X65편성 조성 | |||||||||||
변경된 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하였다. | |||||||||||
2006년 5월 (1X49편성)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1X65 | 1065 | 1249 | 1349 | 1849 | 1449 | 1549 | 1949 | 1649 | 1749 | 1165 | |
2006년 7월 ~ 8월 (1X54편성) | |||||||||||
1X65 | 1065 | 1254 | 1354 | 1822 | 1257 | 1357 | 1922 | 1454 | 1554 | 1165 | |
2006년 8월 (1X45편성) | |||||||||||
1X65 | 1065 | 1245 | 1345 | 1845 | 1445 | 1545 | 1945 | 1645 | 1745 | 1165 |
2.3. 후기형(신저항)
{{{#!folding 【 역삼각 도색 (1994 ~ 2006년) 】 | ||
1X78편성 | 1X77편성 | |
1X83편성 | 1X86편성 | }}} |
{{{#!folding 【 자석 도색 (2005 ~ 2021년) 】 | ||
1X74편성 | 1X75편성 | |
1X81편성 | 1X83편성 | |
1X84편성[18] |
{{{#!folding 운행종료 당시 차량조성 | <rowcolor=white> 운행종료 당시 차량조성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1X74편성 | 1074 | 1462 | 1562 | 1861 | 1463 | 1563 | 1961 | 1661 | 1761 | 1174 | |
1X75편성 | 1075 | 1275 | 1375 | 1875 | 1475 | 1575 | 1975 | 1675 | 1775 | 1175 | |
1X76편성 | 1076 | 1276 | 1376 | 1876 | 1476 | 1576 | 1976 | 1676 | 1776 | 1176 | |
1X77편성 | 1077 | 1277 | 1377 | 1877 | 1477 | 1577 | 1977 | 1677 | 1777 | 1177 | |
1X78편성 | 1078 | 1278 | 1378 | 1878 | 1478 | 1578 | 1978 | 1678 | 1778 | 1178 | |
1X79편성 | 1079 | 1279 | 1379 | 1879 | 1479 | 1579 | 1979 | 1673 | 1773 | 1179 | |
1X80편성 | 1080 | 1280 | 1380 | 1880 | 1480 | 1580 | 1980 | 1680 | 1780 | 1180 | |
1X81편성 | 1081 | 1281 | 1381 | 1850 | 1481 | 1581 | 1950 | 1681 | 1781 | 1181 | |
1X83편성 | 1083 | 1483 | 1583 | 1852 | 1683 | 1783 | 1952 | 1283 | 1383 | 1183 | |
1X84편성 | 1084 | 1284 | 1384 | 1853 | 1484 | 1584 | 1953 | 1684 | 1784 | 1184 | |
1X85편성 | 1085 | 1652 | 1752 | 1859 | 1653 | 1753 | 1959 | 1457 | 1557 | 1185 | |
1X86편성 | 1086 | 1458 | 1558 | 1860 | 1659 | 1759 | 1960 | 1660 | 1760 | 1186 |
흔히 신저항이라 불리는 차량들이다.
철도공사의 CI 변경 이후에도 살아 남아있다가, 2006년 마지막 모습을 보이고 자취를 감추었다.[19]
2009년까지는 간혹 신저항 편성에 중저항 객차가 끼워져 있는 모습도 간간이 볼 수 있었지만 객차 트레이드가 진행된 2009년 말 이후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2.3.1. 7차분 (1994~1995)
1X78편성 |
1X75편성 |
- 1X59~1X61편성 (4량 → 6량 증결)[2량증결]
- 1X74~1X79편성 (10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21]
- 제작사: 대우중공업(DEC-13)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rowcolor=white> 편성 | 객차번호 | 제작년도 | 제작회사 | 비고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59편성 | 1459, 1559 | 1994년 11월 | 대우중공업 | |
1X60편성 | 1460, 1560 | |||
1X61편성 | 1461, 1561 | |||
1X74편성 | 1074 ~ 1974 | 1995년 6월 | ||
1X75편성 | 1075, 1175, 1675, 1775, 1975 | 1994년 10월 ~ 11월 | ||
1275, 1375, 1475, 1575, 1875 | 1995년 6월, 8월(1375) | |||
1X76편성 | 1076 ~ 1976 | 1994년 10월 | ||
1X77편성 | 1077 ~ 1977 | 1994년 11월 | ||
1X78편성 | 1078 ~ 1978 | |||
1X79편성 | 1079 ~ 1979 |
용산~영등포 3복선 개통 및 기존 2차분의 증차분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4호선과 분당선에 당시 신형 VVVF 전동차가 투입되는 중이었는데 주 노선인 1호선에는 신형 방식인 VVVF를 놔두고 저항제어로 도입한 이유는 VVVF-GTO의 경우 소자를 제외하고는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등의 사례처럼 만들 기술은 있었으나 역시 구동 계통을 전량 수입해야 했으며, 그 당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IGBT로 넘어갈 분위기였기 때문에 신규 노선을 제외하고는 어중간한 VVVF-GTO를 택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가 도입 초기 남태령역 ~ 선바위역 사이 절연 구간 등에서 잔고장이 잦았던 것도 한 몫 했을 것이며 4량, 6량으로 다니고 있는 중저항의 10량화도 필요했기 때문에 도입한 것이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96~1997년에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가 도입되어 1호선에서도 VVVF 전동차가 운행하게 된다.
도색은 처음부터 철도청 시절의 역삼각CI 도색인 초록색-노랑색의 도색이 적용되어 반입되었다.
출입문 창문이 중저항 전기형은 직사각형이었으나, 중저항 후기형과 신저항부터는 정사각형으로 변경되었다.
내장재도 시트 부분을 제외하면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초기형과 거의 같은 것으로 변경되었지만 1990년대 중반에 도입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초저항처럼 평천장에 선풍기가 달려있는 특이한 구성이었지만 이후에 불연재로 교체되면서 선풍기 역시 라인데리어로 교체되어 사라지게 되었다. 중저항의 경우 초창기 도입분은 에어컨만 달려나왔으나 후기 도입분부터는 선풍기도 달려나왔던 것이다.
주 제어장치인 저항기가 국산 제품으로 대체되었다는 점, 1993년에 처음 도입된 VVVF 전동차의 외형을 그대로 가져온 점 외에는 중저항과 큰 차이가 없다.
운전석이 초저항처럼 왼쪽에 위치했었다. 또 안쪽엔 부식무늬를 적용하였으며 출입문의 창틀이 쇠창틀로 바뀌었으며, 색은 진한 금색이다.
경적음이 동요 자전거로 나온다. 톤음은 먼저 도입했던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하다.
2005~2007년에 도색 교체를 마쳤지만 내장재와 LED 행선 안내기 개조는 2004년 9월~12월에 이미 이뤄졌다. 중저항 증량화로 도입된 객차들도 2004년에 개조되었다. 예외적으로 1459, 1559, 1460, 1560, 1461, 1561은 2006년 경에 SLS 중공업에서 개조되었다. 본디 LED 행선 안내기의 글꼴은 VVVF 차량과 똑같은 헤드라인체 계열이었으나, 2009년 말부터 차내 전광판이 설치될 무렵에 글꼴이 바뀌었다. 변경 초기에는 글꼴이 달랐으며 편성별로 글꼴이 고딕체, HY한강체(서동탄행 한정), 굴림체 3가지로 나뉘었으나 2012년 후반부터 고딕체로 통일되었다.
1994~1995년에 대우중공업에서 10량 6개 편성과 동력 부수 객차 6량(1459, 1559, 1460, 1560, 1461, 1561)을 도입하였다. 이 동력차 6량은 2010년 이후 6량 모두 1X61편성에서 운행했으며, 1461호는 2009년 7월에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2010년 1월 기준 1460, 1560호는 2, 3호차, 1461, 1561호가 본래 조성에 맞는 5, 6호차로, 1459, 1559호는 8, 9호차로 운행했다.
당시 내부가 의자 색과 바닥 재질을 제외하면, 앞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2030호대 전동차의 재질 및 구성과 거의 흡사했다. 의자 색이 빨간색 바탕에 파란색 패턴으로 이루어졌고 바닥 색은 진한 녹색이었다.
1995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0량 | 1X01~1X49, 1X67~1X79편성 |
6량 | 1X50~1X56, 1X59~1X61, 1X64~1X66편성 |
4량 | 1X57~1X58, 1X62~1X63편성 |
- 2019년 11월 25일 312B04편성이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1X78편성이 운행이 중지되었다.
- 2019년 12월 18일 312B05~312B07편성이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1X75, 1X76, 1X77, 1X79편성도 운행이 중지되었다.
- 1X74편성은 1X83편성의 신길역 탈선사고 여파로 저항 차량들이 하나둘씩 휴차에 들어가자 같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구로기지에 유치되고 있다가 폐차되었다. 원래는 현대산 신저항과 같이 2021년에 대차될 예정이었지만 조기 대차로 인하여 차량이 부족해지자 341B31~341B34, 341B36편성이 1호선에 임시 투입되었다. 1X74편성은 2016년에 중간차를 연식이 미달된 1X62편성의 1996년식 중간차 8량과 맞바꿔 내구연한이 1년 더 연장되었지만 중간차의 내구연한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2020년에 퇴역하였으므로 맞바꾼 의미가 없어졌다.
- 2020년 8월 1X75~1X79편성 및 1X74편성 부수객차가 폐차매각되었다.
- 2021년에 1X74편성(1X62편성 출신 중간차 8량 포함) 및 1X75편성의 잔존 객차(1275, 1375, 1475, 1575, 1875호)가 폐차매각되었다.
- 이 중 1X74편성은 이문소속 출신으로 측면에 차량번호 스티커를 붙이고 운행한 적이 있었다.
2.3.2. 8차분 (1996~1997)
1X85편성 |
1X80편성 |
- 1X50~1X53편성 (6량 → 10량 증결)[4량증결]
- 1X57~1X58편성 (4량 → 6량 증결)[2량증결]
- 1X59~1X61편성 (6량 → 10량 증결)[4량증결]
- 1X62~1X63편성 (4량 → 6량 증결)[2량증결]
- 1X80편성 (10량)
- 1X81, 1X83~1X84편성 (8량)
- 1482, 1582 (2량)
- 1X85~1X86편성 (2량)
- 차량기지: 前 구로차량사업소
- 제작사: 현대정공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rowcolor=white> 편성 | 객차번호 | 제작년도 | 제작회사 | 비고 |
1X50편성 | 1650, 1750, 1850, 1950 | 1996년 10월 | 현대정공 | |
1X51편성 | 1651, 1751, 1851, 1951 | |||
1X52편성 | 1652, 1752, 1852, 1952 | 1996년 11월 | ||
1X53편성 | 1653, 1753, 1853, 1953 | |||
1X57편성 | 1457, 1557 | 1996년 10월 | ||
1X58편성 | 1458, 1558 | 1996년 11월 | ||
1X59편성 | 1659, 1759, 1859, 1959 | |||
1X60편성 | 1660, 1760, 1860, 1960 | |||
1X61편성 | 1661, 1761, 1861, 1961 | |||
1X62편성 | 1462, 1562 | |||
1X63편성 | 1463, 1563 | |||
1X80편성 | 1080 ~ 1980 | |||
1X81편성 | 1081 ~ 1781 | 1996년 12월 ~ 1997년 1월 | [26] | |
- | 1482, 1582 | 1997년 1월 | [27]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83편성 | 1083, 1183 | 1996년 12월 | ||
1283 ~ 1783 | 1997년 1월 ~ 2월 | |||
1X84편성 | 1084 ~ 1784 | 1997년 2월 | ||
1X85편성 | 1085, 1185 | 1997년 1월 | ||
1X86편성 | 1086, 1186 |
순수 증차분은 VVVF 차량으로 결정되었고, 이 차량들은 대다수 기존 저항 차량들의 증결분이다. 또한 기존의 6량과 4량으로 다니던 중저항을 6량 및 10량으로 증결하기 위한 중간 객차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다른 차량과는 달리 1180호는 전면부 차량번호 밑에 역삼각 마크가 없었으나 부착할 때 크게 부착했었다.
이 때 1X50~1X53, 1X57~1X63편성이 증차되었으며 1X50~1X53, 1X59~1X61편성은 10량화 되었고 1X57, 1X58, 1X62, 1X63편성은 6량화 되어 운행중이었다. 그러다가 1998년 말 ~ 1999년에 1974년산 초저항들이 폐차되면서 조성 재배치가 있었는데 1X57~1X58, 1X62~1X63편성의 중간 객차들은 타 편성으로 이동되었고(1X54~1X56, 1X64~1X66편성) 이 차량들은 중간 객차들이 전부 초저항으로 운행중이었다. 이후 2001년에 1X57편성의 중간객차들이 1X57편성으로 복귀하여서 운행 중이었다.
2004년 말 내장재 개조 이후에는 1X62, 1X64, 1X81, 1X83~1X86편성에 편입됐으나 2006년 후반 이후로는 일부 모터카들은 조성 변경을 자주 하면서 여러 편성을 돌아다니기도 하였다. 이때 본편성으로 잠시 돌아간 경우도 있었는데 1X50편성, 1X61편성이 해당됐다. 거의 다 모터카였으며 무동력차가 본편성으로 돌아간 경우는 1X50편성이 유일했다.
{{{#!folding 역대 사용편성
| <rowcolor=white> 편성 | 객차번호 | 역대 사용편성 | 사용년도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50편성 | 1650, 1750 | 1X50편성 | 1996년 ~ 2004년 2006년 8월 ~ 2009년 9월 | |
1X51편성 | 2009년 가을 | |||
1X64편성 | 2004년 11월 ~ 2006년 4월 2006년 7월 ~ 8월 2009년 12월 ~ 퇴역 | |||
1850, 1950 | 1x50편성 | 1996년 ~ 2004년, 2008년 1월 ~ 2009년 9월 | ||
1X64편성 | 2006년 ~ 2007년 | |||
1X81편성 | 2009년 ~ 퇴역 | |||
1X83편성 | 2004년 ~ 2006년 | |||
1X51편성 | 1651, 1751 | 1X47편성 | 2009년 2월 ~ 4월 | |
1X51편성 | 1996년 ~ 2004년 | |||
1X54편성 | 2009년 11월 | |||
1X61편성 | 2009년 9월 ~ 11월 | |||
1X64편성 | 2007년 9월 ~ 2008년 1월 2009년 12월 ~ 퇴역 | |||
1X78편성 | 2005년 11월 ~ 12월 2009년 4월 ~ 5월 | |||
1X83편성 | 2008년 3월 ~ 4월 | |||
1X85편성 | 2004년 10월 ~ 2007년 2008년 4월 ~ 2009년 1월 2009년 5월 ~ 2009년 9월 2009년 11월 | |||
1851, 1951 | 1X51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0편성 | 2009년 2월 ~ 7월 | |||
1X64편성 | 2009년 10월 ~ 퇴역 | |||
1X85편성 | 2004년 11월 ~ 2005년 7월 2006년 2월 ~ 2009년 2월 2009년 8월 ~ 10월 | |||
1X86편성 | 2005년 7월 ~ 2006년 1월 | |||
1x52편성 | 1652, 1752 | 1X51편성 | 2008년 6월 ~ 10월 2009년 3월 ~ 11월 | |
1X52편성 | 1996년 ~ 2004년 | |||
1X55편성 | 2008년 11월 ~ 2009년 3월 | |||
1X58편성 | 2007년 11월 ~ 2008년 6월 | |||
1X60편성 | 2003년 9월 ~ 12월 | |||
1X64편성 | 2004년 11월 ~ 2007년 11월 | |||
1X77편성 | 2008년 10월 ~ 11월 | |||
1X85편성 | 2009년 11월 ~ 퇴역 | |||
1852, 1952 | 1X52편성 | 1996년 ~ 2004년 | ||
1X58편성 | 2007년 11월 ~ 2008년 6월 | |||
1X60편성 | 2003년 9월 ~ 12월 | |||
1X64편성 | 2006년 1월 ~ 2월 | |||
1X81편성 | 2004년 11월 ~ 2005년 | |||
1X83편성 | 2006년 2월 ~ 2007년 11월 2008년 6월 ~ 퇴역 | |||
1X53편성 | 1653, 1753 | 1X50편성 | 2007년 12월 ~ 2008년 1월 | |
1X53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2편성 | 2008년 1월 ~ 2009년 8월 | |||
1X64편성 | 2004년 11월 ~ 2007년 6월 2009년 8월 ~ 11월 | |||
1X66편성 | 2007년 7월 ~ 11월 | |||
1X85편성 | 2009년 11월 ~ 퇴역 | |||
1853, 1953 | 1X53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1편성 | 2009년 9월 ~ 10월 | |||
1X64편성 | 2004년 11월 ~ 2005년 12월 | |||
1X66편성 | 2007년 11월 | |||
1X81편성 | 2006년 1월 ~ 2007년 11월 2008년 1월 ~ 2009년 9월 | |||
1X84편성 | 2009년 10월 ~ 퇴역 | |||
1X57편성 | 1457, 1557 | 1X57편성 | 1996년 ~ 1997년 2001년 ~ 2004년 | |
1X78편성 | 2005년 11월 ~ 12월 | |||
1X81편성 | 1998년 ~ 1999년 | |||
1X82편성 | 1999년 ~ 2001년 | |||
1X85편성 | 2004년 11월 ~ 2008년 9월 2009년 10월 ~ 퇴역 | |||
1X86편성 | 2008년 9월 ~ 2009년 10월 | |||
1X58편성 | 1458, 1558 | 1X51편성 | 2007년 ~ 2008년 6월 | |
1X57편성 | 2003년 10월 ~ 2004년 2월 | |||
1X58편성 | 1996년 ~ 1997년 2008년 7월 ~ 2009년 10월 | |||
1X62편성 | 2004년 10월 ~ 2005년 12월 2006년 8월 ~ 12월 | |||
1X64편성 | 1998년 ~ 1999년 | |||
1X65편성 | 1999년 ~ 2003년 9월 2004년 2월 ~ 2004년 10월 | |||
1X85편성 | 2005년 12월 ~ 2006년 7월 | |||
1X86편성 | 2009년 10월 ~ 퇴역 | |||
1X59편성 | 1659, 1759 | 1X58편성 | 2007년 12월 ~ 2008년 6월 | |
1X59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4편성 | 2006년 9월 ~ 2007년 11월 | |||
1X86편성 | 2004년 11월 ~ 2006년 7월 2008년 6월 ~ 퇴역 | |||
1859, 1959 | 1X59편성 | 1996년 ~ 2004년 | ||
1X84편성 | 2004년 11월 ~ 2006년 1월 | |||
1X85편성 | 2009년 10월 ~ 퇴역 | |||
1X86편성 | 2006년 2월 ~ 2009년 10월 | |||
1X60편성 | 1660, 1760 | 1X52편성 | 2003년 9월 ~ 12월 | |
1X58편성 | 2007년 11월 2008년 6월 ~ 2009년 10월 | |||
1X59편성 | 2007년 11월 ~ 2008년 6월 | |||
1X60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2편성 | 2006년 8월 ~ 2007년 11월 | |||
1X86편성 | 2004년 11월 ~ 2006년 7월 2009년 10월 ~ 퇴역 | |||
1860, 1960 | 1X45편성 | 2009년 10월 | ||
1X52편성 | 2003년 9월 ~ 12월 | |||
1X60편성 | 1996년 ~ 2003년 9월 2003년 12월 ~ 2004년 | |||
1X78편성 | 2005년 11월 ~ 12월 | |||
1X84편성 | 2006년 2월 ~ 2009년 10월 | |||
1X85편성 | 2005년 7월 ~ 11월 2005년 12월 ~ 2006년 2월 | |||
1X86편성 | 2004년 11월 ~ 2005년 7월 2009년 10월 ~ 퇴역 | |||
1X61편성 | 1661, 1761 | 1X58편성 | 2008년 6월 ~ 2009년 10월 | |
1X60편성 | 2009년 10월 ~ 11월 | |||
1X61편성 | 1996년 ~ 2004년 2007년 2월 ~ 2007년 12월 | |||
1X62편성 | 2004년 10월 ~ 2006년 12월 2009년 11월 ~ 퇴역 | |||
1X74편성 | 2016년 ~ 퇴역 | |||
1X86편성 | 2007년 12월 ~ 2008년 6월 | |||
1861, 1961 | 1X58편성 | 2008년 6월 ~ 2009년 10월 | ||
1X61편성 | 1996년 ~ 2004년 | |||
1X62편성 | 2004년 10월 ~ 2007년 11월 2009년 10월 ~ 퇴역 | |||
1X74편성 | 2016년 ~ 퇴역 | |||
1X83편성 | 2007년 11월 ~ 2008년 6월 | |||
1X62편성 | 1462, 1562 | 1X46편성 | 2006년 8월 | |
1X51편성 | 2006년 8월 ~ 9월 2009년 1월 ~ 2월 | |||
1X54편성 | 2006년 9월 ~ 2008년 6월 | |||
1X55편성 | 2008년 6월 ~ 8월 | |||
1X56편성 | 1998년 ~ 2004년 2009년 2월 말 ~ 2009년 11월 | |||
1X59편성 | 2008년 9월 ~ 2009년 1월 | |||
1X62편성 | 1996년 ~ 1997년 2004년 10월 ~ 2006년 7월 2009년 12월 ~ 퇴역 | |||
1X66편성 | 2009년 11월 | |||
1X74편성 | 2016년 ~ 퇴역 | |||
1X76편성[28] | 2006년 7월 2007년 2월 ~ 3월 | |||
1X84편성 | 2007년 3월 ~ 4월 | |||
1X63편성 | 1463, 1563 | 1X51편성 | 2008년 11월 ~ 12월 | |
1X52편성 | 2006년 12월 ~ 2007년 9월 2009년 2월 ~ 10월 | |||
1X55편성 | 1998년 ~ 1999년 | |||
1X56편성 | 2007년 10월 ~ 11월 | |||
1X57편성 | 2001년 ~ 2003년 10월 2004년 2월 ~ 9월 | |||
1X62편성 | 2005년 12월 ~ 2006년 7월 2009년 10월 ~ 퇴역 | |||
1X63편성 | 1996년 ~ 1997년 | |||
1X64편성 | 2003년 10월 ~ 2004년 2월 | |||
1X74편성 | 2016년 ~ 퇴역 | |||
1X78편성 | 2005년 11월 ~ 12월 | |||
1X82편성 | 1999년 ~ 2001년 | |||
1X85편성 | 2004년 11월 ~ 2005년 11월 2006년 7월 ~ 10월 | |||
1X86편성 | 2007년 12월 ~ 2008년 9월 | |||
- | 1482, 1582 | 1X83편성 | 1998년 ~ 1999년 | |
1X60편성 | 2009년 10월 ~ 11월 | |||
1X64편성 | 2009년 11월 ~ 퇴역 | |||
1X66편성 | 1999년 ~ 2004년 | |||
1X86편성 | 2004년 11월 ~ 2009년 10월 |
1X81, 1X83~1X84편성의 경우 8량으로, 1X85~1X86편성의 경우 2량으로 도입되어 1998년까지는 6량으로 다녔었다. 1X85, 1X86은 TC만 도입되었기 때문에 중간 객차는 1X81, 1X83, 1X84에서 빼오거나 1482, 1582 객차를 투입했었다. 그러다가 1999년 전량 10량화 이후부터 2004년 10월까지 중간 객차로 초저항 객차를 끼우고 운행했었다. 1X81, 1X83~1X84는 1984~1985년산 T칸 2량을 끼우고 운행했었고, 1X85~1X86은 Tc 차량을 제외한 1980~1981년산 M칸 6량과 1984~1985년산 T칸 2량을 끼웠었다. 물론 그 당시에 중저항 번호를 받은 신저항 객차들은 본 편성에 다녔었다. 2004년 로윈에서 시행한 내장재 교체 사업으로 인해 이후엔 동시기 도입되었던 중저항 증결분과 함께 조성되어서 같은 연식의 객차끼리 편성을 맞췄다. 그렇기에 1X80편성만 중간 객차 없이 순수 증차분이고 나머지 1X81편성, 1X83~1X86편성은 개조저항과 비슷한 목적으로 초저항 객차의 내구 연한을 채울 목적으로 나온 편성들이다. 물론 2004년 10월 말 ~ 11월 초에 내장재 개조에 대비해 조성변경을 하면서 사라졌었다가 2006년 이후에 재조성 되는 과정에서 소수의 신저항에 초저항 부수객차가 편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이는 매우 드물었으며 오히려 중저항 객차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2006년 하반기 ~ 2007년 기준으로 1X85편성의 1257, 1357호 객차나 1X86편성의 1264, 1364호 객차가 그러했다.
2차분 차량의 특징으로는, 쉽게 때가 타는 까칠까칠한 벽면 재질에서 기존의 매끄러운 FRP 재질로 바뀌는 등 개량이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1차분 차량의 바닥 색이 녹색이고 2차분 차량의 바닥 색이 회색으로 서로 특징이 달랐지만, 2004년 내장재 개조 사업 이후 색깔 및 내장재가 모두 같아졌다.[29]
1997년 기준으로 재적된 편성 |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0량 | 1X01~1X53, 1X59~1X61, 1X67~1X80편성 |
6량 | 1X54~1X58, 1X62~1X66, 1X81, 1X83~1X86편성 |
2020년 5월 이후로, 현대정공산 후기형 편성들도 전량 휴차되었다. 폐차가 확정된 차량들은 부품 취거와 분해를 위해 시흥차량사업소로 이동했고 나머지 차량들은 구로차량사업소와 문산차량사업소에 유치되었다. 1X80, 1X84편성은 인천역 동북측에 있는 인천분소에 주박했다가 구로기지에 유치되었다. 아직 내구연한이 도래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적 삭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가끔 입환용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이마저도 준비 절차가 복잡해서 동해선 전동차 투입으로 잉여화된 광명셔틀 전동차로 입환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사실상 방치 중이라고 한다.
- 계획상으로는 2021년 이후 신형 VVVF 전동차가 대체분이지만, 예상치 못한 조기 휴차로 인해 4호선으로 갔어야 할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들이 임시로 대체한 셈이 되었다.
- 2021년 11월에 신저항 후기형 전량이 폐차 매각되었다.
출입문 창틀의 색깔이 약간 다른데 7차분은 진한 금색인 반면 8차분은 연한 금색으로 되어있다.
1X83편성은 2007년 ~ 2008년에 1683, 1783 객차가 빠지고 한동안 다른 객차가 투입되어 운행한 적이 있었다.
{{{#!folding 2007년 ~ 2008년 당시 1X83편성 차량 조성 ▼ | <colcolor=#ffffff><colbgcolor=#0052a4> 2007년 3월 기준 운행 중인 차량 조성 | |||||||||||
변경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1X83 | 1083 | 1283 | 1383 | 1852 | 1483 | 1583 | 1952 | 1262 | 1362 | 1183 |
2.4. 개조형(개조저항)
{{{#!folding 【 역삼각 도색 (1999 ~ 2006년) 】 | ||
1X82편성 | 1X92편성 | |
1X90편성 | 1X91편성[32] | |
1X89편성 |
<rowcolor=#fff> 초저항 TC 개조 차량 | 중저항 TC 개조 차량 |
내부[33] |
초저항, 중저항의 일부 T차(무동력 객차)를 TC차량(선두차)으로 개조한 열차들이다. 다만 편성 번호는 TC차 기준이며, 그 외 중간 차량들의 편성 번호는 섞여 있다. 위 편성 번호를 따르는 열차는 TC차 2개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1X82편성을 받은 차는 TC차 외에도 2량이 더 있었는데, 1X64편성에 있는 1482, 1582호가 해당했는데 정작 1X82편성에 편입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1X85편성의 부수 객차로 도입되어 1998년에 잠시 1X83편성에서 활동하다가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1X66편성에 고정되어 운행했었다가 2004년 11월부터 2009년까지 1X86편성에 고정되어 운행했었다. 개조저항의 부수 객차는 대부분 초저항이지만 간혹 중저항인 경우도 있다.
모든 개조저항의 M차(동력 차량)들이 1980~1981년에 생산된 초저항 M차들이다. 이들의 내구 연한 25년이 도래한 2005~2006년, 이 M 차량들이 폐차되자 Tc 차량만 남아돌게 되어 운행이 중지되고 병점차량사업소에 장기간 유치되다가 2011~2012년에 폐차 매각되었다. 도색 변경, LED 행선 안내기 장착, 내장재 개조도 시행되지 않았다. 2003년부터 실시된 코레일의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에서는 폐차 기한이 5년 이하로 남은 편성은 포함되지 않았다.
1X82편성과 1087호는 중저항 개조분이고, 1X88~1X94편성은 초저항 개조분이어서 창틀의 형태가 다르다.
경적 소리는 신저항 차량이랑 같은 동요 자전거였다.
개조저항의 마지막 운행은 2006년 5월이었다.
2.4.1. 1차 개조분 (1999)
1X82편성 |
1087호 (2001년 촬영) |
- 前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1X82편성, 1087호
이 중 1082호, 1182호, 1087호는 1999년 초저항 대폐차 시에 중저항 T차를 TC차로 개조한 편성이다. 이들은 1X42, 1X43편성에서 차출했다. 1X82편성의 경우 1082호는 1842호, 1182호는 1942호 출신이며, 1087호는 1943호 출신이다. 1X43편성은 1941호 객차를 투입해 중저항끼리 짝을 맞추었지만, 1X42편성의 경우 남는 중저항 부수객차가 없어 1999년부터 2006년 초반까지 초저항 객차 초기형을 끼우고 다녔었다가 2006년에 1838, 1938호 객차로 교체되었다가 2007년 7월에 1836, 1936호로 교체되었으며, 2010년에는 두 차량 모두 초저항 부수객차 초기형으로 부수차가 교체되어 운행했으며, 1X43편성의 1843호는 1X54편성으로 들어가 다니다 폐차했으며 1941호는 1X61편성으로 들어가 다니다가 2013년 중반에 조성 변경으로 인해 빠졌다가 폐차되었다. 1087호가 있음에도 1X87편성이 비어있는데, 1087호가 제작되었지만 이것과 쌍을 이룰 1187호가 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087호는 2001년 4월~5월경 잠시 저항제어 후기형 1X86편성의 1086호와 짝을 맞춰 2개월만 운행하고 그 이후로는 폐차 때까지 계속 사용 대기 상태였다.
신저항이나 다른 개조저항(1X82, 1X88~1X94편성)이 전조등이 안쪽이고 후미등이 바깥인 것과 다르게 1087호만 반대로 배열되어 있었다.
2.4.2. 2차 개조분 (2002)
1X90편성 |
1X88편성 |
- 前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1X88~1X94편성
2002년 7월 T차(1X29~1X35편성에서 차출)를 TC차로 개조한 것이다.
- 1X88편성의 1188호는 육군특수전사령부 대원들의 훈련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소속 개조저항 중 유일하게 생존이 확인된 개체이다. 도색은 영업운전 당시 한 적이 없는 자석도색으로 재도색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도 좋아 보인다. 옆면 창틀이 없어지고 통유리가 되었다.[34]
이 차량이 휴차된 이후 차량에 부착된 열번표시기를 1X42~1X48편성에 바꿔 달았다.
3. 부수객차 투입형(짬뽕편성)
노량진역에서의 1X55편성 초저항 부수 객차 1X36편성 |
2004년에 Tc 차량들이 퇴역했음에도 부수 동력 객차는 한국철도공사 1호선 열차에 드문 짬뽕편성으로 들어가 있었다. 원래 6량 1편성으로 도입되었다가 1980년대 초반에 8량으로, 이후 10량으로 증차되었기 때문에 초저항 및 중저항 차량이라도 10량으로 증결될 때 도입된 차량은 아직 내구연한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2010년 시점에서 초저항 객차가 편입된 차량은 1X42~1X52, 1X55편성이었으며 남은 차량은 모두 불연재 개조가 되어 있다. 1X47편성은 4량이었고 초저항 동력 객차도 2량이 포함되어 있었다. 1X42~1X43편성은 개조저항을 만든다며 부수 객차를 각각 2대, 1대씩 뜯어 가면서 1X43편성은 남은 중저항 무동력 객차(1941) 1량이 있어서 가능했지만 1X42편성은 1984년산 → 1986년산 초저항 부수 객차를 조성해서 운행해야 했다. 물론 이 두 편성도 2009년부터 1984~1985년산 초저항 부수객차로 교체되어 운행했었으며, 다른 편성들도 상황은 비슷해서 기존 부수 객차들을 신저항으로 넘기고 초저항 부수 객차들을 조성해서 운행했다. 그러나 2014년을 기준으로 1X55편성에만 짬뽕편성이 남아 있게 되었고 이마저도 1X55편성이 2014년 8월 31일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면서 한국철도공사에서 초저항 차량은 완전히 퇴역하게 되었다.
해당 편성은 한국철도공사 초저항 중 유일하게 배전반이 돌출형이 아닌 매립형으로 되어있어 노약자석 창의 폭이 약간 좁다.
[1] 당시 도입했을 때는 6량편성 사진으로, 1X01편성 1002호로 도입했다가 8량화 때 1X29편성 1085호로 변경되었고, 현재 차량번호 1029호로 바뀌어 운행했다가 1999년에 폐차되었다.[2] 당시 1X09편성 1018호의 사진이었으며, 8량화때 1X06편성으로 변경되었다가 차후 1106호로 재편되어 운행함. 1999년에 매각되어 소래역 인근 카페객차로 활용하다가 고철 매각되었다. 6량시절 1X09편성은 1017-1317-1617-1318-1618-1018이었다.[3] 당시에는 1X22편성이었으나 8량화 이후 1X15로 변경되었다. 최초 제작당시에는 1043-1343-1643-1344-1644-1044로 들어왔고, 그 중 1044호는 8량화 때 36편성 1106호로 변경했다가 10량화 이후 지금의 1036호로 운행했었다.[4] 이 당시 6량편성이므로, 차후 8량화때 1X23편성으로 변경되었고 현 1123호로 변경하여 운행하다 폐차되었다.[5] 현재 1X65편성의 1065호와 1165호가 구둔역 구내에 전시 중이다.[6] 주행 시 팬터그래프가 전차선을 긁고 지나가며 의외로 분진이 많이 발생한다는 점과 우천 등으로 인해 열차의 지붕은 때가 상당히 잘 타게 마련이다 보니 회색으로 덧칠한 듯하다.[7] 1849, 1949호는 새로 제작하였고 동력차 2량은 1989년 차호 개정 때 1X53편성에서 2량 가져왔다.[8] 1989년 차호 개정 때 2량이 1X49편성 증결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1253, 1353 객차를 새로 제작했다.[9] 구 1945호에서 개번[10] 2005년 : 1X43~1X46편성, 1X49편성
2006년 : 1X47~1X48편성, 1X50~1X52편성, 1X54~1X56편성, 1X58편성[11] 1X47편성 : 2006년 2월 개조
1X48편성 : 2006년 4월 개조
1X49편성 : 2005년 12월 개조[12] 본래는 1050 방향이 인천, 1150 방향이 소요산이지만 역방향으로 전환됐을 때는 1050 방향이 소요산, 1150 방향이 인천이었다.[13] 성북행 시절 사진으로, 현재 성북역은 광운대역이다.[14] 1X67~1X73편성은 2014년까지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이었다.[15] 2004년: 1X62, 1X64편성
2005년 : 1X67~1X73편성
2006년: 1X59~1X61, 1X66편성[16] 관련 게시글, 출처: 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17] 1452, 1552는 미개조 및 롤지[18] 오랜 시간이 흐른 것을 반영하듯, 차량의 표면이 많이 까져있고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19] 관련 게시글(3번째 사진), 출처: 네이버 블로그[2량증결] 14xx (M) - 15xx (M)[21] 1X74편성은 2014년까지 성북분소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이었으며, 1X75~1X77편성의 경우는 본래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이었다가 2013년에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으로 이적되었다가 2014년에 1X74편성의 배속변경과 함께 다시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으로 환원되었다. 이전에는 이문차량사업소의 전신이었던 성북분소 소속이었다.[4량증결] 16xx (M) - 17xx (M) - 18xx (T) - 19xx (T)[2량증결] [4량증결] [2량증결] [26] 1681, 1781호만 1997년 1월 제작[27] 1482, 1582호 객차가 1X82편성 TC보다 먼저 나왔다.[28] 당시 1X76편성은 이미 신도색을 했기 때문에 구도색과 신도색이 혼합 조성으로 다녔었다.[29] 관련 게시글, 출처: 이글루스, 2023년 4월 1일에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이글루스 서비스 종료 대응)[30] 「서울지하철 1호선열차 신길역 인근서 탈선…급행 운행중단(종합)」, 연합뉴스, 2020-04-14[31] 「웰빙공원 부지에 구형 기관차 거치」, 광주매일신문, 2021-11-10[32] 1091호가 불정역에 열차팬션으로 있다가 고철 매각되었다.[33] 지금은 사라진 용산역 바로 옆의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주박하고 있을때 찍은 모습으로 대부분의 개조저항 차량들은 등록만 구로차량사업소로 해놓았지, 오늘날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용산 - 청량리(성북) 구간 지선열차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덕소행 정식 개통까지도 주력 차종으로 투입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운행 시작 전 새벽이나 운행이 종료되고 밤이 됐을때나 구로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하여 거의 입출고만 진행했지 실질적으로는 이곳이나 청량리차량사업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여담으로 촬영된 열차는 촬영한지 1분도 채 되지 않아 용산역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이촌역을 거쳐 청량리로 향했다.[34] 관련 영상, 출처: 페이스북, 유튜브.[35] 「“정겨운 간이역과 펜션열차에서 추억 만들기”」, 아시아경제, 2008-11-26[36] 코레일 1호선 저항차 역사 파일 참조. 일부분 빠진 내용도 있으니 주의.
2006년 : 1X47~1X48편성, 1X50~1X52편성, 1X54~1X56편성, 1X58편성[11] 1X47편성 : 2006년 2월 개조
1X48편성 : 2006년 4월 개조
1X49편성 : 2005년 12월 개조[12] 본래는 1050 방향이 인천, 1150 방향이 소요산이지만 역방향으로 전환됐을 때는 1050 방향이 소요산, 1150 방향이 인천이었다.[13] 성북행 시절 사진으로, 현재 성북역은 광운대역이다.[14] 1X67~1X73편성은 2014년까지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이었다.[15] 2004년: 1X62, 1X64편성
2005년 : 1X67~1X73편성
2006년: 1X59~1X61, 1X66편성[16] 관련 게시글, 출처: 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17] 1452, 1552는 미개조 및 롤지[18] 오랜 시간이 흐른 것을 반영하듯, 차량의 표면이 많이 까져있고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19] 관련 게시글(3번째 사진), 출처: 네이버 블로그[2량증결] 14xx (M) - 15xx (M)[21] 1X74편성은 2014년까지 성북분소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이었으며, 1X75~1X77편성의 경우는 본래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이었다가 2013년에 이문차량사업소 소속으로 이적되었다가 2014년에 1X74편성의 배속변경과 함께 다시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으로 환원되었다. 이전에는 이문차량사업소의 전신이었던 성북분소 소속이었다.[4량증결] 16xx (M) - 17xx (M) - 18xx (T) - 19xx (T)[2량증결] [4량증결] [2량증결] [26] 1681, 1781호만 1997년 1월 제작[27] 1482, 1582호 객차가 1X82편성 TC보다 먼저 나왔다.[28] 당시 1X76편성은 이미 신도색을 했기 때문에 구도색과 신도색이 혼합 조성으로 다녔었다.[29] 관련 게시글, 출처: 이글루스, 2023년 4월 1일에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이글루스 서비스 종료 대응)[30] 「서울지하철 1호선열차 신길역 인근서 탈선…급행 운행중단(종합)」, 연합뉴스, 2020-04-14[31] 「웰빙공원 부지에 구형 기관차 거치」, 광주매일신문, 2021-11-10[32] 1091호가 불정역에 열차팬션으로 있다가 고철 매각되었다.[33] 지금은 사라진 용산역 바로 옆의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주박하고 있을때 찍은 모습으로 대부분의 개조저항 차량들은 등록만 구로차량사업소로 해놓았지, 오늘날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용산 - 청량리(성북) 구간 지선열차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덕소행 정식 개통까지도 주력 차종으로 투입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운행 시작 전 새벽이나 운행이 종료되고 밤이 됐을때나 구로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하여 거의 입출고만 진행했지 실질적으로는 이곳이나 청량리차량사업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여담으로 촬영된 열차는 촬영한지 1분도 채 되지 않아 용산역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이촌역을 거쳐 청량리로 향했다.[34] 관련 영상, 출처: 페이스북, 유튜브.[35] 「“정겨운 간이역과 펜션열차에서 추억 만들기”」, 아시아경제, 2008-11-26[36] 코레일 1호선 저항차 역사 파일 참조. 일부분 빠진 내용도 있으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