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color: #fff;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990e31><colcolor=#fff> 대회 이전 | 유치 과정 · 지역예선 · 조 추첨 · 평가전 · 참가팀 정보 | |||||||
대한민국 경기 (H조) 우루과이전 (1차전) · 가나전 (2차전) · 포르투갈전 (3차전) | |||||||||
주요 경기 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C조) · 독일 vs 일본 (E조) · 일본 vs 스페인 (E조) | |||||||||
16강 | 8강 | ||||||||
3PO | |||||||||
대한민국 경기 브라질전 (16강) | |||||||||
주요 경기 크로아티아 vs 브라질 (8강) · 네덜란드 vs 아르헨티나 (8강) · 모로코 vs 포르투갈 (8강) | |||||||||
대회 이후 | 결산 (대한민국 · 모로코 · 리오넬 메시 · 킬리안 음바페 · 손흥민) · 기록실 | ||||||||
기타 | 알 리흘라 · 논란 · 중계(국내 일정)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990e31> A | | | | |
B | | | | | |
C | | | | | |
D | | | | | |
E | | | | | |
F | | | | | |
G | | | | | |
H | | | | |
1. 개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본선 참가팀에 대한 선수/감독 명단 및 각 팀 슬로건 등에 대한 정보를 다룬다.2022년 6월 24일, FIFA가 참가국의 엔트리를 기존 23인에서 26인으로 확대하기로 확정 발표했다. 이로써 1998년 22인에서 23인으로 엔트리가 늘어난 변화 이후 24년 만에 다시 엔트리가 늘어나게 되었다. 코로나19의 지속적인 유행이 변화의 가장 큰 이유이며, 예비 엔트리도 기존 35인에서 55인까지 발탁할 수 있게끔 파격적으로 늘어날 방침이다. #
각 참가국은 최소 35인에서 최대 55인까지의 예비 명단을 10월 21일까지 FIFA에 제출해야 하며, 최소 23인에서 최대 26인까지의 최종 명단을 월드컵 개막 6일 전인 11월 14일 아라비아 표준시(AST: UTC +03:00) 기준 19:00까지 FIFA에 제출해야 한다. FIFA는 그 다음날 15일에 참가국 32개국의 최종 명단을 게시한다. 최종 명단 발표 이후로도 만일 최종 명단에 포함된 선수가 부상이나 질병 등의 이유로 하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각 참가국의 첫 경기 시작 24시간 전까지 대체 선수를 발탁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 명단에 들어있지 않은 선수도 발탁이 가능하다. #각 참가국의 최종 명단 발표일은 다음과 같다.
- 11월 1일: 일본
- 11월 4일: 코스타리카[1]
- 11월 7일: 브라질[2]
- 11월 8일: 호주 | 덴마크[3]
- 11월 9일: 미국 | 크로아티아 | 웨일스 | 스위스 | 프랑스 | 카메룬
- 11월 10일: 폴란드 | 독일 | 포르투갈 | 벨기에 | 잉글랜드[4] | 세네갈 | 모로코
- 11월 11일: 스페인 | 네덜란드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세르비아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11월 12일: 대한민국
- 11월 13일: 캐나다
- 11월 14일: 가나 | 멕시코 | 에콰도르 | 튀니지 | 이란
2. 일러두기
- A매치 출전 / 득점은 대회 개막일인 11월 20일이 기준이다. 선수 포지션은 현지 매체 공식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한다.
- 공식 소개 문구는 FIFA 23 월드컵 모드에 나오는 공식 문구를 발췌했다.
3. 참가 선수 명단
3.1. A조
3.1.1.
카타르
2022 FIFA World Cup™의 개최국도 올해의 토너먼트에서 처음 데뷔합니다. 카타르는 CONMEBOL의 2019 코파 아메리카 게스트 참가, CONCACAF의 2021 골드컵 및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한 2019 AFC 아시안컵에서의 성공적인 캠페인 등을 통해 대회 준비를 마쳤습니다.
공식대회 성적[5]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 |
2-0 | 6-0 | 2-0 | 1-0 | 1-0 | 4-0 | 3-1 | 최종 성적: 우승 (7전 7승) | ||||
| | | - |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 | |||||||
0-2 | 2-2 | 0-1 |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3전 1무 2패) | ||||||||
| | | | | |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차예선[6] | |||
6-0 (H) | 0-0 (H) | 2-0 (A) | 2-1 (H) | 1-0 (N)[7] | 5-0 (H) | 1-0 (H)[8] | 1-0 (H) | 최종 성적: 8전 7승 1무 0패 | |||
| | | | | - | 2021 CONCACAF 골드컵 | |||||
3-3 | 4-0 | 2-0 | 3-2 | 0-1 | 최종 성적: 4강 (5전 3승 1무 1패) | ||||||
| | | | | | - |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 | ||||
1-0 | 2-1 | 3-0 | 5-0 | 1-2 | 0-0 (5 pso 4) | 최종 성적: 3위 (6전 4승 1무 1패) |
}}} ||
| ||||||
كلنا_العنابي | ||||||
우리는 알 안나비[9]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사드 알 시브 | Saad AL-SHEEB | 1990.02.19. | 80 / 0 | |
21 | 유세프 하산 | Yousef HASSAN | 1996.05.24. | 9 / 0 | ||
22 | 메샬 바르샴 | Meshaal BARSHAM | 1998.02.14. | 15 / 0 | ||
DF | 2 | 페드루 미겔 | Ró-Ró | 1990.08.06. | 78 / 1 | |
4 | 모하메드 와드 | Mohammed WAAD | 1999.09.18. | 20 / 0 | ||
5 | 타렉 살만 | Tarek SALMAN | 1997.12.05. | 54 / 0 | ||
13 | 무사브 케데르 | Musab KHEDER | 1993.09.26. | 29 / 0 | ||
14 | 호맘 아흐메드 | Homam AHMED | 1999.08.25. | 27 / 2 | ||
15 | 바삼 알라위 | Bassam AL-RAWI | 1997.12.16. | 51 / 2 | ||
16 | 부알렘 쿠키 | Boualem KHOUKHI | 1990.09.07. | 99 / 21 | ||
17 | 이스마일 모하메드 | Ismaeel MOHAMMAD | 1990.04.05. | 66 / 4 | ||
MF | 3 | 압델카림 하산 | Abdelkarim HASSAN | 1993.08.28. | 120 / 15 | |
6 | 압둘라지즈 하템 | Abdulaziz HATEM | 1990.10.28. | 96 / 11 | ||
8 | 알리 아사달라 | Ali ASSADALLA | 1993.01.19. | 56 / 12 | ||
10 | 하산 알 하이도스 | Hassan AL-HAYDOS | 1990.12.11. | 160 / 34 | ||
12 | 카림 부디아프 | Karim BOUDIAF | 1990.09.16. | 108 / 5 | ||
20 | 살렘 알 하즈리 | Salem AL-HAJRI | 1996.04.10. | 23 / 0 | ||
23 | 아심 마디보 | Assim MADIBO | 1996.10.22. | 43 / 0 | ||
24 | 나이프 알 하드라미 | Naif AL-HADHRAMI | 2001.07.18. | 1 / 0 | ||
25 | 자셈 가베르 | Jassem GABER | 2002.02.20. | 0 / 0 | ||
26 | 모스타파 메샬 | Mostafa Tarek MESHAAL | 2001.03.28. | 1 / 0 | ||
FW | 7 | 아메드 알라에딘 | Ahmed ALAAELDIN | 1993.01.31. | 45 / 1 | |
9 | 모하메드 문타리 | Mohammed MUNTARI | 1993.12.20. | 41 / 11 | ||
11 | 아크람 아피프 | Akram AFIF | 1996.12.18. | 83 / 24 | ||
18 | 칼리드 무니르 | Khalid MUNEER | 1998.02.24. | 3 / 1 | ||
19 | 알모에즈 알리 | Almoez ALI | 1996.08.19. | 82 / 39 | ||
감독: |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최종 명단 소집 이전 마지막 전지 훈련 소집 명단 27인 중 26인이 뽑혔으며, 미드필더 압델라흐만 무스타파가 유일하게 최종 명단에서 탈락했다.
- 대회 출전 팀 중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전원이 자국 리그 소속인 유이한 팀이다.
- 2019 아시안컵 우승 이후 거의 클럽팀처럼 운영했다. 특히 2019년 코파 아메리카를 시작으로 2021년 골드컵과 유럽 지역예선 특별 초청국 편입, 2022년 여름부터 계속된 유럽 전지훈련 등 강행군을 소화하면서 나름의 정예 멤버를 일찌감치 구축하고 조직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때문에 대부분의 주전급 선수들이 A매치 경력이 상당하며, 본선 엔트리에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멤버만 무려 3명이 있다.
3.1.2.
에콰도르
에콰도르는 2002년 FIFA World Cup™에 처음으로 출전했으며, 이후로도 3차례 더 본선에 진출했습니다. "La Tricolor"는 토너먼트에서 단 한 번도 승리를 기록한 적이 없으며, 2006년에 16강에서 잉글랜드에게 1-0으로 아깝게 패했던 경기를 되새기며 다시 한번 16강 진출을 노리고 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0-1 (A) | 4-2 (H) | 3-2 (A) | 6-1 (H) | 0-2 (A) | 1-2 (H) | 2-0 (H) | 0-0 (H) | 0-1 (A) | |
| | | | | | | | | |
3-0 (H) | 1-2 (A) | 0-0 (A) | 1-0 (H) | 2-0 (A) | 1-1 (H) | 1-1 (A) | 1-3 (A) | 1-1 (H) | |
예선 최종 성적: 18전 7승 5무 6패 |
RUMBO A PRIMERA | ||||||
정상을 향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에르난 갈린데스 | Hernán GALÍNDEZ | 1987.03.30. | 12 / 0 | |
12 | 모이세스 라미레스 | Moisés RAMÍREZ | 2000.09.09. | 2 / 0 | ||
22 | 알렉산데르 도밍게스 | Alexander DOMÍNGUEZ | 1987.06.05. | 68 / 0 | ||
DF | 2 | 펠릭스 토레스 | Félix TORRES | 1997.01.11. | 17 / 2 | |
3 | 피에로 인카피에 | Piero HINCAPIÉ | 2002.01.09. | 21 / 1 | ||
4 | 로베르트 아르볼레다 | Robert ARBOLEDA | 1991.10.22. | 33 / 2 | ||
6 | 윌리안 파초 | William PACHO | 2001.10.16. | 0 / 0 | ||
7 | 페르비스 에스투피냔 | Pervis ESTUPIÑÁN | 1998.01.21. | 28 / 3 | ||
14 | 하비에르 아레아가 | Xavier ARREAGA | 1994.09.28. | 18 / 1 | ||
17 | 앙헬로 프레시아도 | Angelo PRECIADO | 1998.02.18. | 24 / 0 | ||
18 | 디에고 팔라시오스 | Diego PALACIOS | 1999.07.12. | 12 / 0 | ||
25 | 잭슨 포로소 | Jackson POROZO | 2000.08.04. | 5 / 0 | ||
MF | 5 | 호세 시푸엔테스 | José CIFUENTES | 1999.03.12. | 11 / 0 | |
8 | 카를로스 그루에소 | Carlos GRUEZO | 1995.04.19 | 46 / 1 | ||
9 | 아이르톤 프레시아도 | Ayrton PRECIADO | 1994.07.17. | 27 / 3 | ||
10 | 로마리오 이바라 | Romario IBARRA | 1994.09.24. | 25 / 3 | ||
15 | 앙헬 메나 | Ángel MENA | 1988.01.21. | 46 / 7 | ||
16 | 예레미 사르미엔토 | Jeremy SARMIENTO | 2002.06.16. | 9 / 0 | ||
19 | 곤살로 플라타 | Gonzalo PLATA | 2000.11.01. | 30 / 5 | ||
20 | 제그손 멘데스 | Jhegson MÉNDEZ | 1997.04.26. | 32 / 0 | ||
21 | 알란 프랑코 | Alan FRANCO | 1998.08.21. | 25 / 1 | ||
23 | 모이세스 카이세도 | Moisés CAICEDO | 2001.11.02. | 25 / 2 | ||
FW | 11 | 미카엘 에스트라다 | Michael ESTRADA | 1996.04.07. | 36 / 8 | |
13 | 에네르 발렌시아 | Enner VALENCIA | 1989.11.04. | 74 / 35 | ||
24 | 조르카에프 레아스코 | Djorkaeff REASCO | 1999.01.18. | 4 / 0 | ||
26 | 케빈 로드리게스 | Kevin RODRÍGUEZ | 2000.03.04. | 1 / 0 | ||
감독: |
11월 14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11월 6일에 발표된 이라크와의 평가전 명단에 뽑혔던 선수들 중 나이와 국적을 속였다는 의혹을 받은 비론 카스티요를 비롯해 힐마르 니파, 세바스티안 곤살레스 등이 탈락했다.
3.1.3.
세네갈
세네갈은 카타르에서 열리는 FIFA World Cup™에 대회 3번째로 출전합니다. 2002년에 첫 출전한 세네갈은 파파 부바 디오프가 기록한 골로 당시 챔피언인 프랑스를 1-0으로 제압하고 토너먼트 역사상 가장 전설적인 이변 중 하나를 일으켰습니다. 이어서 세네갈은 연장전에서 스웨덴을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2-0 (H) | 3-1 (A) | 4-1 (H) | 3-1 (A) | 1-1 (A) | 2-0 (H) | 0-1 (A) | 1-0 aet (H) (3 pso 1) | ||
예선 최종 성적: 8전 6승 1무 1패 | ■ 최종예선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세니 디엥 | Seny Dieng | 1994.11.23. | 4 / 0 | |
16 | 에두아르 멘디 | Édouard Mendy | 1992.03.01. | 25 / 0 | ||
23 | 알프레드 고미스 | Alfred GOMIS | 1993.09.05. | 14 / 0 | ||
DF | 2 | 포르모스 멘디 | Formose Mendy | 2001.01.02. | 2 / 0 | |
3 | 칼리두 쿨리발리 | Kalidou KOULIBALY | 1991.06.20. | 64 / 0 | ||
4 | 파프 아부 시세 | Pape Abou Cissé | 1995.09.14. | 13 / 1 | ||
8 | 체이쿠 쿠야테 | Cheikhou KOUYATÉ | 1989.12.21. | 82 / 4 | ||
10 | 무사 은디아예[A] | Moussa N'DIAYE | 2002.06.18 | 0 / 0 | ||
12 | 포데 발로투레 | Fodé BALLO-TOURÉ | 1997.01.03. | 14/ 0 | ||
14 | 이스마일 자콥스 | Ismail Jakobs | 1999.08.17. | 2 / 0 | ||
21 | 유수프 사발리 | Youssouf SABALY | 1993.03.05. | 24 / 0 | ||
22 | 압두 디알로 | Abdou Diallo | 1996.05.04. | 18 / 2 | ||
24 | 무스타파 나므 | Moustapha Name | 1995.05.05. | 6 / 0 | ||
MF | 5 | 이드리사 게예 | Idrissa GUEYE | 1989.09.26. | 94 / 7 | |
6 | 낭팔리스 멘디 | Nampalys MENDY | 1992.06.23. | 19 / 0 | ||
11 | 파테 시스 | Pathé CISS | 1994.03.16. | 1 / 0 | ||
15 | 크레핀 디아타 | Krépin DIATTA | 1999.02.25. | 26 / 2 | ||
17 | 파페 사르 | Pape SARR | 2002.09.14. | 10 / 0 | ||
25 | 마마두 룸 | Mamadou LOUM | 1996.12.30. | 3 / 0 | ||
26 | 파파 게예 | Pape GUEYE | 1999.01.24. | 12 / 0 | ||
FW | 7 | 니콜라 잭슨 | Nicolas JACKSON | 2001.06.20. | 0 / 0 | |
9 | 불라이 디아 | Boulaye DIA | 1996.11.16. | 19 / 3 | ||
13 | 일리만 은디아예 | Iliman NDIAYE | 2000.03.06. | 2 / 0 | ||
18 | 이스마일라 사르 | Ismaïla SARR | 1998.02.25. | 48 / 10 | ||
19 | 파마라 디에디우 | Famara DIÉDHIOU | 1992.12.15. | 25 / 10 | ||
20 | 밤바 디엥 | Bamba DIENG | 2000.03.23. | 13 / 1 | ||
감독: |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당초 부상으로 출전이 불투명하다고 보도된 사디오 마네가 일단 소집되었다.
- 10개월 전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멤버가 거의 고스란히 출전한다. 하지만 그때와 달리 수비의 중심축 칼리두 쿨리발리의 폼 저하 문제와, 공격의 핵 사디오 마네의 갑작스런 부상이 큰 약점이다. 선수들 대부분이 20대 중후반의 전성기 나이로 접어든 스쿼드로, 이 대회가 세네갈의 월드컵 최고 성적인 8강을 재현할 수 있는 적기라는 평이라 이 두 선수의 회복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웨일스, 캐나다와 함께 자국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단 한 명도 없으며, 자국 소속팀에서 뛰는 선수조차 없는 국가는 세네갈이 유일하다.[11]
- 사디오 마네는 11월 18일 결국 부상으로 낙마하게 되었다. 대체 선수는 RSC 안데를레흐트의 2002년생 수비수 무사 은디아예가 발탁되었다. #
3.1.4.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2022년 FIFA World Cup™에 11번째로 출전합니다. 70년대에 '토탈 풋볼'이라는 독특한 스타일로 헤드라인을 장식한 'Oranje'는 1974년 및 1978년 대회에서 연속으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0년에도 다시 한번 준우승을 달성했습니다. 최근에는 2014 FIFA World Cup™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3-0으로 꺾고 3위를 기록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
2-4 (A) | 2-0 (H) | 7-0 (A) | 1-1 (A) | 4-0 (H) | 6-1 (H) | 1-0 (A) | 6-0 (H) | 2-2 (A) | 2-0 (H)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7승 2무 1패 |
Nothing Like Oranje | ||||||
그 무엇도 오렌지 같을 순 없다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렘코 파스베이르 | Remko PASVEER | 1983.11.08. | 2 / 0 | |
13 | 저스틴 베일로 | Justin BIJLOW | 1998.01.22. | 6 / 0 | ||
23 | 안드리스 노퍼르트 | Andries NOPPERT | 1994.04.07. | 0 / 0 | ||
DF | 2 | 위리엔 팀버르 | Jurriën TIMBER | 2001.06.17. | 10 / 0 | |
3 | 마테이스 더리흐트 | Matthijs DE LIGT | 1999.08.12. | 38 / 2 | ||
4 | 버질 반 다이크 | Virgil VAN DIJK | 1991.07.08. | 49 / 6 | ||
5 | 네이선 아케 | Nathan AKÉ | 1995.02.18. | 29 / 3 | ||
6 | 스테판 더프레이 | Stefan DE VRIJ | 1992.02.05. | 59 / 3 | ||
16 | 타이럴 말라시아 | Tyrell MALACIA | 1999.08.17. | 6 / 0 | ||
17 | 데일리 블린트 | Daley BLIND | 1990.03.09. | 94 / 2 | ||
22 | 덴절 뒴프리스 | Denzel DUMFRIES | 1996.04.18. | 37 / 5 | ||
26 | 제레미 프림퐁 | Jeremie FRIMPONG | 2000.12.10. | 0 / 0 | ||
MF | 11 | 스티븐 베르하위스 | Steven BERGHUIS | 1991.12.19. | 39 / 2 | |
14 | 데이비 클라선 | Davy KLAASSEN | 1993.02.21. | 35 / 9 | ||
15 | 마르턴 더론 | Marten DE ROON | 1991.03.29. | 30 / 0 | ||
20 | 퇸 코프메이너르스 | Teun KOOPMEINERS | 1998.02.28. | 10 / 1 | ||
21 | 프렝키 더용 | Frenkie DE JONG | 1997.05.12. | 45 / 1 | ||
24 | 케네스 테일러 | Kenneth TAYLOR | 2002.05.16. | 2 / 0 | ||
25 | 사비 시몬스 | Xavi SIMONS | 2003.04.21. | 0 / 0 | ||
FW | 7 | 스티븐 베르흐베인 | Steven BERGWIJN | 1997.10.08. | 24 / 7 | |
8 | 코디 각포 | Cody GAKPO | 1999.05.07. | 9 / 3 | ||
9 | 뤽 더용 | Luuk DE JONG | 1990.08.27. | 38 / 8 | ||
10 | 멤피스 데파이 | Memphis DEPAY | 1994.02.13. | 81 / 42 | ||
12 | 노아 랑 | Noa LANG | 1999.06.17. | 5 / 1 | ||
18 | 빈센트 얀센 | Vincent JANSSEN | 1994.06.15. | 20 / 7 | ||
19 | 바웃 베호르스트 | Wout WEGHORST | 1992.08.07. | 15 / 3 | ||
감독: |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하였다.
- 도니얼 말런, 아르나우트 단주마,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야스퍼르 실레선, 마르크 플레컨 등이 제외되었다.
- 사비 시몬스, 케네스 테일러, 제레미 프림퐁, 안드리스 노퍼르트, 뤽 더용이 예상을 뒤엎고 승선했다.
- 렘코 파스베이르는 이 대회가 본인의 첫 메이저 국가대항전이 될 예정이며 주전으로 뛸 가능성이 높다. 그의 나이 만 39세로, 2010년 대회의 산더 보스커르가 출전한 나이와 같다. 그러나 산더 보스커르는 해당 대회에서 넘버 3의 위치에 있었으므로, 파스베이르가 네덜란드 월드컵 출전 역사상 가장 최고령 주전 골키퍼 기록을 세울 것이 유력하다.[12]
- 다른 포지션에 비해 골키퍼진의 A매치 출전 기록이 매우 적은 것이 다소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세 선수 모두 이번 대회가 첫 메이저 대회인데 그나마 파스베이르가 베테랑이라고는 해도 국제무대에서의 실력이 어떨지에 대한 검증이 덜 되었다는 것은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 월드컵을 경험한 선수는 스테판 더프레이, 멤피스 데파이, 데일리 블린트로 총 3명이다. 모두 2014년 월드컵 4강 멤버이다.
- 골키퍼 안드리스 노퍼르트는 키 203cm로 이번 월드컵에서 가장 키가 큰 선수이다.
3.2. B조
3.2.1.
잉글랜드
예선 성적 | ||||||||||
| | | | | | | | | | |
5-0 (H) | 2-0 (A) | 2-1 (H) | 4-0 (A) | 4-0 (H) | 1-1 (A) | 5-0 (A) | 1-1 (H) | 5-0 (H) | 10-0 (A)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8승 2무 0패 |
Three Lions | ||||||
삼사자들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조던 픽포드 | Jordan PICKFORD | 1994.03.07. | 45 / 0 | |
13 | 닉 포프 | Nick POPE | 1992.04.19. | 10 / 0 | ||
23 | 아론 램스데일 | Aaron RAMSDALE | 1998.05.14. | 3 / 0 | ||
DF | 2 | 카일 워커 | Kyle WALKER | 1990.05.28. | 70 / 0 | |
3 | 루크 쇼 | Luke SHAW | 1995.07.12. | 23 / 3 | ||
5 | 존 스톤스 | John STONES | 1994.05.28. | 59 / 3 | ||
6 | 해리 매과이어 | Harry MAGUIRE | 1993.03.05. | 48 / 7 | ||
12 | 키어런 트리피어 | Kieran TRIPPIER | 1990.09.19. | 37 / 1 | ||
15 | 에릭 다이어 | Eric DIER | 1994.01.15. | 47 / 3 | ||
16 | 코너 코디 | Conor COADY | 1993.02.25. | 10 / 1 | ||
18 |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 Trent ALEXANDER-ARNOLD | 1998.10.07. | 17 / 1 | ||
21 | 벤 화이트 | Ben WHITE | 1997.10.08. | 4 / 0 | ||
MF | 4 | 데클란 라이스 | Declan RICE | 1999.09.14. | 34 / 2 | |
8 | 조던 헨더슨 | Jordan HENDERSON | 1990.06.17. | 70 / 2 | ||
14 | 칼빈 필립스 | Kalvin PHILLIPS | 1995.12.02. | 23 / 0 | ||
19 | 메이슨 마운트 | Mason MOUNT | 1999.01.10. | 32 / 5 | ||
20 | 필 포든 | Phil FODEN | 2000.05.28. | 18 / 2 | ||
22 | 주드 벨링엄 | Jude BELLINGHAM | 2003.06.29. | 17 / 0 | ||
25 | 제임스 매디슨 | James MADDISON | 1996.11.23. | 1 / 0 | ||
26 | 코너 갤러거 | Conor GALLAGHER | 2000.02.06. | 4 / 0 | ||
FW | 7 | 잭 그릴리쉬 | Jack GREALISH | 1995.09.10. | 24 / 1 | |
9 | 해리 케인 | Harry KANE | 1993.07.28. | 75 / 51 | ||
10 | 라힘 스털링 | Raheem STERLING | 1994.12.08. | 79 / 19 | ||
11 | 마커스 래시포드 | Marcus RASHFORD | 1997.10.31. | 46 / 12 | ||
17 | 부카요 사카 | Bukayo SAKA | 2001.09.05. | 20 / 4 | ||
24 | 칼럼 윌슨 | Callum WILSON | 1992.02.27. | 4 / 1 | ||
감독: |
- 11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제이든 산초, 딘 헨더슨, 피카요 토모리, 마크 게히, 타이론 밍스, 제임스 워드프라우스, 타미 에이브러햄, 아이반 토니 등이 탈락했으며, 리스 제임스, 벤 칠웰, 에밀 스미스 로우, 제임스 저스틴 등은 부상으로 낙마했다.
- 피카요 토모리, 타미 에이브러햄이 낙마하면서 주드 벨링엄만이 유일한 해외파 선수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잉글랜드 월드컵 대표팀 명단에 영국리그 이외의 리그 소속 선수가 이름을 올린 것은 2006 FIFA 월드컵 독일 대회 이후 16년만이며, 2006년 당시는 레알 마드리드 CF의 데이비드 베컴, FC 바이에른 뮌헨의 오언 하그리브스가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3.2.2.
이란
예선 성적 | ||||||||||
| | | | | | | | | [IRN] | |
2-0 (A) | 14-0 (H) | 0-1 (A) | 1-2 (A) | 3-1 (N) | 3-0 (A) | 10-0 (N) | 1-0 (N) | |||
| | | | | | | | | | |
1-0 (H) | 3-0 (N) | 1-0 (A) | 1-1 (H) | 2-1 (A) | 3-0 (N) | 1-0 (H) | 1-0 (H) | 0-2 (A) | 2-0 (H) | |
예선 최종 성적: 18전 14승 1무 3패 |
|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알리레자 베이란반드 | Alireza BEIRANVAND | 1992.09.21. | 52 / 0 | |
12 | 파얌 니아즈만드 | Payam NIAZMAND | 1995.04.06. | 1 / 0 | ||
22 | 아미르 아베드자데 | Amir ABEDZADEH | 1993.04.26. | 11 / 0 | ||
24 | 호세인 호세이니 | Hossein HOSSEINI | 1992.06.30. | 6 / 0 | ||
DF | 2 | 사데그 모하라미 | Sadegh MOHARRAMI | 1996.03.01. | 21 / 2 | |
3 | 에산 하지사피 | Ehsan HAJSAFI | 1990.02.25. | 114 / 6 | ||
4 | 쇼자 칼릴자데 | Shoja KHALILZADEH | 1989.05.14. | 24 / 1 | ||
5 | 밀라드 모함마디 | Milad MOHAMMADI | 1993.09.29. | 45 / 1 | ||
8 |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 Morteza POURALIGANJI | 1992.04.19. | 46 / 3 | ||
13 | 호세인 카나니 | Hossein KANANI | 1994.03.23. | 35 / 2 | ||
15 | 루즈베 체슈미 | Roozbeh CHESHMI | 1993.06.24. | 19 / 1 | ||
19 | 마지드 호세이니 | Majid HOSSEINI | 1996.06.20. | 18 / 0 | ||
23 | 라민 레자에이안 | Ramin REZAEIAN | 1990.03.21. | 46 / 2 | ||
25 | 아볼파즐 잘랄리 | Abolfazl JALALI | 1998.06.26. | 3 / 0 | ||
MF | 6 | 사에이드 에자톨라히 | Saeid EZATOLAHI | 1996.10.01. | 46 / 1 | |
7 | 알리레자 자한바크시 | Alireza JAHANBAKHSH | 1993.08.11. | 64 / 13 | ||
11 | 바히드 아미리 | Vahid AMIRI | 1988.04.02. | 67 / 2 | ||
14 | 사만 고도스 | Saman GHODDOS | 1993.09.06. | 33 / 2 | ||
16 | 메흐디 토라비 | Mehdi TORABI | 1994.09.10. | 36 / 7 | ||
17 | 알리 골리자데 | Ali GHOLIZADEH | 1996.03.10. | 26 / 6 | ||
18 | 알리 카리미 | Ali KARIMI | 1994.02.11. | 13 / 0 | ||
21 | 아마드 누롤라히 | Ahmad NOUROLLAHI | 1993.02.01. | 25 / 3 | ||
FW | 9 | 메흐디 타레미 | Mehdi TAREMI | 1992.07.18. | 60 / 27 | |
10 | 카림 안사리파드 | Karim ANSARIFARD | 1990.04.03. | 93 / 29 | ||
20 | 사르다르 아즈문 | Sardar AZMOUN | 1995.01.01. | 65 / 41 | ||
감독: |
- 본래 크로아티아 국적의 드라간 스코치치가 팀을 이끌어 본선 진출을 달성했으나, 선수단 내 불화의 원흉이라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면서 결국 2022년 7월 전격 경질되었으나 엿새만에 다시 부임했다. 그러나 끝내 경질이 확정되고 2022년 9월 7일, 전 이란 국가대표팀 감독 카를로스 케이로스를 재선임했다.
- 11월 14일, 25인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11월 5일 30인의 예비 명단을 발표했고 이 중 오미드 에브라히미가 부상으로 인해 예비 명단에서 하차했다. 최종적으로 30인 명단 중 모하마드 레자 악바리, 오미드 누라프칸, 사만 팔라흐, 밀라드 사를라크 4인이 엔트리에서 탈락했다.
- 사르다르 아즈문의 경우 2022년 이란 시위 지지 의사를 표명하면서 이란 정부가 이를 구실로 명단에서 제외시킬 거라는 관측이 있었다. 또한 당초 11월 13일 명단 발표가 예정되었으나 모종의 이유 때문에 발표 직전 급하게 명단 발표가 하루 연기된 일이 발생해 이 관측이 현실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아즈문은 다음 날 발표한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스위스에 이어 골키퍼를 4명이나 본선 엔트리에 선발한 팀이다. 월드컵 역사상 두 번째로 본선 엔트리에 골키퍼 4명을 데려가는 팀이 되었다.[14] 또한 32개국 중 유일하게 25인으로 월드컵을 치른다.[15]
- 선수단 평균 연령이 28.9세로 가장 높은 팀이다. 또한 멕시코와 더불어 유이하게 2000년대 이후 출생자가 한 명도 없다.
3.2.3.
미국
예선 성적 | |||||||
| | | | | | | |
0-0 (A) | 1-1 (H) | 4-1 (H) | 2-0 (H) | 0-1 (A) | 2-1 (H) | 2-0 (H) | |
| | | | | | | |
1-1 (A) | 1-0 (H) | 0-2 (A) | 3-0 (H) | 0-0 (A) | 5-1 (H) | 0-2 (A) | |
예선 최종 성적: 14전 7승 4무 3패 |
|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맷 터너 | Matt TURNER | 1994.06.24. | 20 / 0 | |
12 | 이선 호바스 | Ethan HORVATH | 1995.06.09. | 8 / 0 | ||
25 | 션 존슨 | Sean JOHNSON | 1989.05.31. | 10 / 0 | ||
DF | 2 | 세르지뇨 데스트 | Sergiño DEST | 2000.11.03. | 19 / 2 | |
3 | 워커 짐머만 | Walker ZIMMERMAN | 1993.05.19. | 33 / 3 | ||
5 | 안토니 로빈슨 | Antonee ROBINSON | 1997.08.08. | 29 / 2 | ||
13 | 팀 림 | Tim REAM | 1987.10.05. | 46 / 1 | ||
15 | 애런 롱 | Aaron LONG | 1992.10.12. | 29 / 3 | ||
18 | 샤켈 무어 | Shaq MOORE | 1996.11.02. | 15 / 1 | ||
20 | 캐머런 카터비커스 | Cameron CARTER-VICKERS | 1997.12.31. | 11 / 0 | ||
22 | 디안드레 예들린 | DeAndre YEDLIN | 1993.07.09. | 75 / 0 | ||
26 | 조 스컬리 | Joe SCALLY | 2002.12.31. | 3 / 0 | ||
MF | 4 | 타일러 아담스 | Tyler ADAMS | 1999.02.14. | 32 / 1 | |
6 | 유누스 무사 | Yunus MUSAH | 2002.11.29. | 19 / 0 | ||
8 | 웨스턴 맥케니 | Weston McKENNIE | 1998.08.28. | 37 / 9 | ||
14 | 루카 드라토레 | Luca DE LA TORRE | 1998.05.23. | 12 / 0 | ||
17 | 크리스천 롤단 | Cristian ROLDAN | 1995.06.03. | 32 / 0 | ||
23 | 켈린 아코스타 | Kellyn ACOSTA | 1995.07.24. | 53 / 2 | ||
FW | 7 | 조반니 레이나 | Gio REYNA | 2002.11.13. | 14 / 4 | |
9 | 헤수스 페레이라 | Jesús FERREIRA | 2000.12.24. | 15 / 7 | ||
10 | 크리스천 풀리식 | Christian PULISIC | 1998.09.18. | 52 / 21 | ||
11 | 브렌든 에런슨 | Brenden AARONSON | 2000.10.22. | 24 / 6 | ||
16 | 조던 모리스 | Jordan MORRIS | 1994.10.26. | 49 / 11 | ||
19 | 하지 라이트 | Haji WRIGHT | 1998.03.27. | 3 / 1 | ||
21 | 티모시 웨아 | Tim WEAH | 2000.02.22. | 25 / 3 | ||
24 | 조슈아 서전트 | Josh SARGENT | 2000.02.20. | 20 / 5 | ||
감독: |
- 11월 9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잭 스테픈, 에릭 팔머브라운, 레지 캐논, 말릭 틸만, 리카르도 페피, 조르당 시바체우 등이 탈락했다.
- 대회 출전국 중 가장 젊은 축에 속하는 스쿼드다. 8년만의 출전이기도 하고, 세대 교체의 영향도 커서 26인 스쿼드에 월드컵 출전 경험이 있는 선수는 디안드레 예들린이 유일할 정도다. 2000년대 이후 출생자는 무려 8명이 포함되었다.[16]
- 조반니 레이나는 아버지 클라우디오 레이나에 이어 대를 이어 월드컵에 출전하는 선수가 될 예정이고, 티모시 웨아는 아버지 조지 웨아도 이루지 못한 월드컵 본선 출전을 이루게 되었다.[17]
3.2.4.
웨일스
예선 성적 | ||||||||||
| | | | | | | | | | |
1-3 (A) | 1-0 (H) | 3-2 (A) | 0-0 (H) | 2-2 (A) | 1-0 (A) | 5-1 (H) | 1-1 (H) | 2-1 (H) | 1-0 (H)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6승 3무 1패 | ■ 플레이오프 |
Together Stronger[18] | ||||||
함께하면 더 강해진다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웨인 헤네시 | Wayne HENNESSEY | 1987.01.24. | 106 / 0 | |
12 | 대니 워드 | Danny WARD | 1993.06.22. | 26 / 0 | ||
21 | 아담 데이비스 | Adam DAVIES | 1992.07.17. | 4 / 0 | ||
DF | 2 | 크리스 건터 | Chris GUNTER | 1989.07.21. | 109 / 0 | |
3 | 니코 윌리엄스 | Neco WILLIAMS | 2001.04.13. | 23 / 2 | ||
4 | 벤 데이비스 | Ben DAVIES | 1993.04.24. | 74 / 1 | ||
5 | 크리스 메펌 | Chris MEPHAM | 1997.11.05. | 33 / 0 | ||
6 | 조 로든 | Joe RODON | 1997.10.22. | 30 / 0 | ||
14 | 코너 로버츠 | Connor ROBERTS | 1995.09.23. | 41 / 3 | ||
15 | 이선 암파두 | Ethan AMPADU | 2000.09.14. | 37 / 0 | ||
17 | 톰 로키어 | Tom LOCKYER | 1994.12.03. | 14 / 0 | ||
24 | 벤 카방고 | Ben CABANGO | 2000.05.30. | 5 / 0 | ||
MF | 7 | 조 앨런 | Joe ALLEN | 1990.03.14. | 72 / 2 | |
8 | 해리 윌슨 | Harry WILSON | 1997.03.22. | 39 / 5 | ||
10 | 아론 램지 | Aaron RAMSEY | 1990.10.26. | 75 / 20 | ||
16 | 조 모렐 | Joe MORRELL | 1997.01.03. | 30 / 0 | ||
18 | 조니 윌리엄스 | Jonny WILLIAMS | 1993.10.09. | 33 / 2 | ||
22 | 소바 토마스 | Sorba THOMAS | 1999.01.25. | 6 / 0 | ||
23 | 딜런 레빗 | Dylan LEVITT | 2000.11.17. | 13 / 0 | ||
25 | 루빈 콜윌 | Rubin COLWILL | 2002.04.27. | 7 / 1 | ||
26 | 매튜 스미스 | Matthew SMITH | 1999.11.22. | 19 / 0 | ||
FW | 9 | 브레넌 존슨 | Brennan JOHNSON | 2001.05.23. | 15 / 2 | |
11 | 가레스 베일 | Gareth BALE | 1989.07.16. | 108 / 39 | ||
13 | 키퍼 무어 | Kieffer MOORE | 1992.08.08. | 28 / 9 | ||
19 | 마크 해리스 | Mark HARRIS | 1998.12.29. | 5 / 0 | ||
20 | 대니얼 제임스 | Daniel JAMES | 1997.11.10. | 38 / 5 | ||
감독: |
- 2022년 11월 9일에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1년 반 전 열린 UEFA 유로 2020 대회 최종 명단에서 크게 바뀌지 않은 구성의 스쿼드다. 한 두자리의 선수들이 바뀌긴 했지만, 주축 선수들은 그대로 명단에 대거 포함되었고, 웨인 헤네시, 크리스 건터, 벤 데이비스, 애런 램지, 조 앨런, 가레스 베일 등 웨일스 황금세대 선수들이 모두 출전한다.
- 세네갈, 캐나다와 함께 자국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단 한 명도 없는 팀이다. 다만 스완지 시티 AFC, 카디프 시티 FC 등 잉글랜드 리그에 참가하는 웨일스 연고 팀 소속은 있다.
3.3. C조
3.3.1.
아르헨티나
예선 성적 | |||||||||
| | | | | | | | | |
1-0 (H) | 2-1 (A) | 1-1 (H) | 2-0 (A) | 1-1 (H) | 2-2 (A) | 3-1 (A) | 3-0 (H) | 0-0 (A) | |
| | | | | | | | | |
3-0 (H) | 1-0 (H) | 1-0 (A) | 0-0 (H) | 2-1 (A) | 1-0 (H) | 3-0 (H) | 1-1 (A) | - (A)[19] | |
예선 최종 성적: 17전 11승 6무 0패 |
Todos Juntos | ||||||
모두 함께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프랑코 아르마니 | Franco ARMANI | 1986.10.16. | 18 / 0 | |
12 | 헤로니모 루이 | Gerónimo RULLI | 1992.05.20. | 4 / 0 | ||
23 |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Emiliano MARTÍNEZ | 1992.09.02. | 18 / 0 | ||
DF | 2 | 후안 포이스 | Juan FOYTH | 1998.01.12. | 15 / 0 | |
3 |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 Nicolás TAGLIAFICO | 1992.08.31. | 42 / 0 | ||
4 | 곤살로 몬티엘 | Gonzalo MONTIEL | 1997.01.01. | 18 / 0 | ||
6 | 헤르만 페첼라 | Germán PEZZELLA | 1991.06.27. | 31 / 2 | ||
13 | 크리스티안 로메로 | Cristian ROMERO | 1998.04.27. | 12 / 1 | ||
19 | 니콜라스 오타멘디 | Nicolás OTAMENDI | 1988.02.12. | 92 / 4 | ||
25 |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 Lisandro MARTÍNEZ | 1998.01.18. | 9 / 0 | ||
26 | 나우엘 몰리나 | Nahuel MOLINA | 1998.04.06. | 19 / 0 | ||
MF | 5 | 레안드로 파레데스 | Leandro PAREDES | 1994.06.29. | 45 / 4 | |
7 | 로드리고 데 파울 | Rodrigo DE PAUL | 1994.05.24. | 43 / 2 | ||
8 | 마르코스 아쿠냐 | Marcos ACUÑA | 1991.10.28. | 42 / 0 | ||
14 |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 Exequiel PALACIOS | 1998.10.05. | 20 / 0 | ||
16 | 티아고 알마다[A] | Tiago ALMADA | 2001.04.26. | 1 / 0 | ||
17 | 파푸 고메스 | Papu GÓMEZ | 1988.02.15. | 15 / 3 | ||
18 | 귀도 로드리게스 | Guido RODRÍGUEZ | 1994.04.12. | 25 / 1 | ||
20 | 알렉시스 맥 앨리스터 | Alexis MAC ALLISTER | 1998.12.24. | 7 / 0 | ||
24 | 엔소 페르난데스 | Enzo FERNÁNDEZ | 2001.01.17. | 2 / 0 | ||
FW | 9 | 훌리안 알바레스 | Julián ÁLVAREZ | 2000.01.31. | 11 / 2 | |
10 | 리오넬 메시 | Lionel MESSI | 1987.06.24. | 164 / 90 | ||
11 | 앙헬 디 마리아 | Ángel DI MARÍA | 1988.02.14. | 123 / 25 | ||
15 | 앙헬 코레아[A] | Ángel CORREA | 1995.03.09. | 22 / 3 | ||
21 | 파울로 디발라 | Paulo DYBALA | 1993.11.15. | 34 / 3 | ||
22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Lautaro MARTÍNEZ | 1997.08.22. | 40 / 21 | ||
감독: |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최종 명단 발표 이전, 예비 명단이 유출되었다. 이후 10월 25일 전체 예비 명단이 공개되었다. 유출 명단에는 없던 선수가 추가로 공개되었다.[22]
- 이후 11월 8일, 28인의 수정된 예비 명단을 공개했다. 2차 예비 명단에 들지 못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 GK: 후안 무소 | 아구스틴 마르체신 | 아구스틴 로시
- DF: 파쿤도 메디나 | 네우엔 페레스 | 마르코스 세네시 | 루카스 마르티네스 콰르타 | 왈테르 카네만 | 니콜라스 페르난데스 메르카우
- MF: 니콜라스 도밍게스 | 막시밀리아노 메사 | 마티아스 소울레 | 니코 파스| 루카 로메로 | 발렌틴 카르보니
- FW: 니콜라스 곤살레스 | 지오바니 시메오네 | 에밀리아노 부엔디아 | 루카스 알라리오 | 루카스 오캄포스 | 티아고 알마다 | 알레한드로 가르나초
- 지오바니 로셀소, 앙헬 코레아는 2차 명단까지는 이름을 올렸으나 최종 명단에는 승선하지 못했다.[23]
- 리오넬 메시가 명단에 포함되며 월드컵 5회 출전자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로타르 마테우스, 라파엘 마르케스 다음으로 필드 플레이어로써 월드컵에 5번 출전하는 3번째 선수다.[24] 전체적으로 보면 4년 전 대회와 스쿼드가 매우 다르다. 메시와 더불어 앙헬 디마리아, 니콜라스 오타멘디, 프랑코 아르마니,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마르코스 아쿠냐, 파울로 디발라만이 4년 전 대회를 치른 선수들이며[25], 나머지 19명은 이번 월드컵이 월드컵 본선 데뷔 무대가 될 예정이다.
- 11월 17일, 니콜라스 곤살레스가 부상으로 하차하며 앙헬 코레아가 대체 발탁되었다.
- 11월 18일, 호아킨 코레아가 부상으로 하차하며 티아고 알마다가 대체 발탁되었다.
3.3.2.
사우디아라비아
예선 성적 | ||||||||||
| | | | | | | | | ||
2-2 (A) | 3-0 (H) | 0-0 (A) | 3-2 (A) | 5-0 (H) | 3-0 (H)[26] | 3-0 (H) | 3-0 (H) | |||
| | | | | | | | | | |
3-1 (H) | 1-0 (A) | 1-0 (H) | 3-2 (H) | 0-0 (A) | 1-0 (A) | 1-0 (H) | 0-2 (A) | 1-1 (N)[27] | 1-0 (H) | |
예선 최종 성적: 18전 13승 4무 1패 |
معاك_يالأخضر | ||||||
녹색은 그대와 함께 있다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모하메드 알야미 | Mohammed Al-Rubaie Al-Yami | 1997.08.14. | 7 / 0 | |
21 | 모하메드 알오와이스 | Mohammed AL-OWAIS | 1991.10.10. | 33 / 0 | ||
22 | 나와프 알아키디 | Nawaf AL-AQIDI | 2000.05.10. | 0 / 0 | ||
DF | 2 | 술탄 알간남 | Sultan AL-GHANAM | 1994.05.06. | 17 / 0 | |
3 | 압둘라 마두 | Abdullah MADU | 1993.07.15. | 15 / 0 | ||
4 | 압둘레라 알암리 | Abdulelah AL-AMRI | 1997.01.15. | 13 / 1 | ||
5 | 알리 알불라이히 | Ali AL-BULAYHI | 1989.11.21. | 28 / 0 | ||
6 | 모함메드 알브레이크 | Mohammed AL-BURAYK | 1992.09.15. | 28 / 0 | ||
12 | 사우드 압둘하미드 | Saud ABDULHAMID | 1999.07.18. | 14 / 0 | ||
13 | 야세르 알샤흐라니 | Yasser AL-SHAHRANI | 1992.05.25. | 61 / 2 | ||
17 | 하산 탐바크티 | Hassan TAMBAKTI | 1999.02.09. | 11 / 0 | ||
MF | 7 | 살만 알파라지 | Salman AL-FARAJ | 1989.08.01. | 56 / 7 | |
8 | 압둘레라 알말키 | Abdulelah AL-MALKI | 1994.10.11. | 16 / 0 | ||
14 | 압둘라 오타이프 | Abdullah OTAYF | 1992.08.03. | 37 / 1 | ||
15 | 알리 알하산 | Ali AL-HASSAN | 1997.03.04. | 13 / 1 | ||
16 | 사미 알나지 | Sami AL-NAJEI | 1997.02.07. | 14 / 2 | ||
18 | 나와프 알아비드[A] | Nawaf Al-Abed | 1990.01.26. | 54 / 8 | ||
23 | 모하메드 칸노 | Mohamed KANNO | 1994.09.22. | 25 / 1 | ||
24 | 나세르 알다우사리 | Nasser AL-DAWSARI | 1998.12.19. | 8 / 0 | ||
26 | 리야드 샤라힐리 | Riyadh SHARAHILI | 1993.04.28. | 2 / 0 | ||
FW | 9 | 피라스 알부라이칸 | Firas AL-BURAIKAN | 2000.05.14. | 20 / 4 | |
10 | 살렘 알다우사리 | Salem AL-DAWSARI | 1991.08.19. | 53 / 15 | ||
11 | 살레 알셰흐리 | Saleh AL-SHEHRI | 1993.11.01. | 10 / 6 | ||
19 | 하탄 바헤브리 | Hattan BAHEBRI | 1992.07.16. | 30 / 2 | ||
20 | 압둘라흐만 알아부드 | Abdulrahman AL-OBUD | 1995.06.01. | 1 / 0 | ||
25 | 하이탐 아시리 | Haitham ASIRI | 2001.03.25. | 4 / 0 | ||
감독: |
- 10월 12일 예비 명단을 발표했고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예비 명단에는 포함됐지만 최종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은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파와즈 알카르니
- DF: 아메드 밤사우드
- MF:
나와프 알아비드| 아이만 야히아 - FW: 압둘라 알함단 | 압둘라 라디프
- 대회 출전팀 중 카타르와 함께 전원이 자국 리그 소속인 유이한 팀이다.
- 11월 13일, 파하드 알무왈라드에 대해 세계 반도핑 기구 (WADA)에서 선수의 과거 도핑 관련 징계를 철회해달라는 사우디 측 요구를 최종 기각했다. 따라서 알무왈라드는 월드컵 출전이 좌절되었으며 나와프 알아비드가 대체 선발되었다.
- 4년 전 월드컵 멤버들이 그대로 주축을 유지하는 가운데,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본선 무대에 출전한 유망주 선수들이 추가로 합류했다. 전반적으로 신구 조화 자체는 잘 된 스쿼드이고, 전체 26명 중 12명이 자국의 강팀인 알 힐랄 SFC 소속이라는 점에서 조직력도 호평을 받지만, 국제 경쟁력은 여전히 의문이다.
3.3.3.
멕시코
예선 성적 | |||||||
| | | | | | | |
2-1 (H) | 1-0 (A) | 1-1 (A) | 1-1 (H) | 3-0 (H) | 2-0 (A) | 0-2 (A) | |
| | | | | | | |
1-2 (A) | 2-1 (A) | 0-0 (H) | 1-0 (H) | 0-0 (H) | 1-0 (A) | 2-0 (H) | |
예선 최종 성적: 14전 8승 4무 2패 |
Mexico De Mi Vida | ||||||
나의 삶, 멕시코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알프레도 탈라베라 | Alfredo TALAVERA | 1982.09.18. | 40 / 0 | |
12 | 로돌포 코타 | Rodolfo COTA | 1987.07.03. | 8 / 0 | ||
13 | 기예르모 오초아 | Guillermo OCHOA | 1985.07.13. | 131 / 0 | ||
DF | 2 | 네스토르 아라우호 | Néstor ARAUJO | 1991.08.29. | 62 / 3 | |
3 | 세사르 몬테스 | César MONTES | 1997.02.24. | 40 / 1 | ||
4 | 에드손 알바레스 | Edson ÁLVAREZ | 1997.10.24. | 59 / 3 | ||
5 | 요한 바스케스 | Johan VÁSQUEZ | 1998.10.22. | 6 / 0 | ||
6 | 헤라르도 아르테아가 | Gerardo ARTEAGA | 1998.09.07. | 17 / 1 | ||
15 | 엑토르 모레노 | Héctor MORENO | 1988.01.17. | 127 / 5 | ||
19 | 호르헤 산체스 | Jorge SÁNCHEZ | 1997.12.10. | 25 / 1 | ||
23 | 헤수스 가야르도 | Jesús GALLARDO | 1994.08.15. | 78 / 1 | ||
26 | 케빈 알바레스 | Kevin ÁLVAREZ | 1999.01.15. | 8 / 0 | ||
MF | 7 | 루이스 로모 | Luis ROMO | 1995.06.05. | 26 / 1 | |
8 |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 Carlos RODRÍGUEZ | 1997.01.03. | 36 / 0 | ||
14 | 에리크 구티에레스 | Érick GUTIÉRREZ | 1995.06.15. | 34 / 1 | ||
16 | 엑토르 에레라 | Héctor HERRERA | 1990.04.19. | 102 / 10 | ||
18 | 안드레스 과르다도 | Andrés GUARDADO | 1986.09.28. | 179 / 28 | ||
24 | 루이스 차베스 | Luis CHÁVEZ | 1996.01.15. | 8 / 0 | ||
FW | 9 | 라울 히메네스 | Raúl JIMÉNEZ | 1991.05.05. | 96 / 29 | |
10 | 알렉시스 베가 | Alexis VEGA | 1997.11.25. | 22 / 5 | ||
11 | 로헬리오 푸네스 모리 | Rogelio FUNES MORI | 1991.03.05. | 16 / 6 | ||
17 | 오르벨린 피네다 | Orbelín PINEDA | 1996.03.24. | 50 / 6 | ||
20 | 엔리 마르틴 | Henry MARTÍN | 1992.11.18. | 26 / 6 | ||
21 | 우리엘 안투나 | Uriel ANTUNA | 1997.08.21. | 36 / 10 | ||
22 | 이르빙 로사노 | Hirving LOZANO | 1995.07.30. | 59 / 16 | ||
25 | 로베르토 알바라도 | Roberto ALVARADO | 1998.09.07. | 32 / 4 | ||
감독: |
- 11월 14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32개 팀 중 가장 늦게 최종 명단을 발표한 팀이다.
- 10월 28일 발표한 예비 명단 중에서 헤수스 코로나가 부상으로 빠졌고, 산티아고 히메네스, 디에고 라이네스, 에리크 산체스, 헤수스 앙굴로가 최종 명단에서 빠졌다.
- 부상으로 월드컵 출전이 불투명한 라울 히메네스는 일단 명단에 포함되었다.
- 멕시코 역사상으로는 3번째, 월드컵 역사상으로는 5번째로 본선 5회 출전 선수가 그것도 2명이나 등장했다. 멕시코의 간판 키퍼 기예르모 오초아와 필드플레이어 안드레스 과르다도가 함께 5회 연속 출전을 달성하게 되었다.[29] 또한 알프레도 탈라베라는 만 40세의 나이에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으며 이번 대회 최고령 선수가 되었다.
- 이란과 더불어 유이하게 2000년대 이후 출생자가 한 명도 없다.
3.3.4.
폴란드
예선 성적 | ||||||||||||
| | | | | | | | | | | | |
3-3 (A) | 3-0 (H) | 1-2 (A) | 4-1 (H) | 7-1 (A) | 1-1 (H) | 5-0 (H) | 1-0 (A) | 4-1 (A) | 1-2 (H) | 부전승[30] | 2-0 (H) | |
예선 최종 성적: 11전 7승 2무 2패 | ■ 플레이오프 |
Laczy Nas Pilka | ||||||
공은 우리를 이어준다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 Wojciech SZCZĘSNY | 1990.04.18. | 66 / 0 | |
12 | 우카시 스코룹스키 | Łukasz SKORUPSKI | 1991.05.05. | 7 / 0 | ||
22 | 카밀 그라바라[A] | Kamil GRABARA | 1999.01.08. | 1 / 0 | ||
DF | 2 | 매티 캐시 | Matty CASH | 1997.08.07. | 7 / 1 | |
3 | 아르투르 옝제이치크 | Artur JĘDRZEJCZYK | 1987.11.04. | 40 / 3 | ||
4 | 마테우시 비에테스카 | Mateusz WIETESKA | 1997.02.11. | 1 / 0 | ||
5 | 얀 베드나레크 | Jan BEDNAREK | 1996.04.12. | 44 / 1 | ||
14 | 야쿠프 키비오르 | Jakub KIWIOR | 2000.02.15. | 4 / 0 | ||
15 | 카밀 글리크 | Kamil GLIK | 1988.02.03. | 98 / 6 | ||
18 | 바르토시 베레신스키 | Bartosz BERESZYŃSKI | 1992.07.12. | 45 / 0 | ||
25 | 로베르트 굼니 | Robert GUMNY | 1998.06.04. | 4 / 0 | ||
MF | 6 | 크리스티안 비엘리크 | Krystian BIELIK | 1998.01.14. | 5 / 0 | |
8 | 다미안 시만스키 | Damian SZYMAŃSKI | 1995.06.16. | 8 / 1 | ||
10 | 그제고시 크리호비아크 | Grzegorz KRYCHOWIAK | 1990.01.29. | 93 / 5 | ||
11 | 카밀 그로시츠키 | Kamil GROSICKI | 1988.06.08. | 86 / 17 | ||
13 | 야쿠프 카민스키 | Jakub KAMIŃSKI | 2002.06.05. | 3 / 1 | ||
17 | 시몬 주르코프스키 | Szymon ŻURKOWSKI | 1997.09.25. | 6 / 0 | ||
19 |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 Sebastian SZYMAŃSKI | 1999.05.10. | 17 / 1 | ||
20 |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 Piotr ZIELIŃSKI | 1994.05.20. | 74 / 9 | ||
21 | 니콜라 잘레프스키 | Nicola ZALEWSKI | 2002.01.23. | 7 / 0 | ||
24 | 프셰미스와프 프란코프스키 | Przemysław FRANKOWSKI | 1995.04.15. | 25 / 1 | ||
26 | 미하우 스코라시 | Michał SKÓRAŚ | 2000.02.15. | 1 / 0 | ||
FW | 7 | 아르카디우스 밀리크 | Arkadiusz MILIK | 1994.02.28. | 63 / 16 | |
9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Robert LEWANDOWSKI | 1988.08.21. | 134 / 76 | ||
16 | 카롤 쉬비데르스키 | Karol ŚWIDERSKI | 1997.01.23. | 17 / 8 | ||
23 | 크시슈토프 피옹테크 | Krzysztof PIĄTEK | 1995.07.01. | 24 / 10 | ||
감독: |
- 11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10월 20일, 예비 명단을 발표했으며, 예비 명단에는 포함되었지만 최종 명단에 포함되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라도스와프 마예츠키
- DF: 파베우 보흐니에비츠 | 파베우 다비도비츠 | 미하우 헬리크 | 미하우 카르보프니크 | 토마시 켕지오라 | 파트리크 쿤 | 마이크 나브로츠키 | 티모테우시 푸하치 | 아르카디우시 레차
- MF: 파트리크 지체크 | 야체크 구랄스키 | 카밀 유주비아크 | 마테우시 클리흐 | 카츠페르 코즈워프스키 | 카롤 리네티 | 마테우시 웽고프스키 | 야쿠프 피오트로프스키
- FW: 아담 북사 | 다비트 코브나츠키
- 11월 14일, 바르트워미에이 드롱고프스키가 부상으로 하차하며 카밀 그라바라가 대체 발탁되었다.
3.4. D조
3.4.1.
프랑스
프랑스는 FIFA World Cup™에 16번째로 출전합니다. 'Les Bleus'는 1998년 FIFA World Cup™에서 브라질을 3-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18년에는 크로아티아를 4-2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프랑스의 스트라이커 Just Fontaine은 1958 FIFA World Cup™에서 13골을 기록하여 현재까지 단일 대회 최대 득점 선수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1-1 (H) | 2-0 (A) | 1-0 (A) | 1-1 (H) | 1-1 (A) | 2-0 (H) | 8-0 (H) | 2-0 (A) | |
예선 최종 성적: 8전 5승 3무 0패 |
Marquer Demain | ||||||
내일을 표시하라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위고 요리스 | Hugo LLORIS | 1986.12.26. | 139 / 0 | |
16 | 스티브 만단다 | Steve MANDANDA | 1985.03.28. | 34 / 0 | ||
23 | 알퐁스 아레올라 | Alphonse AREOLA | 1993.02.27. | 5 / 0 | ||
DF | 2 | 뱅자맹 파바르 | Benjamin PAVARD | 1996.03.28. | 46 / 2 | |
3 | 악셀 디사시[A] | Axel DISASI | 1998.03.11. | 0 / 0 | ||
4 | 라파엘 바란 | Raphaël VARANE | 1993.04.25. | 87 / 5 | ||
5 | 쥘 쿤데 | Jules KOUNDÉ | 1998.11.12. | 12 / 0 | ||
17 | 윌리엄 살리바 | William SALIBA | 2001.03.24. | 7 / 0 | ||
18 | 다요 우파메카노 | Dayot UPAMECANO | 1998.10.27. | 7 / 1 | ||
21 | 뤼카 에르난데스 | Lucas HERNÁNDEZ | 1996.02.14. | 32 / 0 | ||
22 | 테오 에르난데스 | Theo HERNÁNDEZ | 1997.10.06. | 7 / 1 | ||
24 | 이브라히마 코나테 | Ibrahima KONATÉ | 1999.05.25. | 2 / 0 | ||
MF | 6 | 마테오 귀앵두지 | Mattéo GUENDOUZI | 1999.04.14. | 6 / 1 | |
8 | 오렐리앵 추아메니 | Aurélien TCHOUAMÉNI | 2000.01.27. | 14 / 1 | ||
13 | 유수프 포파나 | Youssouf FOFANA | 1999.01.10. | 2 / 0 | ||
14 | 아드리앙 라비오 | Adrien RABIOT | 1995.04.03. | 29 / 2 | ||
15 | 조르당 베레투 | Jordan VERETOUT | 1993.03.01. | 5 / 0 | ||
25 | 에두아르도 카마빙가 | Eduardo CAMAVINGA | 2002.11.10. | 4 / 1 | ||
FW | 7 | 앙투안 그리즈만 | Antoine GRIEZMANN | 1991.03.21. | 110 / 42 | |
9 | 올리비에 지루 | Olivier GIROUD | 1986.09.30. | 114 / 49 | ||
10 | 킬리안 음바페 | Kylian MBAPPÉ | 1998.12.20. | 59 / 28 | ||
11 | 우스만 뎀벨레 | Ousmane DEMBÉLÉ | 1997.05.15. | 28 / 4 | ||
12 | 랑달 콜로 무아니[A] | Randal KOLO MUANI | 1998.12.05. | 2 / 0 | ||
19 | 카림 벤제마[34] | Karim BENZEMA | 1987.12.19. | 97 / 37 | ||
20 | 킹슬리 코망 | Kingsley COMAN | 1996.06.13. | 40 / 5 | ||
26 | 마르퀴스 튀랑 | Marcus THURAM | 1997.08.06. | 4 / 0 | ||
감독: |
- 11월 9일, 최종 명단 25인을 발표했다.
- 특이하게도 26인을 다 채우지 않고 25인 명단으로만 대회에 임한다. UEFA 유로 2020에서의 스페인 대표팀과 비슷한 결정이며, 핵심 포지션에서 부상이 많이 발생하여 이들의 자리를 단순히 선수를 많이 뽑는다고 온전히 메꿀 수 없다는 판단한 것으로 보이며 감독은 25인으로만 대표팀 명단을 짜도 충분하다고 밝혔다. 특히 폴 포그바와 은골로 캉테가 빠진 미드필더 자리를 오렐리엉 추아메니, 에두아르도 카마빙가가 충분히 채울 수 있다는 판단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이 최고의 무대에서 빠르게 적응하긴 했지만, 모두 2000년대생의 어린 선수들이라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 결국 25명은 무리라고 판단했는지 26번째 선수로 마르퀴스 튀랑을 추가로 선발하였다. 마르퀴스 튀랑은 이로써 아버지 릴리앙 튀랑에 뒤를 이어 2대째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는 선수가 되었다. 또한 프레스넬 킴펨베의 부상 회복이 늦어지며 악셀 디사시가 대체 발탁되었다.
- 이번 명단에서 가장 많은 A매치를 소화한 위고 요리스는 조별리그는 물론 토너먼트까지 주전일 경우 릴리앙 튀랑의 프랑스 역대 A매치 출장 기록 142경기를 경신할 수 있다.
- 11월 15일 크리스토퍼 은쿤쿠가 팀 훈련 도중 왼쪽 무릎을 삐는 전치 6~8주의 부상을 입어 중도 하차가 확정되었다. 대체자는 랑달 콜로 무아니로 결정되었다.
- 11월 19일 카림 벤제마가 팀 훈련 도중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전치 3주 판정을 받아 중도 하차가 확정되었다. 이번에는 대체 선수를 투입하지 않기로 결정되면서 프랑스는 실질 25인 로스터로 월드컵에 참가하게 됐다.
- 벤제마는 대체 선수가 투입된 것이 아니라 명단 상으로는 그대로 26인 로스터에 포함되어 있으며 프랑스의 성적에 따라 메달을 받을 자격도 있고 트로피를 만질 수도 있다.
3.4.2.
호주
호주는 대륙 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극적인 상황에서 2022 FIFA World Cup™ 본선 진출을 확정 짓고 카타르로 향합니다. 'The Socceroos'는 올해로 6번째 토너먼트에서 경쟁을 펼치게 되며, 지금까지 5회 연속으로 예선을 통과했습니다. 현재까지의 최고 성적은 2006년 대회에서 기록한 16강 진출입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3-0 (A) | 5-0 (H) | 7-1 (A) | 1-0 (A) | 3-0 (H) | 5-1 (N) | 3-1 (N) | 1-0 (N) | |||
| | | | | | | | | | |
3-0 (N) | 1-0 (A) | 3-1 (N) | 1-2 (A) | 0-0 (H) | 1-1 (N) | 4-0 (H) | 2-2 (A) | 0-2 (H) | 0-1 (A) | |
| | |||||||||
2-1 (N) | 0-0 (N)[35] | |||||||||
예선 최종 성적: 20전 13승 4무 3패 | ■ 플레이오프 |
| ||||||
Go Australia | ||||||
전진하라 오스트레일리아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매튜 라이언 | Mathew RYAN | 1992.04.08. | 75 / 0 | |
12 | 앤드류 레드메인 | Andrew REDMAYNE | 1989.01.13. | 4 / 0 | ||
18 | 대니 부코비치 | Danny VUKOVIC | 1985.03.27. | 4 / 0 | ||
DF | 2 | 밀로시 데게네크 | Miloš DEGENEK | 1994.04.28. | 38 / 1 | |
3 | 너새니얼 앳킨슨 | Nathaniel ATKINSON | 1999.06.13. | 5 / 0 | ||
4 | 카이 롤스 | Kye ROWLES | 1998.06.24. | 3 / 0 | ||
5 | 프란 카라치치 | Fran KARAČIĆ | 1996.05.12. | 10 / 1 | ||
8 | 베일리 라이트 | Bailey WRIGHT | 1992.07.28. | 27 / 2 | ||
16 | 아지즈 베히치 | Aziz BEHICH | 1990.10.16. | 53 / 2 | ||
19 | 해리 수타 | Harry SOUTTAR | 1998.10.22. | 10 / 6 | ||
20 | 토머스 뎅 | Thomas DENG | 1997.03.20. | 2 / 0 | ||
24 | 조엘 킹 | Joel KING | 2000.10.30. | 4 / 0 | ||
MF | 10 | 아이딘 흐루스티치 | Ajdin HRUSTIC | 1996.07.05. | 20 / 3 | |
13 | 애런 무이 | Aaron MOOY | 1990.09.15. | 53 / 7 | ||
14 | 라일리 맥그리 | Riley McGREE | 1998.11.02. | 11 / 1 | ||
17 | 캐머런 데블린 | Cameron DEVLIN | 1998.06.07. | 1 / 0 | ||
22 | 잭슨 어바인 | Jackson IRVINE | 1993.03.07. | 49 / 7 | ||
26 | 키아누 바쿠스 | Keanu BACCUS | 1998.06.07. | 1 / 0 | ||
FW | 6 | 마르코 틸리오[A] | Marco TILIO | 2001.08.23. | 5 / 0 | |
7 | 매슈 레키 | Mathew LECKIE | 1991.02.04. | 73 / 13 | ||
9 | 제이미 맥클라렌 | Jamie MACLAREN | 1993.07.29. | 26 / 8 | ||
11 | 아워 마빌 | Awer MABIL | 1995.09.15. | 29 / 8 | ||
15 | 미첼 듀크 | Mitchell DUKE | 1991.01.18. | 21 / 8 | ||
21 | 가랑 쿠올 | Garang KUOL | 2004.09.15. | 1 / 0 | ||
23 | 크레이그 굿윈 | Craig GOODWIN | 1991.12.16. | 10 / 1 | ||
25 | 제이슨 커밍스 | Jason CUMMINGS | 1995.08.01. | 1 / 1 | ||
감독: |
- 11월 8일, 최종 명단을 발표하였다. 해리슨 델브리지, 알렉스 그랜트의 탈락으로 호주 대표팀은 12년 만에 K리거 없는 대표팀으로 월드컵에 나서게 되었다.[37]
- 2004년생으로 이번 대회 유수파 무코코 다음으로 어린 선수인 가랑 쿠올의 대표팀 선발이 가장 큰 이슈다. 형 알루 쿠올은 유럽 진출 후 부침을 겪으면서 엔트리에서 탈락해 더욱 대조를 이룬다.
- 2021년에 개최한 2020 도쿄 올림픽을 경험한 젊은 선수들이 많이 뽑혔다.
- 11월 20일 공격수 마틴 보일이 부상으로 인해 하차하고 마르코 틸리오가 대체 선수로 발탁되었다. #
3.4.3.
덴마크
덴마크는 멕시코에서 열린 1986 FIFA World Cup™에서 데뷔하여 우루과이를 6-1로 꺾고 역대 가장 큰 승리를 달성했습니다. FIFA World Cup™ 토너먼트에서 최고 득점 기록을 보유한 덴마크 선수는 Jon Dahl Tomasson으로, 2002년과 2010년에 총 5골을 기록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
2-0 (A) | 8-0 (H) | 4-0 (A) | 2-0 (H) | 1-0 (A) | 5-0 (H) | 4-0 (A) | 1-0 (H) | 3-1 (H) | 0-2 (A)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9승 0무 1패 |
For Danmark | ||||||
덴마크를 위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카스페르 슈마이켈 | Kasper SCHMEICHEL | 1986.11.05. | 86 / 0 | |
16 | 올리버 크리스텐센 | Oliver CHRISTENSEN | 1999.03.22. | 1 / 0 | ||
22 | 프레데리크 뢰노우 | Frederik RØNNOW | 1992.08.04. | 8 / 0 | ||
DF | 2 | 요아킴 안데르센 | Joachim ANDERSEN | 1996.05.31. | 19 / 0 | |
3 | 빅토르 넬손 | Victor NELSSON | 1998.10.14. | 7 / 0 | ||
4 | 시몬 키예르 | Simon KJÆR | 1989.03.26. | 121 / 5 | ||
5 | 요아킴 멜레 | Joakim MÆHLE | 1997.05.20. | 31 / 9 | ||
6 |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 Andreas CHRISTENSEN | 1996.04.10. | 59 / 2 | ||
13 | 라스무스 크리스텐센 | Rasmus KRISTENSEN | 1997.07.11. | 10 / 0 | ||
17 | 옌스 스트뤼거 라르센 | Jens Stryger LARSEN | 1991.02.21. | 49 / 3 | ||
18 | 다니엘 바스 | Daniel WASS | 1989.05.31. | 44 / 1 | ||
26 | 알렉산데르 바 | Alexander BAH | 1997.12.09. | 4 / 1 | ||
MF | 7 | 마티아스 옌센 | Mathias JENSEN | 1996.01.01. | 20 / 1 | |
8 | 토마스 딜레이니 | Thomas DELANEY | 1991.09.03. | 71 / 7 | ||
10 | 크리스티안 에릭센 | Christian ERIKSEN | 1992.02.14. | 117 / 39 | ||
11 | 안드레아스 스코우 올센 | Andreas Skov OLSEN | 1999.12.29. | 23 / 8 | ||
14 | 미켈 담스고르 | Mikkel DAMSGAARD | 2000.07.03. | 18 / 4 | ||
15 | 크리스티안 뇌르고르 | Christian NØRGAARD | 1994.03.10. | 17 / 1 | ||
23 |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 Pierre-Emile HØJBJERG | 1995.08.05. | 60 / 5 | ||
24 | 로베르트 스코우 | Robert SKOV | 1996.05.20. | 11 / 5 | ||
25 | 예스페르 린스트룀 | Jesper LINDSTRØM | 2000.02.29. | 6 / 1 | ||
FW | 9 | 마르틴 브레이스웨이트 | Martin BRAITHWAITE | 1991.06.05. | 62 / 10 | |
12 | 카스페르 돌베르 | Kasper DOLBERG | 1997.10.06. | 37 / 11 | ||
19 | 요나스 빈 | Jonas WIND | 1999.02.07. | 15 / 5 | ||
20 | 유수프 포울센 | Yussuf POULSEN | 1994.06.15. | 68 / 11 | ||
21 | 안드레아스 코르넬리우스 | Andreas CORNELIUS | 1993.03.16. | 43 / 13 | ||
감독: |
11월 8일에 21인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나머지 5인 명단은 유럽 리그 일정이 끝난 뒤에 발탁했다.
3.4.4.
튀니지
튀니지는 1978년에 FIFA World Cup™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본선 토너먼트에서 멕시코를 3-1로 꺾고 아프리카 국가대표팀 최초로 FIFA World Cup™ 경기에서 승리하며 역사를 썼습니다. '카르타고의 독수리(Eagles of Carthage)'라는 별명을 가진 튀니지는 카타르에서 열리는 FIFA World Cup™에 6번째로 출전합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3-0 (H) | 2-0 (A) | 3-0 (H) | 0-0 (A) | 0-1 (A) | 3-1 (H) | 1-0 (A) | 0-0 (H) | |
예선 최종 성적: 8전 5승 2무 1패 | ■ 최종예선 |
تونس تعيش | ||||||
살아있는 튀니지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아이멘 마틀루티 | Aymen MATHLOUTHI | 1984.09.14. | 73 / 0 | |
16 | 아이멘 다흐멘 | Aymen DAHMEN | 1997.01.28. | 4 / 0 | ||
22 | 베시르 벤 사이드 | Bechir BEN SAÏD | 1994.11.29. | 10 / 0 | ||
26 | 무에즈 하센 | Mouez HASSEN | 1995.03.05. | 20 / 0 | ||
DF | 2 | 빌렐 이파 | Bilel IFA | 1990.03.09. | 39 / 0 | |
3 | 몬타사르 탈비 | Montassar TALBI | 1998.05.26. | 22 / 1 | ||
4 | 야신 메리아 | Yassine MERIAH | 1993.07.02. | 60 / 3 | ||
6 | 딜랑 브론 | Dylan BRONN | 1995.06.19. | 36 / 2 | ||
12 | 알리 말룰 | Ali MAÂLOUL | 1990.01.01. | 82 / 2 | ||
20 | 모하메드 드레거 | Mohamed DRÄGER | 1996.06.25. | 33 / 3 | ||
21 | 와즈디 케츠리다 | Wajdi KECHRIDA | 1995.11.05. | 18 / 0 | ||
24 | 알리 아브디 | Ali ABDI | 1993.12.20. | 9 / 1 | ||
MF | 5 | 나데르 간드리 | Nader GHANDRI | 1995.02.18. | 7 / 0 | |
8 | 한니발 메브리 | Hannibal MEJBRI | 2003.01.21. | 18 / 0 | ||
13 | 페르자니 사시 | Ferjani SASSI | 1992.03.18. | 77 / 6 | ||
14 | 아이사 라이두니 | Aïssa LAÏDOUNI | 1996.12.13. | 24 / 1 | ||
15 | 모하메드 알리 벤롬단 | Mohamed Ali BEN ROMDHANE | 1999.09.06. | 22 / 1 | ||
17 | 엘리스 스키리 | Ellyes SKHIRI | 1995.05.10. | 48 / 3 | ||
18 | 가일렌 샬랄리 | Ghailene CHAALALI | 1994.02.28. | 30 / 1 | ||
FW | 7 | 유세프 음사크니 | Youssef MSAKNI | 1990.10.28. | 87 / 17 | |
9 | 이삼 제발리 | Issam JEBALI | 1991.12.25. | 9 / 2 | ||
10 | 와흐비 카즈리 | Wahbi KHAZRI | 1991.02.08. | 71 / 24 | ||
11 | 타하 야신 케니시 | Taha Yassine KHENISSI | 1992.01.06. | 48 / 9 | ||
19 | 세이페딘 자지리 | Seifeddine JAZIRI | 1993.02.12. | 29 / 10 | ||
23 | 나임 슬리티 | Naïm SLITI | 1992.07.27. | 68 / 13 | ||
25 | 아니스 벤슬리만 | Anis BEN SLIMANE | 2001.03.16. | 24 / 4 | ||
감독: |
- 11월 14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튀니지 역시 골키퍼를 4명 발탁하는 엔트리를 구성했다. 또한 2021년에 처음 발탁된 이래 꾸준히 대표팀에 선발된 한니발 메브리가 최종 명단에 승선하며 관심을 끌었다. 카타르 스타스 리그 최고의 공격수로 알려진 유세프 음사크니는 30세가 넘은 나이에 드디어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게 되었다.
3.5. E조
3.5.1.
스페인
스페인은 16번째로 2022 FIFA World Cup™ 토너먼트에 참가합니다. 2010년, 'La Roja'는 유럽 대륙 이외의 지역에서 개최된 FIFA World Cup™에서 우승한 최초의 유럽 팀이 되었습니다.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Andres Iniesta가 극적인 연장전 골을 터뜨리며 1-0 승리를 거두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1-1 (H) | 2-1 (A) | 3-1 (H) | 1-2 (A) | 4-0 (H) | 2-0 (A) | 1-0 (A) | 1-0 (H) | |
예선 최종 성적: 8전 6승 1무 1패 |
| ||||||
Vamos España | ||||||
가자 스페인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로베르트 산체스 | Robert SÁNCHEZ | 1997.11.18. | 1 / 0 | |
13 | 다비드 라야 | David RAYA | 1995.09.15. | 1 / 0 | ||
23 | 우나이 시몬 | Unai SIMÓN | 1997.06.11. | 27 / 0 | ||
DF | 2 |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 César AZPILICUETA | 1989.08.28. | 41 / 1 | |
3 | 에릭 가르시아 | Eric GARCÍA | 2001.01.09. | 18 / 0 | ||
4 | 파우 토레스 | Pau TORRES | 1997.01.16. | 21 / 1 | ||
14 | 알레한드로 발데[A] | Alejandro BALDE | 2003.10.18. | 0 / 0 | ||
15 | 우고 기야몬 | Hugo GUILLAMÓN | 2000.01.31. | 3 / 1 | ||
18 | 조르디 알바 | Jordi ALBA | 1989.03.21. | 86 / 10 | ||
20 | 다니엘 카르바할 | Daniel CARVAJAL | 1992.01.11. | 30 / 0 | ||
24 | 에므리크 라포르트 | Aymeric LAPORTE | 1994.05.27. | 15 / 1 | ||
MF | 5 | 세르지오 부스케츠 | Sergio BUSQUETS | 1988.07.16. | 139 / 2 | |
6 | 마르코스 요렌테 | Marcos LLORENTE | 1995.01.30. | 17 / 0 | ||
8 | 코케 | KOKE | 1992.01.08. | 67 / 0 | ||
9 | 가비 | GAVI | 2004.08.05. | 12 / 1 | ||
16 | 로드리 | RODRI | 1996.06.22. | 34 / 1 | ||
19 | 카를로스 솔레르 | Carlos SOLER | 1997.01.02. | 11 / 3 | ||
26 | 페드리 | PEDRI | 2002.11.25. | 14 / 0 | ||
FW | 7 | 알바로 모라타 | Álvaro MORATA | 1992.10.23. | 57 / 27 | |
10 | 마르코 아센시오 | Marco ASENSIO | 1996.01.21. | 30 / 1 | ||
11 | 페란 토레스 | Ferran TORRES | 2000.02.29. | 30 / 13 | ||
12 | 니코 윌리암스 | Nico WILLIAMS | 2002.07.12. | 2 / 0 | ||
17 | 예레미 피노 | Yéremy PINO | 2002.10.20. | 6 / 1 | ||
21 | 다니 올모 | Dani OLMO | 1998.05.07. | 24 / 4 | ||
22 | 파블로 사라비아 | Pablo SARABIA | 1992.05.11. | 24 / 9 | ||
25 | 안수 파티 | Ansu FATI | 2002.10.31. | 4 / 1 | ||
감독: |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11월 2일까지 각종 스페인 언론에서 확인한 유출된 예비 명단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 중 최종 명단에 들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다비드 데헤아 | 알렉스 레미로 | 케파 아리사발라가
- DF: 세르지 로베르토 | 조니 카스트로 | 아르나우 마르티네스 | 이니고 마르티네스 | 디에고 요렌테 | 라울 알비올 | 세르히오 라모스 | 제라르 피케 | 이고르 수벨디아 |
알레한드로 발데| 마르코스 알론소 | 마르크 쿠쿠렐라 - MF: 미켈 메리노 | 브라이스 멘데스 | 세르히오 카날레스 | 티아고 알칸타라 | 오이안 산세트 | 가브리 베이가 | 미켈 오야르사발 | 알렉스 바에나 | 로드리고 리켈메
- FW: 제라르 모레노 | 로드리고 모레노 |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 이아고 아스파스 | 페란 주트글라
- 11월 18일, 호세 가야가 부상으로 하차하며 알레한드로 발데가 대체 발탁되었다.
- 역대 메이저 대회에 출전한 스페인 대표팀 스쿼드 중 가장 경험적으로 부족한 대표팀이라는 약점이 지적된다. A매치 140경기 출전이 확실시되는 세르지오 부스케츠나 역시 동 시대 스페인 전성기의 얼마 남지 않은 현역 멤버 조르디 알바, 들쭉날쭉했지만 꾸준히 대표팀에 뽑힌 알바로 모라타 등을 제외하곤 대부분이 A매치 50경기 이하의 어리고 경험이 적은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B조의 미국과 마찬가지로 2000년대 출생 선수들이 8명이나 포함된 스쿼드다.
3.5.2.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는 1990 FIFA World Cup™에서 데뷔했으며, 카타르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 6번째로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참가한 대회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을 만한 성과는 2014년에 우루과이, 이탈리아, 잉글랜드를 상대로 '죽음의 조'에서 1위를 차지하고 8강전에 진출하여 네덜란드에게 승부차기 끝에 아쉽게 패배한 것입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0-0 (A) | 0-1 (H) | 1-1 (H) | 0-0 (A) | 2-1 (H) | 1-2 (A) | 0-1 (A) | 2-1 (H) | |
| | | | | | | ||
1-0 (H) | 0-0 (A) | 1-0 (A) | 1-0 (H) | 2-1 (A) | 2-0 (H) | 1-0 (N) | ||
예선 최종 성적: 15전 8승 4무 3패| ■ 플레이오프 |
Hasta El Último Minuto | ||||||
마지막 순간까지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케일러 나바스 | Keylor NAVAS | 1986.12.15. | 107 / 0 | |
18 | 에스테반 알바라도 | Esteban ALVARADO | 1989.04.28. | 24 / 0 | ||
23 | 파트리크 세케이라 | Patrick SEQUEIRA | 1999.03.01. | 2 / 0 | ||
DF | 3 | 후안 파블로 바르가스 | Juan Pablo VARGAS | 1995.06.06. | 12 / 1 | |
4 | 케이셰르 풀레르 | Keysher FULLER | 1994.07.12. | 30 / 2 | ||
6 | 오스카르 두아르테 | Óscar DUARTE | 1989.06.03. | 69 / 3 | ||
8 | 브라이언 오비에도 | Bryan OVIEDO | 1990.02.18. | 75 / 2 | ||
15 | 프란시스코 칼보 | Francisco CALVO | 1992.07.08 | 75 / 8 | ||
16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 Carlos MARTÍNEZ | 1999.03.30. | 6 / 0 | ||
19 | 켄달 와스톤 | Kendall WASTON | 1988.01.01. | 61 / 7 | ||
22 | 로날드 마타리타 | Rónald MATARRITA | 1994.07.09. | 52 / 3 | ||
MF | 2 | 다니엘 차콘 | Daniel CHACÓN | 2001.04.11. | 8 / 0 | |
5 | 셀소 보르헤스 | Celso BORGES | 1988.05.27. | 153 / 25 | ||
9 | 주이슨 베넷 | Jewison BENNETTE | 2004.06.15. | 7 / 2 | ||
10 | 브라이언 루이스 | Bryan RUIZ | 1985.08.18. | 144 / 29 | ||
13 | 헤르손 토레스 | Gerson TORRES | 1997.08.28. | 13 / 1 | ||
14 | 유스틴 살라스 | Youstin SALAS | 1996.06.17. | 3 / 0 | ||
17 | 옐친 테헤다 | Yeltsin TEJEDA | 1992.03.17. | 72 / 0 | ||
20 | 브란돈 아길레라 | Brandon AGUILERA | 2003.06.28. | 4 / 0 | ||
21 | 더글라스 로페즈 | Douglas LÓPEZ | 1998.09.21. | 2 / 0 | ||
24 | 로안 윌슨 | Roan WILSON | 2002.05.01. | 2 / 0 | ||
25 | 안소니 에르난데스 | Anthony HERNÁNDEZ | 2001.10.11. | 2 / 1 | ||
26 | 알바로 자모라 | Álvaro ZAMORA | 2002.03.09. | 2 / 0 | ||
FW | 7 | 안토니 콘트레라스 | Anthony CONTRERAS | 2000.01.29. | 9 / 2 | |
11 | 요한 베네가스 | Johan VENEGAS | 1988.11.27. | 81 / 11 | ||
12 | 요엘 캄벨 | Joel CAMPBELL | 1992.06.26. | 118 / 25 | ||
감독: |
- 11월 3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K리그에서 뛰는 엘리아스 아길라르와 조나탄 모야는 엔트리에 탈락했다.
- 전통적으로 국내파는 알라후엘렌세, 에레디아노, 사프리사 3강 팀에서 대부분 배출한다. 이번 대회의 국내파는 대부분 CS 에레디아노 선수들로 차출했다. 또한 예년과 다르게 3강 이외의 구단들에서도 한 명씩 국가대표를 배출했는데, 산카를로스의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푼타레나스 FC의 안토니 에르난데스, 무니시팔 그레시아의 로안 윌손이 그들이다. 특히 안토니 에르난데스는 2001년생, 로안 윌손은 2002년생의 어린 선수들로, 팀의 미래로써 이번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 코스타리카 명단의 특징은 30대 초중반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8강 진출 황금 세대 멤버들 + 2000년대 이후 출생한 어린 유망주들로 조합했다는 것이다. 지금 한창 전성기의 나이여야 하는 20대 중후반의 선수들이 그렇게 많지 않으며, 베테랑 선수진과 유망주들의 조합이 어느 정도일지가 이번 월드컵에서 코스타리카의 이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겠다.
3.5.3.
독일
FIFA World Cup™ 결승 진출 8회 및 4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독일은 풍부한 토너먼트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 우승을 차지한 2014년 대회에서, 독일은 벨루오리존치의 Estadio Mineirao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7-1로 꺾고 승리를 거두며 대회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
3-0 (H) | 1-0 (A) | 1-2 (H) | 2-0 (A) | 6-0 (H) | 4-0 (A) | 2-1 (H) | 4-0 (A) | 9-0 (H) | 4-1 (A)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9승 0무 1패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마누엘 노이어 | Manuel NEUER | 1986.03.27. | 113 / 0 | |
12 | 케빈 트랍 | Kevin TRAPP | 1990.07.08. | 6 / 0 | ||
22 | 마르크안드레 테어 슈테겐 | Marc-André TER STEGEN | 1992.04.30. | 30 / 0 | ||
DF | 2 | 안토니오 뤼디거 | Antonio RÜDIGER | 1993.03.03. | 54 / 2 | |
3 | 다비트 라움 | David RAUM | 1998.04.22. | 11 / 0 | ||
4 | 마티아스 긴터 | Matthias GINTER | 1994.01.19. | 46 / 2 | ||
5 | 틸로 케러 | Thilo KEHRER | 1996.09.21. | 22 / 0 | ||
15 | 니클라스 쥘레 | Niklas SÜLE | 1995.09.03. | 42 / 1 | ||
16 | 루카스 클로스터만 | Lukas KLOSTERMANN | 1996.06.03. | 18 / 0 | ||
20 | 크리스티안 귄터 | Christian GÜNTER | 1993.02.28. | 6 / 0 | ||
23 | 니코 슐로터베크 | Nico SCHLOTTERBECK | 1999.12.01. | 5 / 0 | ||
25 | 아르멜 벨라코차프 | Armel BELLA-KOTCHAP | 2001.12.11. | 2 / 0 | ||
MF | 6 | 요주아 키미히 | Joshua KIMMICH | 1995.02.08. | 70 / 5 | |
8 | 레온 고레츠카 | Leon GORETZKA | 1995.02.06. | 44 / 14 | ||
11 | 마리오 괴체 | Mario GÖTZE | 1992.06.03. | 63 / 17 | ||
13 | 토마스 뮐러 | Thomas MÜLLER | 1989.09.13. | 118 / 44 | ||
14 | 자말 무시알라 | Jamal MUSIALA | 2003.02.26. | 17 / 1 | ||
17 | 율리안 브란트 | Julian BRANDT | 1996.05.02. | 38 / 3 | ||
18 | 요나스 호프만 | Jonas HOFMANN | 1992.07.14. | 16 / 4 | ||
19 | 리로이 자네 | Leroy SANÉ | 1996.01.11. | 47 / 11 | ||
21 | 일카이 귄도안 | İlkay GÜNDOĞAN | 1990.10.24. | 62 / 16 | ||
FW | 7 | 카이 하베르츠 | Kai HAVERTZ | 1999.06.11. | 30 / 10 | |
9 | 니클라스 퓔크루크 | Niclas FÜLLKRUG | 1993.02.09. | 1 / 1 | ||
10 | 세르주 그나브리 | Serge GNABRY | 1995.07.14. | 36 / 20 | ||
24 | 카림 아데예미 | Karim ADEYEMI | 2002.01.18. | 4 / 1 | ||
26 | 유수파 무코코 | Youssoufa MOUKOKO | 2004.11.20. | 1 / 0 | ||
감독: |
- 11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11월 3일, UEFA 챔피언스 리그 경기 도중 부상으로 티모 베르너가 2022년 동안 출전이 불가하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11월 10일, 마르코 로이스 또한 부상으로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독일 스포츠 언론지 Kicker에 따르면, 10월 21일에 FIFA로 55인의 예비 명단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비 명단에만 포함되고 최종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이번 대회 최연소 선수인 유수파 무코코에 가려졌지만, 자말 무시알라, 카림 아데예미 등의 특급 유망주들도 독일 대표팀에 무난히 승선해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마누엘 노이어, 토마스 뮐러, 마리오 괴체, 마티아스 긴터 등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우승 멤버들도 적잖이 승선하며 나름의 신구 조화는 잘 되었다는 평이다. 다만 2018년의 이변의 기억이 있어서인지 압도적인 전력으로 평가되지는 않는다.
3.5.4.
일본
일본은 1998 FIFA World Cup™에서 데뷔한 이후 연속으로 모든 토너먼트에 진출했습니다. 2002년에 일본은 대한민국과 공동으로 대회를 개최하고 조 우승을 차지하며 처음으로 16강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카타르에서 열리는 FIFA World Cup™에는 대회 7번째로 출전합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JPN] | |
2-0 (A) | 6-0 (H) | 3-0 (A) | 2-0 (A) | 14-0 (A) | 10-0 (H) | 4-1 (H) | 5-1 (H) | |||
| | | | | | | | | | |
0-1 (H) | 1-0 (N) | 0-1 (A) | 2-1 (H) | 1-0 (A) | 1-0 (A) | 2-0 (H) | 2-0 (H) | 2-0 (A) | 1-1 (H) | |
예선 최종 성적: 18전 15승 1무 2패 |
新しい景色を2022 | ||||||
새로운 무대, 2022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가와시마 에이지 | KAWASHIMA Eiji | 1983.03.20. | 95 / 0 | |
12 | 곤다 슈이치 | GONDA Shuichi | 1989.03.03. | 33 / 0 | ||
23 | 슈미트 다니엘 | SCHMIDT Daniel | 1992.02.03. | 11 / 0 | ||
DF | 2 | 야마네 미키 | YAMANE Miki | 1993.12.22. | 14 / 2 | |
3 | 타니구치 쇼고 | TANIGUCHI Shogo | 1991.07.15. | 13 / 0 | ||
4 | 이타쿠라 코 | ITAKURA Ko | 1997.01.27. | 12 / 1 | ||
5 | 나가토모 유토 | NAGATOMO Yuto | 1986.09.12. | 137 / 4 | ||
16 | 토미야스 타케히로 | TOMIYASU Takehiro | 1998.11.05. | 29 / 1 | ||
19 | 사카이 히로키 | SAKAI Hiroki | 1990.04.12. | 71 / 1 | ||
22 | 요시다 마야 | YOSHIDA Maya | 1988.08.24. | 121 / 12 | ||
26 | 이토 히로키 | ITO Hiroki | 1999.05.12. | 5 / 0 | ||
MF | 6 | 엔도 와타루 | ENDO Wataru | 1993.02.09. | 43 / 2 | |
7 | 시바사키 가쿠 | SHIBASAKI Gaku | 1992.05.28. | 59 / 3 | ||
8 | 도안 리츠 | DOAN Ritsu | 1998.06.16. | 28 / 3 | ||
9 | 미토마 카오루 | MITOMA Kaoru | 1997.05.20. | 9 / 5 | ||
10 | 미나미노 타쿠미 | MINAMINO Takumi | 1995.01.16. | 43 / 17 | ||
11 | 쿠보 타케후사 | KUBO Takefusa | 2001.06.04. | 19 / 1 | ||
13 | 모리타 히데마사 | MORITA Hidemasa | 1995.05.10. | 17 / 2 | ||
14 | 이토 준야 | ITO Junya | 1993.03.09. | 38 / 9 | ||
15 | 카마다 다이치 | KAMADA Daichi | 1996.08.05. | 21 / 6 | ||
17 | 다나카 아오 | TANAKA Ao | 1998.09.10. | 14 / 2 | ||
24 | 소마 유키 | SOMA Yuki | 1997.02.25. | 7 / 3 | ||
FW | 18 | 아사노 타쿠마 | ASANO Takuma | 1994.11.10. | 36 / 7 | |
20 | 마치노 슈토[A] | MACHINO Shuto | 1999.09.30. | 4 / 3 | ||
21 | 우에다 아야세 | UEDA Ayase | 1998.08.28. | 10 / 0 | ||
25 | 마에다 다이젠 | MAEDA Daizen | 1997.10.20. | 8 / 1 | ||
감독: |
- 11월 1일 14시에 예비 명단 없이 바로 최종 명단을 발표했으며 32개국 중 가장 빠르게 최종 명단을 발표한 국가가 되었다.
- 국내파는 7명에 불과하고 그 외 19명은 전부 해외파로 구성했다. 2018년 당시에도 해외파를 15명이나 뽑았는데 이번에는 그보다 더 많다. 특히 분데스리가 소속이 7명으로 일본 국내파숫자랑 같다. 특히 국내파 중 J1리그 2022 시즌 우승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선수들이 단 한 명도 없는 것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유럽파 중에서 나카지마 쇼야, 하라구치 겐키, 후루하시 쿄고, 하타테 레오, 세코 아유무, 스가와라 유키나리 등이 엔트리에서 탈락했다. 국내파의 경우는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참가 선수들은 타니구치 쇼고, 야마네 미키, 소마 유키를 제외하면 전부 엔트리에서 탈락했다.
- 11월 4일, 나카야마 유타가 소속팀 허더스필드의 리그 경기에서 입은 아킬레스건 부상으로 올해 내 출전이 불가능하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후 쇼난 벨마레의 마치노 슈토를 대체 발탁하면서 국내파가 7명으로 늘었다.
- 미토마 카오루가 갑작스런 고열 증상으로 14일에 예정된 카타르 입국을 취소했다. 언제 합류가 가능한지가 불투명한 상황이라 JFA 측에서도 곤두세운 상황이었지만. 다행스럽게도 17일 밤에 카타르 도하에 도착한다는 공식 발표가 있었다.
3.6. F조
3.6.1.
벨기에
'Red Devils'라고도 알려진 벨기에는 1930년에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첫번째 FIFA World Cup™에 참가한 다른 12개 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1986년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한 이후, 2018 FIFA World Cup™에서 잉글랜드를 2-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로 성공적인 토너먼트를 즐겼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3-1 (H) | 1-1 (A) | 8-0 (H) | 5-2 (A) | 3-0 (H) | 1-0 (A) | 3-1 (H) | 1-1 (A) | |
예선 최종 성적: 8전 6승 2무 0패 |
DEVIL TIME | ||||||
악마의 시간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티보 쿠르투아 | Thibaut COURTOIS | 1992.05.11. | 96 / 0 | |
12 | 시몬 미뇰레 | Simon MIGNOLET | 1988.03.06. | 35 / 0 | ||
13 | 쿤 카스테일스 | Koen CASTEELS | 1992.06.25. | 4 / 0 | ||
DF | 2 | 토비 알데르베이럴트 | Toby ALDERWEIRELD | 1989.03.02. | 123 / 5 | |
3 | 아르투르 테아테 | Arthur THEATE | 2000.05.25. | 3 / 0 | ||
4 | 바우트 파스 | Wout FAES | 1998.04.03. | 1 / 0 | ||
5 | 얀 베르통언 | Jan VERTONGHEN | 1987.04.24. | 141 / 9 | ||
19 | 레안더르 덴동커르 | Leander DENDONCKER | 1995.04.15. | 29 / 1 | ||
26 | 제노 데바스트 | Zeno DEBAST | 2003.10.24. | 2 / 0 | ||
MF | 6 | 악셀 비첼 | Axel WITSEL | 1989.01.12. | 126 / 12 | |
7 | 케빈 더 브라위너 | Kevin DE BRUYNE | 1991.06.28. | 93 / 25 | ||
8 | 유리 틸레만스 | Youri TIELEMANS | 1997.05.07. | 54 / 5 | ||
15 | 토마 뫼니에 | Thomas MEUNIER | 1991.09.12. | 58 / 8 | ||
16 | 토르간 아자르 | Thorgan HAZARD | 1993.03.29. | 45 / 9 | ||
18 | 아마두 오나나 | Amadou ONANA | 2001.08.16. | 2 / 0 | ||
20 | 한스 파나컨 | Hans VANAKEN | 1992.08.24. | 22 / 5 | ||
21 | 티모시 카스타뉴 | Timothy CASTAGNE | 1995.12.05. | 25 / 2 | ||
FW | 9 | 로멜루 루카쿠 | Romelu LUKAKU | 1993.05.13. | 102 / 68 | |
10 | 에덴 아자르 | Eden HAZARD | 1991.01.07. | 122 / 33 | ||
11 | 야닉 카라스코 | Yannick CARRASCO | 1993.09.04. | 59 / 8 | ||
14 | 드리스 메르텐스 | Dries MERTENS | 1987.05.06. | 106 / 21 | ||
17 | 레안드로 트로사르 | Leandro TROSSARD | 1994.12.04. | 21 / 5 | ||
22 | 샤를 더케텔라러 | Charles DE KETELAERE | 2001.03.10. | 10 / 1 | ||
23 | 미시 바추아이 | Michy BATSHUAYI | 1993.10.02. | 47 / 26 | ||
24 | 로이스 오펜다 | Loïs OPENDA | 2000.02.16. | 4 / 1 | ||
25 | 제레미 도쿠 | Jérémy DOKU | 2002.05.27. | 10 / 2 | ||
감독: |
- 10월 30일 예비 명단을 발표했으며, 11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예비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최종 명단에 뽑히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마츠 셀스 | 헨드릭 판크롬브뤼허
- DF: 제이슨 드나예르 | 데드리크 보야타 | 토마 포케 | 브랜던 메헬러 | 세바스티안 보르나우 | 지베 판데르헤이던 | 하네스 델크루아 | 진호 판회스던 | 코니 더빈터르 | 막심 더카위퍼르
- MF: 나세르 샤들리 | 데니스 프라트 | 알렉시스 살레마커스 | 야리 페르스하런 | 오렐 망갈라 | 알베르 삼비 로콩가 | 로메오 라비아 | 브라이언 헤이넌 | 아스터 브랑크스 | 프란시스 아무주 | 쥘리앵 듀렁빌 | 마티스 사무아즈
- FW: 크리스티앙 벤테케 | 디보크 오리기 | 아드낭 야누자이 | 도디 루케바키오 | 마이크 트레소르 | 마리오 스트로이켕
- 기존 황금세대의 주축인 에덴 아자르, 로멜루 루카쿠, 드리스 메르턴스, 케빈 더 브라위너 등 공격 에이스들의 마지막 불꽃을 태울 대회라고 예측된다. 또한 샤를 더케텔라러, 제레미 도쿠, 제노 데바스트 등 이들의 뒤를 이을 것이라 여겨지는 유망주들의 월드컵 데뷔 무대가 될 전망이다.
3.6.2.
캐나다
캐나다는 1986년 FIFA World Cup™에 유일하게 출전했으며, 2021년에 FIFA에서 'Most Improved Side(가장 발전한 팀)'로 선정된 후 유망한 아웃사이더로서 카타르로 향합니다. 캐나다는 예선에서 멕시코와 미국을 상대로 승리하는 등 14경기에서 8승을 거두고 CONCACAF 3라운드 그룹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놀라운 성과를 보여줬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USA] |
5-1 (N) | 11-0 (N) | 7-0 (N) | 4-0 (N) | 1-0 (A) | 3-0 (H) | ||
| | | | | | | |
1-1 (H) | 1-1 (A) | 3-0 (H) | 1-1 (A) | 0-0 (A) | 4-1 (H) | 1-0 (H) | |
| | | | | | | |
2-1 (H) | 2-0 (A) | 2-0 (H) | 2-0 (A) | 0-1 (A) | 4-0 (H) | 0-1 (A) | |
예선 최종 성적: 20전 14승 4무 2패 |
| ||||||
WECAN | ||||||
우리는 할 수 있다[42]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데인 세인트클레어 | Dayne St. CLAIR | 1997.05.09. | 2 / 0 | |
16 | 제임스 판테미스 | James PANTEMIS | 1997.02.21. | 0 / 0 | ||
18 | 밀란 보르얀 | Milan BORJAN | 1987.10.23. | 67 / 0 | ||
DF | 2 | 앨리스테어 존스턴 | Alistair JOHNSTON | 1998.10.08. | 29 / 1 | |
3 | 샘 아데커비 | Sam ADEKUGBE | 1995.01.16. | 33 / 1 | ||
4 | 카말 밀러 | Kamal MILLER | 1997.05.16. | 28 / 0 | ||
5 | 스티븐 비토리아 | Steven VITÓRIA | 1987.01.11. | 34 / 3 | ||
22 | 리치 라레이아 | Richie LARYEA | 1995.01.07. | 33 / 1 | ||
25 | 데릭 코넬리우스 | Derek CORNELIUS | 1997.11.25. | 14 / 0 | ||
26 | 조엘 워터먼 | Joel WATERMAN | 1996.01.24. | 1 / 0 | ||
MF | 6 | 사뮈엘 피에트 | Samuel PIETTE | 1994.11.12. | 65 / 0 | |
7 | 스테픈 유스타키오 | Stephen EUSTÁQUIO | 1996.12.21. | 26 / 3 | ||
8 | 리암 프레이저 | Liam FRASER | 1998.02.13. | 15 / 0 | ||
10 | 주니어 호일렛 | Junior HOILETT | 1990.06.05. | 49 / 14 | ||
13 | 애티바 허친슨 | Atiba HUTCHINSON | 1983.02.08. | 97 / 9 | ||
14 | 마크앤서니 케이 | Mark-Anthony KAYE | 1994.12.04. | 37 / 2 | ||
15 | 이스마엘 코네 | Ismaël KONÉ | 2002.06.06. | 5 / 1 | ||
21 | 조너선 오소리오 | Jonathan OSORIO | 1992.06.12. | 56 / 7 | ||
23 | 리암 밀러 | Liam MILLAR | 1999.09.27. | 16 / 0 | ||
24 | 데이비드 워더스푼 | David WOTHERSPOON | 1990.01.16. | 10 / 1 | ||
FW | 9 | 루카스 카발리니 | Lucas CAVALLINI | 1992.12.28. | 33 / 17 | |
11 | 테이존 뷰캐넌 | Tajon BUCHANAN | 1999.02.08. | 25 / 4 | ||
12 | 이케 우그보 | Iké UGBO | 1998.09.21. | 8 / 0 | ||
17 | 카일 래린 | Cyle LARIN | 1995.04.17. | 54 / 25 | ||
19 | 알폰소 데이비스 | Alphonso DAVIES | 2000.11.02. | 34 / 12 | ||
20 | 조너선 데이비드 | Jonathan DAVID | 2000.01.14. | 34 / 22 | ||
감독: |
- 11월 13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근육 부상을 입었다는 알폰소 데이비스가 일단 합류했다. 11월 3일에 발표한 MLS 선수로만 구성된 최종 소집 명단 중 최종 명단에 들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세네갈, 웨일스와 함께 자국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단 한 명도 없는 팀이다. 다만 CF 몽레알, 토론토 FC, 벤쿠버 화이트캡스 FC 등 메이저 리그 사커에 참가하는 캐나다 연고 팀 소속은 있다.
- 2021년 골드컵 4강 멤버가 주축이 되었고, 이후 합류한 여러 유망주까지 합쳐 나름 최상의 전력으로 엔트리를 구성했다. 대표팀 주장이자 레전드 애티바 허친슨은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출전할 경우 센추리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
3.6.3.
모로코
모로코는 CAF 예선 3차전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을 합산 점수 5-2로 꺾고 6번째로 FIFA World Cup™에 진출했습니다. 16년 만에 처음으로 대회에 진출한 1986년, 모로코는 폴란드와 잉글랜드를 상대로 모두 득점 없이 무승부를 기록하고 포르투갈을 3-1로 제압하며 FIFA World Cup™에서 조 1위를 차지한 최초의 아프리카 국가대표팀이 되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2-0 (H) | 5-0 (H) | 3-0 (A) | 4-1 (A) | 3-0 (H) | 3-0 (H) | 1-1 (A) | 4-1 (H) | |
예선 최종 성적: 8전 7승 1무 0패 | ■ 최종예선 |
| ||||||
Dima Maghrib | ||||||
언제나 모로코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야신 부누 | Yassine BOUNOU | 1991.04.05. | 45 / 0 | |
12 | 무니르 모하메디 | Munir MOHAMEDI | 1989.05.10. | 43 / 0 | ||
22 | 아흐메드 레다 타냐우티 | Ahmed Reda TAGNAOUTI | 1996.04.05. | 3 / 0 | ||
DF | 2 | 아슈라프 하키미 | Achraf HAKIMI | 1998.11.04. | 53 / 8 | |
3 | 누사이르 마즈라위 | Noussair MAZRAOUI | 1997.11.14. | 14 / 2 | ||
5 | 나예프 아게르드 | Nayef AGUERD | 1996.03.30. | 25 / 1 | ||
6 | 로맹 사이스 | Romain SAÏSS | 1990.03.26. | 65 / 1 | ||
18 | 자와드 엘 야미크 | Jawad EL YAMIQ | 1992.02.29. | 18 / 2 | ||
20 | 아슈라프 다리 | Achraf DARI | 1999.05.06. | 4 / 0 | ||
24 | 바드르 바눈 | Badr BENOUN | 1993.09.30. | 15 / 5 | ||
25 | 야히아 아티야트 알라 | Yahia ATTIYAT ALLAH | 1995.03.02. | 3 / 0 | ||
MF | 4 | 소피앙 암라바트 | Sofyan AMRABAT | 1996.08.21. | 38 / 0 | |
7 | 하킴 지예흐 | Hakim ZIYECH | 1993.03.19. | 42 / 17 | ||
8 | 아제딘 우나히 | Azzedine OUNAHI | 2000.04.19. | 9 / 2 | ||
10 | 아나스 자루리[A] | Anass ZAROURY | 2000.11.07. | 0 / 0 | ||
13 | 일리아스 샤이르 | Ilias CHAIR | 1997.10.30. | 10 / 1 | ||
14 | 자카리아 아부클랄 | Zakaria ABOUKHLAL | 2000.02.18. | 13 / 2 | ||
15 | 셀림 아말라 | Selim AMALLAH | 1996.11.15. | 23 / 4 | ||
17 | 소피앙 부팔 | Sofiane BOUFAL | 1993.09.17. | 31 / 5 | ||
23 | 빌랄 엘 카누스 | Bilal EL KHANNOUS | 2004.05.10. | 0 / 0 | ||
26 | 야히아 자브란 | Yahya JABRANE | 1991.06.18. | 16 / 2 | ||
FW | 9 | 압데라자크 함달라 | Abderrazak HAMDALLAH | 1990.12.17. | 17 / 6 | |
11 | 압델하미드 사비리 | Abdelhamid SABIRI | 1996.11.28. | 2 / 1 | ||
16 | 압데 에잘줄리 | Abde EZZALZOULI | 2001.12.17. | 2 / 0 | ||
19 | 유세프 엔네시리 | Youssef EN-NESYRI | 1997.06.01. | 49 / 14 | ||
21 | 왈리드 셰디라 | Walid CHEDDIRA | 1998.01.22. | 2 / 0 | ||
감독: |
- 11월 10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당초 월드컵 본선행을 이끈 바히드 할릴호지치가 하킴 지예시와 같은 몇몇 주요 선수들과의 불화와 불거진 연맹과의 갈등으로 인해 8월 전격 경질되고, 후임 감독으로 자국의 왈리드 레그라기를 긴급 선임했다.
- 11월 18일 아민 하릿이 전방 십자인대 파열로 대표팀에서 하차하였다. 대체 선수로 번리 FC의 아나스 자루리를 발탁했다.
- 새 감독 왈리드 레그라귀 취임 이후 하킴 지예시와 누사이르 마즈라위를 대표팀에 재발탁했다. 또한 새로운 모로코계 해외 교포 혈통 유망주들을 대거 끌어오는데 성공했다. 벨기에계의 빌랄 엘 카누스가 모로코 대표팀 데뷔를 월드컵 본선에서 할 가능성이 생겼으며, 스페인 대표팀의 러브콜을 받아 2022년 초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소집을 거절한 압데 에잘줄리도 다시 모로코를 택하며 합류했다.
3.6.4.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는 1998년 FIFA World Cup™에 처음 출전한 이래로 단 한 번을 제외하고는 모든 토너먼트에 진출했습니다. 1998년 대회에서는 국가 레전드 Davor Suker가 팀을 3위로 이끌었습니다. 크로아티아는 가장 최근인 2018년 대회에서 결승전까지 향하는 치열한 여정 끝에 프랑스에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Luka Modric는 당시 토너먼트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
0-1 (A) | 1-0 (H) | 3-0 (H) | 0-0 (A) | 1-0 (A) | 3-0 (H) | 3-0 (A) | 2-2 (H) | 7-1 (A) | 1-0 (H)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7승 2무 1패 |
Obitelj | ||||||
가족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 Dominik LIVAKOVIĆ | 1995.01.09. | 33 / 0 | |
12 | 이보 그르비치 | Ivo GRBIĆ | 1996.01.18. | 2 / 0 | ||
23 | 이비차 이부시치 | Ivica IVUŠIĆ | 1995.02.01. | 5 / 0 | ||
DF | 2 | 요시프 스타니시치 | Josip STANIŠIĆ | 2000.04.02. | 6 / 0 | |
3 | 보르나 바리시치 | Borna BARIŠIĆ | 1992.11.10. | 27 / 1 | ||
5 | 마르틴 에를리치 | Martin ERLIĆ | 1998.01.24. | 3 / 0 | ||
6 | 데얀 로브렌 | Dejan LOVREN | 1989.07.05. | 71 / 5 | ||
19 | 보르나 소사 | Borna SOSA | 1998.01.21. | 8 / 1 | ||
20 | 요슈코 그바르디올 | Joško GVARDIOL | 2002.01.23. | 12 / 1 | ||
21 | 도마고이 비다 | Domagoj VIDA | 1989.04.09. | 99 / 4 | ||
22 | 요시프 유라노비치 | Josip JURANOVIĆ | 1995.08.16. | 21 / 0 | ||
24 | 요시프 슈탈로 | Josip ŠUTALO | 2000.02.28. | 3 / 0 | ||
MF | 7 | 로브로 마예르 | Lovro MAJER | 1998.01.17. | 10 / 3 | |
8 | 마테오 코바치치 | Mateo KOVAČIĆ | 1994.05.06. | 83 / 3 | ||
10 | 루카 모드리치 | Luka MODRIĆ | 1985.09.09. | 154 / 23 | ||
11 |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 Marcelo BROZOVIĆ | 1992.11.16. | 76 / 7 | ||
13 | 니콜라 블라시치 | Nikola VLAŠIĆ | 1997.10.04. | 41 / 7 | ||
15 | 마리오 파샬리치 | Mario PAŠALIĆ | 1995.02.09. | 42 / 7 | ||
25 | 루카 수치치 | Luka SUČIĆ | 2002.09.08. | 3 / 0 | ||
26 | 크리스티얀 야키치 | Kristijan JAKIĆ | 1997.05.14. | 4 / 0 | ||
FW | 4 | 이반 페리시치 | Ivan PERIŠIĆ | 1989.02.02. | 115 / 32 | |
9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 Andrej KRAMARIĆ | 1991.06.19. | 73 / 19 | ||
14 | 마르코 리바야 | Marko LIVAJA | 1993.08.26. | 14 / 3 | ||
16 | 브루노 페트코비치 | Bruno PETKOVIĆ | 1994.09.16. | 22 / 6 | ||
17 | 안테 부디미르 | Ante BUDIMIR | 1991.07.22. | 15 / 1 | ||
18 | 미슬라브 오르시치 | Mislav ORŠIĆ | 1992.12.29. | 20 / 1 | ||
감독: |
- 10월 31일에 예비 명단을, 11월 9일에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예비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최종 명단에 들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도미니크 코타르스키 | 네딜리코 라브로비치
- DF: 두예 찰레타차르 | 마린 폰그라치치
- MF: 루카 이바누셰츠 | 요시프 미시치
- FW: 요시프 브레칼로 | 안토니오 촐라크 | 안테 레비치
- UEFA 유로 2020을 거치며 2018 월드컵 준우승 멤버들을 1차적으로 세대교체 한 상황이다. 이 기조를 월드컵 본선에서도 이어간다. 하지만 그 와중에서도 루카 모드리치는 여전히 팀의 중심으로 굳건하여 자신의 네번째 월드컵 출전을 달성하게 되었다.[45] 이외에도 이반 페리시치,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도마고이 비다 등 요소요소에 베테랑들이 중심을 잡아줘, 다소 전력이 약화되었다는 평이지만 16강 진출은 낙관적이다. 여기에 K리그에서 커리어 반전을 이뤄낸 역전 스토리의 주인공 미슬라브 오르시치가 월드컵 엔트리에 발탁되는데 성공했다.
3.7. G조
3.7.1.
브라질
브라질은 2022 FIFA World Cup™에 22번째로 연속 출전합니다. 1958년, 1962년, 1970년, 1994년, 2002년에 각각 총 5회의 FIFA World Cup™ 우승을 달성한 기록 타이틀 보유자들은 카타르에서도 또 한 번 성공을 거두기를 희망합니다. 브라질은 빛나는 기록을 세웠을 뿐 아니라, 각각 다른 4개 대륙에서 모두 축구계에서 가장 영광스러운 트로피를 들어 올린 유일한 팀이기도 합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5-0 (H) | 4-2 (A) | 1-0 (H) | 2-0 (A) | 2-0 (H) | 2-0 (A) | 1-0 (A) | 2-0 (H) | 3-1 (A) | |
| | | | | | | | | |
0-0 (A) | 4-1 (H) | 1-0 (H) | 0-0 (A) | 1-1 (A) | 4-0 (H) | 4-0 (H) | 4-0 (A) | - (H)[46] | |
예선 최종 성적: 17전 14승 3무 0패 |
|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알리송 베케르 | Alisson BECKER | 1992.10.02. | 57 / 0 | |
12 | 웨베르통 | WEVERTON | 1987.12.13. | 11 / 0 | ||
23 | 에데르송 모라에스 | EDERSON Moraes | 1993.08.17. | 18 / 0 | ||
DF | 2 | 다닐루 | DANILO | 1991.07.15. | 46 / 1 | |
3 | 티아고 실바 | Thiago SILVA | 1984.09.22. | 109 / 7 | ||
4 | 마르퀴뇨스 | MARQUINHOS | 1994.05.14. | 71 / 5 | ||
6 | 알렉스 산드루 | Alex SANDRO | 1991.01.26. | 37 / 2 | ||
13 | 다니 알베스 | Dani ALVES | 1983.05.06. | 125 / 8 | ||
14 | 에데르 밀리탕 | Éder MILITÃO | 1998.01.18. | 23 / 1 | ||
16 | 알렉스 텔리스 | Alex TELLES | 1992.12.15. | 8 / 0 | ||
24 | 글레이송 브레머 | Gleison BREMER | 1997.03.18. | 1 / 0 | ||
MF | 5 | 카세미루 | CASEMIRO | 1992.02.23. | 65 / 5 | |
7 | 루카스 파케타 | Lucas PAQUETÁ | 1997.08.27. | 35 / 7 | ||
8 | 프레드 | FRED | 1993.03.05. | 28 / 0 | ||
15 | 파비뉴 | FABINHO | 1993.10.23. | 28 / 0 | ||
17 | 브루누 기마랑이스 | Bruno GUIMARÃES | 1997.11.16. | 8 / 1 | ||
22 | 에베르통 히베이루 | Éverton RIBEIRO | 1989.04.10. | 22 / 3 | ||
FW | 9 | 히샬리송 | RICHARLISON | 1997.05.10. | 38 / 17 | |
10 | 네이마르 주니오르 | NEYMAR Júnior | 1992.02.05. | 121 / 75 | ||
11 | 하피냐 | RAPHINHA | 1996.12.14. | 11 / 5 | ||
18 | 가브리에우 제주스 | Gabriel JESUS | 1997.04.03. | 56 / 19 | ||
19 | 안토니 | ANTONY | 2000.02.24. | 11 / 2 | ||
20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VINíCIUS Júnior | 2000.07.12. | 16 / 1 | ||
21 | 호드리구 | RODRYGO | 2001.01.09. | 7 / 1 | ||
25 | 페드루 | PEDRO | 1997.06.20. | 2 / 1 | ||
26 |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 Gabriel MARTINELLI | 2001.06.18. | 3 / 0 | ||
감독: |
- 11월 7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 필리페 쿠티뉴가 햄스트링 부상으로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대신 아스날에서 맹활약하는 가브리엘 마르티넬리를 깜짝 발탁했다. 폼이 올라온 호베르투 피르미누와 국가대표팀에 자주 승선한 마테우스 쿠냐, 그 외 비교적 최근에 대표팀에 선발된 헤낭 로지,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호제르 이바녜스와 국내파로는 가브리에우 바르보자, 2001년생 다닐루 등이 제외된 것이 특징이다.
- 국내파 중 리그 우승팀인 SE 파우메이라스의 웨베르통, CR 플라멩구의 페드루, 에베르통 히베이루가 뽑혔다. 특히 페드루의 깜짝 발탁에 대한 페드루 본인의 반응이 화제다.
3.7.2.
스위스
스위스는 무패 행진이라는 인상적인 기록으로 예선을 통과하여 2022 FIFA World Cup™ 토너먼트로 향합니다. 그리고 8강에 진출하여 역대 최고 성적을 다시 한번 달성하려고 합니다. 스위스는 1994년부터 2010년까지 무실점을 기록하여 FIFA World Cup™에서 최장 시간 무실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3-1 (A) | 1-0 (A) | 0-0 (H) | 0-0 (A) | 2-0 (H) | 4-0 (A) | 1-1 (A) | 4-0 (H) | |
예선 최종 성적: 8전 5승 3무 0패 |
| ||||||
Nati mit euch | ||||||
그대들과 함께하는 국가대표팀[47]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얀 조머 | Yann SOMMER | 1988.12.27. | 76 / 0 | |
12 | 요나스 오믈린 | Jonas OMLIN | 1994.01.10. | 4 / 0 | ||
21 | 그레고어 코벨 | Gregor KOBEL | 1997.12.06. | 3 / 0 | ||
24 | 필리프 쾬 | Philipp KÖHN | 1998.04.12. | 0 / 0 | ||
DF | 2 | 에디밀송 페르난드스 | Edimilson FERNANDES | 1996.04.15. | 22 / 2 | |
3 | 질반 비드머 | Silvan WIDMER | 1993.03.05. | 33 / 2 | ||
4 | 니코 엘베디 | Nico ELVEDI | 1996.09.30. | 40 / 1 | ||
5 | 마누엘 아칸지 | Manuel AKANJI | 1995.07.19. | 42 / 1 | ||
11 | 레나토 슈테펜 | Renato STEFFEN | 1991.11.03. | 27 / 1 | ||
13 |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 Ricardo RODRÍGUEZ | 1992.08.25. | 100 / 9 | ||
18 | 에라이 죄메르트 | Eray CÖMERT | 1998.02.04. | 9 / 0 | ||
22 | 파비안 셰어 | Fabian SCHÄR | 1992.12.20. | 72 / 8 | ||
MF | 6 | 데니스 자카리아 | Denis ZAKARIA | 1996.11.20. | 42 / 3 | |
8 | 레모 프로일러 | Remo FREULER | 1992.04.15. | 48 / 5 | ||
10 | 그라니트 자카 | Granit XHAKA | 1992.09.27. | 106 / 12 | ||
14 | 미셸 애비셔 | Michel AEBISCHER | 1997.01.06. | 11 / 0 | ||
15 | 지브릴 소우 | Djibril SOW | 1997.02.06. | 32 / 0 | ||
16 | 크리스티안 파스나흐트 | Christian FASSNACHT | 1993.11.11. | 15 / 4 | ||
20 | 파비안 프라이 | Fabian FREI | 1989.04.12. | 22 / 3 | ||
23 | 제르단 샤키리 | Xherdan SHAQIRI | 1991.10.10. | 108 / 26 | ||
25 | 파비안 리더 | Fabian RIEDER | 2002.02.16. | 0 / 0 | ||
26 | 아르돈 야샤리 | Ardon JASHARI | 2002.06.30. | 1 / 0 | ||
FW | 7 | 브렐 엠볼로 | Breel EMBOLO. | 1997.02.14 | 58 / 11 | |
9 | 하리스 세페로비치 | Haris SEFEROVIĆ | 1992.02.22. | 88 / 25 | ||
17 | 루벤 바르가스 | Ruben VARGAS | 1998.08.05. | 26 / 4 | ||
19 | 노아 오카포 | Noah OKAFOR | 2000.05.24. | 8 / 2 | ||
감독: |
11월 9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32개국 중 처음으로 골키퍼 4명을 본선 엔트리에 발탁한 팀이다. 이는 월드컵 역사상으로 범위를 넓혀봐도 최초의 케이스다. 전문가들은 얀 조머가 부상 복귀를 했기 때문에 폼이 올라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했다고 보는 편이다.
3.7.3.
세르비아
세르비아는 1930년과 1962년에 각각 우루과이와 칠레에서 4위를 차지하며 남미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특히 성공적인 기록을 달성하는 등 다채로운 FIFA World Cup™ 이력이 있습니다. 세르비아는 UEFA 예선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터뜨리며 리스본에서 포르투갈을 꺾고 극적으로 카타르행 티켓을 확보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3-2 (H) | 2-2 (H) | 2-1 (A) | 4-1 (H) | 1-1 (A) | 1-0 (A) | 3-1 (H) | 2-1 (A) | |
예선 최종 성적: 8전 6승 2무 0패 |
Srcem Svim | ||||||
나의 심장 속에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마르코 드미트로비치 | Marko DMITROVIĆ | 1992.01.24. | 19 / 0 | |
12 |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 Predrag RAJKOVIĆ | 1995.10.31. | 28 / 0 | ||
23 |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 Vanja MILINKOVIĆ-SAVIĆ | 1997.02.20. | 6 / 0 | ||
DF | 2 |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 Strahinja PAVLOVIĆ | 2001.05.24. | 21 / 1 | |
3 | 스트라히냐 에라코비치 | Strahinja ERAKOVIĆ | 2001.01.22. | 1 / 0 | ||
4 | 니콜라 밀렌코비치 | Nikola MILENKOVIĆ | 1997.10.12. | 37 / 3 | ||
5 | 밀로시 벨코비치 | Miloš VELJKOVIĆ | 1995.09.26. | 21 / 0 | ||
13 | 스테판 미트로비치 | Stefan MITROVIĆ | 1990.05.22. | 34 / 0 | ||
15 | 스르잔 바비치 | Srđan BABIĆ | 1996.04.22. | 2 / 0 | ||
25 | 필립 믈라데노비치 | Filip MLADENOVIĆ | 1991.08.15. | 19 / 1 | ||
MF | 6 | 네마냐 막시모비치 | Nemanja MAKSIMOVIĆ | 1995.01.26. | 39 / 0 | |
8 | 네마냐 구데이 | Nemanja GUDELJ | 1991.11.16. | 48 / 1 | ||
14 | 안드리야 지브코비치 | Andrija ŽIVKOVIĆ | 1996.07.11. | 28 / 1 | ||
16 | 사샤 루키치 | Saša LUKIĆ | 1996.08.13. | 32 / 2 | ||
17 | 필립 코스티치 | Filip KOSTIĆ | 1992.11.01. | 50 / 3 | ||
19 | 우로스 라치치 | Uroš RAČIĆ | 1998.03.17. | 9 / 0 | ||
20 |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 Sergej MILINKOVIĆ-SAVIĆ | 1995.02.27. | 35 / 6 | ||
22 | 다르코 라조비치 | Darko LAZOVIĆ | 1990.09.15. | 26 / 0 | ||
24 | 이반 일리치 | Ivan ILIĆ | 2001.03.17. | 5 / 0 | ||
26 | 마르코 그루이치 | Marko GRUJIĆ | 1996.04.13. | 17 / 0 | ||
FW | 7 | 네마냐 라도니치 | Nemanja RADONJIĆ | 1996.02.15. | 36 / 5 | |
9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 Aleksandar MITROVIĆ | 1994.09.16. | 76 / 50 | ||
10 | 두샨 타디치 | Dušan TADIĆ | 1988.11.20. | 90 / 18 | ||
11 | 루카 요비치 | Luka JOVIĆ | 1997.12.23. | 28 / 9 | ||
18 | 두샨 블라호비치 | Dušan VLAHOVIĆ | 2000.01.28. | 16 / 8 | ||
21 | 필립 주리치치 | Filip ĐJURIČIĆ | 1992.01.30. | 36 / 4 | ||
감독: |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밀린코비치사비치 형제를 포함해 밀로시 벨코비치, 네마냐 막시모비치, 안드리야 지브코비치, 마르코 그루이치 등 U-20 월드컵 우승 멤버들이 주축으로 참가한다. 거기에 두샨 블라호비치와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라는 수준급 공격수, 필립 코스티치와 같은 대표팀 베테랑들이 적절히 어우러져 4년 전보다도 전력이 좋다는 평이다. 스위스와의 2위 싸움이 백중세로 평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3.7.4.
카메룬
카메룬은 FIFA World Cup™ 본선에 8회 진출하며 다른 어떤 아프리카 국가보다 더 많은 진출 기록을 세웠습니다. '불굴의 사자들(Indomitable Lions)'은 1990 FIFA World Cup™ 토너먼트 개막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꺾고 같은 해에 아프리카 팀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2-0 (H) | 1-2 (A) | 3-1 (H) | 1-0 (A) | 4-0 (A) | 1-0 (H) | 0-1 (H) | 2-1 aet (A) | |
예선 최종 성적: 8전 6승 0무 2패 | ■ 최종예선 |
LET’S ROAR TOGETHER | ||||||
다함께 포효하자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시몬 은가판두에튼부 | Simon NGAPANDOUETNBU | 2003.04.12. | 0 / 0 | |
16 | 드비 에파시 | Devis EPASSY | 1993.02.02. | 5 / 0 | ||
23 | 안드레 오나나 | André ONANA | 1996.04.02. | 32 / 0 | ||
DF | 2 | 제롬 음베켈리 | Jerome MBEKELI | 1998.09.30. | 2 / 0 | |
3 | 니콜라 은쿨루 | Nicolas NKOULOU | 1990.03.27. | 75 / 2 | ||
4 | 크리스토퍼 우 | Christopher WOOH | 2001.09.18. | 1 / 0 | ||
17 | 올리비에 음베조 | Olivier MBAIZO | 1997.08.15. | 11 / 0 | ||
19 | 콜랭 패 | Collins FAI | 1992.11.23. | 50 / 0 | ||
21 | 장샤를 카스텔레토 | Jean-Charles CASTELLETTO | 1995.01.26. | 13 / 0 | ||
24 | 엔조 에보스 | Enzo EBOSSE | 1999.03.11. | 0 / 0 | ||
25 | 누후 톨로 | Nouhou TOLO | 1997.06.23. | 17 / 0 | ||
MF | 5 | 가엘 옹두아 | Gaël ONDOUA | 1995.11.04. | 4 / 0 | |
7 | 조르주케빈 은쿠두 | Georges-Kévin NKOUDOU | 1995.02.13. | 1 / 0 | ||
8 | 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 André-Frank ZAMBO ANGUISSA | 1995.11.16. | 42 / 5 | ||
14 | 사뮈엘 구에 | Samuel Oum GOUET | 1997.12.14. | 21 / 0 | ||
15 | 피에르 쿤데 | Pierre Kunde MALONG | 1995.07.26. | 31 / 1 | ||
18 | 마르탱 옹글라 | Martin HONGLA | 1998.03.16. | 18 / 0 | ||
22 | 올리비에 은참 | Olivier NTCHAM | 1996.02.09. | 2 / 0 | ||
26 | 수아이부 마루 | Souaibou MAROU | 2000.12.03. | 3 / 1 | ||
FW | 6 | 니콜라 무미 은가말뢰 | Moumi NGAMALEU | 1994.07.09. | 41 / 4 | |
9 | 장피에르 은사메 | Jean-Pierre NSAME | 1993.05.01. | 4 / 0 | ||
10 | 뱅상 아부바카 | Vincent ABOUBAKAR | 1992.01.22. | 89 / 33 | ||
11 | 크리스티앙 바소고 | Christian BASSOGOG | 1995.10.18. | 42 / 7 | ||
12 | 칼 토코 에캄비 | Karl TOKO EKAMBI | 1992.09.14. | 50 / 12 | ||
13 | 에릭 막심 추포모팅 | Eric Maxim CHOUPO-MOTING | 1989.03.23. | 68 / 18 | ||
20 | 브라이언 음뵈모 | Bryan MBEUMO | 1999.08.07. | 2 / 0 | ||
감독: |
11월 9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대표팀 부동의 주전이자 부주장인 센터백 미카엘 은가두은가쥐가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며 논란이 되었다.
3.8. H조
3.8.1.
포르투갈
'Selecao das Quinas'는 2022 FIFA World Cup™에 8번째로 출전하며 6회 연속으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포르투갈은 처음으로 참가한 1966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는 뛰어난 성과를 거뒀고, 포르투갈의 상징적인 포워드 에우제비우는 총 9골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달성하며 토너먼트를 마무리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
1-0 (H) | 2-2 (A) | 3-1 (A) | 2-1 (H) | 3-0 (A) | 5-0 (H) | 0-0 (A) | 1-2 (H) | 3-1 (H) | 2-0 (H) | |
예선 최종 성적: 10전 7승 2무 1패 | ■ 플레이오프 |
Veste A Bandeira | ||||||
깃발을 둘러라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후이 파트리시우 | Rui PATRÍCIO | 1988.02.15. | 105 / 0 | |
12 | 주제 사 | José SÁ | 1993.01.17. | 0 / 0 | ||
22 | 디오구 코스타 | Diogo COSTA | 1999.09.19. | 7 / 0 | ||
DF | 2 | 디오구 달로트 | Diogo DALOT | 1999.03.18. | 6 / 2 | |
3 | 페페 | PEPE | 1983.02.26. | 128 / 7 | ||
4 | 후벵 디아스 | Rúben DIAS | 1997.05.14. | 39 / 2 | ||
5 | 라파엘 게헤이루 | Raphaël GUERREIRO | 1993.12.22. | 56 / 3 | ||
13 | 다닐루 페레이라 | Danilo PEREIRA | 1991.09.09. | 63 / 2 | ||
19 | 누누 멘데스 | Nuno MENDES | 2002.06.19. | 16 / 0 | ||
20 | 주앙 칸셀루 | João CANCELO | 1994.05.27. | 37 / 7 | ||
24 | 안토니우 실바 | Antonio SILVA | 2003.10.31. | 0 / 0 | ||
MF | 6 | 주앙 팔리냐 | João PALHINHA | 1995.07.09. | 15 / 2 | |
8 | 브루노 페르난데스 | Bruno FERNANDES | 1994.09.08. | 48 / 9 | ||
14 | 윌리엄 카르발류 | William CARVALHO | 1992.04.07. | 75 / 5 | ||
16 | 비티냐 | VITINHA | 2000.02.13. | 4 / 0 | ||
17 | 주앙 마리우 | João MÁRIO | 1993.01.19. | 52 / 2 | ||
18 | 후벵 네베스 | Rúben NEVES | 1997.03.12. | 32 / 0 | ||
23 | 마테우스 누네스 | Matheus NUNES | 1998.08.27. | 9 / 1 | ||
25 | 오타비우 | OTÁVIO | 1995.02.09. | 7 / 2 | ||
FW | 7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Cristiano RONALDO | 1985.02.05. | 191 / 117 | |
9 | 안드레 실바 | André SILVA | 1995.11.06. | 51 / 19 | ||
10 | 베르나르두 실바 | Bernardo SILVA | 1994.08.10. | 72 / 8 | ||
11 | 주앙 펠릭스 | João FÉLIX | 1999.11.10. | 23 / 3 | ||
15 | 하파엘 레앙 | Rafael LEÃO | 1999.06.10. | 11 / 0 | ||
21 | 히카르두 오르타 | Ricardo HORTA | 1994.09.15. | 5 / 1 | ||
26 | 곤살루 하무스 | Gonçalo RAMOS | 2001.06.20. | 0 / 0 | ||
감독: |
- 10월 24일 55인의 예비 명단을 발표했으며 최종 명단은 11월 10일에 발표했다. 예비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최종 명단에서는 포함되지 않은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앙토니 로페스 | 후이 실바
- DF: 누누 타바레스 | 넬송 세메두 | 세드리크 소아르스 | 티에리 코헤이아 | 파비우 카르도주 | 다비드 카르무 | 디오구 레이트 | 주제 폰트 | 티아구 잘로 | 곤살루 이나시우 | 도밍구스 두아르트 | 마리우 후이
- MF: 플로렌티누 루이스 | 주앙 무티뉴 | 파비우 카르발류 | 파비우 비에이라 | 헤나투 산체스 | 누누 산투스 | 세르지우 올리베이라
- FW: 파울리뉴 | 다니엘 포덴스 | 곤살루 게드스 | 조타 | 페드루 곤살베스 | 프란시스쿠 트링캉 | 비토르 올리베이라
- 이 밖에 디오구 조타와 페드루 네투는 부상으로 인해 예비 명단에도 소집되지 못했다. 하지만 이외의 주전 선수들은 무리없이 최종 명단에 합류해 전력상으로는 우승 다크호스라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는 감독의 전술 문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팀 케미스트리를 저하시킨다는 의혹 등 잠재적 문제 요소가 있는 것이 흠이다.
- 2022년 11월 23일,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계약을 해지하면서 이 대회 유일의 무소속 선수로 참가하게 된다.
3.8.2.
가나
가나는 2006년 FIFA World Cup™에서 데뷔한 이후로 단 한 번 2018년 대회에서만 진출 기회를 놓쳤습니다. 지금까지 참가한 3번의 대회에서 'Black Stars'는 2차례 16강에 진출했으며, 2010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대회의 16강에서 미국을 상대로 극적인 연장전 승리를 거두고 8강에 진출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1-0 (H) | 0-1 (A) | 3-1 (H) | 1-0 (A) | 1-1 (A) | 1-0 (H) | 0-0 (H) | 1-1 (A) | |
예선 최종 성적: 8전 4승 3무 1패 | ■ 최종예선 |
슬로건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로렌스 아티지기 | Lawrence ATI-ZIGI | 1996.11.29. | 10 / 0 | |
12 | 이브라힘 단라드 | Ibrahim DANLAD | 2002.12.02. | 0 / 0 | ||
16 | 압둘 누루딘 | Abdul Manaf NURUDEEN | 1999.02.08. | 2 / 0 | ||
DF | 2 | 타리크 램프티 | Tariq LAMPTEY | 2000.09.30. | 1 / 0 | |
3 | 데니스 오도이 | Denis ODOI | 1988.05.27. | 4 / 0 | ||
4 | 무함마드 살리수 | Mohammed SALISU | 1999.04.17. | 2 / 0 | ||
14 | 기드온 멘사 | Gideon MENSAH | 1998.07.18. | 12 / 0 | ||
15 | 조셉 아이두 | Joseph AIDOO | 1995.09.25. | 10 / 0 | ||
17 | 바바 라만 | Baba RAHMAN | 1994.07.02. | 46 / 1 | ||
18 | 다니엘 아마티 | Daniel AMARTEY | 1994.12.21. | 44 / 0 | ||
23 | 알렉산더 지쿠 | Alexander DJIKU | 1994.08.09. | 18 / 1 | ||
26 | 알리두 세이두 | Alidu SEIDU | 2000.06.04. | 3 / 0 | ||
MF | 5 | 토마스 파티 | Thomas PARTEY | 1993.06.13. | 40 / 13 | |
6 | 엘리샤 오우수 | Elisha OWUSU | 1997.11.07. | 2 / 0 | ||
7 |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 | Abdul Fatawu ISSAHAKU | 2004.03.08. | 13 / 1 | ||
8 | 다니엘코피 체레 | Daniel-Kofi KYEREH | 1996.03.08. | 14 / 0 | ||
11 | 오스만 부카리 | Osman BUKARI | 1998.12.13. | 7 / 1 | ||
13 | 다니엘 아프리예 | Daniel AFRIYIE | 2001.06.26. | 2 / 0 | ||
20 | 모하메드 쿠두스 | Mohammed KUDUS | 2000.08.02. | 18 / 5 | ||
21 | 살리스 압둘 사메드 | Salis Abdul SAMED | 2000.03.26. | 0 / 0 | ||
22 | 카말딘 술레마나 | Kamaldeen SULEMANA | 2002.02.15. | 12 / 0 | ||
24 | 카말 소와 | Kamal SOWAH | 2000.01.09. | 0 / 0 | ||
FW | 9 | 조던 아이유 | Jordan AYEW | 1991.09.11. | 83 / 19 | |
10 | 안드레 아이유 | André AYEW | 1989.12.17. | 107 / 23 | ||
19 | 이냐키 윌리암스 | Iñaki WILLIAMS | 1994.06.15. | 2 / 0 | ||
25 | 앙투안 세메뇨 | Antoine SEMENYO | 2000.01.07. | 3 / 0 | ||
감독: |
- 11월 14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같은 달 5일 발표한 55인의 예비 명단 선수들 중 최종 명단에 승선하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 중 부상으로 빠진 선수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 GK: 조 월러콧(부상) | 리처드 오포리(부상)
- DF: 앤디 이아돔 | 패트릭 크포조 | 이브라힘 이모로 | 데니스 코르사 | 압둘 무민 | 조너선 멘사 | 슈테판 암브로시우스 | 카심 아담스
- MF: 이드리수 바바(부상) | 에드먼드 아도 | 무바라크 와카소 | 무다시루 살리푸 | 마지드 아시메루 | 조지프 판트실 | 제프리 슐럽
- FW: 모하메드 다우다 | 어니스트 누아마 | 야우 예보아 | 엠마누엘 기야시 | 랜스퍼드예보아 쾨니히스되르퍼 | 새뮤얼 오우수 | 크리스토퍼 안트위아제이 | 조엘 페메이예 | 펠릭스 아페나잔 | 콰시 오취리 브리트 | 케일럽 에큐반 | 리치먼드 보아키예
- 주전 골키퍼 조 월러콧과 2순위 골키퍼 리처드 오포리가 전부 부상으로 제외되는 일이 벌어져 결국 3, 4, 5순위 골키퍼 아티지기, 누르딘, 단라드 3인이 월드컵으로 가게 되었다. 이는 가나 입장에선 가장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골키퍼 3명 모두 A매치 출전 횟수가 10경기를 넘지 못하고 20대 초중반의 경험이 많지 않은 선수들이기 때문. 또한 선수단 전체적으로 봐도 월드컵 출전 경험이 있는 선수는 조던 아이유 - 안드레 아이유 형제를 제외하고는 없다. 유망주가 많고, 가나계 해외 교포 선수들을 최대한 귀화시켜 대표팀을 구성했으나, 이런 경험적인 측면에서는 취약한 편이다. 이들이 본격적으로 투입된 9월 평가전에서는 아직 손발이 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다. 대회를 2달 앞두고서야 합류했다는 점이 오랜 시간이 필요한 조직력에 있어서는 걸림돌이다.
-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26인 최종 명단을 공개하던 도중 정전으로 인한 현지 방송 상태 이상으로 발표가 약간 지연되었다.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한 동생 니코 윌리암스와는 다르게 형인 이냐키 윌리암스는 가나 대표팀을 선택했다. 세르비아 대표팀의 밀린코비치사비치 형제, 벨기에 대표팀의 아자르 형제, 당장 본인이 선택한 대표팀의 아이유 형제까지 보면 유일하게 형제가 다른 국가대표로 뛰게됐다.[49]
3.8.3.
우루과이
우루과이는 1930년에 첫 번째 FIFA World Cup™을 개최하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로부터 20년 후, 우루과이는 약 200,000명의 관중으로 가득한 옛 Maracana Stadius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2-1로 꺾고 토너먼트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를 일으켰습니다. 'La Celeste'는 이처럼 풍부한 역사에 다시 한번 영광을 더할 수 있기를 바라며 카타르로 향합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
2-1 (H) | 2-4 (A) | 3-0 (A) | 0-2 (H) | 0-0 (H) | 0-0 (A) | 1-1 (A) | 4-2 (H) | 1-0 (H) | |
| | | | | | | | | |
0-0 (H) | 0-3 (A) | 1-4 (A) | 0-1 (H) | 0-3 (A) | 1-0 (A) | 4-1 (H) | 1-0 (H) | 2-0 (A) | |
예선 최종 성적: 18전 8승 4무 6패 |
El Equipo Que Nos Une | ||||||
우리를 하나로 만드는 팀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페르난도 무슬레라 | Fernando MUSLERA | 1986.06.16. | 133 / 0 | |
12 | 세바스티안 소사 | Sebastián SOSA | 1986.08.19. | 1 / 0 | ||
23 | 세르히오 로셰트 | Sergio ROCHET | 1993.03.23. | 8 / 0 | ||
DF | 2 | 호세 히메네스 | José GIMÉNEZ | 1995.01.20. | 78 / 8 | |
3 | 디에고 고딘 | Diego GODÍN | 1986.02.16. | 159 / 8 | ||
4 | 로날드 아라우호 | Ronald ARAÚJO | 1999.03.07. | 12 / 0 | ||
13 | 기예르모 바렐라 | Guillermo VARELA | 1993.03.24. | 9 / 0 | ||
16 | 마티아스 올리베라 | Mathías OLIVERA | 1997.10.31. | 8 / 0 | ||
17 | 마티아스 비냐 | Matías VIÑA | 1997.11.09. | 26 / 0 | ||
19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 | Sebastián COATES | 1990.10.07. | 47 / 1 | ||
22 | 마르틴 카세레스 | Martín CÁCERES | 1987.04.07. | 115 / 4 | ||
26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 José Luis RODRÍGUEZ | 1997.03.14. | 0 / 0 | ||
MF | 5 | 마티아스 베시노 | Matías VECINO | 1991.08.24. | 62 / 4 | |
6 | 로드리고 벤탄쿠르 | Rodrigo BENTANCUR | 1997.06.25. | 51 / 1 | ||
7 | 니콜라스 데라크루스 | Nicolás DE LA CRUZ | 1997.06.01. | 17 / 2 | ||
10 |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 Giorgian DE ARRASCAETA | 1994.06.01 | 40 / 8 | ||
14 | 루카스 토레이라 | Lucas TORREIRA | 1996.02.11. | 40 / 0 | ||
15 | 페데리코 발베르데 | Federico VALVERDE | 1998.07.22. | 44 / 4 | ||
24 | 아구스틴 카노비오 | Agustín CANOBBIO | 1998.10.01. | 3 / 0 | ||
25 | 마누엘 우가르테 | Manuel UGARTE | 2001.04.11. | 6 / 0 | ||
FW | 8 | 파쿤도 펠리스트리 | Facundo PELLISTRI | 2001.12.20. | 7 / 0 | |
9 | 루이스 수아레스 | Luis SUÁREZ | 1987.01.24. | 134 / 68 | ||
11 | 다르윈 누녜스 | Darwin NÚÑEZ | 1999.06.24. | 13 / 3 | ||
18 | 막시 고메스 | Maxi GÓMEZ | 1996.08.14. | 27 / 4 | ||
20 | 파쿤도 토레스 | Facundo TORRES | 2000.04.13. | 10 / 0 | ||
21 | 에딘손 카바니 | Edinson CAVANI | 1987.02.14. | 133 / 58 | ||
감독: |
- 10월 21일 55인의 예비 명단을 발표했으며 11월 11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예비 명단에는 포함되었지만 최종 명단에 포함되지 못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GK: 기예르모 데아모레스 | 산티아고 멜레 | 가스톤 올리베라
- DF: 세바스티안 카세레스 | 아구스틴 로헬 | 레안드로 카브레라 | 브루노 멘데스 | 산티아고 부에노 | 가스톤 알바레스 | 다미안 수아레스 | 알폰소 에스피노 | 페데리코 페레이라 | 조바니 곤살레스 | 호아킨 피케레스 | 루카스 올라사
- MF: 마우로 아람바리 | 페르난도 고리아란 | 세사르 아라우호 | 파브리시오 디아스 | 펠리페 카르바요
- FW: 디에고 로시 | 브라이안 오캄포 | 막시밀리아노 아라우호 | 다비드 테란스 | 니콜라스 로페스 | 아구스틴 알바레스 | 호나탄 로드리게스 | 티아고 보르바스 | 마르틴 사트리아노
- 루이스 수아레스, 에딘손 카바니 두 역대급 투톱의 마지막 불꽃을 태울 대회가 되었다. 여기에 뒤를 잇는 다르윈 누녜스가 있어 우루과이의 공격력은 그 어느 때보다 좋다고 평가받는다. 여기에 페데리코 발베르데, 로드리고 벤탄쿠르의 중앙 미들진은 우루과이가 가진 또다른 강점으로 평가받는다. 로날드 아라우호가 발탁되었으나 조별리그 초반 2경기는 출전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아 일찍이 1차전에서 우루과이를 만나는 대한민국 입장에선 한숨 돌리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선수단의 연령이 높다는 것 또한 문제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3.8.4.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카타르에서 열리는 대회는 대한민국이 11번째로 참가하는 FIFA World Cup™입니다. 대한민국은 2002년에 공동 개최국으로서 토너먼트에서 총 4경기 승리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하는 인상적인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2018 FIFA World Cup™에서는 당시 챔피언인 독일을 꺾고 충격적인 탈락을 선사했습니다.
예선 성적 | ||||||||||
| | | | | | | | | [KOR] | |
2-0 (A) | 8-0 (H) | | 0-0 (A) | 5-0 (H) | 취소[52] | 5-0 (H) | 2-1 (H) | |||
| | | | | | | | | | |
0-0 (H) | 1-0 (H) | 2-1 (H) | 1-1 (A) | 1-0 (H) | 3-0 (N) | 1-0 (A) | 2-0 (N) | 2-0 (H) | 0-1 (A) | |
예선 최종 성적: 16전 12승 3무 1패 |
더 뜨겁게, the Reds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전 / 득점 | 소속팀 |
GK | 1 | 김승규 | KIM Seunggyu | 1990.09.30. | 67 / 0 | |
12 | 송범근 | SONG Bumkeun | 1997.10.15. | 1 / 0 | ||
21 | 조현우 | JO Hyeonwoo | 1991.09.25. | 22 / 0 | ||
DF | 2 | 윤종규 | YOON Jonggyu | 1998.03.20. | 4 / 0 | |
3 | 김진수 | KIM Jinsu | 1992.06.13. | 61 / 2 | ||
4 | 김민재 | KIM Minjae | 1996.11.15. | 44 / 3 | ||
14 | 홍철 | HONG Chul | 1990.09.17. | 46 / 1 | ||
15 | 김문환 | KIM Moonhwan | 1995.08.01. | 22 / 0 | ||
19 | 김영권 | KIM Younggwon | 1990.02.27. | 96 / 6 | ||
20 | 권경원 | KWON Kyungwon | 1992.01.31. | 27 / 2 | ||
23 | 김태환 | KIM Taehwan | 1989.07.24. | 19 / 0 | ||
24 | 조유민 | CHO Yumin | 1996.11.17. | 4 / 0 | ||
MF | 5 | 정우영 | JUNG Wooyoung | 1989.12.14. | 66 / 3 | |
6 | 황인범 | HWANG Inbeom | 1996.09.20. | 37 / 4 | ||
7 | 손흥민 | SON Heungmin | 1992.07.08. | 104 / 35 | ||
8 | 백승호 | PAIK Seungho | 1997.03.17. | 14 / 2 | ||
10 | 이재성 | LEE Jaesung | 1992.08.10. | 64 / 9 | ||
11 | 황희찬 | HWANG Heechan | 1996.01.26. | 49 / 9 | ||
13 | 손준호 | SON Junho | 1992.05.12. | 15 / 0 | ||
17 | 나상호 | NA Sangho | 1996.08.12. | 24 / 2 | ||
18 | 이강인 | LEE Kangin | 2001.02.19. | 6 / 0 | ||
22 | 권창훈 | KWON Changhoon | 1994.06.30. | 42 / 12 | ||
25 | 정우영 | JEONG Wooyeong | 1999.09.20. | 9 / 2 | ||
26 | 송민규 | SONG Minkyu | 1999.09.12. | 13 / 1 | ||
FW | 9 | 조규성 | CHO Guesung | 1998.01.25. | 16 / 4 | |
16 | 황의조 | HWANG Uijo | 1992.08.28. | 49 / 16 | ||
감독: |
- 11월 12일,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또한 대한축구협회는 26인 엔트리 외에 추가로 오현규가 소집 명단에는 없지만 대표팀과 카타르에 함께 갈 것이며, 포지션 관련 특이 사항이 있을 시 추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조기 소집 멤버 중 고승범, 구성윤, 김진규, 박민규, 박지수, 양현준, 엄원상, 이상민이 최종 명단에서 탈락했으며, 이 중 박지수는 명단 발표 전날에 열린 아이슬란드와의 최종 평가전에서 발목 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당하며 월드컵 명단 승선이 좌절되었다. 또한 엄원상은 벤투가 마지막까지 고민한 선수였으나 결국 발탁하지 않았다.
- 2022년 6월 이후 벤투호에 승선한 경험이 있는 선수들 중 김동준, 이용, 정승현, 조영욱 등이 탈락했으며 이외 K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이승우, 김대원, 신진호, 주민규도 탈락했다. 해외파 중에서는 KAA 헨트에서 올 시즌 7골 6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기록을 작성중인 홍현석이 탈락했다.
- 안와골절 부상을 당한 손흥민과 햄스트링 부상이 있는 김진수는 당초 명단 승선이 불확실했으나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53] 이들 중 월드컵을 정상적으로 소화할 수 없는 선수가 발생할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 오현규가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4. 이야깃거리
4.1. 소속팀
- 이번 월드컵에서 국가대표 차출 선수를 최다 배출한 클럽은 스페인의 FC 바르셀로나로, 17명이 카타르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공동 2위는 각각 16명을 배출한 독일의 FC 바이에른 뮌헨과 잉글랜드의 맨체스터 시티 FC, 3위는 15명을 배출한 카타르의 알 사드 SC이다.[54]
- 보다 상세한 유럽 4대 리그 팀들의 차출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프리미어 리그 - 모든 팀에서 차출되었다.
- 맨체스터 시티(16명, EPL 최다): 잉글랜드 5명, 포르투갈 3명, 스페인 2명, 네덜란드, 아르헨티나, 독일, 벨기에, 브라질, 스위스 각 1명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13명): 잉글랜드 3명, 브라질 3명, 포르투갈 2명, 네덜란드, 아르헨티나, 프랑스, 덴마크, 우루과이 각 1명
- 첼시(12명): 잉글랜드 3명, 세네갈 2명, 미국, 스페인, 독일, 크로아티아, 모로코, 브라질, 스위스 각 1명
- 토트넘 홋스퍼(11명): 잉글랜드 2명, 세네갈, 웨일스, 아르헨티나, 프랑스, 덴마크, 크로아티아, 브라질, 우루과이, 대한민국 각 1명
- 아스날(10명): 잉글랜드 3명, 브라질 2명, 미국, 프랑스, 일본, 스위스, 가나 각 1명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8명): 에콰도르 3명, 아르헨티나, 스페인, 일본, 벨기에, 가나 각 1명
- 리버풀(7명): 잉글랜드 2명, 브라질 2명, 네덜란드, 프랑스, 우루과이 각 1명
- 레스터 시티(7명): 벨기에 2명, 세네갈, 잉글랜드, 웨일스, 가나 각 1명
- 브렌트포드(6명): 덴마크 3명, 이란, 스페인, 카메룬 각 1명
- 풀럼(6명): 미국 2명, 웨일스 2명, 세르비아, 포르투갈 각 1명
- 노팅엄 포레스트(5명): 웨일스 3명, 세네갈, 스위스 각 1명
- 뉴캐슬 유나이티드(5명): 잉글랜드 3명, 브라질, 스위스 각 1명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5명):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모로코, 브라질 각 1명
- 울버햄튼 원더러스(5명): 포르투갈 3명, 멕시코, 대한민국 각 1명
- 아스톤 빌라(4명): 폴란드 2명, 아르헨티나, 벨기에 각 1명
- 에버튼(4명): 잉글랜드 2명, 세네갈, 벨기에 각 1명
- 리즈 유나이티드(3명): 미국 2명, 덴마크 1명
- 본머스(2명): 웨일스 2명
- 사우스햄튼(2명): 독일, 가나 각 1명
- 크리스탈 팰리스(2명): 덴마크, 가나 각 1명
- 라리가 - 지로나, 엘체를 제외한 18개 팀에서 선수들이 차출되었다.
- 바르셀로나(17명, 라리가 최다 및 전 소속팀 최다): 스페인 8명, 네덜란드 2명, 프랑스 2명, 폴란드, 덴마크, 독일, 브라질, 우루과이 각 1명
- 레알 마드리드(13명): 프랑스 3명, 브라질 3명, 스페인 2명, 벨기에 2명, 독일, 크로아티아, 우루과이 각 1명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2명): 스페인 3명, 아르헨티나 3명, 벨기에 2명, 프랑스,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우루과이 각 1명
- 세비야(10명): 아르헨티나 3명, 덴마크 2명, 모로코 2명, 세르비아 2명, 브라질 1명
- 발렌시아(5명): 스페인 2명, 미국, 스위스, 우루과이 각 1명
-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5명): 아르헨티나 2명, 세네갈, 멕시코, 포르투갈 각 1명
- 비야레알(5명): 아르헨티나 2명, 스페인 2명, 세네갈 1명
- 아틀레틱 클루브(3명): 스페인 2명, 가나 1명
- 레알 바야돌리드(2명): 에콰도르, 모로코 각 1명
- 마요르카(2명): 세르비아, 대한민국 각 1명
- 셀타 데 비고(2명): 미국, 가나 각 1명
- 오사수나(2명): 크로아티아, 모로코 각 1명
- 헤타페(2명): 세르비아 2명
- 라요 바예카노(1명): 세네갈 1명
- 레알 소시에다드(1명): 일본 1명
- 알메리아(1명): 세르비아 1명
- 에스파뇰(1명): 덴마크 1명
- 카디스(1명): 호주 1명
- 분데스리가 - 모든 팀에서 차출되었다.
- 바이에른 뮌헨(16명, 분데스리가 최다): 독일 7명, 프랑스 4명, 카메룬, 네덜란드, 캐나다, 크로아티아, 모로코 각 1명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11명): 독일 5명, 벨기에 2명, 잉글랜드, 미국, 스위스, 포르투갈 각 1명
- 라이프치히(7명): 독일 2명, 세네갈, 덴마크, 스페인,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각 1명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7명): 독일 2명, 프랑스, 덴마크, 일본, 크로아티아, 스위스 각 1명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5명): 스위스 2명, 미국, 프랑스, 일본 각 1명
- 프라이부르크(5명): 독일 2명, 일본, 대한민국, 가나 각 1명
- 바이어 04 레버쿠젠(3명): 네덜란드, 에콰도르, 이란 각 1명
- 아우크스부르크(3명): 에콰도르, 폴란드, 스위스 각 1명
- 볼프스부르크(3명): 폴란드, 덴마크, 벨기에 각 1명
- 슈투트가르트(3명): 일본 2명, 크로아티아 1명
- 마인츠(3명): 스위스 2명, 대한민국 1명
- 호펜하임(2명): 덴마크, 크로아티아 각 1명
- 베르더 브레멘(2명): 독일, 세르비아 각 1명
- 헤르타 BSC(1명): 덴마크 1명
- 우니온 베를린(1명): 덴마크 1명
- 쾰른(1명) 튀니지 1명
- 샬케 04(1명): 일본 1명
- 보훔(1명): 일본 1명
- 세리에 A - 레체, 몬차, 엠폴리를 제외한 17개 팀에서 차출되었다.
- 유벤투스(11명, 세리에 A 최다): 브라질 3명, 아르헨티나 2명, 폴란드 2명, 세르비아 2명, 미국, 프랑스 각 1명
- AC 밀란(7명): 프랑스 2명, 세네갈, 미국, 덴마크, 벨기에, 포르투갈 각 1명
- 인테르(6명): 네덜란드 2명, 아르헨티나 1명, 벨기에, 크로아티아, 카메룬 각 1명
- 나폴리(5명): 멕시코, 폴란드, 카메룬, 우루과이, 대한민국 각 1명
- 토리노(5명): 세르비아 3명, 크로아티아, 스위스 각 1명
- 피오렌티나(5명): 세르비아 2명, 아르헨티나, 폴란드, 모로코 각 1명
- AS 로마(4명): 아르헨티나, 폴란드, 포르투갈, 우루과이 각 1명
- 아탈란타(4명): 네덜란드 2명, 덴마크, 크로아티아 각 1명
- 엘라스 베로나(4명): 세르비아 2명, 호주, 카메룬 각 1명
- 살레르니타나(3명): 세네갈, 폴란드, 튀니지 각 1명
- 삼프도리아(3명): 폴란드, 모로코, 세르비아 각 1명
- 라치오(2명): 세르비아, 우루과이 각 1명
- 볼로냐(2명): 폴란드, 스위스 각 1명
- 스페지아(2명): 웨일스, 폴란드 각 1명
- 사수올로(1명): 크로아티아 1명
- 우디네세(1명): 카메룬 1명
- 크레모네세(1명): 멕시코 1명
- 클럽이 아닌 국가별 리그로는 잉글랜드[55]가 164명을 배출하여 가장 많은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했다. 2위는 87명을 배출한 스페인, 3위는 80명을 배출한 독일이다. 월드컵 참가국이 아닌 나라 중에서는 이탈리아가 68명을 배출하여 4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14명을 배출하여 15번째로 많은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했다.
- 이번 월드컵에서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2개국은 26인 선수단 전원을 자국 리그 선수로 채웠다. 반면 세네갈과 웨일스, 캐나다 3개국은 26인 선수단 중에 자국 리그 선수가 단 1명도 없다. 다만 웨일스와 캐나다는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한 자국 연고 클럽이 타국 리그(웨일스: 잉글랜드 풋볼 리그, 캐나다: 메이저 리그 사커)에 참가한다. 순수하게 전원 해외파로만 이루어진 선수단은 세네갈 하나 뿐인 셈. 그리고 세르비아와 아르헨티나 2개국은 26인 선수단 중 자국 리그 선수가 단 1명 뿐이다.
- 브라질은 잉글랜드 한 곳에서만 12명을 선발하여 단일 해외 리그에서 가장 많은 해외파 선수를 선발하였다.
4.2. 각종 기록
- 카타르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수령하는 감독은 독일의 한지 플릭이며, 잉글랜드의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프랑스의 디디에 데샹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의 파울루 벤투는 11위이다.
- 이번 월드컵에 참가하는 830명의 선수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이번 대회의 최고령 선수는 멕시코의 골키퍼 알프레도 탈라베라(1982년 9월 18일 생)이며, 필드 플레이어 중 최고령 선수는 캐나다의 애티바 허친슨(1983년 2월 8일 생)이다.
- 이번 대회의 최연소 선수는 독일의 유수파 무코코(2004년 11월 20일 생)이며, 골키퍼 중 최연소 선수는 카메룬의 시몬 은가판두에튼부(2003년 4월 12일 생)이다.
- 이번 대회의 주장들 중 최고령 주장은 캐나다의 애티바 허친슨(1983년 2월 8일 생), 최연소 주장은 미국의 타일러 아담스(1999년 2월 14일 생)이다.
- 이번 대회 출전 선수들 중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골과 도움을 기록한 선수는 토마스 뮐러로 10골 6도움을 기록했다.
- 이번 대회 출전 선수들 중 가장 많이 월드컵 경기를 치른 선수는 리오넬 메시로 19경기를 출전했다.
- 이번 대회 출전 선수들 중 최고령 월드컵 데뷔를 치를 선수는 렘코 파스베이르로 만 39세 13일의 나이에 첫 경기를 치르게 된다.
- 선수단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팀은 이란(평균 28.9세)이며, 선수단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팀은 가나(평균 24.7세)이다.
-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와 포르투갈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멕시코의 안드레스 과르다도, 기예르모 오초아는 이번 월드컵으로 월드컵 5회 연속 출전을 달성하게 되었다.
4.3. 참가팀 별 득점 음악
카타르, 세네갈을 제외한 모든 팀이 득점 음악을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다. 대부분이 자국의 응원가나 자국 가수의 음악을 사용했으나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등 타국 가수 음악을 사용한 국가들도 있다. 네덜란드, 호주, 크로아티아, 포르투갈은 복수의 곡을 사용했다.- 에콰도르: Damiano - Ecuador, Si Se Puede
- 네덜란드: 벨리니 - Samba de Janeiro, SHOUCE - Love Tonight(데이비드 게타 Remix)
- 잉글랜드, 폴란드, 스위스: GALA - Freed from desire[56]
- 이란: HM - Iran1400
- 미국: 메이스 - Feel So Good
- 웨일스: Zombie Nation - Kernkraft 400[57]
- 아르헨티나: WOS - LUZ DELITO
- 사우디아라비아: 라셰드 알 마예드 - Al Saudia
- 멕시코: La Hija Del Mariachi - La Negra
- 프랑스: 블러 - Song 2
- 호주: 파우더핑거 - [Baby I've Got You] On My Mind, Men At Work - Down Under
- 덴마크: VM Holdet - Re-sepp-ten[58]
- 튀니지: Saber Rebai - Sidi Mansour
- 스페인: 라파엘 - Mi gran noche
- 코스타리카: Gandhi - El orto gol
- 독일: 니켈백 - When We Stand Together
- 일본: UKASUKA-G(ウカスカジー) - 승리의 미소를 당신에게(勝利の笑みを 君と)
- 벨기에: MC Devil - Deviltime
- 캐나다: 믹 밀 - Going Bad
- 모로코: Hamid Bouchnak - Allez Allez Maroc
- 크로아티아: Nered(feat. Zapresic Boyz) - Srce Vatreno, Colonia - Svijet Voli Pobjednike
- 브라질: Esquentando o couro
- 세르비아: Resra - PREKO SVETA
- 카메룬: Les Rythmeurs ABC - Mbandjoh
- 포르투갈: David Carreira - Vamos com tudo, Xutos & Pontapés - A Minha Casinha
- 가나: Sarkodie - Oofeets(ft. Prince Bright)
- 우루과이: The La Planta - Uruguayo Hasta las Venas (Cumbia Pa´ La Selección)
- 대한민국: 방탄소년단 - IDOL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990e31> A조 | 펠릭스 산체스 바스 | 구스타보 알파로 | 알리우 시세 | 루이 판할 |
B조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카를로스 케이로스 | 그렉 버홀터 | 롭 페이지 | |
C조 | 리오넬 스칼로니 ★ | 에르베 르나르 | 헤라르도 마르티노 |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 | |
D조 | 디디에 데샹 ☆ | 그레이엄 아놀드 | 카스페르 히울만 | 잘렐 카드리 | |
E조 | 루이스 엔리케 |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 한지 플릭 | 모리야스 하지메 | |
F조 |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 존 허드먼 | 왈리드 레그라귀 | 즐라트코 달리치 | |
G조 | 치치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무라트 야킨 | 리고베르 송 | |
H조 | 페르난두 산투스 | 오토 아도 | 디에고 알론소 | 파울루 벤투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1] 11월 1일 브라이언 루이스가 대표팀에 선발될 것이라는 감독의 인터뷰가 있었다. 이후 한국 시간 11월 4일에 모든 최종 스쿼드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한다.[2] 한국 시각 11월 8일 새벽 1시 발표[3] 특이하게도 26인의 명단 중 21명만을 1차로 발표했다. 이후 월드컵 브레이크가 시작된 후 나머지 5명을 발표했다.[4] 당초 14일로 예고했으나 4일 앞당긴 10일로 발표 날짜를 정정했다.[5] 2019 ~ 2022까지 출전한 대회 한정[6] 2023 AFC 아시안컵 대회 예선을 겸했기 때문에 참가했다.[7] 타지키스탄 개최[8] COVID-19 범유행 때문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잔여 경기 진행이 불가능해 각 조마다 잔여 경기를 한 개최지에서 모여 치르도록 했다. E조의 개최지는 카타르였다.[9] 적갈색이란 의미의 아랍어다.[A] 대체 발탁[11] 웨일스는 잉글리시 풋볼 리그에 소속된 웨일스 팀인 카디프 시티 FC와 스완지 시티 AFC가, 캐나다는 미국 MLS에 소속된 캐나다 팀인 토론토 FC, CF 몽레알, 밴쿠버 화이트캡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12] 2006년 독일 월드컵 주전으로 뛴 에드빈 판데르사르가 당시 35세였으니 정말 어마어마한 기록이다. 당시 판데르사르 또한 회춘했다는 평을 받은 키퍼였다.[IRN]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홈 앤드 어웨이 경기 개최 불가로 인해 한시적으로 잔여경기 개최국을 정해 예선을 마무리했다. 당시 2차예선 C조의 개최국은 바레인이다. 따라서 이란은 2차예선 5차전, 7차전, 8차전을 중립 경기로 치렀다.[14] 사상 첫 팀은 5일 전에 명단 발표한 스위스다.[15] 그러나 프랑스가 카림 벤제마 낙마 이후 대체자를 선발하지 않으면서 25인 엔트리로 월드컵을 치르는 유이한 팀이 되었다.[16] 반면에 라이벌 팀인 멕시코는 2000년대 이후 출생자가 한 명도 없다.[17] 더욱 현역 국가 원수의 아들이 월드컵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더더욱 화제가 되었다.[18] 58년 만의 유럽 축구 선수권 본선 진출을 기념하며 발매된 응원가 제목이다.[19] 6차전 방문 경기였다. 자국 EPL 선수들의 방역 수칙 위반으로 브라질 방역 당국이 경기를 중지시켰다.[A] 대체 발탁[A] 대체 발탁[22] 아구스틴 마르체신, 아구스틴 로시, 왈테르 카네만, 니콜라스 페르난데스 메르카우, 막시밀리아노 메사, 니코 파스, 발렌틴 카르보니, 알레한드로 가르나초.[23] 로셀소는 부상으로 인해 월드컵 출전이 불가해 제외되었다. 앙헬 코레아는 처음 엔트리에 있던 선수 중 하나의 부상으로 인해 대체 발탁되었다.[24] 포르투갈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멕시코의 안드레스 과르다도와 같이 이 기록을 공유하게 되었다.[25] 준우승을 했던 8년 전 브라질 월드컵에 참가한 선수는 메시와 디마리아, 오타멘디 단 세 명 뿐이다.[26]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홈 앤드 어웨이 경기 개최 불가로 인해 한시적으로 잔여 경기 개최국을 정해 예선을 마무리했다. 당시 2차예선 D조의 개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였다. 공교롭게도 사우디아라비아의 남은 잔여 일정이 모두 홈 경기라 홈, 원정 경기의 불균형을 겪지 않았다.[27] 중국의 COVID-19 유행으로 인한 홈 경기 개최권 반납으로 중립지역인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A] 대체 발탁[29] 안토니오 카르바할, 잔루이지 부폰에 이어 골키퍼로써는 세번째 달성하는 대기록이다. 필드플레이어를 합치면 로타르 마테우스, 라파엘 마르케스, 리오넬 메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있다. 이 중 이 두 선수는 메시, 호날두와 함께 5회 출전 기록을 이번 대회에서 공유하게 되었다.[30] 러시아의 실격[A] 대체 발탁[A] 대체 발탁[A] [34] 부상으로 인한 실질적인 불참.[35] 승부차기 5-4 승[A] 대체 발탁[37] 2014년에는 전북 소속의 알렉스 윌킨슨, 2018년에는 수원 소속의 매튜 저먼이 선발되었다.[A] 대체 발탁[JPN] COVID-19 범유행 때문에 홈 앤드 어웨이 경기 개최가 불가능하여 한시적으로 잔여경기 개최국을 정해 예선을 마무리했다. 당시 2차예선 G조의 개최국은 일본이었다. 공교롭게도 일본의 남은 잔여경기가 모두 홈 경기였으므로 일본의 홈, 어웨이 경기 불균형은 일어나지 않았다.[A] 대체 발탁[USA] 1차예선은 COVID-19 이슈로 인해 미국 개최[42] '우리가 캐나다'란 의미도 된다.[43] 원래 캐나다의 넘버 2 골키퍼이나 MLS 결승전에서 심한 다리 부상을 당하며 월드컵 출전이 불가능해졌다.[A] [45] 만일 2010 월드컵 본선도 크로아티아가 진출에 성공했다면 그는 메시, 호날두, 오초아, 과르다도와 함께 월드컵 5회 출전의 대 기록을 이번 대회에서 작성할 뻔 했다.[46] 6차전 홈경기였다. 아르헨티나 EPL 선수들의 방역수칙 위반으로 브라질 방역 당국이 경기를 중지시켰다.[47] 나티(Nati)는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Schweizer Fussballnationalmannschaft)의 별명이다.[48] 처음 소집될 때까지만 해도 맨유 소속이었지만 본 대회 진행 도중 구단과의 계약이 해지되면서 결국 무소속으로 임하게 되었다.[49] 물론 윌리암스 형제는 스페인과 가나 이중국적이라 가능한 일이고 나머지 형제들은 다 단일국적이다.[KOR]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홈 앤드 어웨이 경기 개최 불가로 인해 한시적으로 잔여경기 개최국을 정해 예선을 마무리했다. 당시 2차예선 H조의 개최국이 바로 대한민국이었다. 또한 북한의 중도 기권으로 인해 3차전 평양 원정경기 결과는 삭제되었으며, 예정된 6차전 북한과의 홈 경기 또한 취소되었다.[51] 북한이 예선 도중 기권하여 해당 경기 결과 무효처리[52] 코로나19에 대한 우려 때문에 월드컵 예선 도중 기권[53] 11월 10일 아이슬란드와의 최종 평가전 전날에 진행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파울루 벤투는 손흥민은 최종 명단에 포함될 것이며 플랜 B를 따로 준비한 건 없다고 밝혔다. # 다만 이 플랜 B가 없다는 발언은 손흥민을 명단에서 제외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로 전술상의 플랜 B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54] 카타르 대표에 13명이 차출되었고, 다른 2명은 대한민국의 정우영과 가나의 안드레 아이유이다.[55] 웨일스 연고이나 잉글랜드 리그에 참가하는 카디프 시티와 스완지 시티 포함.[56] 이 곡은 윌 그리그, 제이미 바디, 크리스 우드, 두샨 타디치 등의 응원가이기도 하다. 세 국가가 사용한 부분은 각각 미세하게 다르다.[57] 이 곡은 AC 밀란, FK 아우스트리아 빈, KAA 헨트, PSV 에인트호번, FC 서울 등의 득점 음악이기도 하다.[58] 이 곡은 덴마크가 처음으로 월드컵에 진출한 1986년에 발매된 곡으로 덴마크의 축구를 상징하는 곡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