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00:04:18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0]]]]
#!wiki style=font-size: 1.28889em"
[[한미관계|{{{#fff '''한미관계 관련 문서'''}}}]]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라타샤 할린스 살해사건 · LA 폭동 · 로버트 김 간첩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 여성시대 남성 성착취물 공유 사건 · 미국 정부의 수미 테리 기소 사건 ·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한미연합군사령부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 2025년 한미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 한미노선(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 · 인천-JFK 항공노선 · 인천-뉴어크 항공노선 · 인천-샌프란시스코 항공노선 · 인천-시애틀 항공노선 · 인천-애틀랜타 항공노선 · 인천-댈러스/포트워스 항공노선 · 인천-호놀룰루 항공노선 · 인천-괌 항공노선 · 인천-사이판 항공노선 · 부산-괌 항공노선 · 대구-괌 항공노선)
}}}}}}}}} ||
<colbgcolor=#bc002d><colcolor=#fff><colkeepall>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ICE Raid on Hyundai Metaplant in Georgia
<nopad>
발생일 2025년 9월 4일 (현지 시간)
발생 장소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엘라벨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형 미국 법 집행 기관의 불법 체류 및 취업 단속
집행기관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HSI),[1]
미국 연방수사국(FBI),

미국 마약단속국(DEA),
조지아주 순찰대(GSP),
주류·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ATF)
결과 475명(한국인 317명) 체포 및 구금, 억류

1. 개요2. 전개
2.1. 9월 4일(수색 당일)2.2. 9월 5일2.3. 9월 6일2.4. 9월 7일2.5. 9월 8일2.6. 9월 9일2.7. 9월 10일2.8. 9월 11일2.9. 9월 12일2.10. 9월 26일
3. 대응 및 반응
3.1. 대한민국
3.1.1. 정부3.1.2. 더불어민주당3.1.3. 국민의힘3.1.4. 진보당3.1.5. 개혁신당3.1.6. 정의당3.1.7. 현대자동차3.1.8. 재계3.1.9. 시민단체3.1.10. 여론조사
3.2. 미국
3.2.1. 백악관3.2.2. 국토안보부3.2.3. 상무부3.2.4. 이민단속국3.2.5. 정치권
3.3. 일본3.4. 중국3.5. 전문가3.6. 주요 외신3.7. 단속 제보자
4. 논란 및 사건 사고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9월 4일(현지 시간)[2]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의 주도 하에[3] 한국인 317명 (ESTA소지: 170명, B1,B2소지: 146명, EAD소지: 1명)[4]을 포함하여 475명이 미국 조지아주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배터리 공장인 HL-GA(Hyundai-LG Georgia Battery Joint Venture)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가 체포된 사건.

2. 전개

2.1. 9월 4일(수색 당일)

파일:250905Savannah1.jpg 파일:250905Savannah2.jpg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이 공보한 수색 현장 사진
2025년 9월 4일, ATF애틀랜타 지부는 X 공식 계정에 올린 에서 "오늘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국토안보수사국(HSI), 마약단속국(DEA), 조지아주 순찰대 등과 함께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있는 현대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 이민 단속 작전을 벌였다"고 밝혔다. 이어 "불법 체류자 약 450명을 체포했으며, 이는 지역 사회 안전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이야기했다.

이에 따라 체포된 사람 가운데 한국인이 300명 이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체포되어 구금된 인원의 대부분이 하청 업체 직원으로 알려졌으며, 현대자동차는 본사에 직접 고용된 인원은 체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단속에 대해 미 국토안보부 관계자는 로이터 통신에 "사법부 허가를 받아 집행한 작전"이며 "우리는 불법 고용 행위를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HSI 조지아주 책임자인 스티븐 슈랭크 특별수사관은 현지 지역 방송으로 중계된 브리핑에서 단속과 관련해 "체포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HL-GA 배터리 회사 선임 홍보 전문가인 메리 베스 케네디는 공식 성명에서 "우리 건설 현장에서의 활동과 관련해 관계 당국과 전적으로 협력 중이다. 당국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건설 작업을 일시 중단했다"고 밝혔다.

해당 단속에는 헬리콥터까지 동원되었다고 한다. # 한국인 노동자들은 쇠사슬이나 케이블 타이로 결박되어 호송되었다. #

2.2. 9월 5일

국토안보수사국(HSI) 소속 스티븐 슈랭크 조지아주·앨라배마주 특별수사관이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해당 기자회견에서 총 475명을 체포했으며 상당수가 한국인으로 알려졌으며, 정확한 국적 통계는 집계 중이라고 밝혔다.

마거릿 히프(Margaret E. Heap) 애틀란타 주 남부 지방검찰청장은 영문 보도자료에서 "이 작전의 목적은 불법 채용을 줄이고, 고용주들이 허가받지 않은 노동자를 고용해 불공정한 우위를 얻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무허가 노동자를 착취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라고 설명했으며, 이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며 모든 사람은 합리적으로 의심할 여지 없이 유죄를 입증할 때까지는 무죄로 추정된다고도 밝혔다. 또한 이는 '미국 되찾기 작전'(Operation Take Back America)이라고 밝혔다.

2.3. 9월 6일

이민세관단속국(ICE) 홈페이지에는 'ICE가 조지아주에서 불법 고용 및 연방 범죄를 대상으로 여러 기관과 합동 작전을 주도했다'는 제목의 언론 발표 자료가 올라와 있다. 공식 보도자료 관련기사 ICE는 이번 단속 작전으로 475명이 구금됐으며, "이 중 많은 수는 방문 비자(visitors visa)를 부정하게 사용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체포된 이들은 비자 조건을 어겨 불법으로 일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단기 체류 비자나 관광 비자 소지자는 미국에서 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 외에 멕시코 출신 영주권 소지자 또한 "여러 건의 범죄 유죄 판결을 근거로 추방 대상자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미 조지아주 남부지법이 현대차 메타플랜트 시설에 발부한 수색 영장에 따르면 미 이민 당국의 원래 목표는 안드레이나 푸엔테스-토바르, 케빈 사발레타-라미레스, 데이비드 사발레타-라미레스, 그리고 훌리오 곤잘레스 알바라도였으며 체포된 한국인들은 이들을 찾는 과정에서 체류 자격 소명을 못해 체포된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콜롬비아 출신의 영주권자인 LG 협력사 직원도 구금되었다고 한다. # #

2.4. 9월 7일

현지 언론사인 월 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미국과 한국 정부 간 합의를 통해 전세기를 이용해 구금된 한국인을 송환한다고 한다 #

정부는 한국인 근로자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으며, 전세기가 데리러 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오후에 열린 이재명 정부 고위 당정대 협의체 모두발언에서,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신속하게 대응한 결과 구금된 근로자의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전세기를 통해 구금된 국민 전원이 귀국할 것"이라고 밝혔다. #

2.5. 9월 8일

구금된 한국인 석방 문제 협의를 위해 조현 외교부장관이 미국으로 출국했다. #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의 법적 절차를 존중해야 하므로, 개별 상황에 따라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 #

2.6. 9월 9일

조현 외교부장관이 미국 워싱턴 D.C.에 도착했다. #

구금된 한국인들을 데려오기 위한 전세기 투입이 확정되었다. 이 비행은 9월 10일에 HL7638이[5] 맡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세기를 투입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은 정부가 아닌 LG에너지솔루션 측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이민 당국이 공장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중국인, 인도네시아인, 일본인 등도 함께 체포되었다고 보도했으며, 그 중 일부는 전세기에 탑승할 가능성도 언급되었다. #

LG에너지솔루션의 조지아주 공장 건설 작업이 사실상 중단됐다. #

ICE측의 인터뷰 과정에서 인종차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2.7. 9월 10일

구금된 한국인을 태울 대한항공 전세기가 한국 시각 오전 10시 20분에 KE2901(HL7638, 보잉 747-8)로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6]으로 출발했다. # 2901편은 페리편[7] 으로 가지만, 올 때는 9036편을 달고 구금된 한국인들과 같이 돌아올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후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이 현지시간으로 10일 오후 2시 30분(한국시간 11일 오전 3시 30분) 전후 현지에서 출발할 것으로 전해졌다. # 단속 과정에서 함께 체포된 일본인 3명도 한국인 300여명과 함께 전세기에 동승할 예정이다. #

원래 이날로 예정되었던 전세기의 출발이 미국 측의 사유로 지연되었다. 외교부는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들의 현지 시간 10일 출발은 미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가급적 조속한 출발을 위해 미측과 협의를 유지하고 있다"며 변동 사항이 있으면 알리겠다고 덧붙였다. #

미국을 찾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예정보다 하루 늦게 미국 현지시각 9월 10일 오전 9시 30분에 카운터파트인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하였다. #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장관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 구금된 한국인들이 신체적 속박 없이 신속히 귀국하고 향후 미국 재입국에 불이익이 없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미측으로부터 긍정적 답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는 한국인 구금자들에 관한 논의를 했다는 언급은 없고, 무역협력·방위분담 등만 거론되어 두 정부의 공식보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2.8. 9월 11일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된 한국인 317명 중 미국 영주권 신청자 1명을 제외한 316명이 귀국길에 오른다. #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지금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이 내일(11일)은 비행기(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일체 수갑을 채우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미국 측과)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특히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미국 측으로부터) 확약받았다"며 이번 사태로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향후 미 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기를 원하다고 말했다.

미국 측 사정으로 귀국이 지연된 데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주미대사관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미국 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

다만 이는 모두 한국 정부 측의 입장이며, 미국 정부의 공식 발표나 협상 내용은 없기 때문에 체포된 한국인들이 향후 받게될 불이익에 대해서 확언할 수는 없다. 개별 위법 사항과 비자 사항들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는 향후 정확하게 밝혀질 전망이다. #

구금됐던 한국인 316명이 미 동부 현지시간 기준 오전 2시 16분(한국시간 11일 오후 3시 16분)께 일반 버스 8대에 나눠 타고 대한항공 전세기가 대기하고 있는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출발했다.

미국 잔류를 택한 한국인 1명은 구금 상태에서 법적 절차를 진행할 전망이다. # 이유는 ESTA나 B1/B2를 소지한 나머지 구금자들과는 확연이 다른 그의 체류신분 때문인것으로 추측된다. 그는 미국 영주권 신청자이고, 영주권 발급을 기다리는 동안 최장 5년까지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이민국에서 발급하는 임시허가증인 EAD(취업허가증명서, Employment Authorization Document)를 이미 받은 상태이다.

오전 8시 30분경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순차적으로 도착해 곧장 화물 청사로 이동해 전날부터 대기중이던 대한항공 전세기 앞에 정차했다. 오전 2시 18분 포크스턴의 ICE 수용시설을 출발한지 6시간 만이다. 통상 자동차로 4시간 30분이 소요되는 거리지만 많은 버스가 한번에 움직이는 만큼 이동이 다소 지연됐다. # 이후 오전 11시 38분께 대한항공 전세기가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을 향해 출발했다. #

2.9. 9월 12일

한국 시간 오후 3시 23분, 석방된 한국인 316명과 외국인 14명을 태운 대한항공 KE9036 전세기가 인천공항에 도착했다.[8] 모두 건강에 큰 이상은 없는 걸로 알려졌다. 임산부 1명과 기저질환자 50명은 퍼스트석과 비즈니스석이 배정됐고, 동승한 한국 의료진이 15시간의 비행 내내 이들을 돌봤다.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미국을 찾은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를 비롯한 정부·기업 관계자 및 의료진 등 21명도 동승해 총 탑승 인원은 351명이다.

한편 공항에서는 광고기획자 이제석트럼프 정부를 비판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벌이다 경찰에 제지당했다. 사진 영상1 영상2

2.10. 9월 26일

미국 잔류를 택한 한국인이 수감 22일 만에 보석금을 납부한 후 석방되었다. 관계자는 "오랜 수감생활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고 씩씩하다"고 밝혔다. #

3. 대응 및 반응

3.1. 대한민국

3.1.1. 정부

3.1.2. 더불어민주당

3.1.3. 국민의힘

3.1.4. 진보당

3.1.5. 개혁신당

3.1.6. 정의당

3.1.7. 현대자동차

3.1.8. 재계

3.1.9. 시민단체

3.1.10. 여론조사

3.2. 미국

3.2.1. 백악관

3.2.2. 국토안보부

3.2.3. 상무부

3.2.4. 이민단속국

3.2.5. 정치권

이민 정책에 대한 의견에 따라 엇갈리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 억제 정책을 지지하는 조지아 주 공화당 정치인들은 이번 단속을 옹호하는 반면 이민에 우호적인 민주당 정치인들은 행정부의 접근 방식을 비판하는 등 각자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대응했다. #

3.3. 일본

3.4. 중국

3.5. 전문가

미국 국무부 규정미국 판례에 따라 미국 외의 고용주에게서 고용과 임금을 받으며 ESTA, B1/B2 상용관광비자[13] 등으로 입국하여 비즈니스를 하는 것은 합법이다. 다만 어디까지가 미국에서의 불법취업이고 어디까지가 출장인지에 대해서의 경계는 애매모호하다. 물론 수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어 있기에 그들을 변호하는 입장에서는 서로 입장이 갈리는 보도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외에도 미국 정치권과 전문가의 의견이 서로 상충하는 부분도 있다.

3.6. 주요 외신

3.7. 단속 제보자

4. 논란 및 사건 사고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이 한국인 노동자를 구금할 당시 이 중 최소 1명은 합법적으로 미국에서 거주하며 근무 중이었다는 점을 알면서도 그를 구금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 이는 ICE 측이 "구금된 노동자들이 모두 불법으로 근무했거나 미국의 비자 규정을 위반했다"고 주장한 것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내용이다.

'B1·B2' 비자를 소지한 이들은 체포 당시 회의에 참석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B1·B2 비자는 비즈니스 목적의 단기 상용비자(B1)와 관광비자(B2)를 합친 것으로 회의 참석이 허용된다. 현지 이민변호사는 가디언에 "미국 정부가 저지른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 비자 업무를 총괄하는 미 국무부의 외교업무매뉴얼(FAM)에 따르면 B1 비자 소지자는 해외에서 제작·구매한 장비를 설치·시운전하거나, 현지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건축 또는 건설 업무를 감독하거나 교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미국 내에서 직접 보수를 받아선 안 된다. 국무부 매뉴얼에 따르면 B1 비자를 소지하고 현지 공장 건설 현장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는 이민당국이 불법 체류자로 규정하기 어려운 셈이다.

이로 인해 구금 한국인들을 변호하는 현지 변호사에 따르면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디레이 제임스 구금시설을 관리하는 지오(GEO) 그룹에서는 한국 구금자 입소 과정에서 논쟁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ICE의 급습 현장을 목격한 복수의 LG에너지솔루션 협력사 직원들에 따르면 ICE의 체포 과정은 '마구잡이'에 가까웠으며, 사무실에서 근무하던 직원들도 공장으로 연행돼 현장직 노동자들과 같이 조사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협력사 직원은 "제대로 된 비자를 받았는데도 해당 서류를 갖고 있지 않아서 끌려간 사람도 있었다"고 증언했다.

이러한 ICE의 단속 과정이 불법적인 것으로 향후 드러날 경우 소송 가능성을 주장했다. 조지아주 한 이민 전문 변호사는 "이는 미 정부가 인권 침해를 저지른 것"이라며 "차후 집단 소송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관련 소송은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다.

5. 여담

6. 둘러보기

<colkeepall>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도널드 트럼프 투명.svg도널드 트럼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생애 생애 (2015년 · 2016년 · 1차 퇴임 이후)
가족 할아버지 프레더릭 트럼프 · 아버지 프레드 트럼프 · 아내 멜라니아 트럼프 · 아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 딸 이방카 트럼프 · 아들 에릭 트럼프 · 딸 티파니 트럼프 · 아들 배런 트럼프 · 손녀 카이 트럼프 · 전 배우자 이바나 트럼프 · 전 배우자 말라 메이플스
사업 트럼프 기업 (트럼프 타워 · 트럼프 월드 타워) · TMTG (트루스 소셜)
선거 2016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발언 Make America Great Again · You're Fired · 어록 · 대한민국 국회 연설 · 2025년 의회합동연설
사건·사고 탄핵소추 및 심판 (2019년 · 2021년) · 2019년 미국 특수부대 북한 침투 작전 · 러시아 게이트 · 우크라이나 스캔들 · 미국-중국 무역 전쟁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대IS 군사 개입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사살) ·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폭동 · 암살 미수 사건 (1차 · 2차) · 알링턴 사건 ·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 2025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관련 소송 트럼프 대 앤더슨 · 트럼프 대 미합중국
관련 매체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 · 그 일이 일어난 방: 백악관 회고록 · 화씨 11/9: 트럼프의 시대 · 어프렌티스
관련 집단 미국 우선 정책 연구소 · 대깨트 · 샤이 트럼프 · 프라우드 보이즈 · 트럼프를 위한 게이들
기타 여담 · 비판 및 논란 · 대한민국에서의 호감도 · 마라라고 리조트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어프렌티스 · 나 홀로 집에 2) · 트럼프그렛 · 프로젝트 2025 · MAGA 공산주의 · STOP THE STEAL · Trump Always Chickens Out · 열병식
성향 트럼프주의 · 고보수주의 · 미국 내셔널리즘 · 미국 예외주의 · 딥 스테이트 · QAnon
정책 정치 · 대 특정 계층 행보 · 행정명령 (13780호) · 코로나19 · 아르테미스 계획 · 영토확장 (No, Donald Trump!)
트럼프 1기 행정부
평가 평가
외교 외교 · 예루살렘 선언
타임라인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2021년
트럼프 2기 행정부
평가 평가
외교 외교 · 정상회담 ·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대한민국의 대응) · 2025년 미국-콜롬비아 외교 분쟁 · 광물 협정
타임라인 2025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1] ICE 산하 국토안보수사국 포함[2] 한미정상회담이 종료된 이후 약 11일이 지나고 발생했다.[3] 미국 행정부를 대표햐는 기관들인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미국 연방수사국(FBI), 미국 마약단속국(DEA), 주류·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ATF) 등 수사기관들을 총동원하여 오랜기간 동안 물밑 수사와 증거로 법원의 허가를 받아 이루어진 작전이다.[4] 연합뉴스 기사[5] 대한항공 소속 보잉 747-8[6] 인천-애틀랜타 항공노선. 대한항공이 평시에도 주 7회 B777-300ER 또는 B747-8i를 통해 운항하고 있는 노선이다. 이렇게 자주 운항하는 이유 역시 인접한 조지아주앨라배마주에 현대차그룹의 공장이 위치하고 있어 수요가 상당히 많았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대한항공의 최장거리 정기노선이자 현재 보잉 747로 운항하는 노선 중 2번째로 긴 노선이다.[7] 전세기 운항을 위해 승객 및 화물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것을 페리(Ferry)편 혹은 페리 운항이라 부른다.[8] # # # # # # # # # # # # # # # # # # # #[9] 사실 SK는 지금 이럴때가 아니다. 테네시주에 진출해서 공장을 짓고있는 SK온을 당장 챙겨줘야 할 필요성이 크다. 이유는 미국 연방 수사당국이, 테네시주에 있는 한국 기업의 공장 노동자 명단을 확보했다는 소리가 있어, 사전에 미리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하필 한 나라의 중앙정부에 속한 법집행기관이라서 아무리 방지책을 연구해 봤자 미국의 법을 방패이자 무기로 앞세워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불법 이민자 단속을 적극적으로 나오는게 가능한 만큼, 방지할 방법이 전무하므로 사건이 터진 후 곧바로 데려오는 데 집중하는 사후대응 중심의 사전계획을 짤 수밖엔 없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향후 양국에서 비자 발급과 쿼터 등의 문제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이 내려지길 바라는 것이 옳다. 최근 서구권을 중심으로 반이민 정서와 자국 보호 정책들이 세계 각국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여러 대비가 각자에게 충분히 필요하다.[10] 국토안보부 산하에는 ICE와 HSI가 포함되어 있다.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11] 사실상 미국 정부가 미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의 고용문제 및 인권 문제를 수사하겠다는 예고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미국에 진출해 있는 다른 한국 기업들도 타깃이 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고용문제와 인권문제에 신경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12] 더 심각한 건 이번 사건이 끝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연방기관의 수사당국이 주말 사이에 한국 총영사관을 통해 테네시주에 진출해 있는 우리나라 기업의 공장 직원 명단을 확보했다는 소리가 있어, 우리나라 국회가 파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연방기관 수사당국이 미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공장 직원 명단을 왜 계속 확보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13] B1과 B2는 하나로 묶여있으며, 입국시에 목적에 따라서 B1 상용으로 처리하거나 B2 관광으로 처리하게 된다. 즉 여행가려고 받아둔 미국 관광비자로 출장을 가는 것도 가능하다.[14] 사실 ESTA는 비자가 아닌 단순 전자여행허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ESTA 비자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한국은 사실상 무비자 협정과 비슷한 Visa Waiver Program에 가입되었기 때문에 따로 단기 출장 및 관광 비자(각각 B1, B2)를 발급하지 않아도 ESTA를 취득하는 데 성공하면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물리적 노동은 단기 출장 비자로도 불가능하며, 이에 상응하는 비자를 따로 발급받아야 한다.[15] 참고로 조지아주의 지역 노조로 불리는 "로컬188"은 외국인을 공격하는 정치적인 활동을 많이 한다고 한다. 한마디로 보면 조지아주의 지역 노조는 외국인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신고를 지속적으로 해온것으로 보인다. 즉, 조지아주에 공장을 건설하고 있는 현대차와 LG가 조지아주의 지역 노조의 표적이 된 것이며, 노조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잘못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16] 참고로 이렇게 해외기업의 대미투자에 대해서도 외국인 혐오와 증오로 인해 문제 제기를 하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극단적인 지역 노조들을 주정부나 주의회가 직접 통제할 수가 없으니 공화당은 해외 기업의 대미 투자를 위해 극단적인 지역 노조랑 거리두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고 한다. 그러나 이번 사건 이후 더 많이 보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도 이번 사건 이후로 해외 기업들의 대미투자를 위해 거리두기를 하는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