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3:40:49

Stairway to Heaven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d2d1><tablebgcolor=#dcd2d1>
파일:Led Zeppelin IV.jpg
파일:Zoso.png
Track listi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ide A
<rowcolor=#000> 트랙 곡명 러닝타임
<colcolor=#000,#dcd2d1> 1 Black Dog <colcolor=#000,#dcd2d1> 4:55
2 Rock and Roll 3:41
3 The Battle of Evermore 5:52
4 Stairway to Heaven 8:03
Side B
<rowcolor=#000> 트랙 곡명 러닝타임
1 Misty Mountain Hop 4:38
2 Four Sticks 4:45
3 Going to California 3:32
4 When the Levee Breaks 7:09
파일:레드 제플린.png
}}}}}}}}} ||
Stairway to Heaven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000><colcolor=#DAA520> 파일:Grammy.svg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작품명 <colcolor=#373a3c,#ddd> Stairway to Heaven
종류 노래
아티스트 레드 제플린
헌액 연도 2003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99><#fff,#191919>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파일:libraryofcongress_dark.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200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Be My Baby” (1963)
샘 쿡,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Dear Mama" (1995)
}}}}}}}}} ||
201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바비 다린,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 (1992)
}}}}}}}}} ||
202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0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1938)
패티 라벨, "Lady Marmalade" (1974)
개구리 커밋(짐 헨슨), "Rainbow Connection" (1979)
Kool & the Gang, "Celebration" (1980)
이즈라엘 카마카위올레, "Somewhere Over the Rainbow/What a Wonderful World" (1993)
2022년 등재
어니스트 터브, "Walking the Floor Over You" (1941)
냇 킹 콜, "The Christmas Song" (1961)
앤디 윌리엄스, "Moon River" (1962)
디즈니랜드 보이즈 콰이어, "It's a Small World" (1964)
포 탑스, "Reach Out I'll Be There" (1966)
, "Bohemian Rhapsody" (1975)
저니, "Don't Stop Believin'" (1981)
리키 마틴, "Livin' la Vida Loca" (1999)
2023년 등재
포 시즌스, "Sherry" (1962)
바비 젠트리, "Ode to Billie Joe" (1967)
존 레논, "Imagine" (1971)
레드 제플린, "Stairway to Heaven" (1971)
존 덴버, "Take Me Home, Country Roads" (1971)
지미 버핏, "Margaritaville" (1977)
아이린 카라, "Flashdance... What a Feeling" (1983)
유리드믹스,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1983)
콘도 코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지상 BGM (1985)
머라이어 캐리,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994)
칼 세이건, "Pale Blue Dot" (1994)
대디 양키, "Gasolina" (2004)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BFC5DE,#BFC5DE><colbgcolor=#000000> 1위 Like a Rolling Stone
2위 Smells Like Teen Spirit
3위 A Day in the Life
4위 Good Vibrations
5위 Johnny B. Goode
6위 Respect
7위 Be My Baby
8위 What's Going On
9위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0위 (I Can't Get No) Satisfaction
11위 Billie Jean
12위 Heartbreak Hotel
13위 Born to Run
14위 My Generation
15위 Love Will Tear Us Apart
16위 God Only Knows
17위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18위 Hey Ya!
19위 Anarchy in the UK
20위 Paper Planes
21위 London Calling
22위 Sympathy for the Devil
23위 Strawberry Fields Forever
24위 Tutti Frutti
25위 Stairway to Heaven
26위 The Message
27위 What'd I Say
28위 Imagine
29위 A Change Is Gonna Come
30위 "Heroes"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32531><colcolor=#fff> 2019년 롤링 스톤지가 'The 40 Greatest Led Zeppelin Songs'를 선정.
1위 Whole Lotta Love
2위 Stairway to Heaven
3위 Black Dog
4위 Kashmir
5위 Ramble On
6위 Good Times Bad Times
7위 Immigrant Song
8위 When the Levee Breaks
9위 Rock and Roll
10위 Misty Mountain Hop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1위 - 40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32531> 11위 Going to California
12위 Communication Breakdown
13위 Dazed and Confused
14위 The Ocean
15위 What Is and What Should Never Be
16위 Over the Hills and Far Away
17위 The Battle of Evermore
18위 The Song Remains the Same
19위 Gallows Pole
20위 D’yer Mak’er
21위 Dancing Days
22위 Heartbreaker
23위 Nobody’s Fault but Mine
24위 Fool in the Rain
25위 Babe I'm Gonna Leave You
26위 Trampled Under Foot
27위 Houses of the Holy
28위 No Quarter
29위 Thank You
30위 In My Time of Dying
31위 Moby Dick
32위 The Wanton Song
33위 Living Loving Maid (She's Just a Woman)
34위 The Rain Song
35위 Tangerine
36위 Since I've Been Loving You
37위 Four Sticks
38위 Travelling Riverside Blues
39위 All My Love
40위 In the Evening
}}}}}}}}} ||
}}}}}}}}} ||
파일:기타월드 로고.png
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의 기타 및 음악 잡지 기타 월드(Guitar World)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기타 솔로 100곡"의 명단이다.
<colcolor=#000><colbgcolor=#fff> 1위 Stairway to Heaven
2위 Eruption
3위 Free Bird
4위 Comfortably Numb
5위 All Along the Watchtower
6위 November Rain
7위 One
8위 Hotel California
9위 Crazy Train
10위 Crossroads
11위 Voodoo Child (Slight Return)
12위 Johnny B. Goode
13위 Texas Flood
14위 Layla
15위 Highway Star
16위 Heartbreaker
17위 Cliffs of Dover
18위 Little Wing
19위 Floods
20위 Bohemian Rhapsody
21위 Time
22위 Sultans of Swing
23위 Bulls on Parade
24위 Fade to Black
25위 Aqualung
26위 Smells Like Teen Spirit
27위 Pride and Joy
28위 Mr. Crowley
29위 For the Love of God
30위 Surfing with the Alie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3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colbgcolor=#fff> 31위 Stranglehold
32위 Machine Gun
33위 The Thrill Is Gone
34위 Paranoid Android
35위 Cemetery Gates
36위 Black Star
37위 Sweet Child O' Mine
38위 Whole Lotta Love
39위 Cortez the Killer
40위 Reelin' In the Years
41위 Brighton Rock
42위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43위 Sharp Dressed Man
44위 Alive
45위 Light My Fire
46위 Hot for Teacher
47위 Jessica
48위 Sympathy for the Devil
49위 Europa
50위 Shock Me
51위 No More Tears
52위 The Star-Spangled Banner (우드스탁 페스티벌 지미 헨드릭스 커버 버전)
53위 Since I've Been Loving You
54위 Geek U.S.A.
55위 Satch Boogie
56위 War Pigs
57위 Walk
58위 Cocaine (에릭 클랩튼 커버 버전)
59위 You Really Got Me
60위 Zoot Allures
61위 Master of Puppets
62위 Money
63위 Scar Tissue
64위 Little Red Corvette
65위 Blue Sky
66위 The Number of the Beast
67위 Beat It
68위 Starship Trooper
69위 And Your Bird Can Sing
70위 Purple Haze
71위 Maggot Brain
72위 Walk This Way
73위 Stash
74위 Lazy
75위 Won't Get Fooled Again
76위 Cinnamon Girl
77위 Man In The Box
78위 Truckin'
79위 Mean Street
80위 You Shook Me All Night Long
81위 Sweet Jane
82위 21st Century Schizoid Man
83위 Scuttle Buttin'
84위 Lights Out
85위 Moonage Daydream
86위 Whipping Post
87위 Highway 61 Revisited
88위 Kid Charlemagne
89위 Killing In The Name
90위 Let It Rain
91위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92위 Stray Cat Strut
93위 The End
94위 Working Man
95위 Yellow Ledbetter
96위 Honky Tonk Women
97위 Beyond the Realms of Death
98위 Under a Glass Moon
99위 Cause We've Ended as Lovers
100위 Wanted Dead or Alive
}}}}}}}}} ||
}}}}}}}}}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명곡
5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31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31위 ||

파일:로큰롤 명전 로고.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Stairway to Heaven
<colcolor=#000><colbgcolor=#dcd2d1> 앨범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 1971년 11월 8일
파일:영국 국기.svg 1971년 11월 12일
녹음일 1970년 12월 - 1971년
수록 앨범
파일:Zoso.png
장르 전반 | 프로그레시브 록
초반부 | 포크 록, 소프트 록
후반부 | 하드 록, 헤비 메탈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러닝 타임 8:02
연주자
[ 펼치기 · 접기 ]
리드 보컬
리드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스튜디오 아일랜드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
1. 개요2. 상세3. 가사
3.1. 가사에 대하여
4. 곡의 구성5. 표절 논란
5.1. 표절이 아닌 이유
6. 여담

[clearfix]

1. 개요

1971년 라이브[1]
(파리 공연장)
1972년 라이브
1973년 라이브
(매디슨 스퀘어 가든)
1975년 라이브
(얼스 코트)
1979년 라이브
(네브워스)
2007년 라이브
(O2 아레나)
I think this is a song of hope.
이 노래는 희망의 노래인 것 같습니다.

로버트 플랜트, 1973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 中
영국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4집인 Led Zeppelin IV[2]에 수록된 곡.

2. 상세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곡 중 하나이며, 동시에 대중음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단일 곡 중 하나이다. 레드 제플린이 발표한 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한국인에게는 1970년대 팝송이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이지만, 이 곡만큼은 딥 퍼플Smoke on the Water, Bohemian Rhapsody, 이글스Hotel California와 함께 예외다. 그 정도로 유명한 곡이고 특히 Smoke on the Water와 더불어 기타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레논-매카트니, 재거-리처즈와 비견되는 콤비인 플랜트-페이지가 작곡했고, 가사는 로버트 플랜트가 썼다. 무려 8분 2초에 달하는 대곡으로 록 음악의 역사뿐만 아니라 현대 대중 음악의 역사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곡 중 하나다.

현재까지 수많은 프로, 아마추어 뮤지션들이 커버를 하며 크고 작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곡이다. 곡 자체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지만, 앨범 판매량에 영향을 끼칠 것을 고려하여 프로모 싱글로만 발매되었다.

3. 가사


Stairway to Heaven
1. 포크 록

There's a lady who's sure all that glitters is gold
반짝이는 건 뭐든 다 금으로만 아는 한 여인이 있소
And she's buying the stairway to heaven
그리고 그녀는 천국으로 가는 계단을 사려 하오[3][4][5]
When she gets there she knows, if the stores are all closed
그녀가 아는 곳에 다다라, 모든 가게가 닫혀있다 하더라도[6]
With a word she can get what she came for
말 한마디로 그녀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으리

Ooh ooh, and she's buying the stairway to heaven
그녀는 천국으로 가는 계단을 사려 한다오
There's a sign on the wall but she wants to be sure
벽에 표식이 걸려 있지만, 그녀는 확실히 알고 싶어 하오
'Cause you know sometimes words have two meanings
왜냐면 그대도 알 듯, 말은 때로 여러 의미를 지니니

In a tree by the brook, there's a songbird who sings
개울가 한 그루 나무에, 노래하는 새 한 마리가 있소
Sometimes all of our thoughts are misgiven
때로는 우리의 모든 생각들이 걱정스럽네

Ooh ooh, it makes me wonder
우 우, 그게 날 궁금케 하오,
Ooh ooh, it makes me wonder
우 우, 그게 날 궁금케 하오,

2. 일렉트릭

There's a feeling I get when I look to the west
서쪽을 바라볼 때마다 문득 느끼는 게 있소
And my spirit is crying for leaving
그때마다 나의 영혼이 떠나라 울부짖는다오
In my thoughts I have seen rings of smoke through the trees
내 생각엔 말이오, 나무들 사이로 둥그런 연기의 고리를 본 것 같소
And the voices of those who stand looking
그리고 서서 기다리는 그 자들의 목소리를 들었네

Ooh ooh, it makes me wonder
우 우, 그게 날 궁금하게 하오
Ooh ooh, it really makes me wonder
우 우, 그게 날 미치도록 궁금케 한다오

And it's whispered that soon if we all call the tune
이제 곧 풍문이 들려오니, 우리 모두 한 목소리를 낸다면
Then the piper will lead us to reason
피리 부는 자가 우리를 이치로 인도할 것이라고 하오
And a new day will dawn for those who stand long
그리고 오랫동안 버텨온 이들에게 신세계가 열리고
And the forests will echo with laughter
숲에 웃음소리가 울려퍼지리

If there's a bustle in your hedgerow, don't be alarmed now
그대의 정원이 소란스럽더라도, 신경쓰지 말기를[7]
It's just a spring clean for the May queen
그저 메이퀸[8]을 위한 봄 청소일 뿐이니
Yes,there are two paths you can go by , but in the long run
그대가 갈 수 있는 길은 2개지만, 멀리 본다면
There's still time to change the road you're on
그대가 발 올린 길을 바꿀 시간은 충분하더오

And it makes me wonder
그리고 그게 날 궁금케 한다오

Your head is humming and it won't go, in case you don't know
그대 머릿속의 흥얼거림이 멈추지 않을 때, 내 장담컨대
The piper's calling you to join him
그것은 피리 부는 자가 그대에게 함께하라 부르는 소리일 것이오
Dear lady, can you hear the wind blow?
친애하는 여인이여, 바람 부는 소리가 들리오?
and did you know Your stairway lies on the whispering wind?
그리고 알고 있었소, 그대의 계단은 속삭이는 바람에 뉘여있다는 걸?

3. 기타 솔로[9]
4. 헤비 메탈

And as we wind on down the road
우리가 인생의 길을 달려갈 때
Our shadows taller than our soul
우리의 그림자가 우리의 영혼보다 더 커 보일 때
There walks a lady we all know
우리 모두가 아는 그 여인이 걸어와
Who shines white light and wants to show
흰 광채를 두른 채 보여주려 하오

How everything still turns to gold
어찌 모든 게 아직도 금으로 변하는지를
And if you listen very hard
그리고 당신이 온 힘을 기울여 들으려 하면
The tune will come to you at last
모두가 하나이고, 하나가 모두일 때
When all are one and one is all
흔들리지 않는 굳센 바위가 될 때[10]
To be a rock and not to roll
그대가 결국엔 그 선율을 지니게 되리라는 것을 말이오

5. 포크 록

And she's buying the stairway to heaven...
그리고 그녀는 비로소 천국으로 가는 계단을 믿게 될 것이오...[11]
파일:레드 제플린.png

3.1. 가사에 대하여

이 가사는 로버트 플랜트의 순수 창작이다. 어느 날 로버트 플랜트는 지미 페이지와 함께 벽난로 앞에 앉아서 사이좋게 마약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무아지경에 빠져서 정신없이 가사를 써내려갔다고 한다. 정신차리고 읽어 보니 썼던 본인이 가장 놀랐다고 한다.[12]

Sympathy for the Devil 등과 더불어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훌륭한 가사를 꼽을 때 거론되는 곡이지만, 이 가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문학에 조예가 깊던 로버트 플랜트이기에 그저 단순한 문학적인 곡이라는 주장부터 악마 숭배곡이라는 음모론, 마약에 대한 곡이라는 주장까지 있으나 확실한 것은 밝혀지지 않았다.

가사를 보고 크게 감탄한 지미 페이지는 이후 작사에서 손을 떼버리고 로버트 플랜트한테 모두 맡겨버렸다. #

4. 곡의 구성

8분의 대곡 속에 그 당시 생각도 할 수 없었던 구성을 넣었다. 어쿠스틱 사운드와 플룻을 이용해 목가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시작된다. 점점 템포와 볼륨이 높아지고, 곡의 구성도 점차 바뀌기 시작한다. 적절하게 나누어서 보면 이렇다.
0:00~2:15 어쿠스틱 기타를 사용하여 조용히 시작하며[13], 4개의 리코더 음색이 샘플링된 멜로트론으로 연주하면서 조용히 시작한다.
2:16~5:33 일렉트릭 기타와 드럼이 서서히 추가되는 동시에 템포가 빨라지며 사운드가 점점 고조되기 시작한다.
5:34~6:44 기타 솔로. 시작할 때의 분위기는 찾아볼 수 없고, 하드 록으로 완전한 탈바꿈을 거쳤다. 하지만 곡의 속도는 계속 빨라진다.
6:45~7:45 절정 부분. 로버트 플랜트의 뛰어난 가창력, 기타와 드럼이 극에 달하고, 마침내 한 번에 터져나온다.
7:45~8:02 곡의 에필로그 부분. 모든 연주가 멈추고, 처음의 분위기로 돌아가 가사 한 줄을 읊으며 마무리한다.

보다시피 소설의 구성 요소인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구조를 따르고 있다. 특유의 구조, 수미상관을 이루는 완벽한 구성, 묘한 분위기 때문에 8분이라는 길이에도 불구하고 70년대 라디오에서 가장 많은 신청곡이었다. 하지만 의외로 처음엔 혹평을 많이 받았다.[14] 음악 잡지 'Sounds'에게는 지루한 정신분열증 같은 곡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고, '쓰레기'라고 불리기까지 했으나 당연히 평가는 곧 반전되었다. 하지만 이 곡을 쓴 플랜트 자신도 인터뷰에서 간간이 이 곡에 좀 진절머리나고 끔찍한 웨딩송이라고 셀프디스

하드 록어쿠스틱의 조화, 뛰어난 테크닉, 특유의 분위기를 잘 살리는 연주가 조화를 이루는 역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파일:tumblr_lxa7im1wLZ1qz6f4bo1_1280.jpg
NO Stairway to Heaven
기타 솔로와 기타 인트로 부분이 어마어마하게 유명한 곡이다. 흔히 "최고의 기타 솔로"와 "최고의 기타 인트로"를 꼽으면 반드시 꼽힐 정도. 그래서인지 많은 기타리스트 지망생들이 한 번씩은 연습해보는 곡이기도 한데, 워낙에 악기점 기타 시연에서도 질릴 정도로 많이 사용되는 곡이다보니 악기점 사장들이 가장 싫어하는 곡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15] 위는 영화 웨인즈 월드의 한 장면으로 악기점 내에서 이 곡을 연주하지 말라는 경고문(...)이 붙어있는 모습이다.

앞부분 때문에 한국에서는 레드 제플린을 운치있는 포크 록 밴드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꽤 되는 듯하다. 사실 Going to California 같은 곡을 들어보면 절반쯤은 맞는 소리다.[16]

5. 표절 논란

결론부터 말하자면 표절곡이 아니다.

스피릿(Spirit)의 기타리스트 랜디 캘리포니아의 신탁 관리인 마이클 스키드모어는 1971년 발표된 Stairway To Heaven이 캘리포니아가 1967년 만든 연주곡 'Taurus'를 표절했다며 저작권 확인 소송을 냈으며 지미 페이지는 ‘들어본 적 없는 곡’이라며 표절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비교 영상
영국 매체 미러는 로스앤젤레스 연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지미 페이지가 Stairway To Heaven을 쓸 당시, 논란이 된 표절 대상 곡을 들어본 적 없었다고 진술했음을 보도했다. #

그리고 2020년에 미국 연방대법원은 표절의혹 사건 상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 그런데 표절이 아닌지를 밝혀낸 방법이 표절 의혹을 받는 도입부 어쿠스틱 기타 부분이 아닌 주요 부분을 피아노 한 대로 가려냈다는 것이 밝혀지자 더욱 논란이 되었다고 한다.

5.1. 표절이 아닌 이유

왜 표절이 아닌지 설명하는 영상
우선 이 곡에서 유사하다고 하는 부분을 들어 보면 유사한 점이 3개 정도가 지적된다. 사용된 악기가 기타라는 점과, 아르페지오 주법으로 연주되었다는 점과, 마지막으로 코드 진행이다. 이 중 기타는 록 음악에서 필수요소급으로 쓰이는 악기이고 아르페지오 주법 역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한다면 무조건 연주하게 될 흔하디흔한 주법이다. 그렇다면 표절을 가릴 만한 부분으로는 코드 진행인데, 두 곡 모두 A마이너 키에서의 반음계적 하행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반음계적 하행은 현대의 화성학에서 라인 클리셰라고 부르는 매우 흔한 진행이라는 것이다. 마이너 키의 1도에서 시작하여 베이스음을 반음계로 하행시키는 진행은 클리셰라 불릴 정도로 흔하게 쓰이는 코드 진행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이것은 흔히 사용되는 악기와 주법, 코드 진행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표절 시비를 걸어버린 것이다. 이러한 코드 진행으로 만들어진 곡들은 그야말로 수도 없이 많다. 이들의 표절시비에 따르면 이 코드를 똑같이 기타로 연주한 곡이 있으면 바로 표절이라고 소송을 걸어도 되는 것이다. 아래의 악보들을 한번 보자.

파일:표절시비'.png
Spirit-Taurus
파일:sth.png
Led Zeppelin-stairway to Heaven

위의 악보는 표절을 당했다고 하는 스피릿의 Taurus의 해당 부분을 채보한 것이고 아래의 악보는 Stairway to Heaven의 인트로 부분이다. 둘 다 Am 코드부터 반음계적 하행을 사용한 것은 맞지만 결정적으로 구성음과 4마디 반복에서 마지막 코드를 어떻게 다음 진행으로 넘어가는지에 차이가 있다. 스피릿의 곡은 단지 코드들의 구성음을 차례대로 연주하고 있을 뿐이지만, 레드 제플린의 곡에서는 나름의 멜로디 라인이 나타나며 각 코드가 시작되는 지점에는 화음을 쌓아서 코드의 근음을 함께 연주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마디는 보다시피 코드 자체가 다르다. 둘 다 흔한 코드 진행을 사용하였음에도 이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은 표절로 보기 어려울 것이다.

여담으로, 표절 시비를 건 곡 Taurus는 해당 부분의 연주가 박자가 안 맞는 부분이 있다.

6. 여담













[1] 라이브 앨범 BBC Sessions 버전이다. 해당 라이브는 1971년 4월 1일 공연에서 선보였는데, 당시는 4집이 발매되기 수개월 전이었다.[2] 편의상 Led Zeppelin IV라고 많이 부르긴 하지만 공식적인 음반의 이름 자체는 없다.[3] buy는 ‘사다’라는 표현 외에도 ‘(대가를 치르고) 얻다,’ ‘(사람을) 매수하다,’ ‘(특히 사실 같지 않은 것을) 믿다’라는 뜻들이 있는 다의어이다. 이 문장을 ‘천국으로 가는 계단을 믿는다’라고 종교적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겠지만, 이 곡 도입부에 등장하는 여인은 반짝이는 것은 모두 금이라 믿는 속물이다. 그런 여인이 ‘천국으로 가는 계단마저 돈으로 사려고 한다’는 뜻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그리고 be -ing의 구문이 현재진행형으로 오인될 수 있으나, 이는 계획된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는 의미로 번역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4] 덧붙여서 buy를 '믿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용례는 대부분 부정문의 형태로 쓰이며, 긍정문의 형태로 쓰이더라도 믿을 수 없는 것을 억지로 믿어준다는 뉘앙스가 강한 표현이다. 또한 이는 비격식적인 구어체 표현이라서, 다양한 은유가 등장하는 시적인 가사의 해석으로는 별로 어울리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서 buy를 굳이 ‘믿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5] 이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는 당최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은데, 일각에서는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 마약이고 여인은 마약 중독자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실제로 뒷 가사를 보면 말 한마디로 원하던 것을 얻는다는 구절이 있는데, 이것이 마약상에게 암호를 대는 것 같은 뉘앙스를 풍기기 때문.[6] 'get somewhere'을 직역하면 ‘어딘가에 도착했을 때’라고 해석하지만, 본 가사에서는 그녀가 알고 있는, 혹은 믿는 ‘stairway to heaven’에 도달했을 때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7] hedgerow는 회양목이나 광나무 같은 생울타리를 가리키는 말로, 의역상 정원으로 해석.[8] 노동절 즈음 여는 서양의 풍속, 한국으로 치면 단오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9] 핑크 플로이드Comfortably Numb, 레너드 스키너드Free Bird, 밴 헤일런Eruption 등과 함께 기타 솔로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솔로이다. 특히나 기타 솔로라는 개념이 덜 정립됐던 1971년 당시에 이러한 정석적인 하드 록 속주 솔로를 구사한 것이 매우 호평받으며, 제시된 곡들 중 가장 시기적으로 오래된 곡이다.[10] 가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로큰롤을 은유하는 가사다. 레드 제플린은 이런 식으로 로큰롤이라는 이름을 변주한 가사를 쓰는 경우가 많다.[11] 도입부에 나오는 것과 똑같은 문장이지만, 속물스럽던 여인이 여러 가지 풍파를 겪으면서 무언가를 깨닫게 된다는 의미를 살려서 해석하면, 여기서는 '비로소 천국으로 가는 계단을 믿게 된다'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다. 물론 이러한 해석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곡의 가사 중 “Cause you know sometimes words have two meanings”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노래의 가사가 해당 부분을 포함하여 여러 곳에서 중의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표현을 쓰는 것을 생각해보면 재미있는 부분이다.[12] 1960~1970년대의 음악들 중 상당수는 Stairway to Heaven처럼 마약의 영향을 받아서 작사/작곡됐다. 대표적으로 폴 매카트니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등 대다수의 비틀즈 음악은 LSD 등 마약의 영향을 받아서 작사/작곡한 것이라고 밝혔으며, 롤링 스톤스, 크림 등 당시 수많은 밴드들은 마약을 흡입하고 곡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레드 제플린은 마약을 특히 많이 하기로 유명했다.[13] 라이브에서는 어쿠스틱의 코러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12현이 달린 더블넥 깁슨 EDS-1275를 사용했다. 레코딩 때는 기타 2대를 썼는데, 이 부분은 펜더 일렉트릭 XII라는 12현 기타를 써서 따로 녹음했다.[14] 앨범이 나오기 전 라이브 공연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는데 (1971년 3월 5일 벨파스트 공연) 초반 전주 부분에서 몇몇 관객들은 지루해하기도 했다고 한다(...). 물론 곡이 끝나고 청중의 기립박수를 받았다.[15] 피아노에서는 히사이시 조Summer가 비슷한 위치에 있다.[16] 이와 같이 하드 록, 헤비 메탈 계열이지만 대표 곡이 소프트, 팝 성향이라 장르를 오해받는 경우는 많다. 대표적으로 건즈 앤 로지스(November Rain), 에어로스미스(Dream On), 딥 퍼플(Soldier of Fortune), 레인보우(Temple of the King), 포리너(I Want to Know What Love Is) 등등. 록 발라드가 인기인 국내 특성 때문이며, 이 부분에서 가장 레전드는 Holiday, Always Somewhere, Wind of Change로 꼼짝없이 발라드 전문 밴드가 되어버린 스콜피온즈가 아닐까 싶다.[17] 비슷한 평가를 받는 곡이 다름 아닌 딥 퍼플의 곡 "Smoke on the Water". 이 곡은 초반의 "빰빰빠밤"하는 리프가 멋드러지면서도 치기 쉽기 때문에 어쿠스틱/일렉 기타 초보자들이 많이 연주하는 곡이다. 기타의 라이벌 악기 피아노에서는 히사이시 조Summer가 사운드 테스트 대표 곡으로 평가받는다.[18] Simone Kermes, 독일의 소프라노[19] 다만 Stairway to Heaven이 더 어울리는 것이, 메이드 인 헤븐은 말만 천국에서 온 것이라서 거짓된 느낌을 주는 반면, 스테어웨이 투 헤븐은 천국으로 가는 과정이기에 어울린다. 실제로 이 스탠드의 능력이 시간을 가속해 사람들을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니...[20] Master of Puppets만 해도 8분 36초며, 가장 러닝 타임이 긴 노래는 9분이 넘어가는 And Justice For All이다[21] 해석하면 ‘누구 웃음소리를 기억하는 자 있나?‘[22] 표절이라는 소리를 들을까봐 부클릿에 아예 "Stairway to Heaven"이 삽입되어 있음이라고 적어놓았다.[23] 비슷한 예로 Smoke on the Water, Sweet Child O' Mine, Enter Sandman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