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경상C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개성고등학교 | 경남고등학교 | 부경고등학교 | 부산고등학교 | ||||
부산공업고등학교 | 부산정보고등학교 | 울산공업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
}}}}}} ||
개성고등학교 야구부[1] (Gaesung High School) | |
창단 | 1924년 |
소속 리그 | 부산권 |
감독 | 홍민구 |
우승 기록[2] | 4회 |
웹사이트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 | 1회(1979) | - |
청룡기 | 2회(1946, 1964) | 1회(1960) | 3회(1979, 2008, 2019) |
황금사자기 | 1회(1975) | 2회(1960, 1999) | 1회(1974) |
봉황대기 | 1회(1976) | - | 1회(1981) |
이마트배 | - | - | - |
1946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대회 창설 | → | 부산상업중학교 | → | 경남중학교 |
1964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부산공업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동대문상업고등학교 |
1975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북고등학교 | → | 부산상업고등학교 | → | 충암고등학교 |
[clearfix]
1. 개요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야구부이다. 하지만 우승 횟수로는 경남고나 부산고에 밀리며 예전 상고 라이벌이던 부경고와 비슷하다.
2. 역사
일제강점기에 조선 지역 예선을 뚫고 1921년 고시엔에 출전해 8강에 오르기도 했다. 다만 조선인으로 구성된 야구단은 아니었고 조선인으로 구성된 고교야구 팀이 8강에 오른 것은 1923년 휘문고보가 유일하다.개성고의 첫 우승은 아직 6-3-3 교육 시스템이 완성되기 전이라, 고등학교들이 중학교로 불리던 시절이었다. 부산상업중학은 1946년 초대 청룡기에서 당대 최고의 선수들로 야구계의 전설이 된 경남중의 장태영, 광주서중의 김양중, 동산중의 박현식을 모두 제압하고,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부산상고-개성고 출신으로 야구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김응용이지만 고교 시절에는 그리 인상적인 성적을 내지 못했다.[3] 오히려 부산상고는 하현승이 졸업한 후인 1960년에 청룡기와 황금사자기 모두 결승에 올랐다. 다만 당대 최강의 전력을 구축한 경동고에 패하면서 우승을 차지하진 못했다. 부산상고의 두번째 전국 메이저 대회 우승은 4년 뒤에 강병철의 호투 속에 이루어졌다.[4]
1946년도에 이은 두번째 청룡기배 우승 기념 사진. 사진 왼쪽에서 세번째가 강병철 |
이후 고교야구의 전성기인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부산상고는 이형 감독[5]의 지휘 아래 1975년 노상수의 활약으로 중앙고를 1:0으로 제압하고 황금사자기 첫 우승에 성공했고, 다시 1976년에는 부산상고 동문 성기영 감독의 지휘 아래 선린상고를 누르고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했다. 우수한 인재들이 모이면서 전성기가 이어지나 싶었지만, 여기까지였다. 1979년 윤학길을 앞세워 대통령배 결승에 올랐지만, 고교야구의 아이돌 윤석환, 박노준, 김건우가 모인 선린상고에게 1:15라는 충격적인 점수로 대패하면서 준우승에 그쳤다. 이 준우승 이후, 다시 전국대회 결승에 올라가기까지는 20년의 시간이 걸려야 했다. 심지어 대회 성적은 부진해도 뭔가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라도 있어야 하는데, 1980년대 내내 이렇다 할 선수도 배출을 못했다.
채태인 |
1996년 부산상고 동문 조호성 감독이 부임한 뒤 팀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오랜 침체기를 무너뜨린 것은 1999년으로 황금사자기 결승에서 투타 모두에서 활약한 채태인을 앞세워 결승까지 올랐지만, 결승에서 만난 군산상고의 좌완투수 이승호에게 완투패를 당하며, 3-11로 패하면서 우승 기회를 놓쳤다.
하지만 이듬해 2000년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채태인과 이승화, 차정민 등이 주축으로 결승까지 진출하였고, 결승에서 경남고를 상대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곽동찬(2001~2003), 김상재(2004), 진동한(2005~2006), 김상재(2007~2011) 감독이 차례대로 팀을 지휘했다. 진동한은 경북고 졸업생이고 곽동찬과 김상재는 부산상고 졸업생이다.
2000년 화랑대기 우승 및 2003년 모교에서 대통령이 배출되면서 뭔가 활력을 찾은 부산상고 야구부는 2005년 일반고 전환(개성고등학교로 교명 변경)과 함께 고교 무대에서 우수한 선수를 수급하기 시작했다. 당시 삼성 라이온즈 사장이었던 김응용이 모교 야구부 후원회장을 맡아 직접 중학 무대의 우수한 선수를 끌어오기 시작[6]한 것이다. 마산중에서 뛰다가 분당 매송중으로 전학간 좌완 김민식한테 개성고를 추천한 인물이 바로 김응용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 전국대회에서 4강 정도로만 만족해야 했고[7], 4번 타자이자 주전 포수로 활약했던 박동원을 바탕으로 다시 부흥기를 이끌었으며, 지방대회인 무등기와 화랑대기에서 2009년 우승을 차지한 것이 마지막이다.
2012년부터 2015년은 부산상고 졸업생 노상수가 지휘봉을 잡았다. 가장 기대를 많이 걸었던 심재민의 고3 시즌인 2013년은 심재민이 부상으로 허무하게 시즌을 날리면서 결국 이렇다 할 성적 없이 끝나고 말았다.
2016년부터 2021년은 부산상고 졸업생 정원욱이 지휘봉을 잡았다. 2019년 청룡기에는 주축 투수 최세창의 활약을 앞세워 16강전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 야탑고를 꺾었고 8강전에서는 효천고에 콜드게임승을 거두며 2008년 이 대회 이후 11년 만에 전국대회 4강에 올랐다. 그러나 야탑고전에서 103구를 던진 최세창이 더 이상 등판하지 못한다는 핸디캡을 이겨내지 못하고 준결승에서 강릉고에 2-5로 패해 20년 만의 메이저 전국 대회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2020년 청룡기 32강전에서 서울디자인고등학교한테 1-11로 대패하며 탈락했다.
2022년 정원욱이 감독에서 물러나고 천북일고 졸업생인 지연규가 지휘봉을 잡았다. 3월에 펼쳐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 1회전에 백송고에 12-5 콜드게임승을 거두며 스타트를 잘 끊었다. 2회전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와의 경기에서 8회초 2득점하며 3-3 동점을 만들었으나 8회말에 상원고에 1실점(결승점)을 내주며 3-4로 아쉽게 패했다.
2023년 청룡기 1회전에서 서울 우신고에 1-2로 패했다.
3. 연도별 상세 성적
자세한 내용은 개성고등학교 야구부/연도별 상세 성적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대 감독
- 배동원 (1971)
- 백기수 (1972~1973)
- 이 형 (1974~1975)
- 성기영 (1976~1979)
- 김윤규 (1980)
- 이 형 (1981~1984)
- 김만주 (1985)
- 신종세 (1986)
- 노회학 (1987~1991)
- 도영권 (1992~1993)
- 노재완 (1994)
- 박복용 (1995)
- 조호성 (1996~2000)
- 곽동찬 (2001~2003)
- 우선택 (2004)
- 진동한 (2005~2006)
- 김상재 (2007~2011)
- 노상수 (2012~2015)
- 정원욱 (2016~2021)
- 지연규 (2022~2024 )
- 홍민구 (2025~)
5. 출신 선수[8]
이름 | 포지션 | 프로 입단 | 경력 |
성기영 | 내야수 | - | 육군(1957~1962)-한국운수(1962)-조선미창(1963)-해운공사(1964)-크라운맥주(1965)-한일은행(1966~1967) |
김응용 | 1루수 | - | 남선전기(1960~1961)-크라운맥주(1964~1965)-한일은행(1965~1973) |
유백만 | 투수 | - | 한국운수(1961)-한국미창(1962)-상업은행(1963~1972) |
강병철 | 내야수 | - | 크라운맥주(1965)-해병대(1966~1969)-한일은행(1970~1977) |
최옥규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 고려대-농협-롯데(1982) |
김용철 | 1루수 | 1982년 창단멤버 | 한일은행-롯데(1982~1988)-삼성(1989~1992) |
노상수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 고려대-롯데(1982~1991) |
이윤섭 | 투수 | 1982년 창단멤버 | 고려대-한일은행-롯데(1982~1984) |
윤학길 | 투수 | 1986년 1차 | 연세대-상무-롯데(1986~1997) |
김태형 | 투수 | 1991년 연고지명 | 롯데(1991~1997)-한화(1998) |
권오원 | 투수 | 1998년 2차 7라운드 | 동아대-삼성(2002~2011) |
이혜천 | 투수 | 1998년 2차 2라운드 | OB/두산(1998~2008)-야쿠르트(2009~2010)-두산(2011~2013)-NC(2014~2015) |
정원욱 | 투수 | 1999년 1차지명 | 경성대-롯데(1999~2002) |
윤성환 | 투수 | 2004년 2차 1라운드 | 동의대-삼성(2004~2020) |
이승화[10] | 외야수 | 2001년 2차 2라운드 | 롯데(2001~2017) |
차정민 | 투수 | 2001년 2차 10라운드 | 동아대-KIA(2005~2012) |
채태인 | 투수, 1루수 | 2007년 해외선수 특별지명 | BOS(2001~2005)-삼성(2007~2016)-넥센(2016~2017)-롯데(2018~2019)-SK(2020) |
김동영 | 외야수 | 2005년 2차 4라운드 | 한화(2005~2010) |
윤완주[11] | 내야수 | 2012년 10라운드 | 경성대-KIA(2012~2019) |
임준섭 | 투수 | 2012년 2라운드 | 경성대-KIA(2012~2015)-한화(2015~2022)-SSG(2023)-롯데(2024) |
박동원 | 포수 | 2009년 2차 3라운드 | 넥센/키움(2009~2022)-KIA(2022)-LG(2023~) |
길태곤 | 투수 | 2010년 8라운드 | 삼성(2010~2012)-한화(2013~2016) |
박준태 | 외야수 | 2014년 2차 6라운드 | 인하대-KIA(2014~2019)-키움(2020~2023) |
임재현 | 내야수 | 2014년 육성선수 | 성균관대-SK(2014~2019) |
정민우 | 포수 | 2010년 3라운드 | 삼성(2010~2011, 2014~2016) |
최영환 | 투수 | 2014년 2차 1라운드 | 동아대-한화(2014~2015)-롯데(2016~2024) |
전병우 | 내야수 | 2015년 2차 3라운드 | 동아대-롯데(2015~2019)-키움(2020~2023)-삼성(2024~) |
김도영 | 투수 | 2016년 2차 7라운드 | 동아대-KT(2016~2018) |
김태완[12] | 포수 | 2016년 육성선수 | 경남대-넥센(2016-2017) |
노관현 | 내야수 | 2016년 2차 7라운드 | 경희대-SK(2016~2017)-KIA(2017~2020) |
김주원[13] | 투수 | 2011년 2라운드 | SK(2011~2013)-KT(2014~2017) |
박재욱 | 포수 | 2014년 2차 10라운드 | LG(2014~2022) |
심재민 | 투수 | 2014년 우선지명 | KT(2014~2023)-롯데(2023~) |
송후섭 | 투수 | 2017년 2차 5라운드 | KIA(2017~2023) |
최보성 | 투수 | 2018년 2차 7라운드 | NC(2018~) |
박지한 | 투수 | 2019년 2차 8라운드 | NC(2019~) |
주성원 | 외야수[14] | 2019년 2차 3라운드 | 키움(2019~) |
백두산 | 포수 | 2024년 육성선수 | 강릉영동대-동의대-롯데(2024~) |
신동수[15] | 내야수 | 2020년 2차 8라운드 | 삼성(2020) |
이태겸 | 외야수 | 2024년 육성선수 입단 | 단국대-LG(2024) |
최세창 | 투수 | 2020년 2차 3라운드 | 두산(2020~) |
한재환 | 내야수 | 2020년 2차 8라운드 | NC(2020~) |
김현우 | 외야수 | 2021년 2차 6라운드 | 키움(2021~2022)-파주 챌린저스(2023)-후쿠시마 레드 호프스(2024) |
김현준 | 외야수 | 2021년 2차 9라운드 | 삼성(2021~) |
이병준 | 투수 | 2021년 2차 7라운드 | 롯데(2021~) |
장우준 | 투수 | 2021년 2차 8라운드 | SSG(2021~2023) |
박정훈 | 포수 | 2022년 2차 9라운드 | 키움(2022) |
이민석 | 투수 | 2022년 1차지명 | 롯데(2022~) |
박재규 | 투수 | 2023년 9라운드 | 한화(2023~) |
양재훈 | 투수 | 2025년 7라운드 | 동의과학대-두산(2025~) |
김태윤 | 투수 | 2024년 4라운드 | KIA(2024~) |
6. 여담
- 2014년 뜬금없이 해체 위기에 몰렸다는 기사가 뜨기도 했다.
- 모자의 심볼 마크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롯데 자이언츠가 썼던 'G' 심볼 마크와 거의 같다. 롯데의 'G' 마크가 주황색이라면 개성고의 'G' 마크는 은색이다. 과거 개성고 유니폼이 파란색이었던 시절에는 흰색 마크를 달았다.
- 롯데 자이언츠의 마지막 1차 지명을 배출한 학교다. 주인공은 투수 이민석. 이민석이 지명된 2022년 드래프트를 끝으로 1차 지명이 폐지되면서 1차 지명이 다시 부활하지 않는 이상 이민석이 롯데의 마지막 1차 지명으로 남을 전망.
- 유독 개성고 출신 삼성 라이온즈 선수들이 사회면에 나올 정도의 심각한 사건 사고를 여러 번 일으켰다. 때문에 삼성 팬들이 개성고 야구부를 보는 시선이 다소 냉랭해진 편.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많은 야구 감독을 배출했다. 김응룡의 고교 동기 이형은 부산상고, 경남고, 부경고, 동아대 감독을 역임했고, 1년 후배인 한을룡은 성균관대, 건국대 감독, 1년 후배인 유백만은 상업은행, 한국화장품 감독과 MBC 청룡 감독 대행을 역임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ffd700,#000>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 7회 | |
2 | 인천고등학교 | 1954년, 1989년 | ★★ 2회 | ||
3 | 동산고등학교 | 1957년, 1988년 | ★★ 2회 | ||
4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1962년 | ★★ 2회 | |
5 | 경동고등학교 | 1959년, 1960년 | ★★ 2회 | ||
6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7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 5회 | ||
8 | 성남고등학교 | 1964년, 1970년 | ★★ 2회 | ||
9 | 중앙고등학교 | 1965년 | ★ 1회 | ||
10 | 경북고등학교 | 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 ★★★★ 4회 | ||
11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2년, 1986년, 1999년 | ★★★ 3회 | ||
12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8년 | ★★ 2회 | ||
13 | 개성고등학교 | 1975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 8회 | ||
15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7년 | ★ 1회 | ||
16 | 세광고등학교 | 1982년 | ★ 1회 | ||
17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 6회 | ||
18 | 전주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09년, 2011년 | ★★★ 3회 | ||
20 | 배명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1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 6회 | ||
22 | 경기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2001년 | ★ 1회 | ||
24 | 북일고등학교 | 2002년, 2012년 | ★★ 2회 | ||
25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 ★★ 2회 | ||
26 | 서울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7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28 | 김해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9 | 강릉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0 | 부산고등학교 | 2023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000080,#191919> | <colbgcolor=#000080,#fff> 개성고등학교 | 1946년, 1964년 | ★★ 2회 | |
2 |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73년, 1976년 1990년, 1998년, 2006년, 2007년 2010년 | ★★★★★★★★★ 9회 | ||
3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49년, 1988년, 1995년, 2002년 | ★★★★ 4회 | ||
4 | 대구상원고등학교[1] | 1950년, 1970년, 1977년 1999년, 2011년, 2015년 | ★★★★★★ 6회 | ||
5 | 인천고등학교 | 1953년, 1954년 | ★★ 2회 | ||
6 | 동산고등학교 | 1955년, 1956년, 1957년 1959년, 1966년, 2005년 | ★★★★★★ 6회 | ||
7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 ★ 1회 | |
8 | 경동고등학교 | 1960년 | ★ 1회 | ||
9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10 | 부산고등학교 | 1962년, 1978년, 1979년 | ★★★ 3회 | ||
11 | 부산공업고등학교 | 1963년 | ★ 1회 | ||
12 | 청원고등학교 | 1965년, 1989년 | ★★ 2회 | ||
13 | 경북고등학교 | 1967년, 1968년, 1971년, 1974년 1975년, 1981년, 1993년, 2023년 | ★★★★★★★★ 8회 | ||
14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9년, 1980년 | ★★ 2회 | ||
15 | 중앙고등학교 | 1972년 | ★ 1회 | ||
16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82년, 1984년 | ★★ 2회 | ||
17 | 북일고등학교 | 1983년 | ★ 1회 | ||
18 | 서울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덕수고등학교 | 1986년, 200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 ★★★★★★ 6회 | ||
20 | 대전고등학교 | 1987년 | ★ 1회 | ||
21 | 부경고등학교 | 1991년 | ★ 1회 | ||
22 | 공주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1994년, 1996년 | ★★ 2회 | ||
24 | 신일고등학교 | 1997년, 1997년 | ★★ 2회 | ||
25 | 성남고등학교 | 2000년, 2004년 | ★★ 2회 | ||
26 | 광주동성고등학교 | 2003년, 2018년 | ★★ 2회 | ||
27 | 대구고등학교 | 2008년 | ★ 1회 | ||
28 | 배명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29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2022년 | ★★ 2회 | ||
30 | 장충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31 | 충암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2 | 전주고등학교 | 2024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ff2400,#191919> | <colbgcolor=#ff2400,#fff> 경북고등학교 | 1971년, 1975년, 1981년, 2015년 | ★★★★ 4회 | |
2 | 배명고등학교 | 1972년, 1992년 | ★★ 2회 | ||
3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74년 | ★★ 2회 | ||
4 | 개성고등학교 | 1976년 | ★ 1회 | ||
5 | 충암고등학교 | 1977년, 1988년, 1995년, 2007년 | ★★★★ 4회 | ||
6 | 서울고등학교 | 1978년, 1984년 | ★★ 2회 | ||
7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9년, 2004년 | ★★ 2회 | ||
8 | 북일고등학교 | 1980년, 1987년, 1999년 2002년, 2009년 | ★★★★★ 5회 | ||
9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82년, 1996년, 2013년 | ★★★ 3회 | ||
10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 ★ 1회 | ||
11 | 부산고등학교 | 1985년, 1986년, 1993년, 2022년 | ★★★★ 4회 | ||
12 | 동산고등학교 | 1989년 | ★ 1회 | ||
13 | 대전고등학교 | 1990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91년, 1997년 | ★★ 2회 | ||
15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2006년, 2021년 | ★★★ 3회 | ||
16 | 경남고등학교 | 1998년, 2003년 | ★★ 2회 | ||
17 | 진흥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18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1] | 2001년 | ★ 1회 | ||
19 | 유신고등학교 | 2005년 | ★ 1회 | ||
20 | 대구고등학교 | 2008년, 2010년, 2018년, 2023년 | ★★★★ 4회 | ||
21 | 휘문고등학교 | 2014년, 2016년, 2019년 | ★★★ 3회 | ||
22 | 야탑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23 | 인천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4 | 전주고등학교 | 2024년 | ★ 1회 | ||
[1] 현재 폐단 상태 |
[1] 舊 부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2] 4대 메이저 + 협회장기[3] 김응용의 선수 생활에서 전성기라고 할 만한 시절은 실업야구 선수 시절이었다.[4] 1964년 제19회 청룡기 대회에서 부산상고의 에이스는 왼손잡이 강성환이었다. 강성환이 손가락을 다쳐서 예선부터 준결승까지 3루수 강병철이 투수로 등판해서 경기를 책임졌고 청량종고와 맞붙은 결승에서는 부상에서 회복한 강성환이 던졌다. 일부 알려진 것과 달리 강병철은 결승전 마운드에는 오르지 않았다. 부산상고가 결승에서 2-0으로 승리해 제1회 대회 이후 18년 만에 청룡기를 차지했다.[5] 김응용의 부산상고 47회 동기생이며 부산상고 감독, 동아대 감독을 역임했다.[6] 최영환, 길태곤, 정민우, 김민식, 박세준, 신승철, 박준태, 전병우 등 부산-경남 지역 유망주 포함 전국 단위로 스카우트를 했다.[7] 당시 지휘봉을 잡은 김상재 감독이 강해 보이는 외모와 달리 팀 분위기를 다 잡지 못했다는 평이 있다.[8] 나무위키 등록 선수 한정. 졸업 연도순.[9] 원래 1984년 1차 지명 됐으나, 군입대 문제로 2년 연기되었다.[10] 개명 후 이우민, 재개명 후 이승하[11] 2019년 윤해진으로 개명했다.[12] 검객 타격자세로 유명한 김태완과는 동명이인.[13] 2013년 말 김민식에서 개명.[14] 지명 당시는 포수.[15] 2020년 12월 비공개 SNS 막말 논란으로 구단에서 방출.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