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17:35:15

소성왕

김준옹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조의 11대 군주에 대한 내용은 권풍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소성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개원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김능유 · 김의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양자
신덕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덕왕조 중시 죽지
무열왕조 중시 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 중시 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 중시 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 중시 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 중시 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 중시 의충 | 신충
경덕왕조 중시 유정 | 대정
시중 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 시중 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 시중 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 시중 충분
애장왕조 시중 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 시중 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 시중 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 시중 이홍
민애왕조 시중 헌숭
문성왕조 시중 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 시중 위진 | 인흥
헌강왕조 시중 예겸 | 민공
정강왕조 시중 준흥
효공왕조 시중 계강 | 효종
경명왕조 시중 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혁거세 거서간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박남해 박유리 박일성 김알지
<rowcolor=#FBE673> 탈해 이사금 파사 이사금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박파사 박지마 석골정 석날음
태손

석조분
<rowcolor=#FBE673> 내해 이사금 내물 마립간 진흥왕 무열왕
석우로 김눌지 김동륜 김법민
<rowcolor=#FBE673>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성덕왕
김정명 김이홍 김중경 김승경
<rowcolor=#FBE673> 효성왕 경덕왕 원성왕 원성왕
김헌영 김건운 김인겸 김의영
<rowcolor=#FBE673> 원성왕 소성왕 헌덕왕
김준옹 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rowcolor=#FBE673> 흥덕왕 신무왕 문성왕 경문왕
김충공 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rowcolor=#FBE673> 진성여왕 신덕왕 경순왕
김요 박승영 김일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39대 국왕
소성왕 | 昭聖王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 시중
}}}}}}}}}
출생
(음력)
760년대말 ~ 770년대 초 추정
신라 금성
사망
(음력)
800년 6월 (향년 30대)
신라 금성
능묘 미상
재임기간
(음력)
신라 시중
791년 10월 ~ 연대 미상
재위기간
(음력)
신라 왕태자
795년 1월 ~ 799년 2월 12일[1][2] (5년)
신라 제39대 국왕
799년 1월 ~ 800년 6월 (1년 5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준옹(俊邕)
부모 부왕 혜충왕
모후 성목태후 김씨
형제 김언승, 김수종, 김충공
왕후 계화부인 김씨
자녀 태자 김청명
왕자 김체명[3]
왕녀 장화부인
종교 불교
시호 소성대왕(昭聖大王)
골품 진골(真骨)
관등 대아찬(大阿飡)
파진찬(波珍飡)
직위 시중(侍中)
병부령(兵部令)
}}}}}}}}}

1. 개요2. 생애
2.1. 즉위 이전2.2. 치세
3. 주요 치적4. 《삼국사기》 기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39대 군주.

열조 원성왕의 손자로 본래 태자였던 김인겸의 아들이다. 김인겸이 부왕보다 단명하는 바람에 조부 원성왕에 이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비는 김숙명의 딸로 계화부인(桂花夫人) 또는 계화왕후[4]라고 불린다. 제40대 애장왕과 제42대 흥덕왕의 왕비 장화부인[5]의 아버지였다.

2. 생애

2.1. 즉위 이전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789년 대아찬의 직책을 받아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왔다.

791년 1월 아버지 김인겸이 죽고, 791년 10월 시중에 임명되었으나 792년 8월 병으로 사직했다. 이 때부터 몸이 건강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아버지가 죽은 직후이니 상을 치르기 위해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소성왕은 태자로 책봉되기 이전부터 중앙 정치에서 상당한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점은 신라 중대와 비교되는 점이다.

791년 김인겸이 죽은 후 태자 자리는 원성왕의 둘째 아들이자 소성왕의 숙부가 되는 김의영(義英)에게 넘어갔지만 김의영 역시 794년 2월에 죽어, 결국 795년 김준옹이 태자로 책봉되었다. 799년 조부 원성왕이 승하한 이후에 즉위했지만 소성왕 역시 즉위 1년만에 요절했다. 어린 아들이 있었던 것으로 봐서 최소한 20대 이상의 나이였던 듯 싶지만 오래 살지는 못한 듯하다. 생년이 명확하게 밝혀진 동생 흥덕왕이 777년생이고, 소성왕과 흥덕왕 사이에 헌덕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760년대 후반~770년대 전반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일찍 죽는 바람에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는데 원성왕이 죽고, 소성왕이 즉위했다는 소식을 들은 당덕종조정위단이라는 인물을 원성왕 조문 겸 소성왕 책봉 사절로 신라에 파견했다. 그런데 위단의 일행이 당나라 수도 장안을 떠나 운주에 이르자 소성왕이 죽고 애장왕이 즉위했다는 소식이 이들에게 들어갔다. 헛걸음을 하게 된 위단 일행은 장안으로 돌아갔다.

2.2. 치세

798년 12월 29일 조부 원성왕이 사망하자 799년 정월 왕위에 오른다. 3월 강주 출신 국학 학생들에게 거로현을 식읍으로 하사하였다. 이 행위에 대해선 후술.

5월 29일, 일본에서 20년만의 견신라사 파견이 돌연 중단된다. 이즈음 아버지 김인겸을 추증하고 종묘의 구성을 바꾸었다. 또 삭주에서 코끼리로 추정되는 이상한 짐승이 발견되었다. 이것 또한 후술.

8월 모친을 태후로 추증하였고, 흰 까치를 헌상하는 길조가 일어난다.

800년 정월 왕비를 왕후로 봉하고 시중 김삼조를 김충분으로 교체하였다. 4월에 매우 큰 폭풍이 불어 왕궁도 피해를 입을 정도였다. 6월 13살의 장남 김청명을 태자로 책봉하였고 직후 사망한다.

왕릉의 위치는 비정되는 신라왕릉이 없지만, 이근직 교수는 현재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경덕왕릉이 실제 소성왕의 능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근직 교수의 비정에 따르면 내남면의 경덕왕릉이 실제 소성왕릉이고, 김유신장군묘로 알려진 무덤이 실제 경덕왕릉이며, 무열왕릉 맞은편의 각간묘가 실제 김유신장군묘라고 추정했다. 그래야 《삼국사기》에서 언급한 위치, 각 임금이 살았던 시기와 왕릉 양식의 변화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3. 주요 치적

재위 기간이 짧지만 소성왕은 국학의 학생들에게 거로현(오늘날의 경상남도 진주시 지역)을 녹읍으로 하사했다. 국학 학생들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해 준 셈으로 오늘날로 치면 국학 학생들에게 국가장학금을 수여한 것인데 조부 원성왕 대에 유명무실해진 국학을 진흥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국학 대신 당나라나 해외유학가는 학생들이 많아져서 이후에 도로아미타불이 되었다.

소성왕 때는 특이한 생물을 발견한 기사도 있는데 한 번은 9척이나 되는 인삼이 발견되었다. 당시의 1척은 오늘날의 1척보다 짧지만 그걸 감안해도 엄청 큰 인삼인 것은 사실이었다. 이를 기이하게 여긴 소성왕은 당덕종에게 인삼을 선물했지만 덕종의 반응은 "이거 인삼 아닌데?"라며 인삼을 받지 않았다.

소성왕 원년(799년) 5월에는 우두주[6] 도독으로부터 이런 보고가 올라왔다.
우두주(牛頭州) 도독(都督)이 사자를 보내 아뢰기를, "소처럼 생긴 기이한 짐승이 있는데, 몸이 길고 또 높으며 꼬리 길이가 3척이 넘고, 털은 없고 코가 깁니다. 현성천(峴城川)에서 나타나 오식양(烏食壤) 쪽으로 갔습니다."라고 하였다.
牛頭州都督遣使奏言, "有異獸若牛, 身長且髙, 尾長三尺許, 無毛長鼻. 自峴城川向烏食壤去."
ㅡ 《삼국사기》권 10 <신라본기> 소성왕 원년(799년) 5월 기사 #
기록을 보면 짐승의 정체는 코끼리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코끼리가 왜 신라에 나타났는지는 의문이지만 남중국이나 이슬람과의 교역 흔적을 보여주는 기록이라고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해석대로라면 장사하러 온 이슬람권 외국 상인이 신라에 데리고 왔다가 놓치거나 버려버린 코끼리라 추정한다.

4.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一年春一月 소성왕이 즉위하다
一年春三月 청주 거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삼다
一年春三月 냉정현령 염철이 흰 사슴을 바치다
一年夏五月 아버지를 혜충대왕으로 추봉하다
一年夏五月 기이한 짐승이 나타나다
一年秋七月 9척의 인삼을 당에 진봉하였으나, 당에서 받지 않다
一年秋八月 어머니를 성목태후로 추봉하다
一年秋八月 한산주에서 흰 까마귀를 바치다
二年春一月 왕후를 봉하고 충분을 시중으로 삼다
二年夏四月 폭풍으로 궁궐이 피해를 입다
二年夏六月 왕자를 태자로 봉하다
二年夏六月 왕이 붕어하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1] 율리우스력 2월 8일[2] 음력 798년 12월 29일[3]신당서》에 나오는 애장왕의 아우 소금첨명(蘇金添明)과 동일인으로 생각된다. 중고한어에서 體明의 발음은 thëi miäng이고, 添明의 발음은 thëm miäng이기 때문. 蘇는 쇠의 음차로 金와 동의어이다.[4] 이후 대왕후(大王后)로 추존.[5] 시호는 정목왕후(定穆王后).[6] 오늘날의 강원도 춘천시 일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