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1:16:37

넓을 홍에서 넘어옴

국명·지명 한자 약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륙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
||<-5><tablewidth=100%><bgcolor=#ddd,#383b40><tablebgcolor=#FFF,#222> 국가 ||
· · · · ·
(내수용)

(내수용)
대한민국 북한 대만
중화민국
중국 일본
· ·
몽골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 · ·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네덜란드
西 ·
스페인 포르투갈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이집트
· ·
폴란드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
그리스 핀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벨기에 헝가리
西 西
스위스 튀르키예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얀마
과거의 국가
· · [1]
가야
[A]
고구려 · 고려
[A]
백제
[A]
신라[A] 조선[A]
로마 제국 소련[B] 프로이센[C] 왜국
[D]
류큐 왕국/열도
[D]
지역 및 도시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지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런던
{{{#!folding [ 각주 ]
}}}}}} ||

[1] 일제강점기 조선 한정으로 朝가 아닌 鮮을 약칭으로 사용함[A] 現 대한민국[A] [A] [A] [A] [B]러시아독립국가연합[C]독일[D]일본[D]
넓을 홍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おおみず
-
표준 중국어
hó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자원4. 서체5. 용례6. 유의자7. 상대자8.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洪은 '넓을 홍'이라는 한자로, '넓다', '홍수(洪水)' 등을 뜻한다. 국가로써는 '헝가리'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D2A에 배당되어 있으머,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廿金(ETC)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한 가지 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강희자전에는 621페이지 21번째 글자로 수록되어 있다.

3. 자원

氵와 共의 합자.
출전원문해설
설문해자洚水也。从水共聲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洚水也。
堯典、咎繇謨皆言洪水。釋詁曰。洪、大也。引伸之義也。孟子以洪釋洚。許以洚釋洪。是曰轉注。大壑曰谼。字亦作洪。
从水。𠔏聲。
戶工切。九部。

4. 서체

파일:洪-seal.svg.png파일:洪-bigseal.svg.png
소전체대전체

5. 용례

5.1. 단어

5.2. 인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홍(성씨)/목록
,
,
,
,
,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558,853명, 전체 20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남양(南陽)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홍(성씨) 문서 참조.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정치인 홍준표를 의미하는 한자로 쓰인다.

5.3. 지명

5.4. 기타

6. 유의자

7. 상대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