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2:30

라티푼디움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1. 개요2. 역사

1. 개요

라티푼디움(latifundium)은 고대 로마장원 제도이다. 라틴어로 'latus'(넓은)와 'fundus'(농장)가 결합한 단어로, 말 그대로 큰 땅, 큰 농장이란 뜻이다. 'fundus'는 영어 'fund'의 어원이기도 하다.

2. 역사

본래 도시국가에서 시작한 로마는 대부분의 농민이 자영농민이었다. 그러나 이때의 농업은 지력의 보존이 어려워 한 농지에서 경작을 하고 나면 2~3년 동안 그 농지는 묵혀두어야 했다. 이 시기를 휴한기라고 한다. 때문에 자영농민은 농사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포에니 전쟁을 겪기 전까지 로마에서는 2~3년간의 휴한기에는 주로 전쟁을 통해 생계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자연히 전쟁을 하기 위한 병력은 휴한기에 농사를 짓지 않던 자영농민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주로 휴한기에 전쟁으로 물자와 식량을 확보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농번기가 되기 전에 전쟁을 마치고 돌아와 농사를 짓는 식이었다. 문제는 이게 가까운 곳에서 전쟁을 벌일 수 있던 도시국가 때는 수월했지만, 포에니 전쟁 이후 장거리 원정이 많아지면서 점점 힘들어져 갔다. 원정이 잦아지고, 그 때문에 시민병이 휴한기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농지를 떠난 뒤 돌아오게 되니, 관리가 안 된 농지는 잡목과 잡초가 무성하여 농사를 지으려면 개간을 새로 해야 할 수준이었다. 게다가 이탈리아 반도 자체가 북부 포강 유역 정도를 제외하면 답 없는 산악지대라 개별 농지들의 생산성 자체가 높지 않았고, 특히나 포에니 전쟁 이후 지중해 연안의 비옥한 관개농업지대들이 식민지로 편입되면서부터는 아예 상대가 되지 못했다.

포에니 전쟁 이후 고대 카르타고가 멸망하면서 카르타고에서 운영하던 라티푼디움 경영이 로마에 도입되었다. 카르타고 합병 후에는 수많은 정복전쟁으로 노예는 많아지고 땅은 넓어지자 다수의 노예를 이용하여 농장을 경영하는 라티푼디움 제도가 카르타고로 부터 도입되었다. 전쟁이 계속될수록 장원주들의 부는 점점 늘어만 갔지만, 반대로 자영농민들은 잦은 전쟁으로 농지를 관리하지 못했으며 농사를 지어 봤자 장원에서 노예를 동원해 대규모로 생산한 곡물과 가격경쟁도 되지않아 생계가 점차 곤궁해져갔다. 결국 몰락한 자영농이 땅을 헐값에 장원에 넘기거나 심하면 그냥 바치고 고용인이 되어 장원의 세는 더욱 커져갔다. 그리하여 빈곤한 자영농민과 풍족한 장원영주로 로마사회가 양극화되어 큰 갈등거리가 되었다.

농지법 개혁을 중심으로 한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이 대두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골자는 몰락한 무산자계급에게 다시 경작에 적합한 농지를 국유지 가운데서 골라 무상으로 나눠주자는 것. 그런 원로원에 의석이 있는 대부분의 귀족이 라티푼디움을 형성하여 부를 쌓은 대농장주라서 입안에 차질을 빚었다.[1] 정작 농지법 실시전에도 법으로 개인이 소유가능한 토지를 500유게룸(약 125헥타르) 이하로 제한했었다. 그러나 대리 신고를 하거나, 공유지를 무상으로 또는 매우 낮은 임차료를 내고 임차하여 사실상 소유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2] 이를 공공연히 피해가거나 위반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로마시대 노예장원의 경제적 입지와 노예장원을 둔 농장주들의 사회적·정치적 입지는 매우 커 그라쿠스 형제는 개혁을 실시하기도 전에 둘 다 암살되었고,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군제개혁의 일환으로 퇴직장병에게 국유농토를 나누어주는 제도를 제기했다가 입안되기도 전에 기각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집권하면서 농지법을 통과시키지만, 그 역시 원로원 의원들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러다 노예농과 라티푼디움은 장기간 성행했고 농지법이 통과되었기 때문에 물론 자영농도 계속 존재하였지만, 대규모 곡창지대인 이집트아프리카가 로마로 병합되자 값싼 이집트/아프리카산 곡물의 유입에 이탈리아 본토의 자영농민과 라티푼디움은 경제적 타격을 받는다.[3] 게다가 영토 확장도 한계에 다다르면서 로마 장원의 노동력인 노예의 공급도 힘들어졌다.

그러나 노예제 하에서의 장원 경영은 시간이 흐를수록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갔다. 노예를 활용하는 것은 생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노예의 주요 공급책은 전쟁이었는데,[4] 노예 대부분이 고된 노동에 대개 일찍 죽었고, 성비조차 남자가 훨씬 더 많았다.[5] 게다가 노예제도는 인신을 구속하고 자유를 빼앗아 억압하는 것이기에 숙식비용이 나가는 것에 비하여 노동욕구가 없으니 생산효율이 떨어졌고, 노예들이 불만을 품고 도망치거나 종종 극단적으로는 스파르타쿠스의 난처럼 노예반란을 일으켰다. 이렇듯 노예란 기본 효율이 떨어지면서도 그 숫자가 늘기는커녕 지속적인 감소로 숫자가 유지조차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미 로마 공화국시대의 여러 농업서에서도 장원 경영에 최적화한 토지와 노예의 규모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노예 수를 가급적 줄이고 노예해방 등 인센티브를 주도록 권장하였는데, 장원 경영에서 노예의 기여분을 제외한 나머지 노동력 수요는 인근의 평민 자유농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편으로는 중앙정부도 장원의 붕괴를 내심 바라고 있었다. 노예들이 해방되어 자유민이 증가한다면, 세수도 증가할뿐더러 군사적으로는 보병 모집에 도움이 되고 이는 국방력의 증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고대 로마 시대 노예장원이었던 라티푼디움은 노동력 수급의 문제로 크게 해체되거나 쇠퇴하게 되고 뒤이어 콜로나투스(콜로누스), 즉 초기 농노 제도가 들어선다.


[1] 무상으로 나눠주는 땅을 자기가 불하받아서 라티푼디움을 늘리고자 하는 이들이 많았다[2] 빌린 토지는 '소유'한 것이 아니란 논리로 법망을 교묘하게 피한 것.[3] 이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영토는 나중에 로마가 제정이 되는 과정에서 황제 직할지가 되었고 여기에서 나온 수익을 가지고 로마 병사들의 봉급과 퇴직금을 지급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농지법 문제는 결국 정리가 된다.[4] 채무노예나 인신매매 등도 있었으나, 이들만으로는 한정된 공급 탓에 수요를 다 감당할 수 없어서 전쟁포로가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였다.[5] 이와 대조적으로 노예무역 금지 이후의 근대 미국을 살펴보면, 여성 노예인구를 다수 확보하였던 남부에서는 노예의 "생산 및 다른 주로의 수출"이 산업화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