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보주'''{{{#!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요나라(거란)가 실효 지배한 의주의 옛 이름}}}에 대한 내용은 [[의주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의주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의주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불교 설화에 등장하는 영묘한 구슬}}}에 대한 내용은 [[여의보주]]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여의보주#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여의보주#|]]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스위스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보 주]]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보 주#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보 주#|]]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프랑스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보주(프랑스)]]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보주(프랑스)#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보주(프랑스)#|]]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요나라(거란)가 실효 지배한 의주의 옛 이름: }}}[[의주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의주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의주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불교 설화에 등장하는 영묘한 구슬: }}}[[여의보주]]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여의보주#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여의보주#|]]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스위스의 행정구역: }}}[[보 주]]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보 주#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보 주#|]]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프랑스의 행정구역: }}}[[보주(프랑스)]]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보주(프랑스)#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보주(프랑스)#|]]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덴마크의 보주 |
1. 개요
보주(寶珠, Sovereign orb)는 라틴어로는 글로부스 크루키게르(globus cruciger)라고 하며 서양에선 셉터, 왕관, 검 등과 함께 왕권의 상징인 레갈리아에 속한다.2. 역사
보주의 디자인적 기원은 고대 로마 시대에 닿는다. 유피테르(제우스)가 세계(지구)를 상징하는 구체를 들게 하여 있음으로서 세계를 지배한다고 여긴 로마 제국과 황제의 힘을 상징했다. 이후 로마가 그리스도교화되면서 상단부에 십자가가 추가되었고 의미 역시 그리스도교의 세계적 승리와 질서를 상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상징적으론 신으로부터 내려오는 군주의 권력을 뜻한다. 왕관이나 동양의 옥새에 비하면 대중적으로 유명하진 않지만 의외로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품이며 유럽의 박물관에 가면 다양한 왕들의 보주를 볼 수 있다.
3. 창작물
겨울왕국의 대관식 장면에도 나오는데[1] 가상 세계에 실제 종교를 대놓고 암시하는 상징물을 넣기는 뭣했는지 십자가 대신 아렌델의 국화인 크로커스가 달려 있다.코미디 영화 몬티 파이튼의 성배속 아이템인 안티오크의 성스러운 수류탄은 골때리게도 보주의 형상을 하고 있는 수류탄이다. 제작진이 보주를 보고 수류탄처럼 생겼다고 생각한 모양. 보주 상단부의 십자가는 안전핀이란 설정이라 사용시 십자가를 뽑아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서 대대로 등장한 에덴의 조각인 선악과를 초기 작품들에선 배경이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시대였기에 관념적으로 선악과로 알려진 '사과'(Apple)라 불렸지만, 고대 3부작들의 배경은 아직 기독교가 탄생하기 전이거나 그 영향력이 약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이를 '보주'라고 칭하고 있다. 실제로도 선악과는 게임상에서도 황금빛으로 반짝이기 때문에 십자가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면 보주와도 비슷하게 생겼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영웅 유닛이 장비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등장하며, 총 9종류의 보주가 등장한다.[2] 각각의 보주는 영웅의 기본 공격력을 올려주며[3], 공중 공격을 하지 못하는 영웅에게 공중 공격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 외 각 보주별 부가 효과가 공격 시 붙는다. 각 진영별로 종족 상점에서 1종류의 오브를 3티어에서 구입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