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6:02:50

보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보주'''{{{#!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요나라(거란)가 실효 지배한 의주의 옛 이름}}}에 대한 내용은 [[의주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의주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의주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불교 설화에 등장하는 영묘한 구슬}}}에 대한 내용은 [[여의보주]]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여의보주#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여의보주#|]]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스위스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보 주]]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보 주#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보 주#|]]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프랑스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보주(프랑스)]]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보주(프랑스)#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보주(프랑스)#|]]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요나라(거란)가 실효 지배한 의주의 옛 이름: }}}[[의주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의주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의주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불교 설화에 등장하는 영묘한 구슬: }}}[[여의보주]]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여의보주#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여의보주#|]]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스위스의 행정구역: }}}[[보 주]]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보 주#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보 주#|]]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프랑스의 행정구역: }}}[[보주(프랑스)]]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보주(프랑스)#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보주(프랑스)#|]]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고대 로마|
파일:카피톨리노의 늑대.sv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살로니카 제국 · 테살리아 왕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카타프락토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 시빌라 예언서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마니아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아스 · 두폰디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데나리우스 · 안토니니아누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파일:220px-Denmark_globus_cruciger.jpg
덴마크의 보주

1. 개요2. 역사3. 창작물

1. 개요

보주(, Sovereign orb)는 라틴어로는 글로부스 크루키게르(globus cruciger)라고 하며 서양에선 셉터, 왕관, 등과 함께 왕권의 상징인 레갈리아에 속한다.

2. 역사

보주의 디자인적 기원은 고대 로마 시대에 닿는다. 유피테르(제우스)가 세계(지구)를 상징하는 구체를 들게 하여 있음으로서 세계를 지배한다고 여긴 로마 제국황제의 힘을 상징했다. 이후 로마가 그리스도교화되면서 상단부에 십자가가 추가되었고 의미 역시 그리스도교의 세계적 승리와 질서를 상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상징적으론 신으로부터 내려오는 군주의 권력을 뜻한다. 왕관이나 동양의 옥새에 비하면 대중적으로 유명하진 않지만 의외로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품이며 유럽의 박물관에 가면 다양한 왕들의 보주를 볼 수 있다.

3. 창작물

겨울왕국의 대관식 장면에도 나오는데[1] 가상 세계에 실제 종교를 대놓고 암시하는 상징물을 넣기는 뭣했는지 십자가 대신 아렌델의 국화인 크로커스가 달려 있다.

코미디 영화 몬티 파이튼의 성배속 아이템인 안티오크의 성스러운 수류탄은 골때리게도 보주의 형상을 하고 있는 수류탄이다. 제작진이 보주를 보고 수류탄처럼 생겼다고 생각한 모양. 보주 상단부의 십자가는 안전핀이란 설정이라 사용시 십자가를 뽑아서 다섯셋을 세고 던져야 한다.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서 대대로 등장한 에덴의 조각선악과를 초기 작품들에선 배경이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시대였기에 관념적으로 선악과로 알려진 '사과'(Apple)라 불렸지만, 고대 3부작들의 배경은 아직 기독교가 탄생하기 전이거나 그 영향력이 약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이를 '보주'라고 칭하고 있다. 실제로도 선악과는 게임상에서도 황금빛으로 반짝이기 때문에 십자가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면 보주와도 비슷하게 생겼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영웅 유닛이 장비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등장하며, 총 9종류의 보주가 등장한다.[2] 각각의 보주는 영웅의 기본 공격력을 올려주며[3], 공중 공격을 하지 못하는 영웅에게 공중 공격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 외 각 보주별 부가 효과가 공격 시 붙는다. 각 에서 1종류의 오브를 3티어에서 구입 가능하다.

[1] 손으로 들어올리자 엘사의 마법으로 인해 서서히 얼어붙는다.[2] 래더에서 사용 가능한 보주는 6종류만 존재한다.[3] 기본적인 보주들이 5의 공격력을, 암흑의 보주와 서리의 보주는 6의 공격력을 부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