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5:10:30

국민자유주의

민족자유주의에서 넘어옴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사상적 기초
계몽주의 공화주의 세속주의 평등주의 인민주권
합리주의 자연권 표현의 자유 자유무역 민주주의
초기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급진주의 시민국민주의 국민자유주의 자유방임주의
지공주의 공리주의 종교적 자유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일반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문화적 자유주의 세속 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시민국민주의 급진적 자유주의 종교적 자유주의 이슬람 자유주의
제3의 길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자유주의 신학 자유 가톨릭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녹색 자유주의 기술 자유주의 입헌자유주의 민주자유주의
진보주의 신고전적 자유주의 자유국제주의
지역별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제퍼슨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잭슨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뉴 내셔널리즘 파일:미국 국기.svg 뉴 프리덤 파일:미국 국기.svg 뉴딜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휘그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글래드스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새자유주의
파일:그리스 국기.svg 베니젤로스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치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수정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자유 시오니즘
파일:이란 국기.svg 개혁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자유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질서자유주의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독일의 자유주의 러시아의 자유주의 몽골의 자유주의 미국의 자유주의
영국의 자유주의 인도의 자유주의 일본의 자유주의 중국의 자유주의 캐나다의 자유주의
프랑스의 자유주의 호주의 자유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아메리카의 자유주의 아시아의 자유주의 아프리카의 자유주의 오세아니아의 자유주의 유럽의 자유주의
한반도의 자유주의
연관 이념
자유보수주의 자유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 반권위주의
근대주의 개인주의 친유럽주의 세계시민주의 탈국민주의
중도개혁주의 재정보수주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 신학 기독교 좌파
성해방 급진적 중도 반공주의 반파시즘 반군국주의
흑인 자유주의 성소수자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시장 자유주의 자유제국주의
법적 평등주의 반교권주의 해적 정치 냉전자유주의
기타
시민혁명 자유주의 엘리트 뉴딜 정책 차티스트 운동 자유주의적 매파
라이시테 자코뱅주의 제한된 정부 서프러제트 정치적 올바름
자유주의적 패권 어퍼머티브 액션 소수자 권리 자유시장 양심의 자유
자유주의(국제관계학)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폐지주의 모병제 객관주의
민권 운동 세계화 부르주아 정당 현대자유주의 자결권
친선택 해방신학 무기소지권 사회자유 보수주의
관련 단체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나우만 재단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

파일:흰색 깃발.svg
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분파
에스닉 내셔널리즘 문화 내셔널리즘 온건 내셔널리즘 시민 내셔널리즘 진보적 내셔널리즘
좌익 내셔널리즘 혁명적 내셔널리즘 국민보수주의 국민자유주의 국민공산주의
경제적 내셔널리즘 자원 내셔널리즘 종교 내셔널리즘 퀴어 내셔널리즘 호모내셔널리즘
페모내셔널리즘 뉴 내셔널리즘 민족 볼셰비즘 사이버 내셔널리즘 애국주의
다원적 내셔널리즘 낭만적 내셔널리즘 네오내셔널리즘 영토 내셔널리즘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민족 아나키즘 국가 내셔널리즘
민족별 내셔널리즘
한국 내셔널리즘 독일 내셔널리즘 러시아 내셔널리즘 미국 내셔널리즘 베트남 내셔널리즘
아랍 내셔널리즘 이탈리아 내셔널리즘 일본 내셔널리즘 중국 내셔널리즘 타이완 내셔널리즘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홍콩 내셔널리즘
지역별 내셔널리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단군민족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균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중민족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주의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토 민족주의 파일:북한 국기.svg 주체사상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민족제일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예외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힌두트바 파일:중국 국기.svg 한족 민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만주민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대한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지방민족주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푈키셔 내셔널리즘 파일:브라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시오니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판차실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론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푸틴주의
범국민주의
범게르만주의 범슬라브주의 범튀르크주의 범아시아주의 범아랍주의
스칸디나비아주의 대소말리아주의 베르베르주의 범투란주의 범이슬람주의
인종국민주의
흑인민족주의 백인민족주의 한민족주의
관련 이념
트랜스내셔널리즘 포스트내셔널리즘 안티내셔널리즘 국가주의 정체성 정치
자민족중심주의 실지회복주의 팽창주의 패권주의 파시즘
국수주의 쇼비니즘 선민사상 순수혈통주의 고립주의
반세계화
관련 개념 및 용어
민족(폴크) · 국민 · 국민국가(민족국가) · 국유화 · 네이션(네이션 빌딩) · 내셔널 아이덴티티 · 민족신화 · 에스니시티 · 애국 · 애국심 · 애국자 · 애국 마케팅 · 비뚤어진 애국심 · 랜선 애국 · 국뽕 · 단일민족국가 · 국가이익 · 민족해방 · 민족주의 테러 · 부흥운동 · 언어순화 운동 · 독립운동 · 통일
}}}}}}}}} ||

1. 개요2. 인물3. 정당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국민자유주의(National liberalism)는 네이션(Nation)[1]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중도우파 성향의 고전적 자유주의의 분파 혹은 변종 이념이다. 초창기인 19세기에는 진보적인 이념으로 간주되었으나 현대에는 우파 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로 분류되며 역사적으로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고 사회자유주의 등 다른 분파의 자유주의에 비하면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자유주의인 만큼 국민보수주의 등 다른 보수주의 이념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진보적인 편에 속하며 사회문화적으로는 보통 사회보수주의보다 진보적 보수주의, 특히 사회자유 보수주의와 유사한 편이다.

국민자유주의자들은 페미니즘[2], 시민결합 또는 동성결혼 합법화와 같은 성소수자의 권리 보장, 포르노안락사낙태 합법화 등의 이슈에 대해서는 국가의 검열규제에 반대하고 시민의 법적 평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입장을 취하며 어느 정도 온건하고 진보적인 입장을 가지는 경우가 적지 않게 존재하나 이민이나 국경 문제 혹은 정체성 정치와 같이 민족, 국가의 정체성이나 국민의 이익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으로 보이는 문제의 경우 다른 사회 문제에 비해 엄격하고 강경히 보수적인 입장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3]

지식인을 중심으로 자유주의민족주의가 동시에 발전하며 확산되던 19세기 유럽에서 국민주권의 개념과 함께 발원하였으며 당대의 유명한 정치적 사건인 1848년 혁명을 기점으로 특히 독일오스트리아 등의 중부 유럽 지역에서 부흥하였다. 다민족·다인종국가의 구성원들이 단일한 네이션 정체성을 강조하며 어느 정도 동화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에도 주로 등장하였으며, 이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지의 자유주의 성향 헝가리 민족주의자들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19세기에는 급진주의와 함께 자유주의의 양대산맥을 이루며 지배적인 형태를 가졌으나 급진주의가 사회자유주의로 계승되어 현대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국민자유주의의 경우 오늘날에는 그 입지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주로 중도우파 성향의 자유주의 정당에서 반세계화, 반이민과 함께 제한된 정부, 경제적 자유주의 등을 주장하기에 이러한 성향이 대체적으로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을 위한 대안, 영국 독립당 등 현재 활동하는 여러 극우 성향 우익대중주의 정당들의 경우에도 초창기에는 국민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처럼 중도우파적인 자유주의 성향을 가진 경우가 많았으나 2010년대 발생한 유럽 난민 사태의 영향으로 인해 대안 우파 내지는 국민보수주의 성향을 가진 강경 우파 세력들이 집중되며 해당 정당들이 대거 우경화, 급진화하였고 이에 따라 리버럴 세력들이 사실상 완전히 전멸해버리며 현재 우익대중주의 성향을 가진 정당으로 변모하기에 이르렀다.[4]

대한민국에서는 몇몇 정치인들이 국민자유주의에 가까운 주장을 내놓을 때는 종종 있는 편이나 주류는 아니다.[5]

2004년 17대 총선 이후 한나라당에서는 박세일, 윤여준, 박형준, 박재완, 윤건영의 주도로 선진화를 슬로건으로 공동체자유주의를 새로운 이념으로 내세우며 기존 공동체윤리에 바탕에 바탕한 보수주의에 자유주의를 도입하려고 시도했고 경실련 출신들이 주도한 보수적 개혁주의로 평가를 받았다. 공동체자유주의는 복지원리의 핵심이 시장주의와 보충성의 원리에 기반하고 있었다. 다만 이 공동체자유주의는 한나라당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못하고 좌절되었다.

2. 인물

사회자유주의를 겸하는 국민자유주의자들의 경우 ☆ 표시.

3. 정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국민자유주의 정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본적으로 보수주의와 달리 개방적인 스탠스를 띄는 자유주의 특성상 내셔널리즘보다는 세계주의에 친화적인 경향을 보이기에 국민보수주의 정당들과 비교했을 때 그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보통 중도에서 중도우파 성향의 정당들이 많으나 우파 혹은 극우 성향의 정당들도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오스트리아 자유당의 경우 70~80년대에는 국민자유주의 정당이였으나 이후 우경화하며 극우, 국민보수주의 정당으로 성격이 바뀌었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언급한 독일을 위한 대안도 초창기에는 국민자유주의 정당이었지만 현재는 강경한 사회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성향을 띄며 우파~극우 정당이 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인민당도 대표적인 국민자유주의 정당이었다. 이후에 나타난 독일 자유민주당의 경우 창당 초기에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보다 더 우파 성향을 띄었고 나치 전범에 대해서도 온건하고 우회적인 입장을 취하는 등 어느 정도 민족주의 성향이 두드러졌으나 현재 자유민주당 내에선 민족주의 성향이 희석되어 국민자유주의자들은 소수에 불과하다.

4. 같이 보기



[1] 여기서 말하는 네이션의 민족은 보통 시민 내셔널리즘을 의미하나 문화 내셔널리즘인 경우도 존재한다.[2] 여기서 말하는 페미니즘은 특히 여성 참정권을 비롯해 취업권, 재산권의 보장을 주장한 1세대 페미니즘을 의미한다.[3] 하지만 고전적 자유주의 계통의 이념인 만큼 자유무역에는 호의적인 입장을 가진 경우가 일반적이다.[4] 이와 같은 정치적 현상을 영미권에선 소위 하이재킹이라 칭하며 기존의 자유주의자들은 이러한 하이재킹에 맞서고 있는 상황인데 특히 스스로의 정치적 입장을 고전적 자유주의, 우파 자유주의라 꾸미는 동시에 노골적으로 증오 발언을 하며 극단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대안 우파 세력과 자신들을 구분하며 이들과는 분명한 선을 긋고자 한다. 다만 대안 우파 온건파와 같은 경우에는 어느 정도 수용하는 편이기도 하다.[5] 국민의힘의 경우 분파가 넓어 아예 자유주의로 분류하기 힘든 구성원들도 꽤 많이 있고, 몇몇을 제외하면 찬반을 떠나 국민자유주의에 별 관심이 없다.[A] Holmes, Anthony W. (15 July 2022). "The United Nations Command Needs A Korean Deputy Commander". 19FortyFive. Retrieved 17 August 2022. "The inauguration of the new administration of President Yoon Suk-yeol of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will lead to a shared view on North Korea that was absent under Yoon’s nationalist-liberal predecessor Moon Jae-in. In a rare policy triangulatio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hare the same view that North Korea is first and foremost a major threat to be deterred, not a misunderstood neighbor to be consoled."[7] 특히 아베 정부가 반한 내지 혐한 인종주의(anti-Korean racism)를 조장했다는 평가가 대외적으로 많은데, 아베 수준으로 인종주의를 조장하지는 않았지만 역사적 이유로 일본에 비판적이며 친일 청산을 주장하는 한국 내셔널리스트인 문재인 정부와 필연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참조[8] 현 헝가리 총리인 빅토르 오르반도 2000년대 초반 까지만 해도 국민자유주의 성향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국민보수주의+사회보수주의적 성향으로 급격히 우경화되었다.[9] Lind, Michael (1996). Up from Conservatism: Why the Right Is Wrong for America. Free Press / Simon & Schuster, p.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