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00:42:29

시청역(서울)

서울시청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일 이름을 사용하는 역들에 대한 내용은 시청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청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연천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1호선
(132)
]]
종 각
← 1.0 ㎞
서울역
1.1 ㎞ →
[[천안급행|
1호선
경부선 급행 A
]]
청량리 방면 신창 방면
외선순환
충정로
← 1.1 ㎞
[[서울 지하철 2호선|
2호선
(201)
]]
내선순환
을지로입구[1]
0.7 ㎞ →
역명 표기
1호선 시청
City Hall
市廳 / 市厅 / [ruby(市庁, ruby=シチョン)]
2호선
주소
1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101 (정동 5-5)
2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지하127
(서소문동 90-1)
소속 영업사업소
1호선 종로영업사업소 시청(1)역
2호선 종로영업사업소 시청(2)역
운영 기관
1호선 서울교통공사
2호선
개업일
1호선 1974년 8월 15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1호선)
지하 3층 (2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횡단 불가[2]) (1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2호선)
유실물센터
파일:Seoulmetro1_icon.svg[1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 ☎ 02-6110-1122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대중문화7. 사건 사고8. 연계 교통
8.1. 1호선8.2. 2호선
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시청역(서울)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시청역 서울1호선.jpg 파일:시청역 2호선.jpg
1호선 대합실 2호선 대합실

서울교통공사 관할 도시철도역이다. 역명은 인근에 서울특별시청이 있어서 정해졌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순환선으로 대체되기 전인 1기 지하철 계획 시절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환승역으로 기획되었던 역이다. 1호선 개통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초창기 2호선 계획이 백지화되었지만 지금의 순환선으로 수정됨과 동시에 1-2호선 환승역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1974년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시청앞역(市廳앞驛)이었으나 1983년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1, 2호선 공동 유실물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유실물센터 전화번호는 02)6110-1122이다. 단, 1호선은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인 지하 청량리역 - 지하 서울역 구간만 관할한다. 청량리~서울역 구간이 아닌 한국철도공사 구간은 구로역(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구간), 광운대역(경원선 회기역 ~ 연천역 구간), 병점역(구로역 제외 경부선, 장항선 남영역 ~ 신창역 구간)에 가야 한다.

2.1. 수도권 전철 1호선

2012년부터 오래된 역사 내부(정확히는 1호선 구역 역사)를 리모델링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14년에 이르러 오랫동안 봉쇄해 왔던 1번 출구까지 다시 열면서 구관에 비해 상당히 깔끔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2005년 연말에 신설된 동묘앞역에 비해서도 상당히 깔끔한 편이다. 외국인들도 많이 지나다니는 지역이고 인근 역인 광화문에 비해 1974년 개통된 본역은 지나치게 낡았던 게 사실이니 만큼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회색 벽재로 벽면을 채웠는데, 기존 타일에 덧대어 설치한 것이라 속에는 옛날 타일벽이 그대로 있다.

이 역과 종각역 사이의 급곡선 구간은 종각역 항목과 서울 지하철 1호선 항목에 설명되어 있다.
파일:seoulcityhall1988.jpg
1988년 당시의 1호선 승강장[6]

과거에는 안내 방송 음악으로 서울의 찬가가 흘러나왔었다. 하지만 나중에 2호선도 생기면서 서울 찬가가 소리 소문없이 중단되었고, 더구나 서울이 지하철을 엄청나게 많이 만들고 역들도 매우 많아진 탓에 서울 찬가 음악이 흘러나올 수 없게 되었다.

파일:시청1글귀.jpg
1호선 역무실 입구 윗부분에는 역 이름을 활용한 네온사인 글귀가 설치되었다. 2020년대 이후로는 절전 문제로 전원을 모두 차단한 상태이다.

2.2. 서울 지하철 2호선

1984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1977년 고시 당시까지만 해도 서울 지하철 2호선에는 현재 시청역 위치에 역이 생길 계획은 없었다. 당시 계획에 따르면 아현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의 경우 서소문고가차도 아래 경찰청앞 교차로 인근에만 역이 생길 예정이었다. 역 이름으로 보았을 때 당시 계획에서 1호선-2호선 환승역의 역할은 반도호텔(현 롯데호텔 서울) 앞에 세워지는 가칭 '시청앞역'(현재의 을지로입구역에 해당)이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7] 그러나 1979년 해당 구간 착공 이전에 계획이 바뀌어 경찰청앞 교차로 대신 현재의 2호선 충정로역 자리와 현재의 2호선 시청역 자리에 2개의 역이 들어서는 것으로 바뀌었다.[8]
파일:attachment/시청역(서울)/IMG_3089.jpg
을지로 지하보도(시청역~을지로입구역)

여기서부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의 2호선 운행 구간은 을지로 지하보도로 쭉 연결되어 있어서 걸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역 지하와 연결되어 있는 서울 프라자 호텔 지하 통로를 통해 명동 지하상가로도 이동할 수 있다. 경로는 시청역 6, 7번 출구 갈림길 (이 곳에서 직진) ↔ 서울 프라자 호텔 지하 통로 ↔ 소공 지하상가 ↔ 명동 지하상가 순이다.

2호선 노선도를 보면 시청역과 교대역이 서로 반환점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여기서 교대역으로 갈 때는 방향 구분없이 먼저 오는 열차를 타도 되지만 내선 맨 앞 칸(1-1)으로 간 후 을지로3가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좋고, 이게 정석이다. 을지로3가역 환승 위치도 2 → 3호선은 시청과 동일하다.

또한 시민청이라는 곳을 통해서 바로 을지로입구역으로 갈 수 있다. 환승은 되지 않는다. 1983년에 2호선 을지로입구~성수 구간이 먼저 개통된 후 2호선 시청역이 개통될 때까지 약 1년 간 시청역에서 내려 2호선을 이용할 사람들을 위해 만든 통로이다. 이 외에 서울광장 지하로 이동하는 통로도 있는데, 40여 년간 비공개로 방치하다가 2023년 9월 공개되었다.[9] 1996년에 개통된 5호선 광화문역과도 시민청 등의 연결통로에서 꽤 가깝다.
파일:시청역공사1.png파일:시청역공사2.png
2호선 시청역이 한창 공사 중일 무렵 촬영된 사진인데, 1983~1984년경으로 추정된다.

수도권 전철 사상 처음으로 적벽돌 인테리어를 적용한 역사이자 2호선 중 유일하게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한 역사이다. 고급스러운 디자인 때문에 다른 역사에 비해 건설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들었다.

2호선은 역 번호상의 명목상 기종점(다른 하나는 243번인 충정로역)이지만, 이 역에는 회차선도 없고 시종착하는 열차도 없다. 오히려 다음역인 을지로입구역에 심야주박 열차가 있다. 참고로 본선 구간을 '을지로순환선'으로도 불렀으며, 과거 승강장마다 있던 플랩식 행선기에도 이렇게 표기했다.

2.3. 환승

개념환승도 막장환승도 아닌 중간 정도 난이도이다. 역의 구조가 ┘형태로 만나기 때문에 1호선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서울역 방면 방향, 즉 1-1(인천, 서동탄/신창행), 10-4(광운대, 연천행)에서, 2호선에서 1호선으로는 시청 앞 광장 방향(1-1 <내선 순환>, 10-4 <외선 순환>)에서 내릴 것을 권장한다. 1호선 승강장 양쪽으로 시청과 덕수궁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2호선 승강장을 그 밑으로 파서 교차 환승을 만드는 일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1호선 상행(종각, 종로, 동대문 방면)과 2호선 구간은 무난한 직선 통로이고, 2호선 승강장이 섬식이라 나름 개념환승이다. 반대로 하행(서울역, 용산, 구로 방면)은 별로 좋지 못하다. 이 구간의 고저차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도입했고 나중에는 완전한 보수를 통해 어느 정도 개선했다. 그래도 1호선 승강장이 서로 왕래할 수 없는 구조이기에 목적지에 따른 승강장 이동에 있어서 잘 숙지해야 한다. 오직 환승통로를 통해서만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니 주의해야 한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는 서울특별시청, 서울특별시의회, 덕수궁, 서울주교좌성당성가수녀회 본원, 한화 더플라자호텔, 서울도서관, 신세계조선호텔(웨스틴 조선 서울), 스타벅스 환구단점, 서울광장[10] 등이 있다.

청계광장 쪽으로 가면 블루보틀 광화문 카페가 있다.

시청역 주변은 각종 정부관련 기관들이 산재한 탓에 각종 시위가 잦다. 시위 때면 역무원과 사회복무요원들이 분주한다. 시청 앞의 서울광장이나 그리 멀지 않은 광화문광장에서 시위 및 집회, 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가 자주 열린다. 마찬가지로 인근 경복궁역광화문역도 다른 역에서 지원을 부른다.

서울역과 가까운 탓에 노숙자노인들이 꽤 많다. 1호선 화장실 앞의 테이블과 의자가 있는 쉼터에서 자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구걸을 하거나, 술에 취해 소리를 지르며 난동을 피우거나, 심하면 주변 상가의 음식 등을 훔치고 점원을 폭행한다. 하지만 직접적인 폭력 사건이 아닌 이상 경찰관이나 역무원 등이 제지하거나 쫓아내지 않기 때문에 설령 제지해도 잠시 동안만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지하철 이용객들은 두려움과 악취에 떨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하지만 2호선 쪽으로 갈수록 노숙자와 노인들은 점점 줄어들고 악취도 없어진다. 1호선 시청역은 무임승차율이 상위권에 속하는 반면 2호선 시청역은 무임승차율이 하위권에 속한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시청역 출구 정보
1호선 시청역 대합실 이용
1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서울시립미술관
덕수궁
2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서울시립미술관
덕수궁
국립정동극장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3서울특별시의회
조선일보
서울덕수초등학교
광화문빌딩
세화미술관
서울주교좌성당
서울도시건축전시관
광화문광장
4동아일보
일민미술관
청계광장·청계천 모전교
서울신문사(한국프레스센터)
서울특별시청(시민청)
서민금융진흥원
광화문역 방면
종각역 방면
5서울특별시청(시민청)
서울도서관·서울광장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6서울광장
한화 더 플라자호텔
을지로입구역 방면
명동 방면
7소공동주민센터
소공동우체국
남대문시장 방면
숭례문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시청역 출구 정보
2호선 시청역 대합실 이용
8염천교 방면
숭례문 방면
신한은행본점
서울특별시청 서소문2청사
서울역 방면
9의주로2가
서소문역사공원
한국경제신문
충정로역 방면
10이화여자고등학교·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창덕여자중학교
예원학교
서울시립미술관
11서울특별시의회 별관
서소문치안센터
대한적십자사 중앙혈액원
12서울시청 서소문청사
덕수궁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93896><bgcolor=#293896>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bgcolor=#293896> 총합 ||<bgcolor=#293896>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76,823명 68,249명 145,072명
1995년 69,414명 62,209명 131,623명
1996년 62,670명 60,958명 123,628명
1997년 52,560명 45,328명 97,888명
1998년 51,332명 40,862명 92,194명
1999년 자료없음 자료없음 -
2000년 46,715명 44,238명 90,953명 비고
2001년 46,484명 46,597명 93,081명
2002년 46,372명 49,214명 95,586명
2003년 45,471명 48,950명 94,421명
2004년 46,848명 50,063명 96,911명
2005년 46,412명 49,638명 96,050명
2006년 47,561명 50,763명 98,324명
2007년 48,299명 52,243명 100,542명
2008년 49,476명 52,463명 101,939명
2009년 47,211명 50,138명 97,349명 }}}}}}}}}
2010년 46,122명 50,877명 96,999명
2011년 45,871명 51,656명 97,527명
2012년 44,769명 51,353명 96,122명
2013년 48,501명 54,503명 103,004명
2014년 49,144명 50,939명 100,083명
2015년 49,416명 50,169명 99,585명
2016년 52,037명 50,576명 102,613명
2017년 50,358명 47,067명 97,425명
2018년 49,487명 47,935명 97,422명
2019년 52,611명 50,005명 102,616명
2020년 33,415명 35,293명 68,708명
2021년 32,953명 33,651명 66,604명
2022년 41,356명 39,051명 80,407명
2023년 49,190명 45,651명 94,841명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1]

전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두 노선의 교차점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이 10만 명 언저리에서 형성된다.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94,841명으로 서울 도심에 있는 역다운 수요를 보인다. 한쪽 노선에 승하차객이 쏠리지 않고 균등하게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두 노선의 목적지가 명확히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서울 한복판에 위치해 있어 주변에 상업/업무지구가 넓게 형성되어 출퇴근 시간에 붐비는 대표적인 역이고, 덕수궁과 시청 광장으로 대표되는 관광 수요도 있어서 항상 수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다양한 목적지를 끼고 있는 터라 시청역을 찾는 사람들 중에는 1, 2호선이 아닌 다른 노선을 타고 중간에 한 번 이상 갈아탄 수요가 많다.

특히 이 주변은 서울특별시청과 같은 공공기관공기업이 많이 소재하고 있어서 지하철 이용객 중 공무원들의 비중이 많다. 강북권과 강서권에서 거주하는 서울시청 공무원들은 1호선 시청역을, 강동권과 강남권에서 거주하는 서울시청 공무원들은 시청 본관과 가까운 2호선 을지로입구역을 이용한다.

1, 2호선 연선 지역뿐만 아니라 4호선 지역에서도 광화문에 갈 때도 유용한 역인데 종각역과 광화문까지의 거리가 비슷하지만 종각 드리프트 때문에 시청역을 이용하는 사람도 있다. 1호선 연선에서 영등포구를 제외한 용산구, 동작구, 구로구, 금천구경기도 안양시, 수원시 등에서는 5호선으로 환승하는 경로가 매우 불편한 것이 크다. 2호선을 타고 와도 충정로역이 막장환승이라 이 역을 이용해도 좋다.

한강을 건너 4호선을 타고 도심으로 들어오는 상황에서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5호선 환승이나 충무로역에서 3호선 환승은 너무 돌아가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환승하고 이 역에서 내리는 편이 낫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승객 숫자가 꾸준히 증가했다는 점이다. 보통 서울 도심권 전철역은 대기업 본사의 강남 이전, 도심 공동화 등의 문제로 2000년대부터 승객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시청역은 2017년에 꺾이기 전까지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한 특징을 보인다. 그 이유는 이 곳으로 출퇴근하는 수요가 물론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서울 한복판으로 찾아오는 관광객의 비중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2015년까지 급격히 증가한 외국인 관광객의 숫자가 시청역의 승하차객 수를 올린 것으로 볼 수 있다. 2018년에는 일평균 이용객이 4명 줄어서 보합세를 가져갔다. 2019년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돌아오면서 다시 10만 명을 돌파했다.

또한 신도림역과 더불어 1호선과 2호선 본선이 환승되는 둘뿐인 역으로 엄청난 환승 인파를 가진 신도림역의 환승 대체재로 쓰인다. 신도림역에서 갈아탈 때와 시청에서 갈아탈 때 전체 이동 경로 차이가 크지 않다면 신도림역보다는 이 역에서 갈아타는 것이 낫다. 신도림~시청 간 소요 시간은 1, 2호선이 똑같이 20분이다. 1호선은 8개 정거장(시청 - 서울역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2호선은 10개 정거장(시청 - 충정로 - 아현 - 이대 - 신촌 - 홍대입구 - 합정 - 당산 - 영등포구청 - 문래 - 신도림)이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attachment/시청역(서울)/newcitystation.jpg
1호선 승강장
파일:132_시청_20220621_완.jpg
1호선 역명판
종각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청량리·광운대·의정부·연천 방면
인천·서동탄·천안·신창방면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범위
상행 당역 하행
연천시청인천서동탄신창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1-1

이 역은 서울역 방면으로 2퍼밀 상구배가 있다. 한때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지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에서 '안전문이 열립니다' 방송 후 '발빠짐 주의' 멘트가 3번 나온다. 닫힘음은 그대로이다.

한편, 역 구조상 한쪽 승강장 환승통로를 이용하지 않으면 반대편으로 횡단할 수 없다.

5.2. 서울 지하철 2호선

파일:attachment/sichoeng2.png
2호선 승강장
파일:201_시청_20220621_완.jpg
2호선 역명판
충정로
을지로입구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촌·홍대입구·영등포구청·신도림 방면
을지로3가·신당·성수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순환: 신촌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10-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순환: 왕십리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1-1

이 역은 충정로방면으로 2퍼밀 상구배가 있다.

이 역에서 내선순환(성수역 방면) 열차를 타면, 진행방향 기준 왼쪽 문이 다시 열리는 역이 18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삼성역이다. 옷자락이나 끈 등이 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021년 내진 보강 및 리모델링 공사가 거의 완료되었다. 승강장은 완료되었고, 대합실은 공사 진행 중이다. 또한 서울메트로 시절에 최초로 2013년 10월 초에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에서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로 변경되었다.

6. 대중문화

7.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연계 교통

8.1. 1호선

시청역 연계 버스 정보 1
정류소 구분 노선
시청앞.덕수궁
(02286)
<colcolor=#ffffff> 지선
시내
간선
심야
시청역 (02503) 마을
시청덕수궁 (02662) 공항
덕수궁 (02902) 관광
프레스센터
(02507)
마을
시내
간선
심야
공항
서울광장
(02641)
간선
심야
프리미엄
시청역플라자호텔 (02699) 공항

8.2. 2호선

시청역 연계 버스 정보 2
정류소 구분 노선
서소문
(02133)
<colcolor=#ffffff> 간선
심야
프리미엄
시청.서소문청사
(02135)
지선
맞춤
시내
간선
심야
직행좌석
프리미엄
서소문KAL빌딩 (02649) 공항
시청역
(02132)
지선
시내
간선
삼성본관앞
(02131)
마을
지선
간선
심야
시청앞
(02128)
지선
시내
간선
심야
광역급행
순환
신한은행본점
(02233)
시내
간선
직행좌석
광역
광역급행

9. 기타

10.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84d>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c0d1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c0d15>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white> 철도회사 노선
한국철도공사 파일:KTX BI.svg 서울역
서울교통공사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시청역, 서울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시청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당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동대입구역, 약수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구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버티고개역, 약수역, 청구역, 신당역
굵게 표시 된 역은 환승이 가능한, 사실상 같은 곳이다. }}}}}}}}}

[1] 을지로 지하상가를 통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2]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횡단할 수 있다.[1호선] 서울역 ~ 청량리역 (지하 구간)[4] 개정 전 51번.[5] 개정 전 1번.[6] 선로 중앙기둥 역명판 아래에 다음역 행선지를 달기 시작한것은 1990년부터이다.[7] "地下鐵2號線 39個驛 확정발표", 매일경제, 1977.12.09.[8] "忠正路3街驛 신설", 경향신문, 1979.12.07[9] 「서울광장 지하 숨겨진공간 40년만에 공개…활용방안 시민제안」, 연합뉴스, 2023-09-05[10] 2002년 한일 월드컵 길거리 응원 때까지만 해도 시청 앞 광장에는 아스팔트 차도밖에 없었는데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재직 시절 잔디를 깐 광장으로 개조하여 2004년 5월 1일에 완공했다.[11]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12]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13] 「'자리 양보하라' 꾸중준 중학생에게 떠밀린 할아버지 중태[김희웅]」, MBC, 2000-09-14[14] 「지하철에서 중학생에게 봉변당한 할아버지 끝내 사망[최장원]」, MBC, 2000-09-15[15] 「<중학생에 폭행당해 숨진 노인 유족 선처 탄원>」, 연합뉴스, 2000-11-28[16] 「시청역 도로침하 원인은 '노후하수관'…동공 2개 발견」, 머니투데이, 2016-02-26[17] 「서울광장에 정체불명 박스 신고…도넛 박스로 확인(종합)」, 뉴스1, 202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