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4:30:55

안평대군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안평대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4대 명필
사자관체 예서체 인수체 초서체
석봉 한호 비해당 이용 자암 김구 봉래 양사언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정도전 이방원 정사공신
(하륜, 조영무 등)
관학파, 종친
(황희, 맹사성 등)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안평대군, 고명대신 정난공신
(수양대군)
훈구파
(한명회, 신숙주 등)
성종 연산군 중종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파
(임사홍, 신수근)
반정공신
(3훈)
사림파
(조광조)
反김안로계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김안로
인종 명종 선조
대윤
(윤임)
소윤
(윤원형)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이이, 성흔, 정철)
동인
(류성룡, 이산해)
선조 광해군 인조
연립 (서인, 남인)
(윤두수, 류성룡 등)
북인
(이산해 등)
탁소북
(류영경)
청소북, 대북
(3청)
대북
(이이첨)
반정공신
(이귀, 김류)
공서
(김류, 최명길 등)
낙당, 원당
(김자점, 원두표)
효종 현종 숙종
산당
(송시열, 송준길)
서인 vs. 남인 남인
(허적, 윤휴)
일부 서인
(김석주)
산당
(송시열)
남인
(민암, 장희재 등)
숙종 경종 영조
소론
(남구만 등)
노론
(노론 사대신)
소론
(소론 오대신)
노론
(정호, 민진원 등)
온건 소론
(이광좌)
노론
(김재로 등)
영조 정조 순조
완론 탕평
(탕평당, 청명당)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외척
(홍국영)
소론
(서명선 등)
준론 탕평
(벽파, 시파)
벽파
(심환지 등)
시파
(김조순 등)
순조 헌종 철종
안동 김씨 세도가문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
고종
흥선대원군
(+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여흥 민씨
(+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 온건 개화파)
고종 순종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반민족행위자
고명대신: 김종서, 황보인
3훈: 박원종, 류순정, 성희안
3청: 박승종, 류희분, 이이첨
노론 사대신: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
소론 오대신: 최석항, 류봉휘, 조태구, 이광좌, 조태억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
안평대군 | 安平大君
파일:소원화개첩.jpg
소원화개첩
출생 1418년 10월 27일
조선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사망 1453년 11월 27일 (향년 35세)
조선 경기도 교동군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묘소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용(瑢)
부모 부왕 세종
모친 소헌왕후
형제자매 18남 4녀 중 3남
배우자 부부인 연일 정씨
(府夫人 迎日 鄭氏)
자녀 슬하 2남
장남 - 의춘군 이우직(宜春君 李友直)
차남 - 덕양군 이우량(德陽君 李友諒)
종교 유교 (성리학)
청지(淸之)
비해당(匪懈堂)[1]
낭간거사(琅玕居士)
매죽헌(梅竹軒)[2]
군호 안평대군(安平大君)[3]
시호 장소공(章昭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기타5. 대중매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예술가. 세종소헌왕후 심씨의 셋째아들이며 문종세조의 친동생.[4]

2. 생애

서예, 시문, 그림에 뛰어나 '삼절'이라고 불렸다. 특히 중국의 고서화를 수집했는데 조맹부와 소식(소동파) 등 중국의 유명한 문인들의 서예들을 수집해서 보고 많이 연마했는지 중국에서도 사라진 조맹부체를 가장 잘 구사하는 명필로 명나라 황제까지도 감탄했을 정도였다. 명나라 사신들이 오면 안평대군에게 달려가서 글을 써달라고 간청했을 정도. 글씨에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꼽히는 등 예술가적 기질이 풍부했던 것으로 보인다. 호탕하고 인간적인 면모도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따랐다고 한다. 왕의 아들이라 권력의 핵심에 가까웠던 점도 한몫했겠지만, 안평대군이 예술에 뛰어난 기질이 있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내가 불사에 지극히 정성을 드리고 지극히 부지런하였으나, 세종대왕소헌왕후문종(文宗) 대행왕이 서로 잇달아 붕어(崩御)하시고, 아들 우량도 또 따라서 죽고, 이제 또 아내도 죽으니 비로소 불사가 사람들에게 무익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내 정씨와 사이가 나빴는데 단종 즉위년(1452) 음력 12월 19일에 아들 이우량(友諒)이 병사하였고, 단종 1년(1453) 음력 4월 23일에 아내가 죽자 안평대군은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하였다.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한 것이라 을 꽤나 먹었다. 이후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공덕을 드리기를 멈추었다.

단종이 즉위한 후 종친과 문사를 바탕으로 힘 있는 종친으로서 수양대군, 황보인, 김종서 등 고명대신들과 3각 구도를 이뤄서 한가락을 하였다. 김종서가 수양대군을 견제하기 위해서 안평대군을 끌어들이면서 다수파의 한 축으로서 사실상 형보다 앞서 나갔다.

하지만 계유정난에서 이복동생 계양군 이증의 무고로 인하여 형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죽일 때 강화도귀양을 갔으며 그 후 교동도로 이배되고 36세에 사약을 받았다.

계유정난의 명분이 김종서 등이 안평대군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모반을 꾀한 걸 미리 때려잡았다는 것이지만 안평대군이 그랬을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이다. 왜냐하면 다수파였던 김종서, 황보인 세력과 합작한 것이 결국 숙이고 들어간 모양새였기 때문이다. 결국 무난하게 잘 나가는 종친의 위치가 바뀌기 어렵다. 왕이 되면 오히려 신하들이 옹립한 휘둘리는 왕이 되니 더 괴로워질 것이다. 김종서, 황보인 등 신하들도 안평대군을 옹립할 이유가 없는 게 자신들의 권력은 일단 문종이 어린 단종을 지켜달라며 고명대신으로 임명했기에 나오는 권력이다. 즉 단종이 왕위에 있고 자신들이 단종을 옆에서 지켜줘야 권력과 권위가 유지되는 공생관계인데 굳이 단종을 폐위시키는 명분도 없는 역모를 저지를 이유가 없다. 그리고 어린 단종과 다르게 안평대군은 성인이라 친정을 할 수 있으므로 신하들에게 좋을 게 없다. 안평대군이 세종의 동복 막냇동생이자 숙부인 성녕대군에게 출계가 되었다면 왕위 계승권을 주장할 근거가 동생인 임영대군보다 없다. 결국 형의 앞길에 방해가 되어서 제거된 것이었다.

한편 성녕대군의 부인 양어머니 삼한국대부인 성씨는 훗날 계유정난이 일어나 안평대군이 유배 및 사사되자 이에 연루되어 폐출되고 경주로 귀양가게 되었다. 몇 년 뒤 귀양에서는 풀려났으나 본댁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가 죽었다. 그 후 순조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남편과 같이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영조 23년(1747) 때야 복호되어 '장소(章昭)'라는 시호를 받았다.

3. 가족 관계

4. 기타

5. 대중매체

2차 창작물 중 어찌된 일인지 안평대군을 긍정적으로 그려낸 작품은 별로 없다. 얼핏 보면 의외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조금만 생각해도 그럴 수밖에 없음을 알 수가 있다. 우선 사육신을 띄워주는 방향으로 연출하게 되면 문종 재위기에 작은형 수양대군과 마찬가지로 종친으로서 권력을 탐한 모습을 커버쳐줄 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김종서와 손잡은 것만 가지고 개과천선이라고 하면 너무 막 나가는 셈이고... 반대로 세조를 우호적으로 그린 작품이라면 아주 높은 확률로 권력욕에 가득찬 악당으로 나오게 마련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cb61, #f2cb61 20%, #f2cb61 80%, #f2cb61);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兩雲劍
도총부 도총관 성승 · 증 병조판서 박정
기타
형조판서 박중림 · 지평 하박 ·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 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


진승총(震乘總)
{{{#!folding [ 본기(本紀) ] 권1기
,제1대 「태조기(太祖紀)」, ,제2대 「정종기(定宗紀)」, ,제3대 「태종기(太宗紀)」, ,제4대 「세종기(世宗紀)」,
이단 이경 이방원 이도
권2기
,제5대 「문종기(定宗紀)」, ,제6대 「단종기(端宗紀)」, ,제7대 「세조기(世祖紀)」, ,제8대 「예종기(睿宗紀)」,
이향 이홍위 이유 이황
권3기
,제10대 「연산기(燕山紀)」, ,제11대 「중종기(中宗紀)」,
이융 이역
권4기
,제12대 「인종기(仁宗紀)」, ,제13대 「명종기(成宗紀)」,
이호 이환
권5기 권6기 권7기
,제14대 「선조기(宣祖紀)」, ,제14대 수정기, ,제15대(중초본, 정초본) 「광해기(光海紀)」,
이연 이혼
권8~9기
,제16대 「인조기(仁祖紀)」,
이종
권10기
,제17대 「효종기(孝宗紀)」, ,제18대(개수록) 「현종기(顯祖紀)」,
이호 이현
권11~12기 권13기
,제19대(보궐정오) 「숙종기(肅宗紀)」, ,제20대(수정록) 「경종기(景宗紀)」,
이순 이윤
부록
금상(今上) }}}{{{#!folding [ 평전(評傳) ] 평전
이용 · 김종서 · 황보인
,「부록 사육신(死六臣)」, ,「부록 생육신(生六臣)」,
성삼문 · 박팽년 · 하위지 · 이개 · 유성원 · 유응부 김시습 · 원호 · 이맹전 · 조려 · 성담수 · 남효온 }}}{{{#!folding [ 부록(評傳) ] 저자 · 부록
이민보,저자, · 당파원론 · 국조연대 · 선원록 · 호송 금부도사의 작가 · 김지남 }}}



[1] 원래 안평대군의 봉호가 안평(安平)이라 게을러질 것을 염려한 세종대왕이 게으름을 경계하라는 의미로 비해당이라고 호를 내려주었다고 한다.[2] 사육신중 하나인 성삼문의 호와도 같다[3] 봉호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옛 지명인 안평(安平)에서 유래했다. 홍주 이씨 일부에서 안평 이씨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홍성군에서 유래한 것이다.[4]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의 친형이고 단종, 덕종, 예종의 숙부이다.[5] 세조금성대군의 아들들은 죽이지 않고 관노로 삼아서 어찌어찌 대를 잇는데는 성공했기 때문이다.[6] <조선왕조실록> 중종 13년(1518) 6월 7일 2번째 기사.[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에도 소장 중이다.[8] <조선왕조실록>은 물론이고 구글링으로도 나타나지 않는다.[9] 다만, 안평대군의 이복동생으로 역시 계유정난으로 희생된 영풍군에 대한 정보는 있다.[10] 신숙주는 물론이고 사육신들까지 포함해서 집현전 소장 학자들은 김종서, 황보인 등 노대신들이 고명대신으로서 정사를 좌우하는 것에 크게 불만을 품었다. 그 때문에 적의 적은 아군이라고 계유정난은 집현전으로 대표되는 소장 학자들과 수양대군으로 대표되는 포섭되지 않은 종친 세력이 서로 손을 잡고 김종서 세력을 쳐버린 것이라는 평이 많다.[11] 형인 수양대군은 이런 인맥을 쌓기보다는 권람, 한명회 같은 인물들이나 무뢰배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보인다. 세종수양대군이나 안평대군이나 비슷하게 일을 시켰고 형이어서인지 수양대군 쪽을 더 시키기까지 했는데도 인맥을 쌓지 못한 것.[12] 하늘이 어찌 남자에게만 재주를 내렸겠냐며, 평등적인 생각을 가진 인물로 나온다.[13] 다만 사실 궁녀들과 외간 남자와의 연애는 원래부터 금지된 사항이었다는 걸 생각해 보면 그냥 궁궐 내규를 깐깐히 적용하는 주인 정도라고 볼 수도 있다.[14] 현재는 동신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15] 공교롭게도 이광기는 같은 작가의 예전 작품 1998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안평대군의 조카 의경세자 역을 맡았다. 또한 안평대군의 동생 금성대군을 연기한 배우가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후백제의 왕좌를 두고 대립하던 이복동생 견금강을 연기한 전현이라 후백제의 왕자 견신검과 금강이 조선의 왕자 안평대군과 금성대군으로 환생했다는 배우 개그가 성립한다.
이 문서의 r180~181 버전에 한국고전종합DB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