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18 12:10:48

일제강점기/행정구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제강점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ec9f19,#11499C><colbgcolor=#000,#fedc89>삼국​시대
~
고려​시대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고구려
수도 5부 지방 5부 3경
백제
5부 5방 22담로
신라
6부 5주 2소경
삼국시대 (삼국의 중앙집권체제 확고 - 삼국통일전쟁)
발해 5경 15부 62주통일신라 9주 5소경 115군 201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10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5도 양계
}}}||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1부 8도하위 행정구역
파일: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svg 조선 23부제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1부 13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제강점기: 13도, 부군면 통폐합
남북​분단
~
19​63​년
<colbgcolor=#fee,#300>파일:북한 국기.svg 북한<colbgcolor=#eef,#00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특별시 6도
(1946-49년)
1특별자유시 9도
(1946-49년)
1특별시 7도
(자강도 설치 / 1949-51년)
1특별시 9도
(서울특별자유시를 서울특별시로 개칭 / 1949-63년)
1특별시 7도 1지구
(개성시 설치 / 1951-52년)
1직할시 7도 1지구
(평양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52-54년)
1직할시 9도 1지구
(량강도 설치, 황해남도·황해북도 분도 / 1954-57년)
2직할시 9도
(개성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57-60년)
3직할시 9도
(함흥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60-63년)
19​63​년
~
19​95​년
4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63-70년)
1특별시 1직할시 9도
(부산시를 부산직할시로 승격 / 1963-81년)
2직할시 9도
(함흥시, 청진시를 일반시로 격하 / 1970-77년)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77-79년)
4직할시 9도
(남포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79-85년)
1특별시 3직할시 9도
(대구시, 인천시를 대구직할시, 인천직할시로 승격 / 1981-86년)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일반시로 격하 / 1985-2000년)
1특별시 4직할시 9도
(광주시를 광주직할시로 승격 / 1986-89년)
1특별시 5직할시 9도
(대전시를 대전직할시로 승격 / 1989-95년)
19​95​년
~
1특별시 5광역시 9도
(지방자치제 실시 및 행정구역 대개편 / 1995-97년)
4직할시 9도
(라선시를 직할시로 승격 / 2000-03년)
1특별시 6광역시 9도
(울산시를 울산광역시로 승격 / 1997-2006년)
3직할시 9도
(개성시를 특급시로 격하 / 2003-04년)
1직할시 9도
(남포시, 라선시를 특급시로 격하 / (2004-10년)
1특별시 6광역시 8도 1특별자치도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로 개편 / 2006-12년)
1직할시 2특별시 9도
(남포시, 라선시를 특별시로 승격 / 2010-19년)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8도 1특별자치도
(연기군을 해체하고 그 일대에 세종특별자치시를 신설 / 2012-23년)
1직할시 3특별시 9도
(개성시를 특별시로 승격 / 2019년- )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7도 2특별자치도
(강원도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 / 2023-24년 )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6도 3특별자치도
(전라북도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 / 2024년- )
}}}}}}}}}


1. 개요2. 상세3. 역사
3.1. 1910년3.2. 1914년, 부군면 통폐합과 도농분리제3.3. 1920년대3.4. 해방 이후

1. 개요

파일:Administrative_Map_of_Chōsen_(1917).svg
1917년 기준 조선의 행정구역
파일:Egp3Q2dVgAU023g.jpg
일제강점기 당시 부 휘장[1]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

2. 상세

당시 일본 제국은 현재도 사용 중인 행정구역인 도도부현 - 시정촌 체제에서 도쿄만 도로 승격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은 일본처럼 도도부현으로 개편하지 않고 대한제국 - / - / - 체제는 그대로 놔두었다. 1914년에는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으로 바꾸었고, 1936년에는 부 이하 모든 동리를 정으로 바꾸었다.

3. 역사

3.1. 1910년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 이후 1910년 9월 30일에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메이지 43년 칙령 제357호)를 공포, 그 다음날인 10월 1일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제국13도제는 효력을 상실하였다.

조선총독부가 공포한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의 내용은 총독부 밑으로 13개의 도를 두고 그 직원을 정하고, 조선총독에게 위임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대한제국의 군현제를 당분간 유지하는 임시조치로 총독부는 1914년 3월 1일에 전국적으로 행정구역 통폐합인 부군면 통폐합을 실행했다.

대한제국의 지방자치는 지역 유지들이 참석하는 향회가 전부였고, 부군면 통폐합과 함께 대한제국의 잔재로서 향회 제도는 폐지되었다. 실제로는 도시지역의 지방행정을 대표하여 일본인 부윤(府尹)과 일본인 상공회의소가 협의하는 변칙적인 지방자치가 실행되고 있었다.

3.2. 1914년, 부군면 통폐합과 도농분리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군면 통폐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
{{{#!wiki style="color:#b0313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b0313f;margin: -6px -1px -11px"
*1914년 기준
게이키도
,([ruby(京畿道,ruby=けいきどう)]),
경성부 인천부
고양군 부천군 시흥군 수원군 진위군 안성군 용인군 이천군 금포군 강화군 파주군 개성군 포천군 연천군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주세이호쿠도
,([ruby(忠清北道,ruby=ちゅうせいほくどう)]),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청주군 괴산군 제천군 단양군 음성군 진천군 충주군
주세이난도
,([ruby(忠清南道,ruby=ちゅうせいなんどう)]),
공주군 연기군 대전군 논산군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홍성군 청양군 서산군 당진군 예산군 아산군 천안군
젠라호쿠도
,([ruby(全羅北道,ruby=ぜんらほくどう)]),
군산부
옥구군 익산군 전주군 김제군 고창군 정읍군 금산군 진안군 남원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장수군
젠라난도
,([ruby(全羅南道,ruby=ぜんらなんどう)]),
목포부
무안군 나주군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여수군 제주군 함평군 영광군 광주군 광양군 고흥군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장성군 구례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순천군 영암군
게이쇼호쿠도
,([ruby(慶尚北道,ruby=けいしょうほくどう)]),
대구부
달성군 경산군 영천군 경주군 영일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 안동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김천군 상주군 예천군 영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울도군
게이쇼난도
,([ruby(慶尚南道,ruby=けいしょうなんどう)]),
부산부 마산부
울산군 동래군 창녕군 사천군 하동군 거창군 고성군 통영군 함양군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산청군 창원군 진주군 김해군 밀양군 양산군 남해군
고겐도
,([ruby(江原道,ruby=こうげんどう)]),
이천군 간성군 금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홍천군 횡성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카이도
,([ruby(黄海道,ruby=こうかいどう)]),
연백군 금천군 신계군 해주군 평산군 곡산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재령군 서흥군 봉산군 수안군 신천군 안악군 황주군 은률군
헤이안난도
,([ruby(平安南道,ruby=へいあんなんどう)]),
평양부 진남포부
대동군 용강군 중화군 강동군 성천군 순천군 평원군 강서군 안주군 개천군 덕천군 영원군 맹산군 양덕군
헤이안호쿠도
,([ruby(平安北道,ruby=へいあんほくどう)]),
신의주부
박천군 정주군 선천군 의주군 영변군 희천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철산군 용천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간쿄난도
,([ruby(咸鏡南道,ruby=かんきょうどう)]),
원산부
덕원군 함흥군 고원군 홍원군 북청군 신흥군 풍산군 안변군 문천군 영흥군 정평군 이원군 단천군 갑산군 삼수군 장진군
간쿄호쿠도
,([ruby(咸鏡北道,ruby=かんきょうほくどう)]),
청진부
부령군 경흥군 명천군 회령군 종성군 경성군 성진군 길주군 경원군 온성군 무산군 }}}}}}}}}

3.3. 1920년대

이후로도 1920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문화통치 정책에 따라 매우 제한적인 지방자치제(금권선거→지방의회)를 실행했지만, 일본 제국의 본토와 달리 조선총독부의 지방행정은 중세 시대군현제 방식으로 예전처럼 다스렸다.

3.4. 해방 이후

1945년 가을에 미군정의 명령에 따라 조선총독부의 지방의회들을 모두 폐지했다. 다만 미군정이 접수한 조선총독부의 지방행정은 1948년 가을까지 예전처럼 운영했다.[2]

[1] 저 중에서 개성부대구부의 휘장은 8.15 광복 이후에도 사용되었다. 대구부 휘장의 경우는 1990년대까지 사용됐다.[2] 당시의 국력, 혼란상 등으로 인해 많은 국가 사무가 일제 강점기의 것을 그대로 유지했다. 1960년에 대한민국 민법이 시행되기 전까지 일제강점기 시절 민법을 그대로 썼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