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한국 행정구역의 시대별 변천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ec9f19,#11499C><colbgcolor=#000,#fedc89>삼국시대 ~ 고려시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고구려 수도 5부 지방 5부 3경 | 백제 5부 5방 22담로 | 신라 6부 5주 2소경 | |
삼국시대 (삼국의 중앙집권체제 확고 - 삼국통일전쟁) | ||||||
발해 5경 15부 62주 | 통일신라 9주 5소경 115군 201현 | |||||
고려 10도 | ||||||
고려 5도 양계 |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 조선 1부 8도 및 하위 행정구역 | ||
조선 23부제 (고종) | |||
대한제국 1부 13도 | |||
일제강점기: 13도, 부군면 통폐합 | |||
남북분단 ~ 1963년 | <colbgcolor=#fee,#300> 북한 | <colbgcolor=#eef,#003> 대한민국 | |
1특별시 6도 (1946-49년) | 1특별자유시 9도 (1946-49년) | ||
1특별시 7도 (자강도 설치 / 1949-51년) | 1특별시 9도 (서울특별자유시를 서울특별시로 개칭 / 1949-63년) | ||
1특별시 7도 1지구 (개성시 설치 / 1951-52년) | |||
1직할시 7도 1지구 (평양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52-54년) | |||
1직할시 9도 1지구 | |||
2직할시 9도 (개성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57-60년) | |||
3직할시 9도 (함흥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60-63년) | |||
1963년 ~ 1995년 | 4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63-70년) | 1특별시 1직할시 9도 (부산시를 부산직할시로 승격 / 1963-81년) | |
2직할시 9도 | |||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77-79년) | |||
4직할시 9도 (남포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79-85년) | 1특별시 3직할시 9도 | ||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일반시로 격하 / 1985-2000년) | 1특별시 4직할시 9도 (광주시를 광주직할시로 승격 / 1986-89년) | ||
1특별시 5직할시 9도 (대전시를 대전직할시로 승격 / 1989-95년) | |||
1995년 ~ | 1특별시 5광역시 9도 (지방자치제 실시 및 행정구역 대개편 / 1995-97년) | ||
4직할시 9도 (라선시를 직할시로 승격 / 2000-03년) | 1특별시 6광역시 9도 (울산시를 울산광역시로 승격 / 1997-2006년) | ||
3직할시 9도 (개성시를 특급시로 격하 / 2003-04년) | |||
1직할시 9도 | 1특별시 6광역시 8도 1특별자치도 | ||
1직할시 2특별시 9도 |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8도 1특별자치도 | ||
1직할시 3특별시 9도 (개성시를 특별시로 승격 / 2019년- ) | |||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7도 2특별자치도 | |||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6도 3특별자치도 | }}}}}}}}} |
[clearfix]
1. 개요
23부제가 탁상행정으로 갑자기 제도와 행정구역을 변화시켜 혼선을 빚자 시행한 지 1년만인 건양 원년(1896년) 8월 4일에 칙령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을 반포 및 시행하여 23부제를 폐지하고 도제로 환원하였다. 대신 기존 8도제를 약간 보완하여 8도 중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를 제외한 나머지 도를 남도와 북도로 분할하여 총 13도가 되었다. 사실 전근대 조선왕조는 8도 내에 좌도, 우도를 설치하고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암행어사를 좌우 따로 두(거나 보내)어 실질적으로 분도를 했지만 관찰사는 좌우 따로 있지 않았고 도마다 1명씩 있었으므로 공식적으로는 한 도였다. 좌우도 체제에서 착안하여 남북도로 공식 개편했다. 이 13도제가 근현대 한국 광역행정구역 근간이 되어 이어진다.2. 13도/하위 행정구역
도 | 수부(首府) / 도감찰부)道監察府) | 행정구역 수 | 하위 행정구역 |
경기도 | 수원군 부면 화성행궁 | 4부 34군 | 양주군3, 포천군4, 영평군4, 연천군4, 마전군4, 삭녕군4, 개성부, 풍덕군4, 장단군3, 파주군4, 적성군4, 고양군4, 교하군4, 금포군4, 통진군3, 양천군4, 강화부, 교동군4, 인천부, 부평군4, 과천군4, 안산군4, 시흥군4, 남양군4, 수원군2, 진위군(振威郡)4, 양성군(陽城郡)4, 안성군4, 죽산군4, 이천군4, 음죽군4, 여주군3, 양근군4, 지평군4, 용인군4, 양지군4, 광주부, 가평군4 |
충청북도 | 충주군 읍내면 충주관아 | 17군 | 충주군1, 제천군4, 청풍군4, 단양군4, 영춘군(永春郡)4, 괴산군4, 연풍군(延豐郡)4, 음성군4, 진천군3, 청주군1, 청안군4, 보은군4, 영동군4, 황간군(黃磵郡)4, 옥천군3, 청산군(靑山郡)4, 회인군(懷仁郡)4 |
충청남도 | 공주군 주면 공주관아 | 37군 | 공주군1, 회덕군(懷德郡)4, 진잠군(鎭岑郡)4, 은진군3, 연산군(延山郡)4, 석성군(石城郡)4, 노성군4, 부여군4, 한산군(韓山郡)3, 서천군3, 임천군(林川郡)3, 홍산군(鴻山郡)3, 남포군(藍浦郡)4, 비인군(庇仁郡)4, 보령군4, 오천군(鰲川郡)4, 결성군4, 태안군4, 서산군3, 해미군4, 당진군4, 면천군(沔川郡)3, 덕산군(德山郡)3, 홍주군2, 정산군(定山郡)4, 청양군4, 예산군4, 대흥군(大興郡)4, 아산군4, 신창군(新昌郡)4, 평택군4, 천안군4, 직산군4, 온양군4, 전의군(全義郡)4, 연기군4, 문의군4, 목천군4 |
전라북도 | 전주군 부면 전주부관아 | 26군 | 전주군1, 금산군3, 진산군(珍山郡)4, 무주군3, 용담군(龍潭郡)4, 장수군4, 진안군3, 고산군4, 익산군3, 용안군(龍安郡)4, 함열군(咸悅郡)3, 여산군(礪山郡)3, 임피군(臨陂郡)3, 옥구군4, 김제군2, 만경군4, 태인군(泰仁郡)2, 금구군(金溝郡)3, 임실군3, 부안군3, 정읍군4, 고부군2, 무장군(茂長郡)4, 고창군4, 흥덕군(興德郡)4, 순창군3, 남원군1, 운봉군(雲峰郡)4, 구례군4 |
전라남도 | 광주군 성내방 광주관아 | 1목 32군 | 광주군1, 능주군(綾州郡)3, 남평군(南平郡)3, 나주군1, 영암군1, 무안군3, 함평군2, 담양군2, 창평군(昌平郡)3, 장성군3, 영광군1, 동복군(同福郡)3, 화순군3, 보성군2, 낙안군3, 순천군(順天郡)1, |
경상북도 | 대구군 상면 대구도호부관아 | 41군 | 대구군2, 문경군4, 함창군(咸昌郡)4, 예천군3, 용궁군(龍宮)4, 풍기군4, 순흥군4, 영천군(榮川郡)4, 봉화군4, 예안군4, 비안군(比安郡)4, 군위군4, 영양군4, 진보군(眞寶郡)4, 영해군(寧海郡)4, 영덕군4, 청송군4, 의성군2, 의흥군(義興郡)4, 신녕군(新寧郡)4, 흥해군(興海郡)4, 청하군(淸河郡)4, 영천군(永川郡)2, 자인군(慈仁郡)4, 하양군(河陽郡)4, 경산군4, 경주군1, 청도군3, 인동군(仁同郡)4, 칠곡군4, 선산군3, 개령군(開寧郡)4, 김산군(金山郡)3, 지례군(知禮郡)4, 상주군1, 성주군2, 안동군2, 고령군4, 현풍군4, 장기군(長鬐郡)4, 연일군(延日郡)4 |
경상남도 | 진주군 성내면 진주관아 | 1부 29군 | 진주군1, 의령군3, 초계군(草溪郡)4, 합천군3, 삼가군(三嘉郡)4, 거창군3, 안의군(安義郡)4, 함양군3, 창녕군3, 영산군4, 산청군4, 단성군(丹城郡)4, 하동군3, 곤양군(昆陽郡)4, 고성군(固城郡)3, 진남군(鎭南郡)4, 사천군4, 함안군3, 진해군4, 칠원군4, 창원군3, 김해군2, 웅천군4, 거제군4, 남해군4, 밀양군2, 울산군3, 언양군4, 양산군4, 기장군4, 동래부 |
강원도 | 춘천군 부내면 춘천부관아 | 26군 | 춘천군4, 홍천군4, 원주군4, 횡성군4, 양구군4, 낭천군(狼川郡)4, 인제군4, 평창군4, 영월군4, 정선군4, 삼척군4, 강릉군4, 양양군4, 간성군4, 고성군(高城郡)4, 통천군4, 흡곡군(歙谷郡)4, 울진군4, 평해군4, 회양군4, 금성군4, 금화군4, 평강군4, 철원군4, 이천군(伊川郡)4, 안협군(安峽郡)4 |
황해도 | 해주군 주내방 해주관아 | 23군 | 해주군2, 안악군1, 서흥군3, 재령군3, 장연군3, 곡산군3, 봉산군2, 황주군1, 연안군3, 배천군(白川郡, 백천군)3, 평산군2, 금천군3, 토산군4, 수안군3, 신계군4, 신천군3, 문화군(文化郡)3, 은률군4, 장련군(長連郡)4, 송화군4, 풍천군(豐川郡)4, 옹진군4, 강령군4 |
평안남도 | 평양부 인흥부 방 평양부관아 | 23군 | 평양군1, 중화군2, 상원군3, 강동군4, 삼등군(三登郡)4, 강서군3, 용강군2, 삼화군(三和郡)3, 증산군4, 함종군(咸從郡)3, 영유군(永柔郡)3, 순안군4, 숙천군4, 안주군3, 순천군(順川郡)3, 은산군4, 자산군(慈山郡)4, 성천군3, 양덕군4, 맹산군4, 개천군4, 덕천군4, 영원군4 |
평안북도 | 정주군 방 정주관아 | 21군 | 영변군3, 박천군4, 태천군4, 가산군(嘉山郡)4, 구성군4, 정주군3, 선천군3, 곽산군4, 용천군4, 철산군4, 의주군1, 삭주군4, 창성군4, 벽동군4, 초산군4, 위원군4, 강계군1, 자성군4, 후창군4, 희천군4, 운산군4 |
함경남도 | 함흥군 주내사 함흥부관아 | 1부 13군 | 함흥군2, 안변군3, 문천군4, 덕원부, 고원군4, 영흥군2, 정평군3, 홍원군4, 북청군3, 단천군2, 리원군4, 갑산군4, 삼수군4, 장진군4 |
함경북도 | 경성군 사 경성도호부관아 | 1부 9군 | 경성군4, 길주군2, 명천군4, 부녕군4, 무산군4, 회령군3, 종성군3, 온성군4, 경원군4, 경흥부 |
한성부 | 한성부 서 방 게 동 한성부관아 | 5서 | 동서, 서서, 남서, 북서, 중서 |
군명 위에 부기된 숫자는 n등군을 의미 |
또한 23부제 실시로 군이 된 기존 부 일부와 제주목이 환원되었다.
각 도에 관찰사 1명, 지주사 6명, 총순 2명을 두며 한성부 5서에 특별히 1부를 두는데 부청 위치는 그대로 두었다. 한성부에 판윤 1명, 소윤 1명, 지주사 5명을, 광주·개성·강화·인천·동래·덕원·경흥부에 부윤 1명을, 제주목에 목사 1명, 지주사 2명을 두었다. 13도에서 관할하는 339개 군을 다섯 등급(한반도 육지 한정으로 실상 4등급)으로 나누어 정하고 군수를 그대로 두었다. 23부제 시행 때에 개항장(감리서)으로 이전된 인천부청과 동래부청이 개항전 인천도호부관아, 동래도호부관아로 각각 환원되었다.
3. 개편 이후
건양 2년(1897년) 1월 14일 칙령 제8호로 홍주·태안·서산 3개 군이 관할하던 안면도가 온전히 홍주군 소속이 되었다.동년 3월 7일 칙령 제14호 〈완도군에 속한 비금도와 도초도 두 개 섬을 지도군의 관할에 이속하는데 관한 안건〉으로 두 섬이 지도군에 이속되었으며 칙령 제15호 〈평안북도 관찰부의 위치를 영변으로 개정하는 데 관한 안건〉으로 평안북도 관찰부가 영변군으로 변경되었다.
동년 칙령 제21호 〈전라남도 구역 내 전 좌수영을 여수군에 신설하는 일〉에 의해서 전라좌도수군절도영이 관할하던 옛 여수현 지역인 순천군 율촌면, 소라면, 삼일면, 여수면을 분리해 여수군(麗水郡, 3등군)으로 재설치하였다.
광무 원년(1897년) 칙령 제29호와 칙령 제30호 〈지방 제도 관제의 개정에 관한 건〉으로 제주목에서 제주군(5등군)이 분리되었으며, 삼화군과 무안군이 각각 삼화부와 무안부로 승격되었다.
광무 2년(1898년) 칙령 제12호 〈지방 제도 중 개정〉으로 강원도 평해군 울릉도에 도감을 두었다.
동년 칙령 제27호 〈함경북도 길주군 구역 내 전 성진진에 성진군을 신설하는 건〉과 칙령 제28호 〈성진군의 위치와 관할구역 획정 건〉으로 길주군 남단 동해안 지역을 성진군(城津郡, 4등군)으로 분리하고 학중면, 학서면, 학남면, 학북면, 학산면 5개면으로 정하였다.
광무 3년(1899년) 칙령 제16호 〈지방 제도 중 일부 개정에 관한 안건〉으로 옥구군, 창원군, 성진군이 각각 옥구부, 창원부, 성진부로 승격되었다.
광무 4년(1900년) 칙령 제9호 〈길성부 설치에 관한 안건〉에으로 성진부와 길주군을 길성부로 통합하였다.
동년 칙령 제18호 〈함경북도 성진부를 다시 설치하는 데 관한 안건〉으로 길성부를 성진부로 개칭하였다.
동년 칙령 제19호 〈경상남도 고성군 구역 내의 전 통제영 구역을 진남군으로 설치하는 데 관한 안건〉으로 경상남도 고성군 일부와 거제군 가좌도·한산도를 관할하는 진남군(鎭南郡, 4등군)을 설치하였다.
동년 칙령 제30호 〈평양군을 평양부로 개칭하고 군수를 부윤으로 개칭하는 일에 관한 안건〉으로 평양군을 평양부로 승격하였다.
동년 칙령 제41호 〈강원도의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개칭하고 도감을 군수로 개정하는 데 관한 안건〉으로 울도군(5등군)으로 승격하였다. 이 행정구역 개편을 기념하고 독도 수호를 위해 독도의 날을 년에 제정하였다.
광무 5년(1901년) 칙령 제11호 〈충청남도 관하 오천군 신설에 관한 안건〉으로 충청남도 보령군, 홍주군, 태안군, 결성군, 서산군, 서천군, 비인군이 관할하던 서해안 도서 지역에 오천군(鰲川郡, 4등군)을 신설하였다.
보령군 금신면(金神面) | 오천군 천동면(川東面) |
홍주군 용천면(用川面) / 전천면(田川面) | 오천군 천북면(川北面) |
홍주군 안면도·원산도·황도(荒島)·월도·육도·추도·소도·고대도·효자도·내장고도·저도·두지도·대야도·외장고도·외감도·삽시도·불모도·녹도·호도·외연도·황도(黃島)·어청도 | 오천군 면상면(眠上面), 면하면(眠下面) 등 |
태안군 거아도·가의도 | 오천군 일부 |
결성군 죽도 | |
서산군 간월도 | |
비인군 연도·죽도 | |
서천군 개야도 |
동년 칙령 제19호 〈성진부를 폐지하고 길주군에 합부하는 건〉으로 길주군으로 격하되었다.
광무 6년(1902년) 칙령 제1호 〈길주부로 개정할 일에 관한 안건〉으로 길주군이 길주부로 승격하였다.
동년 칙령 제8호 〈흡곡·안변 양군 구역 개정 건〉으로 함경남도 안변군 학포사가 강원도 흡곡군에 편입되어 학포면으로 개편되었다.
동년 칙령 제9호 〈낭천군을 화천군으로 개정할 일에 관한 안건〉으로 강원도 낭천군이 화천군으로 개칭되었다.
광무 7년(1903년) 칙령 제10호 〈부윤을 군수로 개정하는 건〉으로 인천부, 옥구부, 무안부, 동래부, 창원부, 평양부, 삼화부, 덕원부, 길주부, 경흥부를 각각 인천군(4등군), 옥구군, 무안군, 동래군(3등군), 창원군, 평양군, 삼화군, 덕원군(4등군), 길주군, 경흥군(4등군)으로 격하하였다.
광무 7년(1903년) 칙령 제15호 〈함경북도 성진군을 다시 설치하는 일에 관한 안건〉으로 성진군을 다시 설치하였다.
3.1. 통감부간섭기 행정구역 개편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탈취한 일제는 통감부를 설치하고 몇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실시하였다.광무 10년(1906년) 칙령 제47호 〈감리와 목사를 폐지하는 건과 기사무를 인계에 관한 건〉으로 제주목을 제주군에 편입하였고, 칙령 제48호 〈부를 군으로 개칭하고 군을 부로 개칭하는 건과 부청급군청에 관한 건〉으로 광주부, 강화부, 개성부를 각각 광주군, 강화군, 개성군으로 격하하고 개항장 및 개시장인 인천군, 옥구군, 무안부, 동래군, 창원군, 평양군, 삼화군, 의주군, 용천군, 덕원군, 성진군, 경흥군을 각각 인천부, 옥구부, 무안부, 동래부, 창원부, 평양부, 삼화부, 의주부, 용천부, 덕원부, 성진부, 경흥부로 승격하였다. 충청남도 문의군이 충청북도로, 전라북도 구례군이 전라남도로, 전라남도 무장군·고창군·흥덕군(현 고창군)이 전라북도로, 강원도 울도군이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
동년 칙령 제49호 〈지방 구역 정리 건〉(위키문헌 자료)으로 각 군 영역에서 월경지와 땅거스러미들을 실제 생활권과 군역을 고려해 정리하여 각 지방 정부에서 관리하기 쉽게 하였으며, 이 조치를 '월경지 정리'라고 칭한다. 조선 시대에는 주로 큰 고을에서 비정상적인 행정구역 설정이 자주 보이는데 초기에는 고려시대에 존재했던 속현들을 주현군현에 통합하거나 주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더 지나서 각종 산물(공물, 특산물)을 자급자족하기 위해 이런 행정구역이 설정되었다. 그동안 조정도 이러한 비정상적 행정 구역을 여러 번 조정하고자 하였으나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오히려 행정구역이 개선된 셈이라고 하겠다. 이 과정에서 원래 조그만 고을이던 음성군[1], 평창군[2]이 어마어마하게 넓은 땅을 얻었으나, 정리를 잘못해서 양산시 웅상지구 같이 실질월경지를 또 만들어버린 경우도 있다. 지금 경기도 의왕시 지역처럼 땅거스러미 정리에서 빠진 지역도 있었다.
개편 전 개편 후 | 비고 | 비고 |
경기도 양주군 산내면, 청송면(山內面,靑松面) | 경기도 포천군 산내면, 청송면(山內面,靑松面) | 한탄강 이북 월경지 현 연천군 청산면 및 포천시 신북면 남청산 지역 |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 경기도 고양군 신혈면 | 삼각산 이서 땅거스러미 또는 월경지 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지축동,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
경기도 개성군 대남면, 소남면(大南面,小南面) | 경기도 장단군 대남면, 소남면(大南面,小南面) | 동북부 땅거스러미 |
경기도 장단군 장동면, 강동면(長東面,江東面) | 경기도 마전군 장신면, 강신면(長新面,江新面) | 동부 땅거스러미 현 연천군 일부 |
경기도 적성군 하북면(河北面) | 경기도 마전군 하신면(河新面) | 임진강 이북 월경지 현 연천군 백학면 일부 |
경기도 금포군 고란테면(高蘭台面; 고란태면) 새벌?(新平里; 신평리) | 경기도 고양군 구지도면(求知道面) 새벌(新平里; 신평리) | 한강 이동 월경지인, 과거 하중도 현 고양시 덕양구 신평동 |
경기도 인천부 이포면(梨浦面) | 경기도 남양군 이포면(梨浦面) | 남쪽 월경지 현 화성시 남양읍 및 면 일부 |
楊州 三十四 神穴面(高陽)山內面靑松面(抱川) 廣州飛入地草阜面 三十二面
抱川 十 楊州斗入地山內面靑松面 十二面
永平 七 七面
漣川 五 鐵原斗入地官仁面 六面
麻田 五 長湍斗入地長東面江東面積城飛入地河北面 八面
朔寧 七 七面
開城 十四 大南面小南面(長湍) 十二面
豐德 八 八面
長湍 二十 長東面江東面(麻田) 開城斗入地大南面小南面 二十面
坡州 十二 十二面
積城 五 河北面(麻田) 四面
高陽 八 楊州斗入地神穴面 九面
交河 八 八面
金浦 八 八面
通津 十二 十二面
陽川 五 五面
江華 十七 十七面
喬桐 四 四面
仁川 十二 梨浦面(南陽) 十一面
富平 十六 十六面
果川 七 七面
安山 六 廣州斗入地聲串面月谷面北方面 九面
始興 九 九面
南陽 十三 水原斗入地八灘面汾鄕面長安面草長面鴨汀面梧井面仁川飛入地梨浦面 二十面
水原 四十 八灘面汾鄕面長安面草長面鴨汀面梧井面(南陽)五朵面(振威)廣德面之新興浦新星浦佳士面三島五洞(牙山) 陽城飛入地栗北面西生面甘味洞面升良面稷山飛入地堰里面外也串面安中面平澤飛入地少北面 四十一面
振威 十三 水原斗入地五朵面陽城斗入地所古尼面 十五面
陽城 十八 栗北面西生面甘味洞面升良面(水原)所古尼面(振威) 十三面
安城 二十四 二十四面
竹山 十四 陽智飛入地蹄村面 十五面
利川 十五 十五面
陰竹 八 無極面(陰城) 七面
驪州 十四 原州斗入地康川面池內面 十六面
陽根 十 十面
砥平 八 八面
龍仁 十六 十六面
陽智 十一 蹄村面(竹山) 十面
廣州 二十一 草阜面(楊州)聲串面月谷面北方面(安山) 十七面
加平 六 六面
忠淸北道
忠州 三十八 金目面笙洞面孟洞面法旺面所呑面枝內面大鳥谷面豆衣谷面沙多山面川歧音面甘味洞面居谷面(陰城)佛頂面(槐山) 二十五面
堤川 八 八面
淸風 八 八面
丹陽 八 八面
永春 六 六面
槐山 十二 忠州斗入地佛頂面 十三面
延豐 五 五面
陰城 四 忠州斗入地金目面笙洞面孟洞面法旺面所呑面枝內面大鳥谷面豆衣谷面沙多山面川歧音面甘味洞面居谷面陰竹斗入地無極面 十七面
鎭川 十五 十五面
淸州 三十 周岸面(懷德)修身面(木川)德坪面(全義) 二十七面
淸安 六 六面
文義 七 坪村(懷德) 七面
報恩 十二 靑山飛入地酒城面 十三面
永同 八 沃川斗入地陽內面陽南面 十面
黃磵 六 南面(金山) 金山斗入地黃金所面 六面
沃川 十一 陽內面陽南面(永同) 九面
靑山 六 酒城面(報恩) 五面
懷仁 六 六面
忠淸南道
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公州 二十六 九則面炭洞面川內面柳等川面山內面(懷德) 二十一面
懷德 七 公州斗入地九則面炭洞面川內面柳等川面山內面淸州飛入地周岸面文義飛入地坪村 十三面
鎭岑 五 五面
恩津 十四 礪山斗入地彩雲面 十五面
連山 十 全州飛入地良陽所面 十一面
石城 九 九面
魯城 十一 十一面
扶餘 十 十面
韓山 九 九面
舒川 十一 十一面
林川 二十 二十面
鴻山 九 九面
藍浦 九 九面
庇仁 六 六面
保寧 七 七面
鰲川 六 眠上面眠下面(泰安) 四面
結城 十 十面
泰安 十一 鰲川飛入地眠上面眠下面 十三面
瑞山 十七 夫山面(海美) 十六面
海美 六 瑞山飛入地夫山面九洞洪州斗入地高北面飛入地雲川面及象王峰下五洞又德山斗入地雪峴牛峴 九面
唐津 八 八面
沔川 十四 洪州飛入地合南面合北面新北面新南面縣內面牙山飛入地二西面德山飛入地菲芳串面天安飛入地牛坪 二十一面
德山 十二 菲芳串面(沔川) 十一面
洪州 二十七 高北面雲川面(海美)合南面合北面新南面新北面縣內面(沔川) 二十面
定山 八 八面
靑陽 九 九面
禮山 九 天安飛入地新宗面 十面
大興 八 八面
牙山 十 二西面(沔川) 天安飛入地頓義面德興面毛山面及堂后新岱水原飛入地三島五洞及新興浦新星浦 十二面
新昌 七 七面
平澤 六 少北面(水原) 稷山飛入地慶陽面 六面
天安 十五 新宗面(禮山)頓義面德興面毛山面(牙山)牛坪(沔川) 十一面
稷山 十三 堰里面外也串面安中面(水原)慶陽面(平澤) 九面
溫陽 九 九面
全義 六 淸州飛入地德坪面 七面
燕岐 七 七面
木川 八 淸州斗入地修身面 九面
全羅北道
部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全州 三十一 良陽所面(連山)東一面北一面南一面南二面西一面紆北面(益山)利東面利西面利北面(萬頃) 二十一面
錦山 十三 富南面(茂朱) 十二面
珍山 七 七面
茂朱 十二 錦山斗入地富南面 十三面
龍潭 九 九面
長水 八 南原斗入地上磻巖面中磻岩面下磻巖面眞田面 十二面
鎭安 十四 十四面
高山 八 八面
益山 十 全州飛入地東一面北一面南一面南二面北二面及斗入地紆西面 十六面
龍安 五 五面
咸悅 十一 十一面
礪山 十 彩雲面(恩津) 九面
臨陂 十三 十三面
沃溝 八 八面
金堤 十七 十七面
萬頃 七 全州飛入地利東面利西面利北面 十面
泰仁 十七 十七面
金溝 十 十面
任實 十八 南原斗入地屯德面吾支面秣川面石峴面阿山面靈溪面 二十四面
扶安 十七 十七面
井邑 七 七面
古阜 十八 富安面(茂長) 十七面
茂長 十六 古阜飛入地富安面 十七面
高敞 八 八面
興德 九 九面
淳昌 十七 十七面
南原 四十八 上磻巖面中磻岩面下磻巖面眞田面(長水)屯德面吾支面秣川面石峴面阿山面靈溪面(任實)古達面中方面外山洞面內山洞面所兒面(求禮) 三十三面
雲峰 七 七面
全羅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光州 四十一 四十一面
綾州 十四 十四面
南平 十二 十二面
羅州 三十八 終南面非音面元亭面金磨面(靈岩)望雲面三鄕面(務安)大化面獐本面烏山面艅艎面赤梁面(咸平) 二十七面
靈巖 十八 玉泉面松旨始面松旨終面北平始面北平終面(海南) 羅州斗入地終南面非音面元亭面金磨面珎島飛入地命山面 十八面
務安 十四 咸平飛入地多慶面海際面羅州飛入地三鄕面望雲面靈光飛入地望雲面珎下山面多慶浦 二十面
咸平 十四 多慶面海際面(務安) 羅州斗入地大化面獐本面烏山面艅艎面赤梁面 十六面
潭陽 十六 十六面
昌平 十 甲鄕面(長城) 九面
長城 十五 昌平斗入地甲鄕面 十六面
靈光 二十八 望雲面珎下山面多慶浦(務安) 二十六面
同福 七 七面
和順 三 三面
寶城 十四 十四面
樂安 七 七面
順天 十四 十四面
麗水 四 四面
谷城 八 八面
玉果 六 六面
求禮 八 南原斗入地古達面中方面外山洞面內山洞面所兒面 十三面
光陽 十二 十二面
康津 十八 十八面
長興 二十 二十面
興陽 十三 十三面
海南 十七 珍島飛入地三寸面靈岩飛入地玉泉面松旨始面松旨終面北平始面北平終面
珍島 十三 三寸面(海南)命山面(靈岩) 十一面
智島 十一 十一面
莞島 二十二 二十二面
突山 八 八面
濟州 五 五面
大靜 三 三面
旌義 四 四面
慶尙北道
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大邱 三十四 角北面角縣內面角初洞面角二洞面(淸道) 三十面
聞慶 十二 尙州斗入地永順面山東面山西面山北面山南面醴泉斗入地化莊面冬老所面 十九面
咸昌 六 六面
禮泉 二十二 化莊面冬老所面(聞慶)縣內面縣南面縣東面縣西面(比安) 十七面
龍宮 十 十面
豐基 八 順興飛入地龍山面昌樂面 十面
順興 十三 龍山面昌樂面(豐基)臥丹面(奉化) 十面
榮川 十四 林只面(奉化) 十三面
奉化 八 安東飛入地才山面小川面春陽面奈城面榮川飛入地林只面順興飛入地臥丹面 十四面
禮安 七 七面
比安 九 尙州斗入地丹東面丹西面丹南面丹北面義城飛入地羽谷面醴川飛入地縣內面縣南面縣東面縣西面 十八面
軍威 八 八面
英陽 八 寧海斗入地石保面 九面
眞寶 六 六面
寧海 七 石保面(英陽) 六面
盈德 六 六面
靑松 九 九面
義城 二十 羽谷面(比安)巢野川面(義興) 十八面
義興 十二 義城斗入地巢野川面 十三面
新寧 八 八面
興海 八 慶州斗入地杞溪面神光面北安面 十一面
淸河 六 慶州斗入地竹長面永川飛入地立岩烽臺 七面
永川 二十二 慶州飛入地倉山里楮峴里柳等里大量里新寧飛入地梨旨面 二十三面
慈仁 九 九面
河陽 七 七面
慶山 五 五面
慶州 十八 杞溪面神光面北安面(興海)竹長面(淸河)倉山里楮峴里大昌里柳等里(永川)北道面南道面(長鬐)外南面(蔚山) 十一面
淸道 十四 大邱斗入地角北面角縣內面角初洞面角二洞面密陽飛入地古旀面 十九面
仁同 九 九面
漆谷 十一 十一面
善山 十八 十八面
開寧 八 金山飛入地延命面 九面
金山 十六 延命面(開寧)黃金所面(黃磵) 黃磵斗入地南面 十五面
知禮 九 星州斗入地甑山面 十面
尙州 三十一 永順面山東面山西面山北面山南面(聞慶)丹東面丹西面丹南面丹北面(比安) 二十二面
星州 四十 仁谷面雲羅面黑水面道長面蘇野面加縣面德谷面老多面茶山面(高靈)蘆長谷面(玄風)甑山面(知禮) 二十九面
安東 二十五 甘泉面(醴泉)才山面小川面春陽面奈城面(奉化) 二十面
高靈 十三 星州斗入地仁谷面雲羅面黑水面道長面蘇野面加縣面德谷面老多面茶山面玄風飛入地津村面踏谷面旺旨面 二十五面
玄風 十七 津村面踏谷面旺旨面(高靈) 星州飛入地蘆長谷面 十五面
長鬐 四 慶州斗入地北道面南道面 六面
延日 八 八面
慶尙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晉州 七十五 巴只山面柏谷面金萬面沙月面三壯面矢川面(山淸)北平面宗化面加西面雲谷面靑岩面大也面正水面(河東)文善面南陽面永縣面永耳谷面吾邑谷面介川面(固城)良田面(鎭海)上奉面下奉面上寺面(咸安)赤良面昌善面(南海)三千浦(泗川) 五十面
宜寧 二十六 二十六面
草溪 十一 十一面
陜川 二十 二十面
三嘉 二十 二十面
居昌 二十二 二十二面
安義 十二 十二面
咸陽 十七 十七面
昌寧 十六 十六面
靈山 八 八面
山淸 十五 晋州斗入地巴只山面柏谷面金萬面沙月面三壯面矢川面 二十一面
丹城 八 八
河東 十二 晋州斗入地北平面宗化面加西面雲谷面靑岩面大也面正水面 十九面
昆陽 十 十面
固城 十七 晋州斗入地文善面南陽面永縣面永耳谷面吾邑谷面介川面 二十三
鎭南 十三 十三面
泗川 十 晋州斗入地三千浦 十面
咸安 十八 晋州斗入地上奉面下奉面上寺面 二十一面
鎭海 三 晋州斗入地良田面 四面
漆原 五 龜山面(昌原) 四面
昌原 六 漆原飛入地龜山面金海飛入地大山面 八面
金海 二十 大山面(昌原) 梁山飛入地大上面大下面 二十一面
熊川 八 八面
巨濟 十 十面
南海 七 晋州飛入地赤梁面昌善面 九面
密陽 十二 古旀面(淸道) 十一面
蔚山 十九 外南面熊上面(梁山) 慶州斗入地外南面 十八面
彦陽 六 六面
梁山 十 左面(東萊)大上面大下面(金海) 蔚山斗入地外南面熊上面 九面
機張 八 八面
東萊 十三 梁山斗入地左面 十四面
鬱島 九 九洞
黃海道
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海州 三十五 交井面茄川面馬山面(甕津) 三十二面
安岳 十八 十八面
瑞興 十六 十六面
載寧 二十二 二十二面
長淵 十八 十八面
谷山 十二 十二面
鳳山 二十一 二十一面
黃州 十八 十八面
延安 二十二 石串面芝村面(白川) 平山斗入地弓位面方洞面道隆面介日面 二十四面
白川 十六 延安斗入地石串面芝村面 十八面
平山 二十三 弓位面方洞面道隆面介日面(延安) 十九面
金川 十五 十五面
兎山 九 九面
遂安 十四 十四面
新溪 十三 十三面
信川 十五 十五面
文化 九 九面
殷栗 七 七面
長連 五 五面
松禾 十四 十四面
豐川 九 九面
甕津 五 海州斗入地交井面茄川面馬山面 八面
康翎 六 六面
江原道
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春川 十九 麒麟面(麟蹄) 十八面
洪川 九 九面
原州 二十 左邊面右邊面水周面(寧越)古毛谷面(橫城)康川面池內面(驪州) 十六面
橫城 八 原州斗入地古毛谷面 九面
楊口 八 淮陽斗入地水入面 九面
華川 六 六面
麟蹄 五 春川飛入地麒麟面江陵斗入地內面 七面
平昌 五 東西(㫌善) 江陵斗入地大和面珎富面蓬坪面 七面
寧越 七 原州斗入地左邊面右邊面水周面 十面
㫌善 十 江陵斗入地臨溪面道岩面平昌斗入地東面 十三面
三陟 十二 十二面
江陵 二十一 珎富面大和面蓬坪面(平昌)臨溪面道岩面(㫌善)內面(麟蹄) 十五
襄陽 十二 十二面
杆城 十 十面
高城 七 七面
通川 七 七面
歙谷 六 六面
蔚珎 七 七面
平海 八 八面
淮陽 十 水入面(楊口) 九面
金城 八 八面
金化 七 七面
平康 八 八面
鐵原 九 官仁面(漣川) 八面
伊川 十一 十一面
安峽 三 三面
平安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平壤 二十五 芿次串面草里面(江西)斑石面草谷面松石面星台面(甑山) 十九面
中和 十五 十五面
祥原 八 八面
江東 八 八面
三登 四 四面
江西 十一 平壤斗入地芿次串面草里面 十三面
龍岡 十四 十四面
三和 十四 十四面
甑山 五 平壤斗入地斑石面草谷面松石面星台面 九面
咸從 十二 十二面
永柔 十五 十五面
順安 十一 十一面
肅川 十七 十七面
安州 十三 十三面
順川 十九面 廣泉面玉井面仁化面鶴泉面雷封面(孟山)龍島面蚕上面蚕下面(德川) 十一面
殷山 十四 十四面
慈山 十 十面
成川 二十六 二十六面
陽德 十 十面
孟山 八 順川斗入地廣泉面玉井面仁化面鶴泉面雷封面 十三面
价川 八 八面
德川 十 順川斗入地龍島面蚕上面蚕下面 十三面
寧遠 十四 十四面
平安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寧邊 十五 十五面
博川 五 五面
泰川 八 八面
嘉山 六 六面
龜城 十三 䀋里面(定州) 十二面
定州 十八 雲山飛入地海面龜城飛入地䀋里面 二十面
宣川 十 十面
郭山 十 十面
龍川 十二 義州飛入地彌羅山面斗入地楊下面楊上面楊西面光化面 十七面
鐵山 八 八面
義州 二十二 彌羅山面楊下面楊上面楊西面光化面(龍川) 十七面
朔州 十二 十二面
昌城 九 九面
碧潼 二十一 二十一面
楚山 二十 二十面
渭原 十五 十五面
江界 二十 二十面
慈城 十 十面
厚昌 七 七面
熙川 八 八面
雲山 八 海面(定州) 七面
咸鏡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咸興 五十六 上宣德社下宣德社(定平)東甫靑社西甫靑社東退潮社西退潮社上元川社下元川社(洪原) 四十八面
安邊 十二 十二面
文川 六 六面
德源 五 五面
高原 六 六面
永興 十三 十三面
定平 十三 咸興斗入地上宣德社下宣德社 十五面
洪原 十六 咸興斗入地東甫靑社西甫靑社東退潮社西退潮社上元川社下元川社 二十四面
北靑 三十五 三十五面
端川 九 利下社半面(城津) 八面
利原 三 三面
甲山 十八 十八面
三水 十七 十七面
長津 十一 十一面
咸鏡北道
府郡名 原面 移去面 來屬面 現面
鏡城 六 六面
城津 六 端川利下社半面吉州二社半 六面
吉州 十一 二社半(城津) 九面
明川 七 七面
富寧 十 茂山飛入地海面 十一面
茂山 十八 海面(富寧) 十七面
會寧 十五 十五面
鍾城 十三 十三面
穩城 十四 德明社德川社(慶源)海面(慶興) 慶源斗入地訓戎社 十二面
慶源 十四 訓戎社(穩城)海面(慶興) 穩城飛入地德明社德川社 十四面
慶興 八 慶源飛入地海面穩城飛入地海面 十面
正誤
光武十年 勅令第四十九號地方區域整理件別表中忠淸南道德山移去面欄內沔川下에「雪峴牛峴(海美)」六字ᄅᆞᆯ添入ᄒᆞ고洪州移去面欄內雲川面下에(及象王峰下五洞)七字ᄅᆞᆯ添入ᄒᆞ고全羅南道咸平現面欄에(十六面)은(十七面)으로改正ᄒᆞ고慶尙北道永川移去面欄內「立岩烽臺(淸河)」六字ᄅᆞᆯ添入ᄒᆞ고平安南道平壤原面欄內(二十五)은(二十六)으로現面欄內(十九面)은(二十面)으로咸鏡南道洪原現面欄內(二十四面)은(二十二面)으로咸鏡北道城津現面欄內(六面)은(九面)으로並改正付票ᄒᆞᆷ이라
光武十年 勅令第四十九號地方區域整理件別表中全羅北道益山來屬面欄內(北二)은(西一)의誤요(紆西)에(西)字ᄂᆞᆫ(北)字에誤요高阜移去面欄內(茂長)은(興德)의誤요茂長來屬面欄內(高阜飛入地富安面)八字ᄂᆞᆫ删去ᄒᆞ고現面欄內(十七面)은(十六面)의誤요興德來屬面欄內(高阜飛入地富安面)八字ᄅᆞᆯ添入ᄒᆞ고現面欄內(九面)은(十面)의誤라
융희 2년(1908년) 칙령 제30호 〈관찰도 위치 개정에 관한 건〉으로 충청북도 관찰부가 충주에서 청주로, 평안북도 관찰부가 영변에서 의주로 이전하였다.
동년 칙령 제69호 〈군을 합치는 데 관한 안건〉으로 경기도 양근군과 지평군이 양평군으로, 경상남도 창원부, 진해군(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서면, 진전면인 삼진지역), 웅천군(현 진해구, 성산구 웅남1·2동(행정동) 및 부산 강서구 가덕도동)이 창원부로, 경상남도 함안군과 칠원군이 함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
동년 칙령 제72호 〈전라남도의 군 폐합에 관한 안건〉으로 화순군이 능주군에, 옥과군과 담양군 덕면(德面)·대면(大面)·가면(加面)이 창평군에 편입되었고, 낙안군이 순천군 읍내면(邑內面)·동상면(東上面)·동하면(東下面)·내서면(內西面)·외서면(外西面)·초상면(草上面)·초하면(草下面)-현 낙안면, 외서면-과 보성군 남상면(南上面)·남하면(南下面)·고상면(古上面)·고하면(古下面)-현 벌교읍-으로 분할 편입되었다.
동년 칙령 제83호 〈평안남도 군의 폐합에 관한 안건〉으로 삼등군(三登郡)이 강동군에, 자산군(, 1974년에 일부가 평성시로 분리)과 은산군(殷山郡, 북한 재설치)이 순천군(順川郡)에, 함종군 대부분과 순안군 진방면을 증산군에 편입하고 함종군 잔여 지역을 강서군 오산면과 용강군 월곶면·당점면·삼존면으로 편입하였다.
이는 1 일제가 독자적인 고을 2개 이상을 통합한 사례로 최초다.
융희 3년(1909년) 칙령 제2호 〈황해도 군을 합치는 데 관한 안건〉으로 황해도에서 여러 군현들이 통폐합되었다. 황해도는 이때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보다 여파가 더 컸다.
개편 전 | 개편 후 | 비고 | |
옹진군(甕津郡) + 강령군(康翎郡) | 옹진군(甕津郡) | 북한 치하에서 옹진군과 강령군으로 재분리되었다. | |
송화군(松禾郡) + 풍천군(豊川郡) | 송화군 | 북한 치하에서 송화군과 과일군(果實郡; 과실군)으로 재분리되었다. | |
은률군(殷栗郡) + 장련군(長連郡) | 은률군(殷栗郡) | ||
신천군(信川郡) + 문화군(文化郡) | 신천군(信川郡) | 북한 치하에서 신천군과 삼천군(三泉郡)으로 재분리되었다. 문화군이 재설치되지 않았지만, 어쨌든 옛 문화읍내를 포함해 상당 부분이 삼천군으로 들어갔다. |
융희 4년(1910년) 칙령 제7호 〈강원도 흡곡군을 폐지하고 통천군에 합치는 데 관한 안건〉으로 흡곡군이 통천군에 합군되었다.
4. 일제강점기
13도 체계는 일제강점기에도 큰 틀에서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차이점이라면 한자 문화권을 제외하고 한국 한자음 지명 또는 한국 고유어 지명 대신 일본 한자음 지명으로 읽었다는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마치 '홋카이도'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북해도'가 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예를 들어 충청 남/북도(Chungcheong nam/buk do)를 주세이 난/호쿠도(Chusei nan/hoku do)로 읽거나, 경상 남/북도(Kyeongsang nam/buk do)를 게이쇼 난/호쿠도(Keisho nan/hoku do)로 읽거나, 전라 남/북도(Jeolla nam/buk do)를 젠라 난/호쿠도(Zenra nan/hoku do)로 읽는 식이었다.
부군면 통폐합이 단행된 시기기도 하다.
4.1. 광복 이후
남북 분단 직후 남한에서는 제주도를 분리시킨다. 전통적으로 제주도(島)는 전라도(道)의 일부로 간주되었는데 이후 그런 시각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북한은 황해도를 남북으로 나누는데 황해남도, 황해북도의 위치를 보면 남북으로 나누기보단 동서로 나눈 것에 더 가까우며 자강도와 량강도를 새로 만들었다.지금은 사실상 도와 동일한 광역자치단체인 특별자치도를 포함하면 광역자치단체로서의 '도'는 남한만 해도 9도다. 북한도 9도이므로 남한과 북한의 도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북한이 '도를 늘려 한국과 균형을 맞추고 지역간 통일협상에서 대등한 위치에 서기 위해 량강도와 자강도를 추가로 만들었다'는 설이 유명하다.
물론 그런 이유도 없지 않겠지만 더 큰 이유는 행정구역을 기존보다 더 세분화해서 더 쉽게 통치하기 위한 것. 황해남/북도나 자강도, 량강도, 평양시(직할시)[3] 등 '북한 당국이 멋대로 만든' 행정구역을 인정하지 않는 대한민국 정부와 달리 북한은 특별자치도나 광역시 등 '남조선 당국이 멋대로 만든' 행정구역을 인정한다. 다만 면을 비효율적이라며 전부 리로 통폐합하여 면을 사용하지 않기에 군 하위행정구역은 리로 표기한다.
2020년 현재 현존하는 13도 중 1896년 당시의 경계를 유지하고 있는 도는 단 한 군데도 없다.[4]
- 경기도 - 경성부가 서울특별자유시로 분리 승격, 휴전선 이북 지역 북한 점령. 황해도 옹진군 도서부 편입,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 편입,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분리 승격, 강화군 및 옹진군 인천광역시 이관.
- 강원도 - 휴전선 이북 지역 북한 점령, 울진군 전역 경상북도로 이관, 철원군 신서면 경기도 연천군으로 이관.
- 충청북도 - 청원군 부강면 세종특별자치시로 이관.
- 충청남도 - 전라북도 여산군 채운면 논산군 편입, 보령군 어청도 등 전라북도 옥구군으로 이관, 전라북도 금산군 전역 편입,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 논산군 편입,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분리 승격, 대덕군 대전직할시와 통폐합, 연기군 전역 및 공주시 장기면 세종특별자치시로 분리.
- 전라북도 - 전라남도 고창군, 무장군, 흥덕군 편입, 구례군[5] 전라남도로 이관, 여산군 채운면 충청남도 논산군으로 이관, 충청남도 보령군 어청도 등 옥구군 편입, 금산군 전역 충청남도로 이관, 익산군 황화면 충청남도 논산군으로 이관, 전라남도 영광군 위도면 부안군 편입.
- 전라남도 - 전라북도 구례군 편입, 고창군, 무장군, 흥덕군 전라북도로 이관, 제주도(島)가 제주도(道)로 분리 승격, 영광군 위도면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이관,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분리 승격, 송정시, 광산군 광주직할시와 통폐합.
- 경상북도 - 강원도 울진군 편입,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분리 승격, 달성군 대구광역시로 이관, 군위군 대구광역시로 이관.
- 경상남도 -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분리 승격, 기장군 양산군에서 분리 후 부산광역시 편입,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분리 승격.
- 황해도 -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
- 평안북도 - 동부 지역 자강도로 분리.
- 평안남도 - 평양시 분리 승격, 남포시 분리 승격.
- 함경북도 - 내륙부 량강도로 분리, 라선시 분리 승격.
- 함경남도 - 북부 량강도로 분리, 원산부 및 영흥군, 고원군, 안변군, 문천군 등 강원도[6]로 이관.
[1] 1906년에 금왕, 대소, 감곡 등 차령 산맥 이서의 충주군 땅을 받았고, 1914년에 충주군에서 소이면을 또 받았다. 그 전까지 음성읍과 원남면에 해당하는 지역이 음성의 전부였다.[2] 1906년에 대화, 봉평, 진부 등 대관령 이서의 강릉군 땅을 받았으며, 같은 시기에 동면을 정선군으로 넘겨서 정선군 신동면이 되었다. 도암면은 1906년에 정선에 편입된 뒤 1931년에 평창으로 편입되었다. 즉 현 평창군 중에서 1906년 이전에도 평창이었던 곳은 평창읍, 미탄면밖에 없다.[3] 엄밀히는 직할시의 지위로서 평안남도에서 분리만 되었지 실제 공식 명칭은 '평양직할시'가 아니라 그냥 '평양시'지만 도에서 분리된 직할시임을 명시하고자 편의상 평양직할시로 기술. 대한민국 정부는 직할시로서의 평양시는 부정하고 평안남도 관할의 일반시로서만 간주한다.[4] 사실 측량, 지적조사 등으로 인한 미세한 경계 조정은 자주 있다.[5] 현재 곡성군 관할인 고달면 포함.[6] 휴전선 이북 강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