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3:48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000 60%, #e63a1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 탈냉전
주요 사건
2008~ 2019 남오세티야 전쟁 · 대침체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화웨이 규제명령) · 아르테미스 계획 · 중국발 펜타닐 미국 유포 ·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 ~ 현재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 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국내 사례)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 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 서방권의 로비투 회랑 건설 수주 · 한국-쿠바 수교 · 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국군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2024년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국제 기구
· ·
제1세계 EU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 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 BRICS
군사 대결 구도
NATO vs 러시아군 · Quad vs 중국군 · 한국군 vs 북한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예멘군 vs 후티 반군 · 이스라엘군 vs 팔레스타인 무장조직 · 세르비아군 vs 코소보 보안군 · 조지아군 vs 압하지야군 & 남오세티야군 · 몰도바군 vs 트란스니스트리아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미관계 관련 문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라타샤 할린스 살해사건 · LA 폭동 · 로버트 김 간첩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 여성시대 남성 성착취물 공유 사건 · 미국 정부의 수미 테리 기소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한미연합사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 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쿠로후네 사건 · 미일화친조약 · 미일수호통상조약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태평양 전쟁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미국의 류큐 통치
사건사고 시모노세키 전쟁 · 파나이 호 사건 · 일본 제국정부 대미통첩각서 · 일본 미군기지 폭발사고 · 미야모리 소학교 미군기 추락사고· 요코하마 미군기 추락사고
외교 미일관계 · 미일관계/2020년대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일 반도체 협정 · 플라자 합의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G7 · Quad · IPEF · 2021년 미일정상회담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 주일미국대사관
기타 미군 vs 자위대 · 한미일관계 · 미중일관계 · 미영일관계 · 미국-오키나와 관계 · Quad }}}}}}}}}
【언어별 명칭】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Quad 참가국 공용어
영어Free and Open Indo-Pacific
일본어[ruby(自由, ruby=じゆう)]で[ruby(開, ruby=ひ)]らかれたインド[ruby(太平洋, ruby=たいへいよう)]
힌디어फ्री एंड ओपन इंडो-पैसिफिक
}}}||
1. 개요2. 양상3. 대한민국과 인도-태평양 전략4. 관련 협력체

[clearfix]

1. 개요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ree and Open Indo-Pacific, FOIP)은 중국이 추진하는 패권주의 외교정책 '일대일로(一带一路)'에 대응하여, 미국을 위시로 일본, 호주, 인도인도양태평양의 연안국들이 수립한 정책이다. 이 구상으로 인해 인도-태평양이라는 두 대양의 연속적 인식이 널리 보급되었다.

2. 양상

파일:freeandopenindopacific.png

중국의 부상 이후 '인도-태평양'의 지정학적 연속성과 정치적 중요성을 먼저 역설한 것은 해양국가인 일본으로, 2007년 아베 신조 총리의 인도 의회 연설에서 그 골자가 처음으로 드러났다. 그는 총리로 재임한 2016년 8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개발회의에서 처음으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주장했으며, 이에 찬성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범아시아 외교 전략을 수립하였다. 5개의 눈 멤버인 오스트레일리아는 물론 인도의 람 나트 코빈드(राम नाथ कोविन्द) 대통령 역시 카슈미르를 두고 중국-인도 국경분쟁이 노골화되자 이 구상에 참여했다.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은 태평양과 인도양을 통해 아프리카남아시아동남아시아동아시아 국가들의 결속(connectivity)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4개국 안보회담(Quad)이 결성되었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것을 확대시켜 아시아판 NATO인 군사동맹 성격의 인도 태평양 조약기구를 발족하는 방안까지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2010년대 이후 많은 양의 차이나 머니가 투자돼서 중국의 영향력이 막강해졌는데, 서방세계는 이러한 상황을 크게 경계했다. 일본 외무성은 대아프리카 지원 계획을 발표하면서 "일본은 정치와 행정뿐만 아니라 경제 개발 분야에서 총체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며, 아프리카 국가의 자결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내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개입하지 않을 것이다." 고 천명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 및 각료 내정자들은 '안전하고 번영하는 인도-태평양(Secure and prosperous Indo-Pacific)'이라는 표현을 대신 사용한 바 있다.#1 #2 단, 취임 이후에는 중국을 견제하는 노선을 충실히 따라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이라는 어휘를 사용하며#, 외교 정책에도 큰 수정을 가하지 않고 오히려 중국에 대한 포위를 강화하는 등 서방 중심의 안보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이미 2018년 인도-태평양 전략에 따라서 기존의 태평양사령부를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개칭했다.

3. 대한민국과 인도-태평양 전략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017년 11월의 아시아 순방 일환으로 방한했을 당시 인도양-태평양 지역에서의 한미동맹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동참할지를 놓고 갑론을박이 있으나 외교부 노규덕 대변인은 미국의 전략이 한국의 정책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2018년 8월에는 한국 외교부의 북미국장, 미 국무성의 차관보가 회동하여 처음으로 한미 양국이 인도-태평양 구상에 대해 당국간 논의를 가졌다.

미국은 한국이 지정학적으로 중국과 가장 가까운 나라이면서 전통적인 미국의 동맹으로서 인도-태평양 구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요청하고 있다. 2020년 들어서 미국이 G7 가맹국 확장에 관련하여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인도, 호주, 한국을 가맹국으로 초청한 것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이들 세 나라는 일본과 함께 미국의 대중 견제의 핵심국가이며, 트럼프가 약간의 논란거리는 있으나 호의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국가들이다. 트럼프는 G7을 확대한 G11에 한국이 가입하여 적극적으로 경제, 군사, 지리, 정치적으로 대중 견제에 나서주기를 바란다.

조 바이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미국측에서도 한국에게 인도-태평양의 참가에 한국의 동참을 요구할 전망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싱크탱크는 한국을 자국이 추진하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비전의 잠재적인 보호벽으로 평가하는 대중국 견제 방점 보고서를 내놨다.# 한국 입장에서도 중국 패권주의의 위협에 정면으로 노출된 이상[1] 미국의 제의가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한중관계가 아직까지는 어느 정도 관리 가능한 이상 굳이 먼저 적대시하여 경제 보복 등의 위험부담을 자초할 필요는 없다는 신중론도 있다. 미국 안보전문가들 역시 한국 입장에서 당장은 참여보다 관망이 유리하다고 인정하면서도, 중국의 영향력 팽창이 심화하면 결과적으로 인도-태평양 블록에 참여할 수밖에 없으리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그래서 미국 정부도 굳이 한국의 동참을 강하게 압박하기보다는 문만 열어 두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2022년 5월 21일 윤석열 정부가 2022년 내에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한다고 하면서 신남방정책의 폐기수순에 들어갔다.# 2024년 5월 한국은 호주와 함께 인태 전략 실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한국의 AUKUS 필러 2 참여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1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관련 협력체

4.1. Qua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Qua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CHIP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HIP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AUKU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UKU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IPE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PEF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현실주의든 자유주의든 국제관계학의 관점에서 중국은 큰 위협이다.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중국은 패권추구자(hegemon)로 분류되는데, 모든 제국은 패권에 도전하기 전에 반드시 주변부를 복속시키려 한다. 그리고 태평양 저 너머에 위치한 미국과는 달리 중국은 한반도에서 가깝다.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중국은 국가주의적이고 일당독재가 이루어지는 비민주국가로, 호전적인 대외정책을 견제할 수 있는 내부의 목소리가 억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