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2 07:57:54

희강왕

김제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개원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김능유 · 김의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양자
신덕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43대 국왕
희강왕 | 僖康王
파일:희강왕릉.jpg
희강왕릉 전경.
출생
(음력)
8세기 말~9세기 초[1]
신라 금성
사망
(음력)
838년 1월(향년 30대~40대)
신라 금성
능묘 희강왕릉(僖慷王陵)
재위기간
(음력)
신라 제43대 국왕
836년 12월 ~ 838년 1월 (1년 1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제륭(悌隆) / 제옹(悌顒) / 개륭(愷隆)[2] / 제옹(悌邕)[3] / 제릉(悌淩)(?)[4]
부모 부왕 익성왕 김헌정[5]
모후 포도부인 박씨[6]
형제자매 김계종, 김훈영[7]
왕후 문목부인[8]
왕자 김계명[9]
종교 불교
시호 희강대왕(僖康大王)
골품 진골(真骨) }}}}}}}}}

1. 개요2. 생애3. 《삼국사기》 기록4. 대중매체에서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43대 군주.

제38대 열조 원성왕의 3남 김예영의 장남인 이찬 김헌정(憲貞)의 아들이다.

2. 생애

809년 당시 김언승, 김수종과 함께 애장왕의 시해에 동참했고[10] 822년 김헌창의 대란이 일어났을 때 정부군으로 참여한 기록이 있는데 그의 사촌인 김우징의 기록에 비하면 매우 소략하다. 그에 비해 그의 아버지인 김헌정에 대한 기록들이 여기저기에 남아 있는데, 김헌정은 777년생인 흥덕왕(제42대)의 사촌동생, 정확히는 열조 원성왕(제38대)의 3남 김예영의 장남이므로 이보다 후에 태어났고, 807년 애장왕(제40대) 치세에 시중 자리를 받았다. 810년 헌덕왕(제41대) 즉위 이후에도 시중 자리를 유지한 것으로 나오고, 813년 국상, 병부령 겸 수성부령을 역임한 것으로 나오는데, 당시 신라 조정 내에서 가장 높은 직책에 있었다해도 과언이 아닌 것으로 보이므로 열조 원성왕왕실의 일원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추정해본다면 김헌정은 당시 왕위계승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혜충태자 김인겸[11]의 배려로 중요 직책에 오를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 배려는 이후 김헌정의 아들인 김제륭 즉 희강왕이 혜충태자 김인겸의 양자로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되고, 김헌정의 동생인 김균정이 812년 시중에 오르게 되면서 절정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김균정은 태종 무열왕 방계 후손인 김헌창에 대한 배려로 인해 시중 자리에서 물러나기는 하지만 여전히 높은 위치에 있었고, 835년 김인겸의 4남인 김충공의 후임으로 상대등에 오르기도 한다.

김헌정은 820년(헌덕왕 11년) 병으로 다닐 수 없게 되자 70세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왕으로부터 금장식의 자색 지팡이를 하사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지팡이는 70세를 넘은 관료가 은퇴할 때 하사받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43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업무 수행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큰 병에 걸려, 이후 사서에서 등장하지 않는 것은 물론 김헌창의 대란과 왕위 쟁탈전에서도 언급이 없기 때문에 머지않아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신라의 상황은 좀 다이나믹했다. 10년간 개판이 된 신라를 안정시킨 열조 원성왕의 장남 김인겸계의 흥덕왕이 자식을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는 바람에 원성왕계의 남은 자손인 원성왕 3남 김예영의 자손들이 두 파로 갈리게 되었다. 바로 숙부와 조카 관계인 김균정계와 김제륭계인데 김제륭의 경우, 김인겸의 양자로 들어간 것으로 추정되기에 흥덕왕의 동생이 되어서 숙부인 김균정보다도 훨씬 더 높은 항렬에 위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김균정이 비록 상대등에 올랐다하더라도 왕위 계승에 있어서는 본인이 우위에 있다고 충분히 주장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김제륭은 당시 시중이었던 흥덕왕의 아우 김충공의 아들이자 자신의 왕비였던 문목부인과 남매 관계였던 김명, 아찬 이홍 등의 도움을 받아 적판궁에서 전투를 벌여 김균정 일파를 제압하고 왕위에 올랐다. 유력한 왕위 계승권자였던 김균정은 이 과정에서 살해당했고, 김균정의 아들인 김우징은 청해진으로 도망쳐 장보고에 의탁하며 훗날을 기약했다.

이후 희강왕은 왕위에 오를 때 자신을 지원해 준 김명을 상대등, 이홍을 시중에 임명했으나 837년 김명이 이홍과 갑자기 함께 반란을 일으켰고, 이후 희강왕의 행적은 위협을 느껴서 스스로 목을 매 자살했다는 설도 있고, 김명에 의해 시해당했다는 설도 있다.[12] 이후 김명이 즉위하여 제44대 민애왕이 되었다.

흥덕왕 시기의 짧은 안정이 끝나고, 제43대 희강왕 김제륭부터 시작하여 제45대 신무왕 김우징까지 신라 왕실의 피비린내나는 왕권 다툼이 다시 불붙기 시작했다. 김부식도 왕위 계승 싸움을 한탄하며 신무왕 즉위조에 논평을 적었다.

희강왕의 아들로는 김계명, 손자로는 김응렴(훗날 제48대 경문왕이 됨)이 있었다. 김응렴은 제47대 헌안왕의 사위가 되었고, 왕이 되는데 바로 경문왕이다. 할아버지가 잃은 왕위를 손자대에 와서 되찾은 셈인데, 실제로 경문왕은 왕실의 분란을 수습하기 위해 화합 조치에 노력했다. 아마도 김계명의 경우, 희강왕이 김명에게 살해당할 때 피신하여 한때 원수였던 김우징쪽 세력으로 붙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3.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一年冬十二月 희강왕의 즉위와 즉위 과정
二年春一月 참수형 이하의 죄수를 사면하다
二年春一月 아버지를 추봉하고 어머니를 태후로 삼다
二年春一月 김명을 상대등으로 삼고, 이홍을 시중으로 삼다
二年夏四月 당 문종이 김의종을 돌려보내다
二年夏四月 우징이 균정의 일로 원망의 말을 하다
二年夏五月 우징이 청해진 대사 궁복에게 의탁하다
二年夏六月 예징과 양순이 우징에게 의탁하다
二年夏六月 당 문종이 김충신 등에게 비단을 하사하다
三年春一月 김명과 이홍 등이 난을 일으켜 왕이 자살하다

4. 대중매체에서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장인·사위 관계 / 가로선(─): 형제자매 관계 / 적색 두 줄 선(=): 혼인 관계 }}} }}}}}}}}}}}}



[1] 정확한 생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제44대 민애왕 김명과 같은 항렬이라 비슷한 연배로 추정할 수도 있으나 같은 항렬인 제40대 애장왕 김청명과 민애왕의 나이 차이가 30년인 것을 생각해보면 항렬만으로는 나이대를 알 수 없다. 다만 애장왕 시해, 김헌창의 난 등의 행적을 보면 민애왕보다는 애장왕에 가까운 나이일 것으로 여겨진다. 아버지 김헌정이 778년 이후 출생이니 빨라도 8세기 말 출생이다.[2]삼국유사》 <왕력편>. '제륭'의 다른 발음으로 추정된다. '제옹'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둘 다 적혀 있다.[3]삼국사기》 <애장왕 본기>에서 등장. 형인 헌덕왕 김언승이 일으킨 반란에 참여한 또 다른 동생 김제옹이 등장한다. 그 이름이 흥덕왕 김수종의 초명이라는 설도 존재하지만 희강왕의 다른 이름 중 하나가 '제옹'(悌顒)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4]삼국사기》 <헌덕왕 본기>에서 등장. 다만 최초 등장과 달리 관등이 이찬에서 한 단계 내려가 파진찬이 되어 다소 불명확하다.[5] 제38대 열조 원성왕의 손자. 김헌창(金憲昌) 또는 김헌장노(金憲章奴)라고도 한다.[6] 순성태후로 추봉됨[7] 이 둘은 모두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에 따르면 제46대 문성왕의 당숙이다. 김예영에게 김헌정과 김균정 이외의 아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 않고, 김제옹(悌)과 김계종(繼)이 제39대 소성왕 김준옹(俊) 및 제42대 흥덕왕 김수종(秀)과 항렬자를 공유하는 점으로 인해 이들은 희강왕의 동생들로 보인다. <숭복사 비문>에 따르면 왕통이 바뀐 제48대 경문왕 시대에도 으뜸 신하(宗臣)로 주요 권신 자리를 유지하고, 제49대 헌강왕의 왕명을 받들었던 행적이 각각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에 나온다. 《삼국사기》에 기록이 없는 것을 보면 신라 하대의 왕위 쟁탈전에서 중립적인 스탠스를 유지했고, 이러한 이유로 하대 왕실의 최고참 원로 대접을 받은 듯하다.[8] 김충공의 딸로 선왕인 흥덕왕의 조카다.[9] 제48대 경문왕의 아버지. 의공대왕(懿恭大王)으로 추존됨[10] 다만 이 기록은 김제륭의 예상 나이를 생각한다면 말이 안 되는 기록이라 애장왕 대 시중에 있었던 그의 아버지 김헌정을 대신해서 이름을 올려놓은 것이 아닐까 추정해볼 수 있다.[11] 당시 왕위를 쥐고 있었다. 39대 소성왕-40대 애장왕-41대 헌덕왕-42대 흥덕왕[12] 희강왕에게 후손이 없지는 않아서 희강왕의 시호에 '애'(哀)가 포함되지는 않았다.[13] 1998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유성원 역,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전의 이씨의 시조 이치(이도) 역, 2001년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김윤식 역.[14] 원래 서신의 내용은 나오지 않았고 김양은 김우징을 왕으로 세워 자신의 야망을 이루고자 서신의 내용을 왕 본인의 신변을 부탁하는 내용으로 바꿔버렸다.[15] 조선 건국 초기에도 내명부의 내관 중 하나의 명칭으로 쓰였다.[16] 신덕왕의 아버지 또는 양아버지이며, 효공왕의 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