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독재자들 중에는 어지간한 왕보다도 오랫동안 국가를 지배한 사람들이 많다. 독재 문서 참조. 물론 폴 포트나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처럼 짧고 굵은 독재자들도 있지만, 독재자들에게는 장기집권이 일반적인 현상이다.2. 등재기준
예시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둔다.- 1900년 이후에 집권한 지도자를 추가할 것. 독재자의 정의에는 올리버 크롬웰, 최충헌 등 1900년 이전에도 포함되는 인물이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 군주가 아닌 사람들을 추가할 것.
- 독재자인지의 여부에 관해 논란이 있는 샤를 드 골, 후안 페론, 우르호 케코넨 등은 제외한다.
- 10년 이상을 기본으로 하되 프랑수아 미테랑[1]이나, 앙겔라 메르켈[2], 마가렛 대처, 헬무트 콜, 타게 엘란데르,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피에르 트뤼도, 예란 페르손[3], 프랭클린 D. 루스벨트[4], 베냐민 네타냐후[5], 세레체 카마[6], 퀘트 마시레[7], 랄프 곤살베스, 투일라에파 말리엘레가오이 등과 같이 합법적으로 집권하였으며[8], 헌법으로 보장된 권력분립에 의해 의회나 사법부 및 기타 기관의 견제를 받아 온 지도자는 추가하지 않는다.
- 초소형국민체 등을 제외한 정식 국가의 독재자를 추가할 것.
- 재임 기간이 긴 순서대로 서술되어 있다.
- 특정 직위의 임기가 아닌 사실상 독재자로 군림한 시기를 서술한다. 즉 명목상 나라를 통치하는 직위가 아니어도 사실상 최고권력을 가진 독재자로 군림했던 시기를 포함한다.
- 독재자/목록에서 가져온 등재 기준으로 다음의 경우는 제외한다.
독재자와 장기집권 지도자와는 구별이 필요하며 민주적/합법적 절차[9]에 따른 장기집권은 등재하지 말 것. |
군주제 국가의 군주는 폭군 문서에 등재할 것. 집권기간은 재위기간이 긴 군주 문서에 등재. |
3. 집권이 종료된 독재자
3.1. 50년 이상
50년 이상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소속 정당 |
피델 카스트로 | 쿠바 | 90세 | 1926.08.13. | 2016.11.25. | 52년 61일 | 1959.02.16.[10] | 2011.04.19.[11] | 사임 | 7월 26일 운동 (1955년 ~ 1965년) [[쿠바 공산당|]] (1965년 ~ 2016년) |
3.2. 45 ~ 49년
width=920&height=1]] | 45 ~ 49년 | |||||||||
김일성 | 북한 | 82세 | 1912.04.15. | 1994.07.08. | 45년 302일[12] | 1948.09.09. | 1994.07.08. | 사망 |
3.3. 40 ~ 44년
width=920&height=1]] | 40 ~ 44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소속 정당 |
무아마르 카다피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69세 | 1942.06.07. | 2011.10.20. | 41년 356일 | 1969.09.01. | 2011.08.23. | 내전 후 피살[13]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오마르 봉고 | 가봉 | 73세 | 1935.12.30. | 2009.06.08. | 41년 199일 | 1967.12.02. | 2009.06.08. | 사망 | [[가봉 민주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800; font-size: .8em" |
엔베르 호자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 76세 | 1908.10.16. | 1985.04.11. | 40년 171일 | 1944.10.22. | 1985.04.11. | 사망 |
3.4. 35 ~ 39년
width=920&height=1]] | 35 ~ 39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소속 정당 |
39년 이상 ~ 40년 미만 | |||||||||
모하메드 압델아지즈[14][15]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69세 | 1946.08.17. | 2016.05.31. | 39년 276일 | 1976.08.30. | 2016.05.31. | 사망 | [[폴리사리오 전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B8A59; font-size: .8em" |
프란시스코 프랑코 | 스페인국 | 82세 | 1892.12.04. | 1975.11.20. | 39년 51일 | 1936.10.01. | 1975.11.20. | 사망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
38년 이상 ~ 39년 미만 | |||||||||
훈 센[16] | 캄보디아 | [age(1952-08-05)]세 | 1952.08.05. | (현재) | 38년 220일[17][18] | 1985.01.14. | 2023.08.22. | 사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1c4fa,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인민당)] |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 앙골라 | 79세 | 1942.08.28. | 2022.07.08. | 38년 10일 | 1979.09.10. | 2017.09.20. | 임기 종료, 은퇴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1C; font-size: .9em" |
37년 이상 ~ 38년 미만 | |||||||||
냐싱베 에야데마 | 토고 | 69세 | 1935.12.26. | 2005.02.05. | 37년 307일 | 1967.04.14. | 2005.02.05. | 사망 | [[토고 인민연합|{{{#!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713F; font-size: .9em" |
로버트 무가베 | 짐바브웨 | 95세 | 1924.02.21. | 2019.09.06. | 37년 213일[19] | 1980.04.18. | 2017.11.21. | 쿠데타 후 하야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em" |
36년 이상 ~ 37년 미만 |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87세 | 1892.05.07. | 1980.05.04. | 36년 157일 | 1943.11.29. | 1980.05.04. | 사망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 포르투갈 제2공화국 | 81세 | 1889.04.28. | 1970.07.27. | 36년 91일 | 1932.07.05. | 1968.09.25. | 의식불명을 틈탄 실각[20] | [[국민대중행동|{{{#!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80; font-size: .9em" |
35년 이상 ~ 36년 미만 | |||||||||
토도르 지프코프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 86세 | 1911.09.07. | 1998.08.05. | 35년 260일 | 1954.03.04. | 1989.11.10. | 시민혁명 → 실각 |
3.5. 30 ~ 34년
width=920&height=1]] | 30 ~ 34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34년 이상 ~ 35년 미만 |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 파라과이 | 93세 | 1912.11.03. | 2006.08.16. | 34년 181일 | 1954.08.15. | 1989.02.03. | 쿠데타 |
33년 이상 ~ 34년 미만 | ||||||||
알리 압둘라 살레[21] | 예멘 | 75세 | 1942.03.21. | 2017.12.04. | 33년 224일 | 1978.07.18. | 2012.02.27. | 시민혁명 |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 코트디부아르 | 88세 | 1905.10.18. | 1993.12.07. | 33년 130일 | 1960.08.07. | 1993.12.07. | 사망 |
32년 이상 ~ 33년 미만 | ||||||||
욤자깅 체뎅발 | 몽골 인민공화국 | 74세 | 1916.09.17. | 1991.04.20. | 32년 219일 | 1952.01.26. | 1984.08.24. | 실각 |
다우다 자와라 | 감비아 | 95세 | 1924.05.16. | 2019.08.27. | 32년 40일 | 1962.06.12. | 1994.07.22. | 쿠데타 |
31년 이상 ~ 32년 미만 | ||||||||
카다르 야노시 | 헝가리 인민공화국 | 77세 | 1912.05.26. | 1989.07.06. | 31년 214일 | 1956.10.25. | 1988.05.27. | 시민혁명 → 실각 |
하비브 부르기바 | 튀니지 제1공화국 | 96세 | 1903.08.03. | 2000.04.06. | 31년 210일 | 1956.04.11. | 1987.11.07. | 궁정 쿠데타 |
모부투 세세 세코 | 자이르 | 66세 | 1930.10.14. | 1997.09.07. | 31년 181일 | 1965.11.24. | 1997.05.16. | 내전 패배 |
리콴유 | 싱가포르 | 91세 | 1923.09.16. | 2015.03.23. | 31년 176일 | 1959.06.05. | 1990.11.28. | 사임[22] |
헤이스팅스 반다[23] | 말라위 | 98세 | 1899.02.15. | 1997.11.25. | 31년 120일 | 1963.02.01. | 1994.05.24. | 선거 |
수하르토 | 인도네시아 | 87세 | 1921.06.08. | 2008.01.27. | 31년 78일 | 1967.03.12. | 1998.05.21. | 시민혁명 |
30년 이상 ~ 31년 미만 | ||||||||
라파엘 트루히요 | 도미니카 공화국 | 69세 | 1891.10.24. | 1961.05.30. | 30년 295일 | 1930.08.16. | 1961.05.30. | 암살 |
이드리스 데비 이트노 | 차드 | 68세 | 1952.06.18. | 2021.04.20. | 30년 138일 | 1990.12.02. | 2021.04.20. | 전사 |
압두 디우프 | 세네갈 | [age(1935-09-07)]세 | 1935.09.07. | (현재) | 30년 35일 | 1970.02.26. | 2000.04.01. | 선거[24] |
마우문 압둘 가윰 | 몰디브 | [age(1937-12-29)]세 | 1937.12.29. | (현재) | 30년 | 1978.11.11. | 2008.11.11. | 선거 |
3.6. 25 ~ 29년
width=920&height=1]] | 25 ~ 29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29년 이상 ~ 30년 미만 | ||||||||
오마르 알 바시르 | 수단 공화국 | [age(1944-01-01)]세 | 1944.01.01. | (현재) | 29년 285일 | 1989.06.30. | 2019.04.11. | 시민혁명 → 쿠데타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트주의 시리아 | 69세 | 1930.10.06. | 2000.06.10. | 29년 209일 | 1970.11.21. | 2000.06.10. | 사망 |
호스니 무바라크 | 이집트 | 91세 | 1928.05.04. | 2020.02.25. | 29년 127일 | 1981.10.14. | 2011.02.11. | 시민혁명 |
이오시프 스탈린[25] | 소련 | 74세 | 1878.12.18. | 1953.03.05. | 29년 43일 | 1924.01.21. | 1953.03.05. | 사망 |
28년 이상 ~ 29년 미만 |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카자흐스탄 | [age(1940-07-06)]세 | 1940.07.06. | (현재) | 28년 330일 | 1990.04.24. | 2019.03.20. | 사임[26] → 시민혁명[27] |
27년 이상 ~ 28년 미만 | ||||||||
블레즈 콩파오레 | 부르키나파소 | [age(1951-02-03)]세 | 1951.02.03. | (현재) | 27년 16일 | 1987.10.15. | 2014.10.31. | 시민혁명 |
케네스 카운다 | 잠비아 | 97세 | 1924.04.28. | 2021.06.17 | 27년 9일 | 1964.10.24. | 1991.11.02. | 선거 |
26년 이상 ~ 27년 미만 | ||||||||
마오쩌둥 | 중국 | 82세 | 1893.12.26. | 1976.09.09. | 26년 360일 | 1949.09.21. | 1976.09.09. | 사망 |
프랑스알베르 르네 | 세이셸 | 83세 | 1935.11.16. | 2019.02.27. | 26년 322일 | 1977.06.05. | 2004.04.16. | 사임 |
네 윈 |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92세 | 1911.05.24. | 2002.12.05. | 26년 207일 | 1962.03.02. | 1988.09.18. | 시민혁명 → 궁정 쿠데타 |
이슬람 카리모프[28] | 우즈베키스탄 | 78세 | 1938.01.30. | 2016.09.02. | 26년 169일 | 1990.03.24. | 2016.09.02. | 사망 |
25년 이상 ~ 26년 미만 | ||||||||
아메드 세쿠 투레 | 기니 | 62세 | 1922.01.09. | 1984.03.26. | 25년 182일 | 1958.10.02. | 1984.03.26. | 사망 |
3.7. 20 ~ 24년
width=920&height=1]] | 20 ~ 24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24년 이상 ~ 25년 미만 |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71세 | 1918.01.26. | 1989.12.25. | 24년 281일 | 1965.03.22. | 1989.12.22. | 시민혁명 → 총살 |
란사나 콩테 | 기니 | 74세 | 1934.11.30. | 2008.12.22. | 24년 263일 | 1984.04.03. | 2008.12.22. | 사망 |
대니얼 아랍 모이 | 케냐 | 95세 | 1924.09.02. | 2020.02.04. | 24년 130일 | 1978.08.22. | 2002.12.30. | 사임, 은퇴 |
바샤르 알아사드 | 바트주의 시리아 | [age(1965-09-11)]세 | 1965.09.11. | (현재) | 24년 113일 | 2000.07.17. | 2024.12.08. | 내전으로 인한 축출 |
23년 이상 ~ 24년 미만 | ||||||||
사담 후세인 | 바트주의 이라크 | 69세 | 1937.04.28. | 2006.12.30. | 23년 273일 | 1979.07.16. | 2003.04.09. | 미국의 침공으로 실각 → 교수형 |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 튀니지 제1공화국 | 83세 | 1936.09.03. | 2019.09.19. | 23년 74일 | 1987.11.07. | 2011.01.14. | 시민혁명 |
22년 이상 ~ 23년 미만 | ||||||||
줄리어스 니에레레 | 탄자니아 | 77세 | 1922.04.13. | 1999.10.04. | 22년 332일 | 1962.12.09. | 1985.11.05. | 사임, 은퇴[29] |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 카메룬 | 65세 | 1924.08.24. | 1989.11.30. | 22년 186일 | 1960.01.01. | 1982.11.06.[30] | 건강악화로 인한 승계 |
야히아 자메 | 감비아 | [age(1965-06-25)]세 | 1965.06.25. | (현재) | 22년 183일 | 1994.07.22. | 2017.01.21. | 선거 → 군사개입(ECOWAS) |
무사 트라오레 | 말리 | 83세 | 1936.09.25. | 2020.09.15. | 22년 132일 | 1968.11.19. | 1991.03.26. | 쿠데타 |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 말레이시아 | [age(1925-07-10)]세 | 1925.07.10. | (현재) | 22년 108일 | 1981.07.16. | 2003.10.31. | 사임[31] |
21년 이상 ~ 22년 미만 | ||||||||
핫산 굴레드 압티돈 | 지부티 | 90세 | 1916.10.15. | 2006.11.21. | 21년 315일 | 1977.06.27. | 1999.05.08. | 임기종료, 은퇴 |
수카르노 | 인도네시아 | 69세 | 1901.06.06. | 1970.07.21. | 21년 214일 | 1945.08.15. | 1967.03.12. | 실각 |
시아드 바레 |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 75세 | 1919.10.06. | 1995.01.02. | 21년 102일 | 1969.10.21. | 1991.01.26. | 내전으로 인한 축출 |
멜레스 제나위 | 에티오피아 | 57세 | 1955.05.09. | 2012.08.20. | 21년 90일 | 1991.05.28. | 2012.08.20. | 사망 |
20년 이상 ~ 21년 미만 | ||||||||
발터 울브리히트 | 동독 | 80세 | 1893.06.30. | 1973.08.01. | 20년 287일 | 1950.07.25. | 1971.05.03. | 사임[32] |
쥐베날 하뱌리마나 | 르완다 | 57세 | 1937.03.08. | 1994.04.06 | 20년 275일 | 1973.07.05. | 1994.04.06. | 암살 |
베니토 무솔리니 | 이탈리아 왕국 | 61세 | 1883.07.29. | 1945.04.28. | 20년 272일 | 1922.10.31. | 1943.07.25. | 전쟁 패배로 축출[33] |
마위야 울드 시디아흐마드 알타야 | 모리타니 | [age(1941-11-28)]세 | 1941.11.28. | (현재) | 20년 239일 | 1984.12.12. | 2005.08.03. | 쿠데타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필리핀 제4공화국 | 72세 | 1917.09.11. | 1989.09.28. | 20년 52일 | 1965.12.30. | 1986.02.15. | 시민혁명 |
3.8. 15 ~ 19년
width=920&height=1]] | 15 ~ 19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19년 이상 ~ 20년 미만 | ||||||||
탄 슈웨 | 미얀마 | [age(1933-02-02)]세 | 1933.02.02. | (현재) | 19년 341일 | 1992.04.23. | 2011.03.30. | 건강 악화로 은퇴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알제리 | 84세 | 1937.03.02. | 2021.09.17 | 19년 340일 | 1999.04.27. | 2019.04.02. | 사임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니카라과 | 60세 | 1896.02.01. | 1956.09.29. | 19년 276일 | 1937.01.01. | 1956.09.29. | 암살 |
포브스 버넘 | 가이아나 | 62세 | 1923.02.20. | 1985.08.06. | 19년 138일 | 1966.05.26. | 1985.08.06. | 사망 |
18년 이상 ~ 19년 미만 | ||||||||
에리히 호네커 | 동독 | 81세 | 1912.08.25. | 1994.05.29. | 18년 173일 | 1971.05.03. | 1989.10.18. | 시민혁명 → 실각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소련 | 75세 | 1906.12.19. | 1982.11.10. | 18년 27일 | 1964.10.14. | 1982.11.10. | 사망 |
조제프 카빌라 | 콩고민주공화국 | [age(1971-06-04)]세 | 1971.06.04. | (현재) | 18년 11일[34] | 2001.01.17. | 2019.01.24. | 임기종료 |
17년 이상 ~ 18년 미만 | ||||||||
풀헨시오 바티스타 | 쿠바 공화국(1902~1959) | 72세 | 1901.01.16. | 1973.08.06. | 17년 345일[35] (11년 47일) (6년 298일) | 1933.08.25. 1952.03.10. | 1944.10.10. 1959.01.01. | 선거 혁명(내전) |
디디에 라치라카 |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 | 84세 | 1936.11.04. | 2021.03.28. | 17년 285일[36] | 1975.06.15. | 1993.03.27. | 시민혁명 → 선거 |
모크타르 울드 다다 | 모리타니 | 78세 | 1924.12.15. | 2003.10.14. | 17년 228일 | 1960.11.28. | 1978.07.10. | 쿠데타 |
김정일[37] | 북한 | 70세 | 1941.02.16. | 2011.12.17. | 17년 162일 | 1994.07.08. | 2011.12.17. | 사망 |
16년 이상 ~ 17년 미만 |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칠레 | 91세 | 1915.11.15. | 2006.12.10. | 16년 185일 | 1973.09.11. | 1990.03.11. | 선거 |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 [age(1937-05-21)]세 | 1937.05.21. | (현재) | 16년 184일 | 1974.11.22. | 1991.05.21. | 내전 패배로 축출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투르크메니스탄 | 66세 | 1940.02.19. | 2006.12.21. | 16년 53일 | 1990.11.02. | 2006.12.21. | 사망 |
후안 비센테 고메스 | 베네수엘라 | 78세 | 1857.07.24. | 1935.12.17. | 16년 287일 (5년 122일) (6년 342일) (4년 188일) | 1908.12.19. 1922.06.24. 1931.06.13. | 1914.04.19. 1929.05.30. 1935.12.17. | 사임 임기 종료 사망 |
15년 이상 ~ 16년 미만 | ||||||||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 온두라스 | 93세 | 1876.03.05. | 1969.12.13. | 15년 338일 | 1933.02.01. | 1949.01.01. | 선거 |
허를러깅 처이발상 | 몽골 인민공화국 | 56세 | 1895.02.08. | 1952.01.26. | 15년 333일 | 1936.03.02. | 1952.01.26. | 사망 |
가파르 니메이리 | 수단 공화국 | 79세 | 1930.01.01. | 2009.05.30. | 15년 320일 | 1969.05.25. | 1985.04.06. | 쿠데타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 투르크메니스탄 | [age(1957-06-29)]세 | 1957.06.29. | (현재) | 15년 39일 | 2007.02.14. | 2022.03.25. | 퇴임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튀르키예 | 57세 | 1881.05.19. | 1938.11.10. | 15년 13일 | 1923.10.29. | 1938.11.10. | 사망 |
3.9. 10 ~ 14년
width=920&height=1]] | 10 ~ 14년 | ||||||||
이름 | 국가 | 나이 | 출생 | 사망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집권종료 | 종료사유 |
14년 이상 ~ 15년 미만 | ||||||||
제툴리우 바르가스[38] | 바르가스 시대 | 72세 | 1882.04.19. | 1954.08.24. | 14년 364일 | 1930.11.03. | 1945.10.29. | 자살 |
장쩌민[39] | 중국 | 96세 | 1926.08.17. | 2022.11.30 | 14년 319일 | 1989.11.09. | 2004.09.19. | 사임 |
덩샤오핑 | 중국 | 92세 | 1904.08.22. | 1997.02.19. | 14년 319일 | 1978.03.08. | 1989.11.09. | 은퇴 |
장 클로드 뒤발리에 | 아이티 | 63세 | 1951.07.03. | 2014.10.04. | 14년 295일 | 1971.04.22. | 1986.02.07. | 시민혁명 |
프랑수아 톰발바예 | 차드 | 56세 | 1918.06.05. | 1975.04.13. | 14년 246일 | 1960.08.11. | 1975.04.13. | 쿠데타, 암살 |
아스카르 아카예프 | 키르기스스탄 | [age(1944-11-10)]세 | 1944.11.10. | (현재) | 14년 152일 | 1990.10.27. | 2005.03.24. | 시민혁명 |
안타나스 스메토나 |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 69세 | 1874.08.10. | 1944.01.09. | 14년 77일 | 1926.12.19. | 1940.06.15. | 소련 침공 |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 폴란드 인민공화국 | 77세 | 1905.02.06. | 1982.09.10. | 14년 60일 | 1956.10.21. | 1970.12.20. | 사임, 시민혁명 |
우고 차베스 | 베네수엘라 | 58세 | 1954.07.28. | 2013.03.05. | 14년 31일 | 1999.02.02. | 2013.03.05. | 사망 |
13년 이상 ~ 14년 미만 | ||||||||
알리 봉고 온딤바 | 가봉 | [age(1959-02-05)]세 | 1959.02.05. | (현재) | 13년 318일 | 2009.10.16. | 2023.08.30. | 쿠데타 |
장 베델 보카사[40]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75세 | 1921.02.22. | 1996.11.02. | 13년 265일 | 1966.01.01. | 1979.09.20. | 쿠데타 |
우아리 부메디엔 | 알제리 | 46세 | 1932.08.23. | 1978.12.27. | 13년 194일 | 1965.06.19. | 1978.12.27. | 사망 |
프랑수아 뒤발리에 | 아이티 | 64세 | 1907.04.14. | 1971.04.21. | 13년 184일 | 1957.10.22. | 1971.04.21. | 사망 |
호르헤 우비코 | 과테말라 | 67세 | 1878.11.10. | 1946.06.14. | 13년 144일 | 1931.02.14. | 1944.07.04. | 시민혁명 → 망명 |
12년 이상 ~ 13년 미만 | ||||||||
오마르 토리호스 | 파나마 | 52세 | 1929.02.13. | 1981.07.31. | 12년 296일 | 1968.10.11. | 1981.07.31. | 사망 |
아돌프 히틀러 | 나치 독일 | 56세 | 1889.04.20. | 1945.04.30. | 12년 93일 | 1933.01.30. | 1945.04.30. | 전쟁 패배 → 자살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니카라과 | 55세 | 1925.12.05. | 1980.09.17. | 12년 77일 | 1967.05.01. | 1979.07.17. | 혁명, 망명 |
앙드레 콜링바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73세 | 1936.08.12. | 2010.02.07. | 12년 33일 | 1981.09.01. | 1993.10.01. | 선거 |
11년 이상 ~ 12년 미만 | ||||||||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 엘살바도르 | 83세 | 1882.10.20. | 1966.05.15. | 11년 340일 (2년 268일) (9년 72일) | 1931.12.04. 1935.03.01. | 1934.08.28. 1944.05.09. | 대행 종료 시민혁명 → 망명 |
이승만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90세 | 1875.05.01. | 1965.07.19. | 11년 257일 | 1948.08.15. | 1960.04.26. | 시민혁명 → 망명 |
아우구스토 베르나르디노 레귀아 | 페루 | 68세 | 1863.02.19. | 1932.02.07. | 11년 55일 | 1919.07.04. | 1930.08.25. | 쿠데타 |
니키타 흐루쇼프 | 소련 | 77세 | 1894.04.15. | 1971.09.11. | 11년 32일 | 1953.09.14. | 1964.10.14. | 실각 |
그레구아르 카이반다 | 르완다 | 52세 | 1924.05.01. | 1976.12.15. | 11년 4일 | 1962.07.01. | 1973.07.05. | 쿠데타 |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 바트주의 이라크 | 68세 | 1914.07.01. | 1982.10.04. | 11년 1일 | 1968.07.17. | 1979.07.16. | 사임 |
10년 이상 ~ 11년 미만 | ||||||||
안와르 사다트 | 이집트 | 62세 | 1918.12.25. | 1981.10.06. | 10년 359일 | 1970.10.15. | 1981.10.06. | 암살 |
장바티스트 바가자 | 부룬디 | 69세 | 1946.08.29. | 2016.05.04. | 10년 299일 | 1976.11.10. | 1987.09.03. | 쿠데타 |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응게마 | 적도 기니 | 55세 | 1924.01.01. | 1979.09.29. | 10년 295일 | 1968.10.12. | 1979.08.03. | 쿠데타 → 처형 |
알파 콩데 | 기니 | [age(1938-03-04)]세 | 1938.03.04. | (현재) | 10년 258일 | 2010.12.21. | 2021.09.05. | 쿠데타 |
레오니드 쿠치마 | 우크라이나 | [age(1938-08-09)]세 | 1938.08.09. | (현재) | 10년 191일 | 1994.07.19. | 2005.01.23. | 선거 → 시민혁명 |
새뮤얼 케니언 도 | 라이베리아 | 39세 | 1951.05.06. | 1990.09.09. | 10년 152일 | 1980.04.12. | 1990.09.09. | 내전 중 암살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아제르바이잔 | 80세 | 1923.05.10. | 2003.12.12. | 10년 130일 | 1993.06.23. | 2003.10.31. | 사망[41] |
알베르토 후지모리 | 페루 | 86세 | 1938.07.28. | 2024.09.11. | 10년 120일 | 1990.07.28. | 2000.11.22. | 축출, 망명 |
로랑 그바그보 | 코트디부아르 | [age(1945-05-31)]세 | 1945.05.31. | (현재) | 10년 107일 | 2000.12.26. | 2011.04.11. | 선거 → 내전 → 축출 |
오스왈도 로페즈 아레야노 | 온두라스 | 88세 | 1921.06.30. | 2010.05.16. | 10년 23일 (7년 249일) (2년 139일) | 1963.10.03. 1972.12.04. | 1971.06.07. 1975.04.22. | 선거 쿠데타 |
4. 집권중인 독재자
집권중인 장기집권 독재자 | |||||
이름 | 국가 | 집권기간 | 집권시작 | 연령 | 출생 |
40년 이상 |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42] | 적도 기니 | [age(1979-08-03)]년 | 1979.08.03. | [age(1942-06-05)]세 | 1942.06.05. |
폴 비야[43] | 카메룬 | [age(1982-11-06)]년[44] | 1982.11.06. | [age(1933-02-13)]세 | 1933.02.13. |
드니 사수 응게소 | 콩고 공화국 | [age(1984-04-02)]년 | 1979.02.08.[45] | [age(1943-11-23)]세 | 1943.11.23. |
30년 이상 ~ 40년 미만 | |||||
요웨리 무세베니 | 우간다 | [age(1986-01-26)]년 | 1986.01.26. | [age(1944-09-15)]세 | 1944.09.15. |
알리 하메네이[46] | 이란 | [age(1989-06-04)]년[47] | 1989.06.04 | [age(1939-04-19)]세 | 1939.04.19. |
에모말리 라흐몬 | 타지키스탄 | [age(1992-11-20)]년 | 1992.11.20. | [age(1952-10-05)]세 | 1952.10.05.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 에리트레아 | [age(1993-05-24)]년[48] | 1993.05.24. | [age(1946-02-02)]세 | 1946.02.02.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 벨라루스 | [age(1994-07-20)]년 | 1994.07.20. | [age(1954-08-30)]세 | 1954.08.30. |
20년 이상 ~ 30년 미만 | |||||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 지부티 | [age(1999-05-08)]년 | 1999.05.08. | [age(1946-11-27)]세 | 1946.11.27. |
블라디미르 푸틴 | 러시아 | [age(1999-12-31)]년[사실상] | 1999.12.31. | [age(1952-10-07)]세 | 1952.10.07. |
폴 카가메 | 르완다 | [age(2000-04-22)]년 | 2000.04.22. | [age(1957-10-23)]세 | 1957.10.23. |
다니엘 오르테가 | 니카라과 | [age(2001-09-27)]년 | 1985.01.10.[50] | [age(1945-11-11)]세 | 1945.11.11.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 튀르키예 | [age(2003-03-14)]년 | 2003.03.14. | [age(1961-12-24)]세 | 1961.12.24. |
일함 알리예프 | 아제르바이잔 | [age(2003-10-31)]년 | 2003.10.31. | [age(1954-02-26)]세 | 1954.02.26. |
10년 이상 ~ 20년 미만 | |||||
마흐무드 압바스 | 팔레스타인 | [age(2005-01-15)]년 | 2005.01.15. | [age(1935-11-15)]세 | 1935.11.15. |
포르 냐싱베 | 토고 | [age(2005-05-04)]년 | 2005.05.04. | [age(1966-06-06)]세 | 1966.06.06. |
아잘리 아소우마니 | 코모로 | [age(2009-10-25)]년 | 1999.04.30.[51] | [age(1959-01-01)]세 | 1959.01.01.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 남수단 | [age(2011-07-09)]년 | 2011.07.09. | [age(1951-09-13)]세 | 1951.09.13. |
김정은 | 북한 | [age(2011-12-17)]년 | 2011.12.17. | [age(1984-01-08)]세 | 1984.01.08. |
시진핑 | 중국 | [age(2012-11-15)]년[52] | 2012.11.15.[53] | [age(1953-06-15)]세 | 1953.06.15. |
니콜라스 마두로 | 베네수엘라 | [age(2013-03-05)]년 | 2013.03.05. | [age(1962-11-23)]세 | 1962.11.23. |
5. 번외: 장기집권한 민주주의 국가 지도자
기네스북에서는 31년간 싱가포르 총리로 재임한 리콴유를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집권한 민주국가의 지도자로 등재해놓고 있다.# 다만 현 싱가포르는 비자유민주주의 체제이지 독재 체제라 하기에는 애매하지만, 리콴유 시기 싱가포르는 확실히 독재 국가가 맞았다.리콴유 다음으로는 25년간 핀란드 대통령으로 재임한 우르호 케코넨이 꼽히는데 케코넨 또한 집권 후반기의 독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케코넨 다음으로는 [age(2001-03-28)]년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리로 재임 중인 랄프 곤살베스, 그 다음으로는 스웨덴의 총리로서 23년간 재임한 타게 엘란데르가 꼽힌다. 곤살베스와 엘란데르보다 오래 집권한 리콴유가 명백한 독재자이고 케코넨도 독재 논란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독재 논란이 없는 인물 중에서는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오래 장기집권한 민주주의 국가 지도자라고 봐도 무방하다.
6. 관련 문서
[1] 당시 프랑스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7년이었고, 1회 연임이 가능했기 때문에 14년이나 집권할 수 있었다.[2] 선거에서 계속 이기진 못했지만 연정을 통해서 다른 정파의 의견도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3] 이들은 의원내각제의 특성상 계속해서 선거에 이겼기 때문에 장기 집권이 가능했다.[4]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이 3선을 지내지 않은 것이 관례화 되어 후임자들 또한 모두 단임 혹은 재선만을 하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었으나, 당시 미국 헌법에 명문화 되어있지는 않았다. 루스벨트는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역사적 위기 상황 속에서 종래의 관습을 깨고 4연임을 하였다. 미국 헌법에 3회 이상 중임을 제한하는 수정 제22조가 신설된 것은 루스벨트 사후인 1951년의 일이다.[5] 팔레스타인 문제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21세기 선진국 지도자 중에서는 가장 권위주의 성향이 강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세계의 자유, 민주주의지수 지표를 보면 명백한 독재자로 평가할 수는 없다.[6] 보츠와나의 초대 대통령으로, 합법적 선거로 대통령직을 유지했었기에 13년이나 집권이 가능하였다.[7] 이쪽도 합법적 선거로 대통령직을 18년이나 집권했었으나, 장기 집권한다는 비판이 일자, 야당 '보츠와나 국민전선'이 대통령의 임기를 5년 중임제로 제한하는 법안을 제출하였고, 이에 마시레가 이 법안을 승인하면서 1998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하였기에 독재자가 아니다.[8] 아돌프 히틀러도 국민들의 지지로 합법적으로(만) 당선되었지만 수권법 통과, 언론탄압, 전쟁범죄, 장기집권 등을 했기 때문에 당연히 독재자다.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응게마도 선거를 통해 당선된 대통령이지만, 이후 결말은 '아프리카의 폴 포트'라 불리는 독재자가 되었다.[9] 직접 선거 외[10] 내각수상[11]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12] 김일성의 독재기간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48년 9월 9일은 북한의 공화국창건일로 이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을 선포하고 내각 수상에 취임한 것은 맞지만, 소련민정청에 의해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장에 취임한 것은 1946년 2월 16일로 이때부터 계산하면 기간이 48년 4개월 22일로 늘어날 수 있다.(다만 장제스는 48년 5개월 26일간 집권했기에 이렇게 계산해도 장제스에게 겨우 1개월 4일 차이로 밀린다.) 실제로 이 1946년에 김일성 개인을 찬양하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가 발표됐다. 하지만 소군정 시기에는 사실상 그냥 소련의 지시를 수행하는 바지사장이었고, 공화국 선포 뒤에도 한국전쟁 이후시기까지는 의외로 조선로동당내의 여러 파벌들의 견제에 시달렸다. 김일성이 반대파들을 대거 숙청하고 본격적인 독재권력을 움겨쥔 건 1956년 8월 종파 사건부터이며, 지금 우리가 아는 신적인 위치가 된 것은 당의 유일적 령도체계확립의 10대 원칙를 확립한 1970년대 이후이다. 끝을 잡기도 애매한 것이 70년대 말부터 실권이 김정일에게 점점 넘어가면서 90년대에는 국가원수로서 외교적 권력만이 거의 전부였다. 김일성 암살설 참고.[13] 다만 카다피가 사망했던 시기는 2011년 10월이다.[14] 서사하라가 미승인국이고 국토 대부분을 모로코가 점령하고 있는 연유로 실제 서사하라 국토의 극히 일부에 대해서만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압델아지즈 대통령 본인도 알제리 틴두프에 거주하고 있었다.[15] 다만 이쪽은 독립운동가에 가깝다.[16] 명목상 입헌군주국인 캄보디아 왕국에서 총리로서 독재자로 집권했다. 공화국이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 않는 것처럼 입헌군주제가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과거의 사례로는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와 일본 제국, 루마니아의 이온 안토네스쿠가 있으며 현재는 군부 독재가 이어지는 태국이 있다.[17] 다만 카메룬의 폴 비야와 비슷하게 총리직에 처음 오를 당시에는 캄푸치아 인민혁명당 주석 헹 삼린보다 권력이 약해서 2인자에 불과했고, 훈 센이 확실하게 독재자라 부를만한 권력을 확보한 건 헹 삼린이 퇴진한 1991년 이후부터다. 물론 이를 고려해도 32년 동안 집권한 셈이다.[18] 2023년 7월 26일, 동년 8월 22일에 총리직을 사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정권은 아들 훈 마넷한테 이양했다.[19] 총리(1980~1987), 대통령(1987~2017) 재임기간 합계. 총리 시절에는 카난 바나나를 바지사장삼아 전횡을 일삼았다.[20] 이후 의식을 되찾았으나 모든 권력을 상실한 상태였고, 측근들은 그가 진실을 아는 것을 막기 위해 연극을 했다.[21] 북예멘 시기 포함.[22] 사임 후부터 2011년까지 선임장관, 고문장관의 이름으로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여 근 52년간 독재했다고 보기도 한다.[23] 참고로 퇴임 당시 나이가 무려 96세였는데, 이게 얼마나 대단한 기록이냐면 그 엘리자베스 2세가 사망한 나이가 반다가 퇴임한 나이와 동갑이었다. 심지어 반다는 그 나이에 다시 대선에 나오는 노익장(?)을 과시했으나, 재선에는 실패했다.[24] 1980년까지는 총리였다.[25] 이 사람도 조금 애매한 케이스다. 소련 최고지도자 지위에 이 정도로 오래 있었던 건 맞지만 사실상 권력의 정점에 누가 봐도 명백히 서는 것은 1929년, 확실하게 정적이 없어진 것은 1930년대, 특히 대숙청 이후인 후반기쯤이기 때문. 일단 굳이 따지자면 29년 정도이기는 하다.[26] 그러나 퇴임 후에도 사실상 권력의 실세라는 평을 받고 있었다.[27] 그러다가 결국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로 인해 모든 공직에서 물러났다.[28] 소련 우즈베크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재임 기간 포함시 1989년 6월 23일부터 24년.[29] 통합 이전의 탕가니카 대통령 포함. 대통령 이전에 약 9개월간 탕가니카 총리도 재임했다.[30] 이 기록은 최고지도자 기준이고 대통령 집권으로 따지면 1961년 10월 1일부터 시작이다.[31]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승리하여 갱신되나 싶었지만 하지만 나이가 90이 넘은 초로인지라 오래는 못 해먹을 처지였고, 설상가상으로 2기 집권기의 무능함으로 인기가 떨어졌다. 참고로 자신이 직접 정권을 교체해 버렸다. 1기 집권기 때는 리콴유와 비슷한 유형의 개발독재자라는 평이지만 2기 집권기 때는 야당과 손을 잡아서인지 이보다는 많이 유해졌다는 평이기는하다.[32] 고령과 건강상의 이유로 공산당 제1서기장에서 1971년 5월 사임했으며, 사임 후에도 국가원수격인 국가평의회 의장직은 1973년 사망할 때까지 유지했다.[33] 살로 공화국까지 치면 1945년 4월 25일까지로 22년 177일.[34] 2001년 1월 17일 전임 대통령이던 아버지가 경호원에게 총격당해 권한대행을 맡았고 결국 1월 18일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사후 8일 후 1월 26일에 정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35] 초기 집권기간을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한정하면 10년 298일.[36] 이후 선거로 1997-2001년 재집권한 바 있다.[37] 집권을 시작한 1994년 7월 8일은 김일성의 사망일이지만, 집권 이전인 김일성 말년에도 고령의 김일성 대신 김정일이 길게는 몇십 년간 사실상 실권을 거의 행사했다. 군권은 1991년 12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직을 김일성으로부터 물려받으며 장악했다. 사실상 이때부터가 실질적 집권인 셈.[38] 1945년 쿠데타로 물러난 후 1951년~1954년 재집권한 바 있으나, 이는 헌법에 의한 선거로 집권했던 것이므로 독재 성격에는 논란이 있으나 일단 제외. 1954년에 대통령 재직 중 자살.[39] 집권을 종료한 2004년 9월 19일은 군통수권을 가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서 퇴임한 날이다. 국가주석과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2002년 가을에 후진타오에게 넘겨줬지만, 중군위 주석 자리는 2004년까지도 움켜쥐고 있었다.[40] 1976~1979년까지는 중앙아프리카 제국의 황제.[41] 사망하면서 아들 일함 앨리예프가 자리를 물려받았으며, 2013년 선거에서도 부정선거의 힘으로 87% 득표율로 당선됨으로써 이 리스트에 올라가게 되었다.[42] 현역 최장기 집권 독재자다.[43] 현역 최고령 독재자다.[44] 1975년부터 총리로 재임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총리로서의 집권 기간을 포함할 경우 49년이지만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초대 대통령이 1982년까지는 집권을 하고 있었기에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만 따지면 1982년 11월 6일부터 [age(1982-11-06)]년.[45] 1992년 8월 31일 선거에서 패배하면서 물러났으나, 내전을 일으켜서 1997년 10월 25일 다시 집권하였다.[46] 이란의 최고 종교 지도자(라흐바르)라는 이맘의 이름을 달고 있으나 실제로는 최고지도자 밑으로 3권분립이 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보면 이란의 최고 통치자는 이 사람이다.[47] 이란의 대통령은 라흐바르보다 권력이 없는 거수기에 불과하다. 그러니 독재자로서의 집권기간에 포함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란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도 포함하면 1981년 10월 13일부터 [age(1981-10-13)]년.[48] 건국 이후 현재까지 집권중인 국가원수 중 최장기 집권[사실상]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명목상 대통령으로 있었지만 3선 연임만 안된다는 당시 러시아 헌법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고 저 기간에도 실권은 총리였던 푸틴이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2012년에 푸틴은 다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2018년 대선에서 또 당선되어 집권하였다. 그러므로 총 24년 동안 러시아를 통치한 것이 된다.[50]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낙선했고,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었다.[51] 1999년에 쿠데타로 집권한 뒤, 2002년 1월 21에 잠시 임시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맡았다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해 2002년 5월 26일에 취임한 뒤, 2006년, 2010년 선거에 불출마했고 2016년에 대통령 선거 승리로 다시 취임했고, 2019년 2월 13일에 대통령 선거 기간동안 임시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맡았다. 그리고 그해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해 2019년 4월 3일에 취임했고 2024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도 승리했다.[52] 2022년 10월 22일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폐막에서 시진핑의 3연임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시진핑은 후진타오 시대까지 유지된 2연임 초과 금지 원칙을 깨고 사실상 영구집권의 길을 걷게 되었으며 스스로의 위상을 공식적으로 마오쩌둥, 덩샤오핑과 동일한 반열에 올렸다.[53]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 된 것은 2013년 3월 14일이지만 주석은 명목상 국가원수이고 실질적인 권력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게 있다.[54] [age(2005-01-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