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3:56:49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이병진 의원 망언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중문 표기 | 라이브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인게임 정보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color=#212529,#e0e0e0> 파일:스페셜 위크 1차 아이콘.png 파일:사일런스 스즈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카이 테이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루젠스키 1차 아이콘.png 파일:후지 키세키 1차 아이콘.png 파일:오구리 캡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쉽 1차 아이콘.png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보드카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와 스칼렛 1차 아이콘.png 파일:타이키 셔틀 1차 아이콘.png 파일:그래스 원더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마존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맥퀸 1차 아이콘.png 파일:엘 콘도르 파사 1차 아이콘.png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티엠 오페라 오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브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루돌프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그루브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디지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이운 스카이 1차 아이콘.png 파일:타마모 크로스 1차 아이콘.png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파인 모션 1차 아이콘.png 파일:비와 하야히데 1차 아이콘.png 파일:마야노 탑건 1차 아이콘.png 파일:맨하탄 카페 1차 아이콘.png 파일:미호노 부르봉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케보노 1차 아이콘.png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맨하탄 카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유키노 비진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이스 샤워 1차 아이콘.png 파일:아이네스 후진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타키온 1차 아이콘.png 파일:어드마이어 베가 1차 아이콘.png 파일:이나리 원 1차 아이콘.png 파일:위닝 티켓 1차 아이콘.png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에어 샤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이신 플래시 1차 아이콘.png 파일:카렌짱 1차 아이콘.png 파일:카와카미 프린세스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바쿠신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킹 더 펄 1차 아이콘.png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신코 윈디 1차 아이콘.png 파일:스윕 토쇼 1차 아이콘.png 파일:슈퍼 크릭 1차 아이콘.png 파일:스마트 팔콘 1차 아이콘.png 파일:젠노 롭 로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센 조던 1차 아이콘.png 파일:나카야마 페스타 1차 아이콘.png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나리타 타이신 1차 아이콘.png 파일:니시노 플라워 1차 아이콘.png 파일:하루 우라라 1차 아이콘.png 파일:뱀부 메모리 1차 아이콘.png 파일:비코 페가수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블러스 선데이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차 아이콘.png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미스터 시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이쇼 도토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도베르 1차 아이콘.png 파일:나이스 네이처 1차 아이콘.png 파일:킹 헤일로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탄호이저 1차 아이콘.png 파일:이쿠노 딕터스 1차 아이콘.png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메지로 파머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타쿠 헬리오스 1차 아이콘.png 파일:트윈 터보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다이아몬드 1차 아이콘.png 파일:키타산 블랙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치요노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리우스 심볼리 1차 아이콘.png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메지로 아르당 1차 아이콘.png 파일:야에노 무테키 1차 아이콘.png 파일:츠루마루 츠요시 0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로렐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탑 로드 1차 아이콘.png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야마닌 제퍼 1차 아이콘.png 파일:푸리오소 1차 아이콘.png 파일:트랜센드 1차 아이콘.png 파일:에스포와르 시티 0차 아이콘.png 파일:노스 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크리스 에스 1차 아이콘.png 파일:타니노 김렛 1차 아이콘.png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다이이치 루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모누 1차 아이콘.png 파일:애스턴 마짱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크라운 1차 아이콘.png 파일:슈발 그랑 1차 아이콘.png 파일:베르시나 0차 아이콘.png 파일:비블로스 1차 아이콘.png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베르시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단츠 플레임 0차 아이콘.png 파일:케이에스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정글 포켓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노 리즌 0차 아이콘.png 파일:스틸 인 러브 0차 아이콘.png 파일:코파노 리키 1차 아이콘.png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홋코 타루마에 1차 아이콘.png 파일:원더 어큐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운즈 오브 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로이스 앤 로이스 0차 아이콘.png 파일:카츠라기 에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네오 유니버스 1차 아이콘.png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로이스 앤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히시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탭 댄스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두라멘테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인 크라프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자리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메사이어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부에나 비스타 0차 아이콘.png 파일:오르페브르 0차 아이콘.png 파일:젠틸돈나 1차 아이콘.png 파일:윈 바리아시옹 1차 아이콘.png 파일:드림 저니 1차 아이콘.png 파일:칼스톤 라이트 오 1차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드림 저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칼스톤 라이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듀랜달 1차 아이콘.png 파일:버블검 펠로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블래스트 원피스 0차 아이콘.png
[[듀랜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버블검 펠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블래스트 원피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친구 카드 ]
파일:하야카와 타즈나 서포트 R.jpg 파일:키류인 아오이 서포트 R.jpg 파일:안심자와 사사미 서포트 R.jpg 파일:카시모토 리코 서포트 R.jpg 파일:라이트 헬로 서포트 R.jpg 파일:사타케 메이 서포트 R.jpg 파일:츠루기 료카 서포트 R.jpg
[[하야카와 타즈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류인 아오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안심자와 사사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시모토 리코/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트 헬로/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타케 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기 료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아키카와 야요이 서포트 R.jpg
[[아키카와 야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그룹 카드 ]
파일:우마무스메 그룹.png 파일:팀 시리우스 서포트 SSR.jpg
}}}}}}}}}


1. 개요2. 육성 우마무스메
2.1. ★★★ - [클리노클로어・라인]
2.1.1. PvP2.1.2. 기타
2.2. ★★★ - [Neige Émeraude]
2.2.1. PvP2.2.2. 기타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3.2. SR - [그 마음에 휘몰아치다]3.3. SSR - [밤바람에 흩날리는 기도의 꽃]3.4. SSR - [규중의 소녀에게]
4. 밸런타인 초콜릿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메지로 아르당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48 「메지로 아르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없음

비고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팬을 6000명 모은다

시기
클래식급 3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6000명 이상

비고
없음
청엽상에서 5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4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18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일본 더비에서 5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5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6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이벤트 내에서 목표 레이스가 결정됩니다

시기
???

출전 조건
???

비고
???
오사카배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3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마이니치 왕관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10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텐노상(가을)에서 1착[1]

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 ||
メジロアルダンがぐいっぐいっと先頭に立った! メジロアルダンが先頭だ!}}}
메지로 아르당이 쭉 뻗어 선두에 오릅니다! 메지로 아르당이 선두입니다!
||
メジロアルダン! 儚くも強く美しいその走りで ひときわ強い輝きをこの大舞台で放ちました!}}}
메지로 아르당! 덧없고도 강하고 아름다운 그 달리기로 이 커다란 무대에서 한 층 더 강하게 빛을 발했습니다!
||

2.1. ★★★ - [클리노클로어・라인]

파일:메지로 아르당 1차 아이콘.png ★★★★★
[클리노클로어・라인]
메지로 아르당
この『今』を。
この一瞬の輝きのために――!
이 『지금』을.
이 한순간의 반짝임을 위해…!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스킬 모션.gif [클리노클로어・라인]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덧없는 유리 몸으로\ ruby=儚きガラスの身よ、)] [ruby(높이\, 드넓은 하늘로., ruby=高く、大空へ。)]
[ruby(그 몸은\
ruby=その身は、)] [ruby(누구보다도 빛나니까!, ruby=誰よりも輝くから!)]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유리 날개여\,, ruby=ガラスの翼、)] [ruby(날 빛나게 해 줘!, ruby=輝かせて!)]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2년 2월 8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3년 5월 30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92 파일:우마무스메 Gp.png89 파일:우마무스메 Gp.png89 파일:우마무스메 Gp.png80 파일:우마무스메 F.png100

+ 10%

+ 0%

+ 0%

+ 0%

+ 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13 파일:우마무스메 F.png109 파일:우마무스메 F.png109 파일:우마무스메 Gp.png98 파일:우마무스메 F.png121 }}}}}}}}}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E.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일생의 꿈, 찰나의 비상 (一期の夢、刹那の飛翔)
최종 직선일 때 뒤에 있는 우마무스메와의 거리가 가까우면 그 순간에 지구력을 약간 사용해 잠시 동안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반시계(좌) 방향◯ (左回り◯)
반시계(좌회전) 방향 코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남김 없이 (ありったけ)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레이스 플래너 (レースプランナー)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경쾌한 스텝 (軽やか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결사의 각오 (決死の覚悟)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면 속도가 상승한다 <중거리>||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영원한 반짝임 (永遠の輝き)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지구력을 회복하고,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찰나로의 각오 (刹那への覚悟)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면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중거리>||

||

태생 3성의 중거리 선행마.

고유 스킬은 최종 직선에서 후방과의 차이가 1마신 이내면 발동하는 스킬로, 지구력을 소모(-1%)하고 속도가 많이(すごく) 상승(0.45)한다. 순위 조건이 없는 간단한 발동 조건으로 발동률도 높고 최종 직선에서 발동하는 많이 계열 속도 스킬인만큼 효과 역시 강력한 고유 스킬이지만, 그 대신에 지속 시간이 4초로 짧다는 점과 자신의 지구력을 소모한다는 두 가지 페널티가 붙어있다. 특히 지구력 소모 페널티가 문제인데, 라스트 스퍼트 구간에서는 잔여 지구력에 따라 페이스가 조정되기 때문에 강력한 성능만큼이나 은근히 사용하기 까다로운 스킬이기도 하다.[5] 그래도 '많이' 수준의 속도 스킬들 중에서는 드물게 발동 조건이 매우 간단한 덕분에 페널티를 감안하더라도 스킬 밸류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2.1.1. PvP

원본마의 중상 레이스 커리어가 중거리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6] 우마무스메 메지로 아르당 역시 전적으로 중거리에 특화되어 있는 편이다. 당장 소지 레어 스킬이 중거리 조건('결사의 각오')과 회복 스킬('레이스 플래너')이고, 고유 스킬도 여러 조건상 중거리에서 가장 유효하기 때문. 마일 적성(B)도 높기는 하지만, 레어 스킬 2개가 모두 마일에서는 무쓸모인데다가 고유 스킬도 최종 직선과 종반 가속 구간이 가까운 단거리/마일에서는 무효 판정이 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고 장거리 주자로 쓰기에는 기본 장거리 적성(D)이 많이 낮고, 고유 스킬의 페널티 문제로 장거리에서는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여러모로 중거리 이외에는 실익이 없다.

수려한 디자인에 비해 스킬 구성은 밋밋한 편이라서 기본적으로는 애정픽으로 평가되지만, 가속력 스킬을 소지하지 않았다는 점만 제외하면 성장률과 소지 스킬 모두 밸런스 있게 구성되어 있어 중거리 한정으로는 충분히 실전성 있는 캐릭터이다. 특히, 중거리 레이스에서는 고밸류의 종반 속도 스킬인 '결사의 각오'와 고유 스킬이 최종 직선에서 함께 발동하기 때문에, 가속력 문제만 어떻게든 해결한다면 종반 스퍼트 화력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높다. 비록 챔피언스 미팅에서는 클구리의 존재와 고유 스킬의 페널티 문제로 인해 티어픽으로 꼽히지는 못했으나, 강력한 종반 화력을 앞세운 소위 '조커픽'으로 활약이 가능한 캐릭터인지라 애정픽 치고는 의외로 채용률이 나쁘지 않은 편이다.

2주년 밸런스 패치에서는 '다릿심 모으기'의 추가로 부족한 가속력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고, 진화 스킬의 추가로 종반 화력이 더욱 강해지는 상향을 받았다. 다만, 하필이면 신규 승부복으로 출시된 무도회 아르당이 오리지널 아르당 이상의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콘셉트로 등장하면서, 캐릭터 성능은 상향을 받았지만 정작 실전 티어는 많이 내려가게 되었다. 지구력을 소모하고 속도를 올린다는 기본적인 설계는 동일하지만, 무도회 아르당 쪽은 지구력을 더 많이 소모하는 대신 폭발력도 더 높다. 물론 그만큼 지구력 감소로 인한 리스크도 무도회 아르당 쪽이 훨씬 크기에 안정성 측면에서는 오리지널 아르당도 이점이 있지만, 2주년 이후부터는 시나리오와 서포트 카드 인플레로 인해 이러한 지구력 페널티를 버텨낼 수 있을 정도로 스탯 상한이 크게 올라갔기 때문에 굳이 무도회 아르당 대신 오리지널 아르당을 쓸 이유는 없다는 게 중론.

그래도 오리지널 아르당 역시 상향을 많이 받은만큼 실전 채용은 여전히 가능하며, 무도회 아르당의 경우 후술할 디자인 호불호 문제가 있어 애정픽으로는 오리지널 아르당 쪽이 선호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한대로 2주년 이후부터는 스탯 상한이 크게 올라가면서 고유 스킬의 지구력 페널티가 어느 정도 상쇄되었기 때문에 인자작 쪽으로 활용도가 많이 높아진 편이다.

2.1.2. 기타

2.2. ★★★ - [Neige Émeraude]

파일:메지로 아르당 2차 아이콘.png ★★★★★
[Neige Émeraude]
메지로 아르당
夢見るワルツに情熱のタンゴ――
全てお望みのままに。
꿈꾸는 왈츠에 정열의 탱고…
뭐든 원하시는 대로.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스킬 모션2.gif [Neige Émeraude]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설령…, ruby=たとえ…)] [ruby(금방 져 버릴, ruby=やがて散りゆく)] [ruby(꽃이라 해도\ ruby=花だとしても、)] [ruby(유한한 지금을…!, ruby=限りある今を――ッ!)]
[ruby(화려하게 피워 보죠\
ruby=咲き誇りましょう、)] [ruby(함께., ruby=共に。)]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찰나에 피는 꽃의 춤., ruby=刹那の花の舞。)]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3년 3월 29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4년 7월 17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95 파일:우마무스메 Gp.png95 파일:우마무스메 Gp.png77 파일:우마무스메 Gp.png85 파일:우마무스메 Gp.png98

+ 8%

+ 8%

+ 0%

+ 0%

+ 1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16 파일:우마무스메 F.png116 파일:우마무스메 Gp.png94 파일:우마무스메 F.png103 파일:우마무스메 F.png121 }}}}}}}}}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E.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Danser le présent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에 있을 때 뒤의 우마무스메와 가까우면 지구력을 사용해 속도가 상승하고 추가로 약간 앞으로 나간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태미나 노멀.png ||[노멀] 도쿄 경기장◯ (東京レース場◯)
도쿄 경기장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정면 승부 (真っ向勝負)
[패치 후(日)]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패치 전(韓)]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페이스 킵 (ペースキー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당하면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7a4117,#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꺾이지 않는 마음 (不屈の心)
레이스 중반에 추월당하면 지구력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광망일섬 (光芒一閃)
직선에서 속도가 상승한다 <중거리>||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아름다운 인광 (美しき燐光)
레이스 종반이 다가올 때 지구력을 회복하고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그윽한 등불 (幽玄の灯火)
레이스 중반이 시작될 때 지구력을 다소 회복하고 속도가 다소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희미하고 덧없는 저녁놀 (淡く儚い残照)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지구력을 다소 사용해서 속도가 아주 많이 상승한다 <선행・중거리>||

||
파일:우마무스메_메지로아르당(승부복)2.png

스토리 이벤트인 그러니 그대, 사랑스럽네에 맞춰 업데이트 된 무도회 승부복으로, [Fleur Enneigée] 사쿠라 치요노 오와 함께 추가되었다. 아르당에겐 '~당' 같은 식의 별명이 자주 붙는 편인데, 그래서인지 무도회 승부복에도 '춤춘당'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평소의 단아한 모습과는 완전히 대비되는 차림으로 등장했는데, 무도회 복장보다는 승마 복장에 더 가까운 것 같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고유 스킬은 레이스 종반의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상위 20~40% 이내)에 있고 후방과의 차이가 1마신 이내면 발동하는 스킬로, 지구력을 소모(-3%)하고 속도(0.35)와 주행 속도(0.15)가 상승한다. 기본적으로는 오리지널 아르당의 고유 스킬과 동일한 컨셉의 고유 스킬로, 지구력 소모 페널티가 있는 대신 일반적인 고유 스킬들 보다 효과량이 높다는 점이 특징. 다만 세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는데, 우선 단순하게 속도만 상승하는 오리지널 아르당과 달리 춤춘당의 고유 스킬은 속도와 주행 속도가 함께 상승하는 복합 스킬이기 때문에 스킬 발동 시의 폭발력이 더 높다. 그리고 지속 시간이 줄어드는 페널티가 없어지는 대신, 순위 조건이 추가되었고 지구력 소모량이 늘어나면서 리스크도 더욱 커졌다. 사실상 오리지널 아르당 이상으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컨셉의 고유 스킬인 셈.

2.2.1. PvP

기본 포지션은 오리지널 아르당과 동일한 중거리 선행마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인 특징은 오리지널 아르당과 거의 동일하다. 전적으로 중거리에만 특화된 성능, 밸런스 있는 성장률과 소지 스킬 구성, 그리고 레어 스킬('광망일섬')과 고유 스킬을 활용한 최종 직선 스퍼트 화력을 갖고 있다. 다만, 성장률이 스태미나 쪽에 약간 들어가면서 전체적으로 스탯 밸런스 잡기가 조금 더 좋아졌고, 기존 아르당 캐릭터의 가장 큰 강점인 종반 화력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에, 실전 성능은 사실상 오리지널 아르당의 상위 호환에 가까운 편이다.

무도회 아르당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했듯 고유 스킬과 소지 스킬을 활용한 종반 화력인데, 고유 스킬뿐만이 아니라 진화 스킬인 '희미하고 덧없는 저녁놀'도 지구력을 소모하는 대신 '아주 많이' 수준의 속도 상승 효과를 갖고 있다. 덕분에 최종 직선에서의 화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이지만, 고유 스킬과 진화 스킬의 지구력 소모량을 합치면 -5%로 거의 레어 회복 스킬(5.5%) 1개 분량에 가깝기 때문에 그만큼 오리지널 아르당 이상으로 스태미나 확보에 많이 신경써줘야 한다. 여하튼 리스크와 리턴이 워낙 뚜렷한 캐릭터라서, 출시 초기에는 1티어픽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애정픽이라 하기에는 너무 강한 살짝 묘한 평가를 받았다.

무도회 아르당이 본격적인 중거리 강픽으로 떠오르게 된 것은 2.5주년 이후부터로, 시나리오 인플레와 기존의 1티어 서포터 카드들이 대대적으로 물갈이됨에 따라 스탯 상한이 크게 올라가면서 무도회 아르당의 지구력 감소 페널티를 버텨낼 수 있게 되었기 때문. 특히, 챔피언스 미팅 CLASSIC(롱샹 2400m)에서는 L'Arc 시나리오에서 사타케 메이의 링크 보상 스킬로 경기장 특화 레어 스킬인 '롱샹이 점지한 아이'를 확정적으로 입수하는게 가능한 덕분에 스태미나 확보가 쉬워지면서 무도회 아르당이 선행 1티어픽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중거리 대회 한정으로는 상당한 강픽으로 꼽힌다.

2.2.2. 기타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서포트 R.jpg [트레센 학원]
메지로 아르당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

레어도

MAX Lv
20 (✦0) ~ 40 (✦4)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1년 7월 12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2년 10월 31일
고유 보너스
없음
✦ 에피소드
메지로 아르당이라고 합니다. 덧없는 이 다리라도 자랑스럽게 달리고 싶어요… 한순간이라도 좋아요. 저는 레이스에서 빛나고 싶습니다.
✦ 우정 보너스 5~15%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기 본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40%
기 본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지능 우정 회복량 증가 1~3
기 본
지능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회복량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25%
Lv.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0
Lv.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5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지능 보너스 1
Lv.40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지능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반시계(좌) 방향◯ (左回り◯)
반시계(좌회전) 방향 코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경쾌한 스텝 (軽やか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지능 노멀.png ||[노멀] 선행의 요령◯ (先行のコツ◯)
좋은 위치로 가기 다소 수월해진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배우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3분이면 완성! 건강한 운동용 요리 레시피』
    • 스피드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뇌를 바꾸는 쾌면 노하우』
    • 체력 +10 / 지능 +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놀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카루타』는 어때?
    • 스피드 +10 / 지능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영상을 찍어서 우마톡에 올려보는 건 어때?
    • '선행 주저'의 힌트 Lv +1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아그네스 타키온 R 카드와 더불어 양호실을 서포트 카드 배경으로 사용하고 있다. 실험실 이미지가 없어 양호실 배경을 대신 사용하는 타키온과는 달리, 이쪽은 진짜로 몸이 약하다는 설정 탓에(...) 양호실 배경을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

3.2. SR - [그 마음에 휘몰아치다]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서포트 SR.jpg [그 마음에 휘몰아치다]
메지로 아르당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

레어도

MAX Lv
25 (✦0) ~ 45 (✦4)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1년 7월 12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2년 10월 31일
고유 보너스
✦ 그 마음에 휘몰아치다
Lv.25 해방

컨디션 효과 증가 15%, 힌트 발생률 증가 20%
✦ 에피소드
이마에 맺힌 땀을 부드럽게 닦는 한 명의 우마무스메.
✦ 우정 보너스 10~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힌트 Lv 증가 Lv.1~3
기 본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50%
기 본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지능 우정 회복량 증가 1~4
기 본
지능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회복량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40%
Lv.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0
Lv.10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10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1~5%
Lv.30 해방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지능 보너스 1
Lv.4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지능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반시계(좌) 방향◯ (左回り◯)
반시계(좌회전) 방향 코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경쾌한 스텝 (軽やか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지능 노멀.png ||[노멀] 선행의 요령◯ (先行のコツ◯)
좋은 위치로 가기 다소 수월해진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배우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3분이면 완성! 건강한 운동용 요리 레시피』
    • 스피드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뇌를 바꾸는 쾌면 노하우』
    • 체력 +10 / 지능 +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놀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카루타』는 어때?
    • 스피드 +10 / 지능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영상을 찍어서 우마톡에 올려보는 건 어때?
    • '선행 주저'의 힌트 Lv +1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다 함께 만드는 특제 드링크♪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그만큼 둘을 좋아한다는 뜻이지
    • 성공 시 : 체력 +10 / 스피드 +5 / 지능 +5 / 스킬 Pt +10
    • 실패 시 : 지능 +10
  • 라이벌을 잘 체크하고 있군
    • 컨디션 상승 / 스피드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서고 싶은 장소는 오직 하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체력 +30 / 컨디션 상승
}}}}}}}}}

소지 스킬로 선행 각질 스킬들을 가지고 있는데, '힌트 Lv 증가' 및 '힌트 발생률 증가' 효과가 높아 선행마 육성에서 고려해볼만 하다. 그리고 '반시계(좌) 방향◯' 스킬을 보유한 몇 안 되는 서포트 카드라서 챔피언스 미팅 주자 육성에 쓰이기도 한다. 역할이 겹치는 다이와 스칼렛 SR 카드와 비교하면 트레이닝 성능이 밀리긴 하지만, 대신 이쪽은 소지 스킬들이 우수하기 때문에 일장일단이 있다고 보면 된다.

3.3. SSR - [밤바람에 흩날리는 기도의 꽃]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서포트 SSR.jpg [밤바람에 흩날리는 기도의 꽃]
메지로 아르당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

레어도

MAX Lv
30 (✦0) ~ 50 (✦4)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2년 10월 28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4년 2월 16일
고유 보너스
✦ 밤바람에 흩날리는 기도의 꽃
Lv.40 해방

우정도가 80 이상일 때, 파워 보너스 2
✦ 에피소드
그곳에는 후회가 있었다. 한탄이 있었다. 원통함이 있었다. 하지만, 그와 함께 으레 미래의 우마무스메들을 향한 기도가 있었다…
✦ 우정 보너스 10~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60%
기 본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5%
Lv.15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0%
Lv.15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15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스피드 보너스 1
Lv.3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피드 상승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5~30
Lv.4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반시계(좌) 방향◯ (左回り◯)
반시계(좌회전) 방향 코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경쾌한 스텝 (軽やか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지능 노멀.png ||[노멀] 선행의 요령◯ (先行のコツ◯)
좋은 위치로 가기 다소 수월해진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레이스 플래너 (レースプランナー)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배우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3분이면 완성! 건강한 운동용 요리 레시피』
    • 스피드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뇌를 바꾸는 쾌면 노하우』
    • 체력 +10 / 지능 +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놀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카루타』는 어때?
    • 스피드 +10 / 지능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영상을 찍어서 우마톡에 올려보는 건 어때?
    • '선행 주저'의 힌트 Lv +1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상상해 보죠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일단 쉬는 게 어떨까?
    • 체력 +15
  • 다른 공부법을 써 보는 게 어떨까
    • 스피드 +1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들려줘 보죠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스피드 +10 / 스킬 Pt +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③ [  체험해 보죠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스피드 +10 / '레이스 플래너'의 힌트 Lv +1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스토리 이벤트인 마음을 얽고, 마음을 쫓고에서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SSR 서포트 카드. 지능 특기였던 기존 카드들과는 달리 스피드 특기로 나왔는데, 스피드 카드라서 '빠르당'(...)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조건부 고유 보너스이긴 하지만 '파워 보너스'를 가진 스피드 특기 카드란 점, 선행 각질용이긴 하지만 레어 회복 스킬인 '레이스 플래너'를 연속 이벤트에서 확정 입수할 수 있다는 점, 그 외에도 전반적으로 준수한 성능을 지녔다는 점 등, 배포 SSR 카드임에도 어지간한 가챠산 스피드 SSR 카드들과 맞먹는 효용성을 지녔다고 평가 받는다.

특히 가장 주목 받은 부분은 스피드 특기면서 레어 회복 스킬을 소지한 배포 SSR 카드란 점으로, 어지간한 가챠산 상급 스피드 SSR 카드와 동급으로 취급 받는 스페셜 위크 배포 SSR 카드와 비교해도 밀리지 않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는다.[11]
카드 출시 시점의 주력 시나리오인 그랜드 라이브 시나리오에선 스피드 카드를 많이 써도 3장이 한계인 메타가 정립된 상황인데, 이 카드는 키타산 블랙 SSR 카드와 아그네스 타키온 SSR 카드에 이은 세 번째 스피드 카드로 채용하기에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 받는 카드이기도 하다. 만약 키타산 블랙 카드와 아그네스 타키온 카드를 모두 가지고 있다면 세 번째 스피드 카드로는 뭘 가져와도 한계치에 가깝게 스피드 능력치를 찍어줄 수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파워 상승치가 가장 높은 이 카드를 세 번째 카드로 가져오는 것이 충분히 합리적인 선택지이기 때문.

3.4. SSR - [규중의 소녀에게][14]

<nopad> 파일:메지로 아르당 서포트 SSR2.jpg [규중의 소녀에게]
메지로 아르당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

레어도

MAX Lv
30 (✦0) ~ 50 (✦4)
<colbgcolor=#2aaa82,#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4년 12월 27일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6년 4월 17일 (예상)
고유 보너스
✦ 규중의 소녀에게
Lv.30 해방

우정도가 80 이상일 때, 스태미나 보너스 1, 파워 보너스 1
✦ 에피소드
창문에서 보이는 경치에 가슴이 답답해질 때가 있다….
✦ 우정 보너스 10~4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35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10%
기 본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힌트 Lv 증가 Lv.1~3
기 본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50%
기 본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80
기 본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5%
Lv.1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30%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5~10%
Lv.35 해방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스킬 Pt 보너스 1~2
Lv.4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킬 Pt의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반시계(좌) 방향◯ (左回り◯)
반시계(좌회전) 방향 코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공세 (攻めの姿勢)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단아한 발걸음 (しとやかな足取り)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품행방정 (品行方正)
최종 코너 전의 제3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마일/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비약의 예감 (飛躍の予感)
레이스 종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솔직한 한 걸음 (素直な一歩)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결정타 (決定打)
최종 직선에서 선두로 있거나 선두로부터 1마신 이내에 있으면 속도가 다소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서두르는 발걸음 (逸る足取り)
레이스 중반이 다가올 때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동경을 넘어서 (憧れを越えて)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일찍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선행・중거리>||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완전무결 (十全十美)
최종 코너 전의 제3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앞으로 나간다 <마일/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마무리 (幕引き)
최종 직선에서 선두로 있거나 선두로부터 1마신 이내에 있으면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배우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3분이면 완성! 건강한 운동용 요리 레시피』
    • 스피드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뇌를 바꾸는 쾌면 노하우』
    • 체력 +10 / 지능 +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리 소녀는 놀고 싶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카루타』는 어때?
    • 스피드 +10 / 지능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영상을 찍어서 우마톡에 올려보는 건 어때?
    • '선행 주저'의 힌트 Lv +1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언제나 거기에 있는 상냥함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파워 +15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웃는 얼굴의 선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체력 +10 / 스태미나 +10 / 파워 +1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③ [  밤하늘, 찰나에 반짝이는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조용히 지켜본다)
    • 스태미나 +20 / 파워 +20 / '완전무결'의 힌트 Lv +2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좋은 선물이었어
    • 파워 +25 / 스킬 Pt +15 / '마무리'의 힌트 Lv +2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뻥이요~ 꽝이요~!
    • 체력 +25 / 근성 +30 / 메지로 아르당의 우정도 +5
}}}}}}}}}

스토리 이벤트인 화룡, 새벽바람을 부르다에 맞춰 업데이트 된 서포트 카드로, 스피드/지능 특기였던 기존 카드들과 달리 파워 특기로 나왔다.[15] 한 장에 2개의 레어 스킬이 탑재된 서포트 카드이기도 한데, 마지막 연속 이벤트에서 어느 선택지를 고르느냐에 따라 '완전무결'과 '마무리' 중 하나에 대한 스킬 힌트를 확정 습득할 수 있다.[16] 그리고 연속 이벤트 보상을 포함한 소지 스킬들은 대체로 선행 각질에 특화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마일/중거리에 약간 더 유리한 구성을 갖고 있다.

풀돌 기준 트레이닝 성능의 경우, 조건부 고유 보너스 활성화 시엔 다양한 능력치 보너스(스태미나 보너스 1, 파워 보너스 1, 스킬 Pt 보너스 2)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파워 SSR 카드들 중에서 '스킬 Pt 보너스'가 2로 높다는 점이 고평가 받는다. 그 외의 서포트 효과들도 준수한 편이라서 스탯 상승량 총합만 따져보면 니시노 플라워 파워 SSR 카드와 비슷한 수준을 보여 준다. 하지만 '특기율 증가' 효과(80)는 높은 반면에 '트레이닝 효과 증가' 효과(10%)는 낮은지라 출장 성능이 낮고, 이 때문에 모처럼의 '스킬 Pt 보너스' 2를 써먹기 애매하다는 평가도 있다.

이상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트레이닝 성능이 나쁘진 않으나 아쉬운 점(선행 각질 특화, 낮은 출장 성능)이 여럿 있는 카드 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범용성 측면에선 여전히 니시노 플라워 카드 쪽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픽업 가챠와 함께 제공되는 무료 100연챠에서 이 카드가 잘 나온 경우엔 쥬얼을 조금 더 얹어서 뽑아 볼 정도는 되겠으나, 그런 게 아니라면 일반 유저 입장에선 굳이 뽑아야 할 메리트가 있는 카드가 아니다.

4. 밸런타인 초콜릿

메지로 아르당의 밸런타인 초콜릿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밸런타인 초콜릿 상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지로 아르당의
수제 초콜릿 무스

(メジロアルダンの
手作りチョコレートムース)
파일:chocolate_1007101.jpg

클리노클로어・라인
파일:chocolate_1007102.jpg

Neige Émeraude
春寒の候トレーナーさんにはご健勝のことと
拝察いたします。日頃の心強いご指導に、
心ばかりの感謝の品を贈らせていただきたく。
不熟な手に依るもので恐縮ですが、いずれ
追懐のよすがともなれば幸甚に存じます。
트레이너 선생님, 봄 날씨가 쌀쌀한 요즘
건승하신지요. 평소의 든든한 지도에,
대단한 것은 아니오나 감사의 물품을
드리고자 합니다. 미숙한 솜씨라 면목 없지만,
언젠가 추억할 만한 것이 된다면 기쁘겠습니다.
}}}}}}}}} ||


[1] 사실 이쪽도 육성 시작 시점에선 목표5와 마찬가지로 '이벤트 내에서 목표 레이스가 결정됩니다'로 되어있으나, 일본 더비(목표4) 직후의 이벤트에서 어느 선택지를 고르든 마지막 목표는 텐노상(가을)로 고정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2] 88년도 일본 더비에선 2착으로 사쿠라 치요노 오에게 목(クビ) 차이로 패배했다. 89년도 텐노상(가을)에선 3착을 달성했는데, 이때도 1착(슈퍼 크릭)과 2착(오구리 캡), 그리고 2착과 3착의 차이는 모두 목(쿠비) 차이였다. 90년도 텐노상(가을)에서 2착을 했을 때는 더 심해서, 야에노 무테키에게 머리(アタマ) 차이로 패배했다.[3] 이 때문에 데뷔도 4세(현재 기준 3세)로 늦은 편이었다.[4] 녹색 모자를 쓴 오카베 유키오가 기승한 18번마가 메지로 아르당으로, 최종 직선에 들어선 이후인 2분 15초 쯤부터 사쿠라 치요노 오와 선두 다툼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당 부분을 보면 알겠지만, 선두 다툼이 워낙에 치열했던 탓에 "쭉 뻗어 선두에 오릅니다!"라는 고유 아나운스 내용과는 거리가 있다.[5] 고작 지구력 -1% 페널티라서 별거 아닌 것 처럼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주자들이 멀쩡하게 스퍼트를 올린 와중에 혼자만 디버프 먹고 실속하는 셈인데다가, 챔피언스 미팅에서는 지구력 디버프 계열 역병마의 채용률도 상당히 높기 때문에 실전에서는 단순 수치 이상으로 손실이 크다. 심지어 1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까지는 라스트 스퍼트 도중에 페이스를 재계산하는 시스템이 없다보니, 골 직전에 지구력 부족으로 허리를 펴서 역전당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했다.[6] 경기 출전은 마일~장거리까지 꽤 다양하게 했지만, 중상 레이스 우승 커리어는 89년 타카마츠노미야배(G2,주쿄 2000m) 뿐이다. 우승이 아닌 입상 성적으로 범위를 넓혀도 89년 마이니치 왕관(G2,도쿄 1800m)을 제외하면 전부 중거리 레이스이다.[7] 서포트 카드의 '레이스 보너스'와는 무관하게 고정값으로 증가한다.[8] 단, 이는 '육성 목표 레이스 → 일반 레이스' 순서로 출전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따라서 레이스 출전 순서를 잘만 맞춰주면 페널티 없이 육성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 레이스 → 육성 목표 레이스 → 일반 레이스' 순서로 출전하면 얄짤없이 페널티를 받으니 주의. 애초에 3연속 이상 출전인 것부터 문제가...[9] 육성 스토리에서 데뷔전을 마치고 바로 쓰러지는데, 주치의 말로는 실전의 중압감이 엄청난 부담을 가했다고 한다. 무리하게 레이스에 나가지 않거나 육성 부담을 조정해주는 식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하는데, '훈련 미숙' 상태에 걸리는 페널티에 대한 설명인 셈이다.[10] 비슷하게, 첫 번째 무도회 이벤트에서 출시된 무도회 후지 승부복이나 심볼리 루돌프 지능 SSR 카드의 일러스트도 오리지널 승부복과는 반대되는 컨셉의 복장으로 나왔다.[11] 스피드 특기면서 레어 회복 스킬을 소지한 배포 SSR 카드로는 메인 스토리 보상 스즈카 SSR 카드와 1.5주년 보상 부르봉 SSR 카드도 있긴 하다. 하지만 이 둘은 소지 스킬이 너무 도주마에만 특화돼있고, 연속 이벤트 보상인 회복 스킬도 중거리 도주마 한정인 '개척자' 스킬인데다, 트레이닝 성능도 뒤처진다는 단점이 있어 비교하기 적절치 않다.[12] URA 기준 최고 28. 이와 동급이거나 그 이상인 카드로는 단거리 특화인 비코 페가수스 SSR 카드, 사쿠라 바쿠신 오 SSR 카드, 그랜드 라이브 시나리오의 인권 카드로 통하는 아그네스 타키온 SSR 카드, 보정을 최대로 받은 나리타 탑 로드 SSR 카드와 마루젠스키 SSR 카드, 스피드 상승치 만큼은 SR 최고봉이라 불리는 신코 윈디 SR 카드 정도가 있다.[13] 고유 보너스 조건(우정도 80 이상)을 만족하고 있는 상황이라 가정하면, 키타산 블랙 SSR 카드와 동일한 상승치(URA 외 기준 최고 13)를 보여준다. 이와 맞먹거나 능가하는 효율을 보여주는 카드는 트레이닝 Lv.4 이상인 상태에서 트레이닝을 진행하는 마루젠스키 SSR 카드 뿐이다.[14] 深窓の少女へ. 여기서 '深窓(심창)'은 '깊숙이 있는 창', '깊숙한 방'이란 뜻의 단어로, '(흔히 상류층 여성의) 세속으로부터 격리된 환경'을 뜻하는 표현이다. 국어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단어이긴 하나, 일반적으로는 비슷한 의미의 '규중(閨中)' 쪽이 더 많이 쓰인다.[15] 파워 특기의 카드라는 점에서 '힘쎄당', 어린 시절의 아르당이 일러스트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로리당'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16] 두 레어 스킬은 이전까지 메지로 라모누('완전무결'), 버블검 펠로('마무리')의 각성 스킬로만 얻을 수 있었으나, 아르당 카드를 통해 처음으로 연속 이벤트 보상으로도 얻을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