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gcolor=#e87f8d,#6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일반 |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
인게임 정보 |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 |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5회차) | 리그 오브 히어로스 | ||
트레이너 기능 시험 | 레이싱 카니발 | 마스터즈 챌린지 | 먼슬리 매치 | 한정 미션 및 이벤트 | 상시 이벤트 | ||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 ||
기타 |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축전 | 라이브 | 중문 표기 | ||
사건 사고 (원화가 트위터 논란・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이병진 의원 망언)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사토노 크라운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88 「사토노 크라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 |
시기 | 주니어급 6월 후반 | |
출전 조건 | 없음 | |
비고 |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 |
도쿄 스포츠배 주니어 S에서 5착 이내 | ||
시기 | 주니어급 11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35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 |
야요이상에서 5착 이내 | ||
시기 | 클래식급 3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750명 이상 | |
비고 |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
사츠키상에서 5착 이내 | ||
시기 | 클래식급 4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4500명 이상 | |
비고 |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
일본 더비에서 5착 이내 | ||
시기 | 클래식급 5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6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
교토 기념에서 1착 | ||
시기 | 시니어급 2월 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1900명 이상 | |
비고 | 교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외측 | |
오사카배에서 3착 이내 | ||
시기 | 시니어급 3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0000명 이상 | |
비고 |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1착 | ||
시기 | 시니어급 6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0000명 이상 | |
비고 |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 |
텐노상(가을)에서 1착 | ||
시기 | 시니어급 10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0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 |
재팬컵에서 1착 | ||
시기 | 시니어급 11월 후반 | |
출전 조건 | 팬 수 25000명 이상 | |
비고 |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 고유 칭호는 매직 크라운(マジッククラウン). 칭호 획득 조건은 "무패 및 1번 인기인 상태로 야요이상에서 우승하고, 사츠키상, 일본 더비, 오사카배, 타카라즈카 기념, 텐노상(가을), 재팬컵에서 우승, 기초 능력 [파워]를 1200 이상으로 만든다."
우승 조건에 포함되는 7개 레이스 모두 육성 목표에 포함되어 있는데, 세세히 따져보면 실제론 10개 육성 목표 모두에서 우승해야만 한다. 야요이상(목표3)에선 '무패 우승'을 해야하니 이때까지의 목표 레이스(목표1~3)를 모두 우승해야 하고, 이후의 목표 레이스들(목표4~10)도 교토 기념(목표6)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건에 포함되어 있으니 죄다 우승해야 하며, 교토 기념은 칭호 조건에선 빠져있지만 클리어 조건이 '1착'이라 어차피 우승해야 한다. 스펙이 충분한 유저라면 전승 우승이 어렵진 않겠으나, 클래식 시즌부터 강력한 고정 라이벌들이 꾸준히 등장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삐끗할 수 있단 점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야요이상에서의 1번 인기 조건과 파워 1200 이상 조건도 잊지 않고 챙겨줘야 한다.
참고로 칭호 조건은 원본마의 행적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2015년도 야요이상에서 무패 우승을 달성한 것, 2017년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한 것만이 조건과 일치한다. 원본마가 1번 인기를 받아본 건 2015년도 사츠키상 한 번 뿐이었고, 우승 조건에 포함되는 G1 레이스들 중 타카라즈카 기념을 제외한 나머지 레이스들에선 모두 우승하지 못했었다. 현실에선 강력한 라이벌들에 밀려 이루지 못했지만,[1] 인게임에서라도 사토노 크라운이라는 이름처럼 왕관을 손에 넣어보라는 IF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럴 수가 사토노 크라운! 강적들을 누르고 타카라즈카 기념을 제패했습니다!
||-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에서의 고유 해설은, 마술(magic)과 전략전술이 특기인 사토노 크라운의 캐릭터성을 반영한 것이다.
사토노 크라운! 마치 매직과도 같은 선명한 전술을 정하여 이 큰 경기에서 영관을 손에 넣었습니다!
||2.1. ★★★ - [검은 옥이 천 리를 간다]
| ★★★★★ |
[검은 옥이 천 리를 간다] 사토노 크라운 |
窮地?逆境?いいじゃない! 燃えてきたわ! 궁지? 역경? 나야 좋지! 끓어오르는걸! |
<nopad> | [검은 옥이 천 리를 간다] 스킬 모션 |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 |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 |
The Crown's Show! [ruby(지금부터 보실 것은, ruby=ご覧いただくのは)] [ruby(최고의 스펙터클!, ruby=最高のスペクタクル!)] [ruby(내가 왕관을, ruby=私が王冠を)] [ruby(손에 넣는, ruby=手にする)] [ruby(순간이야!, ruby=瞬間よ!)] | |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 |
[ruby(매직을, ruby=マジックを)] [ruby(보여 줄게!, ruby=見せてあげる!)] |
<colbgcolor=#275d38,#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
2023년 12월 11일 🔗 |
2025년 3월 31일 |
<rowcolor=#ffffff,#e0e0e0> | | | | | ||||||
| | | | | ||||||
+ 0% | + 0% | + 15% | + 15% | + 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colbgcolor=#275d38,#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 잔디 |
거리 적성 | 단거리 |
각질 적성 | 도주 |
✦ 고유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고유] Reversal Illusion최종 코너에서 중위권 그룹에 있는 경우 남은 거리 400m 이하부터 속도가 상승하며, 중거리 레이스에서 중반에 추월하면 많이 상승한다|| |
✦ 초기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위치 선정 밀어붙이기 (位置取り押し上げ)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중거리 코너◯ (中距離コーナー◯)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원 찬스 (ワンチャンス)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
✦ 각성 스킬 |
- 각성 Lv.2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다습」, 「포화」, 「불량」 상태인 경기장에 다소 강해진다||
[노멀]
진창길◯ (道悪◯)「다습」, 「포화」, 「불량」 상태인 경기장에 다소 강해진다||
- 각성 Lv.3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입>||
[레어]
신속 과감 (迅速果断)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서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입>||
- 각성 Lv.4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스피드와 파워가 충분히 강하면 스피드와 파워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중거리>||
[노멀]
자신감 (自信家)스피드와 파워가 충분히 강하면 스피드와 파워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중거리>||
- 각성 Lv.5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한다 <중거리>||
[레어]
기사회생 (起死回生)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한다 <중거리>||
||
✦ 진화 스킬 |
- '신속 과감' 스킬 (각성 Lv.3)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작전・선입>||
[진화]
앰비셔스 카드 (アンビシャスカード)레이스 중반에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작전・선입>||
- '기사회생' 스킬 (각성 Lv.5)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하고, 2200m~2400m 레이스라면 지구력을 다소 사용해서 종반이 시작될 때 일찍 많이 상승한다 <중거리>||
[진화]
밀리언 카드 (ミリオンカード)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가속력이 상승하고, 2200m~2400m 레이스라면 지구력을 다소 사용해서 종반이 시작될 때 일찍 많이 상승한다 <중거리>||
||
태생 3성의 중거리 선입마.
고유 스킬은 최종 코너에서 중위권 그룹(상위 40~70% 이내)에 있었다면 남은 거리 400m 이내 구간에서 속도가 상승(0.35)하는 스킬로, 이때 중거리 레이스의 중반에 추월한 경우에는 속도 상승량이 증가(0.45)한다. 순위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위치는 '최종 코너'지만, 스킬의 발동 위치는 '남은 거리 400m'로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 보통 중거리 코스는 제3 코너 ~ 최종 코너 어딘가에서 종반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정석적인 레이스 진행이라면 선입마는 해당 지점에서 중위권 그룹 어딘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느 중거리 코스에서든 무난한 발동률을 보여주는 스킬이다. 또한 추가 효과의 발동 조건인 '중반 추월' 역시 마군이 뒤엉키는 일이 많은 선행/선입 각질 특성상 어렵지 않은 조건이며, 종반 가속 이후에 발동하는 '많이(すごく)' 계열 속도 스킬인 만큼 발동률과 효과 모두 준수한 고유 스킬로 평가된다.
다만 추가 효과가 오직 중거리 레이스에서만 발동하기 때문에, 그 외 거리의 레이스에서는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비슷한 발동 지점(정확하게 남은 거리 400m 지점)을 가진 다른 고유 스킬들의 경우엔 별도의 거리 제한이 없어 많은 코스에서 범용성 있게 사용되는 만큼,[3] 비교적 흔한 종반 속도 스킬임에도 거리 제한이 붙었다는 점은 꽤나 아쉬운 부분이다. 이 때문에 비슷한 발동 지점을 가진 다른 고유 스킬들과 비교하여 밸류가 좀 낮은 편이며, 계승기로도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다.
2.1.1. 육성 시 특이사항
- 원본마에 대한 고증 및 중거리 특화 우마무스메라는 특징을 반영해서인지, 데뷔전(목표1)과 도쿄 스포츠배 주니어 S(목표2)를 제외한 모든 육성 목표는 중거리 레이스로 구성돼 있다. 특히 클래식 3관, 봄/가을 시니어 3관에 포함되는 G1 레이스는 장거리를 제외하면 모두 육성 목표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인자로 낮은 장거리 적성(E)만 어느 정도 보완해준다면 굵직한 G1 타이틀을 모두 노려볼 수도 있다.
- 가을 시니어 3관을 달성할 경우엔 '우리는 사토노의 우마무스메니까(私たちはサトノのウマ娘だから)'라는 히든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스피드 +15 / 스태미나 +15 / 지능 +15 / '공세', '진출 개시', '초반 달인'의 힌트 Lv +2"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텐노상(가을)과 재팬컵은 모두 육성 목표에 포함(목표9~10)되어 있는 만큼, 아리마 기념만 추가적으로 출전해서 우승해주면 된다. 다만 장거리 적성(E) 보완이 필수적이며, 시니어급 12월 후반은 스케줄상 웬만하면 레이스 출전을 잘 안하기 때문에, 실전 주자 육성에서는 노리기 힘든 이벤트이다.
2.1.2. PvP
원본마가 중거리에서 주로 활약했던 경주마인 만큼, 우마무스메 사토노 크라운도 전적으로 중거리 선입마에 특화된 성능으로 출시되었다. 상기했듯 고유 스킬부터가 중거리 전용이나 다름이 없으며, 소지 스킬도 중거리('중거리 코너◯', '자신감', '원 찬스/기사회생')와 선입('위치 선정 밀어붙이기/신속 과감') 조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일(B)과 장거리(E) 적성도 개조 가능한 범위에 들어가지만, 어느 쪽이든 레어/진화 스킬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는 점에서 육성 실익은 낮은 편. 마찬가지로 각질 적성도 선행(B)/선입(A)/추입(D) 모두 선택 가능 범위에 들어가지만, 소지 스킬 구성상 선입마 이외에는 실익이 없다. 여기에 고유 스킬의 추가 효과 조건도 그렇고, 후술할 진화 스킬의 효과까지 감안하면, 사실상 모든 부분에서 중거리 선입마 육성이 강제되는 캐릭터인 셈이다.특기할 만한 점은 중거리 중에서도 2200~2400m 코스를 저격하는 캐릭터라는 점인데, 이는 진화 스킬 중 하나인 '밀리언 카드' 스킬에 해당 거리에서만 발동하는 추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추가 효과가 발동하면 지구력 소모 페널티가 붙긴 하지만, 스킬 발동 구간이 '종반의 처음 1/4'로 변경되고[4] 가속력 상승량도 증가(0.4 → 0.5)하면서 발동 위치와 효과 모두 크게 강화된다. 덕분에 해당 코스 한정으로는 일반적인 주자들보다 훨씬 강력한 스퍼트가 가능해지는 셈이며, '신속 과감/앰비셔스 카드'(중반) → '기사회생/밀리언 카드'(종반) → 고유 스킬(최종 직선)로 연계되는 강력한 승리 플랜 구상도 가능하다.
이렇게만 보면 준수한 캐릭터 디자인과 대회 코스를 저격하는 성능으로 실전 밸류도 높을 것 같지만, 아쉽게도 챔피언스 미팅에서는 애정픽이 아니라면 우선도가 낮다. 일단 상술한 진화 스킬의 추가 효과가 2200~2400m 이외의 코스에서는 발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고,[5] 중거리 선행/선입 라인에는 고성능 주자가 너무 많이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회에서 자주 선택되는 2400m 코스는 그만큼 유효 가속력 스킬과 코스 특화 우마무스메도 많은지라,[6] 사토노 크라운 정도의 성능으로는 경쟁력이 높다고 보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그래도 1티어픽이 아닐 뿐이지 2200~2400m 코스에서는 나름 강픽으로 꼽히며, 외관과 성능을 모두 갖춘 만큼 애정픽으로서의 선호도도 제법 높다.
2.1.3. 기타
- 육성 우마무스메 출시 일자인 12월 11일(일본 서버 기준)은 공교롭게도 원본마가 홍콩 바즈에서 우승한 날짜와 동일하다. 원본마가 홍콩 바즈에서 우승한게 2016년도였으니, 정확히 7년 후에 육성 우마무스메로 출시된 셈이다.
- 승부복의 왼쪽 옷깃에는 이니셜인 'SC'가 새겨져 있다.
- 고유 스킬의 연출이 마술쇼를 하는 듯한 모션인데, 마침 스킬명도 'Illusion'이고, 승부복 디자인 역시 마술쇼의 엔터테이머와 비슷한 모습이다. 또한 해안가를 배경으로 화려하게 마술쇼를 하는 모습은 원본마의 대표 커리어가 홍콩 바즈라는 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같은 사토노 관명인 사토노 다이아몬드의 승부복과 비교하면, 색상이 녹색 계열이라는 점은 비슷하지만, 전반적인 음영이 밝고 화사한 다이아와 반대로 크라운은 녹색 음영이 좀 더 어둡고 검정색이 강조되는 편이다.
- 승부복 명칭인 '검은 옥이 천 리를 간다(黒翠千里行)'는 크라운의 승부복 색상인 '黒'와 사토노 관명을 상징하는 '翠', 그리고 사토노 징크스를 깨기 위해 홍콩까지 천리길(千里行)을 떠났던 원본마의 커리어를 반영한 네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
- 중거리 적성 우마무스메 치고는 기본 장거리 적성(E)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원본마가 주요 장거리 대회를 대부분 회피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본마는 클래식 시즌에 사츠키상과 일본 더비에는 출전했지만 국화상은 회피했으며, 텐노상도 가을 시즌에는 3번이나 도전했지만 봄 시즌에는 한 번도 출전하지 않았다. 그나마 유일하게 출전한 장거리 대회는 2017년 아리마 기념이지만, 여기서도 13착으로 대패했다는 점을 보면 확실히 장거리 적성은 없었던 모양.
2.2. ★★★ - [맑은 섬의 꽃은 화려하다]
| ★★★★★ |
[맑은 섬의 꽃은 화려하다] 사토노 크라운 |
一緒に飛び込みましょう。 青く輝く、栄光に! 함께 뛰어들어 볼까. 푸르게 빛나는 영광으로! |
<nopad> | [맑은 섬의 꽃은 화려하다] 스킬 모션 |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 |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 |
[ruby(저 멀리까지, ruby=彼方まで)] [ruby(반짝이는 낙원에\,, ruby=煌めく楽園へ、)] [ruby(어서오세요!, ruby=ようこそ!)] [ruby(끝나지 않는, ruby=終わらない)] [ruby(바캉스가 되게, ruby=バカンスにして)] [ruby(해줄게♪, ruby=あげる♪)] | |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 |
[ruby(잔뜩\, 즐겨 보자!, ruby=ハメ、外していくわよ!)] |
<colbgcolor=#275d38,#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
2025년 7월 31일 🔗 |
2026년 11월 19일 (예상) |
<rowcolor=#ffffff,#e0e0e0> | | | | | ||||||
| | | | | ||||||
+ 0% | + 10% | + 6% | + 14% | + 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colbgcolor=#275d38,#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 잔디 |
거리 적성 | 단거리 |
각질 적성 | 도주 |
✦ 고유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고유] 여름 번개 캐스케이드! (夏雷カスケード!)레이스 중반 시작에 추월하면 잠시 동안 많이 앞으로 나가고, 중거리 레이스라면 잠시 동안 아주 많이 앞으로 나간다 <작전・선입>|| |
✦ 초기 스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달려들기 (食らいつき)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선행/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사전 준비 (下準備)레이스 중반이 시작될 때 중위권 그룹 이후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노멀] 간극을 파고들어서 (間隙を突いて)레이스 후반 코너에서 추월하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
✦ 각성 스킬 |
- 각성 Lv.2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중에 스킬을 13회 발동하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노멀]
이그니션 (イグニッション)레이스 중에 스킬을 13회 발동하면 약간 앞으로 나간다 <중거리>||
- 각성 Lv.3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상승한다 <선행/선입>||
[레어]
맹추격 (猛追)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상승한다 <선행/선입>||
- 각성 Lv.4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 각성 Lv.5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 코너에서 추월하면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레어]
찰나의 승기 (刹那の勝機)레이스 후반 코너에서 추월하면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
✦ 진화 스킬 |
- '맹추격' 스킬 (각성 Lv.3)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한동안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진화]
반짝임의 일루전 (煌めきのイリュージョン)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한동안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 '찰나의 승기' 스킬 (각성 Lv.5)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
레이스 후반 코너에서 추월하면 많이 앞으로 나가고, 지능이 더욱 높으면 아주 많이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진화]
파도 위의 라스트 트릭 (波上のラストトリック)레이스 후반 코너에서 추월하면 많이 앞으로 나가고, 지능이 더욱 높으면 아주 많이 앞으로 나간다 <선입・중거리>||
||
|
스토리 이벤트인 서머 데이즈 『그대』 그래피티에 맞춰 업데이트 된 수영복 승부복으로, [잔잔한 여름의 네이비 드롭] 슈발 그랑과 함께 추가되었다. 알록달록한 비키니와 나풀나풀한 스커트,[7] 기다란 포니테일을 풀어헤친 헤어스타일, 그리고 포인트가 되는 밀짚모자까지, 평소의 '자신감 넘치는 언니'와 '리조트에서의 바캉스' 이미지를 모두 잡은 승부복인 것이 특징이다.
고유 스킬은 선입 각질로 출전하여, 레이스 중반의 전반에 추월하면 주행 속도가 상승(0.45)하는 스킬이다. 일반적인 고유 스킬들에 비해 지속시간(4초)이 짧은 대신 주행 속도 상승량이 '많이(すごく)' 수준으로 높은 것이 특징. 또한 별도의 순위 조건을 요구하지 않기에, 레이스가 어떻게 전개되든 높은 발동률을 보여주는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중거리 레이스라면 주행 속도 상승량이 증가하는 추가 효과가 있는데, 이때는 주행 속도 상승량이 '아주 많이(ものすごく)' 수준(0.55)로 증가한다. 다만 이 스킬을 계승해주는 경우엔 추가 효과가 사라진다는 점에 유의할 것.
수영복 크라운은 오리지널 크라운과 마찬가지로 중거리 선입마 포지션에 알맞은 구성을 갖고 있는데, 상술한 고유 스킬의 추가 효과가 중거리 레이스에서만 발동한다는 점, 진화 스킬이 모두 선입・중거리 조건을 요구한다는 점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되는 추월을 통해 우위를 점하는 컨셉을 가지고 있는데, 고유 스킬과 레어/진화 스킬 모두 추월/추격 조건으로 발동하기 때문이다. 해당 스킬들은 순위 조건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으므로, 각질 조건(선입)만 맞춰주면 레이스 전개에 상관없이 추월/추격을 거듭하면서 주요한 스킬들을 발동시켜 승리 플랜을 이어나갈 수 있다. 한편 2200~2400m 코스에 좀 더 특화되어 있던 오리지널 크라운과는 달리 수영복 크라운에겐 별도의 제약이 없는데, 덕분에 중거리 코스라면 어디든지 범용성 높게 투입할 수 있다는 소소한 차이점도 있다.
3. 밸런타인 초콜릿
사토노 크라운의 밸런타인 초콜릿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밸런타인 초콜릿 상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토노 크라운의 월드 디저트 세트 (サトノクラウンの ワールドスイーツアソート) |
| |
검은 옥이 천 리를 간다 | |
◇◆Happy Valentine's Day!◆◇ 私が活躍できているのは、 あなたが頑張ってくれているおかげ。 でも、たまにはゆっくり休んでね。 プレゼントが少しでも役に立つと嬉しいわ! ◇◆해피 밸런타인 데이!◆◇ 내가 활약할 수 있는 것도 네가 힘써 준 덕분이야. 하지만, 가끔씩은 푹 쉬어 줘. 선물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어! |
[1] 본작에 등장하는 라이벌들만 봤을 때, 사츠키상, 일본 더비에선 두라멘테, 오사카배와 텐노상(가을)에선 키타산 블랙, 재팬컵에선 슈발 그랑에게 패배했다.[2] 아쉽게도 남아있는 영상들에선 당시 아나운스의 앞부분만을 들어볼 수 있다.[3] 이전의 고유 스킬들 중에서 해당 발동 지점을 가진 스킬로는 '복을 베푸는 바르카롤', '치켜들어라, 내 영혼의 검을!', 'Road to Glory' 정도가 있는데, 모두 중장거리에서 범용성 있게 사용이 가능한 스킬들이다. 특히 '복을 베푸는 바르카롤'과 'Road to Glory' 스킬은 일부 단거리/마일 코스에서도 유효하게 사용이 가능하다.[4] 추가 효과가 발동하지 않은 경우, 혹은 스킬을 진화시키지 않은 경우('기사회생')엔 '레이스 종반의 전반 무작위'(phase_firsthalf_random==2) 조건으로 발동하지만, 추가 효과가 발동한 경우엔 '레이스 종반의 1사분위 구간 무작위'(phase_firstquarter_random==2) 조건으로 발동한다.[5] 추가 효과가 발동하지 않을 경우(2200~2400m 이외 코스)의 스킬 스펙은 레어 스킬('기사회생')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사실상 귀중한 진화 스킬 하나를 버리는 셈이다.[6] 예컨대 대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쿄 2400m를 기준으로 보면, 종반 스퍼트에 맞춰서 발동하는 가속력 스킬을 서포트 카드('결정적인 한 수')나 인자('홍염 기어/LP1211-M', '세이리오스')로 손쉽게 획득이 가능하다. 그래서 크라운처럼 발동 타이밍이 좋은 가속력 스킬을 자체적으로 갖고 있더라도 이점이 크지 않다.[7] 슈발 그랑의 홈 화면 대사에서 비블로스가 나풀거리고 알록달록한 수영복을 줬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 정작 그런 수영복은 슈발 대신 크라운이 받은 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