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2:28:41

와세다대학

와세다 대학교에서 넘어옴

파일:와세다대학 로고(화이트).svg
학과 조직
정치경제학부, 이공학부 연구과,
국교학부 SILS 등 그 외 다수
입학 후 대학 생활 정보 동문 교우회 도몬카이
[稲門会]
캠퍼스 관련 상세 정보
와세다-게이오 라이벌 정기전 소케이센 [早慶戦]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1C28, #881C28)"
{{{#!wiki style="margin: -7px;"
<tablebgcolor=#881C28><tablebordercolor=#881C28>
파일:와세다대학 문장(화이트).svg
와세다대학
관련 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881C28>
[ruby(早稲田, ruby=わせだ, color=#F5F5F5)][ruby(大学, ruby=だいがく, color=#F5F5F5)]
와세다대학
Waseda University

파일:와세다대학 로고.svg

대학 정보
<colcolor=#fff> 정식 명칭 早稲田大学[1]
모토 <colbgcolor=#881C28><colcolor=#fff> 일본어 学問の独立[2]
学問の活用[3]
模範国民の造就[4]
한국어 학문의 독립
영어 Independence of scholarship
설립 연도 1882년 10월 21일 ([age(1882-10-21)]주년)
국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소재 와세다(早稲田) 캠퍼스
도쿄도 신주쿠구 니시와세다
니시와세다(西早稲田) 캠퍼스
도쿄도 신주쿠구 오쿠보
도야마(戸山) 캠퍼스
도쿄도 신주쿠구 도야마
기쿠이초(喜久井町) 캠퍼스
도쿄도 신주쿠구 기쿠이초
니혼바시(日本橋) 캠퍼스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
히가시후시미(東伏見) 캠퍼스
도쿄도 니시토쿄시 히가시후시미
토코로자와(所沢) 캠퍼스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미카지마
혼조(本庄) 캠퍼스
사이타마현 혼조시 니시토미타
기타큐슈(北九州) 캠퍼스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히비키노
분류 사립대학
설립자 오쿠마 시게노부 (大隈重信)
총장 제17대 다나카 아이지 (田中愛治)
재학생 학부 38,776명 (2023년)
대학원 8,491명 (2023년)
교직원 교원 5,227명 (2023년)
직원 1,275명 (2023년)
상징 마스코트 와세다 베어 (Waseda Bear)
색상
크림슨 (#881C28)
[5]
링크 홈페이지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SNS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와세다 캠퍼스
니시와세다 캠퍼스
도야마 캠퍼스
기쿠이초 캠퍼스
니혼바시 캠퍼스
히가시후시미 캠퍼스
도코로자와 캠퍼스
혼조 캠퍼스
기타큐슈 캠퍼스
}}}}}}}}}}}} ||

1. 개요2. 소개3. 연혁4. 상징
4.1. 교표·인장4.2. 교가4.3. 마스코트4.4. 와세다의 이미지
5. 협정 관계
5.1. 국내외 와세다 협정 대학교
5.1.1. 대한민국 협정교5.1.2. 해외 협정교
6. 학과 등 조직7. 캠퍼스8. 생활9. 출신 인물10. 입시
10.1. 일반 입시 본고사10.2. 내외국인 유학생 입시
11. 사건 사고12.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와세다대학 캠퍼스 사진1.jpg
▲ 와세다대학 캠퍼스
▲ 와세다대학 소개 영상

와세다대학일본 최초의 사립대학 중 하나이다. 오쿠마 시게노부내각총리대신에 의해 1882년 설립되었다. 와세다대의 대학 본부는 도쿄도 도심 신주쿠구에 위치해 있다.[6] 도쿄 6대학 중 하나로 분류된다. 8명의 일본국 내각총리대신[7], 수백명의 일본 국회의원, 3명의 대한민국 국무총리[8]를 배출했다. 중화권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공산당중화민국 국민당 창립자 중 랴오중카이, 리다자오, 천두슈, 펑파이 등이 와세다대 출신이다.[9]

야나이 타다시 유니클로 회장 등 와세다대 출신 동문들이 모교에 기부 중이며[10], 2024년 기준 현역 일본 닛케이 지수 상장 대기업 CEO 230명 이상이 와세다대를 졸업했다. # 대한민국 대기업 재계 삼성그룹, 포스코그룹, 롯데그룹, 신세계그룹, CJ그룹 창업회장이 와세다대 출신이기도 한만큼 한국 정재계 근현대사에 자주 등장하는 학교이다.[11] 또한 와세다대는 일본 문학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를 배출하여 무라카미 하루키 도서관이 있으며, 삼성 이건희 선대 회장의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이건희기념도서관도 있다. # #

본 대학의 약칭은 와세다([ruby(早稲田, ruby=わせだ)])[12] 또는 소다이([ruby(早大, ruby=そうだい)])[13].

2. 소개

1882년 창립된 도쿄전문학교를 기원으로, 1904년 전문학교령에 의거한 구제전문학교를 거쳐 1920년 2월 5일 문부성 고시 제36호[14]에 의거 게이오기주쿠대학(문부성 고시 제35호)[15]과 함께 일본에서 최초의[16] 사립 구제대학으로 인가받았다.

국제적인 대학 평가로는 2024년 기준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전세계 199위 #, 일본 내에서는 790여개 대학 중 9위를 차지했다. 2024년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전세계 801~1000위 및 일본 14위를 기록했으며, CWUR 세계 대학 랭킹에서는 2023년 전세계 201위 및 일본 8위, 2023년 ARWU에서는 전세계 701~800위 및 일본 20~2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학술 연구 성과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 교육기관 순위에서는 2020년대 일본 15위를 기록했다.

캠퍼스는 분산식 형태로, 하나하나의 크기는 작은 대신 도쿄 23구를 비롯하여 일본 여기저기에 산재해 있다.[17] 신주쿠구 와세다 지역에 위치해 대학본부로 기능하는 와세다 캠퍼스, 동일 신주쿠구 내 바로 옆의 이공계열 학부 연구과가 있는 니시와세다 캠퍼스[18], 학생회관과 운동시설 그리고 문학부와 문화구상학부가 있는 도야마 캠퍼스[19], 스포츠과학부 및 인간과학부가 위치한 도코로자와 캠퍼스, 혼조 캠퍼스, 히가시후시미 캠퍼스, 기쿠이초 캠퍼스[20], 기타큐슈 캠퍼스 등이 있다. 와세다와 니시와세다, 도야마, 기쿠이초 캠퍼스 근처에는 JR야마노테선세이부 신주쿠선도쿄메트로 토자이선 타카다노바바역(高田馬場駅)[21], 토자이선 와세다역, 도덴아라카와선 와세다역, 니시와세다역 등이 있어서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와세다 캠퍼스와 니시와세다 캠퍼스는 본래 지명을 따서 니시와세다, 오쿠보 캠퍼스였으나, 현 니시와세다 캠퍼스 쪽에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니시와세다역이 생기며 명칭이 변경되었다.[22] #

3. 연혁

4. 상징

4.1. 교표·인장

파일:와세다대학 로고.sv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로고 교장
상기 로고는 창립 125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UI(University Identity)다. 위에서 내려다 본 학사모를 본따 만들어졌으며, 하단에 와세다대학의 교장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그 속에 있는 학교의 문장, 즉 교장(校章)은 1906년(메이지 39년)에 도안된 유서 깊은 문장이다.
파일:와세다대학 인장.png
제1회 졸업식 이후 사용된 와세다대학 인장의 인영(印影)

대학 상징 알파벳이 W이기 때문에, 학생 인터뷰나 기념사진을 보면 하나같이 손으로 W자를 만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2. 교가

와세다대학 교가
수도의 서북([ruby(都, ruby=みやこ)]の[ruby(西北, ruby=せいほく)])
일본어 한국어
1절
都の西北 早稲田の森に
聳ゆる甍は われらが母校
われらが日ごろの 抱負を知るや
進取の精神 学の独立
現世を忘れぬ 久遠の理想
かがやくわれらが 行手を見よや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2절
東西古今の 文化のうしほ
一つに渦巻く 大島国の
大なる使命を 担ひて立てる
われらが行手は 窮り知らず
やがても久遠の 理想の影は
あまねく天下に 輝き布かん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3절
あれ見よかしこの 常磐の森は
心のふるさと われらが母校
集り散じて 人は変れど
仰ぐは同じき 理想の光
いざ声そろへて 空もとどろに
われらが母校の 名をばたたへん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わせだ
1절
수도의 서북 와세다의 숲에
우뚝 선 지붕은 우리의 모교
우리가 언제나 잊지 않는 포부를 아느냐
진취의 정신 학문의 독립
현세를 잊지 않는 영원한 이상
빛나는 우리의 앞길을 보아라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2절
동서고금 문화의 조류가
하나로 소용돌이치는 큰 섬나라
원대한 사명을 짊어지고 일어서리
우리들의 앞길은 무궁무쌍하도다
머지 않아 영원한 이상의 그림자는
온 천하에 그 빛을 드리우리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3절
저기를 보라 늘 푸른 숲은
마음의 고향 우리의 모교
만나고 헤어지며 사람은 바뀌어도
우러러 봄은 한결 같은 이상의 빛
자 목소리를 모아 하늘까지 울리도록
우리 모교의 이름을 찬양하자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와세다

4.3. 마스코트

<colbgcolor=#8e1728>
파일:waseda_wasedabear.jpg
와세다베어 (ワセダベア)
설립자인 오쿠마 시게노부의 '쿠마'가 '곰'이라는 뜻의 일본어 '쿠마'와 발음이 같다는 것에서 착안해 곰이 되었다.
설립자인 오오쿠마 시게노부의 이름에서 을 뜻하는 쿠마(くま)를 떼어와 오오쿠마라는 곰을 마스코트 상징 캐릭터로 쓰고 있다. 오오쿠마 강당 근처의 기념품 샵, 11호관 1층 등 곳곳에 곰 캐릭터 상이 있다.

4.4. 와세다의 이미지

와세다대는 일본의 대학 중에선 자국의 대중매체에서 많이 오마주되거나 패러디되는 대학 중 한 곳이다.

5. 협정 관계

5.1. 국내외 와세다 협정 대학교

5.1.1. 대한민국 협정교

5.1.2. 해외 협정교

6. 학과 등 조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세다대학/조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와세다대학의 학과 상세에 관해서는 상기 문서를 참조.

7. 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세다대학/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와세다대학 캠퍼스 소개 영상

8. 생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세다대학/대학 생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와세다대학의 입학 후 대학 생활에 관해서는 상기 문서를 참조.

9.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와세다대학 출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세다대학/도몬카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와세다대학의 총교우회 동문 네트워크 도몬카이와 타국의 출신 인물들 기재.

10. 입시

10.1. 일반 입시 본고사

와세다의 입시 시험(入試)은 '참으로 와세다다운 출제'라고 평이 많은데, 다른 대학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유형의 출제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국어와 공민에서 교수들이 자신들의 입맛과 학풍에 맞는 학생을 뽑는 느낌이 매우 강하다. 일반 입시로는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문제와의 싸움, 시간과의 싸움, 자신과의 싸움으로 요약 가능하다. 이 벽을 넘기 위해서는 와세다 입시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학부의 벽을 넘는 상당량의 과거 문제 풀이 및 연구가 필요하다.

반대로 말하면 특징이 있는 시험이기 때문에 그 특징을 파고 들어서 과거 문제들의 경향을 체득하면 합격률이 오른다는 이야기. 즉, 다른 국립대학이 1지망인 경우, 지망교 공부도 빡센데 방대한 양의 와세다 일반입시의 과거문제 풀이와 유형 분석하며 준비하는 것은 시간상 사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다른 국립대학이 1지망인 지원자들은, 정 사립대학을 보험삼아 수험하고 싶다면 일반입시보다는 센터시험 이용입시를 지원한다.[40] 또한, 학부에 따라서 과목별로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다. 예를 들어 정치경제학부는 영어와 지리가 매우 어렵고, 법학부의 경우에는 국어가 매우 어렵다. 다만 문과계 학부 입시는 국어와 영어, 세계사 또는 수학을 선택하여 총 3과목만 응시하면 된다.

그러나 이들 학부에도 공통점이 있다면 기출문제를 단순히 입시의 끝이라고 생각하고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 입시가 더럽고 치사하고 어려울지라도 이에 열중해서 풀어나가며 깨우쳐 나가는 자기자신을 발견할 줄 아는 학생, 즉 학력에 맞춰서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에 맞춰서 자신을 끌어올릴 줄 아는 학생을 받아들이려고 하는 방침이라는 교수의 카더라.

국립대 1지망인 학생들이 보험용으로 많이 치는 학교라서 수많은 합격자들이 다른 학교로 빠진다.

10.2. 내외국인 유학생 입시

와세다 유학생 학부 학사 및 대학원 석사, 박사 입시의 경우, 일본인 귀국자녀와 함께 각국의 외국인들이 시험을 치른다.

외국인입시는 크게 입학후 일본어로 수업하는 코스와 영어로 수업하는 코스로 나누어진다.[41] 와세다대학 홈페이지에서 기출문제를 열람할 수 있다.

참고로 와세다대학은 학부 학사, 대학원 연구과 즉 석사(박사전기과정), 박사, 그리고 일본어교육과정 및 교환학생제도를 포함해서 일본에서 가장 많은 유학생이 재적하고 있는 대학이다.
상술했듯이 미국 수능격인 SAT를 1410점 정도 취득해서 와세다대학에 입학하는 영어 입시 전형의 경우, 유학생 지원자 대부분이 한국계 미국인 등 영어 원어민 화자거나, 영미권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유학생, 국제고 혹은 외고를 다닌 학생들이다. 따라서 영어를 기반으로 한 입시를 치루며, G30 입시의 대표적인 학과들은 정치경제학부 PSE, 국제교양학부 SILS, 문화구상학부 CMS, 사회과학부 SSS 등이다. 영어과정 입시자의 경우 일본대학 통상의 4월 입학이 아닌 9월에 입학한다[45]. 참고로 이공학부 영어 전형의 경우 2020-2022년 기준 3년 동안의 합격생 평균 SAT와 ACT 점수를 게시해놓았는데, 각각 1437.8점, 1432.2점이다. 이후 신입생 SAT 점수는 정치경제학부 1437.7점, 사회과학부 1407점, 국제교양학부 1402점, 문화구상학부 1387.2점 순이다. ## 일본 기업들이 학점을 잘 보지 않는 대신, 학점 인플레인 한국대학에 비해 영미권 석박사 진학시 디메리트로 작용한다.

11. 사건 사고

12. 기타


[1] 와세다다이가쿠 (Waseda Daigaku)[2] 와세다대학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자, 와세다대학 특유의 재야정신(在野精神)과 반골기질(反骨の精神)을 상징하는 학풍이다. 귀족학교 이미지를 띠는 게이오기주쿠대학과 차별성을 띠는 부분이다.[3] 학문의 활용이라는 의미로, 단순한 학문의 활용이 아닌 '진취의 정신(進取の精神)'을 추구한다.[4] 모범국민의 조취란 의미로, 조취란 '육성' 또는 '양성'한다는 뜻으로 '지구시민의 육성(地球市民の育成)'을 의미한다.[5] 연지(えんじ・臙脂)색이라고도 하며, 와세다대학의 아이덴티티로 사용될 때에는 와세다 레드(早稲田レッド)로 불리기도 한다. (참조)[6] 와세다대학의 소재지인 신주쿠는 관동대지진 때부터 일본에서 지진 피해가 가장 적은 지역이기도 하며, 신오쿠보 한인코리아타운도 와세다대 인근에 위치해 있다. 관동 대지진 후에 신주쿠에 명점이 속속 개업했다고 일본에서도 언급된다. 1923(대정 12)년에 발생한 관동대지진은 도쿄에 괴멸적인 데미지를 주었으나 도쿄 서부에 위치한 신주쿠의 피해는 비교적 적어 번화가로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애초에 쇼와헤이세이 시대 일본 최대의 한인타운인 신오쿠보가 1950년대부터 발전한 주된 이유 중 하나가 와세다대를 졸업한 롯데그룹 신격호 창업회장이 신주쿠와 시부야 일대에 롯데그룹 회사공장을 대량으로 지어서 한국인들이 많이 몰려들었기 때문도 있다. 따라서 와세다대의 19세기부터의 한국과의 인연으로 인한 지명도는 물론 와세다대의 위치 측면에서도 한국에 대한 향수, 지진에 대한 우려 등 한국인들이 일본에 가지는 걱정거리 대다수를 해결한다고 사료된다. #[7] 기시다 후미오, 노다 요시히코, 모리 요시로, 오부치 게이조, 후쿠다 야스오, 가이후 도시키, 다케시타 노보루, 이시바시 단잔.[8] 최두선, 박태준, 장택상 #[9] 국문 기사 와세다대가 없으면 당도 없다 # 중국 후진타오 국가주석 와세다대학 연설 내용 언급 Liao Zhongkai, Li Dazhao, Chen Duxiu and Peng Pai studied in this institution. 상세 내용은 후술.[10] 그는 자신의 모교인 와세다 대학에 9억 2600만 달러를 기부할 계획이라고 발표 # # #[11] 삼성•CJ•신세계 창업주 이병철 회장, 포스코 박태준 회장, 롯데 신격호 회장. 자세한 내용은 후술. # #[12] 설립자인 오쿠마 시게노부의 별채가 있던 구 도쿄부 우시고메구 와세다촌(현 도쿄도 신주쿠구 니시와세다)의 지명에서 차용해 왔다. 한국어 한자 독음으로 읽으면 '조도전'이 된다. 근대 한국 사료나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조도전'은 십중팔구 와세다대학을 칭하는 말이다.[13] 와세다의 한자 표기의 첫 글자인 '早(조)'와 대학의 '大(대)'를 따온 것이다[14] 재단법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 대학령에 의한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을 설립하는 건을 다이쇼 9년 2월 5일 인가한다.[15] 다이쇼 9년 문부성 고시 제35호 "재단법인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에 대학령에 의한 게이오기주쿠대학(慶應義塾大學)을 설립하는 건을 다이쇼 9년 2월 5일 인가한다."[16] 문부성 고시 제35호로 인가된 게이오기주쿠대학이 고시 번호가 더 빠르긴 하나, 같은 날 동시에 승격되었으로 누가 더 빠른지 논쟁은 무의미하고 공동으로 최초라고 간주하면 된다.[17] 일본의 대학은 캠퍼스가 분산된 경우가 매우 흔하다.[18] 와세다대의 이공계열 메인 캠퍼스로 기능한다. 2030년대까지 3배 증축 방침이다. #[19] 와세다 캠퍼스와 도보로 5-10분 정도의 애매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교시와 교시 중간에 이 캠퍼스에서 저 캠퍼스로 서둘러 뛰어가는 학생들을 흔히 볼 수 있다.[20] 나쓰메 소세키의 출생지인 그 기쿠이초다.[21] 약칭 바바역. 테즈카 오사무의 대표작, 그리고 최초의 재패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철완 아톰의 고향이 되는 역이다. 만화 설정상 2003년 타카다노바바에서 태어난 아톰을 기념하기 위해 2003년부터 타카다노바바역 JR야마노테선의 출발 시그널은 아톰 오프닝 테마의 어레인지 버젼이다.[22] 지명 '니시와세다' 또한 본래는 와세다마치가 아니라 도쓰카마치에 속했던 지역으로 와세다대학으로 인해 지명이 붙은 케이스다.[23] 일본 메이지 14년 정변에서 실각한 후 재야에서 교육활동에 전념.[24] 고려대학교는 와세다대학과 한국에서 가장 교류가 많은 자매학교이다. 고려대학교 일본 자매대학 와세다대학 와세다대학은 고려대학교와 Campus Asi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학사 과정에서는 드문 double degree 학부 복수학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소속의 4학기 이상 이수한 재학생인 경우 신청할 수 있고 3학기 동안 와세다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소속학과 학위를 수여받는다. 반대로 와세다대학교 정치경제학부 재학생의 경우 고려대에서 1.5년간 수업을 듣고 복수학위를 수여받을 수 있다. 단, 고려대학교->와세다대학은 한국/중국 국적 학생만, 와세다대학->고려대학교는 일본/중국 국적 등 학생만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하다. 고려대학교->와세다대학, 와세다대학->고려대학교 또한, 와세다대학의 해외거점 중 하나를 고려대학교에 두고 있다.[25]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와세다대학 정치학부는 협력 관계인 적이 있다. 와세다대학에서 한국인 석박사 통합생을 모집할 때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통해 홍보하기도 한다. 경희대학교-와세다대학 간 교환학생 파견도 활발하다. 2021년부터는 경희대학교와 와세다대학 중앙영어토론동아리가 공동으로 초중고 영어토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중앙 영어 토론동아리[26] 와세다대학과 단국대학교는 자매대학이다. 단국대학교 일본 자매대학 와세다대학 와세다대학과 단국대학교는 학점교류, 교환학생, 학술교류(워크샵) 등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와세다대학-단국대학교 교환학생 프로그램[27] 성균관대학교는 1994년 7월 와세다대학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28] 연세대학교는 와세다대학과 교류세미나를 진행했었다. 연세·와세다 학생 교류 세미나[29] 와세다대학과 한양대학교는 공동 심포지움 개최를 비롯해 가장 활발한 학술교류를 진행 중인 대학 중 하나이다. 와세다대학은 한양대학교와 정보 테크놀러지(IT)와 나노 테크놀러지(NT) 그리고 환경 테크놀러지(ET)를 주제로 공동 심포지움을 개최한 바 있다.[30] CAMPUS Asia 협정교. 중화권에서는 북경대 측과 교류가 활발하다. 2007년-2017년 와세다-북경대 복수학위 10주년 기념 중문 기사 북경대는 1982년에 와세다대학과 협정을 체결하여 학사, 석사, 박사 복수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31] 복수학위 제공.[32] 일본의 사립대학은 느슨한 사학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입시제도에서 국립대학보다 자유도가 높다.[33] 예를 들어, 와세다대학의 2016년 일반입시 모집인원은 5580명이었는데, 합격자 수는 그의 3배가 넘는 17541명이었다.[34] 물론 사립대학에도 센터시험을 이용해서 입학하는 입시전형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입시전형에 비해 난이도가 매우 높고, 선발정원은 매우 적기에 사실상 없는 수준이라고 봐도 된다.[35] '국어+문과수학+사회과(2과목)+과학(문과용 2과목)+외국어'[36] '국어+사회과(1과목)+외국어'[37] 일본 입시학원인 토신 하이스쿨(東進ハイスクール)의 정보에 따르면, 와세다생 일반입시 중 45%가 다른대학과 복수 지원했고(같은대학 다른 학부 중복지원 제외), 그 중 46.5%가 국립대학과 복수 지원했다. 와세다대학 정원 중 약 50%만이 일반 입시인 것을 감안하면, 0.45*0.465*0.5=0.104=약10%, 즉 와세다 10명 중 1명 만이 국립대학과 와세다대학을 동시 지원한다.[38] 와세다는 입학생의 10% 이상이 이 전형이다. 초등학교 입학 후 별다른 수험공부 없이 무시험 전형으로 온 금수저까지, 편차가 대단히 크고 다양하다.[39] 대학원 석박사는 내외국인이 같이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자대생이 80-90%인 분위기라 분위기가 한국과 많이 다르다.[40] 그래서 센터시험 이용입시는 스베리도메(보험)로 사립대를 수험해 보는 학생이 거의 100%이다. 문제는, 사립대학도 이런 사정을 알기에, 일반입시에 비해 난이도를 매우 높고, 선발정원은 매우 적게 설정해 둔다.[41] 일본어 코스는 모든 학부에 설치되어있으며, 영어 코스는 정치경제학부, 선진이공학부, 문화구상학부, 국제교양학부, 사회과학부에 설치되어있다. 상학부에서는 교환유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42] 2020년 기준으로 이학과, 스포츠과학과를 제외하고는 일본유학시험에서 요구되는 것은 일본어 영역 뿐이다.[43] 또한 대부분의 지문은 현대문만을 다루지만, 문학부 전수 코스에 고문을 다루는 학과가 있는 관계로, 4~5년에 한번씩 일본어 본고사에 근대문어문이 나오니 해당하는 년도 기출을 풀어볼 필요가 있다.[44] 학적번호에 따라서 유학생의 구별이 가능하기때문에 시험이나 학내 면접 등에서 유학생이 헤택을 받는 경우도 있다.[45] 입시일정이 학부와 프로그램별로 제각각이다.[46] 당시 50대의 남성 직원으로, 이 사람은 사건 전에도 부정입학 의뢰를 자주 받았다고 한다.[47] 소속 학부는 밝혀지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