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22:39:02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71796>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체크무늬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크로아티아 공국 · 크로아트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문화 크로아티아 요리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 크로아티아어 · 관광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프르바 HNL · 라틴 문자
정치 대통령 · 총리 · 사보르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크로아티아 쿠나(폐지) · 유로
지리 자그레브 · 두브로브니크 · 풀라 · 포레치 · 자다르 · 오시예크 · 달마티아 · 스플리트 · 시사크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유럽연합
군사 크로아티아군
민족 슬라브 · 크로아티아인(크로아티아계 미국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캐나다인)
}}}}}}}}} ||
크로아티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R / D A Z S P
일리리아 왕국 일리리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 일리리아 왕국
일리리아 전쟁
로마 공화국
일리리아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로마 제국 일리리아 왕국 로마 제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동고트 서로마 제국
5C 말 오도아케르 동고트 오도아케르
동고트 왕국
6C 동로마 제국 랑고바르드 왕국 동로마 제국
아바르 칸국
슬라브
동로마 제국 남슬라브
8C 크로아트 족
9C 동로마 제국 크로아트 족 프랑크 왕국
크로아트 공국 동프랑크 중프랑크 왕국
10C 크로아트 왕국 신성 로마 제국
헝가리 신성 로마 제국
11C 동로마 제국 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 베네치아 크로아트 왕국 헝가리 왕국
12C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3 ~ 14C 라구사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몽골 서정군의 침입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슬라보니아
/ 헤르만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5 ~ 16C / 17C
베네치아 공화국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18C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19C 프랑스 제1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20C : 유고슬라비아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현대 크로아티아 공화국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크로아티아 공화국
※ S는 동부 슬라보니아 평야 일대, P는 풀라/이스트리아 반도, D는 달마티아 해안 지방 }}}}}}}}}

파일:동유럽 아이콘.png 동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A] 몰도바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조지아[A] 압하지야[A] 남오세티야[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아르메니아[A] 아제르바이잔[A] 카자흐스탄[A] }}}
[A] 일부 지역만 동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 또는 넓은 의미로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는 국가.
(주로 아시아에 분포, 캅카스서아시아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A] [A] [A] [A] [A] [A]
}}}}}}

파일:남유럽 아이콘 수정.png 남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포르투갈 스페인 지브롤터파일:영국 원형.png 안도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이탈리아 바티칸[이탈리아] 산마리노[이탈리아] 몰타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슬로베니아[A] 크로아티아[A]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A] 몬테네그로[A]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세르비아[A] 코소보[A] 알바니아[A] 북마케도니아[A]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루마니아[A] 불가리아[A] 그리스 튀르키예[B]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키프로스[C] 북키프로스[C] 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png[C] }}}
[이탈리아] 모든 국토가 이탈리아에 둘러싸인 국가다. [이탈리아] [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A] 동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지리적으로는 보스포루스 해협 이서의 일부 지역(동트라키아)만이 남유럽에 속해있으나 정치, 경제, 군사, 사회문화적인 이유로 튀르키예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C] 키프로스 섬은 지리적인 이유로 서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민족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그리스튀르키예와 가깝기에 남유럽으로 분류되기도 한다.[C] [C]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D84 0%, #003399 20%, #003399 80%, #012D84)"
{{{#!wiki style="color: #ffcc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가나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가나가봉그리스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베트남벨기에왈롱-브뤼셀 연방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르비아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랍에미리트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공화국지부티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퀘벡 주기.svg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뉴브런즈윅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토고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대한민국도미니카 공화국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멕시코모잠비크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루이지애나파일:미국 원형 국기.sv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아르헨티나아일랜드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파일:온타리오 주기.svg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우루과이온타리오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체코코스타리카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폴란드헝가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협력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IMF선진국.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구성 공화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미승인국)
}}}}}}}}}}}}}}}
크로아티아 공화국
Republika Hrvatska
Republic of Croatia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장.svg
국기 국장
상징
국가 아름다운 우리 조국(Lijepa naša domovino)〉
역사
대타협헝가리 왕국-크로아티아 타협 1867년[1]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수립 1918년
크로아티아 독립국 수립 1941년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수립 1943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5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 1991년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수도 | 최대도시 자그레브
면적 56,610km²[2]
접경국
[[헝가리|]][[틀:국기|]][[틀:국기|]]

[[슬로베니아|]][[틀:국기|]][[틀:국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틀:국기|]][[틀:국기|]]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몬테네그로|]][[틀:국기|]][[틀:국기|]]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인구 4,015,026명(2023년) | 세계 130위
민족 구성 크로아티아인 90%, 세르비아인 4%, 기타 5%
인구 밀도 73명/㎢ | 109위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1.50명(2020년)[3] CIA 자료 1.45명(2022년)[4]
공용어 크로아티아어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기독교 92%(가톨릭 87%, 정교회 5% 및 기타 개신교)
이슬람 1.4% 등
군대 크로아티아군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정치 체제 공화국, 단일국가, 단원제,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지수 6.50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58위)
대통령
(국가원수)
조란 밀라노비치(Zoran Milanović)
총리
(정부수반)
안드레이 플렌코비치(Andrej Plenković)
여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경제체제 자본주의시장경제
GDP(명목) 680억 달러(2022년)
GDP(PPP) 1,350억 달러(2022년)
1인당 GDP
(명목)
$17,222(2022년)
1인당 GDP
(PPP)
$34,093(2022년)
국부 $2,280억 / 세계 67위(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Ba2
S&P BB
Fitch BB
통화 유로(€)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1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수교현황 대한민국: 1992년 11월 18일
북한: 1992년 11월 30일
국제연합 가입 1992년 5월 22일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 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97 }}}}}}}}}
ccTLD
.hr
국가 코드
191, HRV, HR
국제 전화 코드
+385
여행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위치
<colcolor=#ff0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크로아티아 위치.svg
파일:external/cfd.tourtips.com/%ED%81%AC%EB%A1%9C%EC%95%84%ED%8B%B0%EC%95%84_%ED%85%8C%EB%A7%88_%EC%9E%90%EB%8B%A4%EB%A5%B4%EB%AF%B8%EB%8B%88%EC%A7%80%EB%8F%84_TTP.jpg
}}}}}}}}}
1. 개요2. 국가 상징3. 행정구역4. 지리와 주요도시5. 외국어 지명6. 역사7. 경제8. 관광9. 정치
9.1. 정치 제도9.2. 정당 구성
10. 사회
10.1. 민족10.2. 언어10.3. 종교
11. 군사12. 외교13. 문화
13.1. 스포츠13.2. 대중매체에서13.3. 크로아티아 출신/국적의 캐릭터
14.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는 지중해(아드리아해)와 접한 발칸 반도 서북쪽에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분리독립한 남유럽 국가이다.[5] 수도자그레브(Zagreb)이다. 역사는 꽤 오래전부터 이어지나 헝가리 왕국, 합스부르크 세습령, 유고슬라비아 왕국 등 여러 나라와 동군연합으로 있다가 1991년에야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 100년도 안되는 짧은 시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인종 청소 등 굵직한 사건을 겪었다.

발칸반도 지역에서는 서방과 동방 사이의 경계선상에 위치한 나라이며 서북쪽으로 슬로베니아 (그리고 약간만 더 건너서 이탈리아오스트리아가 있다.), 동북쪽으로 헝가리, 동쪽으로 세르비아, 동남쪽으로 몬테네그로,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동부 중간에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아드리아해를 접하고 있고, 이를 건너가면 이탈리아가 있다.

2. 국가 상징

2.1. 국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국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국장

파일:cromyth03.png
파일:크로아티아 국장.svg
크로아티아 국장(Grb Republike Hrvatske)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이었던 막시밀리안 1세의 문장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막시밀리안 1세의 둘째 손자로 크로아티아 국왕이기도 했던 페르디난트 1세가 선출되었던 세틴 의회의 인장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되었는데, 합스부르크 세습령 산하 헝가리 왕국동군연합이었던 크로아티아 왕국에서부터 사용된 체크무늬(Šahovnica)가 들어가 있다.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에도, 미르코 크로캅PrideK-1에서 활약했을 때 입었던 트렁크 팬티에도, 체크무늬가 있을 만큼, 크로아티아인의 상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방패 상단의 다섯 문양은 중앙크로아티아(Središnja Hrvatska), 두브로브니크(Dubrovnik), 달마티아(Dalmacija), 이스트라(Istra), 슬라보니아(Slavonija) 지방을 상징한다.

이 체크무늬의 유래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공화국의 보호국이었던 크로아트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크로아트 국왕 스테판 1세 드르지슬라프(Stjepan Držislav)와 크로아티아를 장악하려 노리던 베네치아 도제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Pietro II Orseolo)[6] 간의 체스 대결에서 피에트로 2세가 스테판 1세를 붙잡았을 때, 그에게 "만일 나와의 체스 대결에서 이기면 원하는 걸 들어주겠다."고 말했고, 스테판 1세는 "만일 각하와의 체스 대결에서 내가 이기면, 나를 풀어 달라."고 요청했다. 둘 다 체스광이었으나 실력은 스테판 1세가 앞섰는지 결국 그가 이겼고, 그의 소원대로 피에트로 2세는 스테판 1세를 풀어주어야 했다고 한다. 이후 베네치아의 간섭을 피해 크로아티아의 자주독립을 지키려 노력한 스테판 1세를 기려, 크로아티아 전체의 상징이 체스 무늬인 빨간색 체크무늬로 굳어진 것이라고 한다. 출처. 다만 다른 나라의 웬만한 민담이나 설화가 그렇듯이 이것도 실제 여부는 확인되지 않으며, 한참 뒤부터나 기록에 보이기 시작하는 이야기다. 아무튼 악명높은 가톨릭 교권 파시즘 단체이자 나치 독일에 부역한 우스타샤도 이 무늬를 사용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을 보고 우스타샤를 방불케 한다며 반감을 사는 경우도 많다. 특히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크로아티아 측에 의해 학살을 겪었던 세르비아와 보스니아 등 옛 유고슬라비아권 다른 나라들에서 많이 나온다.

2.4.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름다운 우리 조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지리와 주요도시

매우 기다란 해안선[7]과 깊숙한 내륙을 동시에 지닌 나라로, 흡사 V자형 부메랑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크게 3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고, 행정구역상으로는 20개 주와 자그레브 특별시까지 21개로 나뉜다.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가 건기, 11월부터 3월까지는 우기다.
※ 굵게 표시된 지역은 한국인들이 자주 찾는 주요 관광지역들이다.

5. 외국어 지명

오랫동안 크로아티아 본토는 합스부르크 제국, 달마티아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였던 여파로 독일어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명칭이 남아있다.

Agram(아그람) : 수도 자그레브의 독일어명이다.

Ragusa(라구사) : 두브로브니크의 이탈리아어명이다.

Spalato(스팔라토) : 스플리트의 이탈리아어명이다.

Zara(차라) : 자다르의 이탈리아어/독일어명이다.

Fiume(피우메) : 리예카의 이탈리아어/헝가리어명이다.

Sankt Veit am Flaum(장크트바이트암플라움) : 리예카의 독일어명이다.

Pola(폴라) : 풀라의 이탈리아어명이다.

6.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R / D A Z S P
일리리아 왕국 일리리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 일리리아 왕국
일리리아 전쟁
로마 공화국
일리리아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로마 제국 일리리아 왕국 로마 제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동고트 서로마 제국
5C 말 오도아케르 동고트 오도아케르
동고트 왕국
6C 동로마 제국 랑고바르드 왕국 동로마 제국
아바르 칸국
슬라브
동로마 제국 남슬라브
8C 크로아트 족
9C 동로마 제국 크로아트 족 프랑크 왕국
크로아트 공국 동프랑크 중프랑크 왕국
10C 크로아트 왕국 신성 로마 제국
헝가리 신성 로마 제국
11C 동로마 제국 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 베네치아 크로아트 왕국 헝가리 왕국
12C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3 ~ 14C 라구사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몽골 서정군의 침입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슬라보니아
/ 헤르만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5 ~ 16C / 17C
베네치아 공화국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18C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19C 프랑스 제1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20C : 유고슬라비아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현대 크로아티아 공화국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크로아티아 공화국
※ S는 동부 슬라보니아 평야 일대, P는 풀라/이스트리아 반도, D는 달마티아 해안 지방 }}}}}}}}}

7.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untitled.croatia.beauty.2018.png

대표적인 관광지인 두브로브니크.

9. 정치

남유럽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그리스 루마니아 몬테네그로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바티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페인 슬로베니아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영국 원형.png
안도라 알바니아 이탈리아 지브롤터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코소보 i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ii 포르투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i : 미승인국
ii : 지리적으로는 국가의 일부 지역인 동트라키아만 남유럽에 속하나 유럽 평의회 회원국이며, 유럽연합 가입준비국으로 국가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

크로아티아의 정치 정보
<colbgcolor=#171796> 부패인식지수 50점 2023년, 세계 57위
언론자유지수 68.79점 2024년, 세계 48위
민주주의지수 6.50점 2023년, 세계 58위

9.1. 정치 제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7B 0%, #171796 20%, #171796 80%, #00007B); 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프라뇨 투지만 스테판 메시치 이보 요시포비치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
제5대
조란 밀라노비치
크로아티아 총리 }}}}}}}}}}}}


크로아티아의 국가원수는 크로아티아 대통령이고 헌법상으로는 대통령이 총리보다 우위에 있다. 단 크로아티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이기 때문에 대통령은 의전서열이 높을 뿐, 독자적으로 정치적 결정을 내릴 권한은 없다. 현재 대통령은 사회민주당조란 밀라노비치이다.

현재 총리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소속의 안드레이 플렌코비치이고 2016년부터 현재까지 4년째 재임 중이다. 총선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4년에 한번씩 치러지며 모두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다만 선거제도가 너무 복잡해서 크로아티아인들도 헷갈린다고 한다. 크로아티아의 총선은 12개 선거구에서[15] 봉쇄조항을 두긴 했는데, 독일처럼 전국 단위에서 5%를 넘는 정당이 아닌 선거구 단위로 5%를 넘는 정당에게 의석을 배분하기 때문에 정당 난립이 꽤나 심각하다. 소수민족 단위로는 고작 2석, 3석에 달린 의석까지 비례대표제를 시행한다.

9.2. 정당 구성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사보르 로고.jpg크로아티아 사보르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2차 플렌코비치 내각
(2020 ~ 현재)
여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61석
독립민주세르비아당
3석
신임 공급
크로아티아 인민당 – 자유민주
1석
크로아티아 사회자유당
2석
연금수령자 크로아티아당
1석
무소속
5석
야당
사회민주당
34석
크로아티아 농민당
2석
중도당-시민자유동맹
3석
이스트리아 민주의회
3석
다리
8석
조국운동
12석
기타 야당
6석
좌파-녹색 연합
6석
무소속
7석
재적
151석
}}}}}}}}}


크로아티아의 국회는 크로아티아 의회(Hrvatski sabor, 흐르바츠키 사보르)라고 하며, 짧게 줄여서 사보르(Sabor)라고도 한다. 사보르는 151명의 국회의원들로 이뤄지고 국회의원들의 임기는 전술했듯 4년이다.

고작 151개 의석을 가진 의회 치고는 원내정당이 아주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의회에 의석을 가진 정당이 무려 20개이다. 비교하자면 정원 734석의 독일 연방의회(하원)는 원내정당이 7개이다.

뿐만 아니라 정당간의 이합집산도 너무 심해서 구미권 정치학자들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크로아티아 정치인들까지도 헷갈린다고 한다. 예를 들자면 중도좌파 연합인 인민동맹(Narodna koalicija)은 2015년 창립 당시에는 사회민주당과 크로아티아 농민당, 크로아티아 인민당, 이스트라 민주동맹이 가입했는데, 2016년 인민당이 이 연합에서 뛰쳐나가 중도우파 연합에 가입했다. 이스트라 민주동맹은 다른 지역정당과 암스테르담 동맹이라는 정당연합을 또 창립했다. 그러고서는 또 언제 그랬냐는듯이 2020년 대선때는 암스테르담 동맹이 사회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 그중에서 크로아티아 농민당은 완전 가관인데 2011년에는 중도좌파연합에 붙었다가, 2015년에는 중도우파연합에, 2016년에는 중도좌파연합에 붙다가 2018년 연합을 탈당했는데 2020년 대선때 다시 중도좌파연합에 붙었다.

크로아티아 정당 구도를 이루는 5개의 세력은 기독교민주주의, 사회주의, 중도 포퓰리즘, 극우 포퓰리즘, 진보성향 지역정당이다. 그중 기독교민주주의 세력은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세력은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뭉쳐있다. 중도 포퓰리즘 세력에 속한 정당은 독립연대목록 하나 뿐이고 극우 포퓰리즘 세력은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16] 지역주의 정당들도 구심점을 찾지 못하다가, 2019년 유럽의회 선거를 앞두고 암스테르담 동맹으로 연합하였다.

10. 사회

10.1. 민족

파일:9A875448-D838-4CD5-991B-5B26C7432402.jpg

유럽 내 최장신 국가들 중 하나다.[17] 보통 네덜란드로 알고 있지만 크로아티아를 비롯해 남슬라브인들도 만만치 않게 큰 편이다. 20 ~ 24세 기준 평균 신장이 남성 181cm, 여성 166cm.[18][19] 194cm 분포도가 상위 3%다.[20] 달마티아의 작은 도시인 마카르스카 같은 경우 남성 평균 신장이 188cm#[21]에 달한다.

최장신이라 그런지 패션모델들 중 크로아티아인이 상당히 많다.

과거 20세기 초중반 우생학이 유행했을 무렵에는 타 슬라브족들보다도 압도적으로 큰 키와 단두형 두상 때문에 이들을 슬라브족으로 보지 않고 '디나르 알프스 인종(Dinaric race)'으로 분류하던 적도 있었고 크로아티아인들 스스로도 자신들은 슬라브족이 아니라는 주장의 근거로 삼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후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들도 민족적으로 엄연히 슬라브족이 맞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이 가설은 폐기된 상태.

크로아티아인이 인구의 90.4%를 차지하고, 최대 소수민족은 세르비아인이다.[22] 유고 내전 전인 1991년에는 인구의 12.2%를 차지했으나, 크라이나-세르비아 공화국의 실패와 크로아티아인의 학살 등으로 인해 25만 명의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이 세르비아스릅스카 공화국으로 도피했으며 2013년에는 4.4%로 감소. 그외 크로아티아내 주요 소수 민족으로 보슈냐크인이탈리아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일부 소수 민족은 국회 내 선거구가 따로 있다. 예를 들어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 국회에 3명의 의원을 보낸다.

10.2. 언어

공용어는 크로아티아어다. 그 외에 소수민족 언어로 루신어, 헝가리어, 독일어도 사용된다.

소수민족으로 세르비아인, 보슈냐크인도 있지만, 이들이 쓰는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는 크로아티아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라고 하는 하나의 언어에서 내전 이후 갈라져 나왔고 실제로 의사소통에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로 비슷하기 때문에 별개 언어로 치지 않는다.

이스트리아 반도에서는 이탈리아어 사용자도 존재하며, 일부 러시아어 사용자도 존재하고 2018년에는 크로아티아에서도 러시아어를 배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러시아어 원문)

크로아티아 서남부 일대인 달마티아 지역에서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던 달마티아어라는 언어도 쓰였지만 16세기부터 세가 축소되어가서 19세기에 이르러서는 겨우 몇명만 쓰는 언어가 되었고 1898년에 마지막 화자인 Tuone Udaina가 사망하면서 현재는 달마티아어를 일상적으로 쓰는 사람은 없다.

10.3. 종교

크로아티아에는 가톨릭 신자의 비중이 대체로 높다. 크로아티아 내의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고 보슈냐크인들은 이슬람교를 믿는 비중이 높다. 참고로 크로아티아인,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은 같은 기원과 언어를 공유하며 종교만 다를 뿐, 사실상 같은 민족이다.

11.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Osrh.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egman_041.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roatian_soldiers.jpg
파일:external/i110.photobucket.com/b21-3.jpg

파일:external/i251.photobucket.com/brodovi_veliki.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TOP-42_Dubrovnik_u_Lori.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ig21_kockasti.jpg
파일:external/i219.photobucket.com/IMG_5911.jpg

크로아티아 국군(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OSRH)이 국방을 책임지고 있다. 크로아티아군은 육군(Hrvatska kopnena vojska)과 해군(Hrvatska ratna mornarica), 항공방위대(Hrvatsko ratno zrakoplovstvo i protuzračna obrana, 공군에 준하는 조직)로 구성되어 있다.

모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현역 병력은 총 18,400명으로 세계 100위의 전력이다.

12.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문화

남유럽 문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그리스 몬테네그로 몰타 바티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스페인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알바니아 이탈리아 지브롤터 크로아티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코소보 i 키프로스 포르투갈 튀르키예 ii
i : 미승인국
ii : 지리적으로는 국가의 일부 지역인 동트라키아만 남유럽에 속하나 유럽 평의회 회원국이며, 유럽연합 가입준비국으로 국가 전체를 남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

넥타이의 기원은 크로아티아 군인들이 목을 보호하기 위해 두른 목수건 크라바트(kravat)에서 유래하였으며, 17세기 30년전쟁 때 참전한 크로아티아 군인들로 인하여 유럽 전역에 유행하게 되었다. 현재는 국가대표 브랜드 격으로 크로아타(Croata) 매장이 요지에 널려 있다. 또한 파프레냐크(Paprenjak)이라는 후추쿠키도 유명하다.

종교로는 가톨릭이 대부분(90% 가까이)이다. 가톨릭은 그 자체로 세르비아나 보스니아인과 구별되는 크로아티아인의 민족 정체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과거로부터 미남이 많은 곳으로 꼽히며 전형적인 푸른눈, 새하얀 피부에 키크고 날씬한 백인 미남 이미지의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남성 패션모델 중 크로아티아 출신이 꽤 많다. 체코몬테네그로도 비슷한 상황이다.

하프라이프FPS 게임의 트렌드가 바뀐 이후의 FPS게임 시장에서, 클래식한 FPS의 학살 미학을 추구한 시리어스 샘 시리즈를 개발한 크로팀이 크로아티아 회사다.

크로아티안 랩소디 등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인 막심 므라비차와 트위치 스트리머 가브리엘의 모국이다. 또한 스틸하트의 멤버 밀젠코 마티예비치의 고향이 자그레브다.[23] 2CELLOS도 크로아티아 출신이다.

흔히 뉴질랜드 출신이라고 알려진 가수 로드도 크로아티아 혼혈이며 크로아티아 시민권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유로파 유니버셜리스 갤러리의 성자 레즈마르, 마르코 레지치의 고향이 크로아티아이다.

락 음악이 상당히 발달해 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크로아티아 락밴드들이 'Rock za Hrvatsku(크로아티아의 락)'라는 애국가요 컴필 앨범을 내기도 했다. 대표적인 크로아티아 락밴드로 Parni Valjak이 있다.

13.1. 스포츠

종목 불문하고 크로아티아 국가대표 유니폼은 언제나 흰 색과 빨간색의 체크무늬가 들어간다. 개인 경기인 종합격투기에서조차 미르코 크로캅이 이 무늬의 팬티를 착용했다.

전체 인구가 부산광역시보다 조금 많은 수준인 작은 나라임에도 구기종목에서 상당히 강한 편이다.

축구가 최고 인기 스포츠로,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400만명의 적은 인구풀로도 FIFA 월드컵에서 무지막지한 성과를 내며 유명세를 떨쳤다. 첫 출전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서 3위를 기록하며 갓 독립한 국가를 세계인의 뇌리에 톡톡히 새겨넣었고 20년 뒤 황금세대가 모인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 준우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3위에 빛나는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당시 16강-8강-4강의 세 경기를 모두 연장 승부 끝에 승리하여 결승에 오른 투혼으로 전 세계의 축구 팬들의 응원을 받으며 조국의 이름을 전 세계에 떨쳤다. 팀의 주장으로 골든볼을 받으며 팀을 결승으로 이끈 레알 마드리드 CF의 핵심 미드필더 루카 모드리치는 크로아티아의 국민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24]

프로축구 리그인 크로아티아 1.HNL도 활성화되어 있는데, 유럽에서 최초로 집단화된 서포터 그룹으로 알려진 토르치다(Torcida,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팬)가 유명하다. 대한민국에 진출한 선수로는 이싸빅[25]뚜레[26], 마토, 다미르, 오르샤가 대표적이다.

생계를 위해 호주로 대거 이민을 떠난 크로아티아 사람들이 호주에서 멜버른 나이츠, 시드니 유나이티드 FC 등의 프로축구 팀을 만들기도 했으며,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는 호주와 크로아티아가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맞붙는 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호주에서 태어났는데 크로아티아 국적 및 국가대표팀을 선택한 몇몇 선수들이 있었고 반대로 호주로 이민을 떠나 정착하여 호주 국대에 뽑힌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상당수 있으며, 주장으로 활동한 밀레 예디낙도 크로아티아계 이민자다. 과거 리즈 유나이티드 FC의 주포로 활약했던 마크 비두카가 크로아티아계 호주 국가대표 축구선수로 유명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크로아티아 출신 선수가 있는 팀이 우승을 하는 징크스가 있었다.

다른 종목에 비하면 아직은 부족하지만 야구도 나름대로 입지를 다지고 있는 편이다. 유럽야구선수권대회에서 최상위 디비전인 A조에 2014년까지 유지한 적 있으며 7개팀으로 구성된 자국리그가 있는데 대표적인 팀은 NADA SM 스플리트이다. 유럽 야구연맹 본부가 있다.

종합격투기 선수인 미르코 크로캅이 유명하며, 루카 모드리치 이전 이 나라를 대표하는 국민적인 스포츠 스타였다. 또한 현 UFC 헤비급 챔피언 스티페 미오치치도 크로아티아계 미국인이다.

테니스도 잘 치는 편. 2014년 US 오픈 우승자 마린 칠리치와 2001년 윔블던 우승자 고란 이바니세비치가 대표적. 이외에도 이반 류비치치, 마리오 안치치, 보르나 초리치들의 수준급 선수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복식 경기에서는 올림픽에 출전한 크로아티아 복식조 두팀 모두 결승에 올라가면서 각각 금메달, 은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 외에 농구핸드볼, 수구가 성행한다. 남자 핸드볼은 올림픽에서 2번 우승한 전력이 있으며, 수구는 올림픽이나 월드리그 등에서 종종 우승하는 강국이다. 크로아티아 출신의 농구선수로는 시카고 불스 최전성기에 식스맨으로 활약하며 식스맨상을 수상한 토니 쿠코치가 유명하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결승전에 진출하기도 했다.

배구도 꽤 잘하며,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서 2007~08 시즌, 2008~09 시즌 우승을 이끈 최고의 외국인 용병들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던 배구 선수 안젤코 추크 역시 크로아티아 출신이다.

알파인 스키 선수 야니차 코스텔리치는 동계 올림픽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월드컵 종합 우승 3회 (한 시즌에 모든 종목 1위 달성, 그랜드슬램), 월드컵 개별 경기 1위 30회, 2위 16회, 3위 9회나 했다. 거기에 세계선수권대회 우승 3회의 대 기록을 세운 대단한 선수였다. 선수 생활 기간은 짧은 편. 98년 16세로 월드컵 경기에 데뷔해 2006년 은퇴했다. 월드컵 종합우승 1회, 올림픽 은메달 4개로 좀 불운했던 오빠 이비차 코스텔리치와 함께 크로아티아 출신 운동선수 중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선수이다. 이 둘의 레이싱 수트에는 예의 국가문장의 빨간색 체크 무늬가 들어가 있었기에, 움직임이 빠르고 코스를 보여주기 위해 사람이 작게 찍히는 스키 중계 화면으로 보아도 구분이 쉬웠던 편이었다.

13.2. 대중매체에서

2차대전 중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이 나치에 부역했다는 사실 때문에 나치와 엮이는 경우가 많다.

붉은 돼지의 주인공의 거처가 크로아티아 내 무인도라는 설정이다.

가수 밥 딜런은 크로아티아를 나치에 비유했다가 소송에 걸리기도 했다.[27]

2014년 출시된 게임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나치 독일이 전세계를 통치하는 대체 역사를 다루고 있는데 나치 독일과 친했다는 점 때문에 크로아티아가 몇 번 언급된다. 나치가 건설한 유로피언 레일의 종착역이 크로아티아의 수도 자그레브다. 게임 중반에는 아예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나치의 노동수용소에 쳐들어가는 미션도 있다.

13.3. 크로아티아 출신/국적의 캐릭터

※ 해당 국가의 작품에 나오는 캐릭터는 제외한다.

14. 외부 링크


[1] 1848년 헝가리 혁명 진압에 찬동한 공로로 오스트리아 제국헝가리 왕국대타협 이후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중재로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이 이루어졌다.[2] 대한민국의 약 ½, 경상도전라도 합친면적과 비슷한 면적이고, 북한함경도와 비슷한 크기이다.[3] 출처[4] 출처[5] 보통 남유럽 국가로 보지만 소련의 영향을 받은 영향이 있어 동유럽 국가로도 불리는 경향이 있다. 대체로 국제정치학에서는 동유럽으로 분류하는 편이다. 정치학에서의 동유럽은 구 사회주의권 국가들을 지칭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국제정치학에서의 남유럽은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몰타, 그리스, 키프로스(, 튀르키예) 등 제1세계 국가들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6] 아드리아 해 동해안의 여러 요충지를 베네치아령으로 삼아 아드리아 해를 "베네치아 만(灣)" 으로 만드는 데 크게 공헌한 인물이며, 더 나아가서는 훗날 베네치아가 동지중해 무역을 장악하는 초석을 놓은 인물이다. 그리고 크로아티아는 아드리아 해에 면한 나라다.[7] 이에 따라 섬도 엄청나게 많다. 이웃나라 이탈리아에서 여름 휴가지로 놀러올 정도이다. 이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내륙국으로 만들 뻔했다.[8] 16개의 호수가 이어져 있는 초대형 국립공원. 원시림과 호수, 폭포 등이 어우러져 동화 속의 요정 마을 같은 풍경을 뽐낸다.[9] 세르비아의 괴뢰 국가 크라이나-세르비아 공화국의 수도였다.[10] 이스트리아 반도 최대의 도시다.[11] 개 품종 중 하나가 이 지역 이름을 딴 것이다.[12] 스플리트 바로 앞에 있는 흐바르섬을 가는 이들이 꽤 있다.[13] 이 지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거치지 않고서는 육로를 통해 진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토와 이곳 사이를 이어주는 다리가 개통하며 육로로 갈 수 있게 됐다. 사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조정하는 과정에 네움 지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으로 넘어간 것. 네움 문서 참고.[14] 이곳에는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쿠파리(Kupari)라는 관광단지가 있기도 하다.[15] 이 중 1개는 재외국민을 위한 선거구이고, 다른 1개는 소수민족을 위한 선거구이다.[16] 다만 2020년 대선 때에는 연합해 극우성향 후보인 스코로를 지지했다.[17] 제일 큰 나라는 남자 평균키 183.9cm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이다. 그런데 보스니아 인구 중 상당수가 크로아티아인.[18] 키는 엇 비슷하나 전반적인 골격은 게르만계가 더 큼직하다. 남슬라브 인종은 뼈대가 가늘지만, 게르만 인종은 뼈대가 굵다. 뼈대는 얇지만 살이 잘 붙는 편이라 성인 남성 평균 체중이 91kg#, BMI 30 기준 비만율은 25% 정도로 평균 신장이 비슷한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보다 높고 독일과 비슷한 수준이다.[19] 근처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도 평균 신장이 남성 182cm, 여성 168cm 전후로 굉장히 크다.[20] 크로아티아 18세 남녀 기준으로 보면 평균키 남자 180.8cm, 여자 166.6cm로 상위 3%가 194.2cm와 178.5cm다.http://hrcak.srce.hr/index.php?show=clanak&id_clanak_jezik=112310.[21] 다만 측정값(Measured)이 아닌 설문조사(Self-reported)로 얻은 값이고, 표본이 27명 뿐이라 정확도는 다소 떨어진다.[22] 니콜라 테슬라가 가장 유명한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인이다. 사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은 남슬라브에서 갈라진 유전적으로 같은 민족이다. 그러나 헝가리 왕국에 이어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와 한 배를 탄 크로아티아와 오스만 제국의 오랜 지배 끝에 독립한 세르비아는 오랜 기간 동안 종교를 포함한 여러면에서 달라졌고 결국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영원히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가 되고 말았다.[23] 다만 5세 때 부모님을 따라 미국으로 이민가서 국적은 미국이다.[24] 모드리치는 이후 발롱도르를 수상했다.[25] 본명 야센코 사비토비치(Jasenko Sabitović). 전 포항-성남-수원-전남. 원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이나 모계가 크로아티아계였고, 나중에는 대한민국으로 귀화하여 국적 관계가 복잡하다.[26] 본명 제바드 투르코비치(Dževad Turković). 전 부산-성남. 역시 출신은 몬테네그로이지만 크로아티아 국가대표 경력이 있다.[27] 사실은 유고슬라비아 내전보스니아 내전을 바탕으로 쓴 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