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12:18:10

언어유희

하이개그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유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말장난'''{{{#!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카가미네 린의 오리지널 곡}}}에 대한 내용은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카가미네 린의 오리지널 곡: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종류3. 예시4. 문서가 존재하는 언어유희5. 번역의 어려움
5.1. 관련 작품
6. 관련 인물7. 대중매체에서
7.1. 캐릭터

1. 개요

1. 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 말 잇기 놀이, 어려운 말 외우기, 새말 만들기 따위가 있다.
2. 내용 없는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말을 늘어놓는 일.
표준국어대사전
언어유희() 또는 말장난(word play)은 을 소재로 하는 놀이이다. 최근엔 아재개그라는 표현도 자주 보인다. 영어로는 동음이의어나 다의어 등의 소리나 형태를 이용한 말장난을 '펀(pun)'이라고 하며,[1] # 일본어로는 '다자레/다쟈레([ruby(駄洒落, ruby=だじゃれ)])'라고 한다.

의미는 다르나 발음이 겹치는 낱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비슷한 발음 혹은 몬더그린도 포함된다. 이 밖에도 문자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는 띄어쓰기의 적절한 사용으로 언어유희를 만드는 것도 있으며 특히 한자문화권의 경우 파자까지 언어유희의 일종으로 해석한다. 역두문자어도 일종의 언어유희라고 볼 수 있다.

2. 종류

3. 예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어유희/예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어유희/예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어유희/예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문서가 존재하는 언어유희

5. 번역의 어려움

유머외국어로 옮겨지면 망하는 재능 중에 으뜸가는 것이다.
Humor is the first of the gifts to perish in a foreign tongue.
버지니아 울프
번역자들로 하여금 작가와 외국어를 저주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일부에서는 '번역해도 재미 개뿔 나발도 없고, 원문 남기고 설명을 넣으면 그건 그것대로 추하다'고 평했다.

번역을 해 본 사람만이 아는 고통이다. 'です(데스)'를 'Death'로 바꿔 쓰는 등이 예로, 이걸 대체 뭐라고 번역해야 할지는 웬만한 베테랑마저도 고민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이런 언어유희의 처리는 보통 3가지이다.
번역 말고도 다른 문제가 있는데, 언어의 사회성역사성과 관련 있는 문제이다. 규범대로는 언어유희가 성립되지만 사람들은 언어유희로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고, 특히 규정 변경으로 말미암아 어떤 단어가 비표준어가 되었거나 단어의 뜻이 달라졌거나 축소되면 등의 내용에 쓰인 단어를 다른 표현으로 개정해야 하나 기존 내용에 언어유희가 있으면 문제가 생긴다. 언어유희에는 그다지 알맞지 않은 예이지만, 규정이 바뀌어 문장 '돈과 용서를 빌어'를 '돈을 빌리고 용서를 빌어'로 개정해야 하는 식이다.[4] 반대로 규범대로는 언어유희가 성립되지 않지만 언어유희로 생각할 수도 있다. 관련 내용은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서와 틀렸다고 오해하기 쉬운 한국어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언어유희를 적절하게 번역하는 실력 있는 번역가는 오덕들에게서 추앙받는다. 현정수, 금정, 윤강비, 곽형준, 이승원 등이 꼽힌다.

물론 운 좋게도 고민할 필요없이 둬도 되는 말장난도 더러 있긴 하다. 한 예로, 은혼의 '신센구미'는 한자한국 한자음만으로 읽으면 '진선조', '신센구미'를 직역하면 '진선짬'이다.[5] '신선조'와 달라 동음이의어 말장난은 되지 않지만 '신선조'에 획 하나 더 긋는 말장난으로 처리해 간단하게 넘길 수 있다. 영어권 쪽 예시로는 '방화벽'을 뜻하는 'firewall'을 가지고 불(fire)과 연관짓는 말장난이 있으며, '방화'라는 단어가 불을 막는다는 의미와 불을 지른다는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역을 해도 의미가 비슷하게 전달된다.

5.1. 관련 작품

6. 관련 인물

7. 대중매체에서

7.1. 캐릭터


[1] 영어로 word play 와 pun은 동의어가 아니다. pun은 word play 종류 중, 일부를 뜻한다. 후술된 예시는 전부 word play이나, '가족같은 분위기 - 가 족같은 분위기' 는 pun이기도 하며, '가가멜에게 달콤한 맛이 나면? - 카라멜' 같은것은 pun이 아니다.[2] 스티븐 애벗(Stephen Abbott)의 해석학 개론서 Understanding Analysis (한국어판: 『해석학 첫걸음』) 연습문제에 언어유희가 있다. 원래는 '수렴하다'라는 뜻의 converge에서 앞 두 음절을 뒤바꾼 "verconge"가 정의와 함께 적혀 있는데, 그 정의가 수열 극한의 엄밀한 정의를 살짝 비튼 것이라 2021년 출판된 한국어판에서는 '수렴'의 두 초성을 바꾼 '루셤'으로 번역하는 센스를 보여주었다.[3] 이 때문에 현재는 아동애니인데도 불구하고 한국 방영이 끊기게 된 원인이 되었다.[4] 남한에서도 '빌다'를 돌려주기로 하고 얼마 동안에 가져다 쓴다는 뜻으로도 썼지만 1988년에 이 뜻이 '빌리다'로 넘어갔고, 이 '빌다'는 비표준어가 되었다. 문화어/어휘대조도 참고.[5] 여담으로, 한자를 일본 한자음 그대로 읽으면 '신센소'다.[6] 유머 시리즈 5초 후 의외의 결말 시리즈에서 일본어 말장난이 꽤 나온다.[7] 독일어의 여러 언어유희를 한국어판에서 못 살려서 미안하다는 번역가의 사과문이 책의 뒤쪽 옮긴이의 말에 있다.[8] 러시아어 비유 표현이 말 그대로 묘사되는 특징이 여러 장면에 걸쳐 나온다.[9] 조선 시대 언어유희로 수많은 디스를 남긴 이 분야의 대가 중 한명이다.[10] 미국코미디언으로 미국에선 말장난 개그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다. '크로스비'는 언어유희의 단어로도 쓰이고 있다.[11] 코미디 하우스 '노브레인 서바이버'에만 해당하며 스피드퀴즈 코너에 정답과 비슷한 발음으로 틀린다.[12] 최근 마리텔냉부에서 아재개그를 하며 요리한다.[13] 불가리아인인데 한국인 뺨칠 정도의 한국어 언어유희를 자주 선보인다.[14] 퀴즈 육감대결 내에만 해당하며 정답과 비슷한 단어로 장난을 치는 경우가 많았다. 예: 피지-피자, 치질-처칠[15] 언어유희가 안 들어가는 곡이 들어가는 곡보다 적다. 심지어 진지한 곡도 가끔은 들어간다.[16] 중학생 때부터 언어유희를 좋아해 친구들을 웃기고 다녔다고 한다. 아재개그라는 말을 들으면 상당히 자존심이 상하며, 조기축구회 아저씨와 이동국을 비교하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한다.[17] 상호확증파괴의 개념을 제안할 때 의도적으로 그 약자가 MAD가 되도록 Mutually Assured Destruction이라 명명했다.[18] 위에서 언급한 [E]작곡가다.[19] 단체곡, 개인곡의 가사뿐만 아니라 평소 말할 때에도 언어유희를 자주쓰는 편이며, 어릴 적 장래희망시인이었기에 언어적인 쪽으로 연구를 많이 했다고 한다.[20] 이 언어유희는 중등 국어 교육에서 언어유희의 대표적 사례로 많이 거론된다.[21] 하지만 미국식 유머라 영어를 잘 해도 재미가 별로 없는 경우도 많다.[22] 페니: 이 좀비들은 위장(Camouflage)을 하고 있어요. 미치광이 데이브: 그래, 낙타 위장(Camel-flage)을 하고 있군.[23] 타이야키(붕어빵)을 만들었는데 타이식(타이시키) 마사지로 개그를 이끌어내려고 한다. 재미도 없으며 번역가도 포기하고 주석으로 도배를 했다. 이는 작가가 억지로 만화를 더 그려야 했기 때문이다.[24] 네이버 해외축구 어그로.[25] "손타란-We have intruder!! 10대 닥터-In-through-the-window?"와 "Are you my mommy? / Are you my mummy?"와 "Wibly Wobly Timey Wimey" 등등 언어유희의 표본이다. 사실 Who라는 이름 자체도 언어유희다.[26] 심지어 자신의 언어유희를 설명까지 한다! 다만 드라마 CD 이외의 매체에선 이 언어유희 개그가 나오지 않는다.[27] 이쪽은 영어를 못해서 영어를 비슷한 발음의 일본어로 바꾼다.[28] 내는 퀴즈 대부분이 말장난식 퀴즈다. 그런데 어떤 극장판에선 이 장난식 퀴즈가 중요한 키워드로 나왔다.[29] 사실 나중에 나와 다쟈레로 유명해진 카에데보다 훨씬 심하다. 말하는 도중 조금씩 말장난을 꺼내는 카에데와는 달리, 얘네는 시도 때도 없이 말장난을 날린다.[30] 심지어 고유 스킬명까지 언어유희로 이루어져 있는 진성 언어유희 구사자이다.[31] 개그가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인 아주 드문 케이스. 나타의 개그를 들으면 일부 면역이 있는 자들을 빼면 5분 뒤에 터져 죽게 된다.[32] 언어유희로만 만든 캐릭터송이 있는데, 이게 한국어로 치면 '바나나를 먹으면 반하나?' 따위를 3분 동안 부르는 노래.[33] 신강고 시나리오 중에서 "가면을 쓴 가면이한테 가면 되겠군"이 그 대표이다.[34] 말 끝마다 포켓몬의 이름을 붙이며 끝말잇기 마냥 계속 끝말에 포켓몬이름을 이어나간다. 대충 예를 들자면 알겠습니다부니로우츠보트, 안녕하세요가램프라이츄 라거나. 물론 진짜 이 대사를 한 건 아니고 예시다.[35] 애초에 직업부터가 코미디언이다. 하지만 아재개그는 사석에서만 남발한다. 그리고 이 셋으로 구성된 유닛의 리더다.[36] 정작 담당 성우는 다자레를 몹시 싫어하는 성우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