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2:31:05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파일:Terran Marines nuclear explosion illustration.jpg
해병
海兵
역할 기갑보병[1] 원어 Marine
무장 CMC-300/400 동력 전투복[2]
C-14 8mm 가우스 관통 소총[3]
음역 마린
- 스타크래프트 1
해병은 대부분의 테란 식민지에서 최전방 방어를 담당한다. 그들 대부분은 강제 신경 수술을 통해 재사회화된 과거 범죄자나 반란군 출신이다.[4] 과거의 충성심과 이념을 완전히 잊어버린 해병은 연방의 이익을 지키는 일에는 자신의 목숨을 내던질 준비가 되어 있다.

테란 해병의 표준 장비인 강화 전투복은 대부분의 소화기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호하며, 우주 공간을 비롯한 어떤 가혹한 환경에서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벽한 생명유지 장치 및 NBC(핵/생체[5]/화학)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다. C-14 가우스 관통 소총은 8mm 구경의 날카로운 금속 탄환을 초음속으로 발사한다. 소총은 모든 장갑에 최대의 관통성을 지니도록 설계되었다. 에너지와 탄환 소모량을 최소화하고자 관통 소총은 여러 발의 총탄을 발사하는 점사 시스템을 사용한다.
- 스타크래프트 2
해병은 코프룰루 구역에서 테란 행성의 최전선을 담당한다. 구 연합에서는 범죄자나 반역자에게 강제 신경 재사회화를 실시하여 그들의 절대적인 충성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해병 인원 대부분을 충당했다.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다고는 하나, 군 지원자의 부족으로 이러한 관행은 여전히 공공연하게 행해지고 있다. 해병의 중장갑은 소형 화기 방어에 효과적이며, 우주 공간이나 기타 극한 환경에서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생명 유지 기능과 핵/생화학 방어 능력을 제공한다. 해병은 8mm 금속 탄환을 초음속으로 뿜어내는 C-14 가우스 관통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기술 설명서
  • C-14 가우스 관통 소총 (C-14 Gauss Rifle)
    "관통 소총"은 자치령 해병대 무기의 표준으로 가우스 소총은 8mm 철제 탄환, 할로우 포인트 탄환, 열화 우라늄 탄환(U-238 또는 핫샷) 발화 탄환 등 다양한 탄환을 발사할 수 있는 전자동 무기입니다. 총기의 틀은 어느 정도 개조가 가능해서 사용자가 총검, 레이저 가늠장치, 소형 유탄 발사기 등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 CMC 장갑복 (CMC Armor)
    착용자의 생존력과 전투력을 높여주는 하드스킨이라고도 알려진 이 전투복은 테란 방어구의 표준입니다. 생명 유지 장치, 중력 가속기 호환성, 비상 잠금 시스템 등은 방어구를 착용했을 때 얻는 여러 혜택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 편의성을 위해 가슴 부위에 부착된, 교체가 용이한 카트리지가 전투복의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합니다. 피해에 취약하긴 하지만 전투복 안의 여러 제어 장치는 병사의 신체적 특징을 강화시켜 전투력을 높여줍니다.
  • 전투 자극제 (Stimpacks)
    예전부터 특정 화학 혼합물이 자치령 전투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증명되어 왔습니다. 이 물질이 특화된 주입 방식을 통해 병사들의 혈류에 투여되면 공격 성향, 반사 신경, 사기 등이 현저하게 증가합니다. 전투 자극제 제조사들은 화학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배치를 세심하게 개발하고 테스트합니다. 이 혼합물은 장기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 냉각장치 (Cooling System)
    CMC 방어구의 등 위쪽에는 고속 터빈의 지원을 받아 효율적인 냉각 장치로 작동하는 여러 개의 관이 달려 있습니다. "애프터 버너"로 잘 알려진 이 장치는 전투복의 전원에서 생산되는 열기와, 혹독한 대기에서 고조되는 온도를 환기시킵니다. 저온 핵융합로는 전장에서 가동 실패율이 0.05% 미만으로, 이는 신의 영역이라 여겨질 만한 놀라운 수치입니다.

1. 개요
1.1. 표준 장비
2. 스타크래프트
2.1. 대사
2.1.1. 기본 대사2.1.2. 캠페인 대사
2.2. 성능2.3. 장단점2.4. 상성
3. 스타크래프트 2
3.1. 대사
3.1.1. 유닛3.1.2. 캠페인
3.2. 성능3.3. 장단점3.4. 산개 컨트롤3.5. 실전3.6. 상성3.7. 캠페인3.8. 협동전
4.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5. 카봇 애니메이션즈6. 해병인 인물, 파생 유닛7.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pbs.twimg.com/DCYpcEAW0AIod5u.jpg 파일:마린 리마스터 화질변경.png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테란 승리 화면[6] 리마스터 캠페인 선택 화면
모든 것은 해병에서 시작되지. 최전방에 서는 병사들. 무슨 일이 닥치든 맞서는 억척스러운 놈들 말이야.
짐 레이너, 스타크래프트 2 테란 개요 영상.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종족 테란의 기본 전투 유닛으로, 강화복을 착용한 보병이다.

테란뿐만이 아닌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상징으로 이름은 해병이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보병[7]이나 다름없는 유닛으로 설정상으로만 있는 경보병[8]을 빼면 테란 세력의 가장 기본적인 보병이며 실제로 거의 모든 캠페인/동영상에서도 그렇게 묘사된다. 체력은 허약한 편이지만 밀집 화력과 생산성이 뛰어나며 세 종족의 기본 전투 유닛 중 유일하게 원거리 공격과 대공 공격이 가능하다.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유닛을 통틀어 다른 종족의 기본 공격 유닛인 프로토스광전사, 용기병, 저그히드라리스크, 저글링도 인지도가 크지만, 플레이어와 같은 인간(테란) 종족인 만큼 역시 '스타크래프트' 하면 일단 해병이 떠오를 정도이다. 게다가 캠페인 내에서 나오는 일반 유닛들의 대사 중에도 해병의 분량이 가장 많다.

테란 자치령해병대는 그 전신인 테란 연합 시절부터 기본적으로는 현실의 미합중국 해병대처럼 모병제다.[9] 입대하면 격려금을 지급하는 데다가 급여도 생각보다 꽤 나오는지 짐 레이너는 가난한 자기 집안에 도움을 보태기 위해 입대했다. 짐 레이너 외에도 타이커스 핀들레이, 심지어는 아크튜러스 멩스크도 병이 아니라 사관학교 졸업 후 장교로 임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해병으로 입대해 여러 전장을 누비며 활동한 경력이 있다.[10]

하지만 각종 흉악한 외계 세력들이 판치는 코프룰루 구역의 특성상 모병제만으로 안보를 보장할 수 없기에 결국 자치령 해병들 중 상당수는 범죄를 저질러 머리에 제어 칩이 박힌 이른바 '신경 재사회화'(Neural resocialization)를 시킨 후 입대시킨, 사실상 징병된 이들이 많다. 보통 살인 같은 중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에게 사형을 당하거나 평생 교도소에 갇혀 살든가, 아니면 재사회화를 받고 해병이 될지를 선택하게 하지만, 전쟁터에서 언제나 수요가 많은 해병의 특성상 인원은 언제나 부족하기 때문에 큰 죄를 짓지도 않았는데 일부러 중형을 때려서 해병이 될 것을 강요하는 경우도 많은 모양이며, 아예 사형장에서 빼돌려 재사회화 시설을 거쳐 입대시키는 경우도 있다. 아크 베넷의 사례처럼 아예 작정하고 납치하는 경우도 있는 모양

이들이 받는 재사회화는 인격만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까지 조작한다. 공식 홈페이지의 단편 소설이나, 천국의 악마들과 같은 공식 소설들에서 묘사된 바에 따르면 재사회화된 해병들은 지나치게 명랑하고, 또한 그런 식으로 '만들어진' 기억들은 대개 레퍼토리가 거기서 거기이기 때문에 재사회화 된 해병은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눠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고 한다. 심지어 저그도 재사회화 피시술자 특유의 과장되고 조작된 기억을 걷어내고 정신을 잠식하는 절차가 따로 있을 정도이다. 도덕관념이 뒤틀린 중범죄자들의 기억을 조작하여 정상인의 기준으로 교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편 소설 "셰인 일병의 교육"에서는 마약중독자 소녀를 아무런 죄책감 없이 분살한 범죄자출신의 해병이 저그 감염으로 인해 진짜 기억을 끊임없이 재생 당하자 인지부조화에 빠져 결국 굴복하게 되는 장면이 묘사된다. 이처럼 저그 감염은 재사회화로 인해 정상적으로 돌아온 도덕관념을 가진 해병에게 그들이 실제 저지른 범죄를 끊임없이 체험시킴으로써 고통을 주며 굴복할 것을 요구하는 극히 교묘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죄책감이랑은 전혀 안 어울릴것 같은 저그가 역으로 죄책감을 이용해 인간을 굴복시킨다는, 참으로 기묘하면서도 무서운 설정.

다만 종족 전체가 강력한 사이오닉 능력을 가진 프로토스는 일개 하급 전사인 광전사 수준에서 간단하게 풀어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카스티아나라는 신참 광전사가 임진호의 재사회화를 풀어버린 것이 좋은 예다. 자마라에 의하면, 결국은 덮어쓰기 형식이라서, 남아 있는 강렬한 기억을 끄집어내는 것 만으로도 풀린다고. 주입되는 내용은 대개 전의를 가다듬거나 상관에게 충성심을 불태울 만한 내용으로, 대개 이렇게 재사회화된 해병은 명령을 충실하게 따라서 어지간해서는 끝까지 싸운다.[11] UED 미션에서 해병이 "내 공격성 제어기가 맛탱이 가기 전에 엿 같은 접근 코드나 불어!(Give me the damn access codes before I blow an aggression inhibitor!)"라고 연구원에게 신경질을 부리며 협박하는 대사가 있는데, 이 공격성 제어기는 설정상으로 고스트에게 삽입되는 신경 제어 칩과 동일한 물건이다. 즉 같은 물건이 해병에게도 삽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칩은 상관을 공격하는 등 폭주하거나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세뇌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external/eecc72e13475d9f0dc62e4c72fb94468b180f3cb0559a01a9ea1063fdf9ce84e.jpg
여성 해병

또한, 머리에 남은 흉터를 봐도 재사회화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공식 소설 <나, 멩스크(I, MENGSK)>에서 앵거스 멩스크 암살 작전 때 투입된 침입자들 머리에 신경 재사회화 수술을 받은 흔적이 있다는 게 언급된다. <리버티의 성전>에서는 리버티의 감시역 겸 보좌로 붙은 에밀리 스왈로우 중위[12]의 경우는 에밀리 스왈로우의 목에 남은 상처 자국을 본 리버티가 치를 떨면서 그녀가 과거 토막 살인범이었다는 소문을 떠올리며, <천국의 악마들>에서는 레이너 일행과 처음 시비가 붙었던 불량배들도 얼마 후 해병으로 다시 만났을 때는 같은 사람인지 의심할 정도로 공손해져 있었다.[13] 2편 시점에서는 어느 정도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재사회화된 해병의 숫자는 많다고 한다. 또한 게임 내에서는 구현되지 않았지만 여군 역시 일부 존재한다.[14][15] 오리지널 저그 캠페인의 아메리고호 전투 시네마틱 영상을 봐도 해병들 머리에는 바코드 같은 게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6]

물론, 범죄를 저질러도 죄질이 그렇게 나쁘지 않으면, 일종의 사법 거래의 일환[17]으로 재사회화 없이 그냥 입영하는 경우도 있는 듯한데, 종족 전쟁 당시 의무관이 있었음에도 해병의 생존율이 극히 낮았음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이쪽이 더 많을 가능성이 크다. 사실 어느 사회건 진짜 악질 중범죄자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사형 선고가 가능할 정도의 범죄자만 해병으로 집어 넣으면 군대 자체가 유지가 안 된다. 소설에 따르면 복무 기간이 10년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대개 그 전에 전사하거나 신체적 피해를 받은채 사회로 보내지게 되고, 운이 좋아서 멀쩡하게 살아남아도 해병대 인원은 항상 부족한 관계로 진급을 미끼로 걸거나 과실을 저지른 경우 면책을 미끼로 걸어서 어떻게든 복무 기간을 연장시키는 경우가 많다. 진짜 재수없으면 제대일이 코앞에 와도 사람 없다며 복무 기간이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인이 원하면 범죄자가 아니라도 재사회화 시술을 해준다. 이는 해병의 임무 특성상 PTSD를 견뎌낼 재간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무사히 제대한 예비역들도 많지만, 눈앞에서 새카맣게 몰려오는 괴물 떼키만 2m가 넘는 하이테크 외계인들이 달려들어서 아군을 도륙하는데도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싸우는 건 확실히 미친 놈이 아니면 못할 짓이기는 하다. 멀쩡한 사람들도 제법 있지만 총알받이 취급인 데다 괴물에 외계인들까지 설쳐대니 해병들은 전투 자극제의 부작용은 신경도 안 쓴다. 유령을 제외한 다른 보병도 마찬가지다.

파일:external/fc09.deviantart.net/Marine_Poses_by_SgtHK.jpg 파일:external/fc01.deviantart.net/Terran_Marine_With_Gun_by_SgtHK.jpg
▲ 스타크래프트 2 해병[18], 팬 메이드 이미지

인게임상으로는 너무나도 손쉽게 생산 가능하고 수두룩하게 죽어나가기에 잘 부각되진 않으나, 해병들이 입는 강화복CMC 전투복은 현대 기준으로 보면 단순 병사에게 지급하는 군수품으로 보기에는 오버 테크놀로지로 점철된 엄청난 물건이다. 암살용의 바늘총을 제외한 대부분의 테란 기술 기반 소화기를 막아주는 방어력을 지녔고, 현재 지구에서 사용하는 일반 총기로는 절대 뚫을 수가 없다. 일반적인 테란의 체격보다 훨씬 사이즈가 큰 강화복이며[19], 먼저 기습당하지만 않는다는 가정 하에 근접격투 상황에서 저글링도 찢어죽일 수 있으며, 키만 5미터나 되는 괴물인 히드라리스크주먹 한 방으로 때려눕히거나 입을 찢어서 죽일 정도의 완력 또한 겸비하고 있다. 또한, 완전밀폐 기능이 있어 웬만한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을 보장하며 추진기로 인공 중력을 생성해 무중력 환경에서도 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여군은 물론 기초 훈련만 받았다면 평범한 여성 과학자도 입을 수 있을 정도로 규격이 잘 정비된 강화복이다.[20]

주무장인 C-14 가우스 관통 소총에는 작은 액정 화면을 통한 전자식 잔탄 표시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총신 아래에는 유탄발사기[21]총검을 비롯한 옵션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무기는 총 안에 축전기가 들어있는 레일건이고[22], 1편의 사거리 업그레이드인 U-238 탄환은 다름 아닌 열화우라늄탄이다.[23] 그 이외에도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의 게임 내 동영상인 '아메리고'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제식 소총가우스 소총이나 거기에 달리는 유탄발사기·총검 등의 옵션 장비와는 별도로 권총을 부무장 삼아 따로 가지고 다니기도 한다. 물론, 실제 게임상에서는 권총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총검이 기본 장착되어 있는 듯한 묘사가 있다.

한편, 스타크래프트 2에서부터는 방어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어깨의 견갑에 추가로 초합금 전투 방패를 덧붙일 수도 있게 되었다. 이 전투 방패는 CMC 전투복의 왼쪽 어깨 견갑에 부착되는데, 이는 왼팔의 방패로 적의 공격을 방어하면서도 동시에 오른팔로는 가우스 소총을 다루면서 사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앞서 말한 유탄발사기권총이 실제 게임상에서는 구현되지 않은 것과는 달리, 이 방패는 실제 게임상에서도 체력을 업그레이드해주는 요소로 구현되었다.

1.1. 표준 장비

2. 스타크래프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9f0000><#000>스타크래프트 테란의 유닛, 건물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비생산 유닛
{{{#!wiki style="margin:-15px -10px"}}}
{{{#!wiki style="margin:-15px -10px"<colbgcolor=#eee,#000>기타
건물
부속
건물
[[통신 위성 중계소|파일:SCR_271_Comsat_Station.png
통신 위성 중계소
콤샛 스테이션]]
캠페인유즈맵 전용
유닛
트랩
파일:SCR_740_wall_flame.png
벽 화염 트랩
월 플레임 트랩
파일:SCR_736_floor_missile.png
바닥 미사일 트랩
플로어 미사일 트랩
파일:SCR_735_floor_gun.png
지상 포 트랩
플로어 건 트랩
미구현 데이터
유닛머크 건쉽셔틀카고 십머크 바이커
타 종족 틀: 프로토스 목록 | 저그 목록}}}}}}}}}}}}

2.1. 대사

2.1.1. 기본 대사

영문판: 크리스 멧젠 한국어판: 방성준[28]
생산
You wanna piece of me, boy?[29][30][31] 한 판 붙어볼까, 애송이?
선택
Commander? 사령관님?
Standin' by. 대기 중
Jacked up and good to go.[32] 전투 준비 완료.
Gimme something to shoot! 명령만 내리십쇼.
명령
Go go go! 자! 가자, 가자![33]
Let's move! 가자!/자! 가자고[34]
Outstanding! 좋았어!
Rock & Roll! 한바탕 놀아볼까!!
전투 자극제 사용 시
Ah! That's the stuff! 아! 바로 이거야.
Ah! Yeah! 오, 예에!
반복 선택
We gotta move! 이동해야 해!
Are you gonna give me orders? 명령을 내리실 겁니까?
Oh my god, he's whacked![35] 이런 젠장, 완전 뻗으셨나 보군!
I vote we frag this commander.[36] 이 사령관한테 한 방 날리고 싶군.
How do I get out of this chickensh*t outfit?[37] 이럴 거면 *까고 그냥 집에 보내 주시든가.[38]
You wanna piece of me, boy?[39] 한 판 붙어볼까, 애송이?
If it weren't for these damn neural implants, you'd be a smoking crater by now! 이 신경 제어기만 아니었으면 잿가루로 만들어 버렸을텐데!

2.1.2. 캠페인 대사

튜토리얼 - 신병 훈련소
Permission to speak freely, sir? I'm not sure you know what you're doing. If you're going to send us into hostile territory and you want us to defend ourselves, use the ATTACK command. If you want us to ignore enemy fire and go exactly to the spot you've targeted, use the MOVE command. 한 말씀 드려도 되겠습니까, 대장님? 명령의 의도를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를 적진으로 돌격하여 적의 공격에 맞서 싸우길 원하신다면 공격 명령을 사용해주시고, 만약 적의 공격을 무시하고 목적지로 바로 가게 하길 원하신다면 이동 명령을 사용해주십시오.
후방 기지
What the hell did they do to that Command Center? 놈들이 저 사령부에 무슨 짓을 한 거죠?[40]
필사적 동맹
We can take cover in these bunkers if things get too dicey.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이 벙커 안에 숨을 수 있겠습니다.
혁명
That's right. We've tolerated these Confederate goons long enough! 맞습니다. 이 연합 깡패들을 참아주는 것도 이제 지긋지긋 합니다!
뉴 게티즈버그
All right! Let's wax these critters! 좋아! 이 괴물들을 녹여 버리자고![41]
아메리고
We got company! 적이 침입했다!
See? They ain't so tough. these critters bleed just like anybody else. 이것 봐! 별로 강하지도 않잖아! 이 벌레들도 피를 흘린다고!
You'll never make it out of here alive, bitch! 넌 여기서 살아 나갈 수 없다![42]
어둠 속으로
Mind if we tag along? 같이 가도 되겠습니까?
Did you hear that? 저 소리 들었어?
What was that? 방금 뭐지?
출격
Ah, crap! This landing site doesn't have any gas! Guess we better start looking for another geyser. 이런, 젠장! 이 착륙지에는 가스가 하나도 없는 것 같은데! 간헐천을 찾아봐야겠어.
다일라리안 조선소
Heads up, we got company! 조심해, 적이다!
애국자의 피
Lieutenant, hang tight for a sec' while we clear the entrance. 중위님, 저희가 입구를 정리할테니 잠시 기다리십시오.
They've locked the door. Set the bomb! 문이 잠겼다.. 폭탄을 설치해!
We're in. This room's clear! 진입 완료. 이 방은 안전합니다!
Medic! 의무관!!!
Uh, how do you work this damn thing? 어...... 이거 대체 어떻게 작동하는 거야?
Computer… locate Admiral Stukov. 컴퓨터... 스투코프 부제독을 찾아라.
I hate computers. 난 컴퓨터가 싫어.
Where's Stukov? 스투코프는 어디 있나?
Wax'em boys! 죽여버려!
Another computer. Says "Hit any key?" Well… well… which ones the "any key"? 에이, 또 컴퓨터네. "아무 키나 누르세요"라는데? "아무 키"가 어느 키라는 거야?
If we can get over there we might be able to hi-jack those Goliaths. 그쪽으로 갈 수만 있으면 골리앗들을 강탈할 수 있을 겁니다.
Gimme the damn access codes before I blow an aggression inhibitor! 머리통을 날려버리기 전에 어서 접속 코드를 말해!
Thanks… Uh… oops… heh 고맙다. 어… 이런… 헤헤….
Hey boys we could sure use those Goliaths. Get over there and commandeer them. 이봐 친구들, 이 골리앗들을 사용할 수 있겠는데. 이리 와서 한 번 조종해 보라고.
Hey you! Get over here with that SCV and repair our Goliaths. 이봐 거기, 건설로봇 데리고 이리 와서 골리앗을 수리하라고!
We'll need Duran to open this door. 이 문을 열려면 듀란 중위님이 필요해.
What the hell? How did Zerg get in here? Captain we may have a huge infestation problem. 빌어먹을, 어쩌다 저그가 이 안에 들어온 거지? 함장님, 심각한 감염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Let's go! 가자!
Oh man! How the hell are we going to get by all them zerglings? 흐흐흐, 제길! 저 많은 저글링들을 어떻게 뚫고 지나가지?
Heh, check that out. They're trapped. 헤, 저걸 봐! 저놈들 갇혔나 봐!
Damn, door's locked. 제길, 문이 잠겼어!
Lookout! 조심해!
Sir, it looks like this corridor has been lined with defensive autoguns. If we can lure the Zerg in here, they'll be cut to shreds! 제독님, 이 통로에는 자동 방어 포탑이 잔뜩 설치되어 있습니다. 저그를 여기로 유인하면 쉽게 몰살할 수 있을 겁니다!
hehe… I love the smell of toasted zerglin's in the morning.[43] 하하하하… 난 저글링 익는 냄새가 너무 좋더라고!
Ugh, oh man… poor Johnny. 오… 아니, 이런! 불쌍한 조니!
야수 결박
Sir, these sunken colonies aren't being effected by anything we hit 'em with. I'll bet there's one of those cerebrate critters pumpin' 'em full of energy nearby. 함장님, 이 지하 군체[44]는 뭘로 공격해도 효과가 없습니다. 주위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정신체가 있는 게 분명합니다.
Sir, this cerebrate's been whacked! We shouldn't have anymore trouble with those sunken colonies! 함장님, 이 정신체는 끝장 났습니다. 이제 지하 군체 때문에 애먹는 일은 없을 겁니다.
Sir, we've just had a whole cargo-ship full of whoop-ass dumped on us! We ran into a new strain of ultralisk and it took a lot o' pepper to bring it down. To top it all off, our recon squad reports that the critter's been reincarnated by a nearby cerebrate and is on its way back for more! 함장님, 방금 끔찍한 괴물을 가득 실은 대규모 수송선에 허를 찔렸습니다.[45] 신종 울트라리스크를 상대해야 했는데, 여간 까다로운 상대가 아니더군요. 설상가상으로 정찰팀 보고에 따르면, 이 괴수들이 주위의 정신체에 의해 되살아나서 더욱 맹렬한 기세로 달려들고 있다고 합니다!
Sir, we've eighty-sixed this cerebrate! We shouldn't run up against any smacked-up ultralisks anytime soon! 함장님, 이 정신체를 묵사발냈습니다. 당분간 그 무시무시한 울트라리스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진짜 색
All units prepare for retaliation! Kerrigan caught us with our pants down, but it's time to start givin' some back! 모든 유닛, 반격을 준비해라! 우리가 방심한 사이에 케리건에 공격을 허용했지만, 이제는 받은 만큼 돌려줘야지!

2.2. 성능

파일:marine.gif파일:tmarine.gif파일:Marine_Cartooned_Portrait1.gif
오리지널 초상화 리마스터 초상화[46] 카봇모드 초상화[47]
초상화의 인물은 테란 연합 감마전대 소속 이등병인 말코비치다. 아메리고 시네마틱에서도 말코비치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정작 그 인물은 흑인이며 같이 등장하는 해병의 모델링을 초상화의 모델로 사용했다.
파일:SCR_marine_red.png
정지
파일:SCR_marine.gif
이동
파일:SCR_marine_attack.gif
공격
파일:SCR_marine_death.gif
사망
<colcolor=#13FF1D>기본 정보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1
파일:SC_Supply_P.png1
파일:SC_Supply_Z.png1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4
<colcolor=#13FF1D> 생산 건물 병영
단축키 M 필요 건물 -
생명력 파일:SC_Icon_HP.png 40 방어력 0 (+1)
공격 대상 지상, 공중 공격력 6 (+1)
사거리 4 → 5[48] 공격 주기 15 → 7.5 (이론상)
15.5 → 9[49] (실제)
피해 유형 일반형 특성 지상, 소형, 생체
크기 소형 수송 칸 1
이동 속도 1.875 → 2.8100[50] 시야 7
계급 이등병[51]
장비
파일:SCR_Icon_292_Infantry_Armor.png
테란 보병 장갑
Terran Infantry Armor
파일:SCR_Icon_288_Infantry_Weapons_Gauss_Rifle.png
가우스 소총
Gauss Rifle
기술 및 연구
파일:SCR_Icon_237_Stim_Pack.png 전투 자극제 사용 Use Stim Packs [T]
파일:SC_Icon_HP.png 10  / 사관학교 / [T] /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100
파일:SC_Vespene_P.png100
파일:SC_Vespene_Z.png10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80

해병의 최신 강화 전투복과 화염 방사병의 중장갑 전투복에는 강력한 인조 아드레날린엔도르핀, 그리고 향정신성 호전제 성분이 혼합된 야전용 주사 약물인 전투 자극제가 장착되어 있다. 전투 자극제를 사용하면 반사 작용과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신체 조직이 일부 손상되는 부작용을 수반하기도 한다.

전투 자극제의 사용에 따르는 부작용인 불면증과 체중 감소, 떨림 증상, 발작, 정신 이상, 정신분열로 인한 환상, 심각한 내부 출혈 그리고 대뇌 기능 악화 등의 증상은 모두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며 연방 군부가 설정한 안정성 한도 수치를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일:SCR_Icon_238_U-238_Shells.png U-238 탄환 U-238 Shells
사관학교 / [U] /
파일:SC_Mineral.png150
파일:SC_Vespene_T.png150
파일:SC_Vespene_P.png150
파일:SC_Vespene_Z.png150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00

방사능을 제거한 열화 우라늄으로 제작한 탄환은 C-14 가우스 소총의 사정거리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파일:20220911_171207.jpg
매뉴얼 CG 모델링
소형 생체 유닛. 지상과 공중 공격 모두 가능하다. 타 종족의 첫 번째 공격 유닛들(저글링, 질럿)이 오로지 지상 근접전만 가능한 유닛임을 생각해보면 이례적인 특성. 계급은 이등병으로 SCV와 함께 가장 낮다.

배럭에서 나오며 사정거리 4에 공격력 6이 붙어 있다. 초반 유닛이면서도 지대공이 커버가 되는지라 테란 바이오닉의 주력이며 특히 대저그전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유닛이다. 빠른 공격 속도와 메딕의 지원 덕에 대저그전에서 공격력,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율이 매우 좋은 편이며 초반부터 업그레이드에 치중하는 업그레이드 바이오닉 체제가 언제부턴가 각광받고 있다. 업그레이드가 잘 된 마린은 어느 정도 수만 갖춰지면 장갑 업그레이드를 찍은 울트라가 아닌 이상 저그를 갈아버리기 딱이라서다.

관련 연구로 사관학교에서 연구하는 U-238탄 연구와 전투 자극제(스팀 팩) 연구가 있다.
U-238탄 연구열화우라늄탄을 써서 유효 사거리를 늘린다는 설정으로 사거리를 1(32px) 늘리는 효과가 있어서 흔히 사거리 업그레이드, 사업이라고 불린다.
전투 자극제 연구를 하면 마린은 전투 자극제 능력을 쓸 수 있다. 마린의 체력이 10 초과일 때 사용 가능하며 즉시 체력을 10 내리고[52] 37틱=(최대 296 프레임, normal 19.73 ≒ 20초, fastest 12.33초)동안 이동 속도가 50% 증가해 1.875 → 2.8100가 되고 공격 주기가 40% 감소해 15 → 9, 즉 공격속도가 66%가 늘어난다.

오리지널 당시에는 체력 회복 기능이 없어서 함부로 지르면 되려 자살 행위나 마찬가지인 무서운 물건이었지만 확장팩에서 메딕이 등장하면서 마린과 파이어뱃에게 가장 중요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메딕이 브루드워 유닛 중 가장 중요한 이유가 바이오닉이 메딕 덕에 스팀팩을 상시 달고 다닐 수 있고 상대 유닛의 공격으로 인한 낮은 체력의 데미지를 치료할 수 있어서인데 이는 어마어마한 상향이기 때문.

테란의 방어진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벙커에 집어 넣을 필수 유닛이다. 세 종족 기본 공격 유닛 중에서 1:1에서 가장 약한 유닛1:1은 SCV한테도 진다이다 보니 벙커에 넣으면 생존성이 크게 증가하는 면도 있다. 벙커에 들어간 모든 레인지 유닛은 시스템상 64px=2그리드의 사거리가 더 늘어난 판정을 받는다.[* 내부 소스코드
#!wiki
{{{int weapon_max_range(const unit_t* u, const weapon_type_t* w) const {
	int r = w->max_range;
		if (u_in_bunker(u)) r += 64;
		r += range_upgrade_bonus();
		return r;
}
}}}
] 그런데 내부 유닛은 벙커의 중앙에 있는 것으로 판정을 하므로 벙커의 끝부분을 공격할 수 있는 적과 맞붙을 때는 0.5~1 정도의 사거리 보너스를 받는 걸로 생각하면 된다. 서로 사업하면 사거리가 6인 드라군, 5인 마린인데, 벙커 내부의 마린을 위치에 따라서 칠 수도, 아닐 수도 있는 게 이 이유. 스타크래프트 1에서 벙커에 들어가있는 유닛이 스팀팩을 못 쓰는 것이 아쉬운 점이지만 미리 스팀팩을 쓰고 벙커 안으로 들어가면 어느 정도 해결되긴 한다.

이렇게 괜찮은 스펙의 유닛이지만 메카닉 체제에선 초반에 5기 이하의 소수만 생산하거나 심지어 아예 생산을 배제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토스는 리버가 한두 기만 나와도 마린은 쉽게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그 이상은 보기 힘들다. 초반에 바카닉 올인으로 끝내지 않는 한 뽑지 않는 게 좋고 테란전의 경우엔 메카닉 3유닛 모두가 마린의 상성이라서 올인도 불가능해서 테란 상대로는 바이오닉이 안 나온다고 봐도 좋다.[53] 서로 바이오닉만 뽑으면 또 모르지만 마린은 벙커에 약해서 한 쪽이 벙커 짓고 테크 올리면 상대쪽도 별 수 없이 따라가야 한다. 특히 언덕 지형이면 100% 못 쓴다고 봐도 무방. 팩토리 올리기 전에 쳐들어가면 어떨까 싶지만 SCV떼로 몰려나오고 그 사이에 벙커나 벌처가 완성되면 별 수 없이 나중을 기약해야 한다.

그러나 스팀팩과 메딕이 없는 마린은 정말이지 너무 약해서 동일 가격대로 이길 수 있는 유닛이 거의 없다. 저글링을 예로 들어 봐도, 소수전에서는 저글링이 유리하다. 수가 쌓이면 마린이 유리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저글링 수는 마린의 2배고, 발업 후 사방에서 달려들면 메딕과 스팀팩이 있어도 이긴다고 장담할 수가 없다. 흔히 떠올리는 스팀팩 쓴 마린이 저글링들을 쓸어버리는 경우는 저글링이 마린 부대를 둘러싸지 않고 일렬로 달려들거나 지형 때문이거나 메딕이 몸빵을 잘해주는 경우다.[54] 허나 저 두 조건이 갖춰지면 저글링, 질럿 등 기본 유닛에서 히드라리스크, 드라군[55] 보다 높은 테크의 유닛 및 대부분의 공중 유닛을 상대로 상성상 우위를 점하게 된다. 허나 바이오닉 카운터 치라고 만든 러커[56]와 전통의 카운터 시즈 탱크, 리버와 하이 템플러에게는 업글이고 나발이고 털리는 게 일이다. 어느 정도까지는 컨트롤로 극복이 되지만 서로 유닛이 쌓일수록 불리해지는 건 마린이다. 특별한 카운터가 아니더라도 마린이 1티어 유닛이라 대부분의 고급 유닛에게 불리하다. 마린이 주력이 되는 저그전의 경우만 봐도 울트라리스크, 디파일러, 가디언 등등이 있는데, 마린한테만 유독 센 유닛이 아니라 그냥 센 유닛들이다.

신뿌 바행, 넥뿌 같은 대전류 유즈맵에서는 마린메딕이 질럿, 드라군, 저글링, 히드라, 뮤탈을 털어버리는 데다 점수도 낮아서 테란을 최강의 종족에 올려놓는 일등 공신. 밀리에서의 단점도 부대 단위로 쏟아지는 물량과 빠른 업그레이드로 인해 상쇄되며, 러시 거리도 짧고, 다 녹아도 새로 뽑으면 그만이라 충원이 느리다는 단점도 없다. 공 2~3업한 마린이 골리앗 탱크, 질럿 드라군 템플러[57]드라군 리버[58], 러커를 털어버리는 게 일상이다.

영웅 유닛으로는 짐 레이너가 존재하며, 다른 버전의 레이너와는 달리 체력 200, 공격력 18, 방어력 3이라는 초월적인 능력을 가지고 나온다. 사실 이럴 수밖에 없는 것이 마린 버전 레이너는 오리지널 테란 스토리 4번째 미션에서 등장하는데, 해당 미션은 주어진 유닛만으로 진행하는 실내 미션인데다 메딕이 없는 오리지널 미션이기 때문에 반드시 생존해야 하는 레이너가 강하게 나온 것은 당연하다.

밀리맵에서도 DPS가 준수한 유닛이지만, 유즈맵에서 마린의 스펙을 높게 잡으면 준수한 연사력과 일반형 공격 덕분에 사기 유닛이 된다. 마린 키우기류 유즈맵을 해보면 알 수 있다.

멀리갈 것도 없이 체력 +5, 사거리 +1의 상향만 받았음에도 스타1 vs 스타2 혹은 워크3 vs 스타 모드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다. 무지막지만 DPS와 허리돌리기를 통해 스2 병력이나 워크3 영웅 상대로도 잘 싸우는 편.

여담으로 생산 아이콘이나 스프라이트를 볼 때 어깨 갑옷이 곤충의 눈알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이 있다.

2.3. 장단점

장점
단점

2.4. 상성

메딕스팀팩이 없는 생마린은 일꾼을 제외하고 이길 수 있는 유닛이 없을 정도로 약한 유닛이다. 심지어 상황에 따라 SCV나 다른 일꾼들한테도 질 정도[71]로 약하기 때문에 저그전에서만큼은 저 둘의 지원이 있을 때의 기준으로 서술한다.

2.4.1. 테테전

바이오닉 테란의 주력인 마린이 메카닉 트리오에게 전부 약세를 보이기 때문에 테테전은 메카닉 병력들이 주력이며, 마린은 극초반 땜빵용으로만 쓰인다.

2.4.2. 저그전

저그전에서만큼은 마린이 주인공급 중심 유닛이 된다. 그 이유는 저그의 유닛들은 체력이 높지 않고 사거리가 짧은 편이라서 일반형 인스턴트 원거리 공격을 하는 마린의 공격이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순수 메카닉 유닛들은 생산성이나 기동성에서 저그를 따라가기 힘들고 뮤탈리스크와의 상성이 특히나 좋지 않아서 뮤탈리스크와 상성에서 유리하고 값도 저렴한 마린을 더욱 활용한다.

하지만 후반부에 디파일러와 울트라리스크가 나오면 마린의 힘이 떨어지게 된다. 디파일러의 다크스웜은 마린에게는 너무도 치명적이며, 결정적으로 울트라리스크의 떡장갑은 마린의 장점을 상쇄시킨다. 그래서 베슬과 탱크를 많이 섞어서 부족한 화력을 보충해줘야 한다.

2.4.3. 프로토스전

마린은 프로토스를 상대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마린의 연사력이 좋아도 체력과 방어력이 뛰어난 프로토스 유닛 하나하나를 상대하는 것도 벅찰 뿐더러 지상은 이미 메카닉 삼총사가 많은 프로토스 병력들을 상대로 우위에 있는데 특정한 상황이 아닌 이상 굳이 마린을 쓸 이유가 없다. 특히나 리버/하이 템플러로 대표되는 프로토스의 광역 공격에 밀집도 높고 체력 낮은 마린은 힘을 쓰지도 못한 채 같이 있던 메딕들과 함께 맵에서 한순간에 사라지기 쉽다. 따라서 프로토스전의 마린은 대부분의 경우 초반 올인이거나 메카닉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초반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테프전에서 주력 유닛 중 하나인 캐리어 상대는 잘 하는 편인데, 캐리어 본체를 노리기보다는 인터셉터를 노려서 캐리어를 깡통으로 만드는 게 탁월하다. 물론 이걸로는 프로토스 상대로 마린 활용이 안 된다.

3. 스타크래프트 2

파일:테란 큰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0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0.05em; margin: -5px 0 -10px"
{{{#!wiki style="margin:-15px -11px"<tablewidth=100%>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s-4|
파일:btn-building-terran-commandcenter.png

사령부]]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s-4.3|
파일:btn-building-terran-planetaryfortress.png

행성 요새]]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s-4.2|
파일:btn-building-terran-surveillancestation.png

궤도 사령부]]
}}}
<colbgcolor=#a00,#600>[[반응로|
파일:btn-building-terran-reactor.png
반응로]] 지원
[[기술실|
파일:btn-building-terran-techlab.png
기술실]] 필요
기타 건물{{{#!wiki style="margin:-15px -11px"
[[정제소#s-2.2|
파일:btn-building-terran-refinery.png

정제소]]
[[보급고#s-3|
파일:btn-building-terran-supplydepot.png

보급고]]
[[공학 연구소#s-3|
파일:btn-building-terran-engineeringbay.png

공학 연구소]]
[[벙커(스타크래프트 시리즈)#s-4|
파일:btn-building-terran-bunker.png

벙커]]
[[미사일 포탑#s-4|
파일:btn-building-terran-missileturret.png

미사일 포탑]]
[[감지탑|
파일:btn-building-terran-sensordome.png

감지탑]]
[[유령 사관학교|
파일:btn-building-terran-ghostacademy.png

유령 사관​학교]]
[[무기고(스타크래프트 시리즈)#s-3|
파일:btn-building-terran-armory.png

무기고]]
[[융합로|
파일:btn-building-terran-fusioncore.png

융합로]]
[[밤까마귀#자동 포탑 건설|
파일:btn-building-terran-autoturret.png

자동 포탑]]
}}}
캠페인, 협동전 임무 전용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a00,#600>
- 자유의 날개
낙하기 · 의무관 · 화염방사병 · 악령 · 골리앗 · 코브라 · 시체매 · 거미 지뢰 · 망령 · 약탈자 · 헤라클레스 · 과학선 · 용병 · 특수전 수송선 · 히페리온 / 전술 타격기 · 거주민 우주선 · 오딘 · 로키 · A.R.E.S. · 헬리오스 · 타우렌 해병 · 테라트론 · 민간인 / 광부 / 과학자 / 죄수
- 군단의 심장
경비로봇 / 섬멸전차 · 대천사 · 고르곤 전투순양함 · 투견 · 자치령 근위대 · 해적 주력함 · 발키리 · 자기 지뢰
- 노바 비밀 작전
부대원 · 그리핀 · HERC · 전투매 · 탐지 드론 · 음파 드론 · 바도나의 용맹 · 크산토스
- 협동전
정예 해병 · 불곰 특공대 · 특수 작전 유령 · 화염기갑 특전병 / 화염차 특전병 · 타격 골리앗 · 중장갑 공성 전차 · 습격 해방선 · 비밀 밴시 · 밤까마귀 타입-Ⅱ · 강습 비행정 / 공격 드론 · 아스테리아 망령· 데이모스 바이킹 · 테이아 밤까마귀 · 군주 전투순양함 · 타격 전투기 · 채취 로봇 · 발리우스 · 자치령 인부 / 자치령 부대원 · 황제의 그림자 · 황제의 중재선 · 황제의 증인 · 사로잡힌 저글링 · 사로잡힌 히드라리스크 · 사로잡힌 뮤탈리스크 · 사로잡힌 울트라리스크

- 자유의 날개
조이레이의 주점 · 자치령 홀로그램 선전물 · 멩스크 동상 · 병참 본부 · 특수 작전실 · 기술 반응로 · 자동 정제소 · 지옥 포탑 / 불꽃 베티 · 군체의식 모방기 · 사이오닉 분열기 · 용병 집결소 · 테라진 탱크 · 드라켄 레이저 천공기 · 과학 시설 · 핵 격납고 · 민간인 대피소
- 군단의 심장
가스 포탑 · 드라켄 파동포 · 전술 작전부 포탑 · 핵 미사일 격납고 · 발레리안의 우주 정거장 · 용병 우주 정거장 · 용병 우주공항 · 함포탑 · 사이오닉 파괴 장치 · 코랄 황궁 포탑
- 공허의 유산: EMP 교란기
- 노바 비밀 작전: HERC 집결소 · 레일건 포탑 · 추출 장치 · 사이오닉 방출기
- 협동전
회전 화포 · 초토화 포탑 / 발포 빌리 · 강습 갈레온 · 자치령 우주공항 · 타격 전투기 플랫폼 · 총잡이의 안식처 · 덩치 무기고 · 해결사의 안전가옥 · 의료선 플랫폼 · 징병소 · 황실 사관학교 · 보급 벙커 · 대지파괴 포
미구현 데이터}}}}}}}}}
저그 목록프로토스 목록}}}}}}}}}

3.1. 대사

3.1.1. 유닛

영문판: 크리스 멧젠 한국어판: 방성준[84]
||<:>배치
한 판 붙어볼까, 애송이?
선택이번엔 확실하겠지.[배치]  /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명령을 내리실 겁니까?  /  다음은 누구냐?[배치]  /  출동 준비 완료![배치]  /  자, 다들 들었지?
이동감 잡았어.  /  실시!  /  굉장하군요.  /  긴장 풀자구, 친구들.  /  자, 빨리빨리![배치]  /  이야!  /  좋습니다.  /  알겠습니다.  /  물론이죠.  /  저를 뭘로 보십니까?  /  하면 된다!  /  악![89]  /  갑니다! 간다고요.[배치]  /  네, 네. 알겠습니다.  /  잘 됐군.  /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  명령 받았습니다.  /  기다렸습니다.  /  맡겨만 주시죠.  /  예! 대장님!  /  알았습니다.  /  알았다, 오버.  /  그렇게 하겠습니다.
공격다 죽었어!  /  덤벼라!  /  맛이 어떠냐?  /  몸 좀 풀어 보자!  /  와아!  /  돌격 앞으로!  /  재미 좀 보겠군.  /  한번 해볼까.  /  전부 없애 버려라!
벙커(드나들 때) 대피!  /  자, 원 위치로!
수송선 탑승수송선은 어디 있나?!
반복 선택[91]젠장, 이 X 같은 언제 벗어 보나.[92]  /  이딴 옷을 입고 볼일은 어떻게 봅니까??[93] /  왜 눈 떠보면 항상 여기냐고!!!  /  예! C-14 가우스 관통 소총은 제 분신이자 제2의 생명입니다![94]  /  침 좀 뱉고 껌 좀 씹으러 왔다. 그런데 껌이 다 떨어져… 시정하겠습니다.[95]  /  방아쇠를 당길 때 느껴야 할 것은 단 하나, 반동이다![96]  /  병영에서 나갔다가 복귀한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거, 이상하지 않습니까?/ 하! 저 의료선은 왜 자꾸 날 따라오지?  /  나 군대에서 축구할 때 말이야~  /  에...엣취! 앞이 하나도 안 보이네 (바이저 닦는 소리) 아, 훨씬 낫군.[97]  /  잠깐만, 속이 좀 안 좋아서. (발포 소리)  /  감사합니다! 한 번 더 굴려 주십쇼![98]
교전여기 지원이 필요하다![99]
사망어머니[100]


이외에도 '아… 저 의무관[101]은 왜 자꾸 날 따라오지?', '에… 에…! 에취! 앞이 하나도 안 보이네. (쓱쓱) 아, 훨씬 낫군.'[102] 등의 대사도 데이터로 남아 있다.

3.1.2. 캠페인

3D 초상화와 성우는 다르지만 유닛 자체는 똑같은 해병인 자치령쪽 해병의 대사도 여기에 첨부한다.

3.2. 성능

파일:9E230EFC-826B-4639-AACF-2041F09494A7.jpg파일:353848EA-ED6C-427D-96E7-FFFA9B0B3BCC.jpg파일:CBA7D805-5CAD-439D-B343-B6910B1DB5B4.jpg파일:C1216E42-FDE4-4F59-ABA2-B47CC8DBFC81.jpg파일:F262451E-7C77-435A-825F-B71670C8CA62.jpg
파일:Marine_SC2_Head2.jpg파일:EliteMarine_LotV_Head1.webp파일:Marine_SC2-LotV_Portrait3.jpg파일:Marine_SC2-LotV_Portrait4.jpg파일:TyradorMarinePortrait_SC2SkinImage.JPG.jpg
파일:btn-unit-terran-marine.png
기본
파일:btn-unit-collection-marine-covertops.png
특수 부대
파일:btn-unit-collection-marine-junker.png
미라의 약탈단
파일:btn-unit-terran-marine-umojan.png
우모자
파일:btn-unit-terran-marine-silver.png
티라도
파일:btn-unit-collection-marine-mercenary.png
용병
파일:btn-unit-terran-marine-remastered.png
클래식
파일:btn-unit-terran-marinemercenary.png
자날 캠페인 전쟁광

파일:SC2Pic_Tun_marine.png 파일:SC2Pic_Tun_Marine_rotate.gif
파일:btn-unit-terran-marine.png 해병 Marine
다목적 보병입니다.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table bgcolor=#052013><table bordercolor=#39BA6C><table color=#9BFFBE> 비용 ||<-3>
파일:SC2_Mineral_Terran.png50
파일:SC2_Mineral_Protoss.png50
파일:SC2_Mineral_Zerg.png50
파일:SC2_Mineral_Terran.png
파일:SC2_Mineral_Protoss.png
파일:SC2_Mineral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Supply_Terran.png1
파일:SC2_Supply_Protoss.png1
파일:SC2_Supply_Zerg.png1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25 (아주 빠름 18)
파일:SC2_Time_Protoss.png25 (아주 빠름 18)
파일:SC2_Time_Zerg.png25 (아주 빠름 18)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
생산 건물 병영 단축키 A
생명력 45 → 55[107] 방어력 0 (+1)
이동 속도 2.25 → 3.375[T]
(아주 빠름 3.15 → 4.725[T])
시야 9
특성 경장갑 - 생체 수송 칸 1
||<-4><table bgcolor=#052013><table bordercolor=#39BA6C><table color=#9BFFBE><color=#fff> C-14 가우스 소총 C-14 Gauss Rifle ||
공격력 6 (+1) 사거리 5
공격 속도 0.8608 → 0.574[T]
(아주 빠름 0.61 → 0.41[T])
대상 지상 및 공중

능력, 업그레이드
파일:btn-ability-terran-stimpack-color_테.png 전투 자극제 사용 Use Stimpack (T)
파일:SC2_Health_terran.png 10  /  병영 기술실 / (T) /
파일:SC2_Mineral_Terran.png
파일:SC2_Mineral_Protoss.png
파일:SC2_Mineral_Zerg.png
파일:SC2_Mineral_Terran.png100
파일:SC2_Mineral_Protoss.png100
파일:SC2_Mineral_Zerg.png100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100
파일:SC2_Vespene_Protoss.png100
파일:SC2_Vespene_Zerg.png100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140 (아주 빠름 100)
파일:SC2_Time_Protoss.png140 (아주 빠름 100)
파일:SC2_Time_Zerg.png140 (아주 빠름 100)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112]
몇 초 동안 이동 및 공격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강력한 전투 자극제를 유닛에게 투여합니다. 유닛은 체력 10만큼의 상처를 입습니다.[113]
파일:btn-techupgrade-terran-combatshield-color_테.png 전투 방패 Combat Shield
병영 기술실 / (C) /
파일:SC2_Mineral_Terran.png
파일:SC2_Mineral_Protoss.png
파일:SC2_Mineral_Zerg.png
파일:SC2_Mineral_Terran.png100
파일:SC2_Mineral_Protoss.png100
파일:SC2_Mineral_Zerg.png100
파일:SC2_Vespene_Terran.png
파일:SC2_Vespene_Protoss.png
파일:SC2_Vespene_Zerg.png
파일:SC2_Vespene_Terran.png100
파일:SC2_Vespene_Protoss.png100
파일:SC2_Vespene_Zerg.png100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Supply_Terran.png
파일:SC2_Supply_Protoss.png
파일:SC2_Supply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
파일:SC2_Time_Protoss.png
파일:SC2_Time_Zerg.png
파일:SC2_Time_Terran.png110 (아주 빠름 79)
파일:SC2_Time_Protoss.png110 (아주 빠름 79)
파일:SC2_Time_Zerg.png110 (아주 빠름 79)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파일:btn-building-protoss-warpgate.png

해병의 체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자유의 날개
  • 베타 0.8.0: 생산시간 20 → 25 (보통 속도)
  • 베타 0.15.0: 전투 자극제, 전투 방패 연구의 비용이 모두 150/150 → 100/100
  • 1.3.0 : 전투 자극제 연구 시간 140 → 170 (보통 속도)
  • 공허의 유산
  • 4.10.1 BU: 전투 자극제 연구 시간 121 → 100 (보통속도 기준 170 → 140)

전작에 이어 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테란의 기본 보병으로 등장한다. 전작과 비교해 3종족 기본 공격 유닛 중에서 가장 많이 상향된 유닛이다. 광전사는 소환 시간이 2초 줄어든 대신 보호막이 10 줄었고, 저글링은 생산 시간이 4초 줄어 이제 기본 공격 유닛 중에서 생산 시간이 가장 빠른 유닛이 되었지만 기본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가 느려지는 등 하향을 거하게 먹었다. 하지만 해병은 생산 시간이 1초 증가한 대신으로 기본 생명력이 5 증가하고 U-238 탄환 업글이 사라진 대신[114] 기본 사거리가 5로 늘어났다.[115] 섬멸전에서 의무관이 빠졌기 때문에 전체적인 능력치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투 자극제의 공격 속도 증가 효과는 공격 속도 약 66% 증가에서 50% 증가로 약간 감소하였다.

관련 연구로는 전투 자극제는 그대로지만 '전투 방패 연구'가 추가되었다. 전투 방패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해병의 어깨 부근에 방패가 부착되어 생명력이 45에서 55로 10만큼 증가하여 생존력이 더욱 좋아진다.[116] 기본 공격 유닛의 생명력이 10 증가하는 건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업그레이드로, 대개는 전작처럼 전투 자극제 연구가 우선시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투 방패 업그레이드를 우선시하는 경우도 있다.

병영에 반응로를 달면 한 번에 두 명씩 훈련할 수 있다. 그 덕분에 광물만 충분하다면 짧은 시간에 해병을 순식간에 다수 확보할 수 있다. 해병의 전체적인 전투력이 증가한 데다 생산성도 좋아졌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해병 다수만으로도 적을 압도할 수도 있다.

데이터상 공격 선딜인 피해 지점(DamagePoint)이 0.05로 매우 적다. 스2 디폴트 피해지점 값은 0.1670=약 1/6초인 것에 비하면, 반응성이 매우 좋은 것. 따라서 이 값이 0인 불곰, 사신과 조합된 테란 바이오닉의 무빙샷-허리돌리기의 효율은 하늘을 뚫으며 조작 반응성이 매우 뛰어나다.

3.3. 장단점

장점
단점

3.4. 산개 컨트롤

파일:clem.gif
드림핵 마스터즈 2020 Fall 시즌 8강 경기에서 Serral의 맹독충에 대처하는 Clem의 해병 산개 컨트롤.

체력이 낮고 잘 뭉쳐서 광역 공격에 취약한 해병을 넓게 펼쳐 맹독충, 공성 전차 등 광역 공격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여 해병의 생존력을 높이는 컨트롤인데 등장시기는 자유의 날개 초기이다. 당시에는 선수들의 마이크로 컨트롤이 딸리고 게임 이해도가 부족했던지라 다수의 해병은 맹독충에게 초록색 폭죽이 되어 터져나가기 바빴고 이에 대한 테란 유저들의 해법은 불곰을 섞어 몸빵으로 쓰거나 전차로 맹독충을 원거리에서 요격하는 것이었다. 다만 불곰과 전차 모두 대공이 안 돼 링링의 친구 뮤탈리스크에게 쓸려나가서 해병만 맹독충으로 줄여주면 남은 불곰이나 전차는 터진다. 따라서 테저전은 해탱 vs 뮤링링에서 저그가 해병을 맹독충으로 몰살시키면 저그의 승리였고 맹독이 다가오다가 공성 전차에 다 터지면 테란이 남은 저글링, 뮤탈을 해병으로 정리하여 테란이 승리했다. 물론 전자의 상황이 훨씬 많이 나왔고 따라서 테저전은 메카닉을 가는 빈도가 많았다.

하지만 이정훈이 등장하고 상황이 달라졌다. 그는 저그전에서 해병을 다수 생산한 뒤 저그가 이에 대응해 맹독충을 양산하여 돌격하면 압도적인 피지컬을 바탕으로 해병 다수를 넓게 펄쳐 맹독충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해병 다수를 살려냄으로서 후속 뮤링에게 입을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자원 회전력 싸움에서 테란이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불러왔다. 비록 저그의 대처가 좋아지고 산개 자체를 차단하는 감염충의 재발견 등으로 발견 당시만큼 위력적인 모습을 보이진 못하나 그래도 테란 유저라면 익혀두면 좋은, 남들보다 더욱 해병을 주력으로 사용한다면 반드시 익혀야 할 컨트롤이다.

방법은 해병을 무빙으로 뒤로 빼면서 드래그로 여러 갈래로 찢어서 받을 광역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 실제로 해보면 어렵다. 일단 산개컨을 하는 상황은 맹독충 다수가 무시무시한 속도로 달려오는, 작게는 교전의, 크게는 게임의 승패가 걸린 급박한 상황일 텐데 이때 손이 꼬이기라도 해서 기껏 펼쳐 놓은 병력을 다시 뭉쳐버린다거나, 빨리 흩어진다고 자극제를 빨았더니 HP가 적어 맹독충에 다 터지는 상황이 나온다거나 싸우는 전장이 점막 위에다가 맹독충이 원심고리까지 완료된 상태라면 멀티 태스킹이 딸리는 사람들은 펼치기도 전에 죽기도 한다. 프로급 경기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실수. 여기에 지뢰 깔아야지, 공성 전차로 맹독충 점사까지 해야되기 때문에 손이 안 꼬이는 게 이상할 정도. 그리고 스타 2는 스타 1에 비해 경기 속도가 빠르다. 이영호같이 손이 느린 게이머는 아예 교전 직전에 병력을 펼쳐두고 적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면서 손이 많이가는 지뢰 대신 별도의 컨트롤이 필요없는 기갑병과 토르를 섞는다. 대신 지뢰 하나면 되는 뮤링 대비를 기갑병과 토르를 섞어주다 보니 자원, 인구, 기동성, 화력 면에서 지뢰보다 후달리게 된다. 그래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컨트롤이며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게 중요하다. 보통 마우스로 해병을 차츰차츰 작게 찢어서 사방으로 펼치는 방식이 보통이며, P를 여러 방향으로 찍어 해병을 미리 펼쳐놓는 방식도 있다.

산개를 처음 연습한다면 1개의 병영에서 꾸준히 불곰을 찍으면서 다른 병영에서는 해병을 뽑아주자. 이후 벌어지는 교전 시에 해병만 선택, 자극제를 먹으며 후퇴하는 것부터 연습하자. 불곰은 중장갑, 체력, 충격탄 등 다방면에서 맹독충의 천적이고, 달려오는 저글링에게도 어그로를 끌어주기 때문에 자극제만 먹이고 가만히 둬도 상관없다. 게다가 충돌 크기도 해병보다 커서 무빙으로 달려들 때도 장애물이 되어준다. 컨트롤도 해병을 선택 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뒤로 빠지기만 하면 되니 효율이 굉장하다. 교전 시 전 병력이 뒤로 빠지는 컨트롤만 해도 선택과 후퇴의 2번클릭이 필요한 셈이니 실제 난이도는 굉장히 낮은 편이다. 추가로 위에 서술한 산개를 꾸준히 해주면 된다. 모든 걸 마우스로 컨트롤을 하게 되면 효율이 굉장히 떨어지게 되니 제어부대를 적극 활용하자. 테란 뿐만 아니라 다른 종족들도 유용하게 사용하는 컨트롤이다. 저프전에서 타링링 맹독 드랍의 대처법도 추적자 산개였고[119] 오히려 저그가 산개를 활용해 맹독충이 공성 전차의 스플래시에 입는 피해를 최소화하기도 한다.

3.5. 실전

전작에선 해병이 테저전에서만 주력 유닛으로 활약하고 그 이외에선 그닥 힘을 쓰지 못했으나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해병이 어떤 종족전이든 전부 활약한다. 사실 스타크래프트 2 출시 초반에는 불곰의 강력한 성능에 이목이 집중되었고, 해병은 맹독충이나 거신, 고위 기사 등에게 녹아나가는 모습 때문에 별로 큰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하지만 해병왕 이정훈을 시작으로 테란 유저들의 유닛 산개와 허리 돌리기[120] 무빙 샷 등 컨트롤이 발달하면서 현재는 초반용 유닛이라는 평가에서 벗어나 초반부터 최후반까지 테란 병력의 주축으로 활약하고 있다. 심지어 전작에서는 사양된 전략인 땡해병 전략도 중후반까지 컨트롤만 좋다면 어느 정도 먹힐정도. 분명 가스 자원줄을 마르게 했고 주요 병력을 다 격파 했음에도 불구하고 테란쪽에서 뜬금없이 가스가 필요없이 쓸만한 해병이 쏟아져 나와 우주방어에 들어가면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한숨이 나온다.

이는 게임 시스템의 향상으로 전작보다 유닛이 잘 뭉치면서도 인공지능이 높아 꼬임이 적어지고, 백기단위의 다수 컨트롤이 가능해진 덕분이다. 이 덕분에 특성상 해병은 기본유닛치고 넓은 공격범위와 높은 DPS로 인해 밀집 화력이 어마어마한데 가격은 매우 싸서 전작과는 달리 스타2에서 모든 종족을 상대하는데 있어 거의 매번 등장한다. 그래서인지 자유의 날개 초기 시절 한정으로 사기 유닛 소리를 듣기도 했으며, 공허의 유산까지도 테란의 주 유닛인 것은 아직까지도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밀집 화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든 좁은 지형에서 싸우는 건 피하자. 사거리 5는 스타1보다 길긴 하지만 실전에선 그렇게 긴 편이 아니라서 일반적으로는 동인구수로 해병에게 지는 히드라리스크나 추적자도 좁은 지형에서는 사거리 1 차이가 은근히 크게 작용해 뒤에 있는 해병이 원활한 사격을 못 해서 특유의 밀집 화력이 덜 나와 해병이 썰리게 될 수 있다. 좁은 언덕을 넘어다니다가 급습을 당할 때가 해병에게 있어 최악의 상황. 신속하고 현명하게 대처하자.

반대로 광전사 저글링 바퀴등의 근접유닛 상대시 좁은 길목이나 광물 사이에서 장판파를 펼치면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다.

3.5.1. 테테전

동족전에서 미리 자리를 잡은 메카닉에겐 역시 약한 편이다. 그래도 스타 2에선 불곰이 추가가 되어 불곰과 함께 달려든다면 메카닉에게도 싸움을 걸어볼 만하다. 자리잡은 메카닉 쪽이 물량이 조금 적고 해불의 산개가 잘 된다면 뚫어낼 수 있다. 이로인해 스타 2 테테전은 바이오닉 vs 메카닉 구도가 가능하다. 해병 + 전차 + 의료선 싸움의 주축이 되는 유닛이기도 한데, 상대방이 메카닉 테란을 운용하지 않는다면 딱히 불곰을 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는 테란 유저들이 해병 다수와 공성 전차 위주로 운영을 해가고 있다. 만약에 상대방이 화염차와 공성 전차 위주의 메카닉 병력을 운용할 경우에는 자신도 불곰과 공성 전차를 조합해주는 것이 기본이다. 충격탄에 맞은 상대방의 화염차를 준수한 딜로 녹여 줄 수 있는 해병이 불곰과 함께 메카닉 테란의 빈틈을 찌르면서 싸워줄 수 있다.

군단의 심장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메카닉을 상대로 할 때 화염기갑병은 요주의해야 한다. 평소에는 이동 속도도 느려서 달라붙기 쉽지 않지만 메카닉을 상대로 할 때는 공성 전차에 달라붙어야 되는데 그러면 옆에 있는 화염기갑병의 화염 난무가 시작되고 해병들은 떼거지로 순삭된다. 공허의 유산에 와서도 역시 주력 병력으로 활약하고 있는데, 자원량 감소로 인한 매우 빠른 흐름으로 인해 전작들과는 비교도 안 되는 해병&공성전차 싸움이 펼쳐진다. 따라서 불곰을 뽑을 시간에 반응로에서 뿜어져 나오는 해병 물량과 눈코뜰새없이 재배치 되는 공성 전차를 이용해 교전을 하는 편이 훨씬 낫다.[121]

3.5.2. 테저전

테란-저그전에서도 바이오닉 테란을 간다면 주력 유닛으로 사용하게 된다. 자유의 날개 초기에는 맹독충에게 너무 쉽게 녹아내리는 것에 별로 주목을 못 받았지만, 해병왕 이정훈으로 인한 해병 컨트롤이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해병 위주로 병력을 꾸리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 되었다. 군락 전까지는 거의 모든 저그 유닛들을 상대로 상성이 동일하거나 우위라고 할 수 있으며, 초중반에 까다롭다고 할 수 있는 맹독충이나 바퀴 같은 상대로도 다른 유닛들과 적당히 조합하여 싸워주는 것으로 대처가 되며, 아니면 의료선 타고 도망치면 그만. 특히 저그의 기본 유닛인 저글링 상대로의 상성이 전작보다 훨씬 좋아져서 어지간히 물량 차가 나거나, 저그 쪽이 업그레이드가 크게 앞서거나 하는게 아닌 이상 다수의 해병 상대로 저글링이 달려들면 저그 쪽만 일방적으로 손해본다. 결과적으로 저그에게 가스 유닛의 소모가 강제되기 때문에 테란이 저그의 가스멀티만 지속적으로 단속해도 저그의 뒷심이 떨어지게 된다.

뮤탈리스크/저글링/맹독충 조합에서 맹독충만 공성 전차의 지원으로 잡으면 남은 저글링과 뮤탈리스크는 해병의 밥이기 때문에 테란은 보통 맹독충과 해병을 계속해서 바꿔주는 싸움을 해주게 된다. 이때 정신력이 흐트러져 맹독충을 변태하지 못한다거나 펌핑을 쉬게 된다면 저그 입장에서는 끔찍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다만 저그들이 과거보다 업그레이드에 치중해주는 모습을 보이며 저글링이 해병에게 어느 정도 대응을 해주고 있기 때문에 전처럼 완벽하게 녹아나가는 모습만 보이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잠복 맹독충은 요주의해야 한다. 전작의 과학선과 달리 밤까마귀는 테저전에서 사용빈도가 낮기에 잠복 맹독충에게 잘못 걸리면 해병이 아주 깔끔하게 녹아 내린다. 프로게이머들의 테저전만 봐도 맹독충 대박이 심심찮게 나오는데 초~중수 입장에서는 정말 스캔을 꼼꼼히 써 가며 진군하지 않으면 1~2부대가 녹아 버리며 역전당하는 건 순식간이다. 반면 저그 쪽에서는 그냥 적이 머리 위로 지나갈 때 터트리면 그만이고 스캔에 잡혀 죽어도 지게로봇과 맹독충 2마리를 바꾼 격이라 테란에 비해 부담감이 훨씬 덜하다. 다만 손이 많이 가는 것이 흠이라면 흠이다.

파멸충을 대신하는 감염충도 무서운 적이기는 마찬가지다. 감염충의 진균 번식은 피해량은 많지 않지만 해병 따위는 두 방이면 깔끔하게 녹아 내린다. 거기다가 이건 한 번 맞으면 피하지도 못하고 추가타가 확정이기 때문에 사이오닉 폭풍보다 더 무섭다. 또한 진균에 명중당하면 잠시 동안 발이 묶이기에 맹독충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다수의 맹독충을 운영하는 저그 상대로 해병이 진균 대박을 맞으면 그냥 포기하고 의료선만 살려오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 감염충이 다가온다면 재빨리 해병들을 산개하거나 불곰을 앞세워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그리고 울트라리스크에겐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극상성이다. 서로 풀업했을 땐 대미지도 2밖에 들어가지 않는데 울트라리스크는 500이라는 높은 체력이 한 방에 41이라는 무지막지한 대미지를 스플래시로 입히기 때문에[122] 일단 달라붙으면 순식간에 개박살난다. 불곰과 조합해도 무빙 샷을 안 하면 말짱 꽝이니 불곰과 무빙 샷은 필수다. 불곰도 그냥 정면으로 울트라리스크를 이기는 건 불가능하다. 그 이전에 울트라 갖춘 저그가 단독 울트라만 쓰는 것이 아니라 달라붙을 저글링과 발을 묶고 광역 피해를 주는 감염충, 해병의 사거리를 1로 만들어버리는 살모사를 동반하기 때문에 무빙 샷도 말처럼 쉬운 건 아니다.

다만 무리 군주 상대로는 조금 할 만한데 해병의 인구수 대비 DPS는 굉장히 높아서 공생충이 순식간에 증발해버리고 전투 자극제를 사용하면 이동 속도도 빨라지는 데다 크기도 작아서 공생충의 길막을 무시하고 무리 군주 바로 밑으로 달려와서 벌집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무리 군주의 기본 방어력 1은 은근히 크게 작용하는 데다 사거리는 9.5로 거의 2배 가까이 길고 공격력이 높은 건 무리 군주도 마찬가지며 생명력이 딸리는 것도 해병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무리 군주 밑에서 감염충이 버티고 있으면 심히 난감해진다. 위에서 말했듯이 저그에게도 충분히 해병에 대응할 카드가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해병은 공성 전차나 불곰 등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는 유닛과의 조합에서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하기 때문에 전작만큼이나 다용도로 쓰이는 것은 확실한 유닛이다.

저그에게 분명히 해병을 상대할 유닛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유닛이 해병에 비해 가성비가 매우 안 좋거나 중반이나 후반은 가야 나오는 유닛이므로 초반에 힘든 것은 마찬가지이다. 맹독충이 해병을 한 번에 몇 기씩 잡아낼 수 있는데 뭐가 가성비가 안 좋냐 할 수 있는데, 산개 컨트롤을 할 경우 그딴 거 없으며 테란에게도 땅거미 지뢰가 있다…. 저그의 저글링과 맹독충은 공격을 위해서 달려야'만' 하지만 테란 측에서는 지뢰를 박아 놓고 끌어당기기만 해도 대박이 나올 수 있단 것을 명심.다만 범용성이 아무리 좋다 해도 광물만 먹는 1티어 유닛의 한계는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저그가 군락이 올라간 상태라면 해병의 비중을 줄이고 불곰이나 유령, 또는 군수 공장 유닛들의 비중을 높이는 게 좋다. 게임 메타가 물량전-소모전으로 정립된 지금엔 후반가면 가스가 남아도는 저그가 울트라나 가시지옥 같이 해병에게 치명적인 카운터 유닛을 갖추면서도 맹독충을 저글링 뽑듯이 양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병들이 쭉 녹아내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3.5.3. 테프전

전작의 테프전에서는 바카닉이나 초반 벙커링 말고는 거의 쓰이지 않았지만 스타크래프트 2에 와서 위상이 완벽하게 뒤바뀌었다.

초반에는 방어력 업그레이드나 수호 방패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광전사와 추적자에 대해 상성상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반의 해병 러시는 프로토스 입장에서도 상당히 막기 까다롭다.[123] 다만 파수기의 수호 방패나 역장에 굉장히 약한 면모를 보이기 때문에 프로토스가 수호 방패를 켠 파수기를 보유하고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124]

후반은 초반보다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정 수 이상 거신이 모이게 되면 거신이 한 번 긁을 때마다 해병이 떼로 삭제되는데, 전작의 파괴자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125] 강력한 공격력으로 해병을 학살할 수 있으므로 불곰과의 조합은 필수이다. 고위 기사사이오닉 폭풍은 전작에 비해선 덜 아프지만 스치면 빨피 되고 다 맞으면 죽는 건 변하지 않는다. 생명력이 별로 남지 않았을 때는 특히나 요주의 대상이다. 특히 한끗 차이로 역장에 다수의 해병을 가둬 버리고 폭풍을 떨궈 버리면… 다만 광전사집정관을 잡아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조합에 추가해주는 면모를 보여 주고 있는데, 경장갑 상대 dps가 낮은 불곰만으로는 해병의 지원이 없이는 다수 광전사나 집정관을 효율적으로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업그레이드에 따라 효율이 들쭉날쭉하기는 하지만, 토스가 수호 방패를 키거나 업그레이드 상황이 크게 밀리지만 않는다면 집정관이나 광전사를 잡는 효율은 상당히 준수하다.

테란-프로토스전 프로토스가 공격 업그레이드보다는 방어 업그레이드에 치중하는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하다.[126] 테란이 프로토스보다 업그레이드가 뒤쳐져 있다면 수호 방패의 지원을 받는 광전사를 정말 못 죽이기 때문에 좀비스러운 광전사를 볼 수 있다. 다만 해병을 너무 운용하다 보면 광물이 부족하고 가스가 남아도는데 가스를 쓰려 해도 이에 대한 다른 프로토스 카운터 유닛들이 많아서 사실상 테프전에선 테란이 열세이다.

3.6. 상성

스타 1과 마찬가지로 역시 단일 개체로는 크게 힘을 쓰지 못한다. 심지어 1:1이라면 저글링 1마리도 겨우 이기는 게 해병이다. 하지만 업그레이드가 되고 수가 쌓일수록 해병 특유의 생산성과 인구수 대비 DPS, 그리고 밀집도가 빛을 발해 고급 유닛들도 순식간에 해체하는 화력이 나오는 것. 따라서 아래의 상성은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수가 쌓였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3.6.1. 테테전

3.6.2. 테저전

3.6.3. 테프전

3.7. 캠페인

파일:attachment/e0025184_4e31722831c0b.jpg파일:attachment/e0025184_4e3171f4836cd.jpg
파일:btn-ability-terran-stimpack-color_테.png 전투 자극제 Stimpack (T)[133]
파일:SC2_Health_terran.png 10
해병의 10의 체력 피해 받습니다. 공격 및 이동 속도가 15초 동안 50%만큼 증가합니다.
파일:btn-techupgrade-terran-combatshield-color_테.png 전투 방패 Combat Shield
해병의 체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캠페인에서는 모든 테란 세력[134]들의 기본 유닛으로 등장한다. 특히 주인공인 자유의 날개 캠페인에서는 해만으로 아주 어려움 난이도의 모든 미션을 클리어할 수도 있다. 공허의 나락같은 특정 미션을 제외하면 레이너 특공대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므로 당연히 무기고 업그레이드는 필수다. 업그레이드의 성능 자체는 섬멸전의 성능과 동일하고, 명칭, 툴팁 설명, 전투 방패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 정도가 다르다.

추가로 전쟁광이라는 용병을 고용할 수 있다. 필요 자원이 광물 250으로 해병 5기 생산비용에 전쟁광은 한 번 부를 때 4명만 나오지만 가성비가 매우 높고, 별도의 고용비 없이 사용할 수 있는지라 급히 병력 충원이 필요할 때 불러내면 도움이 많이 된다.

군단의 심장에는 전쟁광과 모델링이 동일한 우모자 해병과 자치령 근위대 소속의 코랄의 후예라는 강화 해병이 등장하며 노바 비밀 작전에서는 인류의 수호자 세력이 부대원이라는 해병의 파생 유닛을 해병과 병용한다. 그리핀 부대 소속 해병도 검은 스킨의 자체 모델링을 사용한다.
스타크래프트 2 자치령 해병 대사 모음(캠페인, 시네마틱, 미사용 대사)
이 반란군 쓰레기 녀석들![135]
레이너다! 자치령에서 가장 유명한 수배범이야![136]
오딘이 통제를 벗어났다. 반복한다, 오딘이 통제를 벗어났다![137]

스타크래프트 2의 첫 번째 캠페인인 자유의 날개에서는 주인공이 자치령이 대항하는 반란군을 이끄는 포지션이다. 자치령이 테란 세력 중 가장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해병"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모병이나 징집을 거쳐 자치령 군대에서 복무하는 병사들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인지 스타크래프트 2가 발매되기 전에 블리자드에서 진행한 자치령에 입대하세요 포스터에도 해병이 떡하니 그려져 있다. 심지어 시네마틱에서도 찬조출연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파일:해병입대.png

거기에 군단의 심장 캠페인에서는 테란 자치령이 주력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미션을 진행하다 보면 유독 해병의 대사를 많이 들을 수 있고 엄청나게 죽어나간다. 심지어 자치령이 주인공의 아군 세력으로 등장하게 되는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도 주요 적대 세력 중 한 곳이 자치령 소속 해병들을 굴리고 있었기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2 삼부작에서 상대하게 되는 해병은 전부 자치령 쪽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구명정으로 가라! 어서!!![138]

특히 확장팩인 군단의 심장에서는 플레이어의 최종 목적이 자치령 정권을 무너트리는 것이기 때문에 자치령 행성을 순회공연하면서 군수공장과 주요 기지들을 박살내고 나니는데 그러한 과정이 묘사된 진화 임무, 레이너를 구출하려고 일종의 정치범 수용소인 우주선 모로스를 습격하는 임무, 우모자 연구소를 습격하는 자치령 군대로부터 탈출하는 초반 미션에서 해병들의 대사를 많이 들을 수 있다.

3.8. 협동전

파일:btn-unit-terran-marine.png
레이너 해병
파일:btn-unit-collection-marine-covertops.png
노바 정예 해병
파일:btn-unit-zerg-infestedmarine.png
스투코프 감염된 해병
파일:btn-unit-terran-tychuscoop.png
타이커스 (유닛)타이커스

테란의 상징과도 같은 유닛, 협동전의 다른 종족처럼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해병' 이름이 들어간 유닛을 보유한 사령관은 레이너, 노바, 스투코프가 있고 해병 역할의 유닛이 있는 사령관은 타이커스와 멩스크가 있다.[140] 그 둘 모두 없는 사령관은 스완과 한과 호너 뿐이다.

레이너는 사령관 효과로 강화된 전투 자극제를[141] 사용한다는 점, 바나듐 장갑 효과로 방업을 할 때마다 추가 체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빼면 일반적인 해병과 다를바 없는 성능이다. 화력은 강력하지만, 체력이 너무 낮아 온갖 범위 피해에 죽기 쉽다는 단점이 있는데, 레이너는 지게로봇이 존재하므로 광물을 폭풍같이 흡입한 후 해병으로 비를 만들 정도로 양산하는 방식으로 커버할 수가 있다. 위신으로 변방 보안관을 선택하면 전투 방패 완료 기준으로 체력이 110으로 늘어나게 되어 큰 단점 중 하나인 맷집 문제가 해결되지만, 지게로봇이 봉인되어 물량전이 어려워지는 약점이 생기게된다.

노바는 그리핀 부대 스킨을 사용하는 강화 유닛 정예 해병을 사용하며 해병임에도 체력이 150에 달하고 기본 공격력도 9나 된다. 연구를 통해서 사거리를 6으로 증가시키고, 체력 회복 효과가 추가된 초 전투 자극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해병 특유의 만능은 건재하지만, 1기당 비용이 150광물에 달하고 노바 특유의 생산 쿨타임이 걸려있으므로 레이너와 반대로 가급적 죽지 않도록 아껴 써야 한다.

감염된 테란 컨셉의 사령관 스투코프감염된 해병과 감염된 부대원을 사용한다. 감염된 해병은 광물 15라는 매우 저렴한 가격에 감염된 병영당 최대 20명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엄청난 물량을 쏟아낼 수 있다. 점막이 깔리기 이전에는 매우 느린 이동 속도, 시한부 유닛, 자극제의 부재, 전투중 치료 수단의 부재라는 단점의 시너지로 레이너 해병의 하위 호환 취급을 받지만 점막이 깔린 이후에는 역병탄약의 막강함으로 상위 호환으로 변모한다. 감염된 부대원은 감염된 벙커알렉산더가 생성하며 능력치는 감염된 해병과 동일하나 지속 시간이 30초에 불과하다. 무료로 생성되는 보병들은 감염된 공성 전차의 포탄으로 쓰인다.

타이커스는 해병 무법자로 본인이 등장한다.
멩스크
파일:btn-unit-terran-troopermengsk.png
자치령 부대원
파일:btn-unit-terran-troopermengskrifle.png
자치령 돌격병
파일:btn-unit-terran-troopermengskflamethrower.png
자치령 화염 부대원
파일:btn-unit-terran-troopermengskrocket.png
자치령 로켓 부대원
멩스크는 해병은 없지만 해병의 역할을 하는 부대원과 돌격 부대원이 있다.

적이 테란일 경우 당연히 등장하며 스펙은 래더의 해병이다. 과거에는 전투 방패나 전투 자극제 등 기본 연구를 끝까지 하지 않았기에 기본 패널이나 영웅으로도 쉽게 쓸어버리는 최약체였으나 4.9 패치로 중반부터 두 연구를 하고 나오는지라 레이너의 밴시 공습이나 알라라크의 파괴 파동으로 1타가 안 나서 상대하기 귀찮아졌다. 대신 물량만큼은 많은지라 돌연변이원과 섞이면 또 이야기가 달라진다. 일명 스카이테란이라고 불리는 자치령 전투단 공세의 경우 3차 공세에서 섞여나오는데 역시 분량이 많아서 대공 유닛만 준비한 플레이어들을 통수친다.

광부 대피 임무나 돌연변이원 속성이 재앙일 경우 적들 중 감염된 해병들이 다수 섞여 있으며 광부 대피에서는 맷집이 제법 강화되어 까다롭다.

4.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는 핵탄두 격전지브락시스 항전의 원거리 돌격병으로 나오며 영웅으로 레이너타이커스가 해병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평행세계 컨셉의 스킨으로 정예 타우렌 족장, 머키 등에 이 해병을 모티브로 한 스킨이 있다.

취소된 영웅으로 타우렌 해병멀록 해병 그런티가 있었다.

5. 카봇 애니메이션즈

스타크래프츠히어로스톰테란 캐릭터로 등장한다. 문서 참조.

6. 해병인 인물, 파생 유닛

아메리고 호 폭파를 위해 투입되었던 특수임무 부대원. 회색 전투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스타1 해병 초상화로 표시되는 인물의 설정상 이름이 말코비치인데,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다만 스타1 해병 초상화는 백인인데 아메리고호의 말코비치는 흑인이다.
아메리고 호 폭파를 위해 투입되었던 특수임무 부대원. 상온 핵융합을 찬양하며 맥주를 마시다가 히드라리스크에게 끔살당했다.

7. 기타



[1] Armored Infantry Trooper. 여기서 기갑(armored)보병이란 기계화보병따위의 재래식 병과를 다르게 표현한 말이 아니라, CMC 동력 장갑복으로 무장한 작중의 중갑보병을 일컫는, 현실에는 없는 용어다. 즉 기갑 수준의 방어력을 갖춘 중장갑보병을 일컫는 가상병과. 개발취소된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에서도 테란 잡몹은 경보병 부대원이며, 해병은 정예몹에 해당하는 중보병 취급받았다.[2] CMC 300/400 Powered Combat Suit[3] C-14 8mm "Impaler" Gauss Rifle[4] 자치령과 테란 연합 한정. 우모자 보호령, 켈모리안, 지구 집정 연합도 재사회화하는지 어떤지는 불명이다. 특히 우모자 보호령은 자유주의 정부라 재사회화를 허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5] 생물학의 오역[6] 카툰 스킨 승리화면은 이렇게 생겼다.
파일:테란승리카봇.jpg
[7] 설정상 해병 대신 보병의 역할을 담당하는 육군 병종이 존재하는지, 아니라면 해병이 주력 보병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경위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육전이 일반적인 현실의 전쟁과는 달리 스타크래프트 세계관은 행성을 넘나들며 싸우는 경우가 대부분인 우주구급 전쟁이니 양자를 분리해 운용하기보단 하나로 통합하는 게 나았을지도 모른다. 초기엔 육군 보병과 해병이 따로 존재했지만 우주선 타고 옮겨다니는 전쟁이 많아지니 해병 하나로 일원화되었을 수도. 사실 테란 건물들의 특성과 RTS 클리셰인 세력의 위세에 무관하게 빈약한 초반을 생각하면 그냥 실제 게임 내에서의 테란 자체가 상륙 부대와 비슷한 성격을 띄고 있어서 해병이란 이름이 붙은 것일 수도 있다.[8] 스타크래프트 2: 노바 비밀 작전에서 부대원이란 이름으로 등장하여 게임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참고로 중문판에서 해병은 육전대(陸戰隊)라 불린다.[9] 물론 말만 모병제이지, 협동전에 등장하는 부대원이란 유닛으로 볼때, 징병제 및 동원령도 실시하긴 하는듯 보인다.[10] 이들이 해병 복무를 한 것은 범죄를 저지르기 전의 일이었다. 멩스크는 이후 대령으로 예편했다가 가족이 유령 요원이던 사라 케리건한테 참살을 당해 반란군이 되었고 핀들레이와 레이너는 누명을 쓰고 탈주병이 된 것.[11] 또한 공허의 유산 발매 전 나온 단편 소설에 따르면 재사회화를 한 해병은 혼종의 세뇌에 꽤 오랫동안 버틸 수 있다. 물론 보통 해병보다는 그렇다는 거지 결국에는 세뇌...[12] 중범죄자 출신이라도 완벽하게 재사회화되었기 때문에 능력만 있으면 장교가 되는 것도 문제는 없는 듯하다. 전쟁 중에는 사병 뿐 아니라 장교도 항상 부족하다.[13] 게임상의 대사는 해병이라는 이미지 때문인지 설정에 비해서 거칠고 전투적인 대사가 많은 편이다. 물론, 대표로 나오는 해병들이 재사회화된 범죄자가 아니라 일반 지원자라면 무리가 없는 모습이다.[14] 육체적인 능력이 군인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현대의 군인과 달리, 작중 해병들은 강화복을 입고 싸우기에 개인의 신체 능력이 현대의 군인보다는 덜 중요할 것이다.[15] 다만 게임상에서는 해병들이 죄다 남성으로 나온다. 스타2 유령 정도를 제외하면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모든 일반 유닛은 게임내에서 성별 구별이 구현되지 않았다.[16] 파일:바코드 마린.jpg[17] 미국의 경우, 동네 경찰관들이 형사처벌하기에는 죄질이 애매하고 교육 좀 받으면 정신차릴 것 같은 입대 정년기가 된 불량 청소년들을 잡아두고 "너 군대 갈래 깜빵 갈래" 하는 모습을 지금도 꽤 볼 수 있다. 비교적 안전해서 입영 자원이 몰리는 해/공군이나 해안 경비대보다는 사람이 부족한 육군이나 해병대로 많이 보낸다.[18] CMC 400 강화복과 C-14 가우스 관통소총을 장비한 해병으로, 스타크래프트 시점과 비교해서 장비들이 디자인 면에서도 성능 면에서도 훨씬 우수한 것으로 개선되었다.[19] 덧붙여 프로토스 역시 평균 신장이 2m가 훌쩍 넘는 체격을 지녔음을 고려하면 CMC 전투복은 테란과 프로토스 간의 체격차를 어느 정도는 커버해줄 수 있는 강화복이라고도 볼 수 있다. 실제로 공허의 유산에서도 CMC 전투복을 착용한 짐 레이너아르타니스와 비슷한 체격으로 그려진다. 다만 프로토스는 인간보다 훨씬 우월한 신체 능력을 더욱 강화하는 인공 생체 이식수술을 받고 한층 발달된 기술의 강화복으로 무장하였기에, 설령 같은 강화복을 입는다고 해도 당연히 테란보다 몇 배는 더 강하다.[20] DC 코믹스의 와일드스톰 레이블에서 연재되었던 스타크래프트 코믹스에선 여성 해병이 묘사된 바 있으며, 취소된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에서도 노바가 CMC 전투복을 장착하는 이벤트가 있었다. 스타크래프트: 진화에서는 아예 여성 우주생물학자인 에린 와이랜드 박사가 전투복을 입기도 했다.[21]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의 게임 내 동영상 '아메리고'와 스타크래프트 종족 전쟁의 인트로 동영상에서 나온다. 1997년 12월호 PC CHAMP의 자료를 참고하면 'AAX 유탄발사기'라는 이름으로 시나리오 중의 특수 미션에서 사용 가능할 예정이라고 했으나, 얼리 베타 때 삭제되었다. 하긴 있으면 밸런스 문제가 생겼을지도 모른다. 기본 유닛인데 유탄을 쓰는 스킬 같은 걸 넣으면 된다. 다만, 유탄 발사 스킬 자체는 사라졌어도, 설정상으로는 여전히 부착이나 사용이 가능하다.[22] 정확하게는 화약도 함께 사용한다. 기술력의 부족으로 인해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한 듯. 시네마틱 영상에서 탄피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23] 열화우라늄 소재가 탄속이나 사거리를 늘려주는 것은 아니고 높은 경도와 밀도, 그리고 self-sharping 효과로 인해 단순 금속탄보다 착탄 시 더 높은 관통력을 낸다. 즉, 사정거리 자체가 아니라 유효 사정거리가 늘어나는 셈이다.[24] 그대신 유탄발사기는 불곰이 사용하게 되었다.[25] 그 덕분에 워필드 장군이 저글링 한마리를 죽였다.[26] 골리앗을 개발한 회사.[27] 네오스틸 장갑. 전투순양함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그 재질이다.[28] 같은 작품에서 고위 기사의 목소리를 담당.[29] '한 번 붙어볼래'가 적극적으로 싸움을 거는 표현인 반면 'You want a piece of me?'는 '어디 한 번 때려봐, 임마!' 정도의 수세적인 뉘앙스가 강하다.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에서 옵티머스 사망 후 아이언하이드가 자신에게 무기를 겨누는 인간들에게 한 대사를 참조할 것.[30] piece of XXX는 상당히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예를 들면 piece of mind(의견, 소견, 단상), piece of sh*t(똥덩어리), piece of ass(새끈한 여자) 등이 있다.[31] 'You want a piece of meat, boy?' 또는 'You wanna be piece of meat, boy?'(고깃조각이 되고 싶나?)로 잘못 알려진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오역은 타우렌 해병이 사용하고 있다.[32] jack up은 혈관에 마약을 주사한다는 미국 속어이다. 스팀팩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있는 대사이다. 더빙판에서는 순화하여 번역하였지만 원래 뜻을 살린다면 '약빨고 대기중.' 정도가 될 것이다.[33] 리마스터 버전에서 언어를 한국어(완역)으로 바꾸면 많이 출력되지 않는다.[34] 리마스터 버전에서 언어를 한국어(완역)으로 바꾸면 출력된다.[35] Whacked의 또 다른 의미는 마약(주로 마리화나)에 의해 몽롱한 상태(high)가 됐다는 건데, 여기서는 분명 이 의미로 쓰이고 있다. 그러니까 전투 중에 유닛 클릭이나 해대는 맛탱이가 가버린 사령관을 욕하는 대사다. 반복 선택 시 하는 대사들이 내려야 할 명령은 안 내리고 뻘짓하고 있는 사령관에게 깐죽대고 개기는 컨셉이라는 걸 기억하자. 여담으로, 저 대사를 'Oh my god, he is wet!'로 알아들은 유저들이 간간히 있는데, 해석하면 "아이쿠, 이 녀석 오줌 지렸잖아!"라는 뜻으로, 상황에 전혀 맞지 않은 오역이다.[36]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병사들이 상관을 살해하기 위해 파편 수류탄을 투척해 살해했던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Fragging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다. 적이 운좋게 맞춘 것인지 아니면 프래깅을 의도하고 일부러 아군측으로 날린 것인지 알기 힘들다는 점을 이용해 발생하던 일.[37]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에일리언스의 대사의 패러디이다. 직역하면 '이 겁쟁이 유니폼을 어떻게 벗어 던지지?'이지만, 의역하면 '이 겁쟁이 팀에서 어떻게 나가지?'라는 뜻이 된다. 즉, 계속 집적대는 쫄보 사령관 휘하에서는 일하기 싫다는 뜻이다.[38] 상술된 원문과 뜻은 다르지만 뉘앙스를 고려하면 엉터리 번역이 아니라 적절히 의역한 말투다.[39] 무슨 이유인지 등장 대사가 반복 선택 시에도 나온다. 이런 경우는 마린에게만 있는 특이한 현상이다. 덧붙이자면 등장 대사와 완전히 동일하지만 파일명을 공유하지 않고 따로 쓴다. 반복 선택의 파일명은 'tmapss05'. 등장 대사의 파일명은 'tmardy00'이다. 제작 과정에서의 오류이거나 혹은 반복 대사가 끝났다고 생각하게 만들어서 플레이어를 낚으려는 고도의 심리전이거나, 아니면 사령관이랑 계급장 떼고 붙어보자는 이야기인지. 바로 뒤의 대사를 보면 이거일 가능성이 크다. 리마스터판 한국어 대사는 등장 대사와 목소리톤이 다르게 녹음되었다.[40] 만일 화염방사병이 맨 처음으로 감염된 사령부를 발견하면 화염방사병의 목소리로 저 대사가 나온다.[41] 밑의 뉴 게티즈버그 미션에서도 동일한 대사가 등장한다.[42] 아메리고 미션에서 함정에 걸린 케리건에게 해병들이 날린 대사. 이후 이들은 결국...[43] 화염방사병의 반복 대사에도 있는 영화 지옥의 묵시록의 킬고어 중령의 패러디이다.[44] 리마스터판에서는 가시 촉수로 잘못 녹음되었다.[45] 오역이다. "방금 대형 화물선만한 끔찍한 괴물에게서 허를 찔렸습니다."라고 번역하는 것이 맞은 표현.[46] 2중 바이저와 HMD등 2편에서의 비주얼 요소가, 그리고 무언가가 타는듯한 뒷배경이 추가되었다. 이마에 재사회화를 증명하는 바코드가 없기는 하지만 반복 대사에서 신경 제어기를 운운하는 걸 보면 제작진이 바코드를 깜박했지 재사회화된 해병일 가능성이 크다.[47] 뒷부분 맑은 하늘의 배경은 유령, 의무관, 시체매와 공유한다.[48] 사정거리 업그레이드 완료 시[49] 스팀팩 사용 시. 참고로 이때는 스타크래프트 전 유닛을 통틀어 공격 속도가 3위이다. 참고로 1위는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를 한 저글링, 2위는 커세어와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은 저글링.[50] 스팀팩 사용 시[51] SCV와 함께 가장 낮으며, 데이터 상으로는 Recruit, 즉 신병도 존재하지만, 이 계급을 사용하는 유닛은 더미 데이터인 제라드 듀갈밖에 없어서 그냥 설정을 안해놓은 것. 듀갈의 계급은 신병이 아니라 UED 원정함대 사령관이다.[52] 방어력에 무관[53] 프로경기에서 바이오닉이나 바카닉으로 프로토스를 격파하는 경기는 심심찮게 나오지만 바이오닉으로 테란을 때려부수는 경기는 팀플이 아닌 이상 손에 꼽는다. 바이오닉으로 메카닉을 때려잡은 경기가 있다면 EVER 스타리그 2004 결승전 최연성 vs 임요환 4경기(맵: 레퀴엠).[54] 그러나 정작 메딕이 없던 오리지널 시절에도 마린은 테란의 주력이었다. 아무리 메딕이 없더라도 많이 모이면 제법 강했고, 특히 당시에는 마린을 대체할 만한 지상전 주력 유닛이 사실상 전무했다. 벌처는 지금과 달리 잘 안 썼을뿐더러 용도도 전면전용이 아니고, 골리앗은 당시에 무용지물 취급받는 유닛 1순위였으니, 탱크가 나오기 전까지 마린은 무조건 뽑아야 하는 유닛이었던 것. 물론 소수로는 매우 약하다는 사실 때문에 당시에는 마린을 최소 한 부대 이상 뽑아서 대규모로 보내는 것이 보통이었다.[55] 하지만 이쯤되면 탱크와 하이템플러가 나올 시점이니 저그전을 제외하면 바이오닉 테란을 볼 수 없을 뿐이다.[56] 하지만 밥 먹고 연습만 하는 프로게이머들을 보면 이런 말도 안 되는 컨트롤로 상성따위 그냥 뒤엎는 경우도 생긴다.[57] 먼저 달려온 질럿이 밀집 화력에 녹고, 스톰은 마린 산개 및 마린 일부 특공대를 빼내서 점사, 혹은 벌처나 배슬로 템플러 저격.[58] 고스트를 대동해서 락다운을 발사해서 잡아버린다.[59] 구조물(방어타워) 제외[60] 1업당 데미지는 +1씩 올라가지만 dps 상승치로 볼 시 무려 +16.7%나 된다. 이는 캐리어의 인터셉터 공업 효율과 동일하며, 대부분의 유닛들은 1업당 dps 상승치가 +10%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굉장한 상승률이다. 이를 뛰어넘는 상승률을 가진 유닛은 저글링과 골리앗 대공, 커세어밖에 없다. 이 유닛들은 상승치가 +20%다.[61] 가디언과 벌처, 드라군의 풀업 시 인구 1당 dps(=dps/소요인구수)가 10.4, 울트라리스크가 11.6, 시즈 모드 탱크가 13.6, 골리앗 대공 공격이 17.45, 아칸이 11.7, 스캐럽 대미지업 리버가 12.5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수치다.[62] 이것도 원래 설계 과정에서는 50% 단축을 의도하였으나 게임 내 여러 시스템상 문제로 실제로는 40%로 적용된 것이다. 파이어뱃은 스팀팩 사용 시 정상적으로 공격주기가 50% 단축된다.[63] 일반형 인스턴트 공격, 빠른 반응 속도, 적은 딜로스, 최상급 화력밀집도가 있다.[64] 다른 대부분의 방어타워는 1티어 업그레이드 건물을 요구한다. 일례로 스포어 콜로니는 에볼루션 챔버를, 미사일 터렛은 엔지니어링 베이를, 포톤 캐논은 포지를 요구조건으로 한다.[65] 시스템상에서는 사거리 증가량이 +2로 되어 있으나, 적의 공격에 대한 벙커의 피격 판정은 벙커 모델링의 외곽선 기준인 반면 벙커에 들어간 유닛의 위치는 벙커 모델링의 한가운데로 판정되기 때문에 1의 사거리 손해를 보게 되어 결과적으로 사거리 증가량은 +1이다. 이는 벙커에 들어간 다른 보병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66] 게다가 한 방에 죽어버리면 메딕이 의미 없었을 것이다.[67] 게다가 벌처는 마인도 깔고 인구수 대비 값이 매우 싸며 나머지 둘은 마법유닛이다.[68] 다만 이는 메딕의 중요성이 떨어진다는 의미가 절대 아니다. 메딕이 없던 오리지널 시절 스팀팩은 자살 스킬 취급받아 확실한 우위를 점한 상황이 아닌 이상 봉인기로 여겨졌고, 스팀팩이 없는 마린이 대공 및 탱크 엄호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쓸 뿐인 하자투성이 일회용 유닛 취급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 스팀팩을 남용할 수 있게 된 것만으로도 엄청난 이득으로, 실전에서도 메딕의 추가 덕분에 마린 단독 주력의 바이오닉 테란 체제가 성립될 수 있었고, 오리지널까지만 해도 상성 우위가 무색하게 고전하는 상대였던 저글링과 히드라, 뮤탈 등을 상대로 확실한 상성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 것도 메딕 덕분이다.[69] 이 문제가 해결된 스타 2에서는 전체적인 화력 상향 및 치료 유닛 테크와 비용 증가라는 간접 너프에도 불구하고 전종족전에서 지겨울 정도로 매우 많이 나온다. 오히려 해병 컨트롤을 못하면 테란으로 살아남을 수 없다.[70] 이러한 단점들을 다수 공유하는 저그의 저글링이나 히드라리스크와 비교해도 마린의 스플래시 취약성은 특히 심각한데, 우선 저그라는 종족 자체가 센터 건물인 해처리의 특성상 확장성이 뛰어나 정상적으로 운영을 간다면 타 종족보다 많은 자원줄을 먹는 관계로 똑같이 자원을 쓰고 병력을 잃어도 부담이 적고, 여기에 더하여 저글링의 경우 개체당 가격 및 인구수가 마린의 절반밖에 안 되는, 아예 전선에 갈아놓을 목적으로 설계된 극단적인 소모전 특화 유닛이라 적의 광역 공격이나 마법에 대량으로 학살당해도 아까운 느낌이 적으며 상황에 따라 저글링 따위에게 마법을 낭비시켰다는 점에서 저그에게 이득인 경우도 많다. 저글링은 근접 공격이라 교전 중인 아군에게도 스플래시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점은 덤이다. 확장력이 3종족 중 최악인 테란이 2~3베이스에서 쥐어짜서 생산하는 마린과는 상황 자체가 다른 셈이다. 그나마 마린과 같은 사거리의 사격 유닛이면서 가스를 먹고 미네랄 가격도 더 비싼 히드라가 상황이 비슷하지만, 이쪽은 단일 개체 hp가 마린의 2배나 되기 때문에 똑같은 광역 공격에도 피해를 다소 덜 입는다. 일례로 사이오닉 스톰의 경우 fastest 기준 dps 44.8의 장판 공격이라 hp 80의 히드라는 천지스톰만 아니라면 회피기동을 통해 어떻게든 목숨은 건질 수 있는 반면 마린은 문자 그대로 스치는 순간 사망하기 때문에 회피기동 자체가 의미가 없다.[71] 이 경우는 벙커링을 시도하다 볼 수 있는 경우다. 상대는 당연히 벙커링을 막으려고 일꾼 다수를 끌고 나오며, 벙커에 들어가기 전에 나온 마린은 많아봐야 2~3 정도의 숫자라 화력이 너무 취약한 수준이다. 이때는 드론과 프로브도 마린에게 무서운 상대다.[72] 스타2 vs 스타1 포함[73] 하지만 같은 인구 수량으로 어택땅 해서 전투를 벌이면 마린이 이긴다.[74] 히드라가 마린의 두 배 이상의 가격이니 당연지사다.[75] 마린메딕과 히드라의 싸움은 소수대 소수면 테란이 압살하고, 다대다로 갈수록 상성이 다소 완화되는 편이다. 메딕 하나의 힐만으로 히드라 2기의 능히 버텨내다 보니, 메딕의 힐을 받는 마린 하나 잡으려고 히드라 3~4기의 딜이 집중되야 하는데, 소수 싸움에서는 이런 딜 집중이 안 되기 때문. 그나마 다대다로 가면 메딕이 모든 마린들을 커버해주지 못해서 상황이 나아진다.[76] 속된 말로 앞 영상의 주인공인 임요환 수준의 정신 나간 컨트롤이 되지 않는 한은 불가능하다는 얘기. 게다가 상대 저그도 프로 레벨이라면 아예 미끼용으로 던져진 마린이 아닌 다른 마린들을 강제 공격을 해서 죽이거나 얼른 저글링을 보내 협공하는 등의 대처 혹은 허술한 틈을 찌른다.[77] 다만 이레디에이트에 울트라가 한 방에 안 죽기 때문에 교전 타이밍을 잘 못 잡으면 이레디 묻은 울트라가 마린을 지워버리는 지우개가 되어 버릴 수 있다.[78] 물론 뭉친 뮤탈이 있다면 그게 1순위고 그 다음 디파일러, 그 다음 럴커 또는 가디언, 가장 마지막 순위가 울트라다. 가격을 생각하면 의외일 수 있지만 저글링을 먹고 마나를 채운 디파일러는 럴커보다 가치가 훨씬 높으며, 가디언은 보통 뭉치지 않고 뮤탈 재활용으로 쓰이고 울트라는 한 방에 안 죽기 때문이다.[79] 그래서 오리지널 때는 울트라가 인구수도 6인데다가 키틴질이 없었기 때문에 오히려 마린이 울트라의 카운터 수준이었다. 이건 방업이 2단계나 밀리는 효과와 같다.[80] 테란은 메카닉이 정석이고, 프로토스도 하이 템플러들의 마나가 다 빠졌는데 도망가기엔 어려운 상황이거나 한타에서 질럿들이 많이 죽어 당장 드라군 앞에 나서서 싸울 근접 유닛이 필요한 상황 등 한시바삐 힘을 보태 더 싸워야 하는 상황에만 아칸을 뽑는다.[81] 실드 40+체력 80. 하이 템플러와 질럿의 딱 중간 수치다.[82] 의외로 바카닉이 다크 템플러 때문에 막히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큰 이유는 스캔이 부족해서 다크 템플러 때문에 계속 스캔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면 결국에는 에너지가 고갈되면서 계속 추가되는 다크 템플러 테러에 막힐 수밖에 없게 된다. 더군다나 바카닉을 쓸 때 쯤이면 사이언스 베슬이 나올 타이밍이 아니고 컴셋도 1개인 경우가 많다보니 테프전에서 다크 템플러를 자주 꺼내는 토스 유저들은 일단 컴셋이나 미사일 터렛부터 쳐부수고 당황한 테란 유저가 SCV들을 피신시키고 건물들을 모조리 띄우면 서플라이 디폿을 썰어대며 기지를 마음껏 농락한다. 단 메카닉 테란을 굴리는 일반적인 테란 입장에선 빠르게 벌처를 뽑아 기지 주변에 스파이더 마인을 요소에 심어둠으로서 다크 템플러 드랍, 기지 침투 등을 대비하니 잘 신경써야 한다.[83] 물론 다크 템플러는 미네랄부터 마린의 두 배를 넘게 먹고 가스를 100씩이나 퍼먹는 값비싸기 그지없는 유닛이니 전면전에서 마린과의 혈투에 낭비하는 것은 치명적인 손해가 될 것이다.[84] 프로토스의 집행관, 고위 기사의 역할도 맡았다.[배치] 배치 대사로도 쓰인다.[배치] [배치] [배치] [89] 비명의 '악!'보단 기합의 성격이 강하다. 실제 해병대의 호령이 '악'이다[배치] [91] 해병 같은 경우 특히나 군대 축구 얘기 같은 농담이나 총을 가리키며 하는 대사에 각이 잡혀 있는 등 전반적으로 한국 군인화되었다. 이는 번역에서 현지화를 위해 의도된 것이라고 한다.[92] 'Man… STILL stuck in this chickens(bleep) outfit…' 전작에도 비슷한 말을 했다. 검열 처리도 그대로다.[93] 아이언맨의 슈트와 비슷하게 배변을 처리하는 기능이 있다. 다만 전투복 자체가 EMP에 상당히 취약해서 야전교범에 의하면 한 해병이 EMP에 그 기능이 맛이 가서 그대로 배변을 뒤집어 쓴 적이 있는거 같다는 기록이 있다.[94] 'This is C-14 Impaler gauss rifle, there are many like it but this one is mine.' 미 해병대복무신조 패러디다. 직역하자면 "이것은 C-14 가우스 관통 소총이다. 비슷한 소총들이 많지만, 이 소총이 내 것이다." 한국판은 대한민국 해병대,육,해,공군등 국군신병훈련소에서도 자기 총을 제2의 생명으로 여기라고 교육하기에 적절하게 이것을 현지화해서 의역했다. 워크래프트 3 헌트리스 반복 대사로 나왔다. 여담으로 영화 풀 메탈 재킷에서 훈련소에서 자기 직전 누워서 소총을 앞에 총 자세로 쥐고 기도하는 부분에 나오는 대사기도 하는데, 1960년대 미 해병대의 병영 생활을 가장 현실적으로 그려낸 영화라는 평을 받고 있다.[95] 'I came here to kick ass and chew bubblegum… and I'm all out of- ah forget it.' 영화 'They Live'와 게임 듀크 뉴켐 3D에 나오는 대사를 약간 비튼 것이다.[96] 'The only thing you should feel when you shoot someone…is the recoil.' '네가 사람을 쏠 때 느껴야 할 것은 단 하나, 반동이다.'를 순화한 것으로 원문의 미묘한 어감이 전해지지 않게 변해버린 단점이 있다. 원래는 총기 애호가들이나 군인들 사이에서 전해오는 어구 또는 수수께끼 문제로 사람에게 총을 쐈다는 행위에 대한 feel의 중의적 어감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영화 더블 타겟에도 나온다. 자세한 것은 저격수참고[97] 스타크래프트 2 베타 시절 때 있던 대사, 지금은 삭제되었다.[98] '보여 주십시오!'로 잘못 듣기 쉬우나 지도 편집기에는 굴려 달라고 표현되어 있다. 영어 원문은 'Thank you, sir. May I have another!' 코미디 영화 애니멀 하우스(1978)에서 나왔던 대사(붕탁 + 후방 주의)이며, 이었다. 한 마디로 아, 땡큐 썰!의 원조.[99] 듣는 사람에 따라 지원이 필요'한데'로 들리기도 한다.[100] 영문판의 대사인 'Mother‥‥'에서 온 대사이다. 그런데 이때의 Mother는 뉘앙스상 어머니를 부르짖으면서 처절하게 죽어가는 것이 아니라 'Motherfucker'를 말하려다가 힘이 다해서 나머지 부분을 말하지 못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즉 원문의 분위기를 번역하면 이런 니ㅁ..., 이런 제기ㄹ...이 된다. 사실 온갖 경박한 말을 하던 거친 해병이 마지막에 가서 이런 말을 하는 것도 이상하다. 그런데 어쩌면 'Motherfucker'같은 욕설이 아니라 타이커스도 종종 내뱉는 'Mother of mercy'를 말하려는 것일 수도 있으며, 어느 쪽이든 등급 문제 때문인지 아니면 번역하면서 모르고 쓴 것인지는 확인 불가. 확실한건 영어 음성은 죽어가면서 어머니를 부른다는 느낌이 와닿지는 않고, 한국어 음성은 확실하게 처절함이 묻어난다. 한편으로는 정신 나간 전쟁에 투입되어 죽어간 일개 병사의 마지막 단말마로 어울리는 상당히 인간적인 대사인 데다, 주 대상층인 한국 남성 게이머들은 대부분 군복무를 한 상태로 군인의 기분을 이해하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들의 유언보다 여운이 남아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참고로 독일어판에서는 이 대사를 'Verdammt(빌어먹을)'로 번역했고 나머지는 한국판과 같은 의미로 해석했다.[101] 의무관에서 의료선으로 변경됨.[102] 개그 대사로, 물론 헬멧 안에서 재채기를 하고 그걸 밖에서 닦는 짓은 불가능하다.[103] 군심 캠페인 중 레이너를 구출하기 위해 감옥을 습격하는 미션에서 처음 케리건과 마주친 해병이 외치는 대사. 물론 대사대로 그 후 케리건에게 끔살당했다.[104] 울트라리스크의 독성 변종 진화 실험에서 울트라리스크가 변이하면서 날뛰자 나오는 대사. 그리고 이 해병은 날뛰는 울트라리스크들에 의해 군 생활 걱정 없는 곳으로 보내졌다.[105] 바로 앞의 대사도 포함하여 맹독충의 사냥꾼 변종 진화 실험에서 나오는 대사.[106] 우주에 무슨 쥐가 있냐는 화염방사병에 대답에 만물이 우주에 있다 답한 해병과 다른 해병의 대사이며 저 해병과는 다르게 화염방사병과 비슷한 짬으로 보인다.[107] 기술실에서 '전투 방패' 업그레이드 이후[T] 전투 자극제 사용 시[T] [T] [T] [112] 해병의 기술명은 '전투 자극제 사용'이고 기술실의 명칭은 '전투 자극제'로 약간 다르다.[113] 15초 (아주 빠름 10.71초) 동안 이동 속도, 공격 속도 +50%.[114] 베타 시작전 잠깐 연구가 남아있던 적이 있었으나 이후 기본 사거리가 4에서 5로 늘어나며 삭제됨[115] 즉 전작의 사업이 기본장착이 된 셈[116] 이에 대한 극단적인 예로 유령의 저격이 있다. 과거에는 유령의 저격 대미지가 45였기 때문에 전투 방패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으면 해병이 저격 난사에 후두둑 떨어져 나갔지만 전투 방패를 추가하면 생명력 10 남고 살아남는다.[117] 당장 전작의 마린이 공업 효율이 좋음에도 가끔씩 선방업을 하는 이유는 성큰 콜로니/포톤 캐논/다크템플러에게 한대를 더 버티기 위함이었는데, 본작에서는 광자포에게 기본으로 1대를 더 버티며, 전투 방패 업그레이드를 하면 가시 촉수/공1업까지의 암흑 기사에게 1대를 더 버틴다.[118] 예를 들어서 러커 상대할 때는 적당히 펼쳐서 스캔 쓰고 달려들면 나름 잘 싸웠지만 본작에서는 그 정도로는 거신 같은 유닛이면 몰라도 맹독충이나 분열기 상대로는 그냥 사라진다. 또한 그 러커조차 사거리가 대폭 상향돼서 돌아왔기 때문에 전작보다 오히려 불리해졌다. 당장 사이오닉 폭풍의 피해량이 무려 32씩이나 너프를 먹었는데도 테프전 밸런스의 뜨거운 감자가 되었던 이유가 바로 이 부분에 있다.[119] 추적자는 기본 이속이 빠르고 중장갑에 점멸이 있어 난이도는 해병보다 쉽다. 다만 집정관이 상향되면서 타링링 맹독 드랍은 사장되었다.[120] 이동과 공격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면서 이동 중에 공격하는 해병 컨트롤을 의미한다. 실 게임에서 후퇴하면서 옆으로 총을 쏘는 해병의 모습을 생각하면 된다. 그 주기가 짧아 허리 돌리기처럼 보여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121] 물론 불곰이 메카닉 병력을 잘 잡긴 하지만 공중 공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전차야 의료선에 태우면 그만.[122] 물론 스플래시 대미지가 100%는 아니다.[123] 수호 방패나 역장의 지원이 없다면 추적자/파수기와 해병을 바꿔 주는 건 보통은 테란의 이득이다. 애초에 가격 대 성능비로는 해병이 관문 유닛을 압도하기 때문이다.[124] 토스의 관문 기본 유닛들이 전부 기본 방어력 1이 존재해서 수호 방패의 지원을 받는다면 모두 방어력이 3이 되기 때문에 해병의 화력이 정말로 반토막이 되어버린다.[125] 스타크래프트 1의 파괴자가 그 스펙 그대로 스타크래프트 2에 등장했다면 파괴자 러시만으로 바이오닉을 사장시켜 버렸을지도 모른다. 업그레이드를 한다면 한 방만 맞아도 불곰마저 체력이 1이 남는다.[126]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테란의 공격 업그레이드가 프로토스의 방어 업그레이드보다 한 단계라도 앞서 있다면 정말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광전사가 정말 버틸 수가 없다! 대표적인 예로 2011년 WCG 장민철 대 정종현 금속 도시.[127] 이론상 예외 상황은 토르 공격 노업, 해병 방패 + 방어3업이면 해병이 체력 1을 남기고 살아남는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상대 해병이 방3업까지 올리는 동안 공1업도 안 하고 토르를 내보내는 플레이어가 어디 있으며, 일반적으로 해병은 토르를 잡으러 올 때 자극제를 빨고 들어오므로 웬만하면 다 한 방에 잡힌다.[128] 특히 스타1 vs 스타2모드에서 브루드워 바이오닉을 운영할때 스2저그를 상대하면 이 문구를 재대로 체감하게된다. 이때문에 해당 모드의 브루드워 테란은 스2저그를 상대시 SK테란은 거의 봉인되며 원작보다 더 빠르게 베슬 확보하거나 원래는 같이 안쓰는 골리앗 확보를 하게된다.[129] 울트라 기본 방어력 2, 키틴질 +2, 방업 +3[130] 파수기의 수호 방패가 받쳐주면 +2[131] 대부분의 프로토스는 자원이 넘쳐나지 않는 한 보호막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는다. 업그레이드 비용이 비쌀 뿐더러 유령의 EMP와 땅거미 지뢰의 실드 추가 대미지 때문에 툭하면 보호막이 다 날아가기 때문.[132] 기본 방어력 4 -> 2[133] 섬멸전에서는 '전투 자극제 사용 Use Stimpack'으로 명칭이 미묘하게 다르다.[134] 레이너 특공대, 마 사라 반군, 테란 자치령, 올란의 용병단, 미라의 약탈단, 피난민 민병대, 우모자 보호령, 뫼비우스 재단, 인류의 수호자 등[135] 자유의 날개 두 번째 임무인 무법자들에서[136] 첫 번째 임무인 해방의 날 임무에서[137] 반란 임무 중 하나인 언론의 힘 임무에서[138] 군단의 심장 확신 임무에서 멩스크가 감옥선의 자폭 장치를 가동하자 전의를 잃고 도망가는 해병의 대사[139] '확신' 임무 초반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스터에그로 출력되는 대사다. #[140] 종족별 기본 유닛중 종류가 가장 많다. 저글링은 아바투르와 스투코프가 없고 광전사는 알라라크와 제라툴이 없다. 알라라크의 광신자는 탱킹 역할과 비슷한 이름말고는 완전히 달라 광전사라 할 수 없다. 그에 반해 해병은 저그 종족에도 속해 있을 정도로 종류가 많다.[141] 체력 소모량이 10에서 5로 줄고, 공격 속도 증가량이 50%에서 75%로 증가하였다.[142] 테란 자치령의 혈투를 강조하기 위해 조금 뜻이 다르게 번역되었다. 엄밀히 말하면 오역으로, 원판에서는 "No, but I know his story.(아니, 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알고 있어.)"라고 한다.[143] 언급으로는 일벌레를 4.5m나 멀리 걷어찼지만 히드라리스크의 가시뼈를 비스듬하게 서서 도탄시키겠다고 했지만 실패했다고 한다.[144] 해병의 춤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문워크, 다른 하나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타우렌 남캐의 춤동작 일부분이다.[145] 히드라리스크는 오리지널 나이트 엘프 2번 캠페인을 잘 뒤져 보면 볼 수 있다.[146] 물론 현재는 확장팩들이 나와서 해병이나 민간인 뿐만이 아닌 벤시, 공성전차, 협동전에서는 추가적으로 코브라, 해방선, 건설로봇도 감염된 상태로 등장한다. 게다가 래더에서 감염충의 감염된 해병 소환스킬이 삭제되는바람에 캠페인,아케이드,협동전에서나 볼 수 있다.[147] 초기판의 스페이스 마린은 해병과 마찬가지로 형벌부대 기반이었고 수정을 거친 현재 판본에서도 의외로 영웅 출신 못지 않게 악당 출신들도 많다. 글러먹은 인성은 세뇌와 교육, 기억 세척 등을 통해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지만, 신체 능력은 순전히 타고나야 하기 때문에 범죄자건 뭐건 전투력만 특출나면 그만이기 때문. 일례로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의 등장인물 타데우스도 원래는 하이브 월드 메리디아의 갱단 두목이었는데 데비안 툴이 그 전투력과 용기를 높이 사서 스페이스 마린이 된 것이다. 물론 스페이스 마린이 된 타데우스는 매우 명예로운 성격이 되었고, 동기인 아라무스와 마찬가지로 순식간에 베테랑들에게만 허락되는 최고급 중장갑인 터미네이터 아머의 착용 허가증을 받은 베테랑 분대의 분대장 자리를 꿰차는 능력자다. 해병의 재사회화 시술과 같아보이지만 해병의 재사회화 시술은 사람을 명령에만 충실하고 자아가 없는 인간 꼭두각시로 만든다는 느낌이 강한 반면에 스페이스 마린의 교육은 고결하고 정의로운 기사로 만든다는 느낌이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 때문에 재사회화를 거친 해병은 40k로 치면 서비터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둘 다 본래의 인격을 갈아엎어서 명령에 충실한 존재로 만들뿐더러, 서비터도 보통은 말 그대로 온갖 잡무 보조용으로 쓰지만 실제 전투용으로도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148] 스타크래프트와 워크래프트가 많은 모티브를 따온 GW도 마찬가지로 자사의 작품들의 모티브가 된 다른 작품들의 판권을 못받아서 자기식으로 개량한게 먹혀서 메이저 업체가 되었다. 가령 오크의 경우 원전이 되는 톨킨의 작품에 등장하는 오크는 회색 피부를 지닌 종족이였으나 톨킨의 작품의 판권을 받지 못한 GW는 여러 색상들을 시도해보았다가 녹색으로 칠한 오크의 반응이 좋아서 지금의 녹색 오크를 고안해냈는데 이젠 도리어 각종 창작물에서 녹색 오크가 메이저이고 원전인 톨킨의 회색 오크는 톨킨 관련 작품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폴아웃 시리즈의 경우엔 원래는 겁스를 기반으로 한 게임이 될 예정이였으나 판권 획득에 실패한 블랙 아일즈가 자기식으로 시스템을 고안한게 먹혀서 메이저 브랜드로 거듭났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의 FPS인 둠 시리즈도 원래는 영화 에이리언을 소재로 한 영화 기반 게임으로 만들려고 했으나 판권을 얻지 못한 이드 소프트웨어가 방향을 선회하여 주적을 에이리언에서 악마로 바꿨더니 흥해서 메이저 브랜드가 되는 등, 비슷한 사례는 생각보다 많다.[149] 게임 속도는 전작의 normal이 초당 15프레임, fast가 20% 빨라 초당 18프레임인데, 해병 이속은 각자 1.875, 2.25다. 즉 스타2 표준 속도가 스타1의 fast 속도인 것. 따라서 스타 1 해병의 공격 주기는 0.8333이며, 스타 2의 공격 주기인 0.8608에 비해 약 3% 빠르다. 기본 유닛을 보면 해병을 기준으로 일꾼의 이속은 20% 빠르고(2.8125), 저글링의 공격 주기는 해병의 80%, 광전사는 해병의 140%와 일치한다[150] 정확히는 기본 공격력이 6이 아닌 7이 되는 것이었다.[151] 대표적으로 테프전. 초반에는 해불만으로도 관문 유닛을 압도하는 게 어렵지 않지만, 거신과 집정관, 고위 기사의 스플래시 조합이 갖춰지면 풀업해도 체력 55에 방어력 3인 해병은 말 그대로 쓸려나간다. 그렇다고 그나마 잘 버티는 불곰만으로 조합하면 불곰은 경장갑 상대로 DPS가 떨어지기 때문에 광전사들을 처리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군단의 심장 초기에 해병 이상의 경장갑 상대 DPS로 광전사들을 녹여버리면서도, 높은 체력으로 프로토스 조합의 화력을 받아줄 수 있는 화염기갑병이 각광받았던 것이다.[152] 카툰 스킨에서는 도기 인형 깨지는 듯한 묘사.[153] 일정 확률로 잘린 하반신만 뒤뚱뒤뚱거리다가 쓰러진다. 닥템이나 울트라에 공격당하면 세로로 갈라지기도 한다![154] CMC 전투복의 핵융합 배터리 부분이 공격받은 걸 묘사하는 것으로 추정이 되며 1의 사망 애니메이션도 이 것을 묘사한 것으로 추측된다.[155] 퀘이크 2의 게임소스를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사운드는 퀘이크 2에 나오는 사운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if external != "o"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uuid=1213a96b-18cf-4bf9-b952-c036b96d8ec5|r6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uuid=1213a96b-18cf-4bf9-b952-c036b96d8ec5#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from=6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if external != "o"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uuid=1213a96b-18cf-4bf9-b952-c036b96d8ec5|r6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uuid=1213a96b-18cf-4bf9-b952-c036b96d8ec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from=6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if external != "o"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uuid=bc4dceb9-bc39-4402-9f4f-ab845ccf9611|r24]]}}}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uuid=bc4dceb9-bc39-4402-9f4f-ab845ccf961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타크래프트 2?from=24|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