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9:13:26

현금 승차 불가 시내버스

현금 없는 버스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금 없는 사회
,
,
,
,
,

1. 개요

현금 승차가 불가능한 시내버스.

2. 설명

교통카드의 보급으로 시내버스 탑승 시 현금을 지불하는 비율이 매년 감소해, 2024년 7월 현재는 영양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용객들이 교통카드를 이용해 버스를 탑승한다. 그래서 현금승차를 유지함으로써 요금함 및 현금 관리 비용, 승객의 안전 문제[1]등 현금 승차로 인한 관리비가 훨씬 큰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폐, 동전 지불 과정에서의 코로나 확산 우려도 많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현금 승차 폐지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일부 지자체 시내버스는 시범 운영을 하고 있거나 시범 운영 후 현금 승차를 완전히 폐지했다.[2] 이외에도 현금 없는 사회가 추구하는 거래의 투명성과 동안으로 보이는 막 어른이 된 대학생들의 신분세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3]

2.1. 요금 지불

원칙적으로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탑승해야 한다. 편의점에서도 선불교통카드 구입이 가능하다.

교통카드가 없거나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이 부족한 사람은 다음 방식으로 탑승한다. 시내 쪽에서 지갑을 분실해도 거주지까지 갈 수 있다.
한계는 다음과 같다. 사실 현재로 보면 결국 좋든 싫든 교통카드는 하나 가지고 다니는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대책으로 도시철도의 대합실처럼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를 버스정류장에 설치하는 방안도 있으나, 정류장 환경이 교통카드 판매기 설치에 적합해야만 한다. 발매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버스마다 편도, 혹은 왕복 금액이 충전된 교통카드를 구비해 놓고 충전금액을 포함한 카드값을 내면 바로 구입해서 쓸 수 있게 하자는 대안도 거론되고 있다.

3. 목록

3.1.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01 (한신더휴~지하철2호선강남역)}}}서울03 (책향기마을10단지11단지~홍대입구역)}}}9401 (구미동차고지~서울역버스환승센터)}}}9401-1 (푸른마을~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블루스퀘어)}}}9409 (구미동차고지~신사역.푸른저축은행)}}}9707 (가좌동종점~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
간선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02 (풍무홈플러스~김포공항역3번출구)}}}서울04 (도래울마을1단지~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서울05 (율정마을7.8단지~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040 (신용산.지하차도~개포우성아파트)}}}102 (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동대문)}}}103 (삼화상운~서울역버스환승센터)}}}105 (7단지영업소~숭례문)}}}107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종로5가.광장시장)}}}111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종로중부새마을금고)}}}146 (7단지영업소~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150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독산한신아파트)}}}160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온수동종점)}}}173 (삼화상운차고지~신촌기차역)}}}201 (구리수택차고지~서울역버스환승센터)}}}262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여의도환승센터)}}}272 (면목4동차고지~명지대사거리.우리은행)}}}302 (상대원차고지~상왕십리역)}}}303 (상대원차고지~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341 (강동공영차고지~성촌마을입구)}}}343 (복정역환승센터~압구정역3번출구)}}}345 (복정역환승센터~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370 (강동공영차고지~충정로역)}}}422 (구미동차고지~중곡역.국립정신건강센터)}}}440 (복정역환승센터~압구정파출소)}}}500 (석수역~을지로입구.시청입구)}}}501 (한남운수대학동차고지~종로2가.삼일교)}}}506 (신성초등학교~을지로입구역.광교)}}}507 (석수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600 (온수동종점~광화문역6번출구)}}}605 (개화역광역환승센터~후암삼거리)}}}660 (온수동종점~서울서진학교)}}}702A (선진운수원당차고지.원신4통입구~을지로입구역.광교)}}}702B (선진운수원당차고지.원신4통입구~을지로입구역.광교)}}}707 (가좌동종점~롯데백화점)}}}742 (선진운수종점~교대역10번출구)}}}752 (선진운수종점~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753 (구산동사거리~숭실대정문)}}}8146 (7단지영업소~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지선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0411 (서울드래곤시티~AT센터.양재꽃시장)}}}1129 (상계현대2차아파트~창동역동측)}}}1130 (청백아파트1단지~석계역1번출구)}}}1131 (중계본동종점~석계역1번출구)}}}1137 (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미아사거리역)}}}1138 (상계4동종점~수유역.강북구청)}}}1139 (상계동4동종점~방학3동주민센터)}}}1140 (삼화상운차고지~은행사거리)}}}1141 (중계본동차고지~석계역1번출구A)}}}1142 (중계본동종점~창동역동측)}}}1143 (중계본동종점~수락리버시티3.4단지)}}}1221 (중계본동종점~신내9단지.서울의료원)}}}1224 (상계4동종점~청량리역환승센터)}}}1226 (월곡중학교~경동시장)}}}2112 (중곡초등학교~서울다원학교.한용운활동터)}}}2211 (면목4동차고지~회기역)}}}2230 (면목4동차고지~경동시장)}}}2233 (중곡초등학교~극동그린아파트)}}}2311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삼성래미안아파트후문)}}}2312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강동공영차고지)}}}2416 (중랑공영차고지~한국무역센터.삼성역)}}}3214 (남한산성입구~테크노마트앞·강변역)}}}3313 (복정역환승센터~잠실리센츠아파트)}}}3314 (장지공영차고지~잠실종합운동장)}}}3315 (장지공영차고지~삼전동사회복지관)}}}3316 (남한산성입구~천호역)}}}3317 (남한산성입구~잠실리센츠아파트)}}}3318 (강동공영차고지~파크데일아파트2단지앞)}}}3321 (강동공영차고지~강동구청역)}}}3323 (강동공영차고지~보훈회관)}}}3324 (강동공영차고지~강동역1번출구.동신중학교)}}}3416 (남한산성입구~은곡마을입구.강남신동아파밀리에)}}}3420 (복정역환승센터~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4425 (상대원차고지~한국무역센터.삼성역)}}}5511 (서림동차고지~중앙대학교)}}}5513 (서울대학교제2공학관~벽산블루밍아파트)}}}5515 (금호타운아파트~청림동현대아파트)}}}5516 (신림2동차고지~노들역)}}}5517 (한남운수대학동차고지~중앙대학교)}}}5522A (보성운수기종점~난곡종점)}}}.5522B (보성운수기종점~신림복지관)}}}5523 (보성운수기종점~관악구청)}}}5615 (보성운수차고지~삼부아파트)}}}5616 (가산디지털단지역~영도중.강서고입구.기아양서대리점)}}}5618 (구로동종점~여의도환승센터)}}}5712 (가산디지털단지역~홍대입구역)}}}6512 (구로두산아파트~서울대학교)}}}6631 (개화역광역환승센터~영등포시장)}}}6632 (개화역광역환승센터~당산역2번출구)}}}7022 (선진운수종점~서울역버스환승센터)}}}7025 (은평공영차고지~종로5가.서울효제초등학교)}}}7212 (은평공영차고지~극동그린아파트)}}}7611 (은평공영차고지~유진투자증권)}}}7612 (연희파크푸르지오앞~영등포구청)}}}7613 (선진운수종점~국회의사당역)}}}7713 (연희파크푸르지오앞~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7715 (은평공영차고지~동명여고)}}}7720 (선진운수종점~연세로.스타광장)}}}
}}}
맞춤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8221 (장안2동주민센터→답십리역·동부시장)}}}8332 (강동공영차고지~중앙보훈병원역)}}}8551 (봉천역~노량진역)}}}8552 (신림복지관→신림사거리·신림역)}}}8771 (구산중학교·구산교회→녹번역)}}}8773 (구산동~홍대입구역)}}}8774 (선진운수종점~서대문구청·보건소·구의회)}}}
}}}
마을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송파01 (송파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잠실역.롯데호텔)}}}송파02 (위례포레샤인15단지~수서역.로즈데일빌딩)}}}송파03 (수서역~송파구청)}}}
}}}
순환버스}}}]] 전 노선

3.2. 대구광역시

대구 DRT}}} 전 노선급행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95em"
급행1 (동화시설집단지구~매곡리공영차고지)}}}급행2 (가창초교~북구동호동(종점))}}}급행3 (범물1동행정복지센터~동명교통)}}}급행4 (유곡리공영차고지~설화명곡역)}}}급행5 (대구대정문~신흥버스)}}}급행6 (신흥버스~연경지구공영차고지)}}}급행7 (북구동호동(종점)~대곡동공영차고지(남도버스))}}}급행8 (기업은행국가산단지점~위생처리장)}}}급행8-1 (유곡리공영차고지~진천역)}}}
}}}순환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59; font-size: .95em"
순환2 (성보교통~성보교통)}}}순환2-1 (성보교통~성보교통)}}}
}}}간선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101 (파계사종점~파계사종점)}}}101-1 (파계사종점~파계사종점)}}}234 (방천리공영차고지~황금고가네거리)}}}300 (유통단지회차지~앞산공원)}}}304 (대구종합유통단지회차지~세왕교통)}}}323 (대구종합유통단지~대구종합유통단지)}}}323-1 (대구종합유통단지~대구종합유통단지)}}}349 (덕원고등학교~대구종합유통단지)}}}410 (앞산공원 주차장~앞산공원 주차장)}}}410-1 (앞산공원 주차장~앞산공원 주차장)}}}425 (황금고가네거리~매곡리공영차고지)}}}523 (방천리공영차고지~성보교통)}}}564 (매곡리공영차고지~범물1동행정복지센터)}}}706 (관음공영차고지~대곡주공8단지)}}}724 (칠곡우방타운~시지종점)}}}726 (북구 동호동(종점)~대곡주공8단지)}}}836 (반야월역~대천동공영차고지)}}}909 (금구동종점~청라언덕역)}}}937 (덕원고등학교앞2~관음공영차고지)}}}980 (영남대동문~대구역건너)}}}
}}}지선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동구2 (동호초등학교~상록아파트)}}}동구4 (반야월역~상록아파트)}}}동구4-1 (동호초등학교~반야월역)}}}북구4 (방천리공영차고지~대구삼성창조캠퍼스3)}}}서구1 (방천리공영차고지~방천리공영차고지)}}}서구1-1 (방천리공영차고지~방천리공영차고지)}}}성서1 (연화리~매곡(종점))}}}성서1-1 (연화리~매곡(종점))}}}수성4 (범물1동행정복지센터~동대구역화성파크드림)}}}
}}}

2024년 7월 1일부터 시범사업을 개시했으며 동년 11월 1일에 40개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2025년 2월 28일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과 동시에 77개 노선으로 확대되며, 동년 4월 1일부터 군위군 마을버스를 제외한 전 노선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3.3. 인천광역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2b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둘러보기
[[셔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c6; font-size: 14px;"
폐선 목록
공항 광역 좌석 급행 간선 심야 지선 마을
관련 문서
역사 업체 목록 개편 목록 문제점 차고지
}}}}}}}}} ||

2021년 1월 10일부터 62번535번 노선이 최초로 현금없는 인천버스 노선으로 선정되었다. 이후 현금없는 버스 시행노선 비율을 2022년 6월 20일에 13%, 2023년 7월 1일에 50%, 2024년 3월 4일에 75%로 점차 늘려가는 과정을 통해 2025년 1월 1일부터는 인천 버스 6770, 인천 버스 무의1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현금없는 시내버스로 운영된다.

3.4. 광주광역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f412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수요응답
]]
전체 노선 목록 ⠀·⠀ 2006년 대개편 전 목록

* 모든 노선
2024년 12월 9일부터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전노선이 현금없는 시내버스로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고 시범 운영에 성공적인 경우 2025년 4월 1일부터 정식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

3.5. 대전광역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문서
3.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69a2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4px;"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3.6. 울산광역시

9001 (태화강역~태화강역)}}}9002 (태화강역~태화강역)}}}

3.7. 세종특별자치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0c6><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
[[틀:세종특별자치시의 BRT|{{{#!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2B2B; font-size: 14px"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목록
2021년 10월에 우선 두루타버스 전 노선에 대한 현금승차가 폐지되었고, 동년 11월부터 B0, B2, B5번 노선에 대해 현금승차 제한 시범운영을 한 후 2022년부터 세종 면허의 바로타 노선들의 차내 현금함을 철거했다.

2023년 8월 18일 개통한 1001번의 경우, 세종교통 차량도 현금없는 버스로 운영된다.

2024년 6월 1일부터 신도심 순환버스[10], 광역버스[11] 노선의 현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8월 3일 개통한 B7번 세종 차적(차호 5000번대 차량)에 이어 9월 1일부터는 전 노선으로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렀다.[12]

3.8. 경기도

3.8.1. 수원시

1 (우만3단지~호반마을광교21단지)}}}6 (광교파크자이더테라스.열림공원~수원역푸르지오자이.쌍우물택시쉼터)}}}

3.8.2. 안양시

1 (평촌차고지~구로디지털단지역)}}}917 (군포공영차고지~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3.8.3. 용인시

하기에 열거된 노선중 y가 붙은 노선은 평일 한정 운행하는 출퇴근용 노선으로 협정 차량으로 운용하며 교통카드 사용만 가능하다. 이외에도 일반,광역버스 막론하고 협정 차량으로 운용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최근에는 일부 마을버스 노선도 현금함을 철거하고 교통카드만 받도록 하였다

3.9. 충청북도

3.9.1. 옥천군

607 (옥천버스~비래검문소)}}}

3.9.2. 청주시

A3 (오송역~반석역)}}}

3.10. 충청남도

3.10.1. 천안시

5 (두정역입구~두정역푸르지오)}}}405 (종합터미널~유관순열사사적지)}}}10 (천안시청~천안시청)}}}500 (천안종합버스터미널~병천)}}}600 (천안종합버스터미널~광덕사)}}}601 (천안종합버스터미널~해수부락)}}}621 (천안종합버스터미널~풍서4리)}}}

3.11. 전라남도

3.11.1. 광양시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65096>
파일:광양시 CI_White.svg
}}}
폐선 노선 목록

3.12. 경상남도

3.12.1. 김해시

914 (장유롯데워터파크~명지환승센터)}}}
도시형1 (한림면행정복지센터~한림면행정복지센터)}}}
도시형2 (풍유동차고지~인제대역)}}}
도시형3 (진영터미널~어병마을)}}}

3.12.2. 양산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6C; font-size: .95em"
도시형1 (원동역~용선)}}}
도시형2 (산지마을~범어사역)}}}
도시형3 (덕계상설시장~매곡마을)}}}
도시형4 (농협은행웅상지점, 남재마을~대운산힐링센터, 서창산업단지)}}}
도시형5 (통도사신평터미널~통도사신평터미널)}}}
도시형6 (상북면행정복지센터~대석마을, 늑동마을, 신전마을)}}}
도시형7 (원동역~어영마을, 천태사)}}}
도시형8 (원동역~태봉)}}}

3.12.3. 창원시

219 (창원시청~상복공원)}}}

3.13. 강원특별자치도

3.13.1. 춘천시

16 (트롤리) / 16-1 (일반) (레고랜드정문~칠전대우A)}}}

2024년 7월 1일부터 강원 지역 시내버스 노선 최초로 현금 없는 버스가 시행되었다.

3.14. 제주특별자치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939499><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마을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
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
심야
]]

* 일부 지선, 순환, 마을버스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
2024년 7월 1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의 대부분 노선이 현금없는 시내버스로 시범 운영하였고 이후 10월 1일부터 정식 시행에 들어갔다. 현금 없는 버스로 운영되지 않는 버스는 제주도 수요응답형 택시형 버스[16], 810번, 820번, 우도 마을버스, 1111번이다. #


[1] 실제로 2019년 12월 16일, 경상남도 진주시 한 정류장에서 정상적으로 출발하던 버스 앞으로 렉스턴 스포츠 차량이 우회전을 하기 위해 2차로에서 3차선 방향으로 급차선변경을 하다 버스와 충돌해 막 탑승해서 자리에 앉지 못한 여고생이 넘어지면서 버스 앞쪽으로 굴러 요금통에 머리를 부딪쳤고, 이 사고로 5번, 6번 경추가 골절되어 사지마비가 되었던 사건이 있었다. #[2]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는 2022년 7월부터 8월까지 시범운영 후 9월부터 현금 승차를 폐지했다.[3] 링크 기사에도 있듯이 동생 카드로 결제하는 사례가 있기에 완전히 축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신용카드 부정사용도 당연히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행위다.[4] 도입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노년층 인구 비중이 광역시 중에서 독보적으로 높아 현금 없는 버스를 도입하려다가는 노년층들이 격렬히 반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5] 66번, 533번, 534번, 701번, 702번, 7700번[6] 특구1번은 현금함 없이 개통했다.[7] 대한민국에서 한 도시의 모든 시내버스에 현금승차를 폐지한 최초의 사례다.[8] 이로 인해 B1 노선 이외에 시계외요금이 추가되는 노선은 앞문 하차에서 뒷문 하차로 일괄 변경되었으며, 뒷문 하차 시에도 태그를 안 할 경우 다음 승차 시 최대 구간요금이 부과된다.[9] 옥천군 농어촌버스 607번도 옥천버스 소속 역시 현금승차가 제한되어 불가능하다. 다만 대전광역시를 진입하는 계룡시 버스 노선은 예외로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10] 201번, 202번, 203번, 204번, 205번, 221번, 222번[11] 현금 승차가 가능하던 1000번1004번, 1005번[12] 8월 26일부터 충청권 통합 환승할인도 되어 현금없는 버스를 전 노선에 9월부터 시행 중이다. 대전에 이어 두번째로 전체노선에 시행되는 지역이다. 안내방송으로도 홍보하고 있다.[C] 업체측 자체 시행[C] 업체측 자체 시행[C] 업체측 자체 시행[16] 예시 : 70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