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카툰네트워크' 둘러보기 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카툰네트워크 Cartoon Network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국 | 1992년 10월 2일 (31주년) | |||
본사 소재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230 Park Ave South[1] 미국 캘리포니아 버뱅크[2] | |||
소유 | TBS(1992 ~ 1998)[3]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1998 ~ 현재) | |||
자매채널 | 부메랑 | 어덜트 스윔[4]| 카투니토 | |||
링크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5] | | |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
1. 개요2. 상세3. 국가별 방송 역사
3.1. 미국3.2. 대한민국
4. 프로그램 목록5. 역대 블록 시간대6. 비판7. 관련 문서8. 외부 링크3.2.1. 투니버스 (1999~2003)3.2.2. Interval: Cartoon Network 동남아시아판 (2003~2006)3.2.3. 중앙그룹 계열 시절 (2006~2015)3.2.4. 본사 직영체체 (2015~현재)
3.3. 일본3.4. 기타 국가[clearfix]
1. 개요
<rowcolor=#fff> 1세대 1992~2004년 | 2세대 2004~2010년 | 3세대 2010년~현재 |
2. 상세
1992년 미국의 뉴스매체인 CNN으로 유명한 테드 터너의 터너사가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을 인수하면서 얻어온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활용하고자 개국했다. 이후 터너 사가 타임 워너와 합병하면서 워너 계열로 들어왔고, 현재 프로덕션 부문은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산하에 있다.[6]옛날부터 많은 명작 애니메이션을 많이 만들어냈으며 지금까지도 인기작을 만들어냈으며, 1990년대 말 국내에서는 투니버스에서 본 방송사의 작품 몇개를 곧장 수입해 더빙하여 방영하기도 했다.
역대 카툰 카툰 프라이데이 오프닝 |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카툰 프라이데이라고 하여 금요일마다 카툰네트워크 오리지널의 새로운 에피소드를 발표하는 코너가 있었다.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는 팡팡 금요일로 번역하여 방영한 적 있다. 1분 2초부터 나오는 음악은 옛날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겐 하나의 추억거리. 성우들이 호스트를 맡기도 했었는데 대표적인 예가 타라 제인 샌즈. 출처[7]
처음에는 한국인에게도 유명한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이나 톰과 제리, 루니 툰 등 해나-바베라와 워너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옛 작품[8]들을 방송했으나, 점차 자체 기획의 비중이 늘어나서 현재는 클래식 애니메이션 전문인 부메랑이란 채널을 따로 개국했다.
주로 방송하는 프로그램은 산하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Cartoon Network Studios)가 기획해 외주를 맡기거나 자체 제작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과 해나-바베라 제작 작품, 워너 브라더스 제작 작품, 미국 내 타 회사 제작 작품[9]을 방영하며, 캐나다 작품과 유럽 작품, 일본 작품의 방송권을 사서 틀기도 한다. 몇몇 나라에서는 포켓몬스터와 드래곤볼 Z, 나루토, 유희왕, 듀얼마스터즈, 세일러문(Viz판) 등의 방송권을 사서 틀기도 했으며, 2000년대 말에는 슈팅 바쿠간, 2010년대에는 베이블레이드와 텐카이나이트도 방영했다.
1996년에 첫 자체제작 애니메이션인 덱스터의 실험실을 발표한 이후, 1997년부터 2003년까지 Cartoon Cartoons라는 이름으로 죠니 브라보, 파워퍼프걸, 에드, 에드 엔 에디,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 등이 차례로 발표되면서 카툰네트워크의 전성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03년 이후에도 틴 타이탄, 스타워즈 클론전쟁,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 라즐로 캠프, 벤10 등의 작품들을 히트시키며 인기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2007년부터 실사화된 영화 작품들을 방영하기 시작하더니, 2009년부터는 CN Real이라는 이름으로 실사 프로그램들을 자체 제작하면서 안 좋은 평을 듣기 시작했다.
그나마 2010년대 들어 카툰네트워크 5대천왕이라고 불리는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레귤러 쇼, 검볼, 스티븐 유니버스, 엉클 그랜파 등으로 저 당시 카툰네트워크 중흥기라 불릴 만큼 수작들이 쏟아져 나왔다.[10] 그러나 2012년 벤10 옴니버스와 2013년 틴 타이탄 고가 논란을 일으키기 시작하더니, 2016년부터 2017년 초에 들어서는 기껏 밀어붙인 파워퍼프걸 리부트와 벤10 리부트가 논란을 빚으며, 자칫하면 추락할 위상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2017년 중순에 OK K.O.! 내일은 히어로가 2018년 초에 시냇가의 크레이그가 나오게 되면서 회복하려고 노력했으나 그 후 신작인 메가맨: 풀리 차지드와 썬더캣츠 로어가 트레일러를 공개하자마자 엄청난 혹평을 듣고 있다. 문제는 신작을 밀어줄려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종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11] 본격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간판급 프로그램인 레귤러 쇼, 엉클 그랜파,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검볼을 종영하더니, 급기야 2020년에는 최후의 보루였던 스티븐 유니버스[12]와 We Bare Bears[13] 종영으로 현재 상황이 많이 안좋다.[14] 얼마나 상황이 안 좋은지 2021년 방영 예정이였던 We Baby Bears와 타이니 툰 루니대학교가 미뤄지고 있다.
미국 시간으로 2019년 3월 4일에 발표된 워너 미디어의 조직 개편안에 따라 워너 브라더스 산하로 편입되었다.
또한 채널 아이덴트(ID)가 유명하기도 하다. 전성기 시절인 1998년부터 2003년까지는 Powerhouse라는 디자인이 사용되었고,[15] 2004년부터 2006년까진 CN City라고 해서 카툰네트워크 캐릭터들이 실사 배경 도시에서 함께 생활하는 모습이 나왔다.[16][17]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CN 시티의 디자인을 변형시킨 Yes!가 사용되었다. 2007년부터 2008년 7월까지는 Fall이 사용되었는데, 카툰네트워크 캐릭터들이 아닌 실제 사람들을 사용하여 평이 좋지 않았다.[18] 2008년 7월부터 2010년 5월 28일까진 Noods가 사용되었으며,[19] 2010년 5월 29일부터 2016년 7월까지는 Check it이라는 ID가 사용되었고[20][21] 이후 Dimensional이라는 ID를 쓰지만 자세히 보면 Check it 4.0을 조금 변형시킨 것하고 다를 게 없다.[22] 그리고 2021년 11월~2022년 9월까지 Redraw Your World를 사용했다.[23] 2022년 10월 2일부터는 Pastel을 사용 중이다.
미국 만화 제작사답게 자사 만화들의 크로스오버가 잦은 편이다.
2024년 8월 9일부로 26년 만에 미국 홈페이지가 폐쇄됐으며, 미국 현지에서는 접속 시 맥스로 리다이렉트된다.
3. 국가별 방송 역사
권역/국가별로 20여 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방영되는 국가의 언어를 기준으로 자회사의 설립을 책정한다.3.1. 미국
1992년 개국한 카툰네트워크는 초창기에는 톰과 제리,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우주가족 젯슨, 스쿠비 두 시리즈, 뽀빠이, 스머프등 다수의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의 작품들과 루니 툰, 애니매니악스를 틀어주었다. 이후 1996년 첫 오리지널 애니메이션[24]인 덱스터의 실험실을 시작으로, 죠니 브라보, 무무와 꼬꼬, 아이 엠 위즐, 파워퍼프걸, 에드라는 이름의 세 친구, 마이크 루 & 오그,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등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들(Cartoon Cartoons)을 방영하기 시작했다.이후 2000년부터 쉽 인더 빅 시티, 타임 스쿼드, 사무라이 잭,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 이블 콘 카르네, 틴 타이탄, 스타워즈 클론전쟁, 메가스 XLR, Foster's Home for Imaginary Friends, Hi Hi Puffy AmiYumi, The Life and Times of Juniper Lee, 라즐로 캠프, 선데이 팬츠[25], 내 짝꿍은 원숭이, 벤10, 천방지축 로드니, 클래스 오브 3000 등 새 애니메이션을 꾸준히 만들었으며 2004년엔 CN으로 약축된 새 로고[26]를 만들었다. 2001년경 베치 코헨(Betsy Cohen)이 9년 동안 맡은 CEO 자리에서 물러나고 짐 샘플스(Jim Samples)가 들어왔다.
전성기 때[27] 오리지널 애니와 예전 해나-바베라나 워너 브라더스의 만화들 말고도 포켓몬스터나 나루토, 원피스 같은 일본 만화들도 방영했다. 게다가 그 시기 카툰네트워크 제작 작품들 중 일본과 관련이 있는 작품이 많았다. 대표적인 게 사무라이 잭과 Hi Hi Puffy AmiYumi[28]이고,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역시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29]
2007년 2월[30]부터 카툰네트워크는 실사물 방영으로 비난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니켈로디언, 디즈니채널 등을 따라 하여 시청률을 끌어모으려는 의도가 다분한 CN Real[31] 같은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나 2010년을 넘기지 못하고 팬들의 외면 속에 사라졌다. 충격적인 사실은 기존 팬들의 반발이 아니었으면 MTV마냥 사명을 CN으로 바꾸고, Cartoon Network란 이름을 버릴 생각이었다고 한다.[32]
물론 2007년~2010년 사이에도 히트작 애니메이션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냠냠 차우더, 벤10 에일리언 포스, 토탈 드라마 시리즈,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스타워즈 클론전쟁 3D,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 등의 히트작들은 있었다.
2010년 이후에는 어드벤처 타임, 벤10 얼티메이트 에일리언, 제너레이터 렉스, 레귤러 쇼, 검볼, 루니툰 쇼 등의 명작들을 내보내는가 하면, 로보토미, 문제 해결사(The Problem Solverz)와 놀라운 비밀의 산 요새(Secret Mountain Fort Awesome)같이 괴상한 애니메이션을 방영하기도 했다.
어드벤처 타임, 레귤러 쇼, 검볼, 스티븐 유니버스, 엉클 그랜파, 위 베어 베어스가 2010년대 말에 모두 종영한 이후, 현재 카툰네트워크에서 가장 오래 방영하고 있는 작품은 레고 닌자고이고 그다음은 틴 타이탄 고다.
오후 5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동부 및 서부 시간 기준)[33] 성인 취향 채널을 표방하는 어덜트 스윔이 채널 대역을 가져가 따로 편성 및 방송한다. 또 이 중 토요일 밤에는 액션/일본 애니 전문 블록 투나미가 따로 편성을 꾸민다. 어덜트 스윔 시간대 초반에는 킹 오브 더 힐이나 패밀리 가이, 아메리칸 대드 등 그나마 정상적인 프로그램을 방영하나, 자정을 넘어 릭 앤 모티나 로봇 치킨이 나오는 시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성인용 시리즈들을 틀어준다. 아쿠아 틴 헝거 포스처럼 오리지널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도 하며, 오피스 같은 드라마를 틀어주기도 한다. 투나미를 통해 데스노트, 카우보이 비밥, 이누야샤, 죠죠의 기묘한 모험 등 일본에서 판권을 사 온 TV14 이상의 애니메이션들도 많이 소개되었다.
경쟁 채널로는 디즈니채널 및 디즈니주니어, 니켈로디언 등이 있다.
3.2.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대한민국|]] 대한민국계 | |||
지상파 계열 | ||||
대원방송 | ||||
애니플러스 | ||||
사교육 계열 | ||||
기타 | ||||
외국계 |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 ||||
기타 |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20px;" | |||
폐국 채널 | ||||
<colbgcolor=#000> 지상파 계열 | ||||
외국계 | ||||
기타 | ||||
<rowcolor=white> 2세대 한국 로고 | 캐치프레이즈 로고 |
2003년 1월 독자적인 채널로 방송을 하기 시작했으며, (주)CSTV와 케이블TV 및 국내의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를 통한 해외 재송신 채널이었다. (주)CSTV는 카툰네트워크 동남아어판을 위성으로 내려받아 한국어 자막을 포함하여 방송 사업자에게 공급하였다. 당시 카툰네트워크 한국어판이 개국하기 전 2000년대 초, 서·남부 지방의 중계유선방송사에서 일본의 CS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퍼펙의 위성빔을 수신해 일본의 카툰네트워크 채널을 재송출한 적이 있었으나 계약을 맺지 않은 불법 재송출이었으며, 현재는 대체 콘텐츠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2006년 7월 12일에 중앙방송이 타임 워너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법인인 터너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아시아-퍼시픽과 제휴하여 카툰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중앙애니메이션을 설립, 2006년 11월 11일 한미 합작법인의 PP(Program Provider) 방송사로 정식 개국하였으며, 방영하는 모든 애니메이션을 한국어 더빙으로 방송하고 미국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한해 음성다중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어 영어 학습을 위한 시청자들의 불만을 부분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2015년 4월 터너 브로드캐스팅이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중앙애니메이션 지분을 100% 인수한 후 분리되어 터너 엔터테인먼트 네트웍스 코리아(워너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네트웍스 코리아)에 편입되었고, 법인명도 '터너코리아'가 됐다.
2016년 10월 미국의 통신미디어 업체 AT&T가 운영사 타임워너를 인수합병한 이후, 2020년에 법인명도 '워너미디어코리아'가 됐다. 2022년 4월 미국의 다큐멘터리 방송사인 디스커버리랑 인수합병한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디즈니채널 및 디즈니주니어[34]와 니켈로디언[35]이 폐국한 이후에 유일하게 남은 미국계 아동 채널 방송사가 되었다.
또한, 2024년 6월 기준 저연령층 중심 채널들을 제외한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중에서는 유일하게 인터넷 온에어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게다가 이 채널에서 방송되는 비인기 작품들의 더빙판은 OTT 배급이나 VOD 제공조차 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으므로, 이런 프로그램들은 시청하려면 반드시 TV 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
8VSB 방송 수신 시 TV에서 음성다중 설정을 지원하면 원어로 들을 수 있다.
방송 화면 디자인은 미국 본토와 다른 나라와 동일하게 매우 충실하게 따르는 편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42 (역삼동, 아크플레이스 20층)에 소재하고 있으며,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와 같이 입주해 있다.
3.2.1. 투니버스 (1999~2003)
투니버스도 예전 법인명은 오리온카툰네트워크였던 만큼 그 이후인 1999년 11월 1일부터 투니버스에서 터너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쪽 투자를 받아들이는 대신에 그쪽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 동안 방영을 했다. 덕분에 덱스터의 실험실과 죠니 브라보 등 CN 자체 기획작은 물론 루니 툰, 스쿠비 두와 스크래피 두 등의 옛 작품들이 들어왔는데, 이들의 더빙 퀄리티가 상당했다. 성우 캐스팅은 워너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 측이 직접 찾아와서 어마어마한 시간을 들여 일일이 오디션을 봤으며 당시 국내에 내로라하는 한국의 성우 수십 명이 오디션 보러 왔던 건 유명한 일화다.[36] 배트맨의 이정구 같이 애니메이션 수입 전부터 미리 정해진 캐스팅도 있었는데, 배트맨의 전담은 이정구니까 당연히 전담 성우가 맡아야 시청자가 바로 적응하고 볼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 워너 브라더스의 공인된 캐스팅이라고 한다.[37] 그리고 그만큼 성의와 공들인 캐스팅 덕분에 당시엔 대단한 화제였다.투니버스 홈페이지 개편으로 인해 옛날 편성표를 보지 못해 정확하지는 않지만 방영 당시 시간대는 대략 아래와 같았다.
1999.11.01~2001.10.31 | 07:00~09:00, 16:00~18:00 |
2001.11.01~2002.04.28 | 08:00~09:00, 15:00~17:00, 22:00~23:00 |
2002.04.29~2002.05.26 | 08:00~09:00, 15:00~16:00, 22:00~23:00 |
2002.05.27~2002.07.14 | 13:00~14:00, 23:00~00:00 |
2002.07.15~2002.08.25 | 08:00~09:00, 23:00~00:00 |
2002.08.26~2002.11.03 | 09:00~10:00, 13:00~14:00, 23:00~00:00 |
2002.11.04~2002.12.31 | 09:00~10:00, 13:00~14:00 |
하지만 2003년 1월 1일부터 프로그램 재탕 문제로 카툰네트워크 블록 편성이 투니버스에서 폐지된다.[38] 아이러니하게도 투니버스는 나중에 카툰네트워크의 미국 내 경쟁사인 니켈로디언과 손을 잡고 그쪽 프로그램을 보여주게 된다.[39]
니켈로디언은 아바타 아앙의 전설[40] 같이 타사에서 한국어 더빙을 먼저 만들면 해당 판본의 성우진을 최대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비해 카툰네트워크는 쌈박하게 재더빙을 강행한데다[41] 투니버스판은 VOD로 풀리거나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를 지원한 적이 없어서 투니버스판 더빙은 방영 당시 녹화하지 않은 이상 현재로선 보기 어려워졌다. 물론 중앙일보로 매각된 뒤 카툰네트워크가 재더빙을 할 때 투니버스 성우진을 유지한 경우도 없지는 않지만, 아예 성우진을 다 바꾼 작품의 경우에는 당시 갓 프리랜서가 된 신인 위주의 캐스팅이 많아 아무래도 쓴소리를 들어야만 했다. 그 때문에 카툰네트워크판 재더빙이 투니버스판보다 퀄리티가 떨어진다며 투니판 더빙을 더 선호하는 팬들도 있다.
3.2.2. Interval: Cartoon Network 동남아시아판 (2003~2006)
투니버스에서 카툰네트워크 블록이 폐지되고, 한국은 한동안 홍콩에서 방송되는 카툰네트워크 동남아시아판을 보게 된다.[42] 사정상 더빙은 못 하고 대신 한국어 자막이 나왔지만, 시청자들의 불만은 크게 없었다.[43] 종일 일본 애니메이션만 보는 데에서 온 새로움이 그 이유였을지도 모른다.카툰네트워크 동남아판은 한국에서는 드물게 수준급의 미국 애니메이션을 거의 그대로 볼 수 있는 방송 채널 중 하나였다.[44] 특히 한국에서는 못해도 청소년용으로 쳤을 사무라이 잭 같은 경우는 보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고 할 수 있었는데, 카툰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에서도 이들 애니메이션의 팬층이 두껍게 형성됐다. 게다가 Winx Club도 한국에서는 카툰네트워크 동남아시아판이 먼저 선보였다.
3.2.3. 중앙그룹 계열 시절 (2006~2015)
이후 타임워너 측은 계열사 TBS 아시아-퍼시픽을 통해 중앙일보와 손을 잡고 2006년에 PP회사 '중앙애니메이션'을 세워 독자 채널을 개국했다.그러나 중앙애니메이션 시절에 운영 등 여러 면에서 문제를 보였다. 사실 중앙그룹도 JTBC 이전 유일한 방송계열사인 중앙방송조차 오락 전문 TV 채널을 운영할 능력이 전혀 없었다. 오죽하면 영화 채널 캐치원을 1999년 동양그룹(온미디어)으로 매각한 이후 Q채널 같은 다큐멘터리 채널만 계속 운영했을 정도였다. 그런데 아무런 준비도 없이 갑자기 오락 채널을, 그것도 어린이 대상 및 애니 전문 채널을 운영하겠다고 나서니까 미숙한 점들이 보일 수밖에 없었다.
방영 초기부터 주요 대표작들을 재더빙해서 틀어줬지만 일부 작품들은 빠졌다. 거기에는 죠니 브라보, 무무와 꼬꼬, 아이 엠 위즐,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과 애니매니악스 등 투니버스에서는 멀쩡히 틀어주던 프로그램부터, 사무라이 잭과 Hi Hi Puffy AmiYumi처럼 왜색이 짙은 미국 작품, 그리고 에드, 에드 엔 에디와 메가스 XLR처럼 왜 빠졌는지 모르는 작품도 있다.[45]
번역에서도 시청자들이 보기에 많은 문제점을 보였다. 동남아판을 재송신하던 CSTV에서 임의로 붙여 쓰던 제목을 그대로 쓰는 모습이 보이고[46] 이후에도 괴이쩍은 번역 센스를 보여주었다. 예로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의 등장인물 그림의 직업이 저승사자라서 그냥 이름이 그림 리퍼(Grim Reaper)였지만, 그쪽 녹음에서는 이름이 '저승사자'가 되었고 그와 함께 빌리나 맨디 같은 등장인물들이 그를 부르는 이름도 그림에서 '아저씨', '뼈다귀 씨' 등으로 바뀌었다.
성우 섭외력 등에서도 문제가 있었는데, 중복 캐스팅은 기본이요, 미스캐스팅 문제도 터졌고, 문제의 김사단 PD가 외주로서 연출하는 작품이 꽤 되어 성덕들 사이에서 믿고 거르는 채널로 자주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다. 그 외에도 방성준과 하성용을 자사 성우 마냥 심하게 남발한다.[47] 다만, 워너 브라더스 및 DC 쪽 작품의 경우 벅스 버니 역에 강수진을 섭외하는 등, 다른 방송사라면 호화급이라 불릴 정도의 성우진을 뽑아내 호평을 받았다.[48] 특히 배트맨이나 저스티스 리그, 틴 타이탄 등의 청소년 및 성인 취향 작품에서 빛을 발했다. 아무리 투니버스라도 자사 전속 성우들을 배제하면 꽤 볼품없어지는 걸 생각하면 일부 시청자들에게 쓸데없는 호화라고 느껴지는 경우가 있을 정도였다.[49] 2009년 방영한 스타워즈: 클론전쟁에서는 그야말로 아메리칸 스케일의 캐스팅을 보여줬다.
미국 애니메이션 갤러리에서의 애칭은 카넼코 혹은 카넷코. 이 시절 이쪽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방영하는 다꽝 카넷이라며 까댔다. 카넷코가 들어서기 전 CN 동남아판이 무무와 꼬꼬, 아이 엠 위즐, 사무라이 잭, 메가스 XLR 등 국내에서 보기 힘든 것들을 빵빵 틀어댔는데, 중앙일보의 CN은 일본 TV 애니메이션 비중이 너무 높았다.[50] 큰 호평을 받았던 한국어 더빙 연출력도 햇수가 지나면서 조금씩 사그라들었는데, 레귤러 쇼를 제외하면 평판도 상당히 좋지 않다.[51] 당장 어드벤처 타임의 더빙판은 반응이 영 좋지 않은 편이다.
2012년 이후 청소년 대상 일본 TV 애니메이션을 수입하기 시작했다. 토리코의 경우, 심정희와 계인선 두 PD의 역량 덕에 좋은 작품이 나왔는데, 당시 타 방송국의 수입작들이 한국어 녹음 제작 과정에서 캐스팅이나 연출 문제 등으로 말이 많던 시기라 상대적으로 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접근성 문제로 챔프TV에서 방송한 뒤에야 빛을 발했고[52], 2013년에는 애니메이션 방송국 통틀어 실질적으로 청소년 대상 첫 수입 신작(기존 장기 애니 후속 시즌 제외)인 마기를 방송했다.[53]
2014년 8월 중에 건담 빌드 파이터즈를 방송했으나 평은 그다지 좋지 않았는데 문서를 참고하자.
2014년 8월 신작소개에 올라온 방학 특집편성 설명란에 최대 인기작들을 모아놓았다는 설명을 보면 토리코, 어드벤처 타임, 톰과 제리 쇼, 뉴 꾸러기 닌자 토리, 엉클 그랜파 등이 아이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다.
명색이 카툰네트워크인데도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의 편성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시기였다.[54] 앞서 말했듯이 한국판의 개국 초기에도 일본 애니메이션의 편성 비중이 적지도 않았지만, 갈수록 그 빈도가 너무 심해졌다. 심지어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가끔씩 구작을 내보냈는데, 이후에는 그런 것도 없었다. 이 때문에 카툰네트워크 본사에서 기획한 프로그램을 가끔 보여주는 것을 빼면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의 편성 비중이 높은 등 국내 여타 애니메이션 채널과 크게 다르지 않아 팬들에게 "카툰네트워크답지 않다."라며 비판을 받았다. 외국의 CN도 일본 애니메이션을 방영하기는 하지만, 한국은 미국 본사가 기획한 프로그램은 그냥 들러리로 내세우는 수준이다.
이 시기에 한국에서 벤10이 등장하는 과학영웅, 영어영웅, 탐험영웅 같은 자체 학습만화가 나왔으나 과학영웅을 제외한 두 작품은 어느 순간부터 소식이 없더니 중앙일보가 빠지며 이후 연재는 아예 가망조차 없게 되었다. 영어영웅은 스토리나 개연성 면에서 큰 혹평을 먹긴 했지만 탐험영웅은 과학영웅보다 더 좋다는 평도 받았지만 1권 만에 끝이었다. 특히 케빈의 업그레이드가 기차에 붙는 장면은 해외에서도 기발한 아이디어까지 받아 다음에 대한 기대감을 심어주기까지 했는데 말이다.
이 시기 중앙일보 지면의 방송 편성표를 잘 보면 어린이 채널 목록에 항상 CN이 먼저 올라가 있었는데, 바로 당시 중앙일보와의 관계 때문이었다. 또한 JTBC에서도 벤10, 골판지 전사 등 카툰네트워크 방영작을 방영하기도 했다.
3.2.4. 본사 직영체체 (2015~현재)
2015년 3월, 모회사 터너엔터테인먼트네트웍스가 중앙애니메이션 지분을 100% 인수해 직접 운영하게 되었고, 법인명도 터너 코리아로 바꾸고 유한회사로 전환했다. 이는 한미 FTA가 타결되었기에 가능했던 일로, 이후 내셔널 지오그래픽이나 디즈니채널이 연이어 합작법인에서 독립하며 나머지 어린이/애니 합작 채널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실제로 중앙일보와 합작하던 시절에 비해 편성에서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일본 애니 비중이 확실히 줄어들었다.터너 코리아는 생활건강TV를 인수한 뒤 2015년 11월 14일, 해당 채널을 카툰네트워크의 자매 채널인 부메랑으로 개편했다.
2016년 카툰네트워크 애니메이션 캐릭터 상품을 파는 CN샵이 문을 열었다. 주로 한국에서도 엄청난 히트를 친 파워퍼프걸, 어드벤처 타임, We Bare Bears 등의 굿즈들을 판매했다. 현재는 모두 폐점되었다.
2017년경부터 VOD 서비스 대신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VOD 서비스 비스름하게 쓰고 있다. 하지만 일부만 있으며, 새 에피소드가 올라올 때마다 기존 에피소드가 비공개되는 것도 똑같다.[55] 그것도 과거(부터 일부는 지금까지) 방송한 프로그램뿐이며, 대체로 IPTV에 전편 VOD 서비스되고 있다.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은 TV에서 봐야 하니 예외로 쳐도[56] 현재 종영되고 재방도 안 틀어주는 프로그램은 전편은 아니더라도 많이 올려야 하지 않을까 싶다. 틴 타이탄 같은 일부 과거작이나, 종영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신작인 작품들은 여기에도 안 올리니 영상 자체에도 문제가 있다. 어떤 영상은 한국어 음성과 영어 음성이 섞여서 나오거나 아예 소리가 안 날 때도 있었으며, 그럴 때는 바로 수정을 해서 재업로드해 줬지만 요즘에는 수정도 안 해준다. 그나마 장점인 건 1080p 16:9 리마스터 버전이라는 것이다. 여기 올라오는 작품들은 벤10 시리즈나 파워퍼프걸,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등 아직까지도 꽤나 유명한, 간판급 타이틀 정도. 2020년 2월 현재는 많은 수의 VOD를 삭제하지 않고 있고, 일부 시리즈에 한해 거의 전편을 서비스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이후 업로드가 굉장히 뜸해졌고, 벤10 시리즈 등 대다수 편들이 비공개된 작품들도 여전히 존재한다. 2020년 10월 20일, IPTV에서 서비스되고 있었던 VOD들이 모두 판권 만료되었다. VOD들이 모두 판권 만료된 이후 VOD 관련 소식이 아예 없다가, 2021년 중반기부터 쿠팡플레이 독점으로 일부 작품들의 VOD 서비스를 시작했다. 여러 작품들이 계속해서 들어왔기에 앞으로 VOD 서비스는 여기에서 할 것으로 보였지만, 2022년 1월에 이전 VOD들과 똑같이 대다수의 작품들이 내려가고 2024년 기준 위 베어 베어스와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만 남았으며, 2023년 3월에 검볼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0년부터는 중앙그룹 계열 시절이 선녀로 보일 정도로 한국 애니메이션과 유튜브 영상[57] 편성이 늘어났다. 또한 미국처럼 틴 타이탄 GO!를 자주 방영해주다가 2021년 들어서는 틴타고의 방영이 줄어들게 되면서 냠냠 차우더, 달콤살벌 미스터 캣, 벤10,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 등 한동안 방영되지 못했던 일부 종영작들이 재방송되고, 방영한 지 10년 정도 지난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와 틴 타이탄을 HD 화질로 리마스터링해 방영하는 등 옛날 애니들도 꽤 신경 써주는 편이다. 그 외에도 이전에 더빙이 중단되었던 극강 매직스워드, 스티븐 유니버스, 파워퍼프걸 리부트를 이어서 더빙 방영하였다.
2021년부터는 루니 툰 카툰, 젤리스톤!, 톰과 제리 인 뉴욕, 에즈미와 로이 시즌 2, 어드벤처 타임: 머나먼 땅, 펀지타운의 펀지스! 등 맥스 오리지널로 나온 일부 애니들의 방영권을 얻어서 더빙으로 방영 중이다.
이후 2021년 디즈니채널, 2022년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폐국하면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방송하는 해외 합작 애니메이션 채널이 되었다.
2023년 1월 16일, 2011년부터 개편만 해 쓰던 홈페이지가 개편되었다. PC, 모바일 버전 디자인이 동일해졌다. 2017년부터 업로드가 끊긴 미니게임들이 어도비 플래시 종료로 아예 사라지고, 편성표는 네이버로 볼 수 있게 했다. 그러나 2024년 6월경 홈페이지를 유튜브 채널로 연결되게끔 바뀌면서 아예 삭제되었다.
2023년 걸그룹 NewJeans와 협업으로 뮤직비디오가 방송에 공개됐다.
2024년 7월 1일부터 부메랑은 9년 만에 유아용 편성 블록인 카투니토(Cartoonito)로 채널명을 바꾸었다.
폐국은 미지수지만 유럽, 일본[58] 등 기존 맥스 서비스 국가들이 카툰네트워크 폐국을 하지 않고 존치하는 것을 보면 한국 채널도 존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3.3. 일본
1997년 9월 1일, 미국 TBS와 이토추상사의 5:5 합작으로 설립된 '재팬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가 퍼펙TV!, J:COM 등지 위성방송망을 통해 개국했으며, 세월이 지나 터너 쪽 지분이 80%이고 2013년부터 운영사 JEN도 사명을 '터너 재팬'으로 개명해 운영하다가, 2023년 8월 1일부로 디스커버리 재팬으로 흡수합병되어 운영중이다.다른 나라의 CN이 바쿠간이나 유희왕, 포켓몬스터, 세일러 문 등 일본 모험물의 방송권을 쥐는 경우가 있는 데 비해, 정작 일본판 CN에서는 이런 걸 잘 안 한다.[59][60] 다만 CN 오리지널 작품들도 틀던 것만 틀고 신작 도입은 꽤 늦은 편이다.[61]
신작 도입이 늦는 대신[62], 한국보다 훨씬 오래전에 개국한 만큼 그동안 방송한 프로그램의 수가 많다. 이 중에는 한국에서 방송하지 않은 작품들도 있으며, 당연히 전부 일본어로 녹음되어 있다. 그리고 자체 이벤트도 많이 열었다.
2021년 7월부터는 CN NITE라는 블록을 신설했는데 여기에서는 영 저스티스, 레귤러 쇼와 같이 성인향이 있는 만화나 원펀맨, 강철의 연금술사, 모브 사이코 100 같은 일본 애니를 방영하기도 한다.
2024년 6월 경에 일본 홈페이지를 폐쇄했으며, WBD 일본 사이트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4. 기타 국가
- 중국
민간이 방송국을 운영하는 걸 허용치 않는 중국에서는 국내 방송국이나 인터넷 영상 서비스에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진입하고 있다.[64] 한때 중국의 인터넷 게임 업체와 합작해 사이트를 만들어 공식 사이트 삼았으나 이후 폐쇄되었다.
- 캐나다
의외로 늦게 나왔는데 무려 2012년 7월 3일에 나왔다. 이전에는 Teletoon이라는 곳에서 카툰네트워크의 애니메이션들을 방영했는데, 2023년에 카툰네트워크와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 라틴아메리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를 지원하며 영어도 지원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미국에서 디즈니에서 방영하던 프로그램들을 방영하기도 했다. 다만 퀘벡 주에서 운영하는 자매 채널인Télétoon은 아직도 존속 중이다.
- 아프리카
기본 언어로 영어를 지원하고 있으며 영어 원어로 방영하고 있다.
4. 프로그램 목록
아래 목록에 적혀있는 상당수의 방송들이 한국에서는 방송하질 않고 있다. 당연하게도 새로 나온 애니메이션과 일본 애니메이션에 밀려 방영 자체를 거의 안 해주기 때문이다.의외로 예전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한 프로그램 중 낯익은 만화들이 있다. 가필드, 스머프는 물론 DC 코믹스의 저스티스 리그와 그 소속 영웅들의 만화 등이 방영된 적이 있었다. 디즈니의 마블과 스타워즈 인수 이전에는 마블 슈퍼 히어로 스쿼드와 스타워즈 클론전쟁 시리즈 등을 방영한 적이 있었다.
간판급 프로그램[66]은 굵은 표시, 미국 기준 현재 방영 중인 작품은 ★ 표시, 한국 미방영[67]은 *표시 |
4.1. 카툰네트워크 제작/기획[68]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 문서 참조.4.2. 해나-바베라 제작[69]
- 개구쟁이 스머프
-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 덱스터의 실험실[C]
- 스쿠비 두 시리즈[71]
- 스페이스 고스트
- 뽀빠이
- 아이 엠 위즐[C]
- 요기 베어
- 우주가족 젯슨
- 웨키 레이스
- 쟈니 퀘스트
- The Real Adventures of Jonny Quest
- 죠니 브라보[C]
- 젤리스톤!
- 카우 앤 치킨[C]
- 톰과 제리
- 파워퍼프걸[75]
- 허클베리 하운드
- 2 Stupid Dogs
- Swat Kats
- Jabberjaw
4.3. 워너 브라더스 제작
- 그린랜턴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76]
- 루니 툰
- 더 배트맨
-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샤올린 특공대
- 스태틱 쇼크
- 애니매니악스
- 영 저스티스[77]
- 쟈니 테스트[78][79]
- 저스티스 리그
- 타이니 툰
- 틴 타이탄
- 틴 타이탄 GO! ★
- Teen Titans Go: The Night Begins to Shine (예정)
-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
- Beware the Batman
- 버니큘라
- 썬더캣츠
- 유니키티
- DC 슈퍼히어로 걸즈
- Krypto the Superdog[80]
- MAD[81]
- Ozzy & Drix
4.4. 미국 내 다른 회사 제작 작품
4.4.1. 마블 스튜디오 제작[82]
4.4.2. 레고 그룹 제작
4.4.3.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제작[83]
4.4.4. 맨 오브 액션 제작
4.5. 다른 국가 수입/공동제작 작품
4.5.1. 캐나다 작품
캐나다의 Teletoon과 교류가 잦다. 한국에는 인기가 없는지, 가끔 새벽에 자막이 없는 영어로 방영된다. 예전에 더빙판이 방영된 적이 있기는 했다.- 6teen
- Atomic Betty
- Delilah and Julius
- Grojband
- Hot Wheels Battle Force 5
- Scaredy Squirrel[84]
- Sidekick
- Stoked
- Supernoobs
- 스톰 호크
- 시끌벅적 하우이와 벌거숭이들
- 아드레날린 브라더스
- 메타제트
- 토탈 드라마 시리즈
- Total Drama Island
- Total Drama Action
- Total Drama World Tour
- Total Drama: Revenge of the Island
- Total Drama All-Stars
- Total Drama: Pahkitew Island
- Total Dramarama
- Total Drama Island 시즌 6 ★
- World Of Quest
- 지미 투-슈즈
4.5.2. 유럽 작품
- Chop Socky Chooks
- Hero 108
- Totally Spies
- The Amazing Spiez
- The Cramp Twins
- 꼬마펭귄 핑구
- 가필드 쇼
- 그리지와 레밍스[85]
- 반반 남매 히어로즈
- 소닉 붐[86]
- 와글와글 친구들
- 오기와 바퀴벌레 악동들[87]
- 미스터 빈
4.5.3. 일본 작품
- 미국판 카툰네트워크 한정 방영작
-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한정 방영작
- 타사 선방영 후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 재방영
4.5.4. 인도 작품
4.5.5. 한국 작품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한정으로 한국 작품 일부를 편성한다.[100] 모두 지상파 3사[101] 혹은 다른 애니채널에서 먼저 방영했던 작품들.- 시노스톤
- 마음의 소리
- 런닝맨
- 또봇 시리즈
- 방귀대장 뿡뿡이
- 뽀롱뽀롱 뽀로로
-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 용이산다
- 헬로 카봇
- 캡슐보이
- 캐치! 티니핑 시리즈
- 흔한남매
- 체리툰
- 브레드 이발소
- 바이클론즈
- 최강합체 믹스마스터
- 라라의 스타일기
5. 역대 블록 시간대
어덜트 스윔 시간대에 대한 내용은 어덜트 스윔 문서
, 투나미 시간대에 대한 내용은 투나미 문서
참고하십시오.아래의 블록 시간대들은 미국 본사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 Cartoon Network's Cartoon Theatre(1998~2007)
1998년~2007년까지 있었던 영화 전용 블록이다.
- Fridays (1999~2007)
1999년~2007년까지 있었던, 매주 금요일마다 카툰네트워크 오리지널 시리즈의 새로운 에피소드를 발표하는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Cartoon Cartoons 시리즈
- 덱스터의 실험실
- 죠니 브라보
- 파워퍼프걸
- 에드, 에드 엔 에디
- 겁쟁이 강아지 커리지
- 쉽 인 더 빅 시티
- 타임 스쿼드
- 사무라이 잭
- 그림 앤 이블
- Whatever Happened to Robot Jones?
-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
-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
- 이블 콘 카르네
- 그 외 카툰네트워크 오리지널 시리즈
- 스타워즈 클론전쟁 2D
-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
- Hi Hi Puffy AmiYumi
- 쥬니퍼 리의 모험
- 라즐로 캠프
- 내 짝꿍은 원숭이
- 벤10
- 천방지축 로드니
- 클래스 오브 3000
- Flicks (2008~2015)
2008~2015년까지 있었던, Cartoon Theatre의 뒤를 잇는 영화 전용 블록이다.
- You Are Here (2008~2010)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주 금요일에 있었던 액션 전용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Har Har Tharsdays (2008~2010)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주 목요일에 있었던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냠냠 차우더
-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 토탈 드라마 아일랜드
- 쟈니 테스트
- 6teen
- Stoked
- CN Real (2009~2010)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있었던 실사물 전용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The Othersiders
- Survive This
- Brainrush
- Bobb'e Says
- Destroy Build Destroy
- Dude, What Would Happen?
- Monday Nights (2010~2014)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주 월요일에 있었던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스쿠비 두: 미스터리 주식회사
- 쟈니 테스트
- 어드벤처 타임
- 레귤러 쇼
- MAD
- 로보토미
- 이상한 바다의 플랩잭
- 냠냠 차우더[102]
- 6teen[103]
- Stoked
- 토탈 드라마 월드 투어
- The Problem Solverz
- 검볼
- Secret Mountain Fort Awesome
- The Biggest Night of Action (2010~2011)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매주 금요일에 있었던, You Are Here를 잇는 액션 전용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DC Nation (2012~2014)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있었던 DC 히어로 전용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영 저스티스
- 그린 랜턴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틴 타이탄 GO!
- Beware the Batman
- Cartoon Planet (2012~2014)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있었던, 과거 방영된 프로그램들을 재방송하는 블록이다.
- New At 7 (2013)
2013년 9월~12월까지 매주 월~목요일에 있었던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Cartoon Network's Gift Time (2013)
2013년 12월에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있었던 블록이다.
- NEW NEW NEW NEW (2017~2018)
2017년~2018년까지 매주 금요일에 있었던 블록이다.
여기에 포함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 Cartoonito (2021~)
2021년 9월부터 미국에서 새로 시작된 아동용 블록이다. 니켈로디언의 닉 주니어, 디즈니채널의 디즈니 주니어 포지션이라고 하면 될 듯. 한국에서는 2022년 3월 28일부터 런칭하여 방영 중이며, 2024년 7월 1일부터 부메랑의 방송을 종료하는 자리에 이 채널이 런칭할 예정이다.
- ACME Night (2021~)
2021년 9월 샤잠!을 시작으로 영화를 방영하는 블록시간대이며 미니언즈, 스쿠비!, 몬스터 호텔과 같은 애니메이션과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트릴로지, DC 코믹스의 영화들과 같은 영화들을 방영한다.
6. 비판
신작들을 방영하겠다며 기존 애니 제작진들에게 강제 종영을 강요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이다. 대표적으로 어드벤처 타임 제작진들이 그 피해자들 중 하나인데, 자세한 사항은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비판 문서 참고. 이전에도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도 강제 종영을 당하는 수모를 겪었으며 이후 스티븐 유니버스[105]와 위 베어 베어스[106]등 타 작품들도 강제 종영을 하면서 비판받았다.한창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도 에피소드 방영에 차질을 준 적이 많다. 대표적으로는 에피소드 순서를 뒤바꿔 방송하여 벤10 옴니버스의 작품 초반을 관통하는 피드백의 서사에 먹을 칠하거나 에피소드 순을 마음대로 바꾸면서 어드벤처 타임의 최종 시즌 방영을 시청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시작한 적이 있다. 이 두 작품 모두 2차 매체에 수록되는 과정에서 제작자 의도를 무시하고 시즌 구성을 바꾸어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은 적 있었다.
미국 현지에선 틴 타이탄 GO!의 편성 몰아주기가 꽤 심각하다.
7. 관련 문서
8. 외부 링크
- 다음 카페 『CN 세상』: 2004년 개설.
- 디시인사이드 카툰네트워크 마이너 갤러리
[1] 저 위치는 정확히는 워너 브라더스의 건물의 위치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사실 "카툰네트워크"라는 채널을 관리하는 법인이 따로 없기 때문이다. 물론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의 법인은 존재한다.[2] 프로그램 제작 업무를 하는 사옥의 위치이다. #[3] 2022년 5월까지 한국 카넷 홈페이지 하단에 로고가 있고 미국 카넷 홈페이지 하단에 'Turner Digital Media'라는 문구가 존재했던 것이 이 시절의 잔재이다. 아래의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가 1998년 타임 워너 시절에 터너를 통째로 인수해서 여기도 자연스럽게 워너 소유가 되었다. 참고로 한국 카넷 홈페이지 하단의 Turner는 2022년 5월 즈음에 WarnerMedia로 바뀌었다. 한국에 카투니토가 등장할 때를 즈음하여 바뀐 듯 하다.[4] 정확히는 편성 블록. 2024년 미국 기준 같은 채널에서 6시부터 17시까지가 카툰네트워크, 17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는 어덜트 스윔이 나온다. 한국에는 어덜트 스윔이 없어서 24시간 내내 카툰네트워크만 나온다.[5] 우회 접속을 통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다.[6] 카툰네트워크가 생겨나면서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시작하며 해나-바베라 산하에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가 생겨났는데, 1998년 해나-바베라는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에 합병되었고 2001년에는 이름조차 사라진 뒤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가 거기에서 새로 독립해 나왔다. 계보가 은근히 복잡하지만 정리하자면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가 해나-바베라의 직접적 후신이라 할 수 있다.[7] 지금은 다시 한국에서 프라이데이가 부활하였다.[8] 현재 타임 워너가 권리를 보유하는 작품. 특히 타임 워너가 CN의 모회사인 터너를 인수하면서 워너 브라더스 작품의 비중도 늘었다.[9] 미국 작품이지만 제작 과정에서 카툰네트워크가 전혀 관여하지 않은 작품들. 레고 닌자고와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10] 카툰네트워크 팬들은 카툰네트위크의 전성기 시절이 1998~2007년과 2010~2013년이였다고 평하고 있다.[11] 대표적으로 어드벤처 타임이 가장 큰 피해자 중 하나로 이제 겨우 스토리를 가다듬고 있는데 카툰네트워크에서 강제 종영 시켜서 제대로 된 떡밥 회수도 못하고 스토리가 붕 떠버렸다. 자세한 건 아래 비판 문단 참고.[12] 정확히는 2019년 초에 종영되었고 동년 말에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로 다시 나왔으나 얼마 못가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도 종영했다.[13] 다만 위 베어 베어스는 카툰네트워크 트위터 소식에 따르면 2021년 봄에 We Baby Bears로 다시 나올 예정이였으나 갑자기 2022년 1월로 미뤄졌다. 종영할 기미도 안보인 본가를 카툰네트워크 멋대로 종영시키고 스핀오프마저 미루니 여론은 최악인 상황이었다. 다행히도 2022년 1월부터 드디어 방영을 시작하였다.[14] 그나마 Infinity Train이 퀄리티 있지만 HBO Max로 좌천된 상태며, 그마저도 조회수 부족으로 종영 위기를 겪었고 결국 시즌 4를 끝으로 종영되었다.[15]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투니버스의 블록시간대로 있을 당시에 사용하였다.[16] 이후 2018년 OK KO의 'Crossover Nexus' 에피소드에서 CN 시티가 다시 등장한다.[17]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을 했다.[18] 대한민국에서는 Yes와 Fall은 사용하지 않고, 2008년까지 CN 시티를 계속 사용했다.[19] 대한민국을 포함한 아시아하고 오세아니아에서는 New wave라는 ID가 2008년부터 2011년 10월까지 사용되었다.[20] 심지어 4.0까지 버전도 있다! 1.0은 2010~2011년, 1.0을 조금 변형시킨 2.0은 2011년~2013년 5월, 3.0은 2013년 5월~2015년 5월, 4.0은 2015년 5월 31일~2016년 7월까지 사용되었다.[21]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10월~2014년까지 1.0을, 2014~2016년까지 3.0을 사용하였고, 2016~2021년까지 4.0을 사용하였다. '신나는 재미'라는 캐치프레이즈도 이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22] 대한민국도 Check it 4.0을 계속 사용했다.[23] 대한민국 등 주요 국가는 2022년부터 적용하였고, 2023년부터 Pastel로 변경된 후에도 대한국은 Redraw Your World를 사용 중이다.[24] 1993년 더 목시 쇼와 스페이스 고스트 코스트 투 코스트가 방영된 적이 있었다지만 더 목시 쇼는 목시라는 강아지 캐릭터를 진행자로 내세운 것을 제외하면 예전 방영된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게 없고, 스페이스 고스트 코스트 투 코스트도 해나-바베라의 작품들 중 하나인 스페이스 고스트의 캐릭터가 나오는 쇼이기 때문에 완전한 오리지널 시리즈라고 보기가 어렵다.[25] 아드레날린 브라더스를 비롯한 단편 만화를 방영한 것으로, 빼꼼도 수출되어 있다.[26] 지금과 달리 C 위치가 좀 삐딱하며 현재 CN 로고는 2010년에 다시 바뀐 것이다.[27] 어드벤처 타임과 레귤러 쇼가 방영하기 전, 인기 있는 장편 만화들이 종영되었던 침체기 전까지.[28] 전자는 사무라이를 다뤘고, 후자는 아예 일본 가수 puffy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이다.[29] 감독이 와패니즈 성향이 있다고 한다. 당장 주요인물인 3호부터가 일본인이며, 전투 위치로로 대표되는 반자이 돌격이라든지 사무라이 갑옷 등 일본 관련 내용이 좀 있다.[30] 이때 보스턴 시내에 뿌려진 '아쿠아 틴 헝거 포스'의 극장판 장편 영화의 홍보물이 폭탄으로 오인받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짐 샘플스가 퇴출당하고 스튜어트 스나이더(Stuart Snyder)가 들어온다. 이때부터 일본 애니메이션 편성이 사실상 전멸했다.[31] Destroy Build Destroy, Dude What Would Happen?, Brainrush, Bobbe Says 등이 CN Real에 포함되어 있었다.[32] 다만 2010년 이후에도 실사물을 방영했다. Unnatural History와 Tower Prep, Hole In the Wall, Level Up 등이 있었으며, 2013년에 방영된 Incredible Crew가 사실상 카툰네트워크의 마지막 실사물이 되었다.[33] 상대적으로 중부 시간대 거주자들이 잠을 해치지 않으면서 많은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34] 디즈니+ 한국 진출 영향으로 인하여 폐국. 이곳에서 방영하던 콘텐츠는 전부 디즈니+를 통해 명맥을 이어가거나 다시보기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디즈니채널은 미디어로그가 인수하여 폐국 이후 더 키즈로 바뀌었다.[35] 파라마운트+가 티빙과 제휴하여 한국에 진출해 파라마운트 산하 미디어 기업들의 컨텐츠를 공급하고있다. 투니버스에서 편성 블록을 만들어 TV 방영도 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니켈로디언의 모기업 바이어컴이 SBS와 제휴하여 니켈로디언을 포함한 일부 채널을 한국에도 개국했지만 이 영향으로 인하여 니켈로디언이 철수하고 SBS미디어넷으로 채널을 넘겨 KiZmom으로 변경했으나 얼마 못가 KiZmom도 폐국하고, 그 채널에는 SBS Golf 2가 개국했다. 그러나 티빙에서 파라마운트+ 제휴를 2024년 6월 18일부로 끊게 되면서, OTT로는 보지 못할 전망이다.[36] 자사 캐릭터들의 상품성 유지를 위해 이렇게 직접 찾아다니면서 캐스팅한다고 한다.[37] 배트맨 우리말 연출을 맡은 신동식 PD는 이 성우 명단을 보고 "이건 당연하지."라고 생각했다고 한다.[38] 여담으로 이날부터 한동안 투니버스가 스카이라이프에서 송출이 중단되었다. 이때 투니버스의 빈자리를 채운 채널이 니켈로디언.[39] 비슷하게 재능TV도 니켈로디언 방송블록을 하다가 카툰네트워크와 계약을 해 방송을 이어간 일이 있었다.[40] EBS에서 방영하였다.[41] 몇몇 작품들은 지상파에서 따로 더빙하여 방영하였다.[42] 그래서 동남아시아 지역 이벤트 안내가 그대로 방영되기도 했다.[43] 하지만 어떤 때는 어느 지역의 케이블 사업자가 위성 주파수를 잘못 맞춰서 한동안 중국어 오디오가 나오기도 했다.[44] 미국 쪽 작품들 중 몇몇 에피소드가 원본에서 음정이 약간 올라간 것만 뺀다면. 유럽 쪽 작품은 그 대상이 아니었다. 사실 이는 프레임 속도(즉 FPS)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특별한 기술을 적용하지 않는 이상 일반적으로 재생 속도에 따라 음색이 변한다. 한국, 대만과 미국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NTSC(대략 30 fps)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동남아와 중국, 그리고 홍콩에서는 유럽 표준인 PAL(정확히 25 fps)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24 fps로 제작된 작품은 NTSC에서는 몇 가지 편법을 사용해 화질, 속도, 음색을 유지했지만, PAL을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25 fps로 속도를 높여 화질은 유지할 수 있었으나 당연히 음색이 올라간다. 당연히 유럽에서 제작된 작품은 아무런 문제 없이 의도한 음색 그대로 방송할 수 있다. 기술이 발달하고 디지털 시대가 찾아왔지만 아직도 몇몇 작품이 몇몇 나라에서 음색이 올라간 채 방송되고 있다.[45] 이중 죠니 브라보와 사무라이 잭, 에드, 에드 엔 에디는 심야 시간대에 자막판으로만 방영되었다.[46] 예를 들면 Foster's Home for Imaginary Friends(의역 좀 보태서 '포스터 할머니의 상상 친구 보육원')를 CSTV 쪽에서는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이라는 참 김빠지는 제목을 지었는데, 이게 그냥 한국어판의 공식 제목으로 굳어져 버렸다.[47] 터너 브로드캐스팅이 인수한 뒤에는 방성준과 하성용의 비중이 줄어들었으나 이번에는 니켈로디언 코리아처럼 이장원을 자주 캐스팅한다.[48] 하지만 대다수의 경우 투니버스판 한국어 녹음의 성우진을 거의 그대로 가져오기도 했고, 중앙일보판의 성우진에 대해선 투니버스판에 비해 미묘한 반응이 많다.[49] 그 예로 더 배트맨 시리즈를 방영할 때 조커 역에 1990년대 초반 SBS에서 방영했던 배트맨 TAS에서 조커를 맡았던 장광이 캐스팅됐다. 문제는 더 배트맨 자체가 이전의 배트맨 애니메이션들과 설정이 조금씩 달라져 연관성이 그다지 없다는 것. 게다가 이후 베인과 펭귄 역도 해당 성우에게 맡겼다.[50] 2013년 이후 더 심해졌지만 사실 초기에도 밀림의 왕자 레오나 뿡야뿡야 왕바우 같은 일본 애니를 틀어줄 때가 있었다. 하지만 이때는 그래도 카툰네트워크 미국 본사의 자체 기획작을 잘 틀어주던 때라 큰 불만이 없었다.[51] 레귤러 쇼가 그나마 좋게 평가를 받은 거지 이쪽도 그렇지 않다는 건 아니다.[52] 이후 2021년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재더빙했으나, 평가가 좋지 않아 1기만 방영했다.[53] 애니플러스 동시 방영 애니메이션 중 최초이다. 이것의 영향인지 대원방송도 마이씨앗TV에서 방송한 작품들의 한국어 녹음을 제작하고 있다.[54] 토리코, 파워퍼프걸Z, 카드캡터 체리, 난다 난다 니얀다, 카페타, 골판지 전사, 빨간망토 차차, 꼬마여신 카린, 아이들의 장난감(자막 방영), 포켓몬스터 DP,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부탁해! 마이멜로디(2~4기 자체 방영), 키테레츠 대백과, 마기 등이 있다. 굵은 글씨는 카툰네트워크 자체 방영작이다.[55] 검볼과 레귤러 쇼의 경우 유튜브에 12화까지 꾸준히 올라가다가 얼마 안 가 다 비공개 처리되었다.[56] 그러나 2017년쯤 엉클 그랜파 시즌 5와 파워퍼프걸 리부트 시즌 2, 어드벤처 타임 시즌 8, 벤 10 리부트 시즌 1 중반부가 한창 방영 중일 때 방영이 끝나자마자 유튜브에 풀 버전을 올렸던 것처럼 TV 방영이 진행 중인 프로그램도 유튜브에 올린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비공개 처리되어 볼 수 없게 되었다.[57] 2019년에 말이야와 친구들, 2020년엔 흔한남매, 2022년엔 체리툰을 편성하였다.[58] U-NEXT를 통하여 간접 진출했으며 2024년까지 TVING을 통하여 한국에 간접 진출했던 파라마운트 플러스와 비슷한 방식이다.[59] 그도 그럴만한 것이 본국에서는 이미 TV 도쿄, 테레비 아사히, 후지 테레비, MBS, TBS를 비롯한 다른 내수 방송사들이 방영하고 있기 때문이다.[60] 대신 이쪽은 우주전사 발디오스를 비롯한 1970년대 중후반~1980년대 초반 고전애니를 재방송을 한다.[61] 예를 들어 OK KO는 미국에서 2017년 8월, 한국에서는 2018년 1월부터 방송에 들어갔는데 일본에서는 2018년 7월에서야 시작했다.[62]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2011년 4월부터 방영을 시작한 어드벤처 타임은 2012년 5월에나 되어서야 방영을 시작했다.[63] 특이하게도 아랍 언어 특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화면에 나오는 모든 문자 대다수를 그냥 간단하게 '화살표' 하나로 대체해 버렸다. 예를 들어 한국판 카툰네트워크를 포함한 해외판에서는 각 언어로 "잠시 후.. 벤 10"이라고 화면에 문구를 출력해 앵커진의 화려한 목소리로 설명해 주는 것과 달리, 중동판은 그냥 영상에 화살표 하나 띄우고 목소리로 다음에 방영될 만화를 설명만 해주고 끝내버린다. 다만 또 신기한 건, 신작 방영이나 각 주마다 방영될 만화 스케줄 등을 예고할 때는 아랍어를 제대로 표시해 준다.[64] 다만 위키백과를 보면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범아시아판을 송출하고 있었던 것 같다.[65] 단 러시아는 대러제재로 철수했다.[66] 오랫동안 방영을 했거나 초창기 때부터 방영해 인기를 얻은, 꼭 우리나라만이 아닌 미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거나 사랑받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67] 동남아판에서만 했거나 기내 더빙만 있는 것도 포함이다.[68] Cartoon Cartoons 시리즈를 비롯한 CN의 자체제작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해당된다.[69] 현재는 거의 대부분 부메랑에서 방송 중이다.[C] Cartoon Cartoons에 포함되긴 하지만, 초반 에피소드들은 해나-바베라가 제작을 했다.[71] 현재는 타임 워너 쪽이 모든 권리를 보유한 상황이며, 최신작은 워너 브라더스에서 제작한다.[C] [C] [C] [75] Cartoon Cartoons에 포함되긴 하지만, 해나-바베라의 마지막 작품이다. 오리지널 시리즈 시즌 4부터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가 제작을 맡았고 현재까지도 신작은 CN에서 담당 중이다.[76] 2013년 종영.[77] 그린랜턴과 함께 종영되었다가 2017년 시즌 3이 확정되었지만 CN으로의 복귀는 하지 않았다.[78] 2014년 종영되었다가 2021년 새 시즌이 발표되었지만 역시 CN으로의 복귀는 하지 않았다.[79] 한국에서는 투니버스에 방영을 했다.[80] 슈퍼맨 시리즈에 등장하는 강아지 크립토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다.[81] 어덜트 스윔의 로봇 치킨과 비슷한 컨셉의 동명의 풍자 잡지를 토대로 한 패러디 코미디 쇼. 하지만 어덜트 스윔이 아니라 수위는 로봇치킨에 비하면 낮다. 등급은 우리나라의 12세 관람가에 해당되는 TV-PG.[82] 현재는 워너미디어의 경쟁사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자회사다.[83] 현재는 워너미디어의 경쟁사인 NBC 유니버설 자회사다.[84] 국내에서는 애니맥스, 투니버스에서 대신 방영하였다.[85] 미국에서는 부메랑에 방영되었다.[86] 정확히는 미국-프랑스 합작이다.[87] 미국판 CN에서는 미방영.[88] 국내에서는 주로 대원방송이 방영하나 ARC-V는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도 방영하였다.[89] 정확하는 미일 합작이며 트랜스포머 아마다와 더불어 미국에서 선행 방영을 시작했다.[90] 국내에서는 토리코 스폐셜과 극장판만 방영했다.[91] 그러나 현재 미국판 CN에서는 2012년에 방영을 중지시켰다. 이유는 심한 노출과 수위가 좀더 높아져서 때문에 중지시킬 수밖에 없었다. 결국 2013년부터 성인 만화 전문 블록인 어덜트 스윔으로 이동됐다.[92] 이쪽은 일본의 테레비 도쿄보다 1년 먼저 선행 방영했다.[93] 국내에서는 SBS와 TBC, KNN(당시 PSB), UBC, TJB, KBC, JTV, CJB, G1방송(당시 GTB)을 비롯한 SBS 네트워크에서 은하영웅 사이버트론으로 방영하였다.[94] 국내에서는 대원방송에서 방영[95] 2012년 버전[96] 과거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던 적이 있다.[97] 1기는 SBS에서 방영되었다. 그리고 1기를 재방송하였다.[98] 원제 "축!(해피☆럭키) 빅쿠리맨"[99] 국내에서는 재능 TV에서 방영하였다.[100] 애니메이션 쿼터제 때문으로 추정.[101] KBS, EBS, SBS[102] 2010년 8월까지 포함되어 있었다.[103] 2010년 6월까지 포함되어 있었다.[104] 2011년 11~12월에만 포함되어 있었다.[105] 그나마 스티븐 유니버스는 종영 이후 극장판을 제작하고 후일담 에피소드인 스티븐 유니버스 퓨처를 짧게나마 방영했다.[106] 이 쪽은 단편 옴니버스 식이라 피해가 덜했으나 일부 떡밥은 스토리 식으로 진행되었는데도 회수된 떡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