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21:20:41

기레기/사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기레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기레기/특징
,
,
,
,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전형적인 기레기의 사례3. 언론의 부패
3.1. 권력과의 유착
3.1.1. 신탁통치 오보사건3.1.2. 삼성 장충기 문자 청탁 사건
3.1.2.1. 관련 문서
3.1.3. 삼성장학생3.1.4. 국민 시선 돌리기3.1.5. 정부 기관과의 유착3.1.6. 권력자에게 아부
3.2. 접대 요구, 협박, 의도적 사실 왜곡
4. 사고 피해자를 배려하지 않는 취재 및 가십성 기사 양산5. 알 권리 남용과 부적절한 관습
5.1. 알 권리 만능론
5.1.1. 실제 사례
5.2. 무례함으로 변질된 알 권리
6. 사실관계 왜곡 및 조작7. 직권 남용8. 타락한 저널리즘
8.1. 기사 거래
9. 해당 기사 및 사건
9.1. 개별 문서가 있는 사건들9.2. 노건호·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 허위기사 논란9.3. 제주퀴어축제 사건9.4. 빨간 마후라 사건 9.5.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테러 자작극9.6. 앵거스 디턴 VS 토마 피케티 프레임 덮씌우기9.7. 승부조작 가담9.8. 불법 침입9.9. 국제적 행패9.10. 박지성 모친상 고인드립 만행9.11. 트럼프 대통령 트윗의 오역, 왜곡 보도9.12. 북한 응원단 여자 화장실 취재9.13. MB에게 밥 얻어먹고 돈 받은 기자들9.14. 싱가포르 북한 공관 무단침입 추방 기레기 사건9.15. 신성일 사망 오보 사건9.16. 대구 패션센터 담당자 자살사건9.17. '명절파업' 어머니 대신 '3대 독자' 차례상 첫 도전기9.18.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성명문 조작9.19. 아시아나항공 991편 추락 사고9.20. 전략물자 불법 유출 찌라시 기사9.21. 조선일보, 조슈아 웡 윤상현에 감사 가짜뉴스9.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9.23. 채널A 기자 취재윤리 위반 사건 관련9.24. 고양 히어로즈 처우 관련 왜곡9.25. 단국대 대자보 벌금형 사건9.26. 비디오머그박상학 취재9.27. 인천국제공항공사 보안요원 정규직 전환 절차 논란 비정규직 비하 및 허위사실 베껴쓰기9.28. 권경애 관련 조선일보/중앙일보의 허위 보도9.29. 조선일보 기자 서울시청 무단침입 사건9.30. 한국경제 사내 기자상 보도 정정 헤프닝9.31. '코로나 사태 OECD 성장률 최하위 예정' 기사9.32. 한국일보 J방역 기사 보도9.33. 연예인에 대한 악의적인 기사들9.34. 박진성(시인) 집단 허위 보도 사건9.35. 혁신은 없었다9.36. 조선일보 박지선 엄마 유서 보도 사건9.37. 2021 수능 한국사 관련9.38. 코로나 방역 조치로 인한 자영업자 보상 문제 관련9.39. 독감 백신 문제에 대한 침소봉대9.40. 코로나-19 백신 문제에 대한 침소봉대9.41. 청와대 출입기자 시민 폭행사건9.42. 불가리스 요구르트가 코로나 억제에 효과?9.43. 미국 출장 중 화이자 백신 맞은 기자9.44. 세대 갈등 조장/제목 낚시 기사9.45. 러블리즈 서지수 인터뷰 내용 왜곡 조작9.46.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관련 가짜뉴스 유포9.47. 한겨레 윤석열 별장 접대 허위보도 사건9.48. 한국 언론 오보 징벌적 배상제 도입 관련 미국 국무부 대변인에게 사적 발언 요구9.49. 아프가니스탄 철수 관련 왜곡 보도9.50. 한국일보 아프간 소녀 불법촬영 사건9.51. 세계일보 기자, 조선일보 유튜브 단독 공개 사건9.52. 최훈민 기자와 조선일보 기자의 문재인 정부윾튜브 탄압 음모론 주장 사건9.53. KNN뉴스의 클럽 집단 마약 파티 남성 60명 모두 에이즈 감염 왜곡 보도9.54.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 사건 기자회견에서의 민폐9.55. 2024 파리 올림픽/문제점 및 사건 사고 관련 미확인 보도9.56. 2024년 텔레그램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건 관련 왜곡&조작 보도9.57.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카멀라 해리스 편향적 보도
10. (그 외의) 기사 목록11. 단순 오타인 경우12. 번외: 기레기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사실 아니었던 경우

1. 개요

대한민국 언론들의 비도덕적·불법적 행위들의 사례를 모아둔 문서.

2. 전형적인 기레기의 사례

I hate newspapermen.
They come into camp and pick up their camp rumors and print them as facts.
I regard them as spies, which, in truth, they are.
If I had my choice I would kill every reporter in the world,
but I am sure we would be getting reports from hell before breakfast.
나는 신문기자를 증오한다.
그들은 캠프에 들이닥쳐 소문을 주워모아 사실이랍시고 인쇄한다.
나는 그들을 첩자로 간주하고, 실제로 그게 사실이다.
할 수만 있다면 온 세상의 기자란 놈들은 모두 죽여 버리고 싶지만, 그래도 아침밥 먹기 전에 지옥에서 온 기사를 받겠지.
윌리엄 테쿰세 셔먼
기사만 읽어보면 사실인 것 같은 내용이지만, 뿌리를 파헤치면 그 모두가 근거 없는 헛소문에서 시작되었거나 '아 이렇게 했으니까 앞으로 이렇게 하겠지', '이렇게 했으니까 이렇게 대처하겠지'라고 생각하며 확정되지도 않은 일을 단정에 가깝게 못박아버린다.

당연하지만 그러한 추리(라고 하기에도 뭐한) 내용들은 굉장히 극단적으로 흘러가며 부정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논리나 증거는 하나도 없고 내용마저 부실하며 일명 '네티즌들의 반응'을 끝없이 우려먹는데, 이는 실제 네티즌들의 반응이 아니라 그냥 기자가 대충 찍는 네티즌들의 반응이다. 나오지도 않은 일을 네티즌들이 반응하는 것이다. 실제로 네티즌들은 기사에 적힌 반응 따위 하지도 않는 일이 대다수.

예를 들어, 한 남자가 살인 현장에 있었다(이 사람은 범인이 아니라는 가정 하에). 그리고 기자는 그 남자가 살인 현장에 있었으니 살인범일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쓴다. 그리고 네티즌들의 반응을 적는다. '살인이라니 무섭다', '우리 동네에서는 저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런 반응. 이는 어느 정도 초급 기레기이거나 양심이 깃털만큼이라도 남아는 있는 기레기의 경우이고, 심한 경우 제목에 용의자인데도 살인자로 못박고 체포되었다는 등 기사를 쓰는데, 내용을 보면 굉장히 애매모호하게 써서 용의자인지 살인자인지 구분도 안 가게 막아놓는 기레기도 있다.

21세기 들어 자주 쓰이는 패턴으로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으로 시작해 '한편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등으로 끝맺는 패턴이 있으며, '네티즌들의 반응'으로는(제목이 xxx일 경우) 'xxx, 놀라운 듯.' 'xxx, 놀랍지도 않아' 등이 즐겨 쓰인다. 하도 자주 나와서 이런 패턴이 나오지 않은 기사가 등장하면 네티즌들이 왜 안 나왔냐고 댓글을 남기기도 한다.

기레기들이 이런 식으로 문장을 짜맞추는 이유는 자신이 쓴 기사의 조회수를 올리기 위해서다. 조회수를 올리려면 네이버를 비롯한 큼직큼직한 검색엔진에 자주 노출되어야 하고, 그러려면 검색엔진들의 검색망에 걸릴 키워드가 기사 안에 많이 들어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레기들이 싸지르는 글들을 보면 말도 안 되는 곳에서 비문들이 튀어나온다. 기자들은 이 행위를 '우라까이(어원:うらがえす)(독음:우라가에스)'라는 은어로 부른다.

TV 연예 기사의 경우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등을 본 뒤 프로그램 내용 조금 + 기자의 감상문 등을 기사로 내기도 한다. 보통 그 프로그램의 인기에 비례하여 조회수가 많이 나타난다.

가장 흔한 케이스는 다음이나 네이버 같은 포탈 사이트에서 연예인 이름으로 검색하면 관련 기사가 검색되는 경우가 많은데, '~로 화제인 가운데 과거의 ㅁㅁ가 재조명되고 있다', '네티즌들은 "~한다", "그래도 ㅁㅁ하지 않나요?"라는 반응이다'라는 식으로 실시간 검색어에 뜨는 화제랑 전혀 관련 없는 과거 방송에서의 발언이나 섹시한 사진 같은 걸로 기사를 도배하고 내용도 천편일률이다.

일례로 '이태임 교통사고, 과거 비키니 사진 화제! 아찔!'이라며 심각한 기사조차 가십으로 삼아 문제가 되었다. 물론 연예계 기사가 흥미를 끌 만한 가십거리 위주이며, 저널리즘으로써의 전문성이나 도덕성이 부재한 건 세계 어디서나 그리고 언제나 그렇다.

검색어에 편승하여 조회수 늘리려는 꼼수도 있다. 타 직종의 어떤 사람이 검색어 순위 상위권에 뜨면 동명이인인 연예인의 SNS에서 불펌한 사진을 기사화한다. 예를 들어 자유한국당 소속의 국회의원인 신보라가 검색어에 떴는데, 뜬금없이 개그맨 신보라의 아무 사진을 올려놓고 대충 쓰고 기사화하고 올리는 식이 많다.

기본적인 맞춤법을 틀리거나, 킴 카다시안 문서에 나와있듯 기사의 주인공의 이름을 다르게 쓰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직원 워크숍에서 '환골탈'를 주문하는 훈시(訓示)를 했다"라는 기사가 오타인지 국가정책 홍보 매체에 오른 적이 있었다. 해당 부처가 보도 자료에 그렇게 적어 퍼뜨린 탓인지 알 수 없으나, 여러 신문과 방송 기사도 '환골탈'라는 틀린 표현을 그대로 적었다. 보도 자료를 그냥 베껴서 기사를 내는 게 당연하다는 듯이, 내용도 거지반 같고 오자까지 빼다 박은 그 기사들의 기자 이름은 다 달랐다.

좀 더 들어가보면, 일반인들이 헷갈리는 맞춤법으로 검색하면 기사 페이지가 수십 수백 개가 기본으로 나오기도 한다. 흔히 알고 있는 컨셉의 표준어는 콘셉트임에도 불구하고 올바로 사용하는 기자보다 틀리게 사용하는 기자들이 많은 모습을 보면 전문성이 의심된다.

간혹 사진 기사에 내용이 부실하다고 지적하는 누리꾼들이 보이는데, 이는 기사와 사진 기사가 다름을 인지하지 못하여 일어나는 일이다. 일반 기사와 달리 사진 기사(주로 포토 뉴스로 불린다)는 사진 기자들이 직접 마감하는 기사로, 사진 취재 직후 혹은 취재 중간중간 빠르게 마감하는 만큼 사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사진 기자들은 캡션이라 부른다)만을 기사에 담는 경우가 많은 것. 물론 취재 전에 미리 기사를 준비해 완성도 높은 사진 기사를 제공하는 사진 기자도 많다.

나무위키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 쓰는 경우도 있다. 이는 표절에 해당되며 이다영 문서와 이 링크(지금은 삭제)에 똑같은 내용이 있다. 이렇게 기사 내용을 적절히 분배하지 못하기도 하고, 기사와 전혀 상관 없는 인터넷 유행어로 기사 제목을 정해(현재는 삭제됨) 관심을 끄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 기사의 경우는 아예 나무위키를 그대로 배꼈는데 나무위키 특유의 각주 번호도 그대로 남아있다.[1]

사실 확인도 전혀 하지 않은 채 크림빵 아빠 뺑소니 사건에서도 용의자 부인이 경찰에 연락하니까 기레기들은 용의자 자수 → 경찰서로 동행 → 사건 조사 중 등으로 속보를 쏟아냈지만, 실제론 용의자는 자취를 감췄다가 몇 시간 후 자수했다. 즉, 기사가 아닌 소설을 썼다는 소리.

다른 사람의 아픔이나 치부를 끄집고 들춰내어 세간에 알린다든지, 당사자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쳐들어가 취재하는 경우도 있다.[2]

심지어는 불법으로 개인의 집이나 공공 기관에 도청 장치나 몰래카메라, 위치추적기 등을 장치하거나 특종을 위해 사람을 납치, 협박, 폭행, 허위기사, 사생활 폭로 등의 문제를 저지르는 경우다.

최근의 이슈에 맞추어 뜬금없이 과거의 사건을 뉴스로 적어 혼동을 주는 케이스도 있다.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이슈를 연관시키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제목에 과거의 사건이라고 명확히 밝히지 않고, 최근의 사건으로 오해하도록 적는 것은 악의적인 제목 낚시다. 예시: 동물뼈 보낸 북한...유해 넘겨받은 美·英 쇼크[3] 中 "C919 활주시험은 고장나 실패"...구명복 입고 시험비행[4]

3. 언론의 부패

어느 나라나 조직이든 그렇지만 기자도 부패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아니, 기자들은 접대를 많이 받기 때문에, 정치인처럼 부패가 심각한 직종이다. 단지 본인들이 기사로 안 낼 뿐이다.
언론사의 영업 행태는 다음과 같다.
1. 언론사는 기업들의 광고로 먹고 사므로, 기자들이 뻔뻔하게 사실이든 아니든 기업에 약점이 될 만한 내용을 미리 작성해둔다.
2. 이 내용을 가지고 기업에 찾아가 수뇌부 면담을 요구한다.
2-1. 수뇌부가 면담을 거부할 경우 경쟁사에게 유리하거나 찾아간 기업에 명시적으로 불리한 기사를 낸다.
2-2. 면담을 받아들일 경우 3번으로.
3. 불리한 내용을 기사화하지 않는 조건으로 광고 유치 요구 및 기자 개인 접대를 요구한다.
3-1. 기업에서 돈을 주면 기사 내용을 파기한다.
3-2. 돈을 주지 않거나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내용을 기사로 낸다.
그냥 부패로 영업을 하는 놈들이 기자라는 비판이다.

3.1. 권력과의 유착

3.1.1. 신탁통치 오보사건

고의적인 오보 사건이다. 오보를 만든 자를 기레기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사실을 완전히 바꿔서 반대로 전달했으며, 각국의 이미지가 단정되도록 조작했기 때문이다. 배후와 과정에서 미군정이 주도했다고 볼 여지가 있기에 권력과의 유착이라는 설도 있다

3.1.2. 삼성 장충기 문자 청탁 사건

언론인들이 삼성그룹의 장충기에게 청탁 문자를 보낸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대다수 신문사에서 이에 대해 다루지 않거나, 그저 침묵하고 있다. 그나마 이 문제에 대해 다룬 사례는 대표적으로 이런 사례이 있다. 이후 2017년부터 한국 언론 전체의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현재진행형이다.
3.1.2.1. 관련 문서

3.1.3. 삼성장학생

1996년부터 2015년까지 삼성 언론재단에서 보낸 해외 유학생. 2016년이 포함된 명단. 그러나, 대다수 신문 및 방송사에서 이에 대해 다루지 않거나 그저 침묵해버렸다. 삼성의 기레기 교배 실험.

심지어 이 명단을 보면, 정치인[5]이나 업계 거물[6]로 발전한 사례도 볼 수 있다.

3.1.4. 국민 시선 돌리기

언론사가 특정 인물이나 특정 단체를 위하여 언론을 조작하거나 왜곡, 누락, 축소, 심지어는 국민들 시선을 다른 곳을 돌리기 위해서 다른 사건을 폭로하는 등 언론의 권력으로 희생된 사람들의 절규와 언론 권력과 결탁하여 부당한 이익을 챙기거나, 가벼운 처벌을 받는 언론의 뒷면의 안 좋은 면이다. 언론을 이용한 이슈 은폐 참조.

다만 이쪽은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 단순히 '내 생각엔 A를 묻으려고 B를 터트린 것 같다'는 식의 단순한 음모론을 남발하는 것은 금물이다. 정 주장을 하고 싶다면 철저하게 사실관계를 조사한 뒤 근거를 제시하며 의혹을 제기하도록 하자. 다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조사하면서 공적 기관이 이러한 행동 지침을 내린 것이 실제로 확인되었기에 현재에도 갑자기 특정 이슈를 묻으려는것처럼 대중의 시선을 돌릴만한 기사가 와르르 뜨면 많은 사람들이 의심을 하고 있다.[7]

3.1.5. 정부 기관과의 유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근혜 정부/노동개혁 문서
7.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권력자에게 아부

2022년 8월 8일 윤석열 대통령의 도어스테핑 도중 한 여성 기자[8]가 "대통령님, 파이팅!"이라고 외치는 장면이 포착됐다. 윤 대통령은 웃으며 해당 기자를 향해 손짓했다. 영상

이에 대해 영국 출신 외신 기자 라파엘 라시드는 “기자단의 일부 기자들이 치어리더처럼 그의 발밑에서 굽신대는 모습이 너무 오글거린다”며 비판했다. 온라인에서는 권력 견제와 감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기자의 뜬금없는 응원이 보기 불편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 # #

진중권도 "그게 기자가 할 짓이냐. 창피한 줄 알라"고 꾸짖었다. #

3.2. 접대 요구, 협박, 의도적 사실 왜곡

차범근 같은 경우 80년대 독일까지 온 기레기들이 양주를 대접하라, 밥 사라 이래서 내쫓았더니만 기사로 오만하다느니 악 쓰고 왜곡하는 글이나 써서 마음고생이 심했다고 한다. 덕분에 차두리도 어릴 적부터 기자들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아서 똑같이 당했다. 김병현이 기레기들의 왜곡으로 고생할 때 차두리가 싸이월드에 "힘내세요. 기자들이 워낙 엉터리로 글을 쓰는 걸 어릴 적부터 봐서 압니다"라고 쓰던 것도 유명한 일이고, 이에 욕설을 달던 이도 바로 그 문제의 신문사 기자였다. 김병현차두리 문서 참조.

기업에 광고를 강매하며 갑질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1, 2, 3(나는 오늘도 기자와 협상한다, 딴지일보)

고종수도 만나자마자 거만 떨고 반말 까는 기자에게 "저 아세요? 반말하시게" 한 마디 했다고 1면 기사로 '반말하지 마라, 욕을 했다느니' 이런 투로 썼다. 추성훈거스 히딩크도 이런 기레기 덕에 1면으로 굉장히 부정적인 왜곡을 덧붙여서 소설 쓰며 보도해 마음고생을 했던 것도 유명하다.

2015년에는 이시영이 루머에 시달렸을 때, 이시영의 루머를 퍼트린 기자가 구속기소를 당했다. 악의를 갖고 그랬다면 정말이지 인간 쓰레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악의가 아니라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2017년 문재인 정부의 방중 기간 동안의 행보에 대해 다룬 기사들의 경우, 문재인의 방중에 대해 중국 언론에서 관심조차 없다는 보도가 쏟아졌으며, 심지어 JTBC 같은 방송에서도 이에 대한 언급이 있었으나, 당연히 중국 언론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행보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여왔다. 중국 현지에 조금만 관심을 보이고 하다못해 인터넷으로 검색만 해봐도 나올 정보들을 확인도 안 하고 그냥 기자들만의 생각으로 기사를 보도한 수준. 더욱이 문재인 혼밥, 박근혜 정권 때와 180도 다르다?(아카이브) 라는 기사의 경우, 그저 대부분의 신문사 기사들과 다른 관점에서 과거에는 어떠하였는가에 대해 정리를 하였음에도 '언론사의 요청으로 삭제된 기사' 라고 뜨는 것으로 보아, 이제는 자기들끼리 사건을 바라보는 기자들의 주류적인 관점과 살짝 다르다는 이유로 마음에 안 든다고 비주류 관점으로 쓰여진 기사에 클레임을 걸어서 강제로 내리게 하는 정신 나간 짓까지 벌이는 듯 하다. 허구헌 날 언론의 자유 타령해 대는 놈들이 정작 자기들과 관점이 다르다는 이유로 핍박질이라니 그야말로 내로남불이 따로 없다. "中 전문가 인터뷰, 홀대론 반박했더니 통편집 당했다". 인터뷰에서 자기네들 논조랑 다르게 말했다고 아예 대놓고 자기들 입맛대로 통편집해대는 건 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때는 소방관들을 물어뜯는 저질 기사들을 마구잡이로 써갈긴 덕분에 이런 안쓰러운 내용의 기사까지 나오게 되며, 네티즌들이 이에 "기레기들아 이 꼴을 보니 이제 좀 속이 시원하냐" 는 격한 반응을 보이는 데에 이어, 심지어 비영리단체인 119소방안전복지사업단에서조차 대놓고 MBC 보도를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비판하는 등 기레기라는 멸칭으로 불리는 기자들의 행태에 대한 논란과 불만이 터져나오는 중.

기자는 사실에 입각한 보도를 우선으로 삼아야 한다. 욕을 많이 먹는 기자 직업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언론사의 이해관계 혹은 높으신 분들의 개입, 혹은 보도 대상에 대한 편견 때문에 사실을 교묘하게 왜곡 보도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기자의 사견이 일반인의 의견이 되고 일부의 의견이 대중적인 의견이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각종 왜곡 행태를 드라마화해 꼬집은 것이 드라마 "피노키오"로, 여주의 엄마인 송차옥은 특종을 위해 사실을 왜곡하거나 일부러 자극적인 기사로 특종을 잡아 많은 피해자를 양성하였고, 이후 재벌인 김혜선과 짜고 의도적으로 기사를 왜곡까지 해서 보도하는 등 언론인으로써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한다. 더 슬픈 것은 현실에서도 송차옥 같은 악역보다 더한 기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잘못된 기사로 사실을 왜곡해 피해자가 생겨도 제대로 사과하지 않거나, 그나마 하는 정정보도도 신문에 조그마하게 올린 것이 전부다.

상당수의 기사를 보면 이게 칼럼인지 기사인지 헷갈릴 수준. 객관성은 밥 말아먹고 기사를 낙서장처럼 자기 주장으로 채우는 기자들이 난무한다. 심지어 통계나 숫자 데이터도 악의적으로 조작해 자극적인 비판 논리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언론 매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이며, 그 파급력을 생각한다면 이래서는 안 되지만 그럼에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문제. 심지어는 정치의 로 타락해 성향이 맞지 않은 언론 매체들끼리 기사 배틀을 벌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최장집 사건이나 아이티 지진 구조대 보도 논란 등을 봐도, 기자가 마음 먹고 왜곡하려고 작정한다면 여러 사람 속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문제 삼아서 정부 등에서 제재하면 국민의 권리인 '알 권리' 를 침해한다며 득달같이 덤벼들어 국가 기관 입장에선 여러 모로 피곤하다. 진실을 알 권리지 거짓과 왜곡을 알 권리는 아닐 텐데 말이다. 어떤 기관 같은 경우라면 말할 필요도 없다. 까놓고 얘기해서 다른 국가 기관 입장에서도 얘들은 별로 도움이 되는 존재가 아니다. 어쩌다 도움이 되면 기자들이 자화자찬 기사 쓰는 건 괜히 쓰는 게 아니다. 평소에 안되니까.

사실을 확인하고 그 사실을 분석, 해석해서 자기 언론사나 기자 자신의 세계관을 담아 주장을 해야 함에도 사실 확인, 서술 단계에서부터 왜곡, 짜집기를 당연시하는 태도가 만연해있다. 특히 정파적인 기사의 경우 자기 진영에 이롭게 기사를 작성하는 게 거의 당연시된 상황. 독재 시절과 비교하면 사상의 백화제방이라 할 수 있지만, 특정 정당/정파의 선정적인 찌라시 이상의 역할을 못하는 형편.

사실 말단 기자가 있는 그대로 기사를 작성해도 데스크(부장, 편집장)에서 마음대로 고쳐버릴 수 있다.[9] 아 다르고 어 다른 게 한국어인데, 교묘하게 단어나 조사 변경만으로도 얼마든지 전혀 다른 내용으로 바꿀 수 있다. 기사 제목을 바꿔버리는 건 기본이다. 취재 기자만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려운 일이다.

즉 기자는 사실에 입각해서 제대로 써도 상관이 고쳐버리면 그만이고, 기사를 쓴 사람의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니 애먼 기자만 욕을 먹고 마는 것. 기자가 내용을 왜곡했다고 비판하는 기사.

유명인사 중에서 특히 일부 배우, 가수, 정치인 등을 대상으로 오보를 날리거나, 근거 없는 날조적 기사로 인해서 명예훼손을 하였던 사례가 있는 편이라, 이로 인해서 소속 기획사나 정당 등으로부터 명예훼손 및 허위기사로 인한 정신적 배상의 대상으로 찍히기도 한다. 일반인들에 비해서 이들 유명인사들은 자존심이 강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소속사나 정당 등 소속 집단에서 이를 지원해주고 있는 편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근거 없는 소문으로 인한 오보나 날조기사 등이 올려지면 개인은 물론 소속 기획사나 정당 본사 및 본부 명의로 해당 기자와 언론사에 대한 명예훼손 및 정신적 배상청구 대상으로 오르기도 한다. 일부 기자들은 "자신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통해서 기사를 썼다"고 하거나, "사실을 숨기고 있는 것 같아서 사실대로 국민들에게 알렸을 뿐"이라며 반박하는 경우도 있다.

그나마 근거가 있는 비난이라면 모를까[10] 한국에서는 특정인이 도마에 오르면 이미 오보나 과대포장, 날조 등이 횡행하며 한 번 기사로 나간 뒤로는 결코 뒷수습 따윈 하지 않는다. 특히 그 대상이 공권력이나 재력이 받쳐주지 못하는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설사 확실한 오보라고 해도 절대로 오보 수정 기사 따위 내지 않으며, 잘못된 기사로 그 대상이 아무리 이미지가 망가지고 피해를 받아도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정도 수준까지 오면 이미 단순한 날조 따위가 아닌 언론을 권력으로 삼아 힘 없는 이에게 제멋대로 휘두르는 횡포나 다름없다.

반대로 언론이 진정으로 공격해야 할, 흔히 말하는 높으신 분들은 언론이 그들에 의하여 좌지우지 받을 만큼 자유도가 낮다. 그렇기 때문에 비판이나 객관적 사실이 언급되는 것은 큰 이슈가 되지 않는 한 금방 묻히게 된다. 그러다가 이슈가 커지게 되면 있는 말 없는 말이 다 나오고 그제서야 몇날 며칠을 언급하다가 갑자기 사라진다. 역으로 그 높으신 분의 푸쉬로 업적이나 행보를 크게 부풀리거나 찬양받아 마땅하다며 인터넷 기사가 쏟아져 나오기도 한다.

정치인 뿐만 아니라 범죄 등으로 활동을 자제해야 할 연예인들도 검색어 한 번 떴다 하면 어느샌가 동정적이 되고 좋은 일면만이 나오게 되고, 어느샌가 다시 활동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이런 부분은 외국의 경우에도 비슷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포털 사이트와 같이 손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검색어 1위가 나오기도 한다.

4. 사고 피해자를 배려하지 않는 취재 및 가십성 기사 양산

재난 발생 시, 보통 사람이 갑자기 언론의 주목을 받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충격을 받은 상태로 슬픔에 잠겨 있거나 사랑하는 사람이 무사한지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갑자기 카메라와 마이크, 녹음기가 들이닥친다. 한편 기자들은 일반 국민들에게 비극적인 사건을 전해줄 책임이 있다. 힘든 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진실을 전달하는 일—어떻게 하면 균형을 잘 잡을 수 있을까?

다음은 희생자와 생존자들에게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미디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질문이나 촬영을 하기 전에 먼저 자신이 누구인지를 침착하면서도 분명하게 밝힘.

▶희생자 개개인을 존중하는 태도로 대함. 기자들은 현명하게 행동해야 함. 주변 상황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동시에 소극적으로 행동해서도 안 됨.

▶“기분이 어떠십니까?” 혹은 “어떤 기분이신지 이해합니다”와 같은 말을 해서는 안 됨. 자신이 누구인지를 소개한 후에 “이런 사고를 당하게 되셔서 유감입니다” 혹은 “힘든 일을 겪고 계신 것을 보니 유감입니다”라고 운을 떼는 것이 가장 최선의 대화법임.

▶희생자나 생존자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풀어놓을 수 있도록 단답형이 아닌 질문들을 할 것. “언제 이 상황을 알게 되셨습니까? 현재까지 누구와 이야기를 나누셨습니까?” 비행기 사고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를 취재하는 경우에는 “후안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말씀해주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적절한 대화법이 될 것임. 그리고 생존자들에게 자신들이 보고 들은 것을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할 것. 이런 질문은 판단을 요하는 질문이 아니지만 답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함.

▶이런 상황에서는 사람들의 반응이 각기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할 것. 어떤 사람들은 이야기하기를 꺼리는가 하면 또 다른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면서 위안을 찾기도 함.

▶인터뷰를 하지 않겠다고 거부 의사를 표현하거나 정보를 얻어내려는 언론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 즉시 한 발 뒤로 물러설 것. 감사하다는 인사를 하고 물러남. 다만 일부 언론인들은 명함을 건네면서 “나중에 이야기하고 싶어지시면 연락을 주십시오”라고 추후 연락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함.

▶희생자들에게 주도권을 줄 것. 인터뷰 동안 앉아 있는 것이 편한지 서 있는 것이 편한지를 물어보거나 사고가 발생한 현장을 벗어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싶은지 등을 물어봐야 함. 또 “누구를 대신해 이야기 하고 싶으십니까?”와 같은 질문을 던지는 등 희생자에게 우호적인 제스처를 보여줄 필요가 있음.
<취재 기자를 위한 재난보도 매뉴얼>(데보라 포터, 셰리 릭카르디 저) 105페이지. 그러나 한국 언론 취재에서 이것이 지켜지는 사례는 거의 없다.
이 문서에 대표적인 예시로 소개되어 있는 나주 초등생 성폭행 사건,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강릉 펜션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를 제외하더라도, 인명사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를 배려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 문제는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자식의 사망 소식을 들은 유족들의 표정을 찍으려고 카메라를 들이대는 기자들의 모습이 사진으로 알려지면서 처음으로 공론화되었다. 당시 언론노조 등이 자성의 뜻을 담은 성명을 냈지만, 인터넷 매체는 물론이고 심지어 메이저 언론사라는 곳에서도 이런 만행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강릉 펜션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 당시에는 이른바 10대 일간지라고 불리는 신문사 기자들이 희생자들이 다니던 고등학교 일대에 찾아가 학생들에게 희생자들을 아느냐, 기분이 어떠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사건 당시에는 해당 학교 근처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기레기 리스트'라고 불리는 기자 명단이 돌아다니기도 했다.

연예인이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 'XX, 안타까운 선택... 한편 절친 XX의 반응은?'이라는 기사가 쏟아지기도 하고, 해당 연예인의 가십거리를 찾아내 재조명이라는 명목으로 기사화하기도 한다. f(x)의 전 멤버 설리가 생을 마감했을 때는 기자가 장례식장을 알리지 말아달라는 유족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사화했다가 실시간 검색어에 오를 정도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심지어 이렇게 알려진 장례식장까지 따라가 카메라를 들고 서 있는 기자들이 있었다고 한다.

5. 알 권리 남용과 부적절한 관습

5.1. 알 권리 만능론

여기에서의 국민의 알 권리정말로 중요하기에 언론에 대한 탄압을 하면 몰매 맞는 게 정상이지만, 언론 자체가 썩어서 그것을 견제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가. 썩은 언론을 청소하는 경우 그 언론들이 자기들 목숨(이나 권력)을 구하기 위해서 왜곡 보도를 해서 그런 정책을 펴는 정부를 대 악당으로 만들어 버리는 건 일도 아니다.

거기서 항상 이용하는 것이 바로 이 '알 권리'. 문제는 서로가 이런 식으로 '알 권리' vs '부패 언론 타파' 같은 주장을 하면서 맞설 경우 어느 쪽이 맞는 말을 하고 있는지 알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각종 매체에서든지 비상 사태에서는 '알 권리'를 내세워서 특종이나 잡으려는 발목 잡는 존재로 비춰지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11] 드라마에선 주연이나 조연이 아니면 그냥 저글링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특히 알 권리가 하도 안 좋은 방향으로 남용되다보니 이제 기자가 쓰는 알 권리라는 단어는 국민들의 알 권리가 아니라 '내가 특종 잡겠다는데 니들이 왜 방해하느냐' 또는 '내가 국민에게 려줄 권리'는 호통 정도로 여겨지게 되었다.

예시로 세월호 사건에서 온갖 추태들과 만행들을 보여준 것은 물론, 피해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대 안산병원 측이 기자들을 피해서 피해자들을 후문으로 데려가자(참조) '알 권리 외면한 고대 안산병원, 생존자 후문으로 몰래 입원시켜'라는 기사 제목으로 언론을 기만했다고 비판하고는 안산병원 측에 항의했다가, 당연하게도 분노한 사람들에게 온갖 욕을 먹자 기사를 급히 삭제했다.

특히 알 권리 만능론을 내세워 불법적으로 특정인의 집과 차 아니면 공공기관에 불법 도청 장치, 몰래카메라, 위치 추적기를 설치하거나 뇌물, 협박, 납치 등으로 당사자나 관련인들을 괴롭히는 등, 당장 구속되어도 할 말 없는 범죄를 저지르고 "국민이 원한다"라는 논리로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추태를 벌이기도 하나, 법원에서는 당연히 이러한 행위에 모두 실형을 선고했다.

그러니까 국민의 알 권리는 당연한 거지만, 기자들의 입맛에 맞게 또는 언론사의 입맛에 맞게 왜곡되고 변형된 알 권리가 아닌 순수하고 올바른 사실을 알 권리를 원하는 것이다.

5.1.1. 실제 사례

1960년 서울역 압사 사고가 있었는데 한 기자[12]가 우연히 그걸 보고 자신만이 특종을 잡기 위해 기차역 직원들에게 '(다른 기자들이 오기 전에) 부상자들과 시체를 치우라' 고 했다. 소식을 들은 다른 기자들이 달려왔을 땐 이미 텅 빈 상태. 다른 기자들이 특종을 잡은 기자에게 사고가 없었냐고 하니깐 모르는 척 잡아뗐다고 한다. 후일 그 기자는 "기자는 특종 앞에서는 피도 눈물도 없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는데도 특종을 했다는 생각에 기쁨이 한량이 없었다" 라고 했다고 한다. '한국언론 100대 특종'이라는 책에 실려있는 이야기로 특종을 취재하기 위해서라면 윤리고 뭐고 무시하는, 정말 비윤리와 이기주의의 극치이고 인간 쓰레기 같은 말이다.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초기에는 구조 현장에 있는 인원의 거의 1/3을 차지하고는 구조 되는 사람을 찍으려고 각 신문, 방송사의 취재 요원들이 하도 백화점 이곳저곳을 달려들다보니 참다 못한 구조대원들이 "사람 구하잖아요. 방해하지 말고 좀 비켜요!"라고까지 말한 사건이 있다. 이게 또 뉴스까지 타서 엄청 욕 먹었다.[13]

2014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 때도 기레기들의 행태는 여전했는데, 당시 YTN의 피해 대학생 전화 인터뷰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 약 1천 명 정도 피해 장소에 있었으며 100~250명 정도 붕괴된 지붕에 깔렸다고 설명했다. 이 와중에 YTN은 인터뷰를 하며 "무너지는 걸 봤나요?", "들려가는 구조자가 피를 흘리는 모습을 직접 봤나요?" 등 자극적인 질문을 해 네티즌들에게 비난을 받았다. 피해 학생이 자기 등 쪽으로 건물이 내려앉는 것을 느낄 정도로 위험천만한 상황에서 살아남았기에 대답을 제대로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스튜디오에서는 대답을 거의 강요했다. 트라우마를 직접적으로 자극한 것. 거기에다가 소방대응처리팀 팀장을 전화 연결하여 작업을 방해하는 일까지 저지르고 피해 학부모에게까지 전화 인터뷰를 시도했다.[14] 거기에다가 구조 작업에 투입된 육군 50사단 대대장을 전화 연결하여 사건 처리에 관한 이런저런 내용들을 질문했는데, 대대장으로서는 답하기 곤란한 질문들까지도 계속해서 질문했다. 거기다가 한 중학생을 연결했는데, 그 중학생이 인터뷰 도중에 웃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청자들의 반응은 "말을 얼버무리다가 습관적으로 나온 헛웃음이다"와 "생각 없는 사람"이라고 나뉘는 중이다. 이 외에도 사고 발생 후 숙소에 있던 부산외대 학생의 방으로 찾아가 무작정 인터뷰 시도를 하기도 했다. YTN 뿐만 아니라 인터넷 언론사들 역시 자극적인 기사 제목과 내용으로 인해 많은 논란이 되었다. 무너진 천장에 깔린 학생의 모습을 모자이크 처리도 없이 기사를 게재했으며, 그 제목은 '살려주세요'였다. 이후 네티즌들의 항의로 기사는 내려갔다. 또한 기자들의 차량이 진입로를 막고 있어 구조 활동이 늦어졌다고 한다. #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때는 기레기를 넘어 아예 사회인으로서의 자격이 있는지 의심이 들 정도로 피해자들에게 만행을 저질렀다. 하나부터 열까지 언론들에 대한 실망감을 안겨준 대한민국 언론사 최악의 사건. 이 사건으로 인해 "기레기"라는 단어를 부각시키는데 일조했으며, 언론에 대한 신뢰도가 심각하게 추락하게 되어 대한민국 언론 역사를 논하는 데 절대 빠지지 않게 된 사건이다.[15]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게다가 똑같은 승부조작이 맞는데도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을 다루는 기사에서는 승부조작이라고 제대로 지칭을 했지만, 반대로 2012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을 다루는 기사에서 "경기조작", 심지어는 승부설계로 지칭하는 편향된 인식을 드러낸 경우가 있었는데, 이 단어에는 경기 자체를 조작하는 건 범죄가 아니라는 뉘앙스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범죄인 게 빼도박도 못하는 사실이며, 이 단어를 사용한 언론들은 엄청난 비난과 조롱을 받았으며, 야구 팬들도 승부조작인 주제에 쓸데없는 실드로 욕을 처먹는다며 경기조작이란 단어를 까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이 표현을 사용한 기레기는 당연히 욕을 바가지로 처먹었다.

나영석-정유미 가짜 뉴스 사건의 경우에도 소문을 기사로 때리려고 했더니, 알고 보니 장난으로 만든 소문이었음이 밝혀졌다. 즉, 사실관계 파악이 안되는 소문을 그냥 기사로 때리려 한 것이다.

토토가2 - 젝스키스 역시 헤럴드 POP 모 기자의 스포일러로 인해 방송 계획이 전면 수정되었다. 이 기자는 자기가 스포일러를 터뜨려놓고서 '무도 스포일러로 게릴라 콘서트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 뻔뻔함의 극치를 선보였으며, 같은 언론사 소속인 다른 기자는 스포일러 이유가 이재진 때문이며 남탓을 시전하면서 불난 집에 기름을 부었다.

이러다 보니 뭐가 알 권리고 뭐가 특종이나 잡으려고 날뛰는 건지 알 수가 없게 되어버렸다. 뭐 알 권리고 나발이고 적당한 로비만 꾸준히 들어가면 반드시 써야만 할 기사거리라도 안 써주는 일 따위는 흔하다. 수많은 대기업은 광고를 빌미로, 정치권은 자신들의 권력을 당근으로 던져 불리한 기사를 막아왔고, 심지어 그게 당연하다고 인식하는 말도 안되는 단계에까지 와있다.[16] 즉, 진짜로 알 권리를 존중해야 할 때는 오리발을 내밀면서 자신들의 입맛에 맞을 때만 알 권리를 찾는다. 낮아지는 기자의 위치는 이런 그릇된 언론의 행태로 인해 생겨난 언론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확산됨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다.

TV조선 기자 느릅나무 출판사 절도사건에서 알 권리와 공익을 운운하며 현직 기자가 무단 침입 + 절도라는 범죄 행위까지 저질렀었다.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귀국 후 2주간 시설격리 중이던 우한 교민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한 연합뉴스 기자가 불법촬영하는 일이 있었다. 평상복을 입고 집에서처럼 활동하던 이들을 불법촬영한 엄연한 사생활 침해임에도 불구하고 연합뉴스는 이에 대한 항의를 “당사자이신가요”라며 무시하였다.

5.2. 무례함으로 변질된 알 권리

'현장직' 기자들의 특종 욕심과 다른 한 편에서 예전부터 한국에서 비판을 받아온 것은 기자들의 '무례함'이다. 실제 정부 고위 기관이나 청와대, 법원, 검찰청 출입기자들은 기자들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격에 속하며 그 위세 또한 당당한데, 가리지 않고 달려드는 하이에나적인 기자들의 면과는 또 반대편에서 지탄받는 것이 이들 '권력 있는 기자'들의 태도이다. 굳이 멀리 안 가도 무슨 무슨 현장에서 근무 서던 경비병력 중 눈치껏 하나 만만한 거 잡고 제재받고 난 다음 따귀부터 한 대 후리고 나서 '나 기자인데 니가 뭔데 나 갈 길을 막냐?'면서 소리치는 인간들도 있다.

더구나 공공시설인 행정기관 휴게실을 지들 휴식처로 쓰며, 거기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에게 일부러 시비를 걸어 돈을 요구하거나, 이에 화를 내는 공무원을 찍어 기사로 쓰는 기자도 많으며, 알 권리 핑계로 엄연히 법원이나 당사자들에게 허락을 받아야 할 기밀 문서를 멋대로 들어와 열람하는 등 대놓고 위법 행위를 하여 체포되는 기자들도 있다.

그 밖에 연예부 기자들의 사생활 침해와 무례는 도를 넘어서 인권침해의 영역에 오른지 오래인데, 일례로 2012년 7월 가수 호란의 전화번호를 불법촬영한 뒤 "이미 찍은 걸 어쩌라고?"라며 반말로 대응하는 무례한 짓을 저질러 당사자를 분노하게 하기도 했다. 개인의 전화번호 불법촬영은 언론의 자유 운운하기 이전에 엄연한 사생활 침해로 범죄에 해당하는 행위다. 기자랍시고 언론사 빽으로 틀어막고 있을 뿐 피해자가 고발하면 유죄 확정이다.

6. 사실관계 왜곡 및 조작

KNN 기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변조해 마치 익명의 시민과 인터뷰한 것처럼 기사를 올린 것이 적발되어 징계를 받았다.

또한 2019년 들어 기자들이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등에 본인이 성명문을 올리고 그것을 토대로 기사를 쓰는 조작 행동을 벌여 논란이 되었다.

엄밀한 의미에서 직접적인 사실관계의 왜곡이나 조작은 아니지만 정치 이슈에서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수가 많은 커뮤니티 혹은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인 커뮤니티에 그 정당을 무조건 두둔하는 듯한 글이 몇 건 올라오면 마치 그 글들이 커뮤니티 전체 혹은 그 정당 지지자들의 대체적 여론인 것 처럼 기사를 쓰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950112
https://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3635.html
이때 주의할 점은 어떤 커뮤니티인지 알 경우 실제 들어가서 과연 그렇게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여론이 얼마나 되는지 팩트체크를 해버릴 우려가 있기에 어떤 커뮤니티인지 등에 대해서는 기사를 읽고 알아 차릴 수 없도록 해야 한다.

비슷한 예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의 커뮤니티 중 보수적 성향을 띄는 스누라이프에 문재인 정부에 비판적인 글이 올라 왔을 때 이 글을 인용하며 서울대학교 재학생들의 대체적인 여론인 것 처럼 호도하는 것도 하나의 사례에 포함된다. # 이때 중요한것은 '스누라이프'가 보수성향의 서울대 재학생 커뮤니티라는 것을 알아 차리면 '당연히 보수 커뮤니티에서는 문재인 정부에 부정적인 의견이 올리오지 않겠느냐?'라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으므로 절대로 어떤 성향의 커뮤니티 인지는 기사를 읽고 알아 차릴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보수 커뮤니티'라는 것을 의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해당 글에 신뢰성이 없다는 것 처럼 만들 수도 있다.)

정소림 캐스터의 아들을 게임 중독자로 매도했다.

마이데일리 이석희는 김태형 감독이 하지도 않은 말을 제목으로 썼다.관련기사

7. 직권 남용

자기네들에게 대들거나 맘에 안 드는 사항이 있으면 기사로 조져버리는 일이 있다. 특정 업체가 자사에 광고를 해주지 않는 경우나, 어떤 단체가 자기들에게 협조를 해주지 않을 경우 일부러 그쪽에 대한 악의적인 기사를 잔뜩 올려서 피해를 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감히 우리를 건드려? 한 번 죽어봐라" 식이다. 기자 개인적인 원한을 가지고도 해당 업체 전체를 공격하는 기사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편집부 높으신 분의 지시에 따라서 "까는" 기사를 쓰는 경우가 많다.[17] 요즘에는 그런 안 좋은 기사 같은 경우엔 아예 기자 이름 빼고 '편집팀' 'XX부' 이런 식으로 누가 썼는지도 모르게 기사를 써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언론의 권력을 악용하는 아주 나쁜 사례 되겠다. 게다가 그 칼이 진짜 휘둘러 지자 펜은 찍 소리 못하고 칼이 원하는 대로 했다.

한 사례로 2010년경 모 일보의 스포츠 부장이라는 사람이 사설이랍시고 징징거리는 글을 써놨는데, 내용은 자기 딸이 친구들과 대공원에 갔다가 일진들에게 삥을 뜯겼는데, 딸 일행이 신고한다고 경찰서인 줄 착각하고 그 근방에 있는 교통정보센터에 들어갔다고 한다. 직원은 당연히 주변의 경찰서에 가보라고 했고, 딸은 그 사실을 아버지(기자)에게 이야기했다. 그 기자는 크게 분노하여 사설을 썼고, 기사가 나고 며칠 뒤 그 담당 직원은 해고되었다. 그런 인물이 스포츠 부장에까지 오른 것도 신기하지만, 원래 쓰레기 같은 기사를 잘 내기로 유명한 인물이라 별로 신경 쓰는 사람도 없었다.

8. 타락한 저널리즘


8.1. 기사 거래


하다하다 끝내 기사를 거래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문제는 이게 언론사와 기자가 특정 인물이나 집단에게서 돈을 받고 기사를 써주고 이를 여론, 국민의 의견으로 왜곡하는 짓거리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기사의 내용 등은 기사를 요구하는 고객의 입맛이 철저하게 반영된다.

대표 사례는 박수환 문서 참조.

9. 해당 기사 및 사건

9.1. 개별 문서가 있는 사건들

사례를 더 많이 보고 싶다면 아래 사례 외에도 주요 언론사 문서의 '비판' 또는 '사건사고' 등의 관련 문서도 참조하자. 아래는 지면 관계 및 인지도 상 사례 중 일부만 기제되어 있는 것이다.

9.2. 노건호·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 허위기사 논란

전직 <중앙일보> 기자가 10년 전 기자 생활 당시 보도한 '노건호, 미국 유학 중 월세 3600달러 고급주택가서 살아'(<중앙일보> 2009년 4월 10일 자)와 '정부 "용산 유족에 위로금 주겠다"'(<중앙일보> 2009년 3월 16일 자)에 대해 일종의 '프레임 보도'였다고 고백하며 사과하였다. (서울신문)중앙일보 전직기자 양심고백 파문…노건호·용산참사 허위기사 논란 이에 중앙일보 관계자는 “회사 명예가 훼손될 소지가 있지만 법적 대응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 이후 중앙일보는 해당 기사들은 이 전 기자가 먼저 취재해 보고한 내용을 그대로 반영한 것들이며 데스크의 사주나 지시로 작성된 것들이 아니며 회사 데스크의 사주를 받았다는 것은 사실 무근이라고 반론했다.

9.3. 제주퀴어축제 사건

제주퀴어축제에서 한 남성이 퍼레이드 차량 밑에 있는 사진과 함께 '퀴어 반대 측 시민이 폭행당하고 차량에 깔렸다' 라거나 '퀴어차량이 반대 시민을 깔아뭉갰다' 라는 기사들이 급속도로 퍼져나갔었다. # # # # # # #

그러나, 제주경제신문에서 반대 측 도민이 스스로 차량 밑으로 들어가는 걸 촬영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림으로서 가짜뉴스인 게 밝혀졌으며,# 해당 기사에서 차량에 들어간 도민은 유튜브 공개 이후 당일 퇴원해버렸다.

이는 전후 상황에 대한 객관적 파악을 하기 위한 노력이 부재했다는 점, 퀴어 측과 퀴어 반대 측, 경찰 측을 취재하는 교차 검증조차 없이 사진 한 장과 퀴어 반대 측의 일방적인 현장 증언만을 토대로 뉴스를 생산하였다는 것이 가짜뉴스 생산의 원인이였으나, 사과도 없이 넘어가버렸다.(제주경제신문이 촬영한 영상이 없었으면 이런 가짜뉴스가 지금까지도 기정사실화 되어버렸을 것이다.)

9.4. 빨간 마후라 사건

1997년 빨간 마후라 비디오 사건의 여주인공 소녀가 윤락업체 단속 과정 중 경찰에 입건되자, 미성년자인 데다 엄연한 피해자인 소녀를 보호하기는커녕 각 신문사에 대서특필을 한 것으로도 모자라 소녀의 집까지 우르르 쳐들어가서 인터뷰하겠다고 문을 두들겨댔다. 해당 기사를 읽다 보면 이들에게 인간성이 남아있긴 하는지 의문스러울 것이다. 만약 기자 정신이 있었다면 성폭행 가해자들과 영상을 유출한 자들에 먼저 주목했을 것이다.

9.5.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테러 자작극

2012년 6월 말, 초딩람보르기니를 박살냈다는 내용의 뉴스가 인터넷에 떠오르며 갑작스럽게 이슈가 되었다. 아카이브. 그 내용에 수많은 네티즌이 경악했으나... 모든 것은 기자들의 날조였다. 차주는 원만한 합의를 원했으나 가해 아동 측에서 비협조적으로 나와 결국 억대 손해배상을 했다 카더라[19] 식의 기사들은 모두 거짓이었던 것. 소화기 분말은 세차 후 말끔히 세척되었고. 본래 랩핑이 된 차량이라 랩핑에 손상을 입는 정도로 그쳤다고 한다. 애초에 본넷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소화기 분말 뿌렸다고 차가 고장나면 그건 차를 잘못 만든 거다.[20]정작 차주와 아이들의 부모는 트러블 없이 원만하게 해결했다고 한다. 게다가 그 동네는 잘 사는 사람들이 사는 동네였는데, 그 아이들 집안들도 잘 사는 쪽에 속한 데다 1/n씩 냈기 때문에 큰 무리 없이 물어냈다고 한다.

9.6. 앵거스 디턴 VS 토마 피케티 프레임 덮씌우기

국내 언론들에서는 디턴과 피케티가 대립한다고 주장하며 디턴 교수가 ‘불평등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라고 주장한 것에 주목해 ‘세습된 부가 빈부격차를 심화시킨다’고 주장하는 프랑스 경제학자 피케티와 대비시켜 보도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경제"불평등이 성장의 발판"…'위대한 탈출'은 피케티 허구 드러낸 역작, 매일경제, 중앙일보. 조선비즈가 이렇게 했다.

그러나 이는 국내 언론들의 우물 안 개구리식 논조일뿐이다. 정작 해외는 오히려 디턴과 피케티는 보완으로 평하거나 다른 연구를 지적했다. 이에 전문가들도 해외의 피케티, 디턴에 대한 보완적이라는 평가에 대해 동의했다. (출처) 출처2

9.7. 승부조작 가담

좀 다른 이유지만 기자가 아예 범죄를 저지른 사례도 있는데, 전직 프로게이머 출신이자 e스포츠 해설위원, 기자로 활동했던 성준모는 기자 시절에도 낚시성 기사로 팬들에게 비판을 받았던 것은 물론, 결정적으로 2015년 스타크래프트 2 승부조작 사건의 브로커로 붙잡히며 e스포츠 전체의 흑역사가 되면서 또 다른 의미로서의 기레기로 남게 되었다.

9.8. 불법 침입

2016년 1월 어떤 식당을 찾는답시고 주인 허락도, 수사 권한이 있는 공무원 동행도 없이 남의 식당 창고에 몰래 들어가 자재를 뒤져대고 주방을 몰래 촬영하는 행태가 자랑스럽게 방송되고 있다.

9.9. 국제적 행패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백악관에서의 취재에서 한국 기레기들의 행패로 소파가 망가지고 전등이 쓰러지는 등의 난동벌인 결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빡치게 만드는 위업을 세웠다. 한국 언론에서는 이걸 취재 열기라는 말로 양념까지 했다.

만약 미국 기자들이 청와대에 와서 온갖 행패를 부리고 간다면 문재인 대통령과 관계자들 기분은 좋을까? 여기나 저기나 똑같다.

9.10. 박지성 모친상 고인드립 만행

前 축구선수 現 대한민국 축구협회 유스전략본부장인 박지성의 모친 장명자가 영국에서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한 사건을 가지고 인터넷 찌라시로 유명한 푸른한국닷컴의 박영우라는 기자가 '박지성 모친상, 하늘로 오르는 태몽 꿈 모친 하늘로 승천(昇天)'이라는 가히 고인드립이라고밖에는 말할 수 없는 기사를 써서 국민적 공분을 산 가운데, 사과는커녕 기사 조금 수정하고 오해라는 4과문(#)을 내 보내어 스스로의 잘못을 면피한 사건이다. 아래의 글은 해당 기사의 고인드립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문제는 그 수정한 기사 자체도 전혀 수정한 거 같지 않다는 것이다.
제목 박지성 모친상, 하늘로 오르는 태몽 꿈 모친 하늘로 승천(昇天)
(전략)
지난 2009년 8월 박지성 어머니 장명자씨는 "용과 큰 뱀이 자신의 몸을 친친 감고 하늘로 오르는 태몽 꿈을 열 달 내내 꿨다고 한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말한 바 있는 데 정작 본인이 빨리 하늘로 승천했다.
(후략)
이 글을 보고 어떻게 오해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다.

9.11. 트럼프 대통령 트윗의 오역, 왜곡 보도

Long gas lines forming in North Korea! Too bad!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연합뉴스는 2017년 9월 17일에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을 인용하면서 "북한에 긴 가스관 형성중...유감이다"라고 보도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때 언급되었던 한국과 북한,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사업 구상트럼프 대통령이 비판한 것이라고 보도한 것이다. 연합뉴스의 기사는 다른 언론에도 연달아 인용 보도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명백하게 잘못된 오역이다. 트럼프가 언급한 gas는 gasoline을 뜻하는 것으로, 주유소에 사람들이 길게 서있다는 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제재로 북한이 석유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을 자랑하기 위해 트윗한 것인데,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을 비판하고 있다고 왜곡 보도한 것이다. #1, #2

9.12. 북한 응원단 여자 화장실 취재

2018년 2월 7일, 평창 올림픽을 맞아 방한한 북한 예술단과 응원단이 이동 중 휴게소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때 여자 화장실까지 들어가서 사진을 찍고 보도한 기사들이 알려지면서 기레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1, #2

이 사태를 전해들은 워싱턴 포스트 지부장은 이런 기자들의 보도 행태가 "역겹다"면서, 왜 한국 사람들이 한국 기자들을 "기레기"라고 부르는지 알 것 같다는 트윗도 달았다. 링크. 링크를 보면 알겠지만 한글로 직접 '기레기'라고 언급하였다.

9.13. MB에게 밥 얻어먹고 돈 받은 기자들

돈으로 언론 기사를 주물러서 여론을 조작, 왜곡한 사례. 언론인 스스로 펜이 흉기임을 보여준 만행.

[단독] MB에게 밥 얻어먹고 돈 받은 기자들

파일:2018-03-23 17;13;30.png

9.14. 싱가포르 북한 공관 무단침입 추방 기레기 사건

북미 회담 준비로 신경이 바짝 곤두서 있는 싱가포르. 그곳에 있는 북한 공관에 KBS 기자 두 명이 무단침입한 결과 강제추방당한다는 소식이 떴다. 국제적 개망신.

9.15. 신성일 사망 오보 사건

2018년 11월 3일 저녁에 뜬금없이 신성일 부고 기사가 올라왔는데, 신성일의 가족이 한 장례식장에 문의한 것을 보고 기자가 사망 보도를 한 것이었다. 다만 보도 당시 신성일은 실제로 오늘내일 할 정도로 위중한 상태였기 때문에 오보가 일어난 지 12시간도 채 안 된 다음 날 새벽에 진짜로 사망했다. 어찌 되었든 간에 생전 마지막 순간이 (최소한 대외적으로는) 자기의 사망 소식이 오보로 나는 것이였으니 고인에게는 누가 될 만한 행동인 것은 자명하다.

9.16. 대구 패션센터 담당자 자살사건

뒤틀린 특권 의식을 가진 기자가 자신이 추천하는 업체를 우대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고 17년간 대구 패션센터에서 헌신한 담당자에 대한 왜곡적인 기사를 남발, 끝내는 담당자가 자살하는 비극으로 끝났다. 왜곡된 기사를 쓴 기자는 1년형을 받았다.[21]

9.17. '명절파업' 어머니 대신 '3대 독자' 차례상 첫 도전기

2019년 2월 6일, 설을 앞두고 중앙일보에 "'명절파업' 어머니 대신 '3대 독자' 차례상 첫 도전기"라는 기사가 이태윤 기자와 이병준 기자의 이름으로 올라왔다. 20년 넘게 차례와 제사상을 차려오셨던 어머니가 명절 파업을 선언해서 3대 독자인 기자가 직접 장을 봐서 설날 차례상을 차려보았다는 내용이었다. 명절마다 어머니와 며느리들이 고통을 겪는다는 내용을 보여주는 이 기사는 수천 건의 댓글이 달리는 전설 아닌 레전드 기사가 되었다.

실시간 수정 내역.

이 기사는 많은 네티즌들의 비아냥과 비웃음의 대상이 되었고, 다른 언론사에서도 기사화가 될 만큼 크게 이슈가 되었다. 최종 수정본은 기사가 처음 올라간 후 이틀이나 지난 후에야 완성되었는데, 보통 언론사 홈페이지에는 댓글이 많이 달리지 않지만 유독 이 기사에는 백여 개의 댓글이 달렸다.

중앙일보는 나중에 '이 기사는 실제 수습 기자가 직접 체험한 사실에 입각해서 만든 것이며, 기자가 친가와 외가를 헷갈려서 실수가 있었다.' 라고 해명했지만, 상식적으로 정상적인 교육을 받아서 언론사에 입사할 만한 사람이 친가와 외가 족보를 헷갈린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을 뿐더러, 이런 기사가 버젓이 올라올 때까지 데스크에서 어떠한 검증도 없이 기사를 올렸다는 것은 단순히 수습 기자의 잘못으로 몰아가기에는 너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9.18.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성명문 조작

약 2019년 5월부터 기자들이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 조작기를 돌려 강제로 개념글(인기글)로 보낸 단체 성명문을 마치 한 사이트 전체의 의견인 양 인용해 기사를 쓰는 일이 늘어났다. 자세한 내용은 성명문 문서 참조.

9.19. 아시아나항공 991편 추락 사고

2011년에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아시아나항공 화물기가 리튬전지로 인한 화재로 추락한 사고다. 이에 머니투데이, 동아일보 등 기레기들이 "보험금 때문에 자살추락"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를 했다. 참고로 기장과 부기장은 추락을 최대한 막고 안전하게 회항하기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조종간을 놓지 않고 필사적으로 최선을 다했다. 현재 기사는 삭제된 상태.

9.20. 전략물자 불법 유출 찌라시 기사


인과관계와 자료를 제대로 분석하지 않은 조선일보의 찌라시 기자가 자국에 경제 제재를 초래한 타국에게 핑계거리 근거로 악용된 부정적인 사례가 되었다.

이에 일본에서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인용한 것이라고 조선일보를 변론하는 주장도 있다지만, 일본이야 해당 보도가 사실이던 왜곡이건 알 바 아니다. "중요한 것은 한국에게 불리한 주장이 한국의 언론사에서도 기사로 대대적으로 보도하는 등으로 주장한 것"이기에 "봐라, 한국 언론에서도 지적했듯이 전략물자 불법 수출은 의혹이 난무하다. 자국(일본)으로서는 이걸 이유로 한국일 비난하는 것이 맞고, 이것이 문제라면 자국(일본)도 경제제재를 할 수 있는 거 아니냐"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 기사를 낸 조선일보와 해당 기자는 왜 자신이 이런 기사를 썼는지, 그리고 자신이 어떤 점으로 해당 자료를 보고 불법 유출이 발생했다고 판단했는지 해명조차도 하지 않고 논란들만 실컷 터뜨려놓고 침묵 모드로 들어갔다. 과거부터 만연해온 "아니면 말고 식"의 저열한 저널리즘의 폐해가 아닐 수 없다.

9.21. 조선일보, 조슈아 웡 윤상현에 감사 가짜뉴스

2020년 5월 30일 조선일보에서 조슈아 웡이 당시 미래통합당 윤상현 의원에게 감사를 표하며 만남을 요청했다고 보도한다.

그러나 이는 가짜뉴스였다.

결국 조슈아 웡이 직접 '''저는 윤 의원과 연락을 한 적도 받은 적도 없다. 가짜뉴스다”라고 명백하게 밝히며“홍콩 민주화에 관심 가져주신 마음에는 감사를 표하지만 이런 상황은 저에게 조금 당황스럽다”고 공개 입장을 표명했다.

이후 조선일보에서 사과하며 정정보도 했다. [바로잡습니다] '조슈아 웡, 윤상현에 감사' 보도

이후 2020년 6월 10일 조슈아 웡은 정의당의 류호정 의원과의 대담에서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홍콩 상황을 알리고 있다”면서 “언론들은 내가 한국 정부를 비판하는 모습으로 보도한다”고 지적하며“전 세계 보수 및 진보 언론들과 인터뷰를 하지만 이처럼 (왜곡)하는 경우는 없어 한국 언론에 실망했다”“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목숨을 걸고 전 세계에 전한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와 같이 보도해 달라”고 요청하며 “앞으로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는 다시 확인하고 하겠다”고 덧붙이면서 대한민국 언론들은 공개처형을 당했다.

9.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2020년 1월 26일 오전 질병관리본부 측에서 대한민국 국내에서 세 번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힌 이후, 조선일보 자매지인 월간조선이 속보랍시고 지역 매체를 인용하면서 해당 확진자의 거주지 지역명을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도 하기 전에 그냥 공개해버렸다. 포털에 특정 지역 이름이 오르내린 건 덤. 특히 전염병 같은 경우에는 지역명을 그냥 공개해버리면 해당 지역사회 주민들의 동요만 심해진다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가 크다. 결국 포털에 특정 지역 이름이 오르내리고 지역사회가 동요에 빠지자, 질병관리본부 측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 기사에서와 같이 "환자의 동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상호명이나 이런 시간대를 제가 잘못 말씀드리면 문제가 심각해진다"고 답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23]

당뇨합병증으로 절단한 다리를 백신 때문에 잘랐다는 가짜뉴스를 퍼뜨렸다.#

기타 이 사태에서의 언론의 실책 사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루머와 가짜 뉴스 문서에 더 자세히 나와 있다.

9.23. 채널A 기자 취재윤리 위반 사건 관련

4월 9일 채널A 김재호·김차수 공동대표가 직접 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하여"취재 과정에서 부적절한 행동으로 취재 윤리를 위반했다" "인터뷰 욕심으로 검찰 수사 확대나 기사 제보 등을 하면 유리하게 해주겠다고 했다. 윤리 강령을 거스르는 행동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유감을 표명 하였다. #

5월 22일 채널A는 공식 사과를 하며 “조사 결과 저희 기자가 검찰 고위 관계자와의 친분을 과시하며 이를 취재에 이용하려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그러나 2021년 7월 16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채널A 이동재 기자에게 '무죄' 판결을 내리며 "지현진에게 '검찰 측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취지의 말을 한 사실은 있으나, 그 전에 지현진이 검찰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먼저 물었고, 유도성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위와 같은 취지의 말을 했다"고 밝혔다. 즉, 검찰 관계자와의 친분을 과시한게 아니라 "제보자X의 함정"이라는 이동재 기자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또 "서신에서 언급한 수사 관련 소식은 대부분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라며 "오히려 검찰과의 연결 가능성을 부정하는 언급을 수차례 하였다"고 밝혔다.
실제 지현진은 첫 통화 시작 53초 만에 먼저 "검찰과 교감이 있냐"고 강조하면서 물었던 것으로 재판 과정에서 드러났다.#, #

2020년 6월 채널A는 이 사건이 터지게 한 핵심 당사자인 채널 A 이동재 기자를 해임했다. 법조인들은 "혐의 적용 자체가 불확실하고 '언론 취재범위의 한계'라는 민감한 이슈와 연결되는 문제인데 이 기자 해임은 성급한 결정 같다"며# 방송통신위원회의 채널A 재승인 문제와 징계를 연결지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이 기자의 형사재판에서 "재판부가 생각할 때도 보고서를 증거로 채택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채널A 진상조사보고서'의 증거 채택을 기각했다. 제보자 지현진 및 진상조사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채널A 진상조사위원 강모씨는 끝내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한편, 이 기자 측이 법원에 해고무효소송을 제기해 무죄 판결 이후 관련 재판이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9.24. 고양 히어로즈 처우 관련 왜곡

SBS에서 키움 히어로즈의 2군 팀인 고양 히어로즈의 열악한 시설에 대해 기사를 냈다.# 그런데, 점심을 밥 차로 대접받는 것 그렇다 쳐도 아침과 저녁은 분식집에서 김밥으로 식사하는 것 마냥 왜곡해서 보도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분식을 먹는다고는 안 썼지만, 상식적으로 분식집에서 식사를 하면 분식을 먹는다고 생각할 게 뻔한데 이를 전혀 감안하지 않았다. 고양 히어로즈는 야구장을 일일 대관으로 빌리는지라, 식당을 구단 단독으로 지을 수가 없었고 고양시에게 식당 건립을 요청해도 용도 문제 때문에 아예 지을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2군 처우를 마치 미국 싱글A 마냥 식빵이나 던져주는 것처럼 매우 열악한 것 마냥 왜곡시켰다.

후에 스포츠서울이 해당 식당을 가보니, # 분노할 정도로 좋은 식사를 제공하고 있었다. 정말 SBS는 해당 식당에 간 게 맞는지 의심스러운 수준. 심지어 아침 저녁으로 고기를 제공하는 건 물론이고, 한 번 준비할 때마다 50인분 넘게 준비한다는 사장님의 인터뷰까지. 심지어는 선수들을 위해 50인분용 솥까지 장만했다고... 하지만, SBS는 단 한번도 사과하지 않았다.

9.25. 단국대 대자보 벌금형 사건

단국대 "괜찮다"는데…법원, 文비판 대자보 붙인 20대 벌금형
정부 비판 대자보 붙였더니…경찰 “침입죄”|뉴스A

문재인의 정치 행보를 비판한 20대 대학생이 벌금형을 선고받자 이에 대해 단국대학교에서 피해를 보지 않았고 처벌을 원하지도 않았는데 처벌되었다고 기사를 썼다.

하지만 이것은 틀린 주장이다. 건조물침입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표시하면 처벌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라서 "단국대에서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해서 끝날 수 있는게 절대 아니다." (국민일보)타 사례

괜히 해당 대학생의 변호인이 “건조물 침입죄는 주거의 평온을 해칠 때 성립하는 데 검찰이 ‘피해자’로 지목한 단국대 측이 ‘피해를 본 게 없다’고 분명히 밝히고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한 만큼 범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하며 범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쪽으로 변호를 하는게 아니다. 물론 기사에서는 침입죄에 대한 설명을 쏙 빼고 단국대에서 처벌을 원하지 않는데 검찰에서 기소하여 처벌되었다는 식의 늬앙스로 기사를 썼다.

이 사건의 당사자는 김씨는“건조물 침입죄는 핑계일 뿐 대통령을 비판한 ‘죄’를 끝까지 묻겠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건 사건 용의자의 주장일 뿐이다. 애초 검찰에서는 이 사람을 명예훼손이 아니라 침입죄로 기소했고 법원에서도 재판을 받은 당사자 김씨측에서 주장한 표현의 자유를 인정, 사건 당사자의 벌금액의 절반을 깎아 주기까지 했으면서도 침입이 성립된다는 검찰측의 공소는 사실관계에 부합하다고 인정했다.

다만 이 사건에 대해 정의당이 비판 논평을 내는 등 논란의 여지가 있다.

9.26. 비디오머그박상학 취재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서 SBS 비디오머그가 취재를 하러 그의 집까지 찾아갔다. 이 과정에서 박상학이 취재진을 폭행한 것도 문제가 되었지만, 이 사건은 보다 근본적으로 비디오머그의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박상학 본인이 취재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도 비머가 일방적으로 그의 집을 찾아간 것은 사생활 침해이며, 박상학이 비머의 취재에 응해야 할 이유는 없는데도 비머는 당연히 취재에 응해야 한다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북한이 과거 여러 차례 박상학을 제거하려는 시도를 해 박상학은 정보당국으로부터 신변보호 대상자로 지정되었다. 북한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암살 위협을 받고 있는 탈북자 집을 이렇게 공개하는 것 자체가 생명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도 있는 문제이기에 박상학이 과민반응을 한 것이다.

당연히 댓글창에서 비난이 쏟아졌다. 한 베스트 댓글은 '암살 시도를 수없이 당한 분에게 저딴 짓을 하고 뭐가 잘나서 그러냐.'라는 평을 남겼다.

9.27. 인천국제공항공사 보안요원 정규직 전환 절차 논란 비정규직 비하 및 허위사실 베껴쓰기

언론은 신뢰도가 불분명한 익명 채팅방의 '연봉 5천만원 소리질러'와 같은 오픈카톡방의 내용을 베껴쓰기로 확산시켰으며, 이에 분개한 네티즌들의 퍼나르기로 재생산되는 동시에 취준생, 대학생 커뮤니티와 국민청원을 중심으로 '취준생의 평등권 침해' 라는 반발 여론이 생겨났으며, 이는 다시 언론의 인용보도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었다. 어그로를 끌수록 클릭수가 발생하며 수익으로 연결되는 인터넷 언론의 특성 때문에 자극적 보도가 난무하는 것이다.
한 예로 분명히 가장 불을 붙인 카카오톡 단톡방 스크린샷의 경우 알바천국과 경력 2년이라는 완벽한 모순이 있었는데, 아무런 확인 절차도 없이 그저 그 주장 그대로만 기사화를 한 것은 제도권 언론이라고 보기 힘들 행동이다. 이 때문에 정규직 전환 절차 자체의 정당성 문제와는 별개로 사실이 왜곡되고 각종 루머들이 쏟아져 나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행태에 대하여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출처도 명확하지 않고 익명으로 올라온 것 아닌가. 기자는 그런 걸 확인하라고 있는 존재다"라며 "사실관계가 확인 안 된 내용을 쓰면, 누군가 피해를 당하거나 사실이 왜곡되어 보도될 수밖에 없다"며 저널리즘적 보도 원칙을 지킬 것을 강조했으며 일부 언론이 취업준비생 커뮤니티를 인용해 기사를 쓰는 것에 대해서도 "여론 형성을 하고 싶은데, 본인들 입으로 주장을 하면 비판을 받을 수 있으니, '특정 커뮤니티 글을 옮겨 썼다'면서 면피하는 것"이라며 "무책임한 행동이다. 그렇게 쓰면 독자들은 기사가 객관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여론이 왜곡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9.28. 권경애 관련 조선일보/중앙일보의 허위 보도

권 변호사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기사화하지 말라”고 했지만, 본지는 권 변호사의 해당 글이 헌정 사상 두 번째이자 15년 만에 법무부 장관이 수사 지휘권을 발동해 검찰총장의 지휘권을 박탈할 만큼 중대 사안으로 번진 ‘검·언 유착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중요 증언이라고 판단, 공익적 차원에서 이를 보도하기로 결정했다. 권 변호사의 이 글은 현 정부 고위직이 이 사건에 직간접적으로 관여돼 있음을 처음으로 증언한 내용이다. 권 변호사와 가까운 한 관계자도 “MBC 보도 초기 권 변호사에게 이 글과 관련된 내용을 들은 적이 있다”며 “글 내용은 모두 사실”이라고 말했다. 권 변호사 글에 따르면 ‘매주 대통령 주재 회의에 참석하시는’ 현 정부의 고위직이 MBC의 관련 보도를 사전에 알고 있었다. 특히 그 인물은 MBC의 해당 보도가 한동훈 검사장을 내쫓는 일환으로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는 점이다. 이는 이 사건이 여권과 친정부 매체들이 주장하듯 ‘검·언 유착 사건’이 아니라, 정부 고위직까지 개입된 윤석열 총장의 측근 한동훈 검사장을 내쫓기 위한 ‘권·언(權言) 유착 사건’일 가능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증언이다.
(조선일보)“방송 관장하는 분, 한동훈 내쫓는 보도 곧 나간다고 전화” 기사 中
[정정 및 반론 보도문]

조선닷컴 8월 5일자 ‘방송 관장하는 분, 한동훈 내쫓는 보도 곧 나간다고 전화’ 제하의 기사와 관련해 사실 확인 결과, 3월 31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 전에 미리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보도 내용을 알았다는 권경애 변호사의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잡습니다. 또 한 위원장은 “MBC 보도 후 1시간 이상 지난 오후 9시경에 통화가 이뤄졌으며 통화내용 또한 MBC 보도와 관련 없는 내용이었다”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조선일보)“방송 관장하는 분, 한동훈 내쫓는 보도 곧 나간다고 전화” 기사 하단에 올라온 [정정 및 반론 보도문]

민변 소속의 권경애 변호사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인용, 검언유착 의혹의 실체를 밝힌다고 판단하여 이를 보도했는데 문제는 권경애의 주장이 기억 착오로 밝혀지면서 허위사실에 근거한 허위보도로 드러났다.#

결국 조선일보에서 허위사실에 근거를 한 언론 보도였음을 시인하며 허위 사실을 인정하는 정정 및 반론 보도문을 당시 조선일보에서 보도한 기사의 하단부분에 올렸다.

정작 당사자인 권경애 변호사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기사화하지 말라”고 요청하기까지 했었는데도 조선일보에서 무시하고 이를 일방적으로 보도하기까지 했는데 이후 자신의 발언이 기사로 나면서 크게 논란들이 되자 권경애는 앞으로 해야 할 말이 있으면 페북을 통하도록 하겠다. 언론의 취재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조선일보외에도 중앙일보에서도 허위사실에 근거한 허위보도를 하였으며 이에 대해 정정보도를 하였다.[정정 및 반론보도] 중앙일보 8월 6일자 ‘고위 인사, MBC 뉴스 직전 한동훈 보도 나갈 거라 전화’ 기사

9.29. 조선일보 기자 서울시청 무단침입 사건

조선일보 소속 서울시청 출입기자가 서울시청 본청 9층에 있는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 방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사건이 터졌다.

한겨레에서 서울시청측에 취재한 인터뷰에 따르면 직원들이 출근하지 않은 시간에 방에 들어간 조선일보 기자는 책상 위에 있는 문서 등을 스마트폰 사진기로 촬영했으며, 직원들이 정상적으로 출입하는 통로가 아니라 프레시 매니저 (요구르트 아주머니)들이 주로 이용하는 외부 통로로 침입해 직원에게 발각되지 않았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한다.

서울시청은 조선일보 기자를 건조물 침입 혐의로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고발하였다. 경찰에서 조선일보 기자를 형사입건하고 다음주 소환 조사할 예정.

이후 서울시청 기자단이 총회를 열었다. 무단 침입한 당사자인 조선일보 기자도 총회에 참석해 용납될 수 없는 방법과 일탈로 물의를 일으켜 서울시청 공무원들과 기자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사과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37개 언론사의 출입기자의 투표에서 무려 27개 언론사 기자들이 서울시청 기자단에서 조선일보를 제명할 것을 찬성했다. 이렇게 해서 조선일보는 서울시청 기자단에서 제명 조치되었으며 1년간 서울시청 출입과 서울시 보도자료 제공이 금지되었다. @@

9.30. 한국경제 사내 기자상 보도 정정 헤프닝

(한국경제 단독)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 '(단독) 하룻밤 3300만원 사용…정의연의 수상한 '술값'' 관련

정의연의 술값이 하룻밤 3300만원 사용했다는 것을 5월11일자 보도하여 사회에 큰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던 기사가 이후 한국경제 신문사의 사내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이 상은 한국경제 편집국에 있는 각 부서들이 자체 신청을 하면 국장단이 심사해 결정하는 사내 시상제도이다.

그러나 이는 오보로 밝혀졌다.

기자상 수상 다음날 한국경제측에서 직접 정의연 술값 3300만원 사용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시인하며 정의기억연대는 하룻밤에 3,300만원을 술값으로 사용한 사실이 없었다고 정정하였다.

이후 한국경제 측에선 단독보도했던 해당 기사 하단부분에도 하룻밤 3300만원 사용 기사에 대해 정정 보도문을 올렸다.

9.31. '코로나 사태 OECD 성장률 최하위 예정' 기사

"한국 경제성장률 올해 1위, 내년 34위"
文이 자랑한 ‘성장률 OECD 1위', 공인받은 성적표일까
올해 성장률 OECD 1위… 내년엔 34위 추락 전망

2020년 8월 OECD에서 한국 경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이 없다는 시나리오에서 2020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0.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 보도 참고자료 그런데 조선일보 등에서는 해당 통계의 신빙성을 깎아내리는 것은 물론이고, 중간의 성장률 통계 수치를 곡해해서 마치 한국이 다음해인 2021년엔 OECD 국가들 중에서도 형편없는 성장률을 기록한다고 기사를 썼다.

이는 명백한 통계 왜곡이다. OECD에서 분석한 성장률 통계는 단지 한국의 경제 회복 시점이 더 빠르고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한 것 뿐이다. 성적으로 비유하면 반에서 5등 하던 옆집 아이가 25등으로 떨어졌다 다시 5등으로 올라오면 성적 향상폭은 20등이 되는 반면, 10등 하다 1등이 된 우리 아이가 그대로 1등을 했으면 순위 자체는 오르지 않았지만 여전히 성적 자체는 유지한 셈이 된다. 그런데 언론에선 '다른 아이는 순위가 오르는데 우리 아이는 순위가 그대로이니 성적이 내려갔다'라고 말하는 격이다. "통계도 왜곡"...우리 언론은 나라 잘되는 게 왜 싫을까?

실제 2020년과 2021년 예상 경제성장률을 종합하여 계산한 결과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이 다른 OECD 국가들의 경제성장률보다 압도적으로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3위에 해당한다.

9.32. 한국일보 J방역 기사 보도

원본 주소(삭제) 기사 아카이브

2020년 7월 3일 ""불가능한 코로나 퇴치위해 하루 검사비만 20억 쓰는 게 맞을까""라는 제목으로 일본의 방역 상황을 본받을 필요도 있다는 기사를 올렸다.

'검사를 적게 했다는 비판을 받는 일본의 사망률이 오히려 최저수준이며 감염자 근절에 방점을 찍는 K방역도 좋지만 현재 사망률이 낮은 "J방역"에서도 참고할 부분이 있는 상황이다.'라고 보도했다.

이 기사가 올라온 7.3일 당시 일본은 한국의 감염자 및 사망자의 수를 추월한 것은 물론이고, 인구당 사망률도 상당해서 한국에서 참고를 해야 하는지 논란이 분분하였다.

하지만 이후 상황이 급변 7월 초중반부터 일본내 코로나 확진자 수가 폭증하면서 기사 자체의 당위성이 무너져버렸다.

결국 해당 기사는 홈페이지는 물론이고 한국일보 트위터 및 페이스북에서도 모두 내려갔으며 일부 포털 사이트에서도 언론사의 요청으로 인해 내려갔다.

9.33. 연예인에 대한 악의적인 기사들

이 경우에는 기자들한테 책임이 있다기 보다는 기자들에게 연예인들에 대해 악의적인 기삿거리를 제보하는 안티들에게 책임이 있다. 하지만 기자들 또한 사실여부에 대해서 파악하지도 않고, 자극적인 기사로 조회수를 올리려는 욕심에 안티들의 제보에 자극적인 단어를 넣어 재생산하고, 심지어 일부는 해당 기사를 그대로 복붙하여 일을 더 키우기에 기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가수 양준일로 지난 6월 그의 유튜브 채널 '재부팅 양준일' 라이브 방송 당시에 그가 성희롱 발언을 하지 않았음에도, 안티들은 양준일이 성희롱 발언을 했다며 기자들에게 제보했고, 해당 제보를 받은 기자들은 사실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채 양준일이 성희롱 발언을 했다는 식으로 기사를 내기 시작했다. 심지어 라이브 방송의 특성상 사전에 약속된 시간이 지나 방송을 종료하면 해당 영상이 비공개 처리가 됨에도, 일부 기사에서는 제작진 측이 일부러 영상을 삭제했다는 식의 말도 안 되는 기사를 내기까지 했다.

이 사건 이후로도 양준일의 안티들은 팬미팅 고가 논란·포토북 퀄리티 및 표절 논란·탈세 및 소비자 보호법 위반 논란·병역기피 의혹 등 양준일과 관련된 악의적인 논란들은 끊임없이 창조해 기자들에게 제보하고, 이에 일부 기자들은 자신들에게 제보를 한 안티들을 팬으로 둔갑시켜 기사에 등장하는 팬들의 의견이 양준일 팬덤 전체의 의견인 양 대중들에게 인식시키고 있어 진짜 양준일 팬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

결국 해당 논란들을 제일 먼저 기사화 한 스포츠경향 측은 2022년 1월 22일 그 중에서 탈세 및 소비자 보호법 논란과 관련해서 정정보도를 냈다. 이에 양준일 팬덤 연합에서는 기타 논란과 관련해서도 정정보도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한다.

9.34. 박진성(시인) 집단 허위 보도 사건

미투와 관련해서 박진성(시인)에 대해 허위보도들을 퍼뜨리며 성폭력 의혹을 주장하며 박진성 시인을 가해자로 몰았다가 이후 허위임이 드러나서 줄줄히 손해배상, 손해배상 합의를 하는 굴욕을 겪었다.

9.35. 혁신은 없었다

AppleiPhone 신제품을 발표하는 9~10월쯤 지겹도록 볼 수 있는 내용으로, 모 대기업과 언론의 수직적인 유착 관계를 꾸준히 증명하는 내용이다.

iPhone 7 발표 당시에는 발표가 이뤄지기도 전에 'iPhone 7 혁신은 없었다' 기사가 올라온 적도 있었다.

고가 정책으로 진짜 부진했던 2018년의 iPhone XS시리즈를 제외하면 혁신이 없었다는 개소리는 통하지 않았고, 까일수록 잘 팔린다는 법칙만 증명하는 꼴이 되었다.
Apple이 신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다음날 아침에는 “혁신은 없었다”는 기사로 도배가 되곤 했다. 다분히 삼성전자를 의식한 기사였지만 Apple은 그때마다 판매기록을 경신하면서 경쟁자들을 따돌렸다.
출처

9.36. 조선일보 박지선 엄마 유서 보도 사건

(논란이 된 조선일보 기사)[단독] 박지선 엄마 유서 ‘피부병 힘들어한 딸만 보낼 수 없다’

(뉴스)조선일보가 유족이 공개를 원치 않았던 박지선 유서를 단독이라고 보도했다

개그우먼 박지선이 11월 2일 자살한 사건에 대해 고인의 유가족의 의사에 따라 공개하지 않기로 했던 유서 내용에 대해 조선일보에서 취재해서 [단독]을 붙여서 일방적으로 보도를 해버린 사건.

유서 내용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했음에도 조선일보에서 자살보도 규정을 위반하여 일방적으로 단독 타이틀을 붙여가면서 공개했기 때문에 조선일보는 사회에서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개그우먼 박지선(36)씨가 2일 자택에서 모친과 함께 숨진 채 발견된 사건과 관련, 본지 취재 결과 모친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엔 ‘딸이(박씨가) 피부병 때문에 힘들어했으며, 최근 피부병이 악화해 더 힘들어했다. 딸만 혼자 보낼 수 없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 박지선 엄마 유서 ‘피부병 힘들어한 딸만 보낼 수 없다’ 기사 내용 -中-

또다른 논란도 있는데 조선일보에서 보도를 하면서 자신들이 보도한 기사가 자살한 박지선의 모친이 남긴 유서가 확실하지 않음에도 보도를 한 것이다. 근거가 명확치 않다며 스스로도 기사 보도 내용에 추정이라라고 하면서도 끝끝내 단독 타이틀을 붙여서 일방적으로 내보내버린 것이다.

9.37. 2021 수능 한국사 관련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영역 20번 문제가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이듬해 열린 노태우 대통령 연두 기자회견 담화문의 일부를 인용하여 출제되었다. 이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 기조에 반대하는 반문 진영 일부에서 통일에 관련된 수능 한국사 과목 마지막 문제에 불편한 시각을 내비치기도 했다.[24] 그 와중에 조선일보에서는 문제의 자료에 노태우 정부 시절을 묻는 것을 대놓고 드러냈음에도 뜬금 없이 문재인 정부가 한 일로 착각하고 자신들의 정권 홍보를 한다고 기사를 냈다가 엄청난 비판과 비아냥을 들었다.[25]

조선일보와 민주당 계열 정부와의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지만 정부 비판에 매몰되어 웬만큼 역사에 관심이 있다면 초등학생도 맞힐 수준의 기초적인 상식조차 결여된 듯한 기사를 냈고 해당 기사를 쓴 기자에게는 조선일보에는 어떻게 입사했냐는 비아냥이 계속되었다. 결국 기사는 수정되었지만 당연히 기레기답게 정정보도를 낸 게 아니라 그냥 아무말 없이 은근슬쩍 수정만 해놓고 입 싹 닫았다. 사실 애시당초 그동안 수능 한국사에서 통일에 관한 문제는 계속 나왔고 현행 헌법에도 통일에 관한 조문이 있으므로 문제 자체가 큰 비판에 사로잡힐 성질의 것은 아니다. 그냥 조선일보가 정부 까고 싶어서 기레기질 했다는 것만 인증한 셈이다.

9.38. 코로나 방역 조치로 인한 자영업자 보상 문제 관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방역/평가/재산권 침해 문서
번 문단을
언론 보도 및 여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9. 독감 백신 문제에 대한 침소봉대

2020년에 독감 백신의 관리를 소홀히 하는 사건이 벌어지고 여기에 우연히 마치 독감 백신을 접종한 뒤 사망한 것처럼 보이는 사건들이 벌어지자 언론은 여기에 비롯된 작은 실책들을 크게 침소봉대해서 마치 모든 독감 백신이 위험하고 효과가 없는 것처럼 포장했다. 실제로는 독감 백신으로 인한 유의미한 부작용이나 사망자는 전혀 없었다. 언론의 이런 행동으로 인해 시민들의 독감 백신에 대한 불신이 생겨났고, 실제로 2020년에 독감 백신 접종률도 유의미한 수치가 감소했고 백신으로 인한 집단 면역을 간신히 유지하는데 그쳤다. 그나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사태로 인해 전국민이 사회적 거리두기 및 예방에 신경쓰고 있었기에 예년의 1/5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9.40. 코로나-19 백신 문제에 대한 침소봉대

독감 백신처럼 2021년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의 사망 사례가 일어나자 역시나 언론은 크게 침소봉대해서 코로나-19 백신이 위험하고 효과가 없는 것 처럼 포장했다.[26] 안 그래도 독감백신의 사례 때문에 백신에 대한 불신이 있었는데 이번 보도로 국민 여론조사 결과 코로나-19백신를 접종하겠다는 비율이 떨어졌다. 이에 가천대학교 정재훈 교수는 기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을 부탁했다.[27]

1) 속보경쟁은 의미가 없다.[28]
2) 이런 논란이 벌어지면 망자가 더욱 힘들어진다.[29]
3) 과학적인 검증에는 시간이 필요하다.[30]

그런 비판 끝에 KBS는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사망사례는 보도하지 않겠다는 보도원칙을 발표했다.#

9.41. 청와대 출입기자 시민 폭행사건

(머니투데이)"현직 기자의 폭행으로 아버지 실명됐다"…CCTV 공개한 아들
“기자의 폭행으로 아버지 장애인됐다” 靑 국민청원

청와대 출입 기자에 의한 시민 폭행이 발생하였다. (유튜브에 의한 삭제)


결국 기자에게 폭행당한 피해자는 한쪽 눈이 실명되었다. 이후 가해자인 기자 부인과 피해자의 부인이 합의에 나섰는데 이후 가해자인 기자가 피해자의 부인에게 욕설이 담긴 문자를 보냈다.

폭행 피해자는 10개월 동안 말이 없다가 이후 치료비랍시고 2천만원을 준다고 문자가 왔다고 하며 용서가 안된다고 울분을 드러냈다.

가해자는 이에 대해 피해자가 먼저 도발했다고 주장하며 일대일로 붙자고 해서 싸운 것이라고 주장하며 피해자의 말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피해자가 그렇게 다칠줄은 몰랐으며 폭행에 대해선 잘못했다고 인정은 했다.

이후 해당 신문사는 대구신문으로 드러났다. 청와대가 이 사건의 가해자인 출입기자는 퇴출되었으며,# 소속사 대구신문에 출입 등록 취소 처분을 내리면서 1년간 대구신문은 청와대 출입이 금지되었다.##

대구신문에서도 해당 가해 기자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취했다. 이후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대구신문은 가해기자에 대해 기사를 못 쓰도록 조치했으며 “회사에선 문제 행동으로 보고 응당한 회사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단 재판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결과를 기다려보겠다고 밝혔다.#

9.42. 불가리스 요구르트가 코로나 억제에 효과?

2021년 4월 13일 16시 54분 뉴시스의 최지윤 기자가 내보낸 기사의 제목이 "남양유업 불가리스, 코로나19 억제 효과 77.8%"였다.# 그리고 이 기사를 시작으로 비즈엔터, 머니투데이, 서울경제 등에서 잇달아 남양유업에서 만든 요구르트 불가리스가 마치 코로나 억제에 진짜로 효과가 있는 것처럼 제목을 꾸며 기사들을 잇달아 내보냈다.

그러나 정작 네티즌들은 "안사요, 안사!", "어디서 약을 팔아?", "그러면 요구르트의 원산지인 불가리아는 코로나 확진자 수가 적나???"[31]라며 댓글로 해당 기사들을 마구 비웃었다(...) 심지어 아예 불가리스 요구르트를 코로나 백신으로 맞히라는 조롱 짤방까지 등장하였다...#

또한 정작 질병청에서는 사람을 상대로 연구가 수반되지 않았다며 불가리스 요구르트가 코로나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기사 내용을 부인하였다.

그런데 얼마 못가 어느 네티즌의 집요한 검색과 추적으로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 불가리스 요구르트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억제한다는 뉴스의 발표자는 항바이러스 면역연구소의 박종수 박사인데, 그는 불가리스 요구르트를 만드는 남양유업의 연구개발소장이었고, 현재까지도 남양유업의 상무로 재직 중이고 결정적으로 불가리스 요구르트의 개발자였다. 한 마디로 말해서 남양유업에서 만든 요구르트 불가리스가 코로나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기사는 사실 기사로 위장한 상품 광고였던 것이다. 네티즌들은 이것이 바로 한국 기자의 수준이라며 실컷 조롱했다(...)#

그리고 식약청에서는 결국 남양유업 세종공장에게 2개월간 영업 정지 처분을 내렸다. 유통기한이 짧은 유제품 특성을 고려해 보면 그냥 대놓고 상품 다 버리란 소리나 마찬가지다.

9.43. 미국 출장 중 화이자 백신 맞은 기자

미국 출장 중 화이자 백신 맞았다 아카이브

2021년 4월 19일 국민일보의 백상현 기자는 미국 출장 중에 화이자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맞았다라면서 대한민국의 방역 상황을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미국은 확실히 한국보다 느슨한 사회적 거리두기, 자가격리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었다. 심지어 ‘자가격리자 안전보호’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강제로 설치해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지도 않는다.

현재 미국은 1억3000만여명이 백신을 1회 이상 접종했으며, 조만간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다수의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하는 위중한 상황에서도 개인의 자유, 종교의 자유, 사생활을 최우선시했던 것은 자유쟁취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백신확보라는 자신감에서 나왔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통제중심의 ‘K방역’은 뒤집어 말하면 정부의 뾰족한 해법이 없으니 국민이 더욱 희생해야 한다는 뜻 아니었을까.

그러나 이 기사가 올라오자마자 다음 뉴스 댓글에 아래와 같은 반박 댓글이 올라오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문제의 요체는 "접종 자격이 없으면서 신분을 속여서 접종을 받은 것도 위법인데, 1차 접종 후 2차 접종까지도 미국 가서 맞아야 한다"라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거주자 입니다. 이 기자분은 현재 접종 대상이 아닙니다. 캘리포니아에 거주하거나 일하는 사람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예약 중에 첫단계 질문으로 물어봅니다. 여기서 거주하거냐 일하냐고. 아니라고 선택하면 접종 대상이 아니라고 나옵니다. 이 질문에 거짓말로 답하셨겠죠. 서류 확인이 엉성한 이유는 불법거주자들도 맞아야 하는데 이 분들은 거주나 근로를 증명할 방법이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우선 백상현 기자는 원칙적으로는 접종할 수 없는 신분을 속여서 백신을 맞았다. 장기 출장이 아닌이상 정해진 주거지가 없으므로( 본인 이름의 우편물 요구) 접종할 수 없다. 이걸뭐 자랑이라고 기사화한건 기자로서 양심불량이다.
미국은 워낙 불체자가 많다보니 접종시 신분증을 요구하지 않는다.
현재에도 미국 감염자는 한국과 비교하지 못할정도로 많다.
그리고 기자는 2차접종을 같은 화이자로 맞아야 하는데 미국까지 와서 맞고 갈래?
기레기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거짓말로 백신 구걸한 주제에. "Resident of Westlake/Koreatown ONLY"는 왜 지웠나요? resident도 아닌데 거짓으로 등록한 게 찔리나 보죠? "기자의 미국 내 주소를 요구했다. 주소가 적힌 우편물도 가능하다고 했다. 다행히 동행했던 지인이 ID카드를 제시해 해결했다"라니 당신의 해결은 거짓말하는 거네요. Lier.[32] 출장 며칠 왔으면서, 결론은 무슨 미국 건국의 아버지 수준이다. 이러니 기레기 소리듣지

결론적으로 백상현 국민일보 기자는 국내 방역을 비판한답시고 미국에서 엄연한 위법 행위를 저지른 것을 자랑스럽게 증명한 셈이다. 게다가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려면 2차 접종까지도 맞아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범죄자가 스스로 구속구를 차고 제 발로 감옥에 들어가는 꼴이나 다름없다. 물론 한국에서도 화이자 백신을 맞히긴 하지만, 7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하므로 접종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게 아니더라도 어차피 미국에서 신분을 속여서 맞은 백신이므로, 접종 내역을 국내에 제출하더라도 유효한 증명이 될 리가 없다.

결국 어쭙잖게 나라 돌아가는 상황을 비판한다면서 신분까지 속이고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긁어 부스럼을 만들어서 된통 욕지거리나 먹은 셈이다. 게다가 이 사건은 남의 신분증을 이용한 사칭이라서 미국에서 방역 방해로 고발이 들어와도 이상하지 않을 일이다.

이외에도 당 기자는 이전부터 국민일보에서 기독교 정신으로 호모포비아적인 기사를 자주 작성해서 대한민국의 성소수자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단체LGBTQ-Right Ally들에게는 진작에 기레기 그 이상으로 취급되고 있었다.

9.44. 세대 갈등 조장/제목 낚시 기사

[출처: 중앙일보]꼰대 4050보다 낫다, 7080 할매할배에 열광한 MZ세대 왜|

제목 낚시임과 동시에 일부 사례들을 거론하며 세대 전체를 이야기하는등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드러내고 있다.

기사 제목등에서 주장하는 4050세대도 꼰대가 있고 7080세대에서도 꼰대가 아닌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는 것이다. 이런식의 기사 제목 선정은 세대갈등 조장의 제목 낚시이다.

기사 제목과 내용에도 거리가 있다.

기사에서 언급한 것들을 보면 7080대 세대 전체가 아니라 "일부 유명한 시니어 유튜버들과 윤여정에 대한 호감인 것이다." 실제로 기사내용에서도 기사 제목과 상충되는 내용들이 나온다. 윤여정씨처럼 꼰대스럽지 않은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시니어 모델은 전 세대의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어 광고 모델로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한 것. 한마디로 7080대를 선호하는게 아니라 윤여정처럼 꼰대스럽지 않은 이미지의 시니어들에 대해 전 세대에서 공감과 지지를 가지고 선호하는 것이다. 윤여정과 시니어 유튜버들에 대한 호감인지 윤여정과 시니어 유튜버들이 속한 세대 전체에 대한 호감인지는 여전히 미지수인 것이다. 당연한게 꼰대스럽지 않은 이미지의 유명인들도 연령에 상관없이 사람들에게 공감과 지지를 받고 호감을 받는다.

실제로 6070대에게 호감이 있다는 보기에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노인 혐오에서 비롯된 틀딱 멸칭, 비하 표현등이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어서 사실인지 아닌지는 도저히 알 수가 없다.

그외에도 20대들에겐 부모님이나 직장 상사로서 매일 마주하는 4050 기성세대가 “라떼는 말야”를 외치는 ‘꼰대’로 비칠 수 있지만, 직접 부딪히는 연령대가 아닌 노년층은 아예 관계성 밖으로 나가 있는 이상적 존재라는 얘기다라는 내용이 있는데 7080 세대는 부딪치질 않으니 갈등이 없다는 것이라서 꼰대가 아니라서 좋아하는지, 그저 직접적인 대면이 적다보니 서로간의 갈등이 당연히 적어져서 나쁜 이미지가 적어서 그런건지 내용이 불분명하게 나온다.

9.45. 러블리즈 서지수 인터뷰 내용 왜곡 조작

스포츠 동아의 정희연 기자는 러블리즈 서지수 양의 인터뷰 내용을 교묘하게 짜집기 및 왜곡하였다.

파일:donga_seojisu_interview_contents.jpg

파일:donga_seojisu_interview_title.jpg

러블리즈 서지수 “이상형 여진구, 날 진심으로 사랑해줬으면”
동아닷컴 정희연 기자

9.46.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관련 가짜뉴스 유포

2021년 6월 한강 의대생 사망사에 관하여 가짜 정보들로 기사를 쓰고있다.
https://archive.is/Lalni[33]

9.47. 한겨레 윤석열 별장 접대 허위보도 사건

한겨레는 2019년 10월 11일 <"윤석열도 별장에서 수차례 접대" 검찰, '윤중천 진술' 덮었다>는 기사를 신문 '1면'에 보도했다. 김학의 성접대 재수사 과정에서 건설업자 윤중천 씨가 진술을 했으나 윤석열(당시 검찰총장)에 대한 기초 조사도 없이 수사가 마무리됐다는 내용이었다.#

윤석열 총장은 적극 반박하며 2019년 10월 11일, 기사 작성자인 한겨레 하어영 기자를 검찰에 고소했다. 하 기자는 같은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김학의 성접대 재수사와 관련된 매우 깊게 관여되어 있는 분들 3명 이상의 취재원을 확보했고 그분들을 통해서 확인을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마 기자 사회나 아마 언론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다 아실 겁니다. 복수의 관계자라고 표현 안 하고 3명 이상이라고 표현한 것은 그만큼 저희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취재했고 어떤 취재원이 있었다라는 것을 최소한 기자 사회에서는 좀 알기를 원하는 측면도 있었습니다."라고 다시 한번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초 보도 7개월 후인 2020년 5월 22일, 한겨레는 “부정확한 보도 사과드립니다”라며 “정확하지 않은 보도를 한 점에 대해 독자와 윤 총장께 사과드립니다”라는 사과 보도를 하기에 이른다. 한겨레는 “4월 초 구성된 ‘윤석열 관련 보도 조사 TF’는 이 기사가 사실 확인이 불충분하고, 과장된 표현을 담은 보도라 판단했다”며 “정확하지 않은 보도를 한 점에 대해 독자와 윤 총장께 사과드린다”고 썼다.#

한편, 2019년 당시 대검 과거사진상조사단 활동을 하며 김학의 사건을 다뤘던 박준영 변호사는 2022년 4월 20일, 한겨레의 오보 배후가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라고 지목했다. 김 의원 역시 당시 변호사 신분으로 김학의 사건 조사에 참여했다. 박 변호사는 김 의원을 향해 “저를 고소하라. 저를 고소하면 사실관계를 분명히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박 변호사에 대해 법적대응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9.48. 한국 언론 오보 징벌적 배상제 도입 관련 미국 국무부 대변인에게 사적 발언 요구

2021년 8월 10일 네드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의 브리핑에서 한국 언론인이 언론 오보 징벌적 배상제 도입을 막아달라 요구한 사건이다.

문제의 질의 응답
QUESTION: — I have a question for – so I have two questions. First one is State Department’s willingness to promote freedom of the press outside the United States. So South Korea’s Moon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is pushing a new law that obliges media outlets to pay punitive damages for spreading fake news. And as you have seen in the United States, labeling critical news stories as fake news is a typical way of attempting to stifle criticism. So South Korean journalist associations expresses deep concern.
And so my question is: I understand Biden administration wants to show unity between the allies, but as the administration promotes freedom of the press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world, will the administration acquiesce this undermining of democratic values just to avoid presenting split between the allies? And if not, can you share State Department’s plan to address this issue with South Korean counterparts?
질문: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 밖에서 언론의 자유를 증진하려는 국무부의 의지입니다. 그래서 한국의 문 정부와 여당은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것에 대해 언론 매체에 징벌적 손해배상을 의무화하는 새로운 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보신 것처럼 비판적인 뉴스를 가짜 뉴스로 규정하는 것은 비판을 억누르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입니다. 그래서 한국 언론인 협회들은 깊은 우려를 표명합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국들 간의 통합을 보여주고 싶어하는 것을 이해하지만, 행정부가 세계에서 언론의 자유와 자유 민주주의를 촉진하면서, 행정부는 동맹국들 간의 분열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민주주의 가치 훼손을 묵인할 것인가요? 그리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무부의 계획을 한국측과 공유할 수 있습니까?

법 개정 관련 징벌적 배상의 문제점을 언론탄압으로 보고, 미국의 가치및 한미 동맹과 "한국 언론 보도의 자유"를 동일시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MR PRICE: Well, I don’t have a specific reaction to offer on this particular development, but I will say, broadly, freedom of the press, freedom of expression is a value that the United States supports the world over. And we’ve demonstrated that in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Secretary Blinken was in Seoul and he, of course, visited Tokyo and Seoul on his first physical travel overseas, we met with – he met with a number of emerging South Korean journalists – that is to say, young journalists working for some of the country’s biggest outlets – to affirm this – these enduring values and enduring principles that we share with our like-minded allies and partners. And so freedom of expression is something that we continue to stand for and will stand for in that context and every context.
대변인: 글쎄요, 저는 이 특정한 발전에 대해 구체적인 반응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넓게 말하자면,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는 미국이 전 세계에서 지지하는 가치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대한민국의 맥락에서 보여주었습니다. 블링컨 장관이 서울에 있을 때, 물론 그가 첫 해외 순방으로 도쿄와 서울을 방문했을 때, 우리는 그를 만났습니다. 그는 많은 떠오르는 한국 기자들을 만났습니다. 즉, 우리가 같은 생각을 가진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공유하는 이러한 지속적인 가치와 지속적인 원칙들을 확인하기 위해, 이 나라의 가장 큰 아웃렛들 중 일부에서 일하고 있는 젊은 언론인들. 그래서 표현의 자유는 우리가 계속 옹호하는 것이고 앞으로도 옹호할 것입니다.

해당 문제에 대해 대변인이 미국의 가치에 대한 원론적 대답만 하고 회피하자 질의자는 사적으로라도 발언해 달라고 재차 요청한다.[34]
QUESTION: So you want to avoid the specific – this mentioning about this development, but do you think there will be a private diplomatic discussion about this issue?
질문: 그래서 대변인님은 이 발전에 대한 언급인 구체적인 것을 피하고 싶지만, 이 문제에 대해 사적인 외교적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대변인은 아예 선을 그어버림으로써 이 질의는 마무리된다.
MR PRICE: I wouldn’t want to wade into what may or may not be conveyed privately.
대변인: 저는 사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고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에 끼어들고 싶지 않습니다.

아프가니스탄 관련 질의응답 도중 갑자기 뜬금없이 나온 건 둘째치고, 타국 대변인에게 사적 발언을 요청한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 다른 언론사에서 비판하는 보도 하나 나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 언론계에 자정 능력에 의문이 생긴다.

9.49. 아프가니스탄 철수 관련 왜곡 보도

2021년 8월 24일, 미라클 작전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가 아프간 재건지원단에 협력했던 아프간 현지 협력자들의 신원정보 보유 여부를 모르고 있다.'는 논조의 기사를 작성하였다. 원문 기사 @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는 해당 작전의 성공을 위해 진행 중 보안을 엄수하였던 것이며, 기사가 나온 시점에 이미 대한민국 정부에서 파견한 수송기가 카불공항에서 협력자들을 태우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기사가 작성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외교부에서 '구출 작전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게다가 해당 기사는 일본정부가 수송기 3대를 파견하여 자국인과 협력자들을 데려오기로 하였다면서,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을 비난하고 있는데, 정작 그 일본은 그렇게 공개적으로 수송기를 보내는 퍼포먼스를 했음에도 협력자들을 데려오는 데 실패하여 더욱 비웃음거리가 되는 중이다. 결국 작전이 난항을 거듭한 끝에 협력자는 고사하고 자국민 조차 제대로 구조하지 못한 채 파견된 자위대가 철수하게 되면서 해당 뉴데일리 기사는 흑역사로 박제될 처지가 됐다.[35]

결국 해당 기사는 성지로 등극하였으며, 기사를 작성한 전경웅 기자는 댓글에서 기레기라는 조롱을 받게 되었다.

9.50. 한국일보 아프간 소녀 불법촬영 사건

2021년 8월 29일, 한국일보가 미라클 작전을 통해 한국으로 무사히 입국해 진천군 인재개발원에 들어간 이들에게 망원렌즈를 들이대 결국 아프간 소녀가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포착했다며 기사로 내보낸 사건.원문 기사

당연하지만 탈레반을 피해 온 사람들인 만큼 이들은 얼굴을 내보내면 탈레반이 이를 보고 남은 이들에게 보복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36] 이런 뉴스를 내보내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게다가 애초에 이들은 혹시 모를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 격리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이들의 허락을 받을 수 있었을 리가 만무하므로 이는 불법촬영에 해당한다.

9.51. 세계일보 기자, 조선일보 유튜브 단독 공개 사건

세계일보 기자가 윤석열과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사진을 조선일보 유튜브 방송에서 단독 공개하는 일을 저질렀다.[37] 당연히 세계일보에서 직무상 의무에 배치된 행위를 저지른 세계일보 소속 기자에게 중징계를 내렸는데 문제는 해당 기자가 징계기간 동안 조선일보에 입사해버린다. #

이후 해당 전 세계일보 기자는 조선일보에 이직한 이후 조선일보 사보에다가 이직을 하게 되리라곤 꿈에도 몰랐다”면서 “조선미디어그룹과 인연이 깊다”는 등의 주장을 늘여놓았다. #

9.52. 최훈민 기자와 조선일보 기자의 문재인 정부윾튜브 탄압 음모론 주장 사건

프레스18에서 김윾머를 부른 이유

매일신문의 공식 유튜브 계정인 프레스18에 초대받아 출연하였는데, 거기서 최훈민기자가 한국정부가 구글코리아에 여러가지로 압박을 하고 윾튜브의 경우 아예 계정폐쇄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는 허무맹랑한 음모론을 주장했다.

2022년 2월 11일 주식 유튜버이자 우파 유튜버냉철tv조선일보와의 인터뷰를 했다 여기서 냉철tv는 “단 한 번의 경고도 없이 (채널이) 갑자기 폐쇄됐다”며 “정부가 듣기에 껄끄러운 이야기를 하면 이런 식으로 하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그는 "친문 유튜버에게 이런 경우가 있느냐"고 했다.기사 말 그대로 문재인 정부에서 구글 코리아를 압박해서 자신의 유튜브 부계정을 정지시켰다는 최훈민 기자의 음모론을 그대로 주장한것으로

“주식양도세·여가부 폐지”...구독자 6만 유튜브, 하루 아침에 사라졌다 라는 매우 자극적인 제목과 달리 냉철tv의 부계정인 아님말고 계정은 매우 정치적이고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들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윾튜브가 계정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인 3번의 경고 역시 윾튜브가 과거 조선일보 손녀 갑질 논란을 다루는 영상에서 조선일보 손녀의 갑질 논란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조선일보에서 윾튜브 계정을 신고해서 영구정지된것인데기사링크 조선일보와 윾튜브, 냉철tv는 이러한 사실을 숨긴채 문재인 정부를 비난하기 바빴다.

구글에서 영정당한 유튜버는 우회채널 부계정 만든건 바로 제재대상이고 거기다 글로벌 기업 구글이 우회채널 판단을 기술적 근거 없이 했을리도 없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를 비판해서 같은 영정을 당한 신태일락스 먹방에 불똥 세수하는 유튜버지만 문재인 정부를 비판했던 유튜버인데 채널 만들기만 하면 터지는 것을 보면 신태일도 문재인 정부의 탄압을 받는 유튜버라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의 탄압이 사실이라면 가세연, 신의 한수도 진작에 채널이 삭제됐어야 정상이다.

9.53. KNN뉴스의 클럽 집단 마약 파티 남성 60명 모두 에이즈 감염 왜곡 보도

마치 성소수자 남성 60명이 에이즈에 감염된 채로 집단 마약파티를 한 듯이 보도하여 충격을 주었지만 다른 언론사들의 보도를 종합한 결과 1~2년간 전국적으로 검거된 특정 마약의 유통책, 사용자를 전부 합한 수치이고 전원 에이즈 감염도 별다른 근거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60명 집단 파티 또한 사실이 아님에도 선정적인 보도로 조회수를 부풀리기 위해 그럴 싸한 영상을 제작한 것. 해당 유튜브 영상은 270만회를 돌파하며 화제가 됐다.

9.54.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 사건 기자회견에서의 민폐

2차 기자 회견 당시 엑스포츠 소속 기자가 본인이 시간이 없다며 짧게 해달라 등의 태도를 보이고 이후 편파적인 기사를 작성했다. #

9.55. 2024 파리 올림픽/문제점 및 사건 사고 관련 미확인 보도

이만 칼리프는 2023년 2월 국제복싱연맹 (IBA) 여성 권투 챔피언십에 참여했는데 이 시기 IBA는 부패 문제와 러시아와의 관계 문제로 IOC 공인 자격이 정지된 상태였기에 해당 경기는 이름과 달리 올림픽 선수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경기였다. 미국측 복싱협회의 IBA 보이콧 선언문에서도 "너네 IOC 공인기관도 아닌데 왜 올림픽 세계선수권인 양 선수들한테 사기치냐"는 내용이 핵심이었다. Insidethegames 공식 발표에서 볼드체까지 쓰며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IBA의 "사보타주 행위"를 규탄한다고 표현할 정도로 강력한 항의 표현이었다.

러시아 선수 아잘리아 아미녜바(Азалия Аминева)와의 경기에서 승리한 직후 갑작스럽게 실격되었다. 같은 러시아인인 우마르 크레믈례프(Умар Кремлёв) IBA 회장은 그녀에게 XY 염색체가 있다고 주장했으나, Tass 정작 IBA는 테스트의 내용은 커녕 무슨 종류의 테스트인지, 테스트가 누구에 의해 진행되었는지조차 밝히지 않았다. PBSNBCVRTCNN

특히 PBS의 기사에 의하면 IBA는 러시아 가즈프롬의 자금에 의존하여 러시아로 지도부를 이전할 정도로 러시아가 주도권을 잡고 있는 상황이라, 이에 대해 PBS는 IBA측의 결정에 대해 "극도로 미심쩍다"[38]고 평했다. PBS 또한 당시 국제복싱연맹 IBA는 이미 2019년부터 각종 부패 문제로 IOC(국제올림픽위원회)로부터 공인 단체 자격 정지를 당한 상태로, 2021년부터는 아예 사실상 러시아의 어용 단체로 전락하며 2023년 6월에는 아예 IOC 공인 단체 자격을 완전히 상실했다. 2023년의 해당 경기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참여를 허용하여 미국, 스위스,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체코, 스웨덴, 폴란드, 캐나다의 복싱 연맹들로부터 보이콧을 받은 상태였다. Insidethegames 이후 IOC는 IBA의 회의록을 인용해 2023년 그녀의 실격이 IBA 회장의 독단적 결정이었고, 아무런 공식적 절차와 선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단 그녀를 실격시킨 후 규정을 만드는 식으로 진행되었음을 밝혔다. IOC

이만 칼리프의 XY 염색체 선동에는 러시아가 개입된 정황이 상당하다.[39] 러시아 측의 발표는 2024년 7월 4일 당시에도 앞뒤가 맞지 않는 점이 지적됐다. 이만 칼리프에게 실시한 검사에 대한 러시아 측의 발표를 비교하면 자기들끼리도 발언이 상반되어 최근에는 성염색체 검사를 했다고 주장한 것과 다르게 과거에는 테스토스테론 검사였다고 주장하며 동일 검사에 대한 설명에서도 모순이 드러났다. 심지어는 자신들이 수행한 테스트가 WADA(국제 반도핑 기구)의 인증을 받은 연구소에서 진행되었다고 발표했으나, 정작 WADA측에서 WADA는 성별 테스트를 관할하지 않으며 오직 도핑 관련 사안만 관할한다고 증언하는 등, 그 성별검사의 실체조차 불분명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크리스 로버츠(IBA 임원[40])는 두 선수의 2023년 실격에 대해 "염색체 검사 결과 두 선수 모두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고 주장했다.

그러나 두 선수가 "염색체 검사"를 받았다는 로버츠의 말과 달리, 우마르 크렘료프 회장은 반대로 이들이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측정하는 검사를 받았다고 말했다.

테스토스테론은 호르몬으로, 근육량과 근력을 증가시킨다. 반면 염색체는 사람의 성별을 포함한 유전 정보를 담는다.

크렘료프 회장은 "우리는 두 선수의 동의를 받아 검사를 수행한 것이고, 해당 검사 결과를 보면 두 선수가 남성들 수준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보였다"고 주장했으며,

그는 (두 선수들이) "여성으로 태어났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다면 본인들이 알아서 증명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IBA는 자신들이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인증을 받은 두 곳의 서로 다른 연구소에서 검사를 수행했다고 밝혔으나,

정작 WADA는 BBC 스포츠에 자신들은 성별 검사를 감독하지 않으며, 오로지 반도핑 문제와 관련된 업무만 담당한다고 밝혔다.

IOC는 과거에도 해당 검사의 정확성에 대해 의구심을 표한 바 있다.

마크 아담스 IOC 대변인은 "그 검사가 무슨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졌는지도 알 수 없고, 그 검사가 정확한지도 알 수 없고, 검사를 믿어도 되는지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Boxing's gender row - what's going on and are Russia involved?, BBC 5 August 2024

현재까지 이 논란을 보도한 모든 뉴스 기사는 IBA 측 주장을 단순반복한 것을 제외하고 그녀가 XY 염색체를 가졌다는 그 어떤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관련 보도 등에서 드러나듯 그들의 특기인 외신 배껴쓰기를 재확인시켜주었다. 초기에는 기사들처럼 성전환한 여자 선수라는 헛소리도 비일비재했으며 그나마 이후 간성이라는 쪽으로 선회해서 보도하고 있지만 정작 위에서 나온 것처럼 이만 칼리프가 간성이라는 증거 역시 조금도 제시되지 않았다. 애당초 정상적으로 확인 후 보도했다면 성소수자를 극도로 차별하는 알제리에서 트랜스젠더 권투선수라는 소리를 당당하게 쓸 수 없다.

여성 선수 성별 논란의 압도적인 인종차별조차 보도되지 않는다.
Human Rights Watch는 이러한 식의 여성 선수에 대한 성별 논란은 매우 압도적인 비율로 유색인글로벌 사우스 출신 여성을 향해 왔으며, 이에 수반하여 사실상 반강제로 이루어지는 성별 검사 테스트는 선수의 프라이버시와 존엄성을 훼손하며 수치감을 준다고 지적했다. 세계의사회와 유엔 인권 위원회를 포함해 수많은 의학 및 인권 전문가들은 역시 선입견적 젠더 규범에 기반한 자의적인 기준으로 여성 선수들에게 강요하는 성별 테스트들을 비과학적이고 비윤리적 인권 침해라고 비판했다. 특히 흔히 사용되는 테스토스테론 검사의 경우 여성과 남성 사이에 개개인의 편차를 무시하기에,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성별 검사 테스트로 인해 단지 테스토스테론이 기준치 이상이라는 이유만으로 지극히 멀쩡한 여성 선수의 클리토리스와 난소를 절제하는 행위를 벌여 왔다는 사실까지 드러났다. Human Rights Watch, “They’re Chasing Us Away from Sport” Human Rights Violations in Sex Testing of Elite Women Athletes, December 4, 2020

MBC, KBS, SBS, JTBC 등 모든 방송사가 이만 칼리프린위팅을 XY 염색체를 가진 선수로 낙인찍고 있으며, IBA의 발표에 의구심을 표시한 것도 이 기사 외에는 찾기 힘들다. 한국 언론 전체가 IBA에게 놀아난 것이나 다름없는 사안이다. 혹자는 IBA의 타락을 모를 수도 있지 않느냐고 물을 수 있지만 당연히 이런 것을 찾아내는 것도 언론이 할 일이다. 국제복싱협회가 부패와 러시아 어용단체로 변모한 것으로 인해 IOC에게 제명당한 것과 IOC가 XY 염색체를 가진 선수도 인정하는 것, 그리고 이로 인해 다른 복싱선수들이 피해를 입는 것마냥 보도하는 것은 당연히 옳은 보도라고 할 수 없다.

9.56. 2024년 텔레그램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 사건 관련 왜곡&조작 보도

첫 왜곡보도는 MBC 이승기 기자의 단독 보도로부터 시작되었다. 인하대학교 졸업생 피해자가 포함되어 있는 텔레그램 방을 보도하면서 기사 제목에 "인하대에서 또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범죄"라는 문단을 집어넣어 마치 해당 사건의 텔레그램방이 인하대 내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텔레그램 채널인 것처럼 왜곡 보도를 하였다."참가자만 1,200명" 인하대에서 또 텔레그램 딥페이크 성범죄

해당 보도로 인해 SNS에서는 인하대학교와 학생들에 대한 조롱이 오갔으며, 이후 해당 텔레그램 방은 인하대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대학들을 모아놓은 일명 '겹지방'이라는 것이 밝혀지자 잠잠해졌다.

이후 사회적으로 파장을 일으키며 여러 기사가 나오는 와중에 한겨레의 박고은 기자는 해외에서 개발하고 운영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텔레그램 채널에 대해 보도하면서 기사 제목에 "딥페이크 텔레방에 22만명"이란 문구를 쓰며, 마치 해당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겹지방'의 참여자와 가해자가 22만 명인 것처럼 보도하였다.원본 기사 영문판 기사에는 아예 "220,000+ member Korean Telegram room"이라 기재하며 22만 명의 한국인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텔레그램 방이 있다고 오보를 냈다. 대부분은 해외 사용자인데다 가해자와 피해자 규모를 파악할 수 없는 시점에서 거짓으로 기사를 작성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사를 삭제하지도, 정정보도 또한 내지 않고 있다.영어 기사

해당 보도로 인해 정보를 오해한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전국에 있는 중·고등학교, 대학교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중복 숫자를 합쳐 가해자가 22만명"이라는 거짓 발언을 하기에 이르렀다.“딥페이크 가해자 22만명”… 박지현, ‘국가재난’ 선포 촉구

이어 꼬리를 물고 중소언론에서는 해당 기사를 바탕으로 가해자가 22만 7천여명이고 여기에는 대학생과 직장인 등 성인뿐만 아니라 각 지역 중고등학생까지 가입돼있다는 가짜 뉴스를 생성해내고 있다.#

뉴시스는 단독기사에서 더 나아가 비슷한 형태로 40만 명의 사용자 수를 보유한 텔레그램의 봇 채널을 보도하면서 똑같이 오해의 여지가 있는 기사를 냈다.뉴시스 기사

9.57.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카멀라 해리스 편향적 보도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도널드 트럼프가 압도적인 득표 수로 대통령이 당선되었는데,
한국 언론은 좌우를 막론하며 언론사 모두 둘 다 대선 전 날까지 팽팽한 승부라고 예측했다.



많은 한국 언론들이 "초박빙" 승부라고 예상하고 방송에 출연한 많은 한국의 선거 전문가, 기자, 교수, 지식인이라는 사람들은 "히든 해리스" 막판 카멀라 해리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며, 결과를 알 수 없다고 말하였지만, 실제로는 312:226[41] 이라는 압도적인 차이로 공화당이 승리하였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버락 오바마의 기록과 근사하며, 도널드 트럼프는 펜실베이니아를 비롯한 7개의 전통적인 경합지역[42]에서 압도적인 차이로 이겼다.
사실 이 정도의 압도적 승리는 예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언론들은 좌우를 막론하고 끝까지 카멀라 해리스에 희망을 걸았다.
이는 CNN과 같은 미국의 좌성향 언론 매체 기사를 한국이 복붙하여 국민들에게 그대로 보도한 것이라는 말 밖에 설명되지 않는다.
많은 댓글에 이미 현지 미국 한인 교민 사회에서는 트럼프의 당선을 예상하고 있었고, 일본은 "모리토라"라는 신조어(혹시 트럼프가 다시 또 된다면)를 만들어 사회 각기 각계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선 시 일본이 해야할 대비 상황을 거론하는 사회 전반적인 풍조가 깔려 있었다.
한국의 언론들이 한국인들에게 얼마만큼 편향적인 보도를 통해 한국인들의 눈과 귀를 막고 있었는지에 대한 사례가 되었고,
2024년 하반기 많은 국민들이 한국 언론에 대한 불신을 하는 대표적이고 큰 사례로 추가되었다.

10. (그 외의) 기사 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아래의 어처구니가 없는 뻘글들의 80% 이상이 실제 기사로 낸 것들이다. 진지하게 써내야 할 기사를 장난으로 쓴 것이다. 당연히 댓글들은 기레기를 까대는 난장판이 된 지 오래다.

11. 단순 오타인 경우

인신공격급으로 욕 먹기에는 억울하긴 하지만, 그래도 오타를 점검해보지 않고 기사를 내놓아서 비판의 여지는 있는 정도.

12. 번외: 기레기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사실 아니었던 경우


[1] 해당 기사를 작성한 '홍승환 기자'가 작성한 기사들 중 '51구역'이라는 머릿말을 붙인 기사들은 주로 유명한 사건사고들을 다루는데 죄 나무위키에서 긁어온 내용이며 그 기사들 또한 각주 번호가 그대로 남아있다. 아예 편집 측에서 신경도 안 쓰이고 기사를 내보내는 모양.[2] 기타노 다케시가 이 때문에 프라이데이 발행사 코단샤에 난입하여 행패를 부렸다.[3] 이후 댓글의 비판이 거세지자 제목 앞에 90년대라는 단어를 추가해서 수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댓글을 보면 그 낚시의 흔적이 남아있다. 그리고 그 수정했다는 것도 별 의미가 없는데, '90년대의 동물뼈'인지 '90년대에 동물뼈'인지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간 뒤에 조사가 없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의'로 받아들인다는 걸 생각하면...[4] 최신 기사랍시고 2017년에 2016년의 실패 소식을 적었다. 그것도 2017년 실험에 성공했을 때.[5] 민병두(1기/한겨례신문), 김두우(1기/조선일보), 신경민(2기/문화방송), 민경욱(4기/한국방송공사)[6] 이규연(3기/중앙일보), 박민(11기/문화일보), 최원석(11기/SBS)[7] 한 예로 이선균의 마약 투약 의혹도 정치권과 관련된 이슈를 묻으려고 이렇게 공개적으로 난리치는게 아니냐는 시선이 있었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의 상근부대변인 이경이 자기 페이스북에 윤석열 정권의 실정을 덮기 위한 국면전환용이라고 주장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언급했다.[8]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방송교류재단이 운영하는 아리랑국제방송(아리랑TV) 소속 기자였다.[9] 사실 기사 낚시가 성행하는 결정적인 이유가 바로 이 문제다. 아무래도 기사 제목이 더 자극적이 되어야 광고 수익이 늘어나니까. 즉 기자도 문제이지만 소속된 회사도 별반 다를 게 없단 뜻이다.[10] 사설이나 칼럼도 아니고 객관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기사에 기자가 비난을 하는 것 자체도 문제가 있지만.[11] 참고로 저 '알 권리' 는 영어로 'Freedom of Speech' 로 번역하면 '(정치적) 의사표현의 자유' 다. 절대로 기자가 뭐든지 취재할 수 있는 권리 같은 게 아니다.[12] 이름은 정범태.[13] 이에 관해 변명 아닌 변명을 해본다면, 당시 홍수나 민방위 훈련을 제외한 재난 방송에 대해 체계적인 방송 준칙이 나오지 않았던 시절이었고, 재난 방송 지휘부가 없었던지라 이래저래 어수선할 수밖에 없었긴 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무책임하게 취재 경쟁을 한 게 잘한 건 당연히 아니고.[14] 다행히도 자녀는 경상에 그쳤다고 한다.[15] 실제로 2014년 이후의 언론 관련 도서나 작품에서 반드시 언급되는 사건이다. <7년, 그들이 없는 언론>이나 <공범자들> 등.[16] 실제로 기업 홍보팀 등에서 자사의 비리나 부정 등이 터졌을 경우 가장 먼저 하는 짓은 신문사에 연락해서 광고 끊겠다는 협박 or 광고 늘리겠다는 딜 제시 둘 중 하나이며, 신문사에서 먼저 기삿거리를 가지고 가서 이거 나가게 하기 싫으면 광고지면 사라고 협박하는 것도 예사가 된 지 오래다. 기업, 정치판, 언론이 싹 다 썩었다.[17] 그래서 그런 기사를 쓴 기자는 해당 업체에 미안하다고 사과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18] 해당 사건에서 바이샤오옌이 죽은 이유는 기자들의 과오가 컸다.[19] 초딩 측 부모들이 차만 팔아도 될 일을 크게 벌려서 결국 살고 있는 집까지 팔아서 물어줘야 한다는 썰도 있다.[20] 그리고 해당 차량은 MR이다. 엔진도 없는 데 테러한다고 차에 문제가 나지 않는다.[21] 해당 기자는 재판에서 자신은 무고하다고 주장했으나 정작 대구패션센터 담당자를 죽게 한 왜곡보도의 구체적 증거를 제시 못했고, 제시한 증거도 '~~카더라' 식의 찌라시가 전부였다.[22] 링크에는 지역명에 복자 처리를 해 놓았지만,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해당 지역 이름이 그대로 나온다(...)[23] 사실 두 번째 기사에서는 지역명이 복자로 처리되어 있지만, 세 번째 기사는 첫 번째 기사와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게 특정 지역 이름이 그대로 나온다.[24] 아닌게 아니라 다른 보기는 다 전근대사 시절의 사건인데 정답만 근현대사라 너무 대놓고 점수 퍼주기 문제이긴 했다(...).[25] 남북한 UN 동시 가입 직후의 사건이라 한국근현대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었으면 모를 리가 없었다. 심지어 이 연설은 그 시절 조선일보도 기사로 비중있게 다룬 사건이었다.(...)[26] 백혈병, 소장 괴사, 뇌졸중 등의 중병들을 백신 접종 이후에 발생했다는 보도를 하는 식으로 했다. 참고로 이 보도는 모든 언론이 다 했다.[27] 다행히 1차 접종률은 70%가 되었다.[28] 이미 백신이 안전함은 외국의 접종 사례가 잘 보여주고 있다. 속보는 국민들에게 불안함을 더 안길 뿐이다. 괜히 '무소식이 희소식이다'라는 속담이 있는 것이 아니다.[29] 백신 부작용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부검과 역학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요양병원에 있는 사람 중 65세 미만은 더 심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은 다른 명확한 사인이 있다. 하지만 논란이 커질 경우 망자의 가족과 망인도 더 힘든 과정을 겪어야 한다.[30] 속보를 올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수십분남짓이지만 이 논란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수백배의 시간이 걸린다.[31] 2021년 4월 현재 불가리아의 코로나 확진자는 약 38만명이고 매일 3천명 꼴로 추가확진 되고 있다. 참고로 불가리아 인구가 700만명이 조금 안되니 국민 100명 중 5명이 확진된 것이라 상황이 좋지는 않다. 저 비율을 우리나라 인구에 대입하면 대략 250만명이다.[32] 올바른 표기는 Liar이다.[33] 기사에 나온 왓슨 아멜리아, 모리 칼리오페 앙쥬 카트리나 는 버츄얼유튜버, 카세이 조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며 기사에 첨부된 해외기사는 전혀다른내용이다.[34] 해당 발언이 이루어지면 대변인의 경력에 심각한 오점을 남길 수도 있는 사감을 표현하는 자리가 아니다. 자신의 정치적 기사 재료를 위해 타인에게 일방적으로 피해를 볼 것을 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35] 당연히 이런 종류의 작전은 성공이 확실시 되는 시점까지는 철저하게 기밀을 지키는 것이 성공의 요건이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은 멍청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36] 직계가족은 전원 데려왔다고 하지만, 상식적으로 모든 관련자를 다 데려올 수는 없으므로 친구, 이웃 등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37] 본인 소속이 세계일보이니 당연히 단독 보도등은 세계일보를 통해서 해야하는 것이다. 그런데 타언론지 조선일보측에서 운영하는 SNS 플랫폼에 출연해 단독 공개를 터뜨려버린 것이다. 괜히 세계일보측이 이 기자에게 중징계 처분을 한게 아니다.[38] 원문: extremely murky[39] Boxing's gender row - what's going on and are Russia involved?, BBC 5 August 2024[40] Chief executive. 회장 우마르 크렘료프의 타이틀은 President다.[41] 270석을 확보하면 당선 확정이다.[42]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미시간, 네바다, 애리조나[43] '모 프로그램 AA가 음악깡패라는데... 끝내 BBBB 탈퇴하나 멤버들과의 인연은 어떡하구? CC에게 졌지만 그래도 AA, DD보다 AA'. 저 긴 글이 제목인데 '검색어에 한 단어만 걸려라'라는 식이고, 수많은 연예인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는 제목이며, 기사의 사진은 심지어 애플 CEO 팀 쿡이다. 내용도 몹시 빈약해서 문장을 나열한 것에 지나지 않고 글이 기사가 아니라 팬이 쓴 찬양 시에 가깝다. 심지어 중간에는 케이Kei와 함께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글도 써놓았다. 이걸 과연 기자라고 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44] 이 사진은 합성이다[45] 거기다 제목과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데, 제목에서는 동해를 들먹이지만, 내용은 서해에 있는 대천해수욕장에 관한 내용이다.[46] 원래는 이거다.[47] 그 뿐만 아니라 00년 12월 기사에 이미 지난 올해 2월을 목표로까지 날짜 오타까지 냈다.[48] 정확히는 순환소수인 [math(0.9 \dot 42851 \dot 7 )].[49] 이것도 정확히는 순환소수인 [math(0.9\dot 4)].[50] 별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이후 T1은 2022 스프링 시즌 18승 0패, 100%의 승률을 기록하면서 논쟁의 여지가 전혀 없는 승률 1위에 오른다.[51] 빨간불의 정체를 보면 알 것이다[52]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기레기가 Red Velvet예리IZ*ONE 출신 원영이 서로 같이 찍은 사진을 올리면서 "누가 더 귀여운 막내일까?"라고 쓴 기사이다. 이런 기사는 의 싸움을 조장하는 기사이다. 결국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결정으로 삭제당했다.[53] 기레기의 실수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사진은 IZ*ONE 출신 최예나가 아닌 뉴이스트 W이다.[54] 별 것도 아닌 사진으로 기사를 보는 사람에게 괜히 이상야릇한 생각을 하게 만들어 물의를 빚었다.[55] 사진에 나오는 파란 유니폼에 KOREAN AIR이 나오는데 현대캐피탈 유니폼 맞다. 두 회사가 현대카드 합작 기념으로 서로의 스폰서가 되었기 때문이다.[56] 원래는 '축소한다'인데, '한'에서 '하'와 'ㄴ' 사이에 ㅋ이 끼어들어갔다.[57]를 없로 오타내서 보는 이들을 폭소케 하였다.[58] '낸시'에서 ㅅ이 빠지는 바람에 '낸'의 ㄴ 받침이 뒤의 'ㅣ'에 옮겨붙었다. 그런데 본문에도 '내니'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 낸시를 내니로 잘못 알고 쓴 듯 하다. 덤으로 내니는 할머니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아이돌을 갑자기 할머니로 둔갑시켜 버렸다...[59] 수원에는 권선동이 있다. 권성동은 여당의 유력 정치인 이름.[60] 원래 처음에는 정준영이 무혐의 처리되었으나, 3년 후인 2019년 버닝썬 게이트 와중 SBS 8 뉴스에서 다시 보도되었고, 결국 사실로 밝혀지면서 정준영은 실형을 선고받았다. 처음에 기레기라고 엄청난 욕을 먹고 스포츠서울 연예부에서 좌천되었으나 사실로 밝혀지고 나서는 오히려 연예계가 아닌 사회면급 대형 특종을 건져낸 참기자로 돌변했고 다시 일선에서 활동중이다. 여담으로 서태지-이지아 이혼 관련 기사도 박효실 기자에게 있어 일생일대의 특종 보도 2건 중 하나.

분류